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854B1 -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854B1
KR102125854B1 KR1020190123722A KR20190123722A KR102125854B1 KR 102125854 B1 KR102125854 B1 KR 102125854B1 KR 1020190123722 A KR1020190123722 A KR 1020190123722A KR 20190123722 A KR20190123722 A KR 20190123722A KR 102125854 B1 KR102125854 B1 KR 10212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tex
cement
pow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임
Original Assignee
이영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임 filed Critical 이영임
Priority to KR1020190123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8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40Compounds containing silicon, titanium or zirconium or other organo-metallic compounds; Organo-clay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24/42Organo-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8Compounds chosen for their latent hydraulic characteristics, e.g. pozzuol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서 과다한 액상 라텍스를 사용하는 데에 따르는 단가 상승 및 재료 수급에 관한 문제점, 그리고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도입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멘트 100 중량부, 그리고 포졸란 반응성 혼화제 5 ~ 10 중량부, 그리고 라텍스 분말 1 ~ 8 중량부, 그리고 알긴산 0.1 ~ 0.8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Modified concrete composition using powder latex and Alginate}
본 발명은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서 과다한 액상 라텍스를 사용하는 데에 따르는 단가 상승 및 재료 수급에 관한 문제점, 그리고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도입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도로, 교량, 건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일정 형태를 갖는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근본적인 재료로, 액화상태에서 도포되어 경화됨으로써 특정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종류로, 압축강도 향상, 휨강도 향상, 부착강도 향상 등의 효과를 누리기 위해 고무나무에서 추출되는 천연고무의 입자인 액상 라텍스를 시멘트와 혼합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가 있다.
액상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239075호(2013년02월26일)과 신기술 820호(이하 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초속경 콘크리트보다 열 흡수율이 높아 외기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고 결빙 예방이 가능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선의 야간 시인성과 통행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쾌적한 주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액상 라텍스 자체는 상당히 고가의 재료이고, 고무나무에서 채취되는 만큼 그 수급량이 한정되어 있어서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라텍스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한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부담과 재료 수급에 대한 부담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조성물에 소량의 분말 라텍스와 해조류 추출물인 알긴산을 포함시켜, 라텍스 분말의 함유량은 최소화하면서도 라텍스 분말이 제공하는 효과는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성, 시공성 및 시공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알긴산을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시멘트와 라텍스 분말 그리고 알긴산을 함유한 해조류를 공장에서 믹싱하여 시공 장비의 단순화를 통하여 품질을 극대화 하였다. 또한 혼화 과정에서 수화열에 의해 해조류의 용융되면서 콘크리트 조성물 내부에 발생하는 공극을 해조류의 잔해가 메워 콘크리트의 균일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시멘트 100 중량부, 그리고 포졸란 반응성 혼화제 5 ~ 10 중량부, 그리고 라텍스 분말 1 ~ 8 중량부, 그리고 알긴산 0.1 ~ 0.8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멘트에 상기 라텍스 분말에 해조류 추출물이 혼합됨으로써 포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해조류의 도입을 통해 라텍스 분말의 함유량은 최소화하면서도 라텍스 분말이 제공하는 효과는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성, 시공성 및 시공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하여 해조류를 직접 혼합하여 수화열에 의해 해조류의 용융되면서 콘크리트 조성물 내부에 발생하는 공극을 해조류의 잔해가 메워 콘크리트의 균일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 간의 경제성을 비교한 도표.
도 2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 간의 품질을 비교한 도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서 과다한 액상 라텍스를 사용하는 데에 따르는 단가 상승 및 재료 수급에 관한 문제점, 그리고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도입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제성 및 시공 품질이 향상된 분말라텍스와 알긴산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이하 본 조성물)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액상 라텍스를 도입함에 따라 비용 증대 및 재료 수급에 관한 문제점, 그리고 시공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음은 상기한 바 있다.
본 발명은 해조류의 추출물인 알긴산을 도입하여, 고가이며 수급량에 한계가 있는 라텍스 분말의 조성 비율을 최소화함으로써, 비용 및 재료 수급에 관한 부담을 줄였다.
구체적으로, 본 조성물은 시멘트, 포졸란 반응성 혼화제, 라텍스 분말 및 알긴산을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시멘트는 10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시멘트를 100중량부로 고정한 것은 다른 조성물의 비율을 혼합되는 시멘트를 기준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조성하는 기본 물질로, 대표적으로 포틀랜드 시멘트가 사용될 수 있다. 콘크리트 조성물에 시멘트를 포함하는 개념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으로, 시멘트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포졸란 반응성 혼화제는 5 ~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포졸란 반응성 혼화제는 산업부산물로서, 미세한 고형 입자 형태로 시멘트 입자의 공극을 충전하는 마이크로 필러 효과와 골재 입자, 모르타르와 펌프 및 운송호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워커빌리티(wordability)와 펌퍼빌리티(pumpability)를 증가시키고 모르타르의 점착성, 재료분리 저항성을 개선하며 블리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포졸란 반응성 혼화제는 실리카 흄, 플라이 애쉬, 고로 슬래그 중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플라이 애쉬, 고로 슬래그는 시멘트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혼화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포졸란 반응성 혼화제는 5 중량부 미만 사용 시에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초기 강도 발현이 늦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라텍스 분말은 1 ~ 8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라텍스는 고무나무에서 액체 형태로 추출되는 천연고무의 입자로, 비중은 0.98, 성분은 물 60%, 고무 35%, 비누, 지방산, 스테롤 등이 1%, 무기물 0.4% 등을 포함하는데, 원심분리법, 클리닝법, 증발법 등 여러 방법에 의해 고무성분 함유량을 60 ~ 70%까지 농축하여 활용된다. 이러한 라텍스는 건조에 의해 분말화된 형태의 라텍스 분말로서 첨가되며, 5 ~ 15kg/m3(루베)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라텍스 분말은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라텍스 분말이 포함된 콘크리트는 포설 시, 접착성, 방수성, 휨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자체적으로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는 장점 역시 갖는다.
라텍스 분말은 1 중량부 미만 사용 시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8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라텍스 분말을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라텍스 자체가 상당히 고가의 재료이고, 그 수급량이 한정되어 있어서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는 바, 라텍스 분말의 함유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경제성 및 시공성 측면에서 이득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라텍스 분말의 함유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라텍스 분말이 제공하는 효과는 더욱 향상시키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다음으로, 알긴산은 0.1 ~ 0.8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알긴산은 해조류, 그 중에서도 특히 갈조류(예: 다시마, 미역 등)에 함유되어 세포막을 구성하는 다당류의 일종으로, 우론산의 카복시기로 인해 산의 성질을 나타내며, 그 분자량은 약 15000이고, 물에는 녹지 않고 팽윤하는 성질을 갖고, 특히 알긴산은 불용성이지만 나트륨염은 물에 녹으며 점성도가 매우 높다는 특징 역시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알긴산은 특히 콘크리트에서, 생고분자(gel)를 생성하고, 분산, 유화 및 접착성을 가져, 콘크리트의 혼합을 돕고, 도포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견고한 접착 및 점성을 제공한다.
알긴산은 0.1 중량부 미만 사용 시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알긴산은 상기한 라텍스보다 더욱 고가라는 점을 감안, 0.8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지고 압축강도가 기준치 이하가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알긴산을 소량 함유함으로써, 라텍스 분말의 함유량을 대폭 줄여 경제성 및 품질이 향상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종래기술 간의 경제성을 비교한 도표인 도 1과 본 발명과 종래기술 간의 품질을 비교한 도표인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초속경 시멘트 400kg/m3에 혼합된 라텍스 분말의 비율을 도시하고 있다. 기존 공법은 액상 라텍스가 120kg/m3가 사용된 반면, 본 발명은 분말 라텍스 10kg/m3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알긴산을 1.2kg/m3를 더 사용함으로써 분말 라텍스의 함유량을 110kg/m3 줄인 것이다. 액상 라텍스의 단가는 kg 당 2800원이고, 알긴산의 단가는 kg 당 10000원이며, 분말 라텍스의 단가는 kg 당 4600원이며, 이에 전체 단가가 기존 공법 대비 약 17.3% 수준으로 절감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초속경 시멘트만 사용한 경우, 초속경 시멘트와 액상 라텍스를 사용한 경우, 초속경 시멘트와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사용한 경우의 품질 비교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초속경 시멘트'와 '초속경 시멘트+액상 라텍스'를 사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초속경 시멘트와 액상 라텍스를 혼합 사용한 경우가 압축강도, 휨강도 및 부착강도 모든 면에서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초속경 시멘트+액상 라텍스'를 사용한 경우와 '초속경 시멘트+분말라텍스+알긴산'을 사용한 경우를 비교하면, 초속경 시멘트와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혼합 사용한 경우에 압축강도, 휨강도, 부착강도 및 동결융해저항성 모든 면에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초속경 시멘트+분말 라텍스+알긴산'을 사용한 경우에 품질 면에서 우수하거나 또는 최소한 동일한 품질 정도를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상 라텍스와 초속경 시멘트를 혼합한 콘크리트 조성물에 비해 그 품질이 동일 또는 우수하며, 경제성에서는 확연한 이점을 갖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조성물은 알긴산이 시멘트 또는 라텍스 분말에 해조류 추출물이 혼합됨으로써 포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 있듯이, 알긴산은 해조류, 그 중에서도 특히 갈조류에 함유된 다당체로, 묽은 황산으로 씻은 해조류를 고온의 묽은 알칼리성 용액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산성으로 만들어 침전시킴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알긴산을 시멘트 또는 라텍스 분말에 혼합시킴으로써, 본 조성물이 알긴산을 포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조성물은 알긴산이 시멘트 또는 라텍스 분말에 해조류가 혼합됨으로써 포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해조류, 특히 그 중에서도 갈조류를 시멘트나 라텍스 분말의 혼합 과정에서 직접 혼합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제2실시예의 경우 묽은 황산으로 해조류를 세척하는 작업은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제2실시예는 시멘트나 라텍스 분말의 혼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특히 수화열에 의해 해조류가 녹으면서 콘크리트 조성물 내부에 발생하는 공극을 용융된 해조류의 잔해가 메워준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 대비, 기능성 첨가제 3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능성 첨가제는 시멘트와 골재 사이에서 자체적으로 입자화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방수성을 부여하는데, 특히 알칼리골재 반응이나 제설제 염수에 의한 열화에 탁월한 성능을 얻을 수 있디.
이러한 기능성 첨가제는 실리콘 레진 에멀전 100 중량부 대비, 규산염 20 중량부, 알킬 실리코네이트 2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리콘 레진 에멀전 시멘트 입자 사이에서 강력한 발수성을 발현하여 콘크리트에 흡수되는 물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배척하여 콘크리트 열화원으로부터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각 조성물 별로, 실리콘 레진 에멀전은 발수성이 큰 Octyl 부가물이 유용하며 에멀전 평균입경은 15 ~ 3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기능성 첨가제를 구성하는 조성들은 실리콘 레진 에멀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규산염은 콘크리트의 내부에 존재하는 모세관 충전용이며 콘크리트 형성 후 발생하는 모세관에 용액상으로 작용 경화함으로써 콘크리트 흡수를 방어하는 기능을 부여 위해 첨가되며, 이들은 실리콘 레진 및 시멘트와의 친화성이 좋아 채택되었다. 이러한 규산염은 입경이 작을수록 내부 충전효과가 좋고 평균 입경이 10 ~ 100nm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은 반복 실험 결과 최적의 열전도 효율을 보였던 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알킬 실리코네이트는 실리콘 레진 에멀전과 실리케이트의 연결에 사용되는 일종의 가교제로써 규산염의 흡수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반복 실험 결과 20 중량부가 포함될 때 최적의 가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수분차단 재료는 실리콘 레진 에멀전에 먼저 계면활성제 3 중량부를 넣고 규산염, 알킬 실리코네이트를 혼합한 후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40 중량부를 첨가하여 안정화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는 일종의 보호 콜로이드로서 작용하며 실험에 따르면 계면활성제의 경우 3중량부,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경우 10 중량부가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제조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을 따르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시멘트 100 중량부;
    포졸란 반응성 혼화제 5 ~ 10 중량부;
    라텍스 분말 1 ~ 8 중량부; 및
    알긴산 0.1 ~ 0.8 중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알긴산은 상기 시멘트 또는 상기 라텍스 분말에 해조류가 혼합됨으로써 포함되고,

    상기 라텍스 분말은 5 ~ 15kg/m3가 사용되고,

    시멘트 100 중량부 대비, 기능성 첨가제 3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실리콘 레진 에멀전 100 중량부 대비, 규산염 20 중량부, 알킬 실리코네이트 20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레진 에멀전의 평균입경은 15 ~ 30nm인 것이 사용되고,
    상기 규산염은 10 ~ 100nm의 평균 입경을 갖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상기 실리콘 레진 에멀전에 계면활성제를 넣고, 이 후 규산염과 알킬 실리코네이트를 혼합한 후에,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첨가하여 안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3722A 2019-10-07 2019-10-07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Active KR10212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22A KR102125854B1 (ko) 2019-10-07 2019-10-07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722A KR102125854B1 (ko) 2019-10-07 2019-10-07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854B1 true KR102125854B1 (ko) 2020-06-23

Family

ID=7113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722A Active KR102125854B1 (ko) 2019-10-07 2019-10-07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8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384A (ko) * 2005-03-23 2006-09-27 박성락 침투 발수 기능과 방수성을 가지는 실리콘 레진 에멀젼피막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5814B1 (ko) * 2017-09-18 2019-03-07 이영임 경제성 및 시공 품질이 향상된 알긴산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21346B1 (ko) * 2018-12-07 2019-09-16 (주)한국포장기술 개질 중온 아스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384A (ko) * 2005-03-23 2006-09-27 박성락 침투 발수 기능과 방수성을 가지는 실리콘 레진 에멀젼피막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5814B1 (ko) * 2017-09-18 2019-03-07 이영임 경제성 및 시공 품질이 향상된 알긴산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21346B1 (ko) * 2018-12-07 2019-09-16 (주)한국포장기술 개질 중온 아스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242B1 (ko) 시공성을 향상시킨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CN106966659B (zh) 一种耐水抗裂型泡沫混凝土及制备方法
CN104129960B (zh) 一种聚丙烯纤维珊瑚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1549978A (zh) 海泡石纤维改性玻化微珠保温砂浆
CN101397216B (zh) 一种多功能膏状防水剂
CN104844045B (zh) 一种用于混凝土的轻骨料的表面处理工艺
CN103396029B (zh) 一种矿物基混凝土增密剂及其制备方法
CN111170758A (zh) 一种泡沫混凝土、其制备方法和用途
CN108328977B (zh) 一种混凝土修补材料
CN104150838B (zh) 一种剑麻纤维增强珊瑚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7337408A (zh) 一种抗裂耐磨防渗复合砂浆及其制备方法
KR101955814B1 (ko) 경제성 및 시공 품질이 향상된 알긴산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CN107602013B (zh) 膨润土水泥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242442A (zh) 一种纤维增强高阻尼聚合物混凝土的制备方法
CN103553416A (zh) 一种混凝土复合引气剂及其制备、使用方法
CN101412608B (zh) 一种复合泡沫砂浆及其制备方法和施工方法
CN109133781B (zh) 环保型干粉勾缝剂的制备方法
CN108975781B (zh) 一种混凝土外加剂及混凝土
CN102503231B (zh) 砂浆外加剂浓缩液及其制备方法
CN107140916A (zh) 一种低成本环保砂浆
KR102125854B1 (ko) 분말 라텍스와 알긴산을 이용한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CN111574135B (zh) 一种利用回收浆水制备的高性能混凝土
KR101736694B1 (ko) 모르타르용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르타르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17210407A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を用いた工法
JP2015000820A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を用い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5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