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778B1 -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of shoulder and lumb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of shoulder and lum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8778B1 KR102118778B1 KR1020170167995A KR20170167995A KR102118778B1 KR 102118778 B1 KR102118778 B1 KR 102118778B1 KR 1020170167995 A KR1020170167995 A KR 1020170167995A KR 20170167995 A KR20170167995 A KR 20170167995A KR 102118778 B1 KR102118778 B1 KR 102118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shoulder
- lumbar
- lumbar support
- pul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7623 Lord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8930 Low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307 Sp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6 musculoskeletal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37 neck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34 poten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8 roug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32 should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78 spinal cor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61F5/048—Traction spl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 요추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골반을 커버하는 골반커버, 요추지지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흉추를 지지하는 흉추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프레임, 요추지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복부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허리벨트, 일단이 요추지지부의 측단에 고정되며 등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한 쌍의 어깨교정벨트, 어깨교정벨트의 타단과 당김벨트 사이에 연결되는 한 쌍의 당김와이어, 및 요추지지부에서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며 당김와이어를 견인하는 당김벨트를 포함하고, 허리벨트는 요추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압박하여 요추의 각도를 교정하고, 어깨교정벨트는 사용자의 등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된 후 당김벨트에 의해 견인되는 당김와이어에 의해 어깨굽음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umbar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umbar spine, a pelvic cov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umbar support portion to cover the pelvis, a body frame including a thoracic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lumbar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lumbar support portion A waist belt that is fastened to cover the abdomen, a pair of shoulder correction belts that are fixed to the side ends of the lumbar support and wrap the shoulders from the back through the armpits, and a pair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and the pulling belt It includes a pulling wire and a pulling belt that is fastened to slide in both directions from the lumbar support and pulls the pulling wire, and the waist belt corrects the angle of the lumbar spine by pressing the lumbar support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and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A posture that corrects shoulder bending and lumbar vertebrae angle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by correcting shoulder bending by a pulling wire pulled by a pulling belt after being worn in a manner that wraps the shoul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fter passing through the armpit from the back of the user It is about a teaching aid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세교정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teaching information assistance device.
살아가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질환에 시달린다. 생사를 오가는 큰 병에 걸리기도 하지만 지속적인 통증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작은 질병에 노출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척추 질환이다. 척추 질환은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근육과 인대가 굳어 통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시작되지만, 이를 방치하면 디스크와 같은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어 문제된다.In life, people suffer from various diseases. They suffer from large illnesses that go through life and death, but they are also exposed to small diseases that deteriorate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constant pain. A typical example is spinal disease. Spine disease begins as muscles and ligaments harden due to incorrect posture, causing pain, but if left unattended, it can develop into a disc-like diseas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5053호와 같이 종래 허리자세교정을 위한 벨트가 존재해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벨트는 신체의 일부만을 교정하는 보조기구에 불과하여 몸 전체의 자세를 교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As 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5053, a belt for waist posture correction has existed. However, the bel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only an auxiliary mechanism for correcting only a part of the body,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ture of the entire body cannot be corrected.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to solve such a problem, developed through trial and error,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동시에 어깨굽음을 교정할 수 있는 자세교정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ture correction information assisting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shoulder bending while simultaneously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lumbar spine.
본 발명의 제1국면은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 요추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골반을 커버하는 골반커버, 요추지지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흉추를 지지하는 흉추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프레임;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frame including a lumbar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lumbar spine, a pelvic cov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umbar support portion to cover the pelvis, and a thoracic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lumbar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thoracic spine;
요추지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복부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허리벨트;A waist belt that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lumbar support and is fastened to cover the abdomen;
일단이 요추지지부의 측단에 고정되며 등뒤에서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한 쌍의 어깨교정벨트;A pair of shoulder correction belts, which are fixed to the lateral end of the lumbar support and wrap the shoulders from the back to the top, passing through the armpits;
어깨교정벨트의 타단과 당김벨트 사이에 연결되는 한 쌍의 당김와이어; 및A pair of pulling wires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and the pulling belt; And
요추지지부에서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며 당김와이어를 견인하는 당김벨트를 포함하고,It is fastened to slide in both directions from the lumbar support and includes a pulling belt to pull the pulling wire,
허리벨트는 요추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도록 압박하여 요추의 각도를 교정하고,The waist belt corrects the angle of the lumbar spine by compressing the lumbar support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어깨교정벨트는 사용자의 등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된 후 당김벨트에 의해 견인되는 당김와이어에 의해 어깨굽음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를 제공한다.The shoulder correction belt is worn in such a way as to wrap the shoul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fter passing through the armpit from the user's back, and then correct the shoulder bending by the pulling wire pulled by the pulling belt. A posture correction information assisting device is provid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흉추지지부의 좌측상단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관통결합부;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through-combination part fixed to the upper left of the thoracic vertebrae support part to cooperate and move the pull wire movably;
흉추지지부의 우측상단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관통결합부;A second through-joining part fixed to the upper right of the thoracic vertebral support part to allow the pull wire to pass through and moveably;
요추지지부의 좌측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3관통결합부;A third through-joining part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lumbar support part so as to penetrate and move the pulling wire movably;
요추지지부의 우측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4관통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red that the lumbar support is further fixed to the right side to further include a fourth through-joining portion for fastening and moving the pull wir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좌측 어깨교정벨트의 타단에 연결된 제1당김와이어는 제1관통결합부 및 제4관통결합부를 관통하여 당김벨트에 체결되고,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pulling wi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ft shoulder correcting belt is fastened to the pulling belt through the first through coupling part and the fourth through coupling part,
우측 어깨교정벨트의 타단에 연결된 제2당김와이어는 제2관통결합부 및 제3관통결합부를 관통하여 당김벨트에 체결되는 것이 좋다.The second pulling wi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ight shoulder correction belt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pulling belt 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coupling part and the third through coupling par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당김벨트는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ull belt
당김와이어와 체결되며 요추지지부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는 와이어고정부;A wire fixing unit which is fastened to the pull wire and is slidably laterally sliding from the lumbar support;
와이어고정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부;A belt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wire fixing portion;
벨트부 말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A handle formed at a belt end; And
벨트부 내측에 형성되어 허리벨트의 외측과 결합되는 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velcro formed inside the belt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outside of the waist bel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프레임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이며, 요추지지부는 요추의 각도를 교정하기 위해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휘어진 구조이며, 골반커버는 하단이 골반의 곡선을 따라 만곡되어 골반을 지지하는 구조인 것이 좋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ody frame is made of plastic or metal, and the lumbar support portion is a structure that is curv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ward to correct the angle of the lumbar spine, and the pelvic cover is curved along the curve of the pelvis to support the pelvis. It is good to b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요추지지부 및 골반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요추지지부 및 골반커버가 당김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끌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돌기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좋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side of at least one of the lumbar support portion and the pelvic cover to prevent the lumbar support portion and the pelvic cover from being pulled upward by the tension of the pulling wire.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허리벨트를 이용하여 요추지지부를 허리에 밀착함으로써 요추의 각도를 바르게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허리가 굽어지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perly align the angle of the lumbar spine by closely contacting the lumbar support using the waist belt. Therefore, the posture in which the waist is bent can be corrected.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어깨교정벨트를 당김와이어를 이용하여 등 뒤에서 교차하여 견인함으로서 어깨굽음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당김와이어는 요추지지대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당김벨트에 의해 견인되고, 당겨진 당김벨트는 허리벨트 위에 고정되므로 매우 손쉽게 어깨교정벨트를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correct shoulder bending by pulling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across the back using a pulling wire. In addition, the pulling wire is towed by a pulling belt that slides laterally from the lumbar support, and the pulled pulling belt is fixed on the waist belt, so it is very easy to pull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어깨굽음과 허리 자세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capable of correcting shoulder bending and waist posture simultaneously.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in, it is noted that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tential effects thereof are handl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자세교정보조장치의 바람직한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당김벨트를 당겨 어깨교정벨트를 조이는 실시예를 나타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세교정보조장치를 착용하여 사용자의 어깨굽음과 요추각도를 교정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근육근막의 체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1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sture teaching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ightening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by pulling the pull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correcting the user's shoulder bending and lumbar lumbar angle by wearing the posture correction information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using the system of the muscular fascia.
※ The accompanying drawings indicate that they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fo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related well-known function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자세교정보조장치의 바람직한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sture teaching ai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세교정보조장치(100)는 본체프레임(110), 허리벨트(120), 어깨교정벨트(130), 당김와이어(140), 당김벨트(150)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posture correction
본체프레임(110)은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111), 요추지지부(1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골반을 커버하는 골반커버(112), 요추지지부(1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흉추를 지지하는 흉추지지부(113)를 포함한다.The
본체프레임(110)은 요추와 흉추 등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단단한 소재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프레임(11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요추지지부(111)는 요추의 각도를 교정하기 위해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휘어진 구조이다. 이로서 허리벨트(120)가 체결되면 요추지지부(111)가 사용자의 허리 뒤쪽에 밀착되어 요추의 각도를 바람직하게 교정할 수 있다.The
골반커버(112)는 하단이 골반의 곡선을 따라 만곡되어 골반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골반커버(112)는 골반의 윗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요추지지부(111)와 골반커버(112)가 형성하는 각도는 요추와 골반의 바람직한 자세와 일치하도록 형성한다. 이로서 요추지지부(111)와 골반커버(112)는 요추와 골반의 각도를 바람직하게 교정할 수 있다.The
흉추지지부(113)의 양측단에는 어깨교정벨트(130)를 고정하는 벨트고정부(114)가 형성된다. 벨트고정부(114)는 어깨교정벨트(130)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벨트고정부(114)는 겨드랑이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 안에 고정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흉추지지부(113)는 벨트고정부(114)의 높이를 사용자에 맞춰 변경할 수 있도록 벨트높이조정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벨트높이조정부는 흉추지지부(113)의 양측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벨트고정부(11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흉추지지부(113)는 흉추지지부(113)의 좌측상단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관통결합부(115), 흉추지지부(113)의 우측상단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관통결합부(116)를 포함한다.The
요추지지부(111)는 요추지지부(111)의 좌측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3관통결합부(117), 요추지지부(111)의 우측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4관통결합부(118)를 포함한다.The
본체프레임(110)은 요추지지부(111)와 골반커버(112)가 형성하는 각도, 및 말단부가 몸 안쪽으로 만곡된 골반커버(112)가 측면에서 S자 형태이기 때문에 허리벨트(120)를 체결하여 사용자의 몸에 본체프레임(110)을 밀착시킨 후에는, 당김와이어(140)가 어깨교정벨트(130)를 당기더라도 본체프레임(110)이 사용자의 머리방향으로 말려올라가지 않는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프레임(110)의 내측면에는 본체프레임(110)이 당김와이어(140)의 장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끌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는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형태 또는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마찰력을 높인 형태일 수 있다. 돌기부는 요추지지부(111) 및 골반커버(112)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골반커버(112)의 하단에는 본체프레임(110)이 머리방향으로 말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밴드가 추가될 수 있다. 고정밴드는 사용자의 다리 사이를 지나 고정되거나 앉았을 때 무릎에 고정될 수 있다.The
허리벨트(120)는 요추지지부(11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복부를 감싸도록 체결된다. 허리벨트(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벨트체결부(121)는 암수체결클립일 수도 있지만 벨크로 형태일 수도 있다. 벨트체결부(121)가 벨크로인 경우 일측 허리벨트(120)가 타측 허리벨트(120)의 상면을 커버하는 방식으로 허리벨트(120)가 체결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허리사이즈와 무관하게 허리벨트(120)가 체결되므로 길이조절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The
어깨교정벨트(130)는 일단이 요추지지부(111)의 측단에 고정되며 등 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형태이다. 어깨교정벨트(130)는 사용자의 등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된 후 당김벨트(150)에 의해 견인되는 당김와이어(140)에 의해 어깨굽음을 교정한다. 어깨교정벨트(130)는 착용감 향상을 위해 소정의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경우에 따라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어깨교정벨트(130)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131)는 벨크로 방식일 수 있다.The
당김와이어(140)는 어깨교정벨트(130)의 타단과 당김벨트(150) 사이에 연결되며, 어깨교정벨트(130)를 견인하여 어깨굽음을 교정할 수 있도록 장력을 제공한다.The pulling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 쌍의 당김와이어(140)는 제1당김와이어(141) 및 제2당김와이어(143)를 포함하며, 제1당김와이어(141) 및 제2당김와이어(143)는 서로 교차되어 체결된다. 예를 들어 좌측 어깨교정벨트(130)의 타단에 연결된 제1당김와이어(141)는 제1관통결합부(115) 및 제4관통결합부(118)를 관통하여 당김벨트(150)에 체결된다. 우측 어깨교정벨트(130)의 타단에 연결된 제2당김와이어(143)는 제2관통결합부(116) 및 제3관통결합부(117)를 관통하여 당김벨트(15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1당김와이어(141) 및 제2당김와이어(143)가 교차되어 체결되면 당김벨트(150)를 당기는 힘이 적더라도 용이하게 어깨교정벨트(130)를 당길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ir of
당김벨트(150)는 요추지지부(111)에서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며 당김와이어(140)를 견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당김벨트(150)는 당김와이어(140)와 체결되며 요추지지부(111)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는 와이어고정부(151), 와이어고정부(15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부(153), 벨트부(153) 말단에 형성되는 손잡이(155), 및 벨트부(153) 내측에 형성되어 허리벨트(120)의 외측과 결합되는 벨크로(157)를 포함할 수 있다. 벨크로(157)에 의해서 허리벨트(120) 상면에 당김벨트(150)가 고정된다.The pulling
도 2는 본 발명의 당김벨트를 당겨 어깨교정벨트를 조이는 실시예를 나타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ightening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by pulling the pull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먼저 사용자가 어깨교정벨트(130)를 양쪽 어깨에 착용한다. 벨크로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허리벨트(120)를 사용자의 허리사이즈에 맞게 착용한다. 허리벨트(120)에 의해 요추지지부(111)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면서 요추의 각도가 정상적으로 교정된다.2, the user first wears the
양 손으로 당김벨트(150)를 측방향으로 당기면 당김와이어(140)가 어깨교정벨트(130)를 견인하여 어깨굽음을 교정한다. 당김벨트(150)를 충분히 당겼으면 당김벨트(150) 내측에 형성된 벨크로를 이용하여 당김벨트(150)를 허리벨트(120) 상면에 고정한다.When the pulling
도 3은 본 발명의 자세교정보조장치를 착용하여 사용자의 어깨굽음과 요추각도를 교정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correcting the user's shoulder bending and lumbar lumbar angle by wearing the posture correction information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a)와 같이 올바르지 않은 자세, 특히 어깨가전방으로 굽고, 허리가 구부정한 자세에서는 어깨는 물론 목근육에 무리가 가며 허리에 상당한 하중이 가해져 디스크나 요통과 같은 질환을 야기하게 된다.3(a), an incorrect posture, in particular, bending to the front of the shoulder, and in a posture where the waist is bent, a considerable load is applied to the shoulder as well as the neck muscles and a considerable load is applied to the waist, causing diseases such as a disc or low back pain.
그런, 도 3 (b)와 같이 허리벨트를 당겨 요추지지부를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시켜 요추의 각도를 정상적으로 교정하고, 당김벨트를 측방향으로 당긴 후 당김벨트 내측에 설치된 벨크로를 이용하여 허리벨트 상면에 고정하면, 당김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어깨교정벨트가 사용자의 굽은 어깨를 펴개된다. 특히, 당김와이어가 어깨교정벨트를 당기면 흉추지지부(113)에 요추 및 흉추부분이 밀착되며 도 3 (b)와 같이 척추와 어깨의 자세가 교정된다. 당김와이어를 당겨 어깨는 물론 흉추와 요추의 자세를 교정하는 것은 마치 마무가 마차에 묶여있는 말의 고삐를 뒤로 당겨 말의 허리를 곧추세우는 원리와 유사하다고 할 것이다. 특히 당김와이어는 사용자의 등 뒤에서 크로스 되어 당김벨트와 연결되는데, 이는 신체의 근막의 구조와 대응되기 때문에 당김와이어 및 당김벨트를 이용하는 것은 신체의 해부학적 구조에서 착안한 것으로 선행기술들에서는 볼 수 없는 원리라 하겠다.Then, as shown in FIG. 3(b), the lumbar support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waist to correct the lumbar angle normally, and after pulling the pulling belt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ist belt using the velcro installed inside the pulling belt. When fixed to, the tensioning belt tension pulls the user's curved shoulder straight. Particularly, when the pulling wire pulls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the lumbar and thoracic vertebra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도 4 내지 도 6은 근육근막의 체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by using the muscular fascia system.
도 4 및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근육근막경선체계는 근육조직 내에서 전체적으로 작용하는 긴 장력의 띠와 고리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선선(Spiral Line)은 후두골 능선과 경추에서 시작해서 등 윗부분을 가로질러 반대쪽 어깨에서 늑골주위를 감싸고 복부에서 고관절 방향으로 교차하여 내려온다. 나선선은 어깨를 안정화시키는 전거근과 능형근을 따라 주행하므로 어깨의 자세와 연관성이 있다. 또한 등과 복부을 감싸므로 척추의 자세와 연관성이 있다. As can be seen in Figures 4 and 5, the musculoskeletal system can be seen as a long-strength band and rings that act as a whole within the muscle tissue. For example, the Spiral Line starts from the occipital ridge and cervical vertebrae, and crosses the ribs from the opposite shoulder across the upper back and crosses down from the abdomen to the hip joint. The spiral runs along the anterior and rhomboid stabilizing shoulders, which is related to the posture of the shoulders. Also, because it wraps around the back and abdomen, it is related to the posture of the spine.
종래에는 근육을 기능적으로 분리해서 연구했다. 예를 들어 팔꿈치를 구부리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두근이 존재한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팔꿈치를 구부리는데 이두근만이 관여하며 다른 근육들은 팔꿈치를 구부리는데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본다.Previously, muscles were functionally separated and studied. For example, the biceps existed to perform the function of bending the elbow. Therefore, only the biceps are involved in bending the elbow, and other muscles have no effect on bending the elbow.
그러나 근육근막경선체계는 보다 큰 관점에서 신체의 자세와 동작을 연구한다. 즉 개별 근육이 고유의 기능에 따라 동작하는 동안에도 거미줄처럼 길게 연결된 근육근막이 전신에 걸쳐 기능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어깨를 뒤로 젖히면 척추의 전만각이 정상적으로 교정된다. 어깨와 척추는 근육근막에 의해 서로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나선선은 어깨를 안정화시키는 전거근과 능형근을 따라 주행하므로 어깨의 자세와 연관성이 있고, 동시에 등과 복부을 X자 형태로 크게 감싼 후 골반으로 주행하므로 척추의 자세와도 연관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어깨와 허리, 복부에 착용되어 나선선의 기능을 보조하여 어깨굽음과 척추의 각도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However, the muscular fascia system studies the posture and movement of the body from a larger perspective. That is, while individual muscles operate according to their own functions, the muscle fascia, which is long connected like a spider web, functions throughout the entire bod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when the shoulder is tilted back, the lordosis angle of the spine is corrected normally. This is because the shoulder and spine are mutually affected by the muscular fascia. For example, the helix is related to the posture of the shoulder as it travels along the proximal and rhomboid muscles that stabilize the should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related to the posture of the spine because it travels to the pelvis after largely wrapping the back and abdomen in an X-shap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angle of the shoulder bend and the spine by supporting the function of the helix worn on the shoulder, waist and abdomen.
본 발명의 근육근막을 따라 배치된 어깨교정벨트는 일단이 요추지지부의 측단에 고정되며 등 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형태이다. 어깨교정벨트는 사용자의 등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된 후 당김벨트에 의해 견인되는 당김와이어에 의해 어깨굽음을 교정한다. 어깨굽음이 교정되면 도 6과 같이 척추의 전만각이 교정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허리벨트를 이용하여 척추를 교정하는 효과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The shoulder correction belt disposed along the muscular fasci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fixed to the lateral end of the lumbar support, and is a form that wraps the shoul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fter passing through the armpit from the back.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is worn in such a way as to wrap the shoul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fter passing through the armpit from the back of the user, and then correct the shoulder bending by the pulling wire pulled by the pulling belt. When the shoulder flexion is corrected, there is an effect in which the lordosis angle of the spine is corrected as shown in FIG. 6.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spine using the waist belt.
이와 같이 어깨의 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바르게 교정하면 올바른 허리자세를 유지하여 척수흐름과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체내 장기들의 기능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척추와 목에 무리가 가지 않으므로 피로감이 적고 디스크나 요통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단순히 요추의 각도를 교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깨굽음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신체 벨런스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Correctly correcting the angles of the bend and lumbar vertebrae in this way can maintain the correct waist posture to smooth spinal cord flow and metabolism to normalize the functions of organs in the body.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strain on the spine and neck, there is little fatigue and can prevent diseases such as discs and low back pain. In particular, since not only simply correcting the angle of the lumbar spine, but also correcting shoulder flexion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overall body balance.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once again pointed ou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by the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laims (6)
요추지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복부를 감싸도록 체결되는 허리벨트;
일단이 요추지지부의 측단에 고정되며 등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한 쌍의 어깨교정벨트;
일단이 어깨교정벨트의 타단과 연결되는 한 쌍의 당김와이어; 및
당김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며, 요추지지부에서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는 당김벨트를 포함하고,
허리벨트는 요추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 뒤쪽에 밀착되도록 압박하고, 골반커버의 만곡된 하단이 사용자의 골반에 밀착되도록 지지하여, 요추지지부와 골반커버가 형성하는 각도에 맞춰 사용자의 요추와 골반의 각도가 교정되도록 하고,
어깨교정벨트는 사용자의 등뒤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아래에서 위로 어깨를 감싸는 방식으로 착용된 후 당김벨트에 의해 견인되는 당김와이어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어깨굽음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It includes a lumbar support to support the lumbar spine, a pelvic cov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umbar support to cover the pelvis, and a thoracic support to extend upward from the lumbar support to support the thoracic spine, and the lumbar support is inward to correct the angle of the lumbar spine. The structure is curv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pelvic cover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is curved along the curve of the pelvis to support the pelvis. The support portion, the pelvic cover and thoracic support portion is a body frame of a rigid plastic or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A waist belt that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lumbar support and is fastened to cover the abdomen;
One end is fixed to the lateral end of the lumbar support and a pair of shoulder correction belts covering the shoulder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fter passing through the armpit from the back;
A pair of pull wires, on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An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wire, and includes a pulling belt that is fastened to slide in both directions from the lumbar support,
The waist belt supports the lumbar suppo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s waist, and supports the curved bottom of the pelvic cov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pelvis, accor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lumbar support and the pelvis cover, the angle of the user's lumbar and pelvis Is corrected,
The shoulder correction belt is worn in such a way as to wrap the shoul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after passing through the armpit from the user's back, and then correct the shoulder bending as it is pulled by the pulling wire pulled by the pulling belt. A posture correction information assisting device that simultaneously corrects the angle.
흉추지지부의 좌측상단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관통결합부;
흉추지지부의 우측상단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관통결합부;
요추지지부의 좌측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3관통결합부; 및
요추지지부의 우측에 고정되어 당김와이어를 관통 및 이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제4관통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hrough-joining part fixed to the upper left of the thoracic vertebral support part and movably fastened through the pull wire;
A second through-joining part fixed to the upper right end of the thoracic lumbar support part to slidably pull and move the pulling wire;
A third through-joining part fixed to the left side of the lumbar support part so as to penetrate and move the pull wire movably; And
A posture correction aid device for correcting the angle of the shoulder flexion and the lumbar spine at the same time; further comprising: a fourth through coupling part fixed to the right side of the lumbar support part to slidably pull and move the pull wire.
좌측 어깨교정벨트의 타단에 연결된 제1당김와이어는 제1관통결합부 및 제4관통결합부를 관통하여 당김벨트에 체결되고,
우측 어깨교정벨트의 타단에 연결된 제2당김와이어는 제2관통결합부 및 제3관통결합부를 관통하여 당김벨트에 체결되는 것인,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pulling wi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ft shoulder correction belt is fastened to the pulling belt through the first through coupling part and the fourth through coupling part,
The second pulling wi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ight shoulder correction belt is a posture correction information assisting device that simultaneously corrects the angle of the shoulder bend and the lumbar spine by passing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penetration joints and fastening to the pulling belt.
당김벨트는
당김와이어와 체결되며 요추지지부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체결되는 와이어고정부;
와이어고정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부;
벨트부 말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벨트부 내측에 형성되어 허리벨트의 외측과 결합되는 벨크로를 포함하는 것인,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Pull belt
A wire fixing part that is fastened to the pull wire and is slidably laterally sliding from the lumbar support;
A belt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wire fixing portion;
A handle formed at a belt end; And
A posture correction information assisting device that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elt part and includes a velcro that is coupled with the outside of the waist belt, and simultaneously corrects the angle of the shoulder flexion and the lumbar spine.
요추지지부 및 골반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요추지지부 및 골반커버가 당김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끌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돌기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인, 어깨굽음과 요추의 각도를 동시에 교정하는 자세교정보조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inside of at least one of the lumbar support and the pelvic cover is formed with a large number of protruding protrusions to prevent the lumbar support and the pelvic cover from being pulled upward by the tension of the pulling wire. Posture correction information assisting device to correct at the same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995A KR102118778B1 (en) | 2017-12-08 | 2017-12-08 |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of shoulder and lumb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995A KR102118778B1 (en) | 2017-12-08 | 2017-12-08 |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of shoulder and lumb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8020A KR20190068020A (en) | 2019-06-18 |
KR102118778B1 true KR102118778B1 (en) | 2020-06-03 |
Family
ID=6710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7995A Active KR102118778B1 (en) | 2017-12-08 | 2017-12-08 |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of shoulder and lumb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877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5847B1 (en) * | 2021-06-11 | 2021-12-06 | 주식회사 스피루스 | Apparatus of correcting posture and turtle neck using tightening correction part |
KR102376452B1 (en) * | 2021-05-12 | 2022-03-18 | 황재호 | Cervical brace |
US11896510B2 (en) * | 2021-12-18 | 2024-02-13 | Kenneth K. Hansraj | Spine force modulating assembly |
WO2024205697A1 (en) * | 2023-03-27 | 2024-10-03 | Luna Labs Usa, Llc | Wearable posture support devic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8007B1 (en) | 2020-02-06 | 2020-11-12 | 이지훈 | Cervical spine support for posture correction with swing |
KR20210100296A (en) | 2020-02-06 | 2021-08-17 | 이지훈 | Lumbar support for posture correction with swing |
KR102495559B1 (en) * | 2020-03-27 | 2023-02-06 | 고정현 | Posture correction |
KR102182208B1 (en) * | 2020-04-08 | 2020-11-24 | 권서우 | Posture correction device with double correction structure |
CN111603286B (en) * | 2020-06-24 | 2024-04-19 | 吉林大学 | Lumbar vertebra lateral bending orthotic devices with adjustable |
KR102594952B1 (en) | 2021-05-14 | 2023-10-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active postur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KR20230039248A (en) * | 2021-09-14 | 2023-03-21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Correction brace for round shoulder posture |
KR102613086B1 (en) * | 2021-11-18 | 2023-12-15 | (주)스파인닥터스 | Spine kyphosis corrector |
KR20230083653A (en) * | 2021-12-03 | 2023-06-12 | 밸류앤드트러스트(주) | A wearing type supporting apparatus for human body |
CN114145897A (en) * | 2021-12-06 | 2022-03-08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Shoulder and back traction waist support belt device |
KR102682394B1 (en) * | 2024-04-15 | 2024-07-05 | (주)아드리움 | Posture correction band to improve spinal fun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323753Y (en) | 1998-01-21 | 1999-06-16 | 陈靖 | Orthopedic health back belt |
JP2001218779A (en) * | 1999-11-30 | 2001-08-14 | Kyoto Seni Kogyo:Kk | Posture correcting corset for upper half body |
JP5528748B2 (en) | 2009-09-15 | 2014-06-25 | 中山式産業株式会社 | Posture correction belt |
US20160038331A1 (en) | 2013-03-25 | 2016-02-11 | Strong Arm Technologies, Inc. | Self-activated lifting vest with sensory-feedback and methods of use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5276B1 (en) * | 2015-06-12 | 2017-01-11 | 강선영 | Scoliosis brace |
-
2017
- 2017-12-08 KR KR1020170167995A patent/KR1021187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323753Y (en) | 1998-01-21 | 1999-06-16 | 陈靖 | Orthopedic health back belt |
JP2001218779A (en) * | 1999-11-30 | 2001-08-14 | Kyoto Seni Kogyo:Kk | Posture correcting corset for upper half body |
JP5528748B2 (en) | 2009-09-15 | 2014-06-25 | 中山式産業株式会社 | Posture correction belt |
US20160038331A1 (en) | 2013-03-25 | 2016-02-11 | Strong Arm Technologies, Inc. | Self-activated lifting vest with sensory-feedback and methods of use thereof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6452B1 (en) * | 2021-05-12 | 2022-03-18 | 황재호 | Cervical brace |
KR102335847B1 (en) * | 2021-06-11 | 2021-12-06 | 주식회사 스피루스 | Apparatus of correcting posture and turtle neck using tightening correction part |
US11896510B2 (en) * | 2021-12-18 | 2024-02-13 | Kenneth K. Hansraj | Spine force modulating assembly |
WO2024205697A1 (en) * | 2023-03-27 | 2024-10-03 | Luna Labs Usa, Llc | Wearable posture support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8020A (en) | 2019-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8778B1 (en) | Apparatus for correcting posture of shoulder and lumbar | |
US5135470A (en) | Shoulder and back support brace | |
US5199940A (en) | Posture training and correcting device | |
US7871388B2 (en) | Posture improvement device and method of use | |
US5840051A (en) | Flexible back, neck and shoulder brace | |
US7037284B2 (en) | Specific pelvic compression belt | |
US5207627A (en) | Device for decompressing the spine and method | |
US9968474B2 (en) | Corrective cervical stretching device | |
KR101584194B1 (en) | Spine protective and corrective equipment | |
US5588941A (en) | Spine theraphy and exercise device | |
US20150133842A1 (en) | Tensioning system for dorsal orthopedic supports for the vertebral column | |
KR101723920B1 (en) | Compression wear capabel of postural correction of shoulder and upper body | |
US20200276043A1 (en) | Trunk orthosis | |
CN112584800A (en) | Vertebral appliance embodying optimal three-point compression function and vertebral scoliosis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 |
US5782781A (en) | All-in-one girdling belt for lumbar and coxa support | |
KR102253097B1 (en) | Shoulder posture correction device | |
KR20120116264A (en) | A band for balanced posture | |
KR102190685B1 (en) | remedying belt for spine fixing and pulling | |
KR100999933B1 (en) | Posture correction brace | |
JP3200538B2 (en) | Pelvic stability supporter and pelvic stability pants | |
KR200444532Y1 (en) | 휜 Exercise equipment for leg correction | |
US11607333B2 (en) | Core training suit for scoliosis | |
KR200275189Y1 (en) | Exercis appliances for belt type of a straightening of human body | |
CN216934598U (en) | Adjustable wearing formula back muscle exercise appurtenance | |
AU607859B2 (en) | Shoulder and back support br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