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313B1 - drop table apparatus for separate wheel assembly of traction motor - Google Patents
drop table apparatus for separate wheel assembly of traction mo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0313B1 KR102140313B1 KR1020190165034A KR20190165034A KR102140313B1 KR 102140313 B1 KR102140313 B1 KR 102140313B1 KR 1020190165034 A KR1020190165034 A KR 1020190165034A KR 20190165034 A KR20190165034 A KR 20190165034A KR 102140313 B1 KR102140313 B1 KR 1021403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wheel
- line
- drop table
- wheels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5—For detaching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을 구동하는 동력대차 또는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를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하기 위한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p table device for transporting a wheeled vehicle for driving a railroad vehicle or for removing and replacing or repairing a wheeled vehicle wheel assembly for repairing or replacing the wheeled vehicle wheel assembly.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동력대차의 수리가 필요하거나, 교체를 할 경우에는 철도차량에서 동력대차를 분리한 후, 철도차량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이송하지만, 상대적으로 무거운 철도차량을 들어올리기가 쉽지 않고, 철도차량을 들어올리면서 작업자가 부딪히거나,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repair a power truck of a railway vehicle, or when replacing, after removing the power vehicle from the railway vehicle, the railway vehicle is lifted and transported by a crane, but it is not easy to lift a relatively heavy railway vehicl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safety accident occurred when a worker bumped or fell while lifting a railroad car.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특0185486호(1999.4.15.공고)의 "철도차량 대차분리승강 이송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there is a bar disclosed in the 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0185486 (April 1, 1999, 1999), "A railroad vehicle bogie separation elevator transfer device".
상기한 종래의 철도차량 대차분리승강 이송장치는 철도 견인 동력차의 견인전동기가 부착된 윤축 조립체의 검수 및 보수시 견인 동력차가 정지된 상태에서 대차에서 트랙션 모터가 조립된 윤축을 하강 및 적정 장소로 수평 이동시켜 차체를 들어올리지 않고 윤축 조립체의 분리, 이송을 신속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 대차분리승강 이송장치로, 철도 차량이 일정 지점에 이동 정지된 상태에서 견인 전동기를 포함하는 윤축 조립체를 분리하여 이를 이송로 내에 설치된 레일 상면을 따라 이송 또는 반송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이 감지수단에 의해 이송로를 따라 상기 윤축 승강 이송장치를 수납하며 분리된 윤축 조립체를 외부로 보내기 위해 한 쌍의 탑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탑 도어 개폐장치와, 상기 윤축 승강 이송장치 및 탑 도어 개폐장치와, 상기 윤축 승강 이송장치 및 탑 도어 개폐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었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bogie separat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moves horizontally to the proper place by lowering the wheelset assembled with the traction motor in the bogie while the traction motor vehicle is stopped when inspecting and repairing the wheelset assembly with the traction motor attached to the railroad traction power vehicle. It is a railway vehicle bogie separation lifting and transfer device that can quickly and easily separate and transfer the wheelset assembly without lifting the vehicle body and remove the danger of safety accidents. A separating wheel for separating the retracting assembly including a towing motor and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nveying or convey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installed in the conveying path, and receiving the retracting/lowering conveying device along the conveying path by the detecting means As a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top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pair of top doors to send the assembly to the outside, the wheel lift and top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wheel lifting and lowering transfer device and the top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t was composed.
이러한 종래의 철도차량 대차분리승강 이송장치는 윤축 조립체를 이송할 수 있을 뿐, 동력대차에서 윤축 조립체만을 분리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윤축 조립체를 철도차량에서 분리하기 위해 철도차량에서 동력대차를 분리하고, 동력대차에서 윤축 조립체를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bogie separation lift transfer device can only transfer the wheelset assembly, and cannot perform the function of separating only the wheelset assembly from the power bogie, so it is powered from the railroad car to separate the wheelset assembly from the railroad car. There was a hassle of separating the bogie and removing the wheelset assembly from the power bogie.
또한, 동력대차에서 윤축 조립체를 분리 시 무거운 윤축 조립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while lifting or lowering a heavy wheel assembly when separating the wheel assembly from the power truck.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철도차량의 동력대차를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대차에서 윤축조립체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윤축조립체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not only separate and transport the power bogie of the railway vehicle, but also easily separate the wheelset assembly from the power bogie to prevent accident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op table device for combined transfer of a wheeled vehicle that can prevent occurrence and safely transport the wheeled vehicle assembly.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는 철도차량이 진입하는 진입선로의 일부구간을 개폐하는 개폐선로, 상기 개폐선로가 설치되는 드롭테이블, 상기 드롭테이블에 안착된 동력대차를 상기 진입선로의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드롭테이블에 안착된 동력대차를 상기 진입선로에서 작업선로로 왕복이송하는 이송본체, 및 상기 드롭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대차에서 윤축조립체를 분리하는 윤축분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윤축분리기구는 상기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를 받쳐 지지하는 윤축받침대, 및 상기 윤축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대차에서 상기 윤축조립체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동력대차와 상기 윤축조립체의 사이에 설치된 현가스프링을 압축시키는 현가압축실린더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bined dropping device for the combined transportation of a wheeled vehicl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closing line that opens and closes a partial section of an entry line into which a railway vehicle enters, and a drop in which the opening/closing line is installed. A table, a transfer body for moving the power bogie seated on the drop table up and down from the bottom of the entry line, and transferring the power bogie seated on the drop table to and from the entry line to the working line, and a transfer body installed on the drop table It includes a wheelset separating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wheelset assembly from the power cart, the wheelset separation mechanism is installed on the wheelbed support for supporting the wheelset assembly of the power cart, and the wheelset support to the wheelset assembly in the power cart And a suspension compression cylinder for compressing the suspension gas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power cart and the tread assembly to separate.
상기 윤축분리기구는 상기 윤축받침대를 상기 윤축조립체의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개폐선로의 방향으로 상기 윤축받침대를 이송하는 윤축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ead separation mechanism may include a tweak transfer unit that transfers the tread support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ne so that the tread support is position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tread assembly.
상기 윤축분리기구는 상기 윤축받침대를 들어올리거나 기울이도록 상기 윤축받침대를 지지하는 관절암, 및 상기 관절암을 펼치거나 접어 상기 관절암에 결합된 상기 윤축받침대를 기울이거나, 들어올리는 암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aft separation mechanism may include a joint arm supporting the shaft to lift or incline the shaft, and an arm cylinder that expands or folds the joint arm to tilt or lift the shaft to be coupled to the joint arm. Can.
상기 개폐선로는 상기 진입선로에 상기 개폐선로가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선로에 상기 개폐선로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레일락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line may include a rail locking part that connects and fixes the opening/closing line to the access line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line matches the entry/exit line.
상기 이송본체는 상기 드롭테이블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드롭테이블을 상기 진입선로에서 상기 작업선로로 왕복이동시키는 본체이송부를 할 수 있다.The transfer body may be a lifting and lowering drive unit for moving the drop table up and down, and a body transfer unit for reciprocating the drop table from the entry line to the working line.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에서 동력대차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롭테이블에 윤축분리기구가 설치되어 동력대차에서 윤축조립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윤축 조립체만을 분리 및 이송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power truck be easily separated and transported from the railroad vehicle, but also the wheelset separation mechanism is installed on the drop table to easily separate the wheelset assembly from the power truck to separate and transport only the wheelset assembly. .
또한, 윤축분리기구에 현가압축실린더가 설치되어 현가스프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윤축분리기구가 관절암과 암실린더에 의해 윤축조립체를 받치는 윤축받침대를 기울이거나, 승하강시켜 동력대차에서 윤축조립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윤축조립체의 분리 또는 조립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spension compression cylinder is installed on the compression separation mechanism, so that the suspension gas spring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compression separation mechanism tilts or elevates the compression support to support the compression assembly by joint arms and arm cylinders.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tumbler assembly from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separation or assembly of the tumbler assembly.
또한, 윤축분리기구가 윤축이송부에 의해 드롭테이블에서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로 윤축분리기구를 이동시켜 윤축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set separation mechanism can be moved from the drop table by the wheelset transfer unit to move the wheelset separation mechanism to the correct position to separate the wheelset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를 구성하는 이송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를 구성하는 이송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를 구성하는 윤축분리기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를 구성하는 윤축분리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윤축조립체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를 구성하는 윤축분리기구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윤축조립체를 분리하여 이송본체에 의해 이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drop table device for a combined transfer of a trolley of a power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 transport body constituting a drop table device for a combined transfer of a wheeled vehicle assembly and a wheels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transfer body constituting a drop table device for the combined transfer of the wheeled wheel assembly of the power tr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wheelset separating mechanism constituting a bogie conveyance drop table device for separating and rotating a wheelbarrow assembly of a power wag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side view.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set separating mechanism constituting a wheeled transport drop table device for combined use of a wheelbarrow assembly for power bog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wheelset assembly.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set separating mechanism constituting a trolley transport drop table device for a combined use of a wheelbarrow assembly for a power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heelset assembly is separated and transferred by the transfer body.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철도차량(200)에서 동력대차(210)를 교체 또는 수리하기 위해 동력대차(210)를 철도차량(200)의 진입선로(315)에서 작업선로를 왕복하며 이송할 수 있으며, 동력대차(210)에서 견인전동기를 포함하는 윤축조립체(230)만을 분리하고, 윤축조립체(230)만 진입선로(315)에서 작업선로로 왕복이송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진입선로(315)와 작업선로의 지하에 형성되는 지하구조물(300)에 설치되어 진입선로(315)와 작업선로의 하부를 통해 동력대차(210) 또는 윤축조립체(230)를 이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지하구조물(300)은 진입선로(315)의 하부에 형성되는 진입공간(310)과, 작업선로의 하부에 형성되는 작업공간(330)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작업공간(330)에는 작업공간(330)을 개폐하는 해치커버(335)가 설치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동력대차는 동력대차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객차대차, 견인대차 등 모든 대차를 포함하는 의미이다.In the specification, the power bogie does not mean only the power bogie, but is meant to include all bogies, such as carriage bogies and tow bogie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개폐선로(143)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bogie transport
개폐선로(143)는 수리를 위한 철도차량(200)이 진입하는 진입선로(315)의 일부구간을 절단한 형태로 진입선로(315)와 일치시키거나 진입선로(315)에서 이격시켜 진입선로(315)를 개폐할 수 있다.The opening/
개폐선로(143)는 레일락킹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이 레일락킹부(145)는 개폐선로(143)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레일락킹부(145)는 개폐선로(143)가 진입선로(315)를 연결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개폐선로(143)와 진입선로(315)를 연결하여 철도차량(200)이 진입선로(315)를 통해 개폐선로(143)로 진입할 수 있다.The
레일락킹부(145)는 개폐선로(143)와 진입선로(315)가 일치된 상태에서 개폐선로(143)를 고정하여 진입선로(315)와 개폐선로(143)의 높낮이 차이에 따른 철도차량(200)의 하중에 따른 충격의 발생 및 개폐선로(143)가 진입선로(315)의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레일락킹부(145)는 개폐선로(143)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레일락킹부(145)는 개폐선로(143)와 인접한 진입선로(315)에 설치되는 락킹브래킷(148)이 설치되고, 개폐선로(143)에는 락킹브래킷(148)에 끼워지는 락킹판(147)이 설치되고, 락킹판(147)은 락킹실린더(146)에 의해 전진하여 락킹브래킷(148)에 끼워져 개폐선로(143)를 진입선로(315)에 고정하거나, 락킹실린더(146)에 의해 락킹판(147)이 후진하여 락킹브래킷(148)에서 이탈되는 형태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The
레일락킹부(145)는 개폐선로(143)의 양단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작동하여 개폐선로(143)를 진입선로(315)에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드롭테이블(14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bogie conveyance
이 드롭테이블(140)은 개폐선로(143)를 설치하여 개폐선로(143)를 이동하는 형태로 개폐선로(143)에 위치되는 철도차량(200)에서 분리된 동력대차(210) 또는 동력대차(210)에서 분리된 윤축조립체(230)를 이송할 수 있다.The drop table 14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moving the opening and
한편, 드롭테이블(140)은 하기에 설명될 이송본체(110)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드롭테이블(140)은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op table 140 may be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up and down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이송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bogie conveyance
이 이송본체(110)는 드롭테이블(140)을 이송하는 형태로 드롭테이블(140)에 설치된 개폐선로(143)와 함께 개폐선로(143)에 안착된 동력대차(210) 또는 윤축조립체(230)를 진입선로(315)에서 작업선로로 이송할 수 있다.The
한편, 이송본체(110)는 진입선로(315)의 하부에 형성되는 진입공간(310)과 작업선로의 하부에 형성되는 작업공간(330)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지하구조물(300) 내에서 진입공간(310)과 작업공간(330)을 이동하며 진입선로(315)에서 작업선로로 동력대차(210) 또는 윤축조립체(230)를 이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작업선로는 진입선로(315)에 위치된 철도차량(200)에서 분리된 동력대차(210) 또는 윤축조립체(230)를 작업장으로 이송하기 위한 작업선로일 수 있으며, 작업선로는 진입선로(315)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Here, the working line may be a working line for transporting the
이송본체(110)에는 드롭테이블(140)이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송본체(110)는 드롭테이블(14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 구동부(130)와 이송본체(110)를 작업공간(330)과 진입공간(310)으로 왕복 이송시키기 위한 본체이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op table 140 may be installed on the
승하강 구동부(130)는 이송본체(110)에 수직으로 세워져 회전하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승하강 나사봉(131)과 승하강 나사봉(131)을 회전시키는 승하강 모터(1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사봉에는 드롭테이블(140)이 나사체결될 수 있다.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이렇게 구성된 승하강 구동부(130)는 승하강 모터(133)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 나사봉(13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나사체결에 의해 드롭테이블(140)이 이송본체(110)에서 승하강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ifting and lowering
이때, 드롭테이블(140)에는 이송본체(110)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며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이송본체(110)에 접촉되는 부분에 승하강 롤러(135)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op table 140 may be provided with an
본체이송부(120)는 진입공간(310)과 작업공간(330)의 사이를 이송본체(110)가 이송할 수 있도록 본체이송레일(12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송본체(110)에는 본체이송레일(121)을 따라 주행하는 본체이송바퀴(123)가 설치될 수 있다.The
그리고, 본체이송부(120)는 본체이송바퀴(123)를 구동하는 본체이송모터(125)가 설치되어 본체이송모터(125)의 회전에 의해 본체이송바퀴(123)가 회전하면서, 본체이송레일(121)을 주행하여 작업공간(330)에서 진입공간(310)을 왕복하며 드롭테이블(140)을 이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이때, 본체이송모터(125)와 본체이송바퀴(123)는 유니버셜조인트축에 의해 연결되고 유니버셜조인트축은 감속기에 연결되어 본체이송모터(125)의 동력을 감속기가 변환하여 유니버셜조인트축을 통해 본체이송바퀴(123)로 전달하여 이송본체(110)를 본체이송레일(121)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윤축분리기구(150)를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wheel transport
이 윤축분리기구(150)는 드롭테이블(140)에 설치되어 진입선로(315)를 통해 개폐선로(143)로 진입한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할 수 있다.The
윤축분리기구(150)는 윤축받침대(1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윤축받침대(151)는 윤축조립체(23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며, 윤축받침대(151)는 윤축조립체(230)를 들어올리거나, 기울여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할 수 있다.The
윤축받침대(151)에는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하기 위해 윤축조립체(230)와 동력대차(210)의 사이에 설치되는 현가스프링(240)을 압축시키기 위한 현가압축실린더(152)를 포함할 수 있다.A suspension compression cylinder for compressing the
현가압축실린더(152)는 동력대차(2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는 현가스프링(240)을 각각 압축시킬 있도록 윤축받침대(151)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으며, 현가압축실린더(152)는 윤축받침대(151)의 상부로 피스톤축이 출몰하도록 설치되어 피스톤축이 돌출되면서 현가스프링(240)을 상부로 밀착시켜 압축시켜 동력대차(210)에서 현가스프링(240)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현가스프링(240)을 상부로 밀어 올려 압축시킬 경우, 동력대차(210)의 현가스프링(240)을 지지하는 볼스터에서 현가스프링(240)의 단부가 이탈되면서 동력대차(210)에서 현가스프링(24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Here, when pushing the
윤축분리기구(150)는 윤축이송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 윤축이송부(155)는 윤축받침대(151)가 윤축조립체(230)에 정확한 위치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받쳐 지지하도록 드롭테이블(140)에서 윤축받침대(15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is
윤축이송부(155)는 윤축대차(153)를 포함하여 윤축대차(153)가 윤축받침대(151)에 설치되며 윤축대차(153)는 드롭테이블(14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56)을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드롭테이블(140)에서 윤축대차(153)의 이동에 따라 윤축받침대(1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한편, 윤축이송부(155)는 윤축받침대(151)를 이동할 방향으로 설치되며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가이드봉(158)에 윤축대차(153)가 나사체결되고, 가이드봉(158)은 가이드모터(159)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모터(159)에 의해 가이드봉(158)이 회전하면서, 나사체결되는 윤축대차(153)가 가이드봉(158)을 따라 이동하는 형태로 가이드레일(156)을 따라 윤축대차(153)가 주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윤축분리기구(150)는 관절암(154) 및 암실린더(154a)를 포함할 수 있다.The
관절암(154)은 윤축대차(153)에서 윤축받침대(151)를 연결하고 윤축대차(153)에서 윤축받침대(151)를 들어올리거나 기울여 움직여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할 수 있다.The
관절암(154)의 양단은 윤축대차(153) 및 윤축받침대(151)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관절암(154)은 중앙 부분에 하나의 관절이 형성되어 양단 및 중간부분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관절암(154)은 윤축대차(153) 및 윤축받침대(151)의 양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총 네 개가 설치되어 윤축대차(153)에서 윤축받침대(151)를 지지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관절암(154)은 암실린더(154a)에 연결되어 암실린더(154a)의 작동에 따라 관절암(154)이 펴지거나 접히면서 윤축대차(153)에서 윤축받침대(151)를 승하강시키거나 윤축받침대(151)를 개폐선로(143)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기울일 수 있다(도 5 참조).The
암실린더(154a)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암실린더(154a)는 일단이 윤축대차(153)에 결합되고 타단은 관절암(154)의 관절을 중심으로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암실린더(154a)의 수축에 따라 윤축대차(153)에서 윤축받침대(151)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암실린더(154a)는 윤축대차(153)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양측에 위치되는 관절암(154)에 각각 설치되어 암실린더(154a)의 서로 다른 길이로 수축됨에 따라 윤축받침대(151)를 기울여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윤축분리기구(150)는 현가압축스프링이 현가스프링(240)을 상부로 가압하여 압축시킨 상태에서 암실린더(154a)에 의해 윤축조립체(230)에서 현가스프링(240)이 위치된 부분을 들어올리도록 윤축받침대(151)를 기울이면 동력대차(210)에 윤축조립체(230)에 끼워지는 윤축조립체(230)에 구비된 대차노스현가돌기가 동력대차(210)에서 이탈되면서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할 수 있다.The
이렇게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가 분리되면 윤축이송부(155)를 통해 윤축조립체(230)를 동력대차(210)에서 이격되도록 이동시키고 윤축조립체(230)를 윤축클램프에 의해 개폐선로(143)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암실린더(154a)를 이용하여 윤축받침대(151)에서 윤축조립체(230)를 하향 시켜 이격한 상태로 작업선로로 윤축조립체(230)를 이송한다.When the
물론 윤축조립체(230)를 조립할 때에도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하였던 역순으로 윤축분리기구(150)를 작동시켜 동력대차(210)에 윤축조립체(230)를 결합한다.Of course, even when assembl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It will be described the effect and effect between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진입선로(315)의 하부에 진입공간(310)이 형성되고 작업선로의 하부에는 작업공간(330)이 형성되어 진입공간(310)과 작업공간(330)이 서로 연통되는 형태의 지하구조물(300)이 형성된다.In the bogie conveyance
그리고 지하구조물(300)의 하부에는 진입공간(310)과 작업공간(330)으로 이송본체(110)를 이송하는 본체이송부(120)가 설치되며 본체이송부(120)는 진입공간(310)과 작업공간(330)을 연결하는 본체이송레일(121)이 설치되며 이송본체(110)에는 본체이송모터(125)에 의해 구동하는 본체이송바퀴(123)가 본체이송레일(121)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a main
또한 이송본체(110)에는 개폐선로(143)가 설치된 드롭테이블(14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130)가 설치되며 승하강 구동부(130)는 이송본체(110)에 수직으로 세워진 승하강 나사봉(131)을 승하강 모터(133)가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며 승하강 나사봉(131)에 드롭테이블(140)이 나사체결되어 승하강 나사봉(131)이 회전하여 나사체결에 따라 드롭테이블(140)을 이송본체(110)에서 승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드롭테이블(140)에는 진입선로(315)를 개폐하는 개폐선로(143)가 설치되며 개폐선로(143)에는 진입선로(315)에 개폐선로(143)를 고정하기 위한 레일락킹부(145)가 설치된다.The drop table 14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레일락킹부(145)는 락킹실린더(146)에 의해 출몰하는 피스톤축에 락킹판(147)이 설치되고 작업선로에는 락킹브래킷(148)이 설치되어 락킹실린더(146)에 의해 락킹판(147)이 락킹브래킷(148)에 끼워지거나 이탈되는 형태로 진입선로(315)에 개폐선로(143)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The
한편, 드롭테이블(140)에는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하기 위한 윤축분리기구(150)가 설치되며 윤축분리기구(150)는 윤축조립체(230)를 지지하는 윤축받침대(151)가 설치되고 윤축받침대(151)는 드롭테이블(140)에서 윤축이송부(155)에 의해 개폐선로(1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op table 140 is provided with a
또한, 윤축분리기구(150)는 관절암(154)이 암실린더(154a)에 의해 윤축대차(153)에서 윤축받침대(151)를 상부로 밀거나, 하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윤축받침대(151)를 미리 설정한 기울기로 기울이도록 설치되어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separat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수리 또는 교체를 요구하는 동력대차(210)가 진입선로(315)를 통해 개폐선로(143)에 위치되면, 철도차량(200)에서 동력대차(210)를 분리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ogie transport
동력대차(210)가 분리되면, 진입선로(315)에서 개폐선로(143)를 고정하는 레일락킹부(145)에 의해 개폐선로(143)를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본체(110)의 승하강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드롭테이블(140)을 진입공간(310)의 하부로 이동시킨다.When the
이송본체(110)에서 동력대차(210)가 하강되면, 본체이송부(120)가 작동하여 본체이송부(120)의 본체이송레일(121)을 따라 동력대차(210)를 작업공간(330)으로 이송하고, 작업공간(330)에 동력대차(210)가 위치되면, 작업선로와 개폐선로(143)가 일치되도록 승하강 구동부(130)에 의해 드롭테이블(140)을 상승시킨다.When the
드롭테이블(140)이 상승하면, 레일락킹부(145)에 의해 작업선로와 개폐선로(143)를 고정하고, 작업선로에 철도차량(200)에서 분리된 동력대차(210)를 정비소 또는 개폐선로(143)에서 밀어 이격시킨 후, 교체할 새로운 동력대차(210) 또는 수리된 동력대차(210)를 작업선로를 통해 다시 개폐선로(143) 위치시킨다. When the drop table 140 rises, the work track and the open/
개폐선로(143)에 교체할 동력대차(210)가 위치되면, 레일락킹부(145)가 작동하여 개폐선로(143)의 고정을 해제하고, 이송본체(110)의 승하강 구동부(130)가 작동하여 동력대차(210)가 안착된 드롭테이블(140)을 하강시키고, 드롭테이블(140)이 하강하면, 본체이송부(120)가 작동하여 이송본체(110)를 작업공간(330)에서 진입공간(310)으로 이송하고, 다시 승하강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철도차량(200)의 하부에 동력대차(210)를 위치시킨다.When the
그리고, 새로운 또는 수리된 동력대차(210)를 철도차량(200)에 결합한 후, 철도차량(200)이 작업선로를 따라 주행하여 동력대차(210)의 교체 또는 수리가 완료된다.Then, after combining the new or repaired
한편,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만 분리하기 위해서는 진입선로(315)에 개폐선로(143)가 연결된 상태에서 철도차량(200)이 진입하면, 철도차량(200)의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윤축분리기구(150)를 통해 분리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eparate only the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할 때에 윤축분리기구(150)는 암실린더(154a)에 의해 접힌 관절암(154)을 펼쳐 윤축받침대(151)를 상승시켜 분리할 윤축조립체(230)를 하부에 지지하는데, 철도차량(200)의 동력대차(210)를 윤축받침대(151)에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윤축이송부(155)를 작동시켜, 윤축받침대(151)의 위치를 조절한다.When separating the
윤축받침대(151)의 위치가 조절되면, 암실린더(154a)를 이용하여 윤축받침대(151)를 상승시켜 윤축받침대(151)에 윤축조립체(230)를 받친 상태에서 현가압축실린더(152)를 작동시키면, 현가압축실린더(152)의 피스톤 충기 현가스프링(240)을 상부로 압축시켜 동력대차(210)에서 현가스프링(240)을 제거한다.When the position of the
그리고, 현가스프링(240)이 제거되면, 동력대차(210)에 걸쳐진 윤축조립체(230)의 대차노스현가돌기를 동력대차(210)에서 분리하도록 암실린더(154a)를 이용하여 윤축받침대(151)를 들어올림과 동시에 일측으로 기울이면, 윤축조립체(230)가 동력대차(210)에서 이탈되고, 윤축이송부(155)를 작동시켜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이격시킨다(도 5 참조).Then, when the
윤축조립체(230)가 동력대차(210)에서 이격되면, 윤축조립체(230)가 개폐선로(14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윤축클램프를 이용하여 개폐선로(143)에 윤축조립체(230)를 고정하고, 이송본체(110)의 승하강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드롭테이블(140)을 하강시킨다.When the
드롭테이블(140)이 하강되면 본체이송부(120)가 작동하여 윤축조립체(230)를 선로공간에서 작업공간으로 이송하고, 작업공간(330)으로 윤축조립체(230)가 이송되면, 승하강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작업선로와 개폐선로(143)가 연결하고, 개폐선로(143)에 위치된 윤축조립체(230)를 작업선로를 통해 이송하거나, 크레인으로 들어내고 교체할 윤축조립체(230) 또는 수리한 윤축조립체(230)를 다시 개폐선로(143)에 위치시킨다.When the drop table 140 is lowered, the main
작업공간(330)의 개폐선로(143)에 윤축조립체(230)가 위치되면, 이송본체(110)의 승하강 구동부(130)가 다시 작동하여 드롭테이블(140)을 하강시키고, 드롭테이블(140)이 하강된 상태에서 본체이송기구를 통해 진입공간(310)으로 이송 후, 다시 승하강 구동부(130)를 이동하여 드롭테이블(140)을 상향시킨다.When the
그리고, 드롭테이블(140)이 상향되면, 최초 분리되었던 역순으로 윤축분리기구(150)를 작동시켜 윤축받침대(151)를 기울여 윤축조립체(230)의 대차노스현가돌기를 동력대차(210)에 결합한 후, 결합된 윤축조립체(230)와 윤축받침대(151)에 현가압축스프링을 통해 현가스프링(240)을 끼워 결합하는 형태로 철도차량(200)에 분리된 윤축조립체(230)의 조립을 완료한다.Then, when the drop table 140 is upward, the wheel-separat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100)는 철도차량(200)에서 동력대차(210)를 하부로 분리하여 작업선로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200)을 동력대차(210)를 상부로 견인하여 이송할 때, 동력대차(210)에 작업자가 충돌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wheel transport
또한, 드롭테이블(140)에 윤축분리기구(150)가 설치됨에 따라 철도차량(200)에서 동력대차(21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만을 분리할 수 있으며, 윤축조립체(230)를 작업자가 직접 분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윤축조립체(230)를 결합 또는 분리 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또한, 윤축분리기구(150)가 암실린더(154a) 및 관절암(154)에 의해 윤축조립체(230)를 승하강 및 기울기의 변화를 통해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윤축분리기구(150)에 현가압축실린더(152)가 설치되어 별도의 장비 없이도 동력대차(210)에서 현가스프링(240)을 분리하여 동력대차(210)에서 윤축조립체(2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윤축분리기구(150)가 윤축이송부(155)에 의해 윤축받침대(151)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윤축받침대(151)에 의해 윤축조립체(230)를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easily changed and equal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extent possible.
100: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
110: 이송본체 120; 본체이송부
121: 본체이송레일 123: 본체이송바퀴
125: 본체이송모터 130: 승하강 구동부
131: 승하강 나사봉 133: 승하강 모터
135: 승하강 롤러 140: 드롭테이블
143: 개폐선로 145: 레일락킹부
146: 락킹실린더 147: 락킹판
148: 락킹브래킷 150: 윤축분리기구
151: 윤축받침대 152: 현가압축실린더
153: 윤축대차 154: 관절암
154a: 암실린더 155: 윤축이송부
156: 가이드레일 158: 가이드봉
159: 가이드모터 200: 철도차량
210: 동력대차 230: 윤축조립체
240: 현가스프링 300: 지하구조물
310: 진입공간 315: 진입선로
330: 작업공간 335: 해치커버100: A large-scale transport drop table device for combined use of a wheelset assembly for a power cart
110:
121: body transport rail 123: body transport wheel
125: body transfer motor 130: elevating and driving unit
131: elevating screw rod 133: elevating motor
135: elevating roller 140: drop table
143: opening and closing line 145: rail locking section
146: locking cylinder 147: locking plate
148: locking bracket 150: wheel separation mechanism
151: wheel support 152: suspension cylinder
153: wheel balance 154: joint cancer
154a: arm cylinder 155: wheel transfer unit
156: guide rail 158: guide rod
159: Guide motor 200: Railroad car
210: power truck 230: wheelset assembly
240: current gas spring 300: underground structure
310: Entry space 315: Entry track
330: workspace 335: hatch cover
Claims (5)
상기 개폐선로가 설치되는 드롭테이블,
상기 드롭테이블에 안착된 동력대차를 상기 진입선로의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드롭테이블에 안착된 동력대차를 상기 진입선로에서 작업선로로 왕복이송하는 이송본체, 및
상기 드롭테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대차에서 윤축조립체를 분리하는 윤축분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윤축분리기구는
상기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를 받쳐 지지하는 윤축받침대,
상기 윤축받침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대차에서 상기 윤축조립체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동력대차와 상기 윤축조립체의 사이에 설치된 현가스프링을 압축시키는 현가압축실린더,
상기 윤축받침대를 들어올리거나 기울이도록 상기 윤축받침대를 지지하는 관절암, 및
상기 관절암을 펼치거나 접어 상기 관절암에 결합된 상기 윤축받침대를 기울이거나, 들어올리는 암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윤축분리기구는 상기 윤축받침대를 상기 윤축조립체의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드롭테이블에서 상기 윤축받침대를 상기 개폐선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윤축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윤축이송부는
상기 개폐선로의 방향을 따라 상기 드롭테이블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윤축받침대가 설치되어 상기 윤축받침대를 상기 개폐선로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윤축대차,
상기 윤축대차에 나사체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윤축대차를 상기 개폐선로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봉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An opening and closing line that opens and closes a section of the entry line where railroad cars enter,
The drop table o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line is installed,
A transfer body for moving the power bogie seated on the drop table up and down from the bottom of the entry line, and transferring the power bogie seated on the drop table back and forth from the entry line to the working line, and
It is installed on the drop table and includes a wheelset separation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wheelset assembly from the power cart,
The wheel separation mechanism
A wheelset for supporting the wheelset assembly of the power cart,
Suspension compression cylinder installed on the wheel carrier to compress the suspension gas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wheel carrier and the wheel assembly to separate the wheel assembly from the power cart,
Joint arm supporting the tread support to lift or tilt the tread support, and
Including the arm cylinder to expand or fold the joint arm to tilt or lift the tilting support coupled to the joint arm,
The shaft separation mechanism includes a wheel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wheel support from the drop 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line so as to position the wheel support 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wheel assembly.
The wheel transport unit
A guide rail installed on the drop table along the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line,
A wheelset truck that runs along the guide rail and is installed so that the wheelbase is installed to transfer the wheelb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ing/closing line,
Guide rod for moving the wheel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line, as the screw is screwed to the wheel and rotates,
And a guide motor for rotating the guide rod.
상기 개폐선로는
상기 진입선로에 상기 개폐선로가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선로에 상기 개폐선로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레일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line
And a rail locking section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opening and closing lines to the entry lines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lines are matched to the entry lines, and a combined drop transport device for wheel transport of a wheeled vehicle assembly.
상기 이송본체는
상기 드롭테이블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드롭테이블을 상기 진입선로에서 상기 작업선로로 왕복이동시키는 본체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대차의 윤축조립체 분리 겸용 대차이송 드롭테이블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body
An elevating and descending driving unit for elevating and dropping the drop table, and
And a body transport unit for reciprocating the drop table from the entry line to the working li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5034A KR102140313B1 (en) | 2019-12-11 | 2019-12-11 | drop table apparatus for separate wheel assembly of traction mo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5034A KR102140313B1 (en) | 2019-12-11 | 2019-12-11 | drop table apparatus for separate wheel assembly of traction mo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0313B1 true KR102140313B1 (en) | 2020-07-31 |
Family
ID=7183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5034A KR102140313B1 (en) | 2019-12-11 | 2019-12-11 | drop table apparatus for separate wheel assembly of traction mo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031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23958A (en) * | 2020-08-07 | 2020-11-13 | 北京新联铁集团股份有限公司 | Track traffic locomotive car lifting jack |
CN114406666A (en) * | 2022-01-04 | 2022-04-29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assembling axle box built-in bogie by using assembling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5086Y1 (en) * | 1995-08-18 | 1998-08-17 | 권기진 | A wheel-axle exchanging device |
KR19990017876A (en) * | 1997-08-26 | 1999-03-15 | 양재신 | Positioning structure of feed cart |
KR101958357B1 (en) * | 2017-09-21 | 2019-03-18 |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 Wheel-set Exchanging Apparatus for Railway Car |
-
2019
- 2019-12-11 KR KR1020190165034A patent/KR10214031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5086Y1 (en) * | 1995-08-18 | 1998-08-17 | 권기진 | A wheel-axle exchanging device |
KR19990017876A (en) * | 1997-08-26 | 1999-03-15 | 양재신 | Positioning structure of feed cart |
KR101958357B1 (en) * | 2017-09-21 | 2019-03-18 | 주식회사 에코마이스터 | Wheel-set Exchanging Apparatus for Railway Ca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23958A (en) * | 2020-08-07 | 2020-11-13 | 北京新联铁集团股份有限公司 | Track traffic locomotive car lifting jack |
CN114406666A (en) * | 2022-01-04 | 2022-04-29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assembling axle box built-in bogie by using assembling device |
CN114406666B (en) * | 2022-01-04 | 2023-02-21 |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 Method for assembling axle box built-in bogie by using assembl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70711B2 (en) | Rail transport equipment | |
KR102140313B1 (en) | drop table apparatus for separate wheel assembly of traction motor | |
US7178465B1 (en) | Trackside railcar door opener and closer | |
CN205930340U (en) | Contact net operation platform truck with line changing function | |
US3119506A (en) | Side-loading transfer vehicle | |
CN110774845B (en) | Tunnel tyre wheel-rail interchange type vehicle | |
KR101232224B1 (en) | working vehicle for working in the high position | |
CN110789280A (en) | Conversion method for tire walking and rail walking of tunnel vehicle | |
EP1757508B1 (en) | Railway wagon for the transportation of bulk loads, especially road vehicles | |
JP4270401B2 (en) | Railway maintenance vehicle | |
JP5475577B2 (en) | Vehicle transport device for X-ray inspection | |
US5370058A (en) | Low rise drop yoke system | |
US3433366A (en) | Gantry cranes | |
KR102203793B1 (en) | Removable rail equipment maintenance workbench | |
CN115417342A (en) | Overhauling operation platform and overhauling method convenient for overhauling suspension type monorail vehicle | |
JP4834461B2 (en) | Road-rail transport device | |
KR960005998B1 (en) | Device for separating and transporting train wheels and axles | |
GB2298408A (en) | Mobile lifting system for rail vehicle bogies | |
GB2146616A (en) | Lifting jack | |
CN219045070U (en) | Transfer device for turnout | |
KR102453708B1 (en) | Mobile rail facility repair system | |
US4397601A (en) | Convertible rail-highway vehicle | |
CN115158392B (en) | Reset mechanism based on rail flaw detection vehicle driving device | |
KR102548619B1 (en) | Apparatus for rear rail unit of the road-rail vehicles | |
KR102548617B1 (en) | Road-rail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