KR102151704B1 -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 Google Patents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704B1
KR102151704B1 KR1020190125221A KR20190125221A KR102151704B1 KR 102151704 B1 KR102151704 B1 KR 102151704B1 KR 1020190125221 A KR1020190125221 A KR 1020190125221A KR 20190125221 A KR20190125221 A KR 20190125221A KR 102151704 B1 KR102151704 B1 KR 10215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plastic
housing
melting
outlet
foam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채
Original Assignee
최영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채 filed Critical 최영채
Priority to KR102019012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7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29B13/022Melt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발포 플라스틱을 용융하되, 수분을 함유한 발포 플라스틱도 용융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함유한 수분을 제거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apparatus for melting expanded plastics}
본 발명은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포 플라스틱을 용융하되, 수분을 함유한 발포 플라스틱도 용융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함유한 수분을 제거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포 플라스틱(plastic foam)은 플라스틱에 탄산수소염 아조화합물이나 기타 발포제를 첨가하고 가열 및 성형하여 만들어진 가볍고 다공질(多孔質)의 스펀지 형태의 플라스틱으로, 경량(輕量)ㅇ단열(斷熱)ㅇ방음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발포 플라스틱은 주로 가전제품의 포장재, 농수산물 상자, 양식용 부자, 주택 단열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스티로폼 제품은 거의 단기 간 사용되거나 일회용으로 사용된 후 폐기되고 있으며, 폐기되는 발포 플라스틱은 그 수량과 부피가 방대하기 때문에 이를 수집하고 쓰레기장까지 운반하여 처리하는데에 엄청난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발포 플라스틱이 그대로 자연에 방지되어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발포 플라스틱을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폐 성형품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폐성형품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폐성형품을 공급받아 가열함과 동시에 융착시켜 재활용성형품을 제작하는 압출기와, 재활용성형품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와,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커터기로 이루어진 발포수지 성형품의 재활용 처리장치에 있어서, 분쇄기에서 분쇄된 폐성형품을 이송수단에 의해 공급받아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저장부로 공급하는 집진싸이크론부가 구성되며, 저장부에 있는 폐성형품을 압출기로 일정량씩 이송, 공급하기 위한 공급수단이 포함하는 발포수지 성형품의 재활용 처리장치이고,
특허문헌 2는 용해액을 넣어놓은 탱크에 발포 플라스틱을 투입하여, 용해액에서 발포 플라스틱을 용융할 수 있도록 한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에 있어, 탱크 내에 발포 플라스틱의 누름판을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오르내리는 누름판 승강기구를 부설하여, 발포 플라스틱을 용융처리에 즈음하여, 누름판 승강기구에 의하여 누름판을 하강시켜 탱크내에 투입된 발포 플라스틱을 위에서부터 눌러 용해액내에 침지(거품을 내면서 잠길 수 있도록 한 것)시키게 한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이며,
특허문헌 3은 1차 분쇄장치의 하부에 용융장치가 배치되어, 1차 분쇄장치의 배출구가 용융장치의 투입구와 연결되고, 1차 분쇄장치 및 용융장치의 스크류가 체인에 의해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구동장치의 동력이 벨트에 의해 발전기로 전달되고, 발전기의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밴드히터가 용융장치의 원통부 둘레에 장착된 폐 발포 합성수지 용융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발포 플라스틱 처리 기술들은 수분을 포함한 발포 플라스틱를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발포 플라스틱은 양식장이나 부구나 어구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포 플라스틱은 장시간 수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어 수분이 발포 플라스틱의 기공에 스며든 상태이고, 이렇게 발포 플라스틱에 스며든 수분은 쉽게 발포 플라스틱으로부터 배출되지 않음에 따라 발포 플라스틱을 융융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처리장치의 내부에 기압이 올라가거나 수분의 팽창에 의해 용융장치가 작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8589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765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99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수분을 함유한 발포 플라스틱도 용융할 수 있고, 함유한 수분을 제거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융융장치에 수분이나 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치하여 발포 플라스틱을 용융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물이나 증기를 배출함에 의해 용융장치가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수분을 함유한 발포 플라스틱도 처리할 수 있는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는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발포 플라스틱을 융융하는 장치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에는 공급구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발포 플라스틱을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히터로 이루어진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중 공급구와 대응되는 부분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홀; 상기 하우징 중 히터가 설치된 부분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히터에서 가열된 발포 플라스틱으로부터 증발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배수홀이 형성된 단부를 향하며 점차 낮아지는 바닥배수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배수홀이 형성된 단부를 향하며 점차 낮아지는 측면배수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는 수분을 함유한 발포 플라스틱을 융융하여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발포 플라스틱을 용융 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수분이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함에 의해 수분이나 증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장치가 작동하여 수분을 함유함 발포 플라스틱을 정상적으로 용융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이 배출됨에 따라 재활용되는 발포 플라스틱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의 일예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수분을 함유한 발포 플라스틱도 용융할 수 있고, 함유한 수분을 제거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용융장치와 유사하게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발포 플라스틱을 융융하는 장치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에는 공급구(110i)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배출구(110o)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된 발포 플라스틱을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20), 및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히터(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기술은 이러한 종래의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를 수분이 함유된 발포 플라스틱도 융융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중 공급구와 대응되는 부분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홀(10)과; 상기 하우징 중 히터가 설치된 부분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히터에서 가열된 발포 플라스틱으로부터 증발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홀(20)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배수홀(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구(110i)가 형성된 단부와 히터(130)가 설치된 부분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어 공급구로 공급된 발포 플라스틱의 조각이 이송스크류(120)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물이 배출되는 구멍이다.
물론 발포 플라스틱을 용융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물도 이 배수홀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증기배출홀(20)은 히터(130)를 작동시켜 발포 플라스틱을 용융하는 과정에서 발포 플라스틱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할 때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구멍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터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을 설치하여 수증기는 배출되고 용융 발포 플라스틱은 배출되지 않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과 측벽에 각각 배수홈(30, 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홈(30, 40) 들 중 바닥에 형성된 바닥배수홈(30)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배수홀이 형성된 단부를 향하며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어 있어 발포 플라스틱이 용융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물이 바닥배수홈을 따라 배수홀로 배출되게 하였다.
상기 측면배수홈(40)은 하우징의 측벽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배수홀이 형성된 단부를 향하며 점차 낮아지게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또한 발포 플라스틱이 용융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물이 배수홀로 배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수홈은 발포 플라스틱이 용융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물을 배수홀로 흐르게 하며, 이렇게 흐르는 물이 공급구로 공급된 발포 플라스틱측으로 이동하면 발포 플라스틱이 다시 물에 의해 젖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홀과 대응되는 하우징의 내벽에는 차수홈(50)을 형성하여 배수홈들을 따라 흐르는 물이 공급구측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는 배출구(110o)의 외주면에도 출구히터(60)를 더 설치하여 배출되는 용융 발포 플라스틱이 굳어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10: 배수홀
20: 증기배출홀
30: 바닥배수홈
40: 측면배수홈
50: 차수홈
60: 출구히터
100: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110: 하우징 120: 이송스크류 120m: 구동수단
130: 히터

Claims (3)

  1.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발포 플라스틱을 융융하는 장치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에는 공급구(110i)가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배출구(110o)가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120m)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공급된 발포 플라스틱을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120), 및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히터(130)로 이루어진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로,
    상기 하우징 중 공급구와 대응되는 부분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홀(10); 상기 하우징 중 히터가 설치된 부분과 인접되게 설치되어 히터에서 가열된 발포 플라스틱으로부터 증발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홀(20)을 더 구비한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배수홀이 형성된 단부를 향하며 점차 낮아지는 바닥배수홈(3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배수홀이 형성된 단부를 향하며 점차 낮아지는 측면배수홈(40)이 형성되며,
    배수홀들과 대응되는 하우징의 내벽에는 차수홈(50)이 형성되고,
    배출구(110o)의 외주면에도 출구히터(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125221A 2019-10-10 2019-10-10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Active KR10215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221A KR102151704B1 (ko) 2019-10-10 2019-10-10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221A KR102151704B1 (ko) 2019-10-10 2019-10-10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704B1 true KR102151704B1 (ko) 2020-09-03

Family

ID=7246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221A Active KR102151704B1 (ko) 2019-10-10 2019-10-10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773A (ko) * 2022-02-15 2023-08-22 (주)산수유리사이클 수분 함유 발포 플라스틱 용융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890A (ko) 1997-05-30 1998-12-05 김종목 발포수지 성형품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213985B1 (ko) * 1997-09-08 1999-08-02 조연봉 폐스치로폼 분쇄기
KR19990076555A (ko) 1998-01-07 1999-10-15 강복길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KR100352350B1 (ko) * 1994-05-19 2002-10-31 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용융된합성수지의탈수방법
JP2006063346A (ja) * 2005-10-19 2006-03-09 Japan Steel Works Ltd:The 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装置
JP2006110507A (ja) * 2004-10-18 2006-04-2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脱水装置
KR100879929B1 (ko) 2007-10-02 2009-01-22 최인호 폐 발포 합성수지 용융장치
KR100965697B1 (ko) * 2007-11-07 2010-06-24 (주)경원소재 재생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2350B1 (ko) * 1994-05-19 2002-10-31 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용융된합성수지의탈수방법
KR19980085890A (ko) 1997-05-30 1998-12-05 김종목 발포수지 성형품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213985B1 (ko) * 1997-09-08 1999-08-02 조연봉 폐스치로폼 분쇄기
KR19990076555A (ko) 1998-01-07 1999-10-15 강복길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JP2006110507A (ja) * 2004-10-18 2006-04-2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脱水装置
JP2006063346A (ja) * 2005-10-19 2006-03-09 Japan Steel Works Ltd:The 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装置
KR100879929B1 (ko) 2007-10-02 2009-01-22 최인호 폐 발포 합성수지 용융장치
KR100965697B1 (ko) * 2007-11-07 2010-06-24 (주)경원소재 재생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773A (ko) * 2022-02-15 2023-08-22 (주)산수유리사이클 수분 함유 발포 플라스틱 용융 장치
KR102752416B1 (ko) * 2022-02-15 2025-01-14 (주)산수유리사이클 수분 함유 발포 플라스틱 용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9736B2 (ja) 混合固形廃棄物から形成される固体燃料組成物
KR101471168B1 (ko) 건조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쓰레기처리기
KR102144688B1 (ko) 폐스티로폼 재활용 감용장치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101071945B1 (ko) 폐그물망 재활용장치
KR102151704B1 (ko) 발포 플라스틱 용융장치
KR101409506B1 (ko) 고형연료제품 펠렛화 시스템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13928B1 (ko) 고형연료 성형기
KR102104918B1 (ko) 히팅부 구조 개선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6079B1 (ko) 싱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4003136A (en) Method for the drying and recovery of polyethylene waste material
KR102752416B1 (ko) 수분 함유 발포 플라스틱 용융 장치
KR101001987B1 (ko)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 및 이를 포함한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장치
KR100498703B1 (ko)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기
KR100597441B1 (ko) 양식용 부자 폐스티로폼 감용 장치
KR101634928B1 (ko) 고형연료제품 펠렛화 시스템
CN219114741U (zh) 一种挤塑机进料烘干装置
KR20130104083A (ko) 폐전선의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 피복재 재활용 시스템
KR101519976B1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압축 성형장치
TW201841698A (zh) 用於處理混合廢料的裝置及其方法
KR101374554B1 (ko) 음식물쓰레기 감량 배출장치
KR100616114B1 (ko) 폐 스티로폼 건조장치
KR10025705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868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이송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