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921B1 - Hollow elast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of composite modular type - Google Patents
Hollow elast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of composite modular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1921B1 KR102081921B1 KR1020190127136A KR20190127136A KR102081921B1 KR 102081921 B1 KR102081921 B1 KR 102081921B1 KR 1020190127136 A KR1020190127136 A KR 1020190127136A KR 20190127136 A KR20190127136 A KR 20190127136A KR 102081921 B1 KR102081921 B1 KR 102081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disposed
- bolt
- damper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8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904 Convul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1 conductive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61 convul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동, 파동이 배전반 및 구조물에 급습할 시에 하부에 설치한 복합모듈분리장치 내의 반발탄성체인 Coil Spring으로 하여금 연직파동분과 관성모우멘트에 의한 연직벡터량의 반사파동에 대응하여 응답, 흡수하는 분담책무와 구조물의 정지하중부담 및 구조물중량의 10~100%에 해당되는 하중을 더한 탄성위치에너지로 축적시켜 병열 배치된 중공탄성수지의 평소 면압을 경감시킴으로서 면압의 경년소성변형에 기인한 장기경화를 예방하고 수명연장책무를 다할 수 있고, 고층 건물과 같은 구조물의 경우 관성모우멘트에 의해 밑변(x) 대비 높이(y)가 클 경우 전도력이 벡터방향으로 이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Rope앵커 및 Rope Bolt를 이용한 가새용 Rope를 적용한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sponds and absorbs the coil spring, which is a resilient elastic body in the composite module separating device installed at the bottom when earthquakes and waves are swollen to the switchboard and the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reflected wave of the vertical vector amount due to the vertical wave content and the moment of inertia. Long-term due to aging deformation of the surface pressure by reducing the usual surface pressure of the hollow elastomeric resins placed in parallel by accumulating the burden of sharing, the static load of the structure and the load corresponding to 10-100% of the weight of the structure. It prevents hardening and fulfills the duty of extending the life. In the case of structures such as high-rise buildings, when the height (y) is higher than the base (x) due to the moment of inertia, the conduction force is in the vector direc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relates to a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applying a brace Rope using a Rope anchor and Rope Bol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형 면진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반, 저압반, MCC반, 분전반 등의 배전반에 지진이나 화산폭발과 같은 외력에 의한 충격이나 지진동(地震動)을 받을 경우 관성변형에 의한 이탈, 소손으로 인해 정전사고, 절연파괴, 아크방전 및 전기화재사고와 같은 각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입사파동 입사 시 유연한 변위조절과 강진 시 변위이탈, 충돌방지 및 위치고정이 배가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base isolation switchgear, in particular, in the high-pressure panel, low-pressure panel, MCC panel, distribution panel, etc., when subjected to shock or earthquake movement due to external force such as earthquake or volcanic eruption, due to inertia deformation,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that doubles flexible displacement control and incident displacement during collision to prevent various accidents such as power failure, insulation breakdown, arc discharge and electric fire accident due to burnout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base isolation switchboard.
지각변동이 점점 증가추세이고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지진파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진파의 발생건수도 증가하고 있고 화산폭발의 잠재성도 우려되고 있다. 또한 외력으로서는 태풍해일과 같은 외력의 충격이 입사될 수 있고 이에 대한 피해는 인명과 재산피해 사고로 연결된다.Tectonic fluctuations are on the rise, seismic waves are occurring in unexpected regions, the number of seismic waves is increasing, and the potential for volcanic eruptions is also concerned. In addition, external forces such as typhoons and tsunamis can be incident as external forces, and the damages are linked to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피해유형으로는 위험물화재, 폭발, 감전사고, 정전, 급수 중단, 난방 중단, 구축물 이탈, 전도, 파손, 인체부상, 압사 등과 같은 비극적 결과가 예상된다.Types of damage are expected to be catastrophic, such as dangerous fires, explosions, electric shocks, power outages, water supply interruptions, heating interruptions, construction breakouts, conduction, breakage, personal injury, and death.
종래의 배전반을 포함한 구조물, 구축물, 구조물 일체는 자기중량을 갖고 있으며 자중에 입사파 및 외력이 입사 시를 대비한 구조물 접지고정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건축물을 제외한 일반 이동성 구조물, 기계기구장치의 Base고정은 무방비 상태이다.Structures, structures, and all of the structures, including the conventional switchboard, have their own weight, and despite the need to fix the grounding of the structure in preparation for the incident wave and external force in its own weight, it is possible to fix the base of general mobile structures and mechanical devices except buildings. Is defenseless.
구조물이나 구축물의 Base 고정이 내진이나 면진을 하기 위한 제1차 기초기반이다.Base fixation of structures or structures is the primary foundation for seismic or seismic isolation.
구조물의 Base 고정은 수평지면, 수직벽면, 수평수직을 겸한 비탈면, 천정면 상의 고정(Anchoring) 공법은 자체중량과 지진 시 가속도를 단위 시간동안 평균속도 환산치를 2제곱한 인장력을 감안하여 접지 고정력을 확보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기자중의 1/3도 안 되는, 즉 형식적으로 Anchoring을 하고 있는 현사정은 진동계에서 볼 때 매우 심각한 사항이다.Base fixing of the structure is based on horizontal surface, vertical wall, slope with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 and anchoring method on the ceiling surface. Despite being secured, less than one-third of one's own, ie formally anchoring, is a serious matter in a vibrometer.
종래의 내진 및 면진장치의 일례로서 250여 년 전 유럽에서는 고층건물의 면진장치인 분리장치에 적층 천연고무 수지계를 사용하였고 댐퍼의 흡수장치인 천연고무 중심축수를 납봉으로 사용해 왔다. 이것은 초고층, 초중량급에 해당하는 납봉축수로서 인장력인 P파는 건축물 자중에 의한 사하중 이하로서 무시한 납봉을 사용한 구조이다. 그러나 배전반과 같은 부피와 높이를 갖는 수 톤에 해당되는 구조물은 연직하중(P파 성분)을 무시하지는 못한다. 그로인해 축수를 납봉으로 사용 불가한 이유는 입사파에 대응하는 대응반작용에 의한 대응모우멘트 벡터량에 의한 입사파 반대 측의 상승인장력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As an example of the conventional seismic and seismic isolator over 250 years ago, in Europe, laminated natural rubber resins were used in the segregation unit of the high-rise building, and the central rubber of the natural rubber, which is the absorber of the damper, was used as the lead rod. This is a lead rod shaft that corresponds to the high and super heavy weight, and the P wave, which is a tensile force, is a structure using a lead rod neglected to be below dead weight due to the building's own weight. However, a structure of several tons with the same volume and height as the switchboard does not ignore the vertical load (P wave component). Therefore, the reason why the axis number cannot be used as the lead rod is that the upward tensile forc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cident wave is largely generated by the amount of the corresponding moment vector due to the corresponding reaction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wave.
종래의 면진, 제진장치는 아주 큰 지진 시 배전반이나 구조물의 변위이탈에 대한 대책이 전무한 구조였다. 이러한 보조수단으로 “ㄷ”형 형강을 상하 대칭으로 하여 그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내장하고 상부 100mm폭 형강 내에 하부 상방향으로 75mm “ㄷ”형강을 배치하여 변위범위를 10mm~5mm 이내로서 미세진동 시에도 변위이탈에 의해 상하 형강 날개면에 기계적 충돌하는 구조로 사용해 왔다. 이것은 면진도 아니고 내진도 불리한 구조이다.The conventional seismic isolator and vibration damping device had no countermeasure against displacement of the switchboard or the structure in the event of a very large earthquake. With this auxiliary means, the “c” section steel is symmetrically up-and-down with a coil spring built into it, and a 75 mm “c” section steel is placed in the upper 100 mm width section of steel i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displacement range is within 10 mm to 5 mm. Edo has been used as a structure that mechanically collides with the upper and lower wing surfaces by displacement and displacement. This is neither seismic isolation nor earthquake-resistant construction.
그 이유는 변위범위가 거의 없음으로서 입사파동에 대응하는 감쇠기능이 아주 경미하며 특히 코일스프링은 압축 인장용이지 수평 횡파동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로인해 약간의 진동가속도가 입사 시 예민하게 변위이탈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가속도를 변위범위 내에서 탄성흡수하기 위해서는 탄성흡수력인 즉 가속도 감쇠율이 변위범위 내에서 균등하게 등가속도로 제로화 되어야 한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damping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incident wave is very small because there is almost no displacement range. In particular, the coil spring is for compressive tension and not for horizontal lateral wave. This causes some vibration acceleration to be displaced sensitively upon incidence. In order to absorb the acceleration at least within the displacement range, the elastic absorption force, that is, the acceleration decay rate must be equalized to the equivalent velocity within the displacement range.
면진, 내진, 제진구조에서 분리장치의 강성설계의 문제는 구조물의 중량에 대한 대응력 및 관성모우멘트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만약 1톤의 배전반에 진도규모 8의 지진동이 입사할 시 분리장치 및 접지앵커의 인장력에 관하여는 규모 8일 때 지반가속도가 6m/sec2 등가속도로 환산값인 입사력은 18ton·f/sec2 이고 분리장치가 4개라면 1개당 4.5ton·f/sec2 가 필요하나, 결국 1톤의 구조물에 규모 8인 경우 가속도입사력은 20ton·f/sec2 이다. 무게중심의 질점이 높으면 관성모우멘트가 추가된다. 분리장치를 통해 이를 감쇠시키고 나머지 잔류 탄성진동에너지가 구조물에 입사되어야 한다.The problem of stiffness design of separation device in seismic isolation, seismic isolation, and vibration suppression structure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weight of the structure and the moment of inertia. If the earthquake movement of magnitude 8 enters a 1 ton switchgear, the incident force whose ground acceleration is equivalent to 6m / sec 2 equivalent speed is 8ton / f / sec when the magnitude of the separation device and ground anchor is 8 2 and 4 separate devices require 4.5 ton f / sec 2 per unit, but in the case of a scale of 8 to 1 ton structure, the acceleration incident force is 20 ton f / sec 2 . If the center of gravity is high, the moment of inertia is added. This is attenuated through the separator and the remaining residual vibration energy must enter the structure.
종래의 건축물 구조물 모두 지동파에 대한 관성모우멘트에 의한 전도 사고에 무관심해왔다. 즉 높이는 면적에 대비하여 낮추어야 한다. 예를 들면 선박의 무게중심이 상부로 올라가면 약간의 외력에도 쉽게 전복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배전반에서도 중량이 큰 기기는 될 수 있는 한 아래에 배치하고 경량물은 상부에 배치하고 면적에 비하여 중량을 줄여야 한다. 이것이 내진대비의 제1기초 대안이다.All conventional building structures have been indifferent to conduction accidents caused by moments of inertia for the ground waves. In other words, the height should be lowered in relation to the area. For example, if the ship's center of gravity rises to the top, it is easily overturned by a slight external force. Likewise, in switchboards, heavy equipment should be placed underneath as much as possible, and light weights should be placed on top and reduced in weight relative to area. This is the first basic alternative to seismic preparedness.
고층건물이 지진동파를 받았을 때 Base부 변위는 작고 고층부의 변위가 큰 이유는 관성모우멘트에 의해 대응반작용인 반사대응력이 Base부 입사파보다 상부가 증폭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관성모우멘트 크기란 밑면의 입사파동에 대한 대응반작용을 W라 하면, 관성모우멘트=W·H/밑면길이(ton·f) 크기가 구조물 입사점에 무게중심을 벡터량 크기로 집중되기 때문에 전도사고의 원인이 된다. 그 양은 의 벡터 방향이다.When the tall building receives the seismic wave, the base displacement is small and the displacement of the tall portion is large because the reflection response stress, which is the counteraction reaction due to the moment of inertia, is amplified above the incident wave of the base portion. Here, the moment of inertia is the corresponding reaction to the incident wave on the bottom, where W is the moment of inertia = W · H / ton length. It can cause an accident. That amount Vector direction of.
면진에 관한 기술로는,In technology about seismic isolation,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34473호 (2018.02.2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이 제시되어 있는바,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34473 (Registered on February 26, 20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 Distribution board with seismic isolation and earthquake resistance device '' is presented,
문헌 1은 배전반 함체 하부면에 결합되어 설치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지진파를 흡수하여 상기 배전반 함체로 지진파의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감쇄시켜주는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에 있어서, 하부면은 설치면에 고정결합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하부 구면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구면홈의 둘레에 소정깊이의 하부 코일 스프링 안착홈이 구비되는 하부 고정플레이트;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부는 배전반 함체의 하부면에 고정결합되고, 하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 구면홈에 대향되게 상부 구면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구면홈의 둘레에 소정깊이의 상부 코일스프링 안착홈이 구비되는 상부 가동플레이트; 상기 하부 구면홈 및 상부 구면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하부 구면홈 및 상부 구면홈의 각 구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소정직경으로 형성되는 강구; 상부단은 상기 상부 가동플레이트의 상부 코일 스프링 안착홈에 고정결합되고, 하부단은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의 하부 코일 스프링 안착홈에 고정결합되는 코일 스프링; 및, 상기 하부 고정플레이트와 상부 가동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해 고압공기를 분사시켜 상기 하부 구면홈 및 상부 구면홈의 각 구면에 점착된 미세 분진 및 돌출물을 제거하는 고압공기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면진 및 내진장치의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장치 주변 분진 및 철가루 등이 면진 및 내진장치에 부착되어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면진 및 내진장치가 구비되는 배전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1 is a switchboard having a seismic isolation and earthquake-resistant devic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witchboard enclosure absorbs the seismic waves flowing from the installation surface to attenuate the transmission or vibration of the seismic waves to the switchboard enclosure, the lower surface is installed A lower fixing plate fixedly coupled to a surface, and having a lower spherical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lower coil spring seat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round the lower spherical groove; It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ixing plate, the upper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witchgear housing, the upper spherical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o face the lower spherical groove, An upper movable plate provided with an upper coil spring seat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n a circumference; A steel ball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pherical groove and the upper spherical groove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to be movable along each spherical surface of the lower spherical groove and the upper spherical groove; An upper end fixedly coupled to an upper coil spring seating groove of the upper movable plate, and a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fixedly coupled to a lower coil spring seating groove of the lower fixed plate; And a high pressure air spray unit for spraying high pressure air toward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lower fixed plate and the upper movable plate to remove fine dust and protrusions adhered to the respective spherical surfaces of the lower spherical groove and the upper spherical groove. In addition, the seismic isolation and earthquake resistance are easy to manufacture, install and maintain due to the simple configuration of the seismic isolation and earthquake resistance device, and the dust and iron dust around the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malfunctioning caused by attachment to the seismic isolation and earthquake resistance device. It is a technique regarding the switchboard provided with an apparatus.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87893호 (2017.07.31.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면진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iqu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87893 (published on July 31,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has been proposed, a seismic isolation device,
문헌 2는 강성층 및 탄성층이 교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적층 탄성체와, 적어도 이 적층 탄성체의 내주면(內周面)으로 규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둥상(柱狀) 중공부, 바람직하게는 원기둥상 중공부(圓柱狀 中空部)에 배치된 감쇠체로 이루어진 기둥체, 바람직하게는 원기둥체를 구비하고, 감쇠체는 열전도성 필러와 흑연과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안정된 변형 의존성, 온도 의존성 및 면압 의존성을 갖는 것과 함께 반복 가진에 대한 항복 하중의 변화가 적고, 장시간 지진에서의 반복 가진에 대해 안정된 에너지 흡수 성능을 갖는 면진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discloses a laminated elastic body in which a rigid layer and an elastic layer are alternately laminated, and at least one columnar hollow portion, preferably a cylindrical hollow, defined as at leas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minated elastic body. A pillar body, preferably a cylinder body, formed of a damper disposed in a hollow portion, and the damper includes a thermally conductive filler, graphite and a thermosetting resin, thereby providing stable strain dependence, temperature dependence, and surface pressure depende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isolator having a small change in yield load with respect to cyclic excitation and stable energy absorption performance against cyclic excitation in a long time earthquake.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18611호 (2018.11.08.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중공 탄성수지 구조를 갖는 면진배전반』이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18611 (registered on November 8, 20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3') `` Improvement Switchgear with Hollow Elastic Resin Structure '' is proposed.
문헌 3은 배전반의 하면에 결합되고 중심에 제 1축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축수홀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원형 테두리 형태로 하향 돌출되는 제 1스토퍼링을 구비하는 상부크레들; 상기 상부크레들과 평행하게 이격되는 판부 및 상기 판부로부터 하측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판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판부에는 그 중심에 제 2축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스토퍼링과 대응되도록 상향 돌출되는 제 2스토퍼링이 구성되는 하부크레들; 상기 제 1축수홀 및 제 2축수홀에 삽입된 상태로 양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크레들 및 하부크레들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축수; 상기 축수를 감싼 상태로 그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상부크레들과 하부크레들에 밀착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압축스프링을 밀착하여 감싸도록 그 중심에 중심홀이 형성되고 그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상부크레들과 하부크레들에 밀착되며 상하 관통하는 복수의 중공홀이 형성되며 그 외주연이 상기 제 1스토퍼링과 제 2스토퍼링에 밀착하는 탄성수지재; 및 상기 축수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축수홀 및 제 2축수홀에 일부 진입하여 상기 상부크레들 및 하부크레들을 외측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너트;를 포함하는 면진장치가 배전반의 하부면에 적어도 4개 이상 장착됨으로써, 탄성 강도가 높아 변위가 낮은 수지 면진 설비를 중공 혼합 구조 탄성 수지재로 개선하여 응답성 탄성 변위를 유연화 시켜 파동 에너지 가속도를 허용변위로 감소시켜 강지진과 동시에 입사파동을 안전한 응답으로 탄성 흡수하는 성능이 우수한 중공 탄성수지 구조를 갖는 면진배전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3 includes: an upper cradl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a switchboard and having a first stopper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and having a first stopper ring projecting downward in a circular rim shape spaced apart from a center of the first bearing hole; A plate portion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upper cradle and a fix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plate portion in a 'b' shape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with the plat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plate portion has a center portion thereof. A lower cradle having a second bearing hol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second stopper ring projecting upwardly to correspond to the first stopper ring; Bearings whose both end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radle and the lower cradle, respectivel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bearing hole and the second bearing hole; Compression springs in whic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radle and the lower cradle, respectively, while the bearing is wrapped; A center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closely wrap the compression spring,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radle and the lower cradle,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hollow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eriphery thereof. An elastic resin material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topper ring; And a bearing nut configured to partially enter the first bearing hole and the second bearing hole while being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earing and pressurize the upper cradle and the lower cradle from the outside. By mounting at least four on the surface, the resin base isolation equipment with high elastic strength and low displacement is improved with hollow mixed structure elastic resin to soften responsive elastic displacement, reducing the wave energy acceleration to allowable displacement, and simultaneously entering the strong earthquak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base isolation switchgear having a hollow elastic resin structure excellent in the ability to elastically absorb waves in a safe response.
본 발명은 변위이탈방지 책무를 중공탄성수지에 의존하고 구조물의 자중인 정하중을 코일스프링에 위치에너지로 부담시킴으로서 중공탄성수지의 면압을 경감시켜 강진횡파 입사 시 중공탄성수지의 기본특성을 발휘시키는 장점들을 상호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dvantageous Effects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ies on the hollow elastic resin to prevent the displacement deviation, and the self-loading static load of the structure is applied to the coil spring as potential energy to reduce the surface pressure of the hollow elastic resin, thereby exhibiting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hollow elastic resin upon the incident of strong transverse wa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that can mutually utilize them.
나아가 본 발명은 강지진이나 태풍, 화산폭발과 같은 충격파동이 배전반이나 중경량물에 급습할 경우 분리장치를 통해 입사력 일부를 분리장치 내 반발탄성체에 축적시킴으로서 입사가속도를 지연응답 시키고 면진된 즉 감쇠된 잔여 입사파동만 배전반이나 구조물에 중력상의 관성 방사 대응력으로 충격 없이 유연한 응답을 시키되, 횡파동에 의한 전단파동력을 압축파동력으로 전환시킨 허용변위 이탈방지용 사이드댐퍼구조를 갖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ccumulates a part of the incident force in the repulsive elastic body in the separator when the shock wave such as a strong earthquake, typhoon, volcanic eruption, etc. is swollen to the switchboard or light weight, thereby delaying the incident acceleration and damping, ie, damping.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with side damper structure to prevent deviation of allowable displacement by converting shear wave force due to lateral wave into compressive wave force without impact due to inertial radial response force on gravity in switchboard or struct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se isolation switchboard.
아울러 본 발명은 중량물이 아닌 분전반과 같은 경량물은 부품취부반과 외함 간에 면진탄성수지 재질의 분리장치 적용 방법을 구현하고, 이러한 구조, 성능, 기능을 실현한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method for applying a separation device of the base separable elastic resin material between the parts mounting panel and the enclosure, the light weight such as the distribution panel, not the heavy material, and provides a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ic resin seismic switchgear that realized such structure, performance, function Its purpose is to.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의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은,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하 관통형 상부축수홀을 갖는 ┌┐자 형상의 상부찬넬;U-shaped upper channel having upper and lower through-hole bearings;
상기 상부찬넬 하부 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부축수홀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상하 관통형 하부축수홀을 갖는 H자 형상의 하부찬넬;An H-shaped lower channel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upper channel and having an upper and lower through-hole lower bearing hole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upper bearing hole;
상기 상부찬넬과 상기 하부찬넬 사이에 개재(介在)되고, 상기 상부축수홀과 하부축수홀에 대응되는 중심에 상하 관통형 대응축수홀을 갖는 탄성수지체;An elastic resi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hannel and the lower channel, the elastic resin body having a vertically penetrating corresponding bearing hole at a center corresponding to the upper bearing hole and the lower bearing hole;
상기 상부찬넬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수지체 상단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사이드댐퍼;An upper side damper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hannel and disposed to surround a top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resin body;
상기 하부찬넬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수지체 하단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부사이드댐퍼; 및A lower side damper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hannel and disposed to surround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resin body; And
상기 상부찬넬의 상부축수홀, 상기 탄성수지체의 대응축수홀, 상기 하부찬넬의 하부축수홀 순으로 삽입되며, 하단부에 용착/압축 고정되어 상기 하부찬넬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지지체를 갖고, 상단부가 구조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Inserted in the order of the upper bearing hole of the upper channel, the corresponding bearing hole of the elastic resin, the lower bearing hole of the lower channel, welded / compressed fixed to the lower end has a support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hannel, the upper end A wire rope connected to the structure;
를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units containing.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의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은,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하 관통형 속판홀을 갖는 속판과, 이로부터 하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속판홀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상하 관통형 외함홀을 갖는 외함프레임과, 상기 외함홀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고 상단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환형의 지지편을 갖는 포스트(post)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An enclosure having an up-and-down through-plate plate hole, an enclosure frame having a down-through-type enclosure hole spaced downwardly therefrom and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plate-hole, and extending upwardly along an upper circumference of the enclosure hole and having a top circumference. In the distribution panel comprising a post (post) having an annular support piece extending inwardly along the
상기 속판의 속판홀에 끼워지는 속판부싱부와, 상기 속판부싱부 하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속판디스크와, 상기 속판디스크 외측 둘레를 따라 하방 연장되는 속판스커트(skirt)로 이루어진 상부댐퍼;An upper damper comprising a plate bushing portion inserted into a plate plate hole of the plate, a plate plate connected along a lower periphery of the plate plate, and a plate skirt extending downwar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plate plate;
상기 포스트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는 외함부싱부와, 상기 외함부싱부 하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외함디스크와, 상기 외함디스크 외측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고 상기 속판스커트(skirt)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외함스커트로 이루어진 하부댐퍼;An enclosure bushing portion inser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post, an enclosure disc connected along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enclosure bushing, and extending upward alo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closure disc and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skirt skirt. A lower damper consisting of an enclosure skirt;
상기 상부댐퍼의 속판디스크와 상기 하부댐퍼의 외함디스크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상부댐퍼와 상기 하부댐퍼, 그리고 상기 포스트가 이루는 내부 공간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탄성수지체;An elastic resin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plate disk of the upper damper and the enclosure disk of the lower damper, the elastic resin being formed to correspond to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upper damper, the lower damper, and the post;
상기 상부댐퍼의 속판부싱부와 상기 탄성수지체 내부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포스트의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헤드를 갖는 샤프트볼트;A shaft bolt having a shaft head disposed through the inner plate bushing portion of the upper damper and the elastic resin body and supported by a support piece of the post;
상기 샤프트볼트에 끼워져 상기 속판 상부 측에 배치되는 쿠션수지와셔;A cushion resin washer fitted to the shaft bolt and disposed on the upper plate;
상기 쿠션수지와셔 상부 측에 배치되는 댐퍼와셔; 및A damper washer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cushion resin washer; And
상기 샤프트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댐퍼와셔 상부 측에 배치되는 샤프트너트;A shaft nut fastened to the shaft bolt and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damper washer;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은,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복합모듈화로서 종래 충돌변위 횡파동 대응용 탄성스프링을 연직변위 전용으로 사용하여 위치에너지와 구조물의 정하중 축적용인 본래 기능사용으로 분리장치기능을 활성화하고, 중공탄성수지의 자중변위에 대한 위치에너지 축적을 탄성스프링전용으로 전환 분담으로 탄성수지의 연직변위 경년소성변형을 예방으로 수명과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composite modularization, the conventional elastic springs for the impact displacement transverse wave are used exclusively for vertical displacement to activate the separation device function by using the original function for accumulating the potential energy and the static load of the structure, and accumulating the potential energy for the self-displacement of the hollow elastic resin.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lifespan and performance by prevent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elastic resin and aging of the elastic resin.
또 탄성수지체인 중공탄성수지의 4각 기둥화를 횡파동대응 Side접촉면적 증가로 횡변 충돌력분산 효과와 4각 코너에 중공홀 설치수단으로 원형기둥형 중공탄성수지로 등가시킴에 따라 횡파동대응 전단변위의 방향별 균등화로 작동 시 무게중심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quadrangular columnarization of hollow elastomeric resin, which is an elastic resin, is equivalent to lateral wave response by increasing the side contact area, and it is equivalent to the circular columnar hollow elastomeric resin by means of hollow hole installation means at the four corners. It has the effect of centering the weight during operation by equalizing the direction of shear displacement.
또 상하 4변 Side댐퍼는 횡변위 시 압축변위로 작용됨으로 변위이탈방지를 극대화할 수 있고, 평소 댐퍼의 상부구조물의 정위치 고정력이 증가되어 이동 운반 시 편리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four-sided side dampers act as a compressive displacement during lateral displacement, thereby maximizing displacement and preventing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damper.
또 4변 Side Steel Stopper를 중공탄성수지 4각변 접촉으로 변위충돌, 이탈 방지 및 강진 시 면진기능유지, 댐퍼높이 2/3가 횡파동 시에만 자동형성. 고성능 탄성 Stopper기능인 간단하고 장해가 면제된 변위이탈 방지 및 탄성변위 Side댐퍼 분리장치가 추가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our-sided side steel stopper is contacted with the hollow elastic resin quadrilateral to prevent displacement collision, separation and maintenance of seismic function when the earthquake occurs, and the damper height is 2/3 automatically formed only in the lateral wave. Simple and trouble-free displacement escape and elastic displacement side damper separation device with high performance elastic stopper are added.
또 탄성수지의 S변형에 충돌마찰접촉이 면제된 가요성축수인 Rope축수, Rope헤드웨이브클램프에 의한 탄성수지손상, 축수탈락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elastic resin and the fall of the shaft caused by the Rope shaft, the Rope head wave clamp, which is a flexible shaft that is free of the frictional friction contact to the S deformation of the elastic resin.
또 Back up Tapering 발명으로 내진다단Set앵커에 의한 구조물 접지 완벽화에 의해 충격 시 구조물의 이탈, 전도사고 예방으로 인명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on of Back Up Tapering provides the perfect structure grounding by set anchors, which can protect people's property by preventing the structure from falling and conduction accident during impact.
또 탄성수지의 중공홀크기와 수량, 배치위치에 따라 용도, 부피에 대한 변위조절에 의한 분리장치의 규격을 표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tandardize the standard of the separation device by the displacement control for the use, volume, depending on the hollow hole size, quantity, and placement position of the elastic resin.
또 Rope앵커 Rope볼트 개발에 의한 구조물 전도예방용 가요성로프 가새 발명으로 전 산업분야 이용도가 확산 예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vention of the flexible rope brace for the structure conduction prevention by the development of Rope anchor Rope bolt has the effect that can be expected to spread in all industr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의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2는 두 단위체와 이들 사이에 코일형면진유닛이 배치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측면 구성도로서 [가]는 2톤(TON)급 이상 중량물에 적용되고 [나]는 2톤 미만 중량물 분리장치에 적용되는 구성도,
도 5는 일예 및 다른 예의 탄성수지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로서, [가]는 사각 기둥형 중공 탄성수지체, [나]는 원통 기둥형 탄성수지체의 구성도,
도 6은 클램프유닛을 나타낸 정면 및 평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측면 구성도,
도 8은 다단세트앵커유닛을 나타낸 분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의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을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10은 지진 시 변위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구조물의 지동가속도 파동이 입사 시 일어나는 현상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최대 지반가속도와 규모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진도표 도면.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wo unit bodies and a coil-type base isolation unit are disposed therebetween;
3 is a plan view of FIG.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of Figure 2 [a] is applied to 2 ton (TON) class or more heavy weight and [b] is a configuration diagram applied to a weight separation device less than 2 tons,
5 is a planar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the elastic resin of one example and another example, [a] is a rectangular columnar hollow elastic resin, [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ylindrical columnar elastic resin,
6 is a front and plan view showing the clamp unit,
7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6;
8 is an explod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ulti-stage set anchor unit;
9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displacement diagram during an earthquake,
11 is a view showing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acceleration acceleration wave of the structure,
12 is a progress chart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ximum ground acceleration and sca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의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은,As shown in Figure 1 to 8,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하 관통형 상부축수홀(101)을 갖는 ┌┐자 형상의 상부찬넬(100);An
상기 상부찬넬(100) 하부 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부축수홀(101)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상하 관통형 하부축수홀(201)을 갖는 H자 형상의 하부찬넬(200);An H-shaped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하부찬넬(200) 사이에 개재(介在)되고, 상기 상부축수홀(101)과 하부축수홀(201)에 대응되는 중심에 상하 관통형 대응축수홀(301)을 갖는 탄성수지체(300);The upper and lower through-hole corresponding bearing
상기 상부찬넬(100)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수지체(300) 상단 둘레를 따라 하향 4변 또는 원통 외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사이드댐퍼(400);An
상기 하부찬넬(200)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수지체(300) 하단 둘레를 따라 상향 4변 또는 원통 외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부사이드댐퍼(500); 및A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 상기 탄성수지체(300)의 대응축수홀(301),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축수홀(201) 순으로 삽입되며, 하단부에 용착/압축 고정되어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지지체(601)를 갖고, 상단부가 구조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600);The
를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 unit (U) comprising a.
이때 상기 상부사이드댐퍼(400)는 상기 탄성수지체(300)의 상단 둘레로부터 이격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커지는 하방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고,In this case, the
아울러 상기 하부사이드댐퍼(500)는 상기 탄성수지체(300)의 하단 둘레로부터 이격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커지는 상방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결국 상기 상부 및 하부 사이드댐퍼(400, 500)는 상기 탄성수지체(30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평상 시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지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수지체(300) 변형 시 변형된 상기 탄성수지체(300)와 접촉되어 횡파동력을 압축대응력으로 흡수하여 변위이탈을 제한한다.As a result, the upper and
그리고 상기 탄성수지체(300)는 사각기둥(도 5의 [가]를 참조) 또는 원기둥(도 5의 [나]를 참조) 구조이면서 내부에 상하 관통된 다수의 중공홀(302)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홀(302)은 상기 대응축수홀(301)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된 중공홀(302)들은 충격 흡수는 물론, 외력에 의한 변형 시 대응할 수 있는 면진 기능으로 활용되고, 중공홀(302)의 크기와 수량 조절에 따라 변위 조절로서 활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탄성수지체(300)의 4각 코너에 설치된 코너중공홀(303)은 그 크기 조절에 따라 4각 기둥형을 등가 원형 기둥화할 수 있는 면적 삭감 기능에 의해 변위의 방향성 균등조절용이다.In addition, the corn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의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은,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2,
상기 와이어로프(600)에 끼워져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에 배치되는 부싱(A1)과,A bushing A1 inserted into the
상기 와이어로프(600)에 끼워져 상기 부싱(A1) 상부 측에 배치되는 쿠션와셔(A2)와,A cushion washer (A2) inserted into the wire rope (600) and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bushing (A1);
상기 와이어로프(600)에 끼워져 상기 쿠션와셔(A2) 상부 측에 배치되는 플랫와셔(A3)와,A flat washer (A3) inserted into the wire rope (600) and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cushion washer (A2);
상기 플랫와셔(A3)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600)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인 웨이브 커브(sine waves curve) 형태가 되게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유닛(700)The
을 더 포함한다.It includes more.
이때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클램프유닛(700)은 상하로 길게 배열되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클램프유닛(700)이 눕혀진 상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를 기준으로 상기 클램프유닛(700)에 대해 설명하면,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양단부에 좌우로 관통되면서 상방 개구(開口)되게 형성되어 와이어로프(wire rope)(600)가 안착되는 한 쌍의 지지홈(701a)과, 전후 단부에 U자형 볼트(701b)의 각 단부가 삽입되되 상기 각 지지홈(701a)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하 관통형 삽입홀(701c)을 갖는 n(단, n은 2이상의 정수임)개의 클램프바디(clamp body)(701); 및A pair of supporting
상기 각 클램프바디(701)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부에 좌우로 관통되면서 상방 개구되게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701a) 보다 바닥이 높게 위치하게 되는 안착라운드홈(702a)을 갖는 n-1개의 서포트바디(support body)(702);N-1 support bodies disposed between the
를 포함하는 클램프단위체(CU)로 이루어져, 상기 클램프바디(701)의 지지홈(701a)과 상기 서포트바디(702)의 안착라운드홈(702a)을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로프(600)가 U자형 볼트(701b)에 체결된 너트(701d) 조임 시 하강되는 U자형 볼트(701b)에 의해 가압되면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인 웨이브 커브(sine waves curve) 형태를 이루게 된다.Consists of a clamp unit (CU) comprising a,
이때 상기 클램프바디(701)의 지지홈(701a)은 상기 와이어로프(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로프(600)와 서로 상응한 직경을 갖는 U자형의 홈 또는 타원형, V자형의 홈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 지지홈(701a)과 각 삽입홀(701c)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십자(+) 형태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좌우에 상기 각 지지홈(701a)이 배치되고 전후에 상기 각 삽입홀(701c)이 배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클램프바디(701)는 n개가 구비되는데, 상기 n은 2이상의 정수로서, 최소 2개부터 시작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대상체인 와이어로프(600)의 길이나 설치환경, 텐션 조절에 따라 그 수량을 늘릴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서포트바디(702)는 상기 클램프바디(701) 사이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클램프바디(701)의 배열 수량 보다 하나 적은 수량이 구비되거나 동일한 수량이 구비될 수도 있다.As the
따라서 상기 클램프바디(701)의 지지홈(701a))과 상기 서포트바디(702)의 안착라운드홈(702a)을 따라 배치되는 와이어로프(600)가 U자형 볼트(701b)에 체결된 너트(701d) 조임 시 하강되는 U자형 볼트(701b)에 의해 가압되면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웨이브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상기 클램프바디(701)의 지지홈(701a)과 상기 서포트바디(702)의 안착라운드홈(702a)을 따라 배치된 와이어로프(600)는 상기 클램프바디(701)의 지지홈(701a)에서 일자 형태를 이루다가 상기 서포트바디(702)의 안착라운드홈(702a) 측으로 상승하고 다시 지지홈(701a) 측으로 하강하는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Accordingly, the
결국 와이어로프(600)를 일자 형태로만 배치한 상태에서 U자형 볼트(702b) 및 이에 체결되는 너트(701d)로 조여 고정하는 것 보다 중간 중간마다 상승 및 하강하는 경사진 구조의 꺾임 구간을 갖는 라운드홈이 웨이브 형태로 배치한 상태에서 U자형 볼트(701b) 및 이에 체결되는 너트(701d)로 조여 고정하는 것이 와이어로프(600)에 대한 고정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로프(rope)의 셋팅(setting) 모형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라운드모형 로프(rope) 홈을 따라 좌에서 우로 사인 커브(sine curve) 형태로 고정된다.As a result, a round having a bent section of an inclined structure that rises and falls in the middle half rather than being tightened and fixed with a U-shaped bolt 702b and a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현예의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은,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1 and FIG. 2,
상기 상부찬넬(10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중심에 상하 관통형 상부축수볼트홀(801a)을 갖는 상부스토퍼링(801)과,An
상기 하부찬넬(200)의 상부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스토퍼링(801)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중심에 상하 관통형 하부축수볼트홀(802a)을 갖는 하부스토퍼링(802)과,A
상기 상부스토퍼링(801)과 상기 하부스토퍼링(802)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803)과,A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과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축수홀(201)을 상하로 관통하되 상기 상부스토퍼링(801)의 상부축수볼트홀(801a), 상기 코일스프링(803) 내부, 상기 하부스토퍼링(802)의 하부축수볼트홀(802a) 순으로 삽입되는 축수볼트(804)와,An upper
상기 축수볼트(804)에서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 상부 측으로 노출된 상단부에 체결되는 상부체결부재(805)와,An
상기 축수볼트(804)에서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축수홀(201) 하부 측으로 노출된 하단부에 체결되는 하부체결부재(806)A
로 이루어진 코일형면진유닛(800)을 더 포함한다.It further comprises a coil-type
이때 상기 상부체결부재(805)는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 상단 둘레에서 중심 측으로 경사진 상부슬로프(102)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슬로프(102)에 접촉되며 면이 상부를 향하는 반구(半球)형의 상부반달와셔(805a)와, 상기 축수볼트(804)에 끼워져 상기 상부반달와셔(805a) 상부 측에 둘 이상의 축수플랫와셔(805b)와, 상기 각 축수플랫와셔(805b) 사이에 개재되는 축수쿠션와셔(805c)와, 상기 축수볼트에 체결되어 상부 측에 배치된 축수플랫와셔(805b)를 가압하게 되는 둘 이상의 상부축수너트(805d)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하부체결부재(806)는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축수홀(201) 하단 둘레에서 중심 측으로 경사진 하부슬로프(202)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슬로프(202)에 접촉되며 면이 하부를 향하는 반구형의 하부반달와셔(806a)와, 상기 축수볼트(804)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반달와셔(806a)를 가압하게 되는 하부축수너트(806b)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상부스토퍼링(801)은 둘레를 따라 하방 연장되어 상기 코일스프링(803)의 상단을 감싸는 상부스커트(801b)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스토퍼링(802) 또한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어 상기 코일스프링(803)의 하단을 감싸는 하부스커트(802b)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하부찬넬(200)의 전방 또는 후방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하부찬넬(200)을 상호 연결하는 가요성보호커버(C)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요성보호커버(C)는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상부찬넬(100)과 하부찬넬(200)에 장착되며 볼트 해제 시 분리 또한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보호커버(C)는 각종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되, 특히 지진 등에 의해 파손된 잔해 등이 유입되어 내부 면진 구성들에게 간섭될 수 있는 조건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서 변형되었다가 외력 해제 시 원형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is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단위체(U)가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하부찬넬(200)에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코일형면진유닛(8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is provided with a pair of the unit (U)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left and right on the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하부찬넬(200)의 전후 양단부 보다 더 긴 연장부(P1)를 갖는 하부플레이트(P)가 구비된 상태에서,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을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은The multi-stage
원통의 나선부(901a) 및 상기 나선부(901a) 하부에 연결되되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를 갖는 볼트헤드(901b)를 갖는 볼트앵커바디(901)와,A
설치면의 타공홈에 상기 볼트앵커바디(90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볼트헤드(901b)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단에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를 갖는 바텀슬로프(902a)와 하단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환형(環形)의 바텀라운드홈(902b)을 갖는 바텀서포트링(902)과,The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바텀서포트링(902)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원통의 바텀스트롱(903)과,A cylindrical bottom strong 903 inserted into the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바텀스트롱(903)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단에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를 갖는 탑슬로프(904a)와 하단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환형(環形)의 탑라운드홈(904b)을 갖는 탑서포트링(904)과,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탑서포트링(904)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원통의 탑스트롱(905)과,A cylindrical top-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연장부(P1)를 관통하여 상부 측으로 노출된 영역에 체결되는 앵커체결부재(906)
로 이루어진다.Is made of.
따라서 상기 바텀스트롱(903) 타격 시 상기 바텀스트롱(903)의 하단이 상기 바텀서포트링(902)의 바텀슬로프(902a) 형상에 맞게 변형되면서 하단 일부가 상기 바텀라운드홈(902b)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탑스트롱(905) 타격 시 상기 탑스트롱(905)의 하단이 상기 탑서포트링(904)의 탑슬로프(904a) 형상에 맞게 변형되면서 하단 일부가 상기 탑라운드홈(904b)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설치면의 타공홈과 상기 바텀 및 탑 스트롱(903, 905) 간의 틈새를 없앨 수 있어 진동 등에 의한 외력 발생 시 설치면의 타공홈 내에서 볼트앵커바디(901)의 움직임을 최대한 제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ottom strong 903 is hit, the bottom of the bottom strong 903 is deform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은 네 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P)의 연장부(P1)에서 전방 측 연장부(P1)에 두 개의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P)의 연장부(P1)에서 후방 측 연장부(P1)에 나머지 두 개의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이 배치되어 사각을 이루게 된다.And, as shown in Figure 3, the multi-stage
이때 하나의 상기 코일형면진유닛(800)과 하나의 단위체(U)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네 개의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이 이루는 사각 범위 내에 하나의 상기 코일형면진유닛(800)과 하나의 단위체(U)가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에서와 같이 한 쌍의 단위체(U)와 이들 사이에 하나의 코일형면진유닛(800)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나의 단위체(U)와 하나의 코일형면진유닛(800) 사이의 경계영역 상에 상하로 두 개의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이 배치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단위체(U)와 하나의 코일형면진유닛(800) 사이의 경계영역 상에 상하로 나머지 두 개의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one coil-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현예의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은,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하 관통형 속판홀(1001)을 갖는 속판(1000)과,
이로부터 하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속판홀(1001)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상하 관통형 외함홀(2001)을 갖는 외함프레임(2000)과,An
상기 외함홀(2001)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고 상단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환형의 지지편(3001)을 갖는 포스트(3000)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In the distribution panel comprising a
상기 속판(1000)의 속판홀(1001)에 끼워지는 속판부싱부(4001)와, 상기 속판부싱부(4001) 하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속판디스크(4002)와, 상기 속판디스크(4002) 외측 둘레를 따라 하방 연장되는 속판스커트(4003)로 이루어진 상부댐퍼(4000);A
상기 포스트(3000)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는 외함부싱부(5001)와, 상기 외함부싱부(5001) 하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외함디스크(5002)와, 상기 외함디스크(5002) 외측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고 상기 속판스커트(4003)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외함스커트(5003)로 이루어진 하부댐퍼(5000);
상기 상부댐퍼(4000)의 속판디스크(4002)와 상기 하부댐퍼(5000)의 외함디스크(5002)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상부댐퍼(4000)와 상기 하부댐퍼(5000), 그리고 상기 포스트(3000)가 이루는 내부 공간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탄성수지체(6000);Interposed between the
상기 상부댐퍼(4000)의 속판부싱부(4001)와 상기 탄성수지체(6000) 내부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포스트(3000)의 지지편(3001)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헤드(7001)를 갖는 샤프트볼트(7000);A shaft having a
상기 샤프트볼트(7000)에 끼워져 상기 속판(1000) 상부 측에 배치되는 쿠션수지와셔(8000);A
상기 쿠션수지와셔(8000) 상부 측에 배치되는 댐퍼와셔(9000); 및A
상기 샤프트볼트(7000)에 체결되어 상기 댐퍼와셔(9000) 상부 측에 배치되는 샤프트너트(9050);A shaft nut (9050) fastened to the shaft bolt (7000) and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damper washer (9000);
로 이루어진다.Is made of.
이때 제2 구현예의 본 발명은 상기 속판(1000)의 외측벽에 배치되고 하부면에 상방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끼움홈(9061)을 갖는 하부쿠션댐퍼(9060)와, 상기 외함프레임(2000)의 상부면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하부쿠션댐퍼(9060)의 끼움홈(9061)에 삽입 지지되는 제1경량하부스토퍼(9070)와, 상기 외함프레임(2000)의 상부면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1경량하부스토퍼(9070) 상단에 연결되는 경사진 구조의 제2경량하부스토퍼(9080)를 더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s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한편,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상부사이드댐퍼(400)로 이루어진 하향의 4변 댐퍼의 내각은 90 ~ 120 도로 하고, 상기 하부찬넬(200)과 상기 하부사이드댐퍼(500)로 이루어진 상향의 4변 댐퍼의 내각은 90 ~ 120 도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our-side damper consisting of the
결국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상부사이드댐퍼(400)가 이루는 내각이 90 ~120 도이므로, 상기 탄성수지체(300)와 상기 상부사이드댐퍼(400)가 이루는 내각이 0 ~ 30 도인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부찬넬(200)과 상기 하부사이드댐퍼(500)가 이루는 내각 또한 90 ~120 도이므로, 상기 탄성수지체(300)와 상기 하부사이드댐퍼(500)가 이루는 내각이 0 ~ 30 도인 것이다.As a result, since the cabinet formed by the
그리고 상기 하부찬넬(200)은 상기 상부찬넬(100)과 같은 ┌┐자 찬넬을 맞댐 용접하여 H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탄성수지체(300, 6000)는 중공탄성수지로서, 상부찬넬(100) 댐퍼와 하부찬넬(200) 댐퍼 간에 삽입하여 구조물의 정위치 유지와 상부중력하중 하에서 횡파동에 대응하는 역할을 전담한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 입사파동을 탄성진동체로 하여금 감쇠시킨 후 일부만 입사시킴으로서 입사파동의 면진효과를 변위이탈 없이 수행하게 된다.The
반발탄성재료인 상기 코일스프링(803)은 중력하중에 대한 연직반발탄성력이 우수하여 배전반이나 구조물의 정하중백업용 및 반발탄성체인 중공탄성수지의 평소면압을 경감시키는 보조수단과 중공탄성수지의 장기경련수축의 변형을 예방하며 수명을 보좌한다.The
이때 구조물의 중력하중에 대한 연직하중과 연직파동 대비용 축적위치하중의 합을 W0로 하고 구조물의 중량을 M[kg·f], 하중이 없을 때 높이를 H2’, 하중 및 위치하중일 때 높이를 H2라면 하중 및 위치하중으로 인한 연직변위 H2‘-H2를 X, 탄성계수를 K라 하면 위치에너지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In this case, the sum of the vertical load and the accumulated position load for vertical wave against gravity is W 0 , the weight of the structure is M [kg · f], the height is H 2 ', and the load and position load If the height is H 2 , the vertical displacement H 2 '-H 2 due to the load and the position load is X, and the elastic modulus is K, the potential energy is given by Equation 1 below.
상기 코일스프링(803)의 위치에너지 W0 는 아래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The potential energy W 0 of the
x = H2‘-H2, 압축변위로서 x로 대치하면, 이때 평소 축적 위치에너지값 W0 는 1/2Kx2 이다. 이때 K값은 스프링 고유탄성계수로서 200~250kg·f/cm이며, 이 계수는 스프링의 엘레먼트(element)와 내경, 외경 크기에 따라 실험식으로 산출된다. 이는 단위길이 변형당 가해지는 힘의 벡터량 계수이다. 또한 이계수는 용도나 중량에 따라 임의로 변경된다.If x = H 2 '-H 2 , replaced by x as the compression displacement, the accumulated potential energy value W 0 at this time is 1 / 2Kx 2 . In this case, the K value is a spring-specific elastic modulus of 200 ~ 250kg · f / cm, this coefficient is calculated by the empirical formula according to the element, the inner diameter, the outer diameter size of the spring. This is the vector amount coefficient of the force applied per unit length deformation. In addition, this coefficient is arbitrarily changed according to a use or a weight.
평소 정하중구조물의 무게를 W이라 하면 총 위치에너지 축적량 Ep = W + W × 0.2 로 함으로써 구조물 하중보다 20% 증가된 축적위치에너지를 인가한다. 이를 이용하여 지동파 입사 시 대응할 응답태세를 확보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축적에너지는 용도에 따라 0~수백% 까지 변경할 수 있다.If the weight of the static load structure is normally W, the total potential energy accumulation amount Ep = W + W × 0.2 is applied to apply the accumulated potential energy 20% more than the load of the structure. Using this featu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response posture to respond to incident wave. Accumulated energy can also be changed from 0 to several hundred percen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반발탄성체인 중공탄성수지로서 상기 탄성수지체(300, 6000)의 위치에너지 축적은 H1‘(총 높이)-H1(축적후의 높이)를 H1‘의 차이만 위치에너지로 축적하여 경미한 면압을 유지하여 횡파동입사 시 전단하중변위를 활성화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이때 변위는 ΔH1 = H1’ - H1 이다. 이때 면압의 축적위치에너지변위는 ΔH1 = (H1’ - H1) 이다. RK는 종탄성계수로서 0~100kg·f/㎠ 으로 한다. 이때 축적에너지 Ep = 1/2ΔH1 2RK × 유효면적 이다.As a hollow elastic resin that is a resilient elastic body, the potential energy accumulation of the elastic resins (300, 6000) is a slight surface pressure by accumulating H 1 '(total height)-H 1 (height after accumulation) as potential energy only by the difference of H 1 '. It is characterized by activating shear load displacement during transverse incidence. 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is ΔH 1 = H 1 ′-H 1 . At this time, the accumulated potential energy displacement of the surface pressure is ΔH 1 = (H 1 '-H 1 ). RK is a Young's modulus of 0-100 kg.f / cm <2>. The accumulated energy Ep = 1 / 2ΔH 1 2 RK × effective area.
상기에서 구조물 하중이란 전체구조물 하중을 분리장치모듈수량 × 반발탄성체의 수량으로 나눈 값으로 각개 분담 하중을 말한다.In the above, the structure load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structure load by the number of separator modules × the number of rebound elastic bodies, and the respective shared loads.
구조물의 중량에 따라 복합모듈분리장치의 수량도 조절되며 만약 전장에서 보는바와 같은 진도표상에 6m/sec2에 기준할 시 중량물이 2톤이라면 진도8의 횡파전단하중력 F = 0.5 × 2 × 62 = 1.0 × 36[ton·f/sec2]의 중력힘과 가속력을 Base부에 인가한다. 즉 36[ton·f/sec2]의 가속력에 견디어야 한다.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structure, the quantity of the composite module separating device is also adjusted. If the weight is 2 tons based on 6 m / sec 2 on the progress chart as shown in the previous section, the shear shear load F = 0.5 × 2 × 6 The gravitational force and acceleration force of 2 = 1.0 × 36 [ton · f / sec 2 ] are applied to the base part. That is, it must endure the acceleration force of 36 [ton · f / sec 2 ].
상기 탄성수지체(300, 6000) 1개당 허용변위 3~5cm내의 응답내력 F1 = (10 ~ 100kg·f × 단면적) / H 로서, 단면적 S : 지름을 A라 하면 (A2 / 4) × π 이고, 여기서 H와 1변을 A라 하면 단위 높이당 전단력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The elastic can body (300, 6000) in response strength in one piece allows displacement 3 ~ 5cm F 1 = a (10 ~ 100kg · f × cross-sectional area) / H, the cross-sectional area S: Assuming that the A diameter (A 2/4) × π, where H and one side are A, the shear force per unit height is given by Equation 2 below.
이다. 여기서 탄성계수 K : 10~100kg·f/㎠ 이다.to be. Here, the elastic modulus K is 10 to 100 kg · f / cm 2.
만약 K값이 10kg·f/㎠ 이라면, F = 10kg·f/㎠ × 단면적/H 이다. 여기서 탄성계수 K값이 10kg·f/㎠ 이다. 여기서 반발탄성체 4각변 길이를 A라 하고 A를 지름으로 하는 원과의 등가면적을 만들고자 4변 코너에 중공홀 면적을 제거하면 (A2 - 준공홀면적) = 원형 (A2 / 4) × π 가 성립한다. If K is 10 kg · f / cm 2, then F = 10 kg · f / cm 2 × cross-sectional area / H. The elastic modulus K value is 10 kg * f / cm <2> here. When where La resisting
이로서 정사각기둥의 탄성변위는 A/2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기둥의 탄성변위로 등가시킴으로서 횡파동 시 변위이탈방지용 Damper 접촉 면적이 원형기둥의 사이드(side) 면적보다 우수하여 댐퍼분리장치기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으며 360°임의 방향에서의 변위형성을 균일하게 하는 효력을 갖는다.Thus,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square column is equivalent to the elastic displacement of the cylinder with radius A / 2, so that the damper contact area for preventing displacement from transverse waves is superior to the side area of the circular column, thereby increasing the function of the damper separator. It has the effect of making uniform the displacement formation in the 360 ° direction.
상기에서 중공홀을 이용하여 탄성수지체의 정사각기둥높이를 H라 하고 가로세로변을 A라 할 때 등가 시킨 원의 지름을 A로 같게 함으로써 4변의 댐퍼효율 증가와 4변으로 인한 분리장치상의 구조물 정위치 셋팅 효과의 이득을 얻었다. 또한 등가원형에 대한 임의방향의 변위균일화 이득을 확보한 편리성을 갖추었다.In the above, the height of the square column of the elastic resin is H and the diameter of the equivalent circle is equal to A whe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are A by using the hollow hole. The gain of the in-situ setting effect was obtained.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secure the gain of displacement equalization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quivalent circle.
이를 토대로 어떠한 배전반의 자중에 대한 분리장치의 용량을 복합모듈 적용 시 개별탄성체 소요수량을 산정할 필요가 요구된다. 이는 지진동파의 크기에 따라 감쇠기능의 정도(감쇠력)를 제외한 잔여 입사력 크기가 배전반에 미치는 내진성에 따라 정한다.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required amount of individual elastomer when applying the composite module to the capacity of the separation device for the weight of any switchboard. This is determined by the seismic resistance of the residual incident force on the switchboard, excluding the degree of damping function (damping forc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eismic wave.
상기의 에너지 E는 지진가속도가 라면 지진가속도에서 응답되는 반사 관성력 총합은 가 되며 응답의 변위성분 를 곱하여 입력에너지 E의 적분값을 산출함으로써 감쇠시킬 에너지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energy E above the earthquake acceleration The total reflected inertial force responded to the ramen acceleration The displacement component of the response The energy value to be attenuated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by calculat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input energy E.
상기 수학식 3을 다시 에너지평형식 Fe로 분석하면 하기와 같은 수학식 4로 계산된다.When Equation 3 is again analyzed by the energy balance Fe, it is calculated by
여기서, Fe : 에너지 총 입사량, : 감쇠력, FY : 복원력, : 지진가속도, M : 구조물질량, Y : 지면기준에 대한 질점의 상대변위이다.Where F e is the total amount of energy incident, : Damping force, FY: restoring force, : Earthquake acceleration, M: Mass of structure, Y: Relative displacement of material point to ground standard.
또한 에너지 총 입사량 Fe로 분석된 식을 지진변위시간 t 시각에 대하여 적분하면 소비된 에너지 분포를 하기 수학식 5를 통해 산출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equation analyzed by the total energy incident amount F e is integrated with respect to the earthquake displacement time t time, the energy distribution consumed may be calculated by
또한 상기 식을 t 시각에서 성분별로 분석하면, F모우멘트(연직흡수력) 값 + 잔류운동에너지 값은 구조물반사력이다.In addition, when the above equation is analyzed for each component at time t, the F moment (vertical absorption force) value + residual kinetic energy value is the structure reflection force.
상기 식을 t시각에서 정리하면 에너지 총량 E(t)=We(t)+Wh(t)+Wp(t)로 정리된다. 즉 도 10의 흡수에너지는 의 수평변위분 + 도 11의 M1M2인 의 수직변위분은 관성모우멘트분이고 벡터합은 이다.Summarizing the above equation at time t, the total energy E (t) = We (t) + Wh (t) + Wp (t). That is, the absorbed energy of FIG. 10 Horizontal displacement of + M1M2 in Fi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is the moment of inertia and the vector sum is to be.
여기서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은 응답 후 복원되지 않는 변형(소손)이고 누적소성변형(Cumulative Plastic Deformation)은 반발탄성체로서 외력이 정지되면 원위치로 돌아오는 복원변형이다. 이때 흡수변형은 힘의 단위가 음(-) 복원력은 양(+)이다.The plastic deformation is the deformation that does not recover after the response, and the cumulative plastic deformation is the resilient elastic body that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stops. Absorption strain is the unit of force and negative restoring force is positive.
상기와 같이 에너지 식에서 운동에너지로 배전반질량이 소비되어 t시각에서 받는 연직하중 Wc는 하기의 수학식 9로 산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witchboard mass is consumed as the kinetic energy in the energy equation, and the vertical load Wc received at the time t is calculated by
여기서 Ac는 유효단면적, H 는 높이 , Ec : 종탄성계수 , Ey : 운동에너지로 감소된 연직강성이다.Where Ac is the effective sectional area, H is the height, Ec is the Young's modulus, and Ey is the vertical stiffness reduced.
상기 식에서 M은 구조물의 하중 는 가속도이고 또는 y는 상대변위성분이다. 여기서 감쇠력 는 복원력 FY와 같으며 (지진가속도)와 상대질량 M과의 적분값이 총입사력이며 구조물에 충격력을 주는 성분이 이고 이것은 상대변위로서 이 변위로 인해 입사가속도가 에 해당하는 속도로 감속된 에너지 적분값이다.Where M is the load of the structure Is acceleration Or y is a relative displacement component. Where damping force Is equal to the resilience FY The integral value between the earthquake acceleration and the relative mass M is the total incident force and the component that gives the impact force to the structure This is relative displacement and due to this displacement the incident acceleration It is the energy integration value decelerated at the speed corresponding to.
이상과 같이 t시각을 평균화한 시각에서 에너지 입사량의 적분값을 평균화하면 t시각에서 등가 총입사에너지는 1/2 × MV0 2 이고 구조물에 입사된 에너지량은 흡수에너지를 공제한 1/2 × MV2 이다. 여기서 흡수된 에너지값은 변위 값이다. 여기서 는 탄성저항값이다. (V0=지반가속도, V=구조물의 상대가속도, V0 - V= 속도차, M=구조물의 질량)As described above, if the integral value of the energy incident amount is averaged at the time t is averaged, the equivalent total incident energy is 1/2 × MV 0 2 at t time, and the amount of energy incident on the structure is 1/2 obtained by subtracting the absorbed energy. × MV 2 . Where the absorbed energy is the displacement Value. here Is an elastic resistance value. (V 0 = ground acceleration, V = relative acceleration of the structure, V 0 -V = speed difference, M = mass of the structure)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의 연직 변위 시 에너지량을 계산하면 높이 H2’에서 H2 까지 압축력의 가속도가 작용할시 변위는 H2 ’- H2의 길이이고 이때 감쇠에너지량은 변위 × 탄성저항 값을 적산하면 이다.For example coils, H 2 is displaced when an acceleration of a compression force to act on the H 2, the height H 2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energy during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pring-length and wherein the attenuation amount of energy of the H 2 is displaced × elastic resistance If you integrate the value to be.
값을 250kg·f/cm로 적용하면 흡수에너지(축적복원에너지) 값은, H2 ’- H2= x, k=250일 때, 다음 수학식 10이 산출된다. When the value is applied at 250 kg · f / cm, when the absorbed energy (accumulation restoration energy) value is H 2 ′ -H 2 = x and k = 250, the following equation (10) is calculated.
이 값을 구하여 구조물중량보다 20%더 압축하여 위치에너지로 저장한다. 이때 잠복변위는 H2 ’- H2 이다. Obtain this value and store it as potential energy after compressing 20% more than the weight of the structure. At this time, the latent displacement is H 2 ' -H 2 .
한편 전단변형이δ일 때 유효지지면적 AC의 계산식은 다음 수학식 1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유효지지면적 Ac, 등가유효면적 A5라 할 때,On the other hand, when the shear strain is δ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1). When the effective area Ac, the equivalent effective area A5,
이다. (여기서 D ; 등가유효직경이다.)to be. Where D is the equivalent effective diameter.
또한 등가환산주기 Tf는 면진구조의 고유주기이고 다음 수학식 12에 의해 산출된다.In addition, the equivalent conversion period T f is the intrinsic period of the base isolation structure and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2).
G: 고무의 전단탄성계수, : 평균면압, g: 중력가속도 980cm/sec2, Ac: 단면적,G: shear modulus of rubber, : Average surface pressure, g: gravitational acceleration 980cm / sec 2 , Ac: cross-sectional area,
탄성계수가 K 라면 x 지점에서 받는 강성은 1/2kx2 이고 압력으로 환산하면 Ac × k 가 된다. 여기서 유효지지면적은 정사각형으로서 전단면적은 상하댐퍼형으로서 연직면적의 2/3 이다.If the modulus of elasticity is K, the stiffness received at point x is 1 / 2kx 2, and in terms of pressure, Ac x k. The effective area is square and the shear area is vertical damper type, which is 2/3 of the vertical area.
또한 총입사에너지 E와 배전반의 총질량 M으로 산출한 등가가속도범위 VE는 다음 수학식 13에 의해 산출된다.In addition, the equivalent acceleration range V E calculated by the total incident energy E and the total mass M of the switchboard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3).
이때 VE는 분리장치를 통과함으로써 감속된 가속도수치로서 배전반은 VE의 가속도 입사에 면진 없이 내진성에 견디어야 한다. 즉 VE는 상대가속도이다. At this time, V E is the acceleration value decelerated by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and the switchboard must withstand the seismic resistance without seismic isolation from the acceleration incident of V E. V E is the relative acceleration.
고유주기 Tf의 평균 목표값은 1.0~3.0sec, 전단력계수 dα1은 0.1~0.2, 면진층의 최대변위 dδmax는 2~12cm를 적용한 최대전단력계수는 1.2이다.The average target value of the natural period T f is 1.0 to 3.0 sec, the shear force coefficient d α1 is 0.1 to 0.2, and the maximum displacement coefficient d δ max of the base isolation layer is 1.2 to 12 cm.
탄성수지체의 총 단면적은 A2 이고, 이를 등가한 원형면적으로 유도하면 원형상의 지름을 A로 부여한다. 이때 A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면적은 (A/2)2 × π 이다. 즉 A2 × π, 4각면적 대비 원의 면적차이를 4각 코너에 중공홀 4개의 단면적합으로 대치하는 기법을 적용한다. 이때 중공홀 4개의 단면적합을 S0라 할 때, 다음 수학식 14에 의해 산출된다.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elastic resin is A 2 , and when the equivalent area is derived,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shape is given as A. At this time, the area of a circle having A as a diameter is (A / 2) 2 × π. In other words, A 2 × π, a method of replacing the area difference of the circle with the quadrilateral area by the cross-sectional fit of four hollow holes in the four corners is applied. At this time, when the cross-sectional fit of the four hollow holes S 0 , it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4).
중공홀 1개의 단면적은 다음 수학식 15에 의해 산출된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one hollow hol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5).
중공홀 수와 단면적의 조정으로 탄성수지체의 반발탄성 조정으로 변위조절이 용이하다.It is easy to control the displacement by adjusting the resilience of elastic resin by adjusting the number of hollow holes and the cross-sectional area.
상기 총 단면적을 A2 이라면, 여기서 유효단면적 S는 다음 수학식 16에 의해 산출된다.If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is A 2 , the effective cross-sectional area S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6).
이때 4변을 A를 직경으로 하는 원의 총 면적은 상기 S 면적이다.At this time, the total area of the circle | round | yen which has four sides as diameter is said S area.
이로서 4각변 A를 탄성수지체와, 상부사이드댐퍼와, 하부사이드댐퍼에 적용하여 접촉면적을 넓히는 효과 발생시켜 정위치고정과 횡파동 변위이탈을 Stop시키는 효율을 높이고 4각코너에 A2 × ( 1 - 1/4π) 면적을 소거시켜 A변을 원의 지름으로 등가화시킴으로서 360°상의 임의의 지동파 입사방향에서도 균등한 변위생성을 유도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상부 및 하부 사이드댐퍼를 ㄷ형강의 측면 깊이면(양측면)과 수지측면이 상호반발탄성 Stopper 구조로 배치됨에 따라 강진 시 최악의 변위이탈을 압축강성으로 응답하는 특성을 갖추고 사이드댐퍼에 의해 탄성수지체의 연직높이탄성효율은 보존한 상태에서 횡파동에 대한 탄성체높이가 자동으로 2/3 정도 경감시키고 분리장치의 반발탄성수지능률을 배가시킴으로서 설치수량을 60% 경감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Therefore, the quadrilateral A is applied to the elastic resin, the upper side damper, and the lower side damp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ixing the fixed position and deviating from the lateral wave displacement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2 × ( 1-1 / 4π) Equalizes the A side to the diameter of the circle by eliminating the area, resulting in the effect of inducing even displacement in any direction of the incident wave of 360 ° on the upper and lower side dampers. As the side depth surface (both sides) and the resin side are arranged in mutually resilient stopper structure,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responding to the worst displacement deviation with compressive stiffness during the earthquake and the vertical height elastic efficiency of the elastic resin is preserved by the side damper. The height of the elastic body against the lateral wave is automatically reduced by 2/3 and the installation efficiency of the separator is reduced by 60%. Turn on.
이때 탄성수지체 1개당 허용변위는 3~10cm내의 설정장치로 분리장치 1개의 응답전단력은 다음 수학식 17에 의해 산출된다.At this time, the permissible displacement per elastic resin is set within 3 ~ 10cm, the response shear force of one separation devic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7).
H=10cm이고, 이때 분리장치가 27개가 소요된다면 여기서 탄성체높이 H가 Side Damper의 상하 날개변이 삭감됨에 따라 전체높이의 2/3을 지원 보호하게 되어, 상기식의 H값이 1/3H로 작동됨에 따라 분리장치의 수량은 27/3개 즉, 9개로 감소되는 탁월하고도 획기적인 성능과 능률과 효과를 갖는다.If H = 10cm, and 27 separation devices are required, the height of the elastic body H will support 2/3 of the total height as the upper and lower wing edges of the side dampers are reduced, so the H value of the above formula operates at 1 / 3H. As a result, the number of separators is reduced to 27/3, i.e., 9, which has excellent performance, efficiency and efficiency.
t시각에서 감쇠된 에너지값의 계산은 여기서 주목할 속도와 변위 상관관계로서 등가식에서 운동에너지 E = 1/2 × M × V2 과 변위로 인한 흡수에너지 (EC = 1/2δ2 × 탄성저항 × 탄성체면적) 관계식이 성립한다. 즉 변위도 가속함수와 변위가 커질수록 변형거리에 비해 위치에너지량이 비례하지 않고 가중되는 현상이다.The calculation of the attenuated energy value at time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elocity and the displacement, which is to be noted here in the equation: the kinetic energy E = 1/2 × M × V 2 and the absorbed energy due to displacement (E C = 1 / 2δ 2 × elastic resistance × Elastic body) relationship is established. In other words, as the acceleration and displacement increase, the amount of potential energy is not proportional to the deformation distance.
상기와 같이 사이드댐퍼에 의해 변위이탈이 보장된 조건에서 지진동 규모7 진도8의 지진동표인 도 12를 참고로 본 발명인 복합모듈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에 대한 분리장치의 기능을 설계검증 예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이 효력을 검증한다.Referring to Fig. 12, which is a seismic movement table of
여기서 반발탄성체인 탄성수지체 횡파변위를 3cm, 반발탄성체인 코일스프링 연직변위를 2cm, 반발탄성체인 코일스프링 압축강성을 250kg/cm, 반발탄성체인 탄성수지체의 횡탄성계수를 10kg/㎠, 유효면적 40㎠구조물의 중량(배전반) 2ton, 입사가속도 6m/sec2, 총 분리장치 모듈수 4조, 1모듈: 탄성수지체 × 2, 코일스프링 1개, 배전반의 고유주기는 1로 한다.Here, the elastic resin transverse elastic deformation of the resilient elastic body is 3cm, the coil spring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resilient elastic body is 2cm, the coil spring compressive rigidity of the resilient elastic body is 250kg / cm, and the transverse elastic modulus of the elastic resin of the resilient elastic body is 10kg / ㎠, The area of 40cm2 of structure (distribution board) 2ton, incident acceleration 6m / sec 2 , total number of
분리장치의 Base에 입사한 총입사력 Ep라 하면 예를 들어 2ton 중량물이라면 Ep = 1/2 × M × V2에서 1/2 × 2 × 62 = 36(ton·f), 여기서 H=10, K=30kg/㎠ 이면 수지감쇠량은 다음 수학식 18에 의해 산출된다.If the total incident force Ep incident on the base of the separation device is, for example, 2 ton heavy, Ep = 1/2 × M × V 2 , 1/2 × 2 × 6 2 = 36 (ton · f), where H = 10 , K = 30kg / cm 2 The resin attenuation amount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8).
코일스프링 모우멘트 압축변위 감쇠량은 다음 수학식 19에 의해 산출된다.Coil spring moment compression displacement attenuation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9).
총감쇠량 : EC + EH = 4.32+2=6.32ton·fTotal Attenuation: E C + E H = 4.32 + 2 = 6.32tonf
배전반에 입사된 충격력 F = EP - EC - EH = 36-4.32-2.0 =29.68ton·f/sec2 Impact force incident on the switchboard F = E P -E C -E H = 36-4.32-2.0 = 29.68tonf / sec 2
배전반에 입사한 가속도를 V라 하면If the acceleration incident on the switchboard is V
28.68= 1/2 ×2(ton)× V2 28.68 = 1/2 × 2 (ton) × V 2
V2 = 29.68 / (0.5 × 2) = 29.68V 2 = 29.68 / (0.5 × 2) = 29.68
검산) 배전반에 입사한 충격파는 다음 수학식 20에 의해 산출된다.Check) The shock wave incident on the switchboard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0).
배전반 Side댐퍼 2면에 부담횡력으로 1면이 감당할 횡력 F = 29.68 /2 ≒ 15ton·f 이다.Lateral force F = 29.68 / 2 ≒ 15 ton for one side of the switchboard side dampers.
탄성수지체 4각기둥을 원형으로 등가시켜 원형기둥의 단면적으로 만들기 위한 4개의 중공홀은 4각 평면변(B)과 B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단면적 차이면적을 중공홀 4개의 면적과 동일하게 적용시킴으로서 가능하다. 이에 대한 계산식은 탄성수지체의 등가원형기법과 동일하다. 그러나 외형형태는 4각변에 의해 사이드댐퍼의 접속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사이드댐퍼의 강성증대와 그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력이 발생한다.The four hollow holes to equalize the elastic resin quadrilateral to circular shape to make the cross section of the circular column apply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of the quadrilateral plane (B) and the circle of B to the same diameter as the four hollow holes. It is possible by giving. The formula for this is the same as the equivalent circular technique of the elastic resin. However, the external shape increases the stiffness of the side damper and increases its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nection area of the side damper by the four sides.
또한 강진 시 변위이탈방지기능인 횡파동에 대한 전단강성이 2/3 이상 증가한다. 탄성력 K = ( δ × A ) × H 에서 댐퍼에 의해 H가 2/3 줄어든다. 수직강성은 그대로 H이다. 여기서 δ는 탄성계수, A는 전단면적, H는 탄성체높이이다.In addition, the shear stiffness for lateral waves, which prevents displacement from the ground, increases by more than 2/3. At the elastic force K = (δ × A) × H, H is reduced by 2/3 by the damper. Vertical stiffness is still H. Where δ is the elastic modulus, A is the shear area, and H is the height of the elastomer.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s a description of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상부찬넬
101 : 상부축수홀
102 : 상부슬로프
200 : 하부찬넬
201 : 하부축수홀
202 : 하부슬로프
300 : 탄성수지체
301 : 대응축수홀
302 : 중공홀
303 : 코너중공홀
400 : 상부사이드댐퍼
500 : 하부사이드댐퍼
600 : 와이어로프
601 : 지지체
700 : 클램프유닛
701 : 클램프바디
701a : 지지홈
701b : U자형 볼트
701c : 삽입홀
701d : 너트
702 : 서포트바디
702a : 안착라운드홈
800 : 코일형면진유닛
801 : 상부스토퍼링
801a : 상부축수볼트홀
801b : 상부스커트
802 : 하부스토퍼링
802a : 하부축수볼트홀
802b : 하부스커트
803 : 코일스프링
804 : 축수볼트
805 : 상부체결부재
805a : 상부반달와셔
805b : 축수플랫와셔
805c : 축수쿠션와셔
805d : 상부축수너트
806 : 하부체결부재
806a : 하부반달와셔
806b : 하부축수너트
900 : 다단세트앵커유닛
901 : 볼트앵커바디
901a : 나선부
901b : 볼트헤드
902 : 바텀서포트링
902a : 바텀슬로프
902b : 바텀라운드홈
903 : 바텀스트롱
904 : 탑서포트링
904a : 탑슬로프
904b : 탑라운드홈
905 : 탑스트롱
906 : 앵커체결부재
1000 : 속판
1001 : 속판홀
2000 : 외함프레임
2001 : 외함홀
3000 : 포스트
3001 : 지지편
4000 : 상부댐퍼
4001 : 속판부싱부
4002 : 속판디스크
4003 : 속판스커트
5000 : 하부댐퍼
5001 : 외함부싱부
5002 : 외함디스크
5003 : 외함스커트
6000 : 탄성수지체
7000 : 샤프트볼트
7001 : 샤프트헤드
8000 : 쿠션수지와셔
9000 : 댐퍼와셔
9050 : 샤프트너트
9060 : 하부쿠션댐퍼
9061 : 끼움홈
9070 : 제1경량하부스토퍼
9080 : 제2경량하부스토퍼100: upper channel
101: upper bearing hole
102: upper slope
200: lower channel
201: Lower bearing hole
202: lower slope
300: elastic resin
301: corresponding bearing hole
302: hollow hole
303: Corner Hollow Hall
400: upper side damper
500: lower side damper
600: wire rope
601 support
700: Clamp Unit
701: Clamp Body
701a: support groove
701b: U-shaped bolt
701c: Insertion hole
701d: Nut
702: Support Body
702a: settled round groove
800: coil type isolating unit
801: upper stopper ring
801a: Upper shaft bolt hole
801b: Upper skirt
802: lower stopper ring
802a: Lower bearing bolt hole
802b: Bottom skirt
803: coil spring
804: bearing bolt
805: upper fastening member
805a: Upper half washer
805b: Shaft Flat Washer
805c: Shaft Cushion Washer
805d: Upper shaft nut
806: lower fastening member
806a: Lower half washer
806b: Lower shaft nut
900: multi-stage set anchor unit
901: Bolt Anchor Body
901a: spiral
901b: Bolt Head
902: bottom support ring
902a: Bottom Slope
902b: Bottom Round Groove
903: Bottom Strong
904: Top Support Ring
904a: Top Slope
904b: Top Round Groove
905: Top Strong
906: anchor fastening member
1000: Second Edition
1001: Suppan Hall
2000: enclosure frame
2001: Enclosure Hall
3000: Post
3001: support piece
4000: Upper Damper
4001: Plate bushing part
4002: Disc Disc
4003: Skirt Skirt
5000: Lower Damper
5001: enclosure bushing
5002 enclosure disc
5003: Enclosure Skirt
6000: elastic resin
7000: Shaft Bolt
7001: shaft head
8000: Cushion Resin Washer
9000: Damper Washer
9050: Shaft Nut
9060: Lower Cushion Damper
9061: fitting groove
9070: first lightweight lower stopper
9080: second lightweight lower stopper
Claims (13)
상기 상부찬넬(100) 하부 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상부축수홀(101)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상하 관통형 하부축수홀(201)을 갖는 H자 형상의 하부찬넬(200);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하부찬넬(200) 사이에 개재(介在)되고, 상기 상부축수홀(101)과 하부축수홀(201)에 대응되는 중심에 상하 관통형 대응축수홀(301)을 갖는 탄성수지체(300);
상기 상부찬넬(100)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수지체(300) 상단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사이드댐퍼(400);
상기 하부찬넬(200)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수지체(300) 하단 둘레를 따라 감싸도록 배치되는 하부사이드댐퍼(500); 및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 상기 탄성수지체(300)의 대응축수홀(301),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축수홀(201) 순으로 삽입되며, 하단부에 용착/압축 고정되어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면에 지지되는 지지체(601)를 갖고, 상단부가 구조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600);
를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사이드댐퍼(400)는 상기 탄성수지체(300)의 상단 둘레 또는 4변으로부터 이격되되 하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커지는 하방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사이드댐퍼(500)는 상기 탄성수지체(300)의 하단 둘레 또는 4변으로부터 이격되되 상향으로 갈수록 간격이 커지는 상방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로프(600)에 끼워져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에 배치되는 부싱(A1)과, 상기 와이어로프(600)에 끼워져 상기 부싱(A1) 상부 측에 배치되는 쿠션와셔(A2)와, 상기 와이어로프(600)에 끼워져 상기 쿠션와셔(A2) 상부 측에 배치되는 플랫와셔(A3)와, 상기 플랫와셔(A3)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로프(600)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인 웨이브 커브(sine waves curve) 형태가 되게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유닛(7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찬넬(100)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중심에 상하 관통형 상부축수볼트홀(801a)을 갖는 상부스토퍼링(801)과, 상기 하부찬넬(200)의 상부면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스토퍼링(801)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중심에 상하 관통형 하부축수볼트홀(802a)을 갖는 하부스토퍼링(802)과, 상기 상부스토퍼링(801)과 상기 하부스토퍼링(802)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803)과,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과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축수홀(201)을 상하로 관통하되 상기 상부스토퍼링(801)의 상부축수볼트홀(801a), 상기 코일스프링(803) 내부, 상기 하부스토퍼링(802)의 하부축수볼트홀(802a) 순으로 삽입되는 축수볼트(804)와, 상기 축수볼트(804)에서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 상부 측으로 노출된 상단부에 체결되는 상부체결부재(805)와, 상기 축수볼트(804)에서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축수홀(201) 하부 측으로 노출된 하단부에 체결되는 하부체결부재(806)로 이루어진 코일형면진유닛(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
An upper channel 100 having a U-shape having an upper and a lower penetrating upper bearing hole 101;
An H-shaped lower channel 200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hannel 100 and having an upper through lower lower bearing hole 201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upper bearing hole 101;
The upper and lower through-hole corresponding bearing holes 301 ar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channel 100 and the lower channel 200, and correspond to the upper bearing holes 101 and the lower bearing holes 201. Having an elastic resin 300;
An upper side damper 400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hannel 100 and disposed to surround a top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resin 300;
A lower side damper 500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hannel 200 and disposed to surround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resin 300; And
The upper bearing hole 101 of the upper channel 100, the corresponding bearing hole 301 of the elastic resin 300, and the lower bearing hole 201 of the lower channel 200 are inserted in this order, and are welded to the lower end. A wire rope 600 having a support 601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hannel 200, and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structure;
Consists of a unit (U) comprising a,
The upper side damper 4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circumference or four sides of the elastic resin 300, but is made of a downwardly inclined structure in which the interval increases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The lower side damper 50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circumference or four sides of the elastic resin 300, but is made of an upwardly inclined structure in which the distance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A bushing A1 inserted into the wire rope 600 and disposed in the upper bearing hole 101 of the upper channel 100, and a cushion washer fitted into the wire rope 600 and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bushing A1. (A2), the flat washer (A3) is inserted into the wire rope 600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shion washer (A2), and the flat washer (3)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re washer (A3) to the front When viewed from the further comprises a clamp unit 700 for pressing and fixing to form a sine wave curve (sine waves curve),
An upper stopper ring 801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channel 100 and having an upper through-bolt upper hole bolt hole 801a at the center, and an upper stopper ring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channel 200; The lower stopper ring 802 is dispos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801 and has a lower through-bolt bolt hole 802a at the center and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topper ring 801 and the lower stopper ring 802. The upper spring of the upper stopper ring 801 through the coil spring 803, the upper bearing 100 of the upper channel 100 and the lower bearing hole 201 of the lower channel 200 An anchoring bolt 804 inserted in the order of the bolt hole 801a, the coil spring 803, and the lower bearing bolt hole 802a of the lower stopper ring 802, and the upper channel in the bearing bolt 804. The upper fastening member 805 fastened to the upper end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earing hole 101 of the (100) and to the bearing bolt 804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further comprises a coil-type seismic isolation unit 800 formed of a lower fastening member 806 fastened to a lower end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hannel 200 of the lower channel 200. Isolation Switchgear.
상기 상부찬넬(100)의 상부축수홀(101) 상단 둘레에는 중심 측으로 경사진 상부슬로프(10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결부재(805)에는 상기 상부슬로프(102)에 접촉되며 면이 상부를 향하는 반구(半球)형의 상부반달와셔(805a)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찬넬(200)의 하부축수홀(201) 하단 둘레에는 중심 측으로 경사진 하부슬로프(20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결부재(806)에는 상기 하부슬로프(202)에 접촉되며 면이 하부를 향하는 반구형의 하부반달와셔(806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
The method of claim 1,
An upper slope 102 inclined toward the center is form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bearing hole 101 of the upper channel 100,
The upper fastening member 805 is provided with a hemispherical upper half washer 805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lope 102 and faces upward.
A lower slope 202 inclined toward the center is forme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bearing hole 201 of the lower channel 200.
The lower fastening member 806 has a semi-modular hollow elastic resin basin switchboar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emi-spherical lower half washer (806a) in contact with the lower slope 202 and faces downward.
상기 탄성수지체(300)는 사각기둥 또는 원기둥 구조이면서 내부에 상하 관통된 다수의 중공홀(302) 및 코너중공홀(3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
The method of claim 2,
The elastic resin 300 has a rectangular pillar or a cylindrical structure, a plurality of hollow holes 302 and a corner hollow hole 303 through the upper and lower through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하부찬넬(200)의 전방 또는 후방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하부찬넬(200)을 상호 연결하는 가요성보호커버(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t further comprises a flexible protective cover (C) disposed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upper channel 100 and the lower channel 200 to interconnect the upper channel 100 and the lower channel 200.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ic Resin Switchboard.
상기 단위체(U)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하부찬넬(200)에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기 코일형면진유닛(80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nit (U) is provided with a pair is arranged spaced apart left and right on the upper channel 100 and the lower channel 200, the composit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between the coil-type seismic isolation unit 800 therebetween Modular hollow elast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상기 하부찬넬(200)에는 이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하부찬넬(200)의 전후 양단부 보다 더 긴 연장부(P1)를 갖는 하부플레이트(P)가 구비되며,
원통의 나선부(901a) 및 상기 나선부(901a) 하부에 연결되되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를 갖는 볼트헤드(901b)를 갖는 볼트앵커바디(901)와, 설치면의 타공홈에 상기 볼트앵커바디(90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볼트헤드(901b)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단에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를 갖는 바텀슬로프(902a)와 하단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환형(環形)의 바텀라운드홈(902b)을 갖는 바텀서포트링(902)과,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바텀서포트링(902)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원통의 바텀스트롱(903)과,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바텀스트롱(903)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단에 상협하광의 단면 구조를 갖는 탑슬로프(904a)와 하단에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환형(環形)의 탑라운드홈(904b)을 갖는 탑서포트링(904)과,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를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탑서포트링(904)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원통의 탑스트롱(905)과, 상기 볼트앵커바디(901)의 나선부(901a)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연장부(P1)를 관통하여 상부 측으로 노출된 영역에 체결되는 앵커체결부재(906)로 이루어진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스트롱(903) 타격 시 상기 바텀스트롱(903)의 하단이 상기 바텀서포트링(902)의 바텀슬로프(902a) 형상에 맞게 변형되면서 하단 일부가 상기 바텀라운드홈(902b)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탑스트롱(905) 타격 시 상기 탑스트롱(905)의 하단이 상기 탑서포트링(904)의 탑슬로프(904a) 형상에 맞게 변형되면서 하단 일부가 상기 탑라운드홈(904b)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lower channel 200 is provided with a lower plate P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and having an extended portion P1 longer than both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channel 200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bolt anchor body 901 which is connected to the spiral part 901a of the cylinder and the lower part of the spiral part 901a, and has the bolt head 901b which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light, and the said bolt anchor body in the perforation groove of an installation surface. A bottom slope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light beams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bolt head 901b and insert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piral portion 901a of the bolt anchor body 901 in a state where the 901 is inserted. 902a) and a bottom support ring 902 having an annular bottom round groove 902b recessed i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bottom thereof, and surrounding the spiral portion 901a of the bolt anchor body 901. Inserted into the bottom support ring 902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rical bottom strong 903, and the spiral portion 901a of the bolt anchor body 901 is inserted in the form of wrapping the bottom strong 903 Topslash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light beam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The top support ring 904 having a rope 904a and an annular top round groove 904b recessed inwar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spiral portion 901a of the bolt anchor body 901. A cylindrical top strong 905 inserted in a wrapping form and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top support ring 904 and an extension part P1 of the lower plate at the spiral portion 901a of the bolt anchor body 901. Further comprising a multi-stage set anchor unit 900 consisting of an anchoring member 906 fastened to the area exposed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When the bottom strong 903 is hit, the bottom of the bottom strong 903 is deformed to fit the shape of the bottom slope 902a of the bottom support ring 902 and a part of the bottom is fixed to the bottom round groove 902b.
When the top strong 905 hit the bottom of the top strong 905 is deformed to fit the shape of the top slope 904a of the top support ring 904 is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round groove (904b)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ic Resin Switchboard.
상기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은 네 개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P)의 연장부(P1)에서 전방 측 연장부(P1)에 두 개의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P)의 연장부(P1)에서 후방 측 연장부(P1)에 나머지 두 개의 다단세트앵커유닛(900)이 배치되어 사각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
The method of claim 6,
The multi-stage set anchor unit 900 is provided with four,
In the extension part P1 of the lower plate P, two multi-stage set anchor units 900 are disposed at the front side extension part P1,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two multi-stage set anchor unit 900 is disposed in the rear side extension portion (P1) in the extension portion (P1) of the lower plate (P) to form a square. .
이로부터 하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속판홀(1001)과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상하 관통형 외함홀(2001)을 갖는 외함프레임(2000)과,
상기 외함홀(2001) 상단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고 상단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수평 연장되는 환형의 지지편(3001)을 갖는 포스트(3000)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속판(1000)의 속판홀(1001)에 끼워지는 속판부싱부(4001)와, 상기 속판부싱부(4001) 하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속판디스크(4002)와, 상기 속판디스크(4002) 외측 둘레를 따라 하방 연장되는 속판스커트(4003)로 이루어진 상부댐퍼(4000);
상기 포스트(3000)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지는 외함부싱부(5001)와, 상기 외함부싱부(5001) 하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는 외함디스크(5002)와, 상기 외함디스크(5002) 외측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고 상기 속판스커트(4003)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는 외함스커트(5003)로 이루어진 하부댐퍼(5000);
상기 상부댐퍼(4000)의 속판디스크(4002)와 상기 하부댐퍼(5000)의 외함디스크(5002)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상부댐퍼(4000)와 상기 하부댐퍼(5000), 그리고 상기 포스트(3000)가 이루는 내부 공간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탄성수지체(6000);
상기 상부댐퍼(4000)의 속판부싱부(4001)와 상기 탄성수지체(6000) 내부를 지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포스트(3000)의 지지편(3001)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헤드(7001)를 갖는 샤프트볼트(7000);
상기 샤프트볼트(7000)에 끼워져 상기 속판(1000) 상부 측에 배치되는 쿠션수지와셔(8000);
상기 쿠션수지와셔(8000) 상부 측에 배치되는 댐퍼와셔(9000); 및
상기 샤프트볼트(7000)에 체결되어 상기 댐퍼와셔(9000) 상부 측에 배치되는 샤프트너트(905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속판(1000)의 외측벽에 배치되고 하부면에 상방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끼움홈(9061)을 갖는 하부쿠션댐퍼(9060)와, 상기 외함프레임(2000)의 상부면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하부쿠션댐퍼(9060)의 끼움홈(9061)에 삽입 지지되는 제1경량하부스토퍼(9070)와, 상기 외함프레임(2000)의 상부면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1경량하부스토퍼(9070) 상단에 연결되는 경사진 구조의 제2경량하부스토퍼(90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
Plate 1000 having a vertical through hole plate 1001,
An enclosure frame 2000 disposed downwar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n up-down through-type enclosure hole 2001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plate hole 1001;
In the distribution panel comprising a post 3000 having an annular support piece 3001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enclosure hole 2001 and horizontally extending inwardly along the upper periphery,
A plate bushing portion 4001 inserted into the plate hole 1001 of the plate 1000, a plate disc 4002 connected along a lower periphery of the plate bushing 4001,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plate disc 4002. Upper damper 4000 made of a plate skirt 4003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Enclosure bushing 5001 that is fitted to enclose the post 3000, an enclosure disc 5002 connected along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enclosure bushing 5001, and upwards along an outer perimeter of the enclosure disc 5002. A lower damper 5000 formed of an enclosure skirt 5003 extending and arrang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plate skirt 4003;
Interposed between the plate disk 4002 of the upper damper 4000 and the enclosure disk 5002 of the lower damper 5000, the upper damper 4000 and the lower damper 5000, and the post 3000 An elastic resin body 600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ternal space shape formed therein;
A shaft having a shaft head 7001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inner plate bushing part 4001 of the upper damper 4000 and the elastic resin 6000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3001 of the post 3000. Bolt 7000;
A cushion resin washer 8000 fitted to the shaft bolt 7000 and disposed on the upper plate 1000;
A damper washer 9000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cushion resin washer 8000; And
A shaft nut (9050) fastened to the shaft bolt (7000) and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damper washer (9000);
Consisting of,
The lower cushion damper 9060 is disposed on the outer wall of the plate 1000 and has a fitting groove 9041 formed to be recessed upward on the lower surface, and a lower end is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nclosure frame 2000, and an upper end thereof is connected. A first lightweight lower stopper 9070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fitting groove 9061 of the lower cushion damper 9060,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enclosure frame 2000,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lightweight lower stopper ( 9070) The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ic resin basin switchboard further comprises a second lightweight lower stopper (9080) of the inclined structure connected to the top.
상기 상부찬넬(100)과 상기 상부사이드댐퍼(400)가 이루는 내각은 90 ~ 120 도이고,
상기 하부찬넬(200)은 상기 상부찬넬(100)과 같은 ┌┐자 찬넬을 맞댐 용접하여 H형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찬넬(200)과 상기 하부사이드댐퍼(500)가 이루는 내각은 90 ~ 120 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모듈형 중공탄성수지 면진배전반.The method of claim 1,
The cabinet formed by the upper channel 100 and the upper side damper 400 is 90 to 120 degrees,
The lower channel 200 is made of an H-shaped structure by butt welding the same channel as the upper channel 100,
The inner channel formed by the lower channel 200 and the lower side damper 500 is a composite modular hollow elastomeric resin isolation panel, characterized in that 90 ~ 120 degre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7136A KR102081921B1 (en) | 2019-10-14 | 2019-10-14 | Hollow elast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of composite modular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7136A KR102081921B1 (en) | 2019-10-14 | 2019-10-14 | Hollow elast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of composite modular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1921B1 true KR102081921B1 (en) | 2020-02-26 |
Family
ID=6963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7136A Active KR102081921B1 (en) | 2019-10-14 | 2019-10-14 | Hollow elast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of composite modular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192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64266A (en) * | 2020-05-13 | 2020-10-13 | 同济大学 | A design method applied to self-reset shock-absorbing support |
KR102238836B1 (en) * | 2020-08-28 | 2021-04-08 | 장두호 | Distribution boar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8136B1 (en) * | 2016-03-02 | 2016-08-12 |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 Earthquake-proof distributing board having function reducing vibration in various direction |
KR101702349B1 (en) * | 2016-10-13 | 2017-02-03 | 문운하 |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switchgear having improved normal usability |
KR20170087893A (en) | 2014-11-28 | 2017-07-31 |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eismic isolation device |
KR101834473B1 (en) | 2017-04-11 | 2018-03-05 | (주)일렉트코리아 | The Distribution Board With Vibration isolation and Earthquake-proof Device |
KR20180083176A (en) * | 2017-01-12 | 2018-07-20 | (주)원방엔지니어링 | Vibration isolation switchboard having hollow and elastic resin structure |
KR20190054567A (en) * | 2017-11-14 | 2019-05-22 | 주식회사 협동콘트롤 | Mounting Structure of 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Earth-Quake-proof Function |
-
2019
- 2019-10-14 KR KR1020190127136A patent/KR1020819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7893A (en) | 2014-11-28 | 2017-07-31 |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eismic isolation device |
KR101648136B1 (en) * | 2016-03-02 | 2016-08-12 | 유호전기공업주식회사 | Earthquake-proof distributing board having function reducing vibration in various direction |
KR101702349B1 (en) * | 2016-10-13 | 2017-02-03 | 문운하 | 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switchgear having improved normal usability |
KR20180083176A (en) * | 2017-01-12 | 2018-07-20 | (주)원방엔지니어링 | Vibration isolation switchboard having hollow and elastic resin structure |
KR101918611B1 (en) | 2017-01-12 | 2018-11-14 | (주)원방엔지니어링 | Vibration isolation switchboard having hollow and elastic resin structure |
KR101834473B1 (en) | 2017-04-11 | 2018-03-05 | (주)일렉트코리아 | The Distribution Board With Vibration isolation and Earthquake-proof Device |
KR20190054567A (en) * | 2017-11-14 | 2019-05-22 | 주식회사 협동콘트롤 | Mounting Structure of Power Distributing Board having Earth-Quake-proof Funct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64266A (en) * | 2020-05-13 | 2020-10-13 | 同济大学 | A design method applied to self-reset shock-absorbing support |
KR102238836B1 (en) * | 2020-08-28 | 2021-04-08 | 장두호 | Distribution boar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01532A (en) | Apparatus mounting arrangement for avoiding harm due to seismic shocks | |
US5014474A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limiting the effect of vibrations between a structure and its foundation | |
KR101778083B1 (en) | Earthquake-Resistant Swichboard with Attenuation Apparatus and Restriction Apparatus of Displacement | |
KR100939475B1 (en) | Earthquake-proofing distribute & switch board | |
KR101963022B1 (en) | The seismic device of the fire water tank using the wire rope type buffer | |
KR101446890B1 (en) | Antivibration pad and earthquake resistant switchgear provided with the same | |
KR102081921B1 (en) | Hollow elastic resin isolation switchboard of composite modular type | |
CA2656554A1 (en) | Seismically stable flooring | |
KR20210042791A (en) | Anti-seismic device in electrical structure enclosure | |
CN213979290U (en) | Self-reset friction energy dissipation steel frame node based on pre-pressed disc spring | |
JP6463137B2 (en) | Seismic reduction device | |
JP5797067B2 (en) | Anti-vibration stopper for vibration isolation frame | |
KR102305497B1 (en) | Earthquake-resistant and vibration isolation apparatus for switchgear | |
KR102475154B1 (en) | Improved Distribution Board seismic device | |
US20080072508A1 (en) | Vibration and force absorbing assembly incorporated into a building foundation for dampen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ly induced events | |
JP6456779B2 (en) | Vibration control structure | |
CN204570978U (en) | Disc spring lead-rubber three-dimensional shock absorbing support | |
JP2015143577A (en) | Anti-vibration stopper for vibration isolation frame | |
KR101918611B1 (en) | Vibration isolation switchboard having hollow and elastic resin structure | |
US20040164473A1 (en) | Single-end-mount seismic isolator | |
US8381463B2 (en) | Energy absorbing system for safeguarding structures from disruptive forces | |
KR102274689B1 (en) | A switchboard earthquake-proof damping device | |
KR101757701B1 (en) | Switchboard having earthquake proof device | |
CN106988448B (en) | One kind subtracting shock insulation hybrid control architecture | |
KR102563269B1 (en) | Earthquake-Resistant Mount for Distributing 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