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097B1 -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 Google Patents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097B1
KR102125097B1 KR1020180039927A KR20180039927A KR102125097B1 KR 102125097 B1 KR102125097 B1 KR 102125097B1 KR 1020180039927 A KR1020180039927 A KR 1020180039927A KR 20180039927 A KR20180039927 A KR 20180039927A KR 102125097 B1 KR102125097 B1 KR 10212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washing
washing tank
tank fram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841A (ko
Inventor
조성칠
Original Assignee
조성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칠 filed Critical 조성칠
Priority to KR102018003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9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8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walls, ceilings, roof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서,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의 하측에 장착하여 에어컨 세척시 발생되는 오수를 수거할 수 있는 오수 수거대에 있어서, 1웨이 천장형 에어컨 본체의 3면을 수용하고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ㄷ'형의 세척조프레임;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 또는 벤딩되어 세척시 낙하하는 오수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오수받이;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오수받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보강대;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외측면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1웨이 천장형 에어컨 본체의 상측을 둘러 상기 각 걸이부에 걸어 상기 세척조프레임과 오수받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Apparatus for cleaning one-way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을 세척할 때 낙하하는 오수를 수거할 수 있는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로운 건물에는 천장에 매립하는 방식의 시스템 에어컨이 설치된다.
천장형 시스템 에어컨은 한 대의 실외기에 여러 대의 실내기를 단배관으로 연결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용량의 실내기 조합이 가능하여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천장형 에어컨은 청결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세척이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인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천장 벽과 면 사이에 위치되고 일측에 열교환기(evaporator, 11) 및 타측에 팬(12) 등이 내장되는 본체(10)와, 상기 열교환기(11) 저면의 개구부를 커버하며, 중앙에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1)가 형성되고, 상기 팬(12) 저면에는 상기 열교환기(11)를 거쳐 나온 차가운 공기를 사방으로 실내에 분산시키는 송풍구(22)가 형성된 외장패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구는 일방향으로만 형성되어 1웨이 방식이라고 한다.
따라서,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은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며, 냉각된 공기는 송풍구를 통해 실내로 블로잉되면서 냉방한다.
이러한 구조의 천장형 에어컨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외장패널을 포함하는 부품을 본체에서 분해하여 별도로 세척하고 작업자가 물을 분사하는 호스나 노즐을 이용하여 본체, 특히 열교환기에 뿌리면서 청소한다.
그런데 청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수가 지면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로 수거하기 위해 종래에 에어컨 본체보다 큰 비닐 재질의 방수커버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에 맞게 특화된 세척장치가 없었고, 대부분 4웨이 천장형 에어컨을 세척하기 위한 장비가 공개되었다.
이러한 천장형 에어컨 청소용 장치는 투명한 방수커버의 모서리에 줄을 연결하고 줄 끝에 고리를 장착하여 에어컨의 가장자리나 천장의 내측벽에 걸고 청소를 하게 된다. 청소시 발생하는 오수는 낙하하여 방수커버에 모이고 별도의 배출구를 통해 집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천장형 에어컨 청소장치는 다량의 오수가 쌓일 경우 비닐이 찢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가 구비된다 하더라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수시로 교체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오수가 비산하여 방수커버에 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 새어 나가 지면에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세척 중간에 상태를 확인하려면 방수커버를 일부 제거했다가 다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106921(2001.12.7) "에어컨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세척작업 확인이 용이하며, 세척시 세척도구나 신체의 일부를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오수 낙하시 오수가 비산되지 않고 수거가 용이한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는,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의 하측에 장착하여 에어컨 세척시 발생되는 오수를 수거할 수 있는 오수 수거대에 있어서, 1웨이 천장형 에어컨 본체의 3면을 수용하고 일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ㄷ'형의 세척조프레임;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 또는 벤딩되어 세척시 낙하하는 오수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오수받이;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오수받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보강대;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외측면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4웨이 천장형 에어컨 본체의 상측을 둘러 상기 각 걸이부에 걸어 상기 세척조프레임과 오수받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척조프레임과 오수받이는 투명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수받이는 일측으로 구배가 형성되고 구배의 끝에 오수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오수받이는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ㄷ' 형을 이루고, 중앙에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도구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프레임과 오수받이 사이에는 수평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양측 상기 걸이부에 거는 고리와, 상기 고리를 이어주는 탄성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투명하여 작업자가 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홀이 형성되어 세척시 세척도구나 신체의 일부를 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세척작업이 매우 편하다.
또 오수 낙하시 오수가 단턱에 완충되고 오수받이에 흘러내리므로 오수가 비산되지 않아서 실내 세척작업시 매우 깨끗하다.
도 1은 일반적인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한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을 세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되어 설치되고, 한 방향으로 송풍이 이루어지는 1웨이 천장형 에어컨에 장착하여 청소시 발생하는 오수를 수거할 수 있는 오수 수거대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세척조프레임(100), 오수받이(200), 보강대(300), 걸이부(400) 및 고정수단(500)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은 청소하고자 하는 1웨이 천장형 에어컨 본체(10)의 3면을 둘러싸면서 수용할 수 있도록 3개의 판상 부재(110)를 결합시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판상 부재(110) 각각은 직사각형을 이루고 수직으로 상호 결합되어 에어컨 본체(10)의 3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은 대략 단면이 'ㄷ'형을 이루고 일측으로 나머지 한 면은 개구부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이 형성하는 면적은 상기 에어컨 본체(10)를 수용하도록 에어컨 본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오수받이(200)가 형성된다.
상기 오수받이(200)는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을 구성하는 각 판상 부재(110)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절곡되거나 둥근 형태로 벤딩되어 수로와 같은 형상을 이룬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받이(200)는 직사각형('└┘')이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원형('∪') 또는 'V'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프레임(100)과 오수받이(200)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강도를 가지면서 투명한 투명 아크릴 재질을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수받이(200)에 낙하한 오수는 수용된 상태로 고여 있으므로 지면에 떨어지지 않는다. 이를 위해 3개의 판상 부재(110) 각각에 형성되는 오수받이(200)는 서로 연통되고 양단은 막힌 상태이다.
또 상기 오수받이(200)는 상기 세척조프레임(100) 내측의 3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ㄷ'형을 이루되,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ㄷ'형의 중앙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홀(210)을 통해 에어컨 세척작업시 작업자의 신체(머리, 팔, 손 등) 또는 작업도구(노즐, 호스 등)가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수받이(200)는 일측으로 구배가 형성되고 구배가 끝나는 지점에 오수가 배출될 수 있는 오수배출공(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수배출공(220)에는 배출호스(600)를 하측에서 연결하여 지속적으로 오수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을 구성하는 3개의 판상 부재(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오수받이(200)를 가로질러 보강대(3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주보는 2개의 판상 부재를 연결하되, 상기 오수받이(200)의 상측에 걸쳐 배치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대(300)로 인해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은 뒤틀리거나 벌어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300)도 상기 세척조프레임(100) 및 오수받이(2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수받이(200)와 세척조프레임(100) 사이에는 낙하하는 오수를 1차적으로 완충하여 상기 오수받이(200)로 흘려주도록 단턱(60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단턱(600)은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의 하단 내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단턱(600)의 단부에 상기 오수받이(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턱(600)이 없는 경우 낙하하는 오수는 상기 오수받이(200)에 직접 떨어지면서 이미 고여있던 오수와 충돌하여 튀게 되며 튄 오수는 지면으로 비산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단턱(600)이 구비됨으로써 낙하하는 오수는 단턱(600)에 충돌하더라도 상기 단턱(600)에는 오수가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크게 튀지 않게 되며 자연스럽게 오수는 상기 오수받이(200)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즉, 상기 단턱(600)이 낙하하는 오수의 완충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걸이부(400)는 상기 세척조프레임(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 쌍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마주보는 두 판상 부재(11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00)는 후술하는 상기 고정수단(500)을 걸 수 있도록 양측으로 돌출되고 관통된 걸이공(410)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걸이부(400)는 본 발명을 운송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걸이부(400)에는 고정수단(500)이 걸리게 하여 상기 세척조프레임(100)과 오수받이(200)를 상기 에어컨 본체(10)의 하측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걸이부(400)에 각각 거는 고리(510)와, 상기 고리(510)를 이어주는 탄성줄(5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줄(520)은 인장되어 상기 에어컨 본체(10)의 상측을 둘러 상기 각 걸이부(400)에 도달할 수 있고 상기 탄성줄(520)의 양단에 결합된 상기 고리(510)를 상기 걸이부(400)에 각각 걸어 본 발명을 상기 에어컨 본체(10)의 하측에 장착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을 1웨이 천장형 에어컨에 장착하여 세척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한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을 세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작업자는 상기 고정수단(500)의 일단을 상기 에어컨 본체(10)의 일측으로 삽입하고 상측으로 둘러서 타측으로 빼내서 각 고리(410)를 상기 걸이부(300)의 걸이공(310)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각 세척조프레임(100)이 상기 에어컨 본체(10)의 외측면과 천장의 내벽 사이에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11) 직하방에 상기 오수받이(200)가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중앙홀(210)을 통해 호스나 노즐, 분사기구 등의 세척도구를 인입시켜 에어컨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11)를 세척한다.
세척시 발생하는 오수는 상기 열교환기(11)를 타고 흘러내려 상기 단턱(600)에 낙하하게 되며, 낙하한 오수는 상기 오수받이(200)로 흘러들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오수받이(200)에 형성된 구배로 인해 상기 오수배출공(220)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고 오수는 상기 오수배출공(220)에 연결된 배출호스(700)를 통해 별도로 수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조프레임(100)과 단턱(500), 오수받이(200) 모두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작업시 수시로 세척상태를 확인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보강대(300)는 부수적으로 세척도구를 걸어 놓거나 필요한 도구를 올려놓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세척조프레임 110 : 판상 부재
200 : 오수받이
210 : 중앙홀 220 : 오수배출공
300 : 보강대
400 : 걸이부 410 : 걸이공
500 : 고정수단
510 : 고리 520 : 탄성줄
600 : 단턱
700 : 배출호스
10 : 1웨이 천장형 에어컨 본체
11 : 열교환기 12 : 팬

Claims (6)

1웨이 천장형 에어컨의 하측에 장착하여 에어컨 세척시 발생되는 오수를 수거할 수 있는 오수 수거대에 있어서,
투명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고, 1웨이 천장형 에어컨 본체의 3면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 판상부재가 서로 결합되되, 나머지 한 면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ㄷ'형의 세척조프레임;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하단에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절곡 또는 벤딩되어 'ㄷ'형을 이루어 세척시 낙하하는 오수를 수용하도록 구비되고, 중앙에 작업자의 신체 또는 작업도구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홀이 형성되며, 투명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세척조프레임과 일체로 성형되고, 일측으로 구배가 형성되고 구배의 끝에 오수배출공이 형성되는 오수받이;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오수받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보강대;
상기 세척조프레임의 외측면에 한 쌍이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1웨이 천장형 에어컨 본체의 상측을 둘러 상기 각 걸이부에 걸어 상기 세척조프레임과 오수받이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세척조프레임과 오수받이 사이에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단턱;을 포함하는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양측 상기 걸이부에 거는 고리와, 상기 고리를 이어주는 탄성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KR1020180039927A 2018-04-05 2018-04-05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KR102125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927A KR102125097B1 (ko) 2018-04-05 2018-04-05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927A KR102125097B1 (ko) 2018-04-05 2018-04-05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841A KR20190116841A (ko) 2019-10-15
KR102125097B1 true KR102125097B1 (ko) 2020-07-07

Family

ID=6820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927A KR102125097B1 (ko) 2018-04-05 2018-04-05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0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875B1 (ko) * 2009-04-14 2011-08-09 고정일 시스템에어컨 청소장치
KR101382720B1 (ko) * 2014-01-13 2014-04-08 김태준 천정 매립형 에어콘 청소용 보양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5694A (ja) * 1990-06-22 1992-02-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熱交換器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JP2673681B2 (ja) * 1995-10-13 1997-11-05 日菱冷熱株式会社 天井埋設型エアコンデショナーの熱交換器の洗浄装置
KR20010106921A (ko) 2000-05-24 2001-12-07 전승철 에어컨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875B1 (ko) * 2009-04-14 2011-08-09 고정일 시스템에어컨 청소장치
KR101382720B1 (ko) * 2014-01-13 2014-04-08 김태준 천정 매립형 에어콘 청소용 보양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841A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760B2 (en) Air conditioner water pan drain line system
KR20080041072A (ko) 공기조화기
CN107636414A (zh) 用于从空调收集和处理清洁废水和碎屑的设备和方法
KR102125097B1 (ko) 1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KR20190095201A (ko) 고압세척용 가림막부재
WO2020207311A1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102125098B1 (ko) 4웨이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오수 수거대
KR101325933B1 (ko) 천장 매립형 냉난방기의 흡입식 청소장치
WO2020248738A1 (zh) 过滤网清洗装置及空调器
WO2020216124A1 (zh) 防堵结构、底座及空调器
JP4670441B2 (ja) 換気装置
KR101055875B1 (ko) 시스템에어컨 청소장치
CN2374791Y (zh) 带冷凝水导流装置的空调器
CN210373815U (zh) 一种通风装置
CN105757953B (zh) 一种圆筒柜机接水盘上的定向溢流结构
CN209819844U (zh) 一种带过滤功能的中央空调风机盘管存水盘
CN208193925U (zh) 一种石英石生产用除尘箱
KR102335803B1 (ko) 지지와이어가 구비된 벽걸이 에어컨 세척커버
KR20150110003A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용 가대
KR200449762Y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 가대
KR200427543Y1 (ko) 천장형 에어컨 세척가대
JP2006223996A (ja) 天井取付型空気調和機用部品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CN209139424U (zh) 一种用于空调清洁的收集装置
CN114947658B (zh) 尘盒和扫地机
JP2016200320A (ja) 換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