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535B1 -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 - Google Patents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535B1
KR102125535B1 KR1020190083846A KR20190083846A KR102125535B1 KR 102125535 B1 KR102125535 B1 KR 102125535B1 KR 1020190083846 A KR1020190083846 A KR 1020190083846A KR 20190083846 A KR20190083846 A KR 20190083846A KR 102125535 B1 KR102125535 B1 KR 102125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ser
displayed
water treatment
image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일
Original Assignee
(주)성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창 filed Critical (주)성창
Priority to KR102019008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25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 function bloc editor, labvi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는 수처리 설비를 구성하는 배관과,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수처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계측장치와, 상기 배관을 통해 처리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제어감시대상단말부와,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에 전력선 통신(PLC) 접속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과 접속되는 중앙관리제어부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연결되는 관리자입출력부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인터넷 접속되는 사용자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제어부에 연결되는 사용자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에 포함되는 단말장치들이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객체로 지정되어 상기 관리자입출력부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제어부로써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를 제어감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로 구분 지정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식별 어드레스에는 실태그가 설정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계측 상태값에는 가상태그가 설정되고,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이미지심볼로 지정되고,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는 분할이미지심볼로 지정되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병합되거나, 상기 메인이미지 심볼로부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어와 감시의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를 전력선 통신 제어하여 제어와 동시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과 별도의 신호선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를 용이하게 편집 표시하여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수처리 설비의 각종 단말장치들을 관리 중요도에 따라 공간 효율적으로 표시하여 감시가 가능해지므로, 감시 제어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감시 대상 단말장치의 다양한 상태에 대응되는 동적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감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원격에서 뿐만 아니라 수처리설비 설치 현장에서도 설비의 특정 영역 별로 용이하게 감시와 제어가 가능하므로, 설비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CONTROL SYSTEM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INSTALLATION USING IMAGE EDITING METHOD BASED ON WEB}
본 발명은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와 감시의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를 전력선 통신 제어하면서도,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를 용이하게 표시하여 감시할 수 있고, 복잡한 수처리 설비의 각종 단말장치들을 공간 효율적으로 표시하여 감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수원지로부터의 원수를 정화하여 상수도로 배출하는 정수장이나, 공장이나 가정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 또는 하수로부터 유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폐수처리장은 처리수 저장조에 저장되는 처리수를 정수 또는 폐수 처리하여 공급 또는 배출한다.
상기 정수장 또는 폐수처리장은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처리수 저장조와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 및 각종 펌프와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관을 통해 처리수를 저장조들로 이송하면서 처리수를 정수 또는 폐수 처리한다.
통상, 정수장 또는 폐수처리장에는 처리수 저장조에 저장된 처리수를 배관을 통해 이송시키면서 정수 또는 폐수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처리설비는 수처리를 위한 저장조 또는 이송 배관에 설치되는 각종 수위계, 유량계, 수질계 또는 압력계 등과 상기 배관을 개폐하기 위한 각종 밸브 및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처리수의 유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펌프 등의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각종 센서류들을 포함하는 계측장치들을 비롯한 밸브와 펌프 등은 제어감시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원격으로 감시 제어된다.
한편,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은 산업제어 시스템(Industrial Control Systems)이라고도 불리며, 공장 및 대규모 처리시설에서 모든 설비를 원격관리 및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SCADA 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한 각종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의 정보 처리체계(Information Management System)로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값을 분석, 제어하여 각종의 설비를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 SCADA 시스템에 이용되는 HMI(Human-Machine Interface)는 각종 장치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관리자 등이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UI를 이용하여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소프트웨어 또는 그러한 시스템을 총칭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산업분야별로 미리 설정된 UI로만 설비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밖에 없으므로, 설비의 상태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없었다.
또한, 종래 SCADA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설비에 관련된 HMI의 운용을 위해 사용자의 장치에 별도의 설치 프로그램을 동작시켜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수처리설비의 경우 각종 배관과 이에 설치되는 여러 장치들로 인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구성이 매우 복잡해져, 관리 대상 단말장치의 식별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관리 대상 단말장치의 관리 중요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모든 관리 대상 단말장치들이 동일한 조건으로 관리되므로 관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SCADA 시스템에서의 UI 이미지 편집을 위한 기술에 관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웹 기반 HMI 의 이미지 편집 장치 및 그 방법"으로서 선출원한 바 있다.(출원번호:10-2016-0177295 호)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와 감시의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를 전력선 통신 제어하여 제어와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를 용이하게 편집 표시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수처리 설비의 각종 단말장치들을 관리 중요도에 따라 공간 효율적으로 표시하여 감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시 대상 단말장치의 다양한 상태에 대응되는 동적효과를 부여하여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처리설비 설치 현장에서 특정 영역 별로 용이하게 감시와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비 관리담당자에 의해 감시 대상 영역 또는 장치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는 수처리 설비를 구성하는 배관과,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수처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계측장치와, 상기 배관을 통해 처리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제어감시대상단말부와,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에 전력선 통신(PLC) 접속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과 접속되는 중앙관리제어부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관리자입출력부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인터넷 접속되는 사용자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제어부에 연결되는 사용자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에 포함되는 단말장치들이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객체로 지정되어 상기 관리자입출력부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제어부로써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를 제어감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로 구분 지정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식별 어드레스에는 실태그가 설정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계측 상태값에는 가상태그가 설정되고,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이미지심볼로 지정되고,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는 분할이미지심볼로 지정되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병합되거나, 상기 메인이미지 심볼로부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에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를 병합하거나,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로부터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 또는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반과 무선통신 접속되는 사용자휴대단말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와 제어반은 상호 간 접속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암호가 설정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기준 상태값이 저장되며,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이 상기 기준 상태값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은 미리 지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기준 상태값과 비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상태그는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반투명 태그로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은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병합된 상태로 표시되어,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펼쳐져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은 상기 사용자제어부에 의해 선택 편집되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는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병합된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에 펼쳐져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에는 동적효과가 부여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적효과는 상기 가상태그에 대응되는 상태값에 따라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며, 상기 화면의 일측에 표시된 메인이미지심볼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이미지심볼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배치된 메인이미지심볼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메인이미지심볼에 병합된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의 가상태그 중에서 활성화시킬 가상태그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이 기준 상태값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에 동적효과가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자 하는 우선 순위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가상태그의 반투명 정도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정된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에 대해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어와 감시의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를 전력선 통신 제어하여 제어와 동시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선과 별도의 신호선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를 용이하게 편집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감시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수처리 설비의 각종 단말장치들을 관리 중요도에 따라 공간 효율적으로 표시하여 감시가 가능해지므로, 감시 중요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집중감시 할 수 있어 감시 제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감시 대상 단말장치의 다양한 상태에 대응되는 동적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감시의 시각적 경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원격에서 뿐만 아니라 수처리설비 설치 현장에서도 설비의 특정 영역 별로 용이하게 감시와 제어가 가능하므로, 설비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설비 관리담당자에 의해 감시 대상 영역 또는 장치에 대한 현장 감시가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감시제어대상객체가 표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메인이미지심볼과 서브이미지심볼을 편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감시제어대상객체가 표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메인이미지심볼과 서브이미지심볼을 편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는 수처리 설비를 구성하는 배관(12)과,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수처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계측장치(14)와, 상기 배관을 통해 처리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16)와,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와,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에 전력선 통신(PLC) 접속되는 제어반(50)과, 상기 제어반(50)과 접속되는 중앙관리제어부(60)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관리자입출력부(65)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인터넷 접속되는 사용자제어부(72)와, 상기 사용자제어부(72)에 연결되는 사용자디스플레이부(7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에 포함되는 단말장치들(12, 14, 16)이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객체로 지정되어 상기 관리자입출력부(65)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제어부(72)로써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를 제어감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로 구분 지정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식별 어드레스에는 실태그가 설정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계측 상태값에는 가상태그가 설정되고,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이미지심볼로 지정되고,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는 분할이미지심볼로 지정되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병합되거나, 상기 메인이미지 심볼로부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처리 설비는 상수 또는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정수장 또는 폐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설비일 수 있으며, 상기 수처리 설비에는 처리수를 이송하기 위한 각종 배관들과, 상기 배관들을 통해 처리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들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관과 펌프에는 수위계, 유량계, 수질계 또는 압력계와 같은 처리수의 각종 상태들을 감지하기 위한 계측장치들이 설치되며, 상기 펌프를 통해 유동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각종 밸브들 또한 설치된다.
처리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로서는 예를 들어,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나 처리수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배관에 설치되는 각종 급수 펌프와 이송 펌프 등이 있으며, 처리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펌프 등도 설치된다.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로 제시된 상기와 같은 각종 배관, 계측장치들, 펌프 및 밸브는 예시적인 구성들로서, 이외 감시와 제어의 대상이 되는 수처리 설비 내의 각종 다양한 단말장치들이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반(50)은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에 전력선 통신(PLC) 접속되어,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에 포함되는 각종 센서와 측정장치 즉 계측장치들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고, 각종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로 전송하여 펌프의 작동, 밸브의 개폐와 개방 정도 등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반(50)과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가 전력선 통신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어반(50)으로부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로 제어를 위한 신호 전달함과 함께,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에 포함되는 각종 단말장치들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는 상기 제어반(50)과 접속되어 상기 제어감시단말부(10)에 포함되는 각종 단말장치들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어반(50)을 통해 상기 제어감시단말부(10)에 포함되는 밸브, 펌프 등의 각종 단말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는 관리자입출력부(65)가 연결되어, 상기 관리자입출력부(65)를 통해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로 본 발명의 내용을 구현하기 위한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과 각종 제어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제어부(72)는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제어부(72)에는 사용자디스플레이부(74)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에 포함되는 단말장치들(12, 14, 16)은 감시제어대상객체로 지정되어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저장되고,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저장된 감시제어대상객체는 상기 관리자입출력부(65)에도 표시된다.
그리하여, 상기 관리자입출력부(65)를 통해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저장되는 감시제어대상객체들이 선택적으로 편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제어부(72)로써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를 제어감시하도록 구성된다.
통상 수처리설비 내에는 매우 다양한 각종 단말장치들과 배관들이 복잡하게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상기 단말장치들 중에서 관리의 중요성이 매우 중한 것과 비교적 덜 중요한 장치들이 있다.
또한, 관리의 중요성에 따라 단말장치로부터 측정되어야 하는 계측 데이터의 측정 주기 역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수처리설비 운영 조건에 따라 여러 단말장치들이 추가로 설치되거나 교체될 수도 있으며, 계절 또는 기후 환경에 따라 주요하게 감시되어야 할 단말장치의 상태나 대상이 달라지기도 한다.
또한, 수처리설비 내의 특정 영역 또는 섹터 별로 주된 감시의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가 있을 수도 있으며, 주된 감시대상 단말장치의 상태가 정상일 경우, 그 영역 또는 섹터 내에 포함되는 단말장치들의 상태 역시 정상적인 상태로 판단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수처리설비 내에는 여러 복잡 다양한 단말장치들이 포함되고, 그에 대한 감시 중요도 역시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는데, 감시를 위한 디스플레이화면에 단말장치들을 동일한 비중으로써 평면적으로 표시할 경우, 자칫 중요하게 감시되어야할 단말장치에 대한 감시가 소홀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화면에 비해 감시되어야 할 단말장치의 수가 매우 많은 경우, 이들을 모두 디스플레이화면 상에 표시하여 감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로 구분 지정된다.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는 특정 영역 또는 섹터 내에서 그 정상 상태 작동 여부가 감시되어야 할 주된 단말장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는 정해진 소정의 시간 간격 마다 중요하게 감시되어야 할 단말장치일 수도 있으며, 상기 관리자입출력부(65)와 사용자제어부(72)에 의해 지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이미지심볼로 지정되어 저장되며,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는 분할이미지심볼로 지정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제어부(72)를 통해 메인이미지심볼로 지정되어 저장되는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에 분할이미지심볼로 지정되어 저장되는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가 병합되거나, 상기 메인이미지심볼로부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분할이미지심볼이 병합된다는 의미는,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그 본래의 크기로써 상기 메인이미지심볼로부터 펼쳐져 표시되는 상태가 아니라, 본래의 크기에서 감소된 크기로써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의 측부에 합쳐져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그 본래의 크기로써 상기 메인이미지심볼로부터 펼쳐져 표시되는 상태는, 메인이미지심볼로부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표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활성창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을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제어부(72)를 통해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 또는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할이미지심볼(13-1, 15-1, 17-1)은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72)에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12, 14, 16)에 병합된 상태로 표시되거나, 상기 메인이미지심볼(12, 14, 16)로부터 추출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13-1, 15-1, 17-1)이 상기 메인이미지심볼로부터 펼쳐져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이미지심볼(12, 14, 16)은 상기 사용자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편집되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74)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들 중에서 감시와 제어가 요구되는 중요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메인이미지심볼이 선택되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74)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사용자디스플레이부(74)에 표시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더블클릭과 같이 지정된 방식을 통해 추출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12, 14, 16)에 병합된 분할이미지심볼(13-1, 15-1, 17-1)들이 추출되어 펼쳐져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제어부(72)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관리제어부(60)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74)의 우측에는 상기 메인이미지심볼들이 실태그 상태로 화면의 우측에 표시되고, 상기 메인이미지심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이미지심볼들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의 왼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수처리설비에 포함되는 모든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들 중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를 선택하여 메인이미지심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74)의 왼측에 배치된 메인이미지심볼을 더블 클릭과 같은 방식으로 추출되도록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메인이미지심볼에 병합된 분할이미지심볼들이 추출되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든 감시제어대상객체에는 그 단말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어드레스가 부여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식별 어드레스에는 실태그가 설정되어 표시된다.
상기 실태그는 디스플레이화면 상에서 실선으로 선명하게 표시되되, 표시되는 형상 또는 모양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감시대상 단말장치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형상일 수도 있고, 그 형상에 단말장치의 배치 영역 또는 섹터 위치를 표시하는 숫자를 조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계측 상태값 즉, 매 순간 변화되는 압력, 유량, 수위 등의 계측 상태값은 가상태그로서 설정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상태그는 반투명 상태의 태그로 상기 실태그의 상부에 표시된다.
상기 가상태그의 반투명 정도는 사용자제어부에 의해 지정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가상태그의 형상 역시 계측 상태값을 상징적으로 표시하는 형상이거나 계측 상태값을 나타내는 숫자를 조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실태그와 가상태그는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에는 동적효과가 부여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적효과는 상기 가상태그에 대응되는 상태값, 즉 감시제어대상객체의 압력 또는 수질 등에 따라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동적효과는 상기 가상태그에 표시될 수도 있으며, 압력 또는 수질 등의 상태값을 나타내는 동적효과를 반투명 태그로써 표시할 수 있다.
비록 도 2 에서 상기 가상태그는 하나가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태그의 상부에 여러 개의 가상태그들이 병렬적으로 표시되거나, 그 투명도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자 하는 우선 순위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가상태그의 불투명 정도가 선택되도록 구성하여, 감시의 중요도가 높은 상태값에 대해서는 화면 상에서 보다 뚜렷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동적효과를 부여하여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의 가상태그들 중에서, 특정 가상태그가 선택적으로 크게 활성화되어 화면 상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에 대해서는 기준 상태값이 범위로 저장되며,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 또는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실태그 또는 가상태그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분할이미지심볼이 병합되어 화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의 상태값이 상기 기준 상태값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 이러한 서브감시제어대상의 상태값 변동이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비록 화면 상에서는 메인이미지심볼들만이 표시되더라도, 서브감시제어대상의 상태값이 기준 상태값으로부터 벗어난 이상 상태 발생의 경우는,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은 미리 지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기준 상태값과 비교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이 기준 상태값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에 동적효과로써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반(50)과 무선통신 접속되는 사용자휴대단말부(80)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80)와 제어반(50)은 상호 간 접속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암호가 설정 저장된다.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80)는 수처리설비 현장 관리자가 휴대하는 PDA 또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80)를 통해 상기 제어반(50)에 접속하여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로부터 측정 상태값을 전달받거나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10)에 포함되는 단말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8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제어반(50)을 통해 사용자제어부(72)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80)는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에 촬영된 제어감시대상단말부의 메인이미지심볼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터치 등의 미리 지정된 방식을 통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병합된 분할이미지심볼들이 추출되어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에 펼쳐져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통상 수처리설비 관리자가 휴대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은 소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화면에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어감시대상단말부의 메인이미지심볼만을 표시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터치 등의 방식을 통해 선택되는 경우, 이에 병합된 분할이미지심볼들이 추출되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크기가 작은 화면을 통해 설비 현장의 각종 단말장치들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지정되어 저장된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에 대해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어 그 이미지가 사용자제어부(72)로 전송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촬영 여부가 상기 사용자제어부로 전송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현장 관리자의 주된 감시 대상이 되는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에 대해 소정의 시간 주기 별로 현장 감시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제어감시대상단말부
50: 제어반
60: 중앙관리제어부
65: 관리자입출력부
70: 사용자제어부
80: 사용자휴대단말부

Claims (17)

  1. 수처리 설비를 구성하는 배관과;
    상기 설비에 설치되어 수처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계측장치와;
    상기 배관을 통해 처리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와;
    상기 배관에 설치되어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제어감시대상단말부와;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에 전력선 통신(PLC) 접속되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과 접속되는 중앙관리제어부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관리자입출력부와;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인터넷 접속되는 사용자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제어부에 연결되는 사용자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에 포함되는 단말장치들이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의해 감시제어대상객체로 지정되어 상기 관리자입출력부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제어부로써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접속하여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를 제어감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로 구분 지정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식별 어드레스에는 실태그가 설정되며, 상기 감시제어대상객체의 계측 상태값에는 가상태그가 설정되고,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는 메인이미지심볼로 지정되고,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는 분할이미지심볼로 지정되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병합되거나, 상기 메인이미지 심볼로부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에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를 병합하거나,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로부터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 또는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과 무선통신 접속되는 사용자휴대단말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와 제어반은 상호 간 접속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암호가 설정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기준 상태값이 저장되며,
    상기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이 상기 기준 상태값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은 미리 지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기준 상태값과 비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태그는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반투명 태그로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은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병합된 상태로 표시되어,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분할이미지심볼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펼쳐져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은 상기 사용자제어부에 의해 선택 편집되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는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와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제어감시대상단말부를 촬영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에 병합된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디스플레이부에 펼쳐져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에는 동적효과가 부여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효과는 상기 가상태그에 대응되는 상태값에 따라 다르게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중앙관리제어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메인이미지심볼이 화면의 일측에 표시되며, 상기 화면의 일측에 표시된 메인이미지심볼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이미지심볼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배치된 메인이미지심볼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메인이미지심볼에 병합된 분할이미지심볼이 추출되어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의 가상태그 중에서 활성화시킬 가상태그를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와 서브감시제어대상객체의 상태값이 기준 상태값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메인이미지심볼과 분할이미지심볼에 동적효과가 부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자 하는 우선 순위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가상태그의 반투명 정도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지정된 메인감시제어대상객체에 대해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 별로 상기 사용자휴대단말부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 설비 제어시스템장치.
KR1020190083846A 2019-07-11 2019-07-11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 KR10212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46A KR102125535B1 (ko) 2019-07-11 2019-07-11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46A KR102125535B1 (ko) 2019-07-11 2019-07-11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535B1 true KR102125535B1 (ko) 2020-06-22

Family

ID=7114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46A KR102125535B1 (ko) 2019-07-11 2019-07-11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5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461A (ja) * 2011-12-07 2013-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Web監視制御装置
KR101459083B1 (ko) * 2014-07-31 2014-11-14 주식회사 씨앤티콘트롤스 통신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감시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0461A (ja) * 2011-12-07 2013-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Web監視制御装置
KR101459083B1 (ko) * 2014-07-31 2014-11-14 주식회사 씨앤티콘트롤스 통신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감시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057305U (zh) 一种水质自动监测站
KR101046198B1 (ko) 수처리 원격제어 감시 시스템
CN103985008B (zh) 一种城市地下管道智能监控系统
CN104091413B (zh) 一种防汛雨水情自动监测方法
CN106530140A (zh) 水质在线监测系统
CN106101659A (zh) 一种分散型污水处理装置远程监控系统及方法
CA2945307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water-based fire sprinkler systems
CN206470562U (zh) 一种多级取水泵远程控制及监视装置联动系统
CN106796047A (zh) 基于可编程逻辑控制器的系统和用于受控环境中空气采样的用户界面
AU2020102377A4 (en) CNI-Water Management Technology: WATER COLLECTION AND NOTIFICATION INTELLIGENT MANAGEMENT TECHNOLOGY
CN107111323A (zh) 水管理系统和方法
KR101625619B1 (ko) 웹 기반 스마트 수질원격감시 데이터 분석 시스템
CN210691100U (zh) 智慧泵房综合监控柜
CN103216732A (zh) 一种管网漏水实时监测定位系统
KR20160034023A (ko) 인터넷 기반의 통합 웹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13951B1 (ko) IoT 기반 실시간 무선 수압계 및 이를 포함하는 상수도 관리 시스템
KR102125535B1 (ko) 웹 기반 이미지 편집 방식을 이용한 수처리설비 제어시스템장치
CN104103152B (zh) 一种防汛雨水情自动监测方法
CN206420493U (zh) 一种游泳馆水质量监管系统
KR102491635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상수도시설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29927A (ko) 염소이온농도를 이용한 하수관거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JP2002030702A (ja) 遮断弁監視制御システム
KR20200051396A (ko) 이상 상황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150223286A1 (en) Sensor brain for simple sensor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KR100970151B1 (ko) 수질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