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055B1 -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055B1
KR102144055B1 KR1020200036875A KR20200036875A KR102144055B1 KR 102144055 B1 KR102144055 B1 KR 102144055B1 KR 1020200036875 A KR1020200036875 A KR 1020200036875A KR 20200036875 A KR20200036875 A KR 20200036875A KR 102144055 B1 KR102144055 B1 KR 10214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ze
corner
type artificial
multifunctional
protrus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하재선
하림
박관욱
Original Assignee
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림 filed Critical 하림
Priority to KR102020003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0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종래의 미로형 인공어초의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수산생물의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되며, 문어 등 연체동물과 치어 및 소형 어류와 전복, 소라 등 패류와 해삼 등 소형 굴을 좋아하는 암굴형 수산생물의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크게 증가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기둥몸체, 사각기둥몸체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서식부, 사각기둥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부에 측면돌부경사면 및 측면돌출부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돌기 형상을 갖는 측면돌출부, 사각기둥몸체의 모서리에서 돌출되며 상부에 모서리돌출부경사면 및 모서리돌출부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 형상을 갖는 모서리돌출부, 사각기둥몸체의 측면에 측면돌출부 및 모서리돌출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서 측면돌출부 사이 및 측면돌출부와 모서리돌출부 사이의 공간인 측면보조서식부, 측면보조서식부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의 측면 일부에 사각기둥몸체의 외부에서 서식부로 연통하는 테이퍼 형상의 어로홈부, 및 1 내지 3개의 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인 것이다.

Description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MULTI-FUNCTIONAL MAZE TYPE ARTIFICIAL FISHING REEF WITH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AND INCREASED ESCAPE, STEALTH, HABITAT AND SPAWNING SPACE}
본원 발명은 해양에서 서식하는 어패류의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을 제공하고, 구조체 주위의 파도의 방향과 유속을 균등하게 감속시킬 수 있어 해류의 순환이 원활한 구조로 형성되어 어패류, 조류 등 해양생물의 착생이 용이하고, 연근해에 투입하여 수산자원을 보호, 육성할 수 있는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어초는 어장을 보호하고 산란장 및 도피처를 조성하여 어패류의 번식 및 수생 생물의 성장을 도와 풍부한 수산자원을 얻기 위하여 바다에 투입하는 인공 구조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비롯하여 폐선이나 폐자재로서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폐타이어 등을 일정한 모양으로 구성한 조립식 어초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어초가 사용되었으나 해양환경과 관련하여 폐자원의 활용문제는 감소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인공어초는 기하학적 형상 및 그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만들게 되는데 최근에는 소형기선저인망의 불법어업을 방지하는 역할과 어획강도가 높은 어구 및 어업행위로부터 연안자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치중하기 위하여 어류의 은신 본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콘크리트와 철근을 이용한 인공어초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인공어초는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을 사용하여 해저면에 인공어초를 침설하여 어류나 패류의 산란장 및 도피처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399호 “미로형 인공어초”를 살펴보면,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사각형태의 내부공간부와, 상기 내부공간부의 사방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부에는 소정 경사면이 형성되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편 및 상기 돌출편 사이사이에서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단면이 ㄷ 자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어로홈이 형성된 측면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어로홈의 내측에는 외부에서 상기 내부공간부로 통하는 내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돌출부는, 상기 내부공간부의 외측 각 모서리부분에서 단면이 ㄴ 자 형태를 갖는 모서리돌출편이 형성되되, 상기 모서리돌출편은 상기 내부공간부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어느 양측 방향끼리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형 인공어초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미로형 인공어초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우수한 것이지만, 구조안정성이 낮고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 또한 상존하는 것이었다.
즉, 첫째, 미로형 어초의 전체 구성에 있어서, 바닥면에 비하여 높이가 높아서 무게중심 또한 높은 상태인 것이므로 파랑에 의하여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등 구조안정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어로홈을 통하여 해수가 유입되기는 하지만 유입량이 적고 유속이 느려서 용승현상 및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미로형 어초 내부로 산소, 영양염류, 플랑크톤 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측면돌출부의 돌출편 및 모서리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으나, 굴곡이 형성되지 아니하여 해조류 및 패류가 부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내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구조가 단순함으로 인하여 음영을 제공하지 못하여 어패류의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 공간이 다량 확보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섯째, 특히 위와 같은 종래의 어초는 암굴형 수산생물의 생태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결과로 인하여, 쇄석 및 파이프(암굴)를 구비하고 있지 아니함으로써, 문어 등 연체동물과 치어 및 소형 어류와 전복, 소라 등 패류와 해삼 등 소형 굴을 좋아하는 암굴형 수산생물의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미로형 인공어초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파랑에 의하여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조안정성을 크게 개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어로홈의 구조를 개량하여 서식부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을 증대시키고 유입되는 해수의 유속을 크게 증가시켜서 용승현상 및 와류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미로형 어초 내부로 산소, 영양염류, 플랑크톤 등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측면돌출부의 돌출편 및 모서리 돌출편에 굴곡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해조류 및 패류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사각기둥몸체 내부의 서식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어패류의 도피, 은신 및 서식공간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암굴형 수산생물의 생태학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문어, 패류 등 암굴형 수산생물의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는, 사각기둥몸체, 사각기둥몸체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서식부, 사각기둥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측면돌출부, 사각기둥몸체의 모서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모서리돌출부, 사각기둥몸체의 측면에 측면돌출부 및 모서리돌출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서 측면돌출부 사이 및 측면돌출부와 모서리돌출부 사이의 공간인 측면보조서식부를 구비한 것으로서, 서식부와 측면보조서식부에 의하여 미로형의 어패류 서식 및 은신공간이 제공되는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먼저, 본원 발명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상기 사각기둥몸체는,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고 사각기둥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종래의 미로형 인공어초의 경우에는 원통형 또는 육각기둥 모양 등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었던 것이었는바, 다년간의 연구에 의하여 원통형 또는 육각기둥 형태 등의 경우에는 측면돌출부, 모서리돌출부의 구조가 제한되는 것이어서 미로를 다량 확보하기 어려운 형상이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본원 발명에서는 사각기둥 형태만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식부는, 사각기둥몸체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부가 넓고 상부면으로부터 사각기둥몸체 높이의 5/10 내지 2/10 부분까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사각기둥몸체 높이의 4/10 내지 3/10 부분까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서, 기존 미로형 인공어초가 무게중심이 높아 강한 파랑에 의하여 유동되고, 매우 강한 파랑에 의하여는 전도되기까지 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원 발명의 서식부가 상기와 같은 테이퍼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무게중심을 낮추어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구조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쇄석부가 사각기둥몸체가 좁아지는 부분에 끼워짐으로써 무게중심을 더욱 크게 낮추게 되어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구조 안정성을 매우 크게 증가시키는 현저한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상기 측면돌출부는, 사각기둥몸체의 4개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것이고, 측면돌출부의 상부에 측면돌출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측면돌출부홈이 형성되어 외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사각기둥몸체의 전면과 후면에는 1개의 측면 당 2 내지 5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4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사각기둥몸체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1개의 측면 당 1 내지 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상기 모서리돌출부는, 사각기둥몸체의 4개의 모서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되 사각기둥몸체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끝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측면돌출부에 해당하는 판 형상의 것이고, 사각기둥몸체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굽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며, 모서리돌출부의 상부에 모서리돌출부경사면이 형성되고 모서리돌출부홈이 형성되어 외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좌측면의 양 끝부분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되고, 우측면의 양 끝부분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되므로, 1개의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당 모서리돌출부는 4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돌출부경사면 및 상기 모서리돌출부경사면은, 사각기둥몸체 상면으로부터 높이의 8/10 내지 4/10 부분까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사각기둥몸체 상면으로부터 높이의 7/10 내지 5/10 부분까지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측면보조서식부는, 사각기둥몸체의 측면에 측면돌출부 및 모서리돌출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서 측면돌출부 사이 및 측면돌출부와 모서리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각기둥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돌출부 및 모서리돌출부들과 함께 미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미로는 전술한 서식부와 함께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에 어패류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는 특히 중요한 구성인 어로홈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어로홈부는 측면보조서식부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의 측면 일부에 사각기둥몸체의 외부에서 서식부로 연통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어로홈부는, 측면보조서식부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의 외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어로홈부외측부가 직사각형 형상이고, 서식부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의 내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어로홈부내측부 또한 직사각형 형상이며, 어로홈부내측부의 직사각형 형상이 어로홈부외측부의 직사각형 형상보다 좁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렇게 어로홈부가 어로홈부내측부의 직사각형 형상이 어로홈부외측부의 직사각형 형상보다 좁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외부에서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때 그 유속이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해수의 속도가 서식부 내부로 갈수록 크게 증가되는 효과를 구비한 것이어서, 해수가 8개 내지 16개의 다수개의 어로홈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게 되므로, 어로홈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속이 빠른 해수에 의해 서식부에서 용승현상이 발생되거나 와류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승현상이 발생되거나 와류현상이 발생됨에 따라서 어패류에게 산소, 영양염류, 플랑크톤 등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해수가 순환됨으로 인한 자정작용에 의해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쇄석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쇄석부는 철제로 된 망 형상의 쇄석박스 내부에 자연석 또는 자연석이 깨진 쇄석이 구비되고 암굴형 수산생물 서식용 파이프가 구비되고, 파이프는 강관 또는 PVC 등 합성수지관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쇄석부의 자연석 또는 쇄석의 장경은 10 내지 50cm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연석 또는 쇄석의 장경이 20 내지 40c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자연석 또는 쇄석의 장경이 25 내지 35c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쇄석부는 1 내지 3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쇄석부는 서식부의 좁아지는 부분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쇄석부에 설치되는 암굴형 수산생물 서식용 파이프는 그 직경이 5 내지 30c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5c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상기 사각기둥몸체의 상면에는 해조류가 식재된 로우프 또는 로우프취부용 목재가 끼워지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사각기둥몸체, 측면돌출부, 모서리돌출부, 어로홈부의 모든 모서리들은 모따기 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에 있어서, 사각기둥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서식부가 상부보다 하부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무게 중심을 낮추고, 쇄석부가 서식부의 좁아지는 부분에 끼워짐으로써 무게 중심을 더욱 크게 낮춤으로써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구조 안정성을 매우 크게 증가시키는 현저한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어로홈부가 어로홈부내측부의 직사각형 형상이 어로홈부외측부의 직사각형 형상보다 좁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해수의 유입량 및 유입 속도를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서식부에서 용승현상이 발생되거나 와류현상이 발생됨에 따라서 어패류에게 산소, 영양염류, 플랑크톤 등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해수가 순환됨으로 인한 자정작용에 의해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는 현저한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측면돌출부 및 모서리돌출부에 측면돌출부홈 및 모서리돌출부홈이 형성되어 외측면에 굴곡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해조류 및 패류가 부착되는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사각기둥몸체 내부의 서식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쇄석부를 설치함으로써 쇄석부에 의하여 쇄석부의 하부의 서식부에 음영이 드리워짐으로써 어패류가 음영이 드리워진 서식부 공간에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현저한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쇄석부 자체에 자연석 및 쇄석이 구비되고 암굴형 수산생물 서식용 파이프가 구비됨으로써 암굴형 수산생물이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현저한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사각기둥몸체의 중앙이 빈 사각형 상면에 형성된 홈에 어린 해조류가 붙어있는 로우프를 결착시키거나, 앵커 등에 결착시켜 파랑에 의하여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로우프에서 성장되는 해조류가 인공어초에 뿌리를 용이하게 내릴 수 있는 현저항 효과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사각기둥형태의 몸체, 측면돌출부, 모서리돌출부, 어로홈부의 모든 모서리들은 모따기 됨으로써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며, 쇄석부가 서식부에 삽입될 때 부드럽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 또한 구비한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A' 방향에서 바라본 A-A'면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화살표 A-A' 방향에서 바라본 A-A'면 단면사시도(쇄석박스 도시를 생략함).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에 로우프가 부착된 상태가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A' 방향에서 바라본 A-A'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화살표 A-A' 방향에서 바라본 A-A'면 단면사시도로서 쇄석박스의 도시를 생략한 도면이며,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에 로우프가 부착된 상태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건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는, 사각기둥몸체(10), 사각기둥몸체(10)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서식부(20), 사각기둥몸체(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측면돌출부(30), 사각기둥몸체(10)의 모서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모서리돌출부(31), 사각기둥몸체(10)의 측면에 측면돌출부(30) 및 모서리돌출부(31)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서 측면돌출부(30) 사이 및 측면돌출부(30)와 모서리돌출부(31) 사이의 공간인 측면보조서식부(40)를 구비한 것으로서, 서식부(20)와 측면보조서식부(40)에 의하여 미로형의 어패류 서식 및 은신공간이 제공되는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먼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상기 사각기둥몸체(10)는,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사각기둥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종래의 미로형 인공어초의 경우에는 원통형 또는 육각기둥 모양 등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었는바, 다년간의 연구에 의하여 원통형 또는 육각기둥 형태 등의 경우에는 미로를 다량 확보하기 어려운 형상이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본원 발명에서는 사각기둥 형태만을 선택하게 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상기 서식부(20)는, 사각기둥몸체(10)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서 상부가 넓고 상부면으로부터 사각기둥몸체(10) 높이의 5/10 내지 2/10 부분까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사각기둥몸체(10) 높이의 4/10 내지 3/10 부분까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서, 기존 미로형 인공어초가 무게중심이 높아 강한 파랑에 의하여 유동되고, 매우 강한 파랑에 의하여는 전도되기까지 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원 발명의 서식부(20)가 상기와 같은 테이퍼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무게중심을 낮추어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구조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현저한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쇄석부(60)가 사각기둥몸체(10)의 좁아지는 부분에 끼워짐으로써 무게중심을 더욱 크게 낮추게 되어 유동되거나 전도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구조 안정성을 매우 크게 증가시키는 더욱 현저한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상기 측면돌출부(30)는, 사각기둥몸체(10)의 4개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것이고, 측면돌출부(30)의 상부에 측면돌출부경사면(30a)이 형성되고 측면돌출부홈(30b)이 형성되어 외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사각기둥몸체(10)의 전면과 후면에는 1개의 측면 당 2 내지 5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4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사각기둥몸체(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1개의 측면 당 1 내지 3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상기 모서리돌출부(31)는, 사각기둥몸체(10)의 4개의 모서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되 사각기둥몸체(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의 끝부분 각각에 형성되는 측면돌출부(30)에 해당하는 판 형상의 것이고, 사각기둥몸체(1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하여 굽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며, 모서리돌출부(31)의 상부에 모서리돌출부경사면(31a)이 형성되고 모서리돌출부홈(31b)이 형성되어 외측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좌측면의 양 끝부분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되고, 우측면의 양 끝부분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되므로, 1개의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당 모서리돌출부(31)는 4개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돌출부경사면(30a) 및 상기 모서리돌출부경사면(31a)은, 사각기둥몸체(10) 상면으로부터 높이의 8/10 내지 4/10 부분까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사각기둥몸체(10) 상면으로부터 높이의 7/10 내지 5/10 부분까지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측면보조서식부(40)는, 사각기둥몸체(10)의 측면에 측면돌출부(30) 및 모서리돌출부(31)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서 측면돌출부(30) 사이 및 측면돌출부(30)와 모서리돌출부(31)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각기둥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돌출부(30) 및 모서리돌출부(31)들과 함께 미로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미로는 전술한 서식부(20)와 함께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에 어패류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는 특히 중요한 구성인 어로홈부(5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어로홈부(50)는 측면보조서식부(40)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10)의 측면 일부에 사각기둥몸체(10)의 외부에서 서식부(20)로 연통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어로홈부(50)는, 측면보조서식부(40)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10)의 외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어로홈부외측부(51)가 직사각형 형상이고, 서식부(20)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10)의 내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어로홈부내측부(52) 또한 직사각형 형상이며, 어로홈부내측부(52)의 직사각형 형상이 어로홈부외측부(51)의 직사각형 형상보다 좁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렇게 어로홈부(50)가 어로홈부내측부(52)의 직사각형 형상이 어로홈부외측부(51)의 직사각형 형상보다 좁게 형성된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의 외부에서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때 그 유속이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해수의 속도가 서식부(20) 내부로 갈수록 크게 증가되는 효과를 구비한 것이어서, 해수가 8개 내지 16개의 다수개의 어로홈부(50)를 통해 유입될 수 있게 되므로, 어로홈부(50)를 통해 유입되는 유속이 빠른 해수에 의해 서식부(20)에서 용승현상이 발생되거나 와류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승현상이 발생되거나 와류현상이 발생됨에 따라서 어패류에게 산소, 영양염류, 플랑크톤 등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해수가 순환됨으로 인한 자정작용에 의해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조성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는, 매우 중요한 구성인 상기 쇄석부(6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쇄석부(60)는 철제로 된 망 형상의 쇄석박스(60a) 내부에 자연석 또는 자연석이 깨진 쇄석(60b)이 구비되고 암굴형 수산생물 서식용 파이프(60c)가 구비되고, 파이프(60c)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강관 또는 PVC 등 합성수지관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쇄석부(60)는 인공어초의 무게중심을 크게 낮추어 줌으로써 큰 파랑 등에 의한 유동 또는 전도를 방지해주는 기능을 구비하게 하는 것이고, 쇄석부(60)에 의하여 쇄석부(60)의 하부의 서식부(20)에 음영이 제공됨으로써 어패류가 음영이 드리워진 서식부(20) 공간에 은신 및 서식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하는 것이며, 쇄석부(60) 자체에 암굴형 수산생물 서식용 파이프(60c)가 구비됨으로써 암굴형 수산생물이 서식 및 은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쇄석부(60)는 1 내지 3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쇄석부(60)는 서식부(20)의 좁아지는 부분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쇄석부(60)의 상부가 사각기둥몸체(10) 높이의 6/10 내지 5/10 부분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쇄석부(60)의 자연석 또는 쇄석(60b)의 장경은 10 내지 50cm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연석 또는 쇄석(60b)의 장경이 20 내지 40c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자연석 또는 쇄석(60b)의 장경이 25 내지 35c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쇄석(60b)의 장경이 10cm 미만인 경우에는 쉽게 유실될 뿐 아니라 암굴형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50cm가 초과될 경우에는 서식 공간이 너무 커서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쇄석부(60)에 설치되는 암굴형 수산생물 서식용 파이프(60c)는 그 직경이 5 내지 30c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5c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서, 직경이 5cm 미만인 경우에는 장어가 서식하기도 어려운 것이어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30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대문어에게도 너무 큰 것이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는, 상기 사각기둥몸체(10)의 중앙이 빈 사각형 상면에 해조류가 식재된 로우프 또는 로우프취부용 목재가 끼워지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홈에는 해조류가 식재된 로우프가 끼워지거나 또는 로우프취부용 목재가 끼워진 후 그 위에 해조류가 식재된 로우프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각기둥몸체(10)의 중앙이 빈 사각형 상면과 측면보조서식부(40) 하부에 앵커 등을 삽설하여 해조류가 식재된 로우프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어린 해조류가 붙어있는 로우프를 인공어초의 홈에 직접 결착시키거나 로우프취부용 목재에 취부시키거나, 앵커 등에 결착시킴으로써 파랑에 의하여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로우프에서 성장되는 해조류가 인공어초에 뿌리를 용이하게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각기둥형태의 몸체, 측면돌출부(30), 모서리돌출부(31), 어로홈부(50)의 모든 모서리들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따기된 구성들에 의하여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나타내며, 쇄석부(60)가 서식부(20)에 삽입될 때 부드럽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또한 나타내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는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원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인공어초
10 사각기둥몸체
20 서식부
30 측면돌출부
30a 측면돌출부경사면
30b 측면돌출부홈
31 모서리돌출부
31a 모서리돌출부경사면
31b 모서리돌출부홈
40 측면보조서식부
50 어로홈부
51 어로홈부외측부
52 어로홈부내측부
60 쇄석부
60a 쇄석박스
60b 쇄석
60c 파이프
61 하부쇄석부
62 상부쇄석부

Claims (16)

  1. 사각기둥몸체, 사각기둥몸체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서식부, 사각기둥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측면돌출부, 사각기둥몸체의 모서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모서리돌출부, 사각기둥몸체의 측면에 측면돌출부 및 모서리돌출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부분에서 측면돌출부 사이 및 측면돌출부와 모서리돌출부 사이의 공간인 측면보조서식부를 구비한 미로형 인공어초에 있어서;
    상기 사각기둥몸체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부가 넓고 상부면으로부터 사각기둥몸체 높이의 5/10 내지 2/10 부분까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서식부;
    상기 측면돌출부의 상부에 측면돌출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측면돌출부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된 측면돌출부;
    상기 모서리돌출부의 상부에 모서리돌출부경사면이 형성되고 모서리돌출부홈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된 모서리돌출부;
    상기 측면보조서식부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의 외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어로홈부외측부가 넓고 서식부에 접하는 사각기둥몸체의 내측면 일부에 형성되는 어로홈부내측부가 좁은 테이퍼 형상이며 사각기둥몸체의 외부에서 서식부로 연통하는 어로홈부; 및
    철제로 된 망 형상의 쇄석박스 내부에 쇄석 및 파이프가 구비된 형태의 쇄석부 1 내지 3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부는, 사각기둥몸체의 중앙부분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부가 넓고 상부면으로부터 사각기둥몸체 높이의 4/10 내지 3/10 부분까지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돌출부경사면 및 상기 모서리돌출부경사면은, 사각기둥몸체 상면으로부터 높이의 8/10 내지 4/10 부분까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돌출부경사면 및 상기 모서리돌출부경사면은, 사각기둥몸체 상면으로부터 높이의 7/10 내지 5/10 부분까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부의 쇄석의 장경은 10 내지 5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의 장경은 20 내지 4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10. 삭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부는 사각기둥몸체 상면으로부터 높이의 8/10 내지 4/10 부분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부는 사각기둥몸체 상면으로부터 높이의 7/10 내지 5/10 부분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13.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기둥몸체의 상면에 해조류가 식재된 로우프 또는 로우프취부용 목재가 끼워지기 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14.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기둥몸체의 중앙이 빈 사각형 상면에 해조류가 식재된 로우프 또는 로우프취부용 목재가 끼워지기 위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기둥몸체의 상면과 측면보조서식부 하부에 해조류가 식재된 로우프를 설치할 수 앵커가 삽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16.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식부, 측면돌출부, 모서리돌출부, 어로홈부의 모든 모서리들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KR1020200036875A 2020-03-26 2020-03-26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Active KR10214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75A KR102144055B1 (ko) 2020-03-26 2020-03-26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875A KR102144055B1 (ko) 2020-03-26 2020-03-26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055B1 true KR102144055B1 (ko) 2020-08-12

Family

ID=7203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875A Active KR102144055B1 (ko) 2020-03-26 2020-03-26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0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414A (ja) * 1999-05-13 2000-11-21 Toa Harbor Works Co Ltd 藻場型魚礁及びその設置方法
JP2002281859A (ja) * 2001-03-27 2002-10-02 Asuto Japan:Kk 海藻魚礁ブロック
JP3098204U (ja) * 2003-05-29 2004-02-26 サカイオーベックス株式会社 横臥筒体配列式人工魚礁ブロック
KR100762820B1 (ko) * 2006-03-24 2007-10-04 한국해양연구원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0948399B1 (ko) * 2009-07-07 2010-03-19 주식회사 유림 미로형 인공어초
KR20140060598A (ko) * 2012-11-09 2014-05-21 주식회사 해양수산연구개발 궤도형 인공 어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414A (ja) * 1999-05-13 2000-11-21 Toa Harbor Works Co Ltd 藻場型魚礁及びその設置方法
JP2002281859A (ja) * 2001-03-27 2002-10-02 Asuto Japan:Kk 海藻魚礁ブロック
JP3098204U (ja) * 2003-05-29 2004-02-26 サカイオーベックス株式会社 横臥筒体配列式人工魚礁ブロック
KR100762820B1 (ko) * 2006-03-24 2007-10-04 한국해양연구원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100948399B1 (ko) * 2009-07-07 2010-03-19 주식회사 유림 미로형 인공어초
KR20140060598A (ko) * 2012-11-09 2014-05-21 주식회사 해양수산연구개발 궤도형 인공 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101784306B1 (ko) 산란장소를 제공하는 인공어초
KR200473631Y1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015059B1 (ko) 벽체형 콘크리트 어초
KR100761009B1 (ko) 유선형 격판을 구비하는 사각형 인공어초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KR102144053B1 (ko)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서식 및 은신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KR100948592B1 (ko) 원통 2단형 인공어초
KR100948590B1 (ko) 다기능 삼각형 인공어초
KR100948399B1 (ko) 미로형 인공어초
KR102144055B1 (ko) 구조안정성이 개선되고 도피, 은신, 서식 및 산란 공간이 증가된 다기능 미로형 인공어초
KR101211536B1 (ko) 이단 삼각 인공 어초 및 그 배치 구조
KR20090000183U (ko) 터널형 강제어초
KR100969232B1 (ko) 개량 요철형 인공어초
KR100541281B1 (ko)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KR101968220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1788562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KR200235672Y1 (ko) 강제 및 석재로 된 복합증식초
KR100543688B1 (ko) 다기능성 고층어초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0770601B1 (ko) 인공어초복합체
KR100570938B1 (ko) 인공어초
KR102331526B1 (ko) 개량형 사각어초
KR101421610B1 (ko) 해삼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