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123B1 -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123B1
KR102084123B1 KR1020197013125A KR20197013125A KR102084123B1 KR 102084123 B1 KR102084123 B1 KR 102084123B1 KR 1020197013125 A KR1020197013125 A KR 1020197013125A KR 20197013125 A KR20197013125 A KR 20197013125A KR 102084123 B1 KR102084123 B1 KR 102084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dex
specifying
place
specif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971A (ko
Inventor
노리히로 쵸토쿠
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1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환경 지수 특정부(12)는 작업 장소 특정부(11)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에 대해서, 환경에 따른 지수를 특정한다. 작업 지수 특정부(14)는 작업 내용 특정부(13)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내용에 대해서, 그 내용에 따른 지수를 특정한다. 산출부(15)는 작업원이 열사병에 걸리기 쉬움을 나타내는 평가치를 산출한다. 비교부(16)는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와 기준치를 비교한다. 경보부(17)는 비교부(16)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경보 시스템
이 발명은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엘리베이터의 작업원은 다양한 현장에서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 혹은 공사를 행한다. 작업자는 특히 여름철에 열사병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4-62621호 공보
종래에는, 작업원은, 예를 들면 체온, 심박수 혹은 열사병 지표 등을 측정하는 기기를 몸에 지니고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기기를 몸에 지니면 작업의 방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엘리베이터의 보수 회사에는 많은 작업원이 소속해 있기 때문에, 모든 작업원에게 상기 기기를 배포하면, 코스트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이 발명의 목적은 작업원이 불필요한 기기를 장착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열사병에 관한 경보를 행할 수 있는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경보 시스템은,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장소를 특정하는 작업 장소 특정 수단과, 작업 장소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에 대해서, 환경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환경 지수 특정 수단과,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하는 작업 내용 특정 수단과, 작업 내용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내용에 대해서, 그 내용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작업 지수 특정 수단과, 환경 지수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지수, 작업 지수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지수 및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열사병에 걸리기 쉬움을 나타내는 평가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수단을 구비한다.
이 발명에 따른 경보 시스템이면, 작업원이 불필요한 기기를 장착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열사병에 관한 경보를 행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경보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경보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환경 지수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경보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관리 센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경보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경보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비하는 예를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장치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 및 균형 추(2)는, 주 로프(3)에 의해서 승강로(4)에 매달린다. 주 로프(3)는 구동 쉬브(5)에 감긴다. 구동 쉬브(5)는 전동기(6)에 의해서 구동된다. 전동기(6)는 제어 장치(7)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 장치(7)는 제어 케이블(8)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1)에 접속된다. 또, 제어 장치(7)는 통신 장치(9)에 접속된다. 통신 장치(9)는, 예를 들면 외부의 관리 센터와 통신한다.
도 2는 통신 장치(9)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9)는, 예를 들면 기억부(10), 작업 장소 특정부(11), 환경 지수 특정부(12), 작업 내용 특정부(13), 작업 지수 특정부(14), 산출부(15), 비교부(16) 및 경보부(17)를 구비한다. 이하에, 도 3 및 도 4도 참조하여, 본 경보 시스템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경보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기억부(10)에, 본 경보 시스템에 필요한 정보가 기억된다. 일례로서, 기억부(10)에 작업원의 작업 스케줄이 기억된다. 예를 들면, 기억부(10)에, 당해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를 담당하고 있는 작업원 A의 작업 스케줄이 기억된다. 작업 스케줄에는, 예를 들면, 작업원 A가 하루에 행하는 작업의 내용, 당해 작업이 행해지는 장소, 당해 작업의 개시 시각 및 당해 작업에 걸리는 시간 등이 미리 등록된다.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장소를 특정한다(S101).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예를 들면, 기억부(10)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스케줄로부터 작업 장소를 특정한다.
덧붙여, 작업 스케줄은 어디까지나 예정이기 때문에, 실제로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장소가 작업 스케줄대로 라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제어 장치(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장소를 특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작업원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보수 점검을 행할 때 점검 스위치를 ON으로 한다.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예를 들면, 점검 스위치가 ON이고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19)에 설치된 승강장 버튼이 눌리면, 승강장(19)을 작업 장소로서 특정한다. 예를 들면,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1층의 승강장(19)의 승강장 버튼이 눌리면, 1층의 승강장(19)을 작업 장소로서 특정한다.
다른 예로서 엘리베이터 칸(1)은 조작반(20)을 구비한다.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예를 들면, 점검 스위치가 ON이고 또한 조작반(20)의 행선지 버튼이 눌리면, 엘리베이터 칸(1)의 내부를 작업 장소로서 특정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1)의 위에, 보수 점검시에 사용되는 운전 장치(21)가 마련된다.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예를 들면 점검 스위치가 ON이고 또한 운전 장치(21)가 조작되면, 승강로(4)의 내부를 작업 장소로서 특정한다. 엘리베이터 칸(1)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경우는, 보수원이 몇 층에서 작업하고 있는지를 특정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7)가 기계실(22)에 설치된다.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예를 들면, 점검 스위치가 ON이고 또한 제어 장치(7)의 운전 버튼이 조작되면, 기계실(22)을 작업 장소로서 특정한다. 또, 작업원은 승강로(4)의 피트(4a)에 들어갈 때 피트 스위치(23)를 ON으로 한다. 작업 장소 특정부(11)는 예를 들면, 점검 스위치가 ON이고 또한 피트 스위치(23)가 ON이면, 승강로(4)의 피트(4a)를 작업 장소로서 특정한다.
환경 지수 특정부(12)는 작업 장소의 환경에 따른 지수를 특정한다(S102). 이하에 있어서는, S102에서 특정되는 이 지수를 환경 지수라고도 한다. 환경 지수는 그 장소의 환경이 열사병에 걸리기 쉬운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환경 지수 특정부(12)는 작업 장소 특정부(11)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에 대해서, 환경 지수를 특정한다.
도 4는 환경 지수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환경 지수의 일례로서, WBGT(Wet Bulb Globe Temperature)를 나타낸다. 덧붙여, 도 4는 이하에서 인용했다.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열사병 예방 지침」Ver.3 확정판,[online], 일본 생기상 학회,[평성 29년 1월 24일 검색], 인터넷<URL:http://seikishou.jp/pdf/news/shishin.pdf>
도 4는 환경 지수가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에 의존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환경 지수는 작업 장소의 온도가 높을수록 큰 값이 된다. 환경 지수는 작업 장소의 습도가 높을수록 큰 값이 된다. 환경 지수로서, WBGT 이외의 지수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예와는 반대로, 환경 지수는 작업 장소의 온도가 높을수록 작은 값이 되어도 된다. 환경 지수는 작업 장소의 습도가 높을수록 작은 값이 되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환경 지수 특정부(12)가 환경 지수를 특정하기 위해서,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의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통신 장치(9)는, 예를 들면 정보 취득부(18)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정보 취득부(18)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기상청 등의 외부 기관으로부터 그 날의 외기(外氣) 온도와 외기 습도의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취득부(1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1시간 마다의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의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취득부(18)는, 예를 들면 3시간 마다 혹은 4시간 마다의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정보 취득부(18)는 평년 수준 같은 대강의 정보만을 수신하여, 과거의 정보 등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출력해도 된다.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온습도계를 구비해도 된다. 온습도계는 예를 들면 승강로(4), 승강장(19), 엘리베이터 칸(1) 및 기계실(22)에 설치된다. 상기 어느 장소에 온습도계를 설치해도 되고, 모든 장소에 온습도계를 설치해도 된다. 다른 장소에 온습도계를 설치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정보 취득부(18)는 1개 혹은 복수의 온습도계로부터 온도 및 습도의 실측치의 정보를 취득한다.
환경 지수 특정부(12)는, 예를 들면 정보 취득부(18)에 의해서 취득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로부터, 작업 장소 특정부(11)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를 추정한다. 환경 지수 특정부(12)는 추정한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그 작업 장소의 환경 지수를 특정한다.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와 같은 온도 및 습도인 작업 장소에 관해서는, 환경 지수 특정부(12)는 정보 취득부(18)에 의해서 취득된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를 그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로 추정한다. 그러나 모든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가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와 같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하에, 환경 지수 특정부(12)가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를 추정하는 방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의 내부, 엘리베이터 칸(1)의 위, 승강로(4)의 피트(4a), 기계실(22) 및 승강장(19) 등에서 행해진다. 덧붙여, 엘리베이터 칸(1)의 위에서의 작업은, 승강로(4)에서의 작업과 같은 의미이다. 승강장(19)은 여름철에 공조가 잘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여름철에 관해서는, 승강장(19)의 온도는 외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마찬가지로, 승강장(19)의 습도는 외기 습도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또, 승강로(4)의 내부의 온도는 승강장(19)의 온도보다 높고, 그 습도는 승강장(19)의 습도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빌딩의 구조에 따라서는 승강로(4)에 냉기가 들어가기 쉬워, 승강로(4)의 내부의 온도가 외기 온도보다 낮고, 그 습도가 외기 습도보다 낮은 경우가 있다.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의 추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예를 들면, 기억부(10)에 빌딩 환경 정보가 기억된다. 빌딩 환경 정보는, 예를 들면,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로부터 각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를 도출하기 위한 관계식 혹은 대응표이다. 환경 지수 특정부(12)는 빌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한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각 작업 장소의 환경 지수를 특정해도 된다. 표 1은 기억부(10)에 기억된 빌딩 환경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작업 장소 기간 외기 온도 추정 온도 외기 온도 추정 습도
기계실 8월 20 22
기계실 8월 22 24
기계실 8월 24 26
: : : : : :
기계실 8월 60 60
기계실 8월 62 61
: : : : : :
피트 8월 20 20
: : : : : :
표 1에 등록하는 작업 장소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1층의 승강장(19)과 2층의 승강장(19)을 구분해도 된다. 승강로(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표 1은 매월의 대응표가 빌딩 환경 정보로서 기억부(10)에 기억되는 예를 나타낸다. 봄용, 여름용, 가을용 및 겨울용과 같은 계절마다의 대응표가 기억부(10)에 기억되어도 된다.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한다(S103).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예를 들면, 기억부(10)에 기억되어 있는 작업 스케줄로부터 작업 내용을 특정한다.
상술한 것처럼, 작업 스케줄은 어디까지나 예정이기 때문에, 실제로 행해지고 있는 작업의 내용이 스케줄대로 라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제어 장치(7)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점검 스위치가 ON이고 또한 승강장(19)의 승강장 버튼이 눌리면, 승강장 버튼의 점검을 작업 내용으로서 특정한다.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제어 장치(7)로부터의 신호와 작업 장소 특정부(11)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승강장 도어(24)의 승강로(4)측에, 승강장 도어(24)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가 마련된다.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작업 장소 특정부(11)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가 엘리베이터 칸(1)의 위이고 또한 상기 스위치에 의해서 승강장 도어(24)의 개폐가 검출되면, 승강장 도어(24)의 점검을 작업 내용으로서 특정한다.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작업 장소 특정부(11)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와 기억부(10)에 기억된 작업 스케줄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작업 스케줄에 등록되어 있는 작업 내용 중, 작업 장소 특정부(11)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와 같은 장소에서 행해지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작업 내용을, 현재 행해지고 있는 작업 내용으로서 특정한다.
작업원은 보수 작업을 행할 때, 기압계를 구비한 단말을 휴대하는 경우가 있다. 작업원이 휴대하는 단말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다. 기압계에 의해서 계측된 기압으로부터 작업원이 있는 높이를 알 수 있다. 작업 내용 특정부(13)는 기압계에 의한 계측치에 기초하여, 작업 장소 특정부(11)에 의한 특정 결과를 보완해도 된다.
작업 지수 특정부(14)는 작업 내용에 따른 지수를 특정한다(S104). 이하에 있어서는, S104에서 특정되는 이 지수를 작업 지수라고도 한다. 작업 지수는 그 내용의 작업을 행하는 것이 열사병에 걸리기 쉬운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예를 들면, 작업 지수는 부하가 높은 작업일수록 큰 값이 된다. 작업 지수는 부하가 높은 작업일수록 작은 값이 되어도 된다. 작업 지수는, 작업원의 경험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작업 지수 특정부(14)는 작업 내용 특정부(13)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내용에 대해서, 작업 지수를 특정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10)에 작업 지수 정보가 기억된다. 작업 지수 정보는, 예를 들면, 작업 내용으로부터 작업 지수를 도출하기 위한 대응표이다. 작업 지수 특정부(14)는 기억부(10)에 기억된 작업 지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작업 내용의 작업 지수를 특정해도 된다. 표 2는 기억부(10)에 기억된 작업 지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작업 장소 작업 내용 작업 지수



기계실
제어반의 점검 15
권상기의 점검 18
: :
제어반의 교환 78
권상기의 교환 88
: :


엘리베이터 칸
실내의 점검 11
조명의 점검 10
:
조명의 교환 16
: :
: : :
산출부(15)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원에 대해서, 열사병에 관한 평가치를 산출한다(S105). 평가치는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원이 열사병에 걸리기 쉬움을 나타내는 값이다.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되는 평가치는, 열사병에 걸리기 쉬울수록 큰 값이 되어도 된다. 평가치는 열사병에 걸리기 쉬울수록 작은 값이 되어도 된다. 산출부(15)는, 예를 들면, 환경 지수 특정부(12)에 의해서 특정된 환경 지수, 작업 지수 특정부(14)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지수 및 작업원에 의해서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평가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산출부(15)는 우선 환경 부하 및 작업 부하를 산출한다. 환경 지수 특정부(12)에 의해서 특정된 환경 지수는, 예를 들면 단위 시간당 환경 부하의 값에 상당한다. 산출부(15)는, 예를 들면, 환경 지수 특정부(12)에 의해서 특정된 환경 지수에,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시간을 곱함으로써 환경 부하를 산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S107에 나타내는 것처럼,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평가치가 산출된다. 예를 들면, 산출부(15)는 환경 지수 특정부(12)에 의해서 특정된 환경 지수에 상기 일정 시간을 곱함으로써, 상기 일정 시간분의 환경 부하를 산출한다. 산출부(15)는 신규로 산출한 상기 일정 시간분의 환경 부하를 그때까지 산출한 환경 부하에 가산함으로써, 전체의 환경 부하를 산출한다. 즉, 산출부(15)는 상기 일정 시간마다 산출한 환경 부하를 적산함으로써, 전체의 환경 부하를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작업 지수 특정부(14)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지수는, 예를 들면 단위 시간당 작업 부하의 값에 상당한다. 산출부(15)는, 예를 들면, 작업 지수 특정부(14)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지수에,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시간을 곱함으로써 작업 부하를 산출한다. 상술한 것처럼,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평가치가 산출된다. 예를 들면, 산출부(15)는 작업 지수 특정부(14)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지수에 상기 일정 시간을 곱함으로써, 상기 일정 시간분의 작업 부하를 산출한다. 산출부(15)는 새롭게 산출한 상기 일정 시간분의 작업 부하를 그때까지 산출한 작업 부하에 가산함으로써, 전체의 작업 부하를 산출한다. 즉, 산출부(15)는 상기 일정 시간마다 산출한 작업 부하를 적산함으로써, 전체의 작업 부하를 산출한다.
산출부(15)는 산출한 환경 부하 및 작업 부하에 기초하여, 평가치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산출부(15)는 다음 식에 의해서 평가치를 구한다.
(평가치)=(환경 계수 α×환경 부하의 적산치)+(작업 계수 β×작업 부하의 적산치)
환경 계수 α및 작업 계수 β는, 예를 들면 작업자의 경험 및 더위에 대한 적응력(heat adaptability) 등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다. 상기 산출식은 평가치의 산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산출부(15)는 다른 산출 방법에 의해서 평가치를 산출해도 된다.
비교부(16)는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와 기준치를 비교한다(S106). 평가치와 비교되는 기준치는 미리 설정된다. 도 3은 열사병에 걸리기 쉬울수록 평가치가 큰 값이 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 비교부(16)는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작으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S107), S101부터 S106에 나타내는 처리가 재차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S106에 있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평가치가 기준치와 비교된다.
경보부(17)는 비교부(16)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S108). 도 3에 나타내는 예이면, 경보부(17)는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 경보를 행한다. 경보부(17)는, 예를 들면, 표시 혹은 음성에 의해서 경보를 행한다. 경보부(17)는 작업원이 소유하는 단말을 진동시킴으로써 경보를 행해도 된다. 경보부(17)는 작업원이 소유하는 단말에 전자 메일을 송신함으로서 경보를 행해도 된다. 경보부(17)는 다른 방법에 의해서 경보를 행해도 된다.
한편, 열사병에 걸리기 쉬울수록 평가치가 작은 값이 되는 경우, 비교부(16)는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러한 경우,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크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S101부터 S106에 나타내는 처리가 재차 행해진다. 경보부(17)는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원에 대해, 열사병에 걸리기 쉬움을 나타내는 평가치가 산출된다. 이 평가치는 기준치와 비교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경보가 발행된다. 이 때문에, 작업원이 예를 들면 체온 혹은 심박수 등을 측정하는 기기를 몸에 지니지 않아도, 열사병에 관한 경보를 행할 수 있다. 작업원은 작업시에 불필요한 기기를 장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움직임이 기기에 의해서 저해될 일도 없다.
상기 예에 있어서, 부호 10~18에 나타내는 각부는, 통신 장치(9)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5는 통신 장치(9)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9)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25)와 메모리(26)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기억부(10)가 가지는 기능은 메모리(26)에 의해서 실현된다. 통신 장치(9)는 메모리(26)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25)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11~18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경보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평가치가 개별로 산출되는 예를 나타낸다. 즉, 평가치는 1개의 현장에서 행해지는 작업에 대해서 산출된다. 한편, 도 6은 관리 센터(27)가 산출부(15), 비교부(16) 및 경보부(17)를 구비하는 예를 나타낸다.
관리 센터(27)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관리한다. 각 엘리베이터 장치는 통신 장치(9)에 의해서 관리 센터(27)와 통신한다. 각 엘리베이터 장치의 통신 장치(9)에는, 예를 들면 기억부(10), 작업 장소 특정부(11), 환경 지수 특정부(12), 작업 내용 특정부(13) 및 작업 지수 특정부(14)가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환경 지수 특정부(12)에 의해서 특정된 환경 지수의 정보 및 작업 지수 특정부(14)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지수의 정보가,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통신 장치(9)로부터 관리 센터(27)에 송신된다. 관리 센터(27)에서는, 통신 장치(9)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평가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평가치를 기준치와 비교한다. 예를 들면, 관리 센터(27)에서는, 그 날에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원마다, 평가치의 산출을 행한다.
열사병에 걸리기 쉬울수록 평가치가 큰 값이 되는 경우,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작은 동안은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평가치의 산출이 행해진다. 어느 현장에서의 작업이 끝나, 작업원이 다음 현장으로 이동하면, 관리 센터(27)는 이동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통신 장치(9)로부터 그 작업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작업원의 하루의 작업에 대해서 평가치가 산출된다.
산출부(15)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가 기준치보다 커지면, 경보부(17)는, 예를 들면 작업원이 현재 작업을 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 경보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경보부(17)는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장치(7)로부터 버저를 울린다. 경보부(17)는 작업원이 소유하는 단말을 진동시킴으로써 경보를 행해도 된다. 경보부(17)는 작업원이 소유하는 단말에 전자 메일을 송신함으로써 경보를 행해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부호 15~17에 나타내는 각부는, 관리 센터(27)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낸다. 도 7은 관리 센터(27)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리 센터(27)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28)와 메모리(29)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관리 센터(27)는 메모리(29)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28)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부호 15~17에 나타내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프로세서(25 및 28)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혹은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26 및 29)로서,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혹은 DVD를 채용해도 된다. 채용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에는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및 EEPROM 등이 포함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통신 장치(9)가 가지는 각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내는 관리 센터(27)가 가지는 각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상기 기능을 실현하는 하드웨어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 조합을 채용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보 시스템이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비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이것은 일례이다. 본 경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이외의 장치 혹은 설비 등을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그 장치 혹은 설비 등을 취급하는 작업원에 관해서, 열사병에 걸리기 쉬움을 나타내는 평가치가 산출된다. 또, 산출된 평가치는 기준치와 비교된다.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보가 발행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 발명에 따른 경보 시스템은, 열사병에 관한 경보를 행할 필요가 있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칸 2: 균형 추
3: 주 로프 4: 승강로
5: 구동 쉬브 6: 전동기
7: 제어 장치 8: 제어 케이블
9: 통신 장치 10: 기억부
11: 작업 장소 특정부 12: 환경 지수 특정부
13: 작업 내용 특정부 14: 작업 지수 특정부
15: 산출부 16: 비교부
17: 경보부 18: 정보 취득부
19: 승강장 20: 조작반
21: 운전 장치 22: 기계실
23: 피트 스위치 24: 승강장 도어
25: 프로세서 26: 메모리
27: 관리 센터 28: 프로세서
29: 메모리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장소를 특정하는 작업 장소 특정 수단과,
    상기 작업 장소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에 대해서, 환경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환경 지수 특정 수단과,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하는 작업 내용 특정 수단과,
    상기 작업 내용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내용에 대해서, 그 내용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작업 지수 특정 수단과,
    상기 환경 지수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지수, 상기 작업 지수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지수 및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열사병에 걸리기 쉬움을 나타내는 평가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수단을 구비한 경보 시스템.
  2.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장소를 특정하는 작업 장소 특정 수단과,
    상기 작업 장소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에 대해서, 환경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환경 지수 특정 수단과,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하는 작업 내용 특정 수단과,
    상기 작업 내용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내용에 대해서, 그 내용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작업 지수 특정 수단과,
    상기 환경 지수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지수, 상기 작업 지수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지수 및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열사병에 걸리기 쉬움을 나타내는 평가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수단을 구비한 경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 내용 특정 수단은 상기 작업 장소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에도 기초하여,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하는 경보 시스템.
  4.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장소를 특정하는 작업 장소 특정 수단과,
    상기 작업 장소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에 대해서, 환경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환경 지수 특정 수단과,
    작업원의 작업 스케줄이 기억된 기억 수단과,
    상기 작업 장소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 및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작업 스케줄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행하고 있는 작업의 내용을 특정하는 작업 내용 특정 수단과,
    상기 작업 내용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내용에 대해서, 그 내용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작업 지수 특정 수단과,
    상기 환경 지수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지수, 상기 작업 지수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지수 및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작업원이 열사병에 걸리기 쉬움을 나타내는 평가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서 산출된 평가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 의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수단을 구비한 경보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지수 특정 수단은 상기 작업 장소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작업 장소의 온도 및 습도를 외기 온도 및 외기 습도로부터 추정하고, 추정한 온도 및 습도에 기초하여 당해 작업 장소의 환경에 따른 지수를 특정하는 경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환경에 따른 지수는 작업 장소의 온도가 높을수록 큰 값이 되고, 작업 장소의 습도가 높을수록 큰 값이 되는 경보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환경에 따른 지수는, 작업 장소의 온도가 높을수록 작은 값이 되고, 작업 장소의 습도가 높을수록 작은 값이 되는 경보 시스템.
  8. 삭제
KR1020197013125A 2017-02-15 2017-02-15 경보 시스템 Active KR102084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05509 WO2018150486A1 (ja) 2017-02-15 2017-02-15 警報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971A KR20190053971A (ko) 2019-05-20
KR102084123B1 true KR102084123B1 (ko) 2020-03-04

Family

ID=6317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125A Active KR102084123B1 (ko) 2017-02-15 2017-02-15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25118B2 (ko)
KR (1) KR102084123B1 (ko)
CN (1) CN110235185B (ko)
WO (1) WO2018150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5126B2 (ja) * 2018-11-29 2021-12-01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
JP7017535B2 (ja) * 2019-03-01 2022-02-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7265398B2 (ja) * 2019-04-01 2023-04-2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作業状態検知システム
KR102308895B1 (ko) * 2019-05-31 2021-10-0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크로스 환기 방식 또는 터널 환기방식을 채용한 무창산란계사에서의 온습도 지수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
KR102389568B1 (ko) * 2019-07-01 2022-04-22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시스템
JP2021039637A (ja) * 2019-09-05 2021-03-11 Assest株式会社 熱中症リスク判別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CN112067661A (zh) * 2020-09-16 2020-12-1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工作场所的高温检测设备与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5302A (ja) * 2008-03-31 2009-10-22 Tokyu Construction Co Ltd 環境情報監視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2202A (ja) * 2002-02-14 2003-08-29 Fujitsu Ltd 建設現場の安全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CN1469128A (zh) * 2002-07-17 2004-01-21 英业达集团(南京)电子技术有限公司 环境检测警报系统及方法
JP3894308B2 (ja) 2002-07-30 2007-03-2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訪問予定連絡装置
JP2011095999A (ja) * 2009-10-29 2011-05-12 Shimizu Corp 作業環境モニタシステム
JP3157604U (ja) * 2009-11-26 2010-02-25 一般財団法人日本気象協会 携帯型環境情報報知装置
JP2014199982A (ja) *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関電工 送電線監視・通報システム
JP6459763B2 (ja) * 2015-05-11 2019-01-30 株式会社大林組 作業リスク把握方法
KR20170006843A (ko) *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 세이프티아 작업 속성 기반의 작업 위험도 산출 방법 및 장치
JP6521858B2 (ja) * 2015-12-29 2019-05-2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熱中症予防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8078822A1 (ja) * 2016-10-28 2018-05-03 芙蓉開発株式会社 健康状態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5302A (ja) * 2008-03-31 2009-10-22 Tokyu Construction Co Ltd 環境情報監視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0486A1 (ja) 2018-08-23
JPWO2018150486A1 (ja) 2019-06-27
KR20190053971A (ko) 2019-05-20
CN110235185B (zh) 2021-08-03
CN110235185A (zh) 2019-09-13
JP6525118B2 (ja)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123B1 (ko) 경보 시스템
KR102484018B1 (ko)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승강기 고장부위 및 필요자재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08910638B (zh) 一种基于电梯轨迹判断电梯是否进行维保的方法
JPWO2005121004A1 (ja)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装置
JP6231169B1 (ja) Bim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999588B2 (en) Dynamic car assignment process
US202200733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US10472207B2 (en) Passenger-initiated dynamic elevator service request
CN111377325B (zh) 用于增强电梯传感器操作的系统和方法
KR102389568B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시스템
EP3301055A2 (en)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by allocating a variable number of cars to floors within an evacuation zone
EP3594161B1 (en) Automatic determination of position and orientation of elevator device entry terminals and hallway fixtures
US20180093854A1 (en)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display
JP2006143359A (ja) ビル設備診断装置
EP3309103A1 (en) Method for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tilizing multi-compartment elevators
JP2017021423A (ja) エリア環境管理装置及びエリア環境管理方法
KR10256272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200039785A1 (en) Tracking service mechanic status during entrapment
KR101387795B1 (ko) 건설용 리프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EP4011815A1 (en) Passenger grouping for elevators
EP441431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on of elevators and other devices
WO2018061081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EP3798173A1 (en) Processing service requests in a conveyance system
KR20210002736A (ko) 온도 추이 특정 장치, 보수 계획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WO2022003941A1 (ja) エレベーターの閉込め救出の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閉込め救出の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2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