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606B1 -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606B1
KR102140606B1 KR1020190139088A KR20190139088A KR102140606B1 KR 102140606 B1 KR102140606 B1 KR 102140606B1 KR 1020190139088 A KR1020190139088 A KR 1020190139088A KR 20190139088 A KR20190139088 A KR 20190139088A KR 102140606 B1 KR102140606 B1 KR 102140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fall
station
imaging
information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현
전준창
박완순
Original Assignee
씨티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티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티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10)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을 기반으로 급경사지의 특정 영역내 낙석(落石)의 이동 상황을 파악하여 위험 상황을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시 대상 영역에 다수의 촬상역 및 가상역을 설정하고, 촬상역내 낙석이 유래(由來)한 영역의 적합성을 판단함으로써, 탐지된 낙석을 정확하게 특정함은 물론, 낙석의 발원 지점에서 종착 지점에 이르는 낙하 경로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사면 지반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낙석 등 급경사 사면의 위험요소를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으며, 사면 지반 감시에 소요되는 장비 및 전산자원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IMAGE BASED STEEP SLOPE MONITORING METHOD USING VIRTUAL AREA}
본 발명은 카메라(10)에 의하여 촬상된 영상을 기반으로 급경사지의 특정 영역내 낙석(落石)의 이동 상황을 파악하여 위험 상황을 감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시 대상 영역에 다수의 촬상역 및 가상역을 설정하고, 촬상역내 낙석이 유래(由來)한 영역의 적합성을 판단함으로써, 탐지된 낙석을 정확하게 특정함은 물론, 낙석의 발원 지점에서 종착 지점에 이르는 낙하 경로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급경사 사면의 안정성은 자연 사면은 물론, 인공적인 절, 성토사면 소재 지역에 있어서 인접 시설물의 안전도 판단의 핵심 요소로서, 지형 및 지질 조건에 따른 역학적 분석을 통하여 추정되거나, 각종 센서를 매설하여 사면 지반의 거동을 실측하는 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다.
지형 및 지질 조건 등 사면 지반 특성을 통한 안정성 검토는 산사태 등 재해 발생 가능성을 추정하거나 옹벽 등 보강 시설물의 설계 및 시공에 활용되는 방식으로서, 주로 장기적인 계획 수립에 유효한 바, 사면 지반에서의 낙석 빈도 및 총량 등 위험 상황 야기 거동에 대한 실측 및 감시, 임박한 붕괴에 대한 경보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이에, 각종 센서류를 사면 지반 또는 주변에 설치하거나, 사면을 주기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10)를 설치하여 사면 지반의 변형을 감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149916호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면 안정 검측 방법은 사면 지반에 센서를 설치하는 방식과 사면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특허 제1149916호에서와 같이 이들 방식이 병용될 수도 있는데, 이들 모두 상당한 문제점 및 한계를 가진다.
우선, 사면 지반에 가속도계, 변위계 또는 GPS수신기 등의 센서를 설치하는 방식은 측정 정밀도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센서의 설치 및 운용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센서의 운용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선을 구축하거나 태양광 발전장치를 병설하게 되는데, 이들 배전 및 발전시설의 설치 및 운용에도 막대한 비용이 소모될 수 밖에 없으며, 사면 지반의 지형 특성상 배선 또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가 많아 적용에 심각한 제약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사면 지반 자체에 센서류를 설치하지 않고, 상시 전력 공급이 가능한 원격지에서 사면을 촬영하는 카메라(10)를 설치함으로써, 영상을 통하여 사면 지반의 실황을 감시하는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사면 안정 검측에 있어서 실질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광범위한 사면 지반에 대하여 단순 촬영을 실시하고, 이로써 획득된 영상정보를 처리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영상정보의 해상도 등 품질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는 바,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단일 영상정보로는 전산처리를 통하여 낙석의 이동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감시 대상 영역을 분할하고 다수의 카메라(10)를 동원하여 분할된 영역을 세밀하게 촬영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카메라(10) 등 장비 동원 및 운용에 막대한 비용이 소모될 뿐 아니라, 다수의 영상정보를 처리함에 있어서도 막대한 전산자원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촬상역을 촬영하는 다수의 카메라(10)와, 카메라(10)와 연결되어 영상정보가 입력되는 컴퓨터(20)와, 컴퓨터(20)와 연결되고 촬상역 및 가상역, 유래역 및 도달역, 낙석의 특성정보, 식별정보 및 소재정보가 수록되는 추적데이터베이스(21)가 구성되어, 카메라(10)에서 송출된 영상정보가 컴퓨터(20)로 입력되고 촬상역내 낙석이 포착되면 컴퓨터(20)가 영상정보에서 낙석의 특성정보를 추출하는 포착단계(S11)가 수행되고, 컴퓨터(20)가 특성정보로 추적데이터베이스(21)를 조회하는 식별단계(S12)가 수행되며, 상기 특성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조회되지 않을 경우, 컴퓨터(20)가 신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정보와 특성정보를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하는 생성단계(S19)가 수행되고, 상기 특성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조회될 경우, 컴퓨터(20)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를 인출하는 인출단계(S21)가 수행되며,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가 당해 촬상역의 유래역을 만족하면 컴퓨터(20)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내 낙석의 소재정보를 당해 촬상역으로 갱신하는 체류단계(S31)가 수행되고,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가 당해 촬상역의 유래역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생성단계(S19)가 수행되며, 낙석이 당해 촬상역을 이탈하면 컴퓨터(20)가 당해 촬상역에 부여된 도달역으로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를 갱신하는 이탈단계(S40)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이다.
또한, 상기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는 빈발정보가 수록되되, 빈발정보는 단위시간당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신규 수록된 식별정보의 수(數)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사면 지반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낙석 등 급경사 사면의 위험요소를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으며, 사면 지반 감시에 소요되는 장비 및 전산자원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고품질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고도의 검측 감도 및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면 지반의 미세한 변화를 포착하고, 그 상황을 세밀하게 기록함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경보를 제공하여, 산사태 등 사면관련 재해의 발생을 적시에 예측하고 인적, 물적 피해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행 상황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 수행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촬상역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촬상역과 가상역의 배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수행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경사 사면을 촬영하는 다수의 카메라(10)가 사면 전방측에 설치되는데, 동 도면에서는 사면 인근의 건물에 다수의 카메라(10)가 각기 다른 층(層)에 설치되어 있으나, 주면 건물 등 카메라(10)를 설치할 시설물이 없을 경우 별도의 장주형 시설물을 구축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시 대상 영역을 촬영하는 다수의 카메라(10)와, 카메라(10)와 연결되어 카메라(10)에서 송출되는 디지털 영상정보가 입력되는 컴퓨터(20)와, 컴퓨터(20)와 연결되는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의하여 수행된다.
컴퓨터(20)와 추적데이터베이스(21)의 연결이란 물리적 연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20)에 응용프로그램으로서 탑재되어 본 발명을 수행하는 즉, 입력된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특정 정보를 조회, 수록 또는 갱신하는 프로그램과의 논리적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추적데이터베이스(21)는 컴퓨터(20)의 기억장치내 구축되거나, 별도의 스토리지 형태로 구축되어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등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할 촬상역 및 가상역, 유래역 및 도달역, 낙석의 특성정보, 식별정보 및 소재정보가 수록된다.
도 1에서 각 카메라(10)의 전방측에는 당해 화각(畵角)이 점선으로 개략 표시되어 있는데, 도 1은 카메라(10)가 설치된 건물의 일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평면상으로도 다수의 카메라(10)가 설치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사면의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하여 카메라(10)와 동수(同數)의 촬상역이 설정된다.
즉, 감시 대상 급경사 사면에 설정되는 각 카메라(10)의 촬상역을 표시한 도 3에서와 같이, 각 카메라(10)의 촬영 영역인 촬상역이 카메라(10)와 동수로 설정되는 것으로, 동 도면상 실선의 외곽선을 가지고 해치(hatch) 표시된 영역이 각 카메라(10)의 촬상역이며, 동 도면에 예시된 촬상역은 총 12개소로서 총 12대의 카메라(10)가 활용되어 본 발명이 수행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하여 촬상역(撮像域)과 함께 가상역(假想域)이 설정되는데, 여기서 가상역이란 실제 촬영이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각 촬상역을 연결하는 낙석의 이동 경로에 부여되는 가상의 영역이다.
즉, 후술할 전산 영상처리를 활용한 낙석의 추적에 있어서, 실제 영상정보의 획득은 이루어지지 않으나 가상의 영역으로 설정되어 해당 영역에 낙석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이격된 각 촬상역을 상호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4는 촬상역과 가상역이 배치된 감시 대상 급경사 사면의 정면을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서 실선의 외곽을 가지고 C11 내지 C52의 부호가 부여된 영역이 촬상역이고, 동 도면에서 점선의 외곽을 가지고 V21 내지 V42의 부호가 부여된 영역이 가상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촬상역이 상, 하, 좌, 우로 등간격(等間隔) 이격되어 있으며,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단일 층(層)을 이루는 일련의 촬상역 사이에는 가상역이 설정되는데, 이러한 촬상역 및 가상역의 배치에 있어서, 상층의 촬상역 및 가상역과 하층의 촬상역 및 가상역은 도 4에서와 같이 교호(交互)로 배치된다.
상층과 하층의 교호 배치란 도 4에서와 같이, 하층부 촬상역의 수직 중심선이 상층부의 인접한 촬상역 한쌍의 사이 공간을 등분하도록 배치되는 것이자, 동시에 상층부 촬상역의 수직 중심선이 하층부 가상역을 등분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층 촬상역의 측단 외곽 연장선은 하층 촬상역 내부에 위치하고, 하층 촬상역의 측단 외곽 연장선도 상층 촬상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낙석의 낙하 이동시 전층의 촬상역을 회피할 수는 없도록 설정하였다.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상호 이격된 촬상역 사이에 가상역이 배치됨으로써, 전체 감시 대상 영역에 대하여 촬상역을 간헐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바, 카메라(10)의 동원 대수 및 영상정보 처리상 소요되는 전산자원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이러한 촬상역 및 가상역 관련 정보는 전술한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되는데, 이는 감시 대상 영역의 지형 및 면적 등에 따라 사전 설정되어 고정 불변의 정보로서 활용되는 바, 본 발명 수행과정에 있어서 촬상역 및 가상역의 기본 정보는 변동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촬상역 및 가상역에는 낙석의 유래(由來) 내지 도달(到達)을 추정할 수 있는 정보가 각각 유래역(由來域) 및 도달역(到達域)으로서 부여되고, 이 역시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되는데, 도 4에 예시된 촬상역 및 가상역에 있어서 각 촬상역에 대하여 부여되는 유래역 및 도달역이 다음의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각 촬상역에 부여되는 유래역 및 도달역
촬상역 유래역 도달역 비고
C11 - C21, V21, C22 최상층
C12 - C22, V22, C23 최상층
C21 C11 V31, C31
C22 C11, C12 C31, V32, C32
C23 C12 C32, V33
C31 C21, V21, C22 C41, V41, C42
C32 C22, V22, C23 C42, V42, C43
C41 V31, C31 C51
C42 C31, V32, C32 C51, C52
C43 C32, V33 C52
C51 C41, V41, C42 - 최하층
C52 C42, V42, C43 - 최하층
도 4 및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특정 촬상역에 부여되는 유래역이란 해당 촬상역에 낙석이 진입하였을 때, 당해 낙석이 직전 시점(時點)에 소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촬상역 또는 가상역으로서, 유래역은 다수가 설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 1에서와 같은 목록의 형태로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촬상역에 부여되는 도달역이란 당해 촬상역에서 낙석이 이탈하였을 때, 당해 낙석이 직후 시점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되는 촬상역 또는 가상역으로서, 도달역 역시 다수가 설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 1과 같이 목록의 형태로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될 수 있다.
도 4 및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사면의 최상층 촬상역의 경우 유래역이 부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면의 최하층 촬상역의 경우 도달역이 부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10)에서 송출된 영상정보가 컴퓨터(20)로 입력되고 촬상역내 낙석이 포착되면 컴퓨터(20)가 영상정보에서 낙석의 특성정보를 추출하는 포착단계(S11)로 개시된다.
포착단계(S11)에서 디지털 정보로 컴퓨터(20)에 입력되는 영상정보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전술한 응용프로그램에 의하여 처리되고, 동 프로그램이 낙석의 진입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낙석의 진입 여부 파악은 촬상된 영상정보와 직전 시점의 영상정보를 대비하는 영상차분(Image Difference) 기법과, 영상정보 또는 차분된 영상정보를 구성하는 화상(畵像)의 픽셀값을 일정 기준치를 상회하는 값과 하회하는 값으로 이분하여 대비를 극대화하는 이진화(二進化)처리 등을 통하여 수행된다.
또한, 낙석의 진입이 확인되면 당해 낙석의 특성정보로서 외곽형상, 명암 또는 색상 등을 추출하게 되는데, 이 역시 상기 프로그램이 수행하게 되며, 이는 낙석의 촬상 화상을 분해하여 개별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추출함으로써 형태 정보를 추출하고, 대표 픽셀의 색상 및 명암 정보를 추출하는 등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포착단계(S11)가 완료되면 컴퓨터(20)가 추출된 특성정보로 추적데이터베이스(21)를 조회하여 해당 낙석의 식별정보를 검색하는 식별단계(S12)가 수행되는데, 이는 포착단계(S11)에서 포착되어 특성정보가 추출된 낙석이 전체 감시 대상 영역에서 기 발생된 낙석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 포착단계(S11)에서 신규 추출된 특성정보와 일치하는 특성정보를 가지는 낙석의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존재한다면 이는 당해 낙석이 감시 대상 영역에 이미 소재하고 있던 낙석라는 의미이고, 만일 신규 추출된 특성정보와 일치하는 특성정보를 가지는 낙석의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는 당해 낙석이 당해 촬상역은 물론 전체 감시 대상 영역에 처음 진입한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특정 촬상역에서 신규 추출된 특성정보와 일치하는 특성정보를 가지는 낙석의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당해 촬상역에서 최초 발생된 낙석 또는 당해 촬상역의 유래역 중 촬상역이 아닌 가상역에서 최초 발생된 낙석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특성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조회되지 않을 경우, 컴퓨터(20)가 신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정보와 포착단계(S11)에서 추출된 특성정보를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동반 수록하는 생성단계(S19)가 수행되고, 상기 특성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조회될 경우, 컴퓨터(20)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당해 낙석의 유래(由來)를 표시하는 소재정보를 인출하는 인출단계(S21)가 수행된다.
소재정보 역시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되는 정보로서, 낙석의 식별정보별로 설정되어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정보이며, 해당 낙석이 당 시점(時點) 직전에 소재한 촬상역 또는 가상역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로써, 특정 촬상역내 새로운 낙석이 발원(發源)될 경우,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당해 낙석의 식별정보 및 특성정보가 수록되어 낙석 목록이 갱신되며, 이미 타 촬상역에서 발원되었던 낙석이 당해 촬상역에 진입한 경우 해당 낙석의 소재정보는 갱신되되 전체 낙석 목록은 유지된다.
인출단계(S21)가 완료되어 낙석의 소재정보가 획득되면, 도 5에서와 같이, 당해 촬상역 유래역의 소재정보 만족 여부에 따라 체류단계(S31) 또는 전술한 생성단계(S19)가 선택 수행된다.
우선, 당해 촬상역의 유래역이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를 만족하면 컴퓨터(20)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내 낙석의 소재정보를 당해 촬상역으로 갱신하는 체류단계(S31)가 수행된다.
즉, 낙석이 특정 촬상역으로 진입한 상황에서 낙석이 직전 시점에 소재하였던 촬상역 또는 가상역이 당해 촬상역의 유래역에 포함되는 경우, 이는 낙석의 신규 발생이 아니라 낙하 이동으로 판단하여 낙석의 소재정보를 당해 촬상역으로 갱신하는 것이다.
또한, 당해 촬상역의 유래역이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를 만족하지 않으면 전술한 생성단계(S19)가 수행되는데, 이는 일종의 오류 보정 과정으로서, 당초 특성정보만으로 신규 발생 낙석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당해 특성정보에 해당되는 기 발생 낙석이 해당 촬상역의 유래역이 아닌 타 영역에 소재하고 있던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촬상역의 낙석을 신규 발생된 낙석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즉, 낙성의 형상 또는 크기 등 특성정보가 유사하여 기 발생 낙석과 동일한 낙석으로 판독되는 경우에도 이를 그대로 확정하는 것 아니라, 기 발생 낙석의 소재정보가 해당 촬상역과 상당히 이격된 영역 또는 하층 영역에 해당되는 경우, 동일 낙석으로 판독한 결정을 철회하고 신규 낙석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이후, 낙석이 당해 촬상역을 이탈하면 컴퓨터(20)가 당해 촬상역에 부여된 도달역으로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를 갱신하는 이탈단계(S40)가 수행됨으로써, 감시 대상 영역내 특정 촬상역내 단일 낙석에 대한 본 발명의 수행이 완료되는데, 감시 대상 영역내 다수의 촬상역 및 낙석에 대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전체 감시 대상 영역내 다수의 낙석에 대한 연속적인 추적이 가능하다.
이렇듯, 본 발명에서는 낙석의 이동 궤적을 실시간 내지 선형으로 추적하지 않고도 각 촬상역 및 가상역간 유래역 및 도달역 관계만으로 다수 낙석의 동일성 여부 및 이동 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낙석의 발생 여부 및 이동 경로를 간편하고, 정확하며, 신속하면서도 최소한의 전산자원만으로 추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탐지된 다수 낙석에 대하여 동일성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바, 정확한 낙석 발생 건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할 수 있다.
따라서, 추적데이터베이스(21)를 활용하면 낙석 발생의 빈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낙석이 과도하게 빈발할 경우 컴퓨터(20)가 이를 위험 상태로 간주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등의 방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즉, 단위시간당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신규 수록된 낙석 식별정보의 수(數)를 빈발정보로서 컴퓨터(20)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하고, 컴퓨터(20)가 이 빈발정보를 인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급경사 사면의 위험 여부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카메라
20 : 컴퓨터
21 : 추적데이터베이스
S11 : 포착단계
S12 : 식별단계
S19 : 생성단계
S21 : 인출단계
S31 : 체류단계
S40 : 이탈단계

Claims (2)

  1. 촬상역을 촬영하는 다수의 카메라(10)와, 카메라(10)와 연결되어 영상정보가 입력되는 컴퓨터(20)와, 컴퓨터(20)와 연결되고 촬상역 및 가상역, 유래역 및 도달역, 낙석의 특성정보, 식별정보 및 소재정보가 수록되는 추적데이터베이스(21)가 구성되며, 카메라(10)와 동수(同數)로 설정되는 각각의 촬상역은 상, 하, 좌, 우로 등간격 이격되고,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단일 층을 이루는 일련의 촬상역 사이에는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상역이 설정되며, 상층의 촬상역 및 가상역과 하층의 촬상역 및 가상역은 교호(交互)로 배치되어,
    카메라(10)에서 송출된 영상정보가 컴퓨터(20)로 입력되고 촬상역내 낙석이 포착되면 컴퓨터(20)가 영상정보에서 낙석의 특성정보를 추출하는 포착단계(S11)가 수행되고;
    컴퓨터(20)가 특성정보로 추적데이터베이스(21)를 조회하는 식별단계(S12)가 수행되며;
    상기 특성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조회되지 않을 경우,
    컴퓨터(20)가 신규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정보와 특성정보를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 수록하는 생성단계(S19)가 수행되고;
    상기 특성정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가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조회될 경우,
    컴퓨터(20)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추적데이터베이스(21)에서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를 인출하는 인출단계(S21)가 수행되며;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가 당해 촬상역의 유래역을 만족하면 컴퓨터(20)가 낙석의 신규 발생이 아니라 낙하 이동으로 판단하여 추적데이터베이스(21)내 낙석의 소재정보를 당해 촬상역으로 갱신하는 체류단계(S31)가 수행되고;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가 당해 촬상역의 유래역을 만족하지 않으면, 컴퓨터가 해당 촬상역의 낙석을 신규 발생된 낙석으로 취급하여 상기 생성단계(S19)가 수행되며;
    낙석이 당해 촬상역을 이탈하면 컴퓨터(20)가 당해 촬상역에 부여된 도달역으로 당해 낙석의 소재정보를 갱신하는 이탈단계(S40)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
  2. 삭제
KR1020190139088A 2019-11-02 2019-11-02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 KR102140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088A KR102140606B1 (ko) 2019-11-02 2019-11-02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088A KR102140606B1 (ko) 2019-11-02 2019-11-02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606B1 true KR102140606B1 (ko) 2020-08-03

Family

ID=7204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088A KR102140606B1 (ko) 2019-11-02 2019-11-02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6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467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방법
KR102305468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시스템
KR102305464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현장설치 산사태 감지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137A (ja) * 1998-09-30 2000-04-11 Anritsu Corp 土石流検出方法及び土石流検出装置
JP2002074369A (ja) * 2000-08-28 2002-03-15 Ntt Data Corp 動画像による監視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10121056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시큐리티 디브이알 및 그 영상 감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5137A (ja) * 1998-09-30 2000-04-11 Anritsu Corp 土石流検出方法及び土石流検出装置
JP2002074369A (ja) * 2000-08-28 2002-03-15 Ntt Data Corp 動画像による監視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10121056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아이티엑스시큐리티 디브이알 및 그 영상 감시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1056호(2011.11.07.: 인용발명 2)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05137호(2000.04.11.: 인용발명 3)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074369호(2002.03.15.: 인용발명 1) 1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467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방법
KR102305468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산사태 분산 감지 시스템
KR102305464B1 (ko) 2021-05-12 2021-09-30 씨티씨 주식회사 딥러닝-기반 현장설치 산사태 감지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606B1 (ko) 가상공간을 이용한 영상정보 기반 급경사지 위험 감시 방법
Wang et al. Automated estimation of reinforced precast concrete rebar positions using colored laser scan data
Kim et al. Vision-based nonintrusive context documentation for earthmoving productivity simulation
CN106845364B (zh) 一种快速自动目标检测方法
KR101149916B1 (ko) 산사태 경보시스템
KR101541272B1 (ko) 사람들의 움직임 불규칙성을 이용한 폭력 행위 검출 장치 및 방법
US9995843B2 (en) Methods and system for blasting video analysis
CN103927508A (zh) 一种目标车辆跟踪方法及装置
CN102523370B (zh) 基于网络传输算法的多摄像头视频异常行为检测方法
CN112507953A (zh) 一种目标搜索及追踪方法和装置及设备
CN112270253A (zh) 一种高空抛物的检测方法及装置
CN116908214B (zh) 一种基于数字孪生的隧道施工缺陷检测方法及系统
CN116579601B (zh) 矿山安全生产风险监测预警系统及方法
CN104166836B (zh) 一种基于多特征建模的分块多尺度工程车识别方法及系统
CN113033443B (zh) 一种基于无人机的行人过街设施全路网自动化排查方法
CN110969645A (zh) 面向拥挤场景的无监督异常轨迹检测方法和装置
KR101214858B1 (ko)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이동물체 검출장치 및 방법
CN114023076A (zh) 一种基于多源异构数据的特定车辆追踪方法
CN115187884A (zh) 一种高空抛物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937684B (zh) 一种建筑施工进度的识别方法及电子设备
Tsai et al. Multi-lane detection and road traffic congestion classification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CN102054278A (zh) 基于网格收缩的对象跟踪方法
US20230296798A1 (en) Rock fall analyser
CN114202631A (zh) 一种岩石二次破碎作业中岩石作业面与作业点的确定方法
CN106791647A (zh) 一种基于视频智能识别的水电厂状态监视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