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251B1 -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251B1
KR102098251B1 KR1020190045694A KR20190045694A KR102098251B1 KR 102098251 B1 KR102098251 B1 KR 102098251B1 KR 1020190045694 A KR1020190045694 A KR 1020190045694A KR 20190045694 A KR20190045694 A KR 20190045694A KR 102098251 B1 KR102098251 B1 KR 102098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car
needle
auxiliary device
hook
device u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학
오상하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5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251B1/ko
Priority to PCT/KR2020/005187 priority patent/WO2020213999A1/ko
Priority to US17/604,565 priority patent/US202201754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2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diameter or the orientation of the entrance port of the cannula, e.g. for use with different-sized instruments, reduction ports, adapter seals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ergonomic, e.g. fitting in f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3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connectable to a 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58Material properties high friction or non-sl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는 환자의 피부를 관통하며 외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바늘; 및 상기 바늘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바늘이 내부에 배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늘의 체결홈에 삽입 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PENETRATION NEEDLE DEVICE AND ASSISTANT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혈액이나 장액, 삼출액을 바로 배출하지 않으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혈액이나 삼출액을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해 음압을 이용하는 '의료용 저압 지속 흡인기'를 사용한다. {상품명: 헤모박(Hemovac, Zimmer, 미국), 바로박(Barovac, 세원메디칼, 한국)}
이러한 의료용 흡인기는 배액 용기, 피부를 관통하는 투관침 및 배액 용기와 투관침을 연결하는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투관침은 의료 행위자가 환자의 피부 밖으로 피부를 관통시킬 때 편의를 위해 약 20ㅀ 내지 30ㅀ가량 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투관침은 금속 재질의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수술 시 수술용 장갑에는 체액 등이 묻어 있기 때문에 투관침을 사용하여 피부를 관통시키는 경우 투관침을 파지하기가 어려웠으며, 관통 시 쉽게 회전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투관침을 사용하기 어렵다거나 회전하면서 미끄러지는 바늘의 휘어진 날카로운 끝부분에 의해 환자의 장기 및 혈관, 신경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배액이 잘 될 수 있도록 신체의 기저부에 투관침을 위치시키는 경우, 또는 바늘이 관통한 피부에 필연적으로 남게 되는 흉터를 미용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해 겨드랑이와 같은 주름에 의해 가려지는 부위에 의도적으로 투관침을 위치시키는 경우에, 원하지 않는 위치에 투관침이 삽입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특허문헌 1이 제시된다. 특허문헌 1에는, 인도용 바늘의 둘레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손잡이부를 형성하거나 별도로 후단부 내측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며 탈, 부착할 수 있는 고정손잡이에 대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투관침을 원하는 부위로 유도하고 경피적으로 관통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 될 수 있고, 사용 시 회전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날카로운 투관침을 완전히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투관침 구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0199호 공보(2015.07.22)
본 발명은 사용 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투관침 기기와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관침으로부터 보조장치를 한 손으로 분리 가능한 투관침 기기와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대칭의 구조로 사용자의 위치나 손의 방향에 대한 구분 없이 보조장치를 분리 가능한 투관침 기기와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하는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한 마찰력뿐 아니라 밀고 당기는 힘도 작용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투관침 기기와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늘에 연결된 튜브와 보조장치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투관침 기기와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관침이 가지는 굴곡과 관련하여 분리 방향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최소한의 힘으로 분리할 수 있는 투관침 기기와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하는 부분은 인체공학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투관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보조장치를 통해 투관침의 휘어진 방향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 상기에 기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투관침 기기와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바늘; 및 상기 바늘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바늘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의 체결홈에 삽입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홈으로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걸림부가 요입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보다 상기 바디의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진퇴가능하게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늘이 상기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형상을 갖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이 상기 고정부의 자유단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부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늘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고, 곡선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투관침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바늘을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로서, 상기 바늘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의 체결홈에 삽입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홈으로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걸림부가 요입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보다 상기 바디의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진퇴가능하게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늘이 상기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형상을 갖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이 상기 고정부의 자유단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부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늘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편리하게 보조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대 측의 손을 사용할 수 있어 투관침이 경피적(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뚫고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상반된 힘을 가함으로써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우 대칭의 구조로 구비된 보조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나 손의 방향에 대한 구분없이 분리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에서 파지부를 제공하는 보조장치의 양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2개의 플랜지 구조를 통해 파지하는 손가락의 접촉면에 대한 마찰력뿐 아니라 밀고 당기는 힘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관침에서 보조장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후하방으로 제거되므로 튜브와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관침에서 파지부를 제공하는 보조장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투관침이 가지는 굴곡과 관련하여 분리방향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최소한의 힘으로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관침에서 파지부를 제공하는 보조장치는 인체공학적 구성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투관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보조장치를 통해 투관침의 휘어진 방향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후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1)는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혈액이나 삼출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저압 지속 흡인기에 포함되며, 체내에 거치하게 되는 튜브와 연결된 것으로서, 환자의 피부를 관통하며 외주면에 체결홈(121)이 형성된 바늘(100) 및 바늘(100)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늘(100)은 환자의 피부를 관통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바늘(1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첨단(111)이 형성된 전단부(110)와 전단부(110)의 타측에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 튜브(t)가 연결되는 후단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단부(120)는 전단부(1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단부(120)의 길이방향 중심 축과 전단부(110)의 길이방향 중심 축 사이의 각도는 20ㅀ 내지 30ㅀ일 수 있다.
바늘(100)의 외주면에는 체결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체결홈(121)은 후단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21)은 후술할 보조장치(200)와 바늘(100)의 체결을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늘(100)의 외주면에서 소정 깊이 인입된 그루브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홈(121)은 보조장치(200)의 후크(220)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늘(100)외주면의 반경방향 양측에 대칭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늘(100)의 외주면에는 체결홈(121)과 연결된 가이드 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22)은 일측이 체결홈(121)과 연결될 수 있으며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홈(122)을 곡선으로 연장시킴으로써 보조장치(200)가 바늘(100)에 착탈될 때 튜브(t)와 간섭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가이드 홈(122)은 바늘(100)의 외주면에서 소정 깊이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홈(121)이 바늘(100)의 외주면에서 인입된 깊이는 가이드 홈(122)이 바늘(100)의 외주면에서 인입된 깊이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 홈(122)은 보조장치(200) 착탈 시 후크(2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더하여, 체결홈(121) 및 가이드 홈(122)은 바늘의 장축에 대하여, 전술한 바늘의 전단부(110)와 후단부(120)가 이루는 일정 각도에 비추어 볼 때 역학적으로 최소한의 힘으로 분리 가능한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바늘(100)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대칭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늘(100)에는 보조장치(2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장치(200)는, 사용자가 투관침 기기(1)를 사용하는 경우, 바늘(1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바늘(10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장치(200)는 바늘(100)이 내부에 배치되는 바디(210) 및 바디(210)를 관통하여 바늘(100)의 체결홈(121)에 삽입되는 후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바늘(10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210)는 바늘(10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S)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간(S)은 바늘(1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디(210)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100)은 바디(210)의 측면에 삽입되어 내부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S)의 상측 및 하측 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210)는 바늘(100)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바늘(100)은 내부 공간(S)의 상측 및 하측 단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디(210)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11)는 사용자가 바디(210)를 파지하는 경우 바디(210)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부(211)는 바디(21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미끄럼 방지부(211)는 제안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210)에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 한 미끄럼 방지 패드, 복수의 돌기, 요철부 등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바디(2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보조장치(200)를 파지하였을 때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212)는 바디(210)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부(211)에 비하여 바디(210)의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표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걸림부(212)는 바디(210)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부(211)에 비하여 제1 플랜지(230)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걸림부(212)는 바디(210)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부(211)에 비하여 제2 플랜지(240)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한편, 보조장치(200)는 바디(210)의 일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230) 및 바디(210)의 타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230)는 일 예로서, 바디(210)의 하측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플랜지(240)는 바디(210)의 상측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플랜지(230)와 제2 플랜지(240)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210)를 파지하여 밀고 당기는 힘에 상응하도록, 플랜지를 이용하여 바늘(100)의 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
보조장치(200)는 후크(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크(220)에 의해 보조장치(200)는 바늘(100)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후크(220)는 바디(210)의 양측에 대칭 형상으로 서로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후크(220)의 적어도 일부는 바디(210)를 관통하여 바늘(100)의 체결홈(12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이드 홈(122)에 후크(22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바늘(100) 또는 보조장치(200)를 가압하는 경우 후크(220)는 가이드 홈(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 후 체결홈(121)에 삽입될 수 있다.
후크(220)는 적어도 일부분이 바디(210) 내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220)는 바디(210)에 고정되는 고정부(221), 고정부(221)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바디(210) 내측에 배치되는 결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21)와 결합부(222) 사이에는 간극(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부(222)는 고정부(221)에 연결된 일측 단부를 피봇점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결합부(222)를 가이드 홈(122)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바늘(100) 또는 보조장치(200)를 가압하면, 결합부(222)가 회전하여 고정부(221)와의 간극(D)이 줄어들 수 있으며, 바늘(100)이 바디(210)의 내부 공간(S)으로 진입함에 따라 결합부(222)는 가이드 홈(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 후 체결홈(121)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220)의 구조는 변경가능하다.
또한, 고정부(221)에는 결합부(222)를 대향하는 면에 표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된 요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극(D)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결합부(222)가 회전할 때, 요홈(224)에 의해 고정부(221)와 결합부(222)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결합부(222)의 회전 범위가 더욱 늘어나게 된다.
또한, 후크(220)는, 고정부(221)와 결합부(222) 각각의 자유단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2)의 자유단이 고정부(221)의 자유단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2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관침 기기의 개략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220)는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222) 및 바디(210)에 연결되고 결합부(222)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코일 스프링)(2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22)는 바디(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22)는 회전축 부재(222a)에 의해 바디(210)에 결합되어 회전축 부재(222a)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223)는 결합부(222)의 일측 및 바디(210)에 결합되어 결합부(222)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탄성 부재(223)에 의해 결합부(222)의 타측 단부는 바디(10)의 내부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크(220)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와 유사하게 바늘(100)이 바디(210)의 내부 공간(S)으로 진입함에 따라 결합부(222)의 타측 단부가 내부 공간(S) 외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바늘(100)이 바디(210)의 내부 공간(S)에 진입하면 다시 내부 공간(S) 내측으로 회전하여 체결홈(121)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관침 기기(1)은 바늘(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장치(20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투관침 기기(1)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바늘(100)의 외주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늘(100)이 사용 중에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투관침 100: 바늘
110: 전단부 120: 후단부
200: 보조장치 210: 바디
211: 미끄럼 방지부 220: 후크
221: 고정부 222: 결합부
222a: 회전축 부재 223: 탄성 부재
230:제1 플랜지 240: 제2 플랜지

Claims (27)

  1. 외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바늘; 및
    상기 바늘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바늘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의 체결홈에 삽입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늘이 상기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
    투관침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투관침 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투관침 기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홈으로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걸림부가 요입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보다 상기 바디의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투관침 기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는,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진퇴가능하게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형상을 갖는,
    투관침 기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이 상기 고정부의 자유단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투관침 기기.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부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고, 곡선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투관침 기기.
  15. 외주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바늘을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로서,
    상기 바늘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의 체결홈에 삽입 가능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바늘이 상기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된,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된 홈으로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걸림부가 요입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보다 상기 바디의 단부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일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1 플랜지; 및
    상기 바디의 타측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내측으로 진퇴가능하게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이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되는 형상을 갖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25.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자유단이 상기 고정부의 자유단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26.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바디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부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27.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바디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투관침 기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KR1020190045694A 2019-04-18 2019-04-18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KR102098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94A KR102098251B1 (ko) 2019-04-18 2019-04-18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PCT/KR2020/005187 WO2020213999A1 (ko) 2019-04-18 2020-04-17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US17/604,565 US20220175417A1 (en) 2019-04-18 2020-04-17 Trocar instrument and auxiliary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94A KR102098251B1 (ko) 2019-04-18 2019-04-18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251B1 true KR102098251B1 (ko) 2020-04-07

Family

ID=7029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694A KR102098251B1 (ko) 2019-04-18 2019-04-18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75417A1 (ko)
KR (1) KR102098251B1 (ko)
WO (1) WO20202139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99A1 (ko) * 2019-04-18 2020-10-22 충남대학교병원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686A (ja) * 1997-11-11 1999-05-25 Takeda Chem Ind Ltd 注射筒用外装保持具
KR101540199B1 (ko) 2014-12-26 2015-07-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기튜브 인도용 바늘
KR101905572B1 (ko) * 2018-03-05 2018-10-10 육지형 봉합작업이 편리한 트로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9755A (ja) * 2001-12-28 2003-07-1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下手術用トロッカー
KR101808442B1 (ko) * 2016-08-23 2017-12-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KR102098251B1 (ko) * 2019-04-18 2020-04-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686A (ja) * 1997-11-11 1999-05-25 Takeda Chem Ind Ltd 注射筒用外装保持具
KR101540199B1 (ko) 2014-12-26 2015-07-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기튜브 인도용 바늘
KR101905572B1 (ko) * 2018-03-05 2018-10-10 육지형 봉합작업이 편리한 트로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3999A1 (ko) * 2019-04-18 2020-10-22 충남대학교병원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99A1 (ko) 2020-10-22
US20220175417A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990B2 (en) Blood expression device
US4938743A (en) Surgical apparatus for performing suction lipectomy
US20220061881A1 (en) Sheath assembly having an echogenic structure
JP6164698B2 (ja) 外科用トロカール
WO2016103366A1 (ja) 切開用手術器械
KR102098251B1 (ko) 투관침 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장치
JP6345680B2 (ja) 心房開創器
WO2022232582A1 (en) Cutting device for trigger finger and other soft tissues
US20220346819A1 (en) Cutting device for trigger finger and other soft tissues
US20130197553A1 (en) Cutting device for cutting tissue
US6613039B1 (en) Safety guide for surgical placement of sharp instruments
US20220142665A1 (en) Cutting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WO2019240110A1 (ja) 穿刺補助具
US20220257160A1 (en) Device for arterial puncture assistance
US10603071B1 (en) Cutting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4000638B (zh) 一种剪切血管的专用手术剪
JP6347888B1 (ja) プロテクタ及び医療用針組立体
CN206473376U (zh) 破皮装置
US2002009940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costal access
KR101808442B1 (ko) 튜브 인도용 바늘의 고정겸자
KR200338068Y1 (ko) 수술용 박리 장치
CN216933313U (zh) 一种纤维环缝合装置
KR102189694B1 (ko) 내시경장치
JP2015009137A (ja) 切開用手術器械
CN211094512U (zh) 应用于治疗拇趾外翻的骨膜剥离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