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155B1 -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 - Google Patents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155B1
KR102069155B1 KR1020197033672A KR20197033672A KR102069155B1 KR 102069155 B1 KR102069155 B1 KR 102069155B1 KR 1020197033672 A KR1020197033672 A KR 1020197033672A KR 20197033672 A KR20197033672 A KR 20197033672A KR 102069155 B1 KR102069155 B1 KR 102069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y imaging
operator
normal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670A (ko
Inventor
고키치 도비타
고이치 후루사와
마코토 와다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0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6Detection of faults or malfunc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03Stack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X선 촬영 장치(1)를 원격 조작하는 조작 장치(200)는 조작부(280)와, 조작부(280)가 접수한 조작이 정상 조작인지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파지 검지부(240)와,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X선 촬영 장치(1)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어부(230)를 구비하고, 제어부(230)는, 파지 검지부(240)가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송신을 행한다. 이에 의해, 대상 장치의 오조작을 야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OPERATION DEVICE AND X-RAY IMAGING UNIT}
본 발명은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조작 장치 및 당해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X선 촬영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X선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X선 촬영 장치가 알려져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X선 촬영 장치는, 유선식의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X선 화상의 촬영은, 당해 컨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유선식의 컨트롤러는, 조작자의 행동 범위를 제한해 버린다. 또한, 유선식의 컨트롤러의 케이블은, 길게는 10m가 되는 것도 있다. 그로 인해, 케이블의 중량에 따라 조작성이 나빠져 버린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케이블이 오염되어 버려, 정기적으로 케이블을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X선 촬영 장치의 무선식의 컨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측면에 도전체의 레일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리모트 컨트롤러는, 도전체의 레일에 대한 접촉이 없는 경우에 전력 절약 상태로 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삭감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206894호 명세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54651호 명세서
X선 촬영 장치의 컨트롤러를 무선식으로 한 경우, X선 촬영 장치를 사용하는 조작자는, X선 화상을 촬영할 때 이외는 컨트롤러를 착의한 포켓 등에 넣은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행한다. 또한, X선 촬영 장치의 컨트롤러가 유선이었다고 해도, 컨트롤러를 착의한 포켓 등에 넣은 상태에서 다른 조작을 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로 인해, 포켓 등에 넣은 컨트롤러가 작업 중에 잘못 조작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X선 촬영 장치의 컨트롤러가 잘못 조작되면, X선에 의해 의도치 못한 피폭을 받을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X선 촬영 장치 등의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장치에 있어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는,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조작 장치이며,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조작이 정상 조작인지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상기 조작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가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송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X선 촬영 장치 등의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장치에 있어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 장치 및 당해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X선 촬영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X선 촬영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이 구비하는 홀더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 내지 (d)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 장치가 조작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방 케이스 및 하부 캡을 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방 케이스 및 전방 전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조작 장치에 있어서, 후방 케이스 및 후방 전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X선 촬영 유닛(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조작 장치(400)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외관 사시도이며, (b)는 (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장치를 홀더 및 조작 대상 장치와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조작 대상 장치는, 환자에게 X선을 조사하여, 환자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여 X선 화상을 생성하는 X선 촬영 장치(1)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00)가 설치되고, 홀더(100)에 의해 조작 장치(200)를 착탈 가능하게 보유 지지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조작 장치(200)는, X선 촬영 장치(1)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이며, 전방 케이스(250)와, 후방 케이스(260)와, 하부 캡(270)에 의해 조작 장치(200)의 각 부가 보유 지지되고 있다. 조작 장치(20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유저가 조작 장치(200)의 주위면을 쥐면서, 메인 스위치(210)를 엄지 손가락으로, 옵션 스위치(220)를 집게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장치(200)의 상면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210)와, 주위면의 상부에 설치된 옵션 스위치(220)를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210)는, 유저에 의해 눌리지 않은 원점 위치가 상이한 제1 스위치 부재(201) 및 제2 스위치 부재(202)를 구비한 2단계로 동작하는 스위치이다. 제1 스위치 부재(201)는 원점 위치로부터의 스트로크 거리가 제2 스위치 부재(202)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조작부(280)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메인 스위치(210) 및 옵션 스위치(220)를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210)의 누름에 의해, X선 촬영의 지시를 X선 촬영 장치(1)에 출력하고, 옵션 스위치(220)의 누름에 의해 X선 촬영 장치(1)가 가진 X선의 조사 범위를 나타내는 조명 기구의 조명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지시를 X선 촬영 장치(1)에 출력한다.
또한, 메인 스위치(210)는, 제1 스위치 부재(201) 및 제2 스위치 부재(202)를 포함하고, 제1 스위치 부재(201)가 제2 스위치 부재(202)의 원점 위치까지 눌리면, X선 촬영 회로를 충전하는 지시를(홀더(100)를 통하여) X선 촬영 장치(1)에 출력한다(도 3의 (a) 내지 (c) 참조). 제1 스위치 부재(201)가 제2 스위치 부재(202)의 원점 위치까지 눌린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면 X선 촬영 회로의 충전이 완료되어,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치 부재(201)와 함께 제2 스위치 부재(202)를 압입하고, 풀 스트로크 함으로써, X선 촬영하는 지시를(홀더(100)를 통하여) X선 촬영 장치(1)에 출력한다(도 3의 (d) 참조).
도 4 내지 도 6은 조작 장치(2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조작 장치(200)의 전방 케이스(250) 및 하부 캡(270)을 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전방 케이스(250) 및 전방 전극(241)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후방 케이스(260) 및 후방 전극(242)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장치(200)는 내부에 터치 센서용 IC(243)와, 전방 전극(241)과, 후방 전극(242)과, 통신부(231)를 구비한다.
전방 전극(센서)(241) 및 후방 전극(센서)(242)은,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의 전극이다. 여기서, 전방 케이스(250)에는, 옵션 스위치(220)가 배치되는 위치에 구멍부(250a)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전극(241)은, 구멍부(250a)의 하방(메인 스위치(210)가 설치되어 있는 방향과는 역의 방향)에, 전방 케이스(250)의 내벽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방 전극(242)은, 후방 케이스(260)의 내벽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전방 전극(241)과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 센서용 IC(243)는 전방 전극(241) 및 후방 전극(24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며, 전방 전극(241) 및 후방 전극(242)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작 장치(200)가 조작자에 의해 파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당해 검지의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통신부(231)는 조작부(280)의 조작에 기초한 조작 신호를 무선 통신에 의해 홀더(100)에 송신한다. 통신부(231)가 행하는 무선 통신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Bluetooth(등록 상표)나 적외선 등을 들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200)를 구비하는 X선 촬영 유닛(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선 촬영 장치(1)와, 홀더(100)와, 조작 장치(200)에 의해 X선 촬영 유닛(300)이 구성된다.
홀더(100)는 조작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행하여, 조작 장치(200)로부터 송신되는 조작 신호를 통신부(101)에 의해 수신하고, 해당 조작 신호를 X선 촬영 장치(1)로 송신한다.
조작 장치(200)는 조작부(280)와, 제어부(230)와, 파지 검지부(판단부)(240)를 구비한다.
파지 검지부(240)는 전방 전극(241), 후방 전극(242) 및 터치 센서용 IC(243)를 구비한다. 파지 검지부(240)는 전방 전극(241) 및 후방 전극(242)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조작자가 조작 장치(200)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 상태인지 여부를 검지하여, 파지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지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즉, 파지 검지부(240)는 조작부(280)가 접수한 조작이, 조작자가 의도한 조작인 정상 조작인지, 조작자가 의도치 못한 조작인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자가 조작부(280)를 조작하기 위하여 조작 장치(200)를 파지하면, 전방 케이스(250)의 전방 전극(241)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 및 후방 케이스(260)의 후방 전극(242)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어, 전방 전극(241) 및 후방 전극(242)의 정전 용량이 변화한다. 터치 센서용 IC(243)는 전방 전극(241)과 후방 전극(242)의 양쪽의 정전 용량이 변화한 경우에 조작 장치(200)가 파지되어 있는 파지 상태라고 검지한다.
조작부(2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 부재(201) 및 제2 스위치 부재(202)를 가진 메인 스위치(210)와, 옵션 스위치(220)를 구비한다. 조작부(280)는 조작자가 메인 스위치(210) 및 옵션 스위치(220)에 대하여 조작을 행했을 때에, 당해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제어부(230)에 대하여 송신한다.
제어부(230)는 조작부(28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하면, 파지 검지부(240)로부터 파지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제어부(230)는 취득된 파지 상태 정보에 있어서 조작 장치(200)가 파지 상태임이 나타나는 경우에, 통신부(231)를 통하여 홀더(100)에 대하여 조작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는, 취득된 파지 상태 정보에 있어서 조작 장치 파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홀더(100)에 대하여 조작 신호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자가 조작 장치(200)를 홀더(100)로부터 떼어내고, 의복 포켓에 넣은 상태에서 X선 화상의 촬영 이외의 다른 작업을 행하여, 조작 장치(200)가 포켓 안에서 잘못 조작된 경우를 생각해보자. 그러한 경우, 전방 전극(241) 및 후방 전극(242)의 한쪽의 전극은, 포켓 안에서 의복을 개재시켜 조작자에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정전 용량이 변화한다. 그러나 다른 쪽의 전극은, 조작자에게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터치 센서용 IC(243)는 조작 장치(200)가 파지 상태가 아니라고 검지한다. 그로 인해,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부(280)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조작 신호는 송신되지 않아, X선 촬영 장치(1)로부터 X선이 조사되지는 않는다.
또한, X선 화상의 촬영 이외의 다른 작업으로서, 환자의 시중을 한창 행하고 있는 중에, 포켓 안에 든 상태의 조작 장치(200)와 침대 등이 접촉되어 버리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방 전극(241)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과, 후방 전극(242)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의 양쪽에 도전체가 접촉하지 않으면, 파지 검지부(240)는 조작 장치(200)가 파지 상태라고 검지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전방 전극(241) 및 후방 전극(242)의 한쪽의 전극이, 의복을 개재시켜 조작자에게 접촉하고, 다른 쪽의 전극이 도전체가 아닌 침대 등에 접촉했다고 해도, 파지 검지부(240)는 조작 장치(200)가 파지 상태라고 검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200)는 인체의 접촉을 검지하는 센서로서의 전극을 2개 구비하고, 그 양쪽이 접촉을 검지한 경우에 파지 상태라고 검지한다. 그로 인해, 조작자가 의도치 못한 상태에서, 즉 조작 장치(200)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부(280)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조작 신호는 X선 촬영 장치(1)에 송신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조작자의 의도치 못한 조작인 오조작에 의해 X선 촬영 장치(1)로부터 X선이 조사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장치(200)가 터치 센서용의 전극으로서 전방 전극(241)과 후방 전극(242)의 2개의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전극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작 장치(200)는 터치 센서용의 전극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으면 되는데, 예를 들어 3개나 4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터치 센서용의 전극을 3개 이상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파지 검지부(240)의 터치 센서용 IC(243)는 2개 이상의 전극에 있어서 조작 장치(200)와 인체의 접촉이 검지된 경우에 파지 상태라고 검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파지 검지부(240)는 상이한 2방향으로부터의 인체의 접촉을 검지한 경우에 파지 상태라고 검지한다. 또한, 터치 센서용의 전극이 구비되어 있는 장소도, 조작자가 조작 장치(200)를 파지할 때에 파지하는 파지부에 대한 인체의 접촉을 검지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지 검지부(240)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센서에 의해 조작자가 조작 장치(200)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 상태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파지 검지부(240)가 파지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감압식의 센서나 기계식의 스위치를 센서로서 사용함으로써 파지 상태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장치(200)는 무선 통신에 의해 홀더(100)와 통신하여, 조작 신호를 홀더(100)를 통하여 X선 촬영 장치(1)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X선 촬영 장치(1)가 통신부를 구비하고, 조작 장치(200)는 X선 촬영 장치(1)와 무선에 의해 통신하고, 조작 신호를 X선 촬영 장치(1)에 송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230)가, 조작부(28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파지 검지부(240)로부터 파지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파지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제어부(230)는 조작부(280)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파지 검지부(240)로부터 파지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조작 신호와 파지 상태 정보를 대응지어, 조작 정보로서 홀더(100)에 송신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홀더(100) 또는 X선 촬영 장치(1)가, 조작 정보에 포함되는 파지 상태 정보를 참조하고, 파지 상태 정보가 나타내는 파지 상태에 기초하여, 파지 상태 정보에 대응지어진 조작 신호에 따른 동작을 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장치(200)는 무선에 의해 홀더(100)와 통신을 행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조작 장치(200)는 X선 촬영 장치(1)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으면 되고, 유선에 의해 직접 X선 촬영 장치(1)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 장치(200)가 유선에 의해 X선 촬영 장치(1)에 접속된 경우라도, 조작자가 포켓에 넣고 다른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러한 경우, 파지 검지부(240)를 설치함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장치(200)가, 조작부(280)가 접수한 조작이, 조작자가 의도한 조작인 정상 조작인지, 조작자가 의도치 못한 조작인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로서 파지 검지부(240)를 구비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판단부를 실현하는 방법은, 파지 검지부(24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작 장치(200)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판단부로서,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조작 장치(200)의 기울기를 검지하고, 해당 기울기에 의해 정상 조작인지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기울기 검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울기 검지부는,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검지한 조작 장치(200)의 기울기가, 조작자가 조작 장치(200)를 조작할 때의 각도 범위인 소정의 각도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하고, 소정의 각도 범위 밖인 경우에는, 오조작이라고 판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조작부(28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조작 장치(200)의 기울기는, 소정의 각도 범위 내가 되기 때문에,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조작 장치(200)가 포켓 안에 넣어진 상태에서는, 조작 장치(200)의 기울기는, 소정의 각도 범위 밖이 된다. 그로 인해, 조작부(280)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기울기 검지부는 오조작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조작 신호는 송신되지 않아, 조작 장치(200)가 대상 장치의 오조작을 야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장치(200)가, 복수의 조도 센서를 구비하고, 또한 판단부로서, 조도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정상 조작인지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조도 검지부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조도 센서는 조작자가 조작 장치(200)를 파지할 때에 파지하는 파지부 이외의 장소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조작 장치(200)는 조작자가 조작 장치(200)를 파지했다고 해도 조작자의 손에 의해 차광되지 않는 장소인 긴 쪽 방향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조도 센서를 구비한다. 조도 검지부는, 조도 센서의 양쪽이 광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다. 그로 인해, 조작자가 조작부(280)를 조작하고자 조작 장치(200)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2개의 조도 센서의 양쪽이 광을 검지하여, 조도 검지부는,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다. 이에 반하여, 조작 장치(200)의 전체가 포켓 안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조도 센서는 광을 검지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 장치(200)의 절반이 포켓 안에 들어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조도 센서는 광을 검지하지만, 다른 쪽의 조도 센서는 광을 검지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조도 검지부가 조도 센서의 양쪽이 광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함으로써, 조작 장치(200)가 대상 장치의 오조작을 야기함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400)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외관 사시도이며, (b)는 (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의 모식도이다.
조작 장치(40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조작 장치(400)의 상면에 설치된 메인 스위치(410)와, 주위면에 설치된 2개의 오목부(401)와, 2개의 오목부(401)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405)를 구비한다.
메인 스위치(410)는 조작자에 의한 압입 조작을 접수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이다.
조작 장치(400)의 주위면에 형성된 오목부(401)는 조작자가 메인 스위치(410)를 조작하고자 조작 장치(400)를 한손으로 파지했을 때에, 어느 손가락이 위치하는 장소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01)는 손가락의 크기에 따른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센서(405)는 발광 소자(415)와 수광 소자(420)를 구비한다. 발광 소자(415) 및 수광 소자(420)는 오목부(401) 내에 조작 장치(400)의 긴 쪽 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센서(405)는 발광 소자(415)로부터 발해진 광을 수광 소자(420)로 수광함으로써, 발광 소자(415)와 수광 소자(420) 사이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지한다. 그로 인해, 조작자가 조작 장치(400)를 파지한 경우에, 오목부(401) 내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위치함으로써, 센서(405)는 조작 장치(400)가 파지됨을 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장치(400)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조작 장치(200)와 마찬가지로, 파지 검지부(판단부)(240)를 구비한다. 파지 검지부(240)는 센서(405)와 접속하고 있으며, 2개의 센서(405) 중 적어도 한쪽의 센서(405)가 물체를 검지한 경우에, 조작 장치(400)가 파지 상태라고 검지한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포켓 안에 넣은 상태에서 침대에 접촉한다는 조작자의 의도치 못한 동작에 의해 메인 스위치(410)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센서(405)가 물체를 검지하지 않는 한, 조작 신호는 X선 촬영 장치(1)에 송신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405)는 오목부(401)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장치(400)가 평평한 면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센서(405)는 물체를 검지하지는 않는다.
또한, 오목부(401)가 손가락에 따른 크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보다 큰 물체가 오목부(401)에 진입할 일은 없다. 그로 인해, 손가락보다 큰 물체에 의해 파지 검지부(240)가 파지 상태라고 오검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 검지부(240)는 2개의 센서(405) 중 적어도 한쪽의 센서(405)가 물체를 검지한 경우에 파지 상태라고 검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파지 검지부(240)는 2개의 센서(405)의 양쪽이 물체를 검지한 경우에 파지 상태라고 검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한층 오조작에 의해 조작 신호가 X선 촬영 장치(1)에 송신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는,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조작 장치이며,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조작이 정상 조작인지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상기 조작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가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송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 장치가 판단부를 구비하고, 판단부가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조작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오조작에 의해 조작부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조작 신호는 송신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대상 장치의 오조작을 야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조작자가 상기 조작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 상태인지 여부를 검지하는 파지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 검지부가 상기 파지 상태라고 검지한 경우에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자가 조작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경우에만 조작 신호의 송신이 행하여진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포켓 안이라는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부가 조작되었다고 해도 판단부가 오조작이라고 판단하여, 조작 신호의 송신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에 의해, 조작 장치가 대상 장치의 오조작을 야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 검지부는, 상기 조작 장치와 인체의 접촉을 검지하는 센서를 복수개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센서 중 적어도 2개가 상기 접촉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파지 상태라고 검지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개의 센서 중 적어도 2개가 조작 장치와 인체의 접촉을 검지한 경우에만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조작 대상 장치로 송신된다. 그로 인해, 보다 고정밀도로 대상 장치의 오조작을 야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센서는, 상기 조작자가 상기 조작부를 조작할 때에 파지하는 파지부에 대한 상기 접촉을 검지하고, 상기 파지 검지부는, 복수의 상기 센서가, 상기 파지부에 있어서 상이한 2방향으로부터의 접촉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파지 상태라고 검지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자가 조작 장치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와, 침대나 의자와 같은 곳에 조작 장치가 접촉하여, 편측으로부터 눌린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정전 용량식 센서, 감압식 센서 또는 기계식 스위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 상태일 때에, 상기 조작자의 어느 손가락이 들어가는, 손가락에 따른 크기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 검지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부 내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 장치가 손가락에 따른 크기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판단부는 오목부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그로 인해, 조작자가 조작 장치를 포켓에 넣은 상태에서, 조작 장치와 침대나 의자 등의 평평한 곳이 접촉되었다고 해도, 파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는 오목부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판단부는 파지 상태가 아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가 손가락에 따른 크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보다 큰 물체가 오목부에 진입하여, 판단부가 파지 상태라고 오검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오목부 내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자가 조작 장치를 파지하고, 오목부 내에 조작자의 손가락이 위치하면, 발광 소자로부터 발해진 광이 차광되기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조작 장치의 파지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는, 무선에 의해 상기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해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무선에 의해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조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대상 장치는, X선 촬영 장치이며, 상기 조작 대상 장치와, 상기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X선 촬영 유닛도 본 발명에 더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대상 장치의 오조작을 야기함을 방지할 수 있는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X선 촬영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X선 촬영 장치(조작 대상 장치)
200: 조작 장치
230: 제어부
240: 파지 검지부(판단부)
241: 전방 전극(센서)
242: 후방 전극(센서)
280: 조작부
300: X선 촬영 유닛
400: 조작 장치
401: 오목부
405: 센서
415: 발광 소자
420: 수광 소자

Claims (4)

  1.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조작 장치이며,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조작이 정상 조작인지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상기 조작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가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송신을 행하고,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조작 장치의 기울기를 검지하는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장치의 기울기를 검지하고, 해당 기울기가 상기 조작자가 상기 조작 장치를 조작할 때의 각도 범위인 소정의 각도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밖인 경우에는 오조작이라고 판단하는 기울기 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2.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조작 장치이며,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조작이 정상 조작인지 오조작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조작부가 접수한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상기 조작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부가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송신을 행하고,
    복수의 조도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조도 센서 모두가 광을 검지하는 경우에만 정상 조작이라고 판단하는 조도 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는, 무선에 의해 상기 조작 대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
  4. 조작 대상 장치는, X선 촬영 장치이며,
    상기 조작 대상 장치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조작 장치를 구비하는, X선 촬영 유닛.
KR1020197033672A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 KR102069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56476 2015-08-06
JP2015156476A JP6578797B2 (ja) 2015-08-06 2015-08-06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PCT/JP2016/071775 WO2017022551A1 (ja) 2015-08-06 2016-07-25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236A Division KR20170140366A (ko)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670A KR20190130670A (ko) 2019-11-22
KR102069155B1 true KR102069155B1 (ko) 2020-01-22

Family

ID=579438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672A KR102069155B1 (ko)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
KR1020177034236A KR20170140366A (ko)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236A KR20170140366A (ko) 2015-08-06 2016-07-25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67779B2 (ko)
JP (1) JP6578797B2 (ko)
KR (2) KR102069155B1 (ko)
CN (1) CN107635467B (ko)
AU (1) AU2016303741B2 (ko)
BR (1) BR112017024129B1 (ko)
DE (1) DE112016003588T5 (ko)
WO (1) WO2017022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2281B2 (ja) * 2016-11-25 2021-03-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X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操作パネル
US10925570B2 (en) 2017-04-28 2021-02-23 Shanghai United Imaging Healthcare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X-ray imaging device
CN110602987B (zh) * 2017-04-28 2023-08-18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x射线成像装置的系统和方法
KR102274916B1 (ko) * 2017-05-18 2021-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8212587A1 (en) 2017-05-18 2018-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JP6879130B2 (ja) * 2017-08-31 2021-06-0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JP6950373B2 (ja) * 2017-08-31 2021-10-13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JP6863183B2 (ja) * 2017-08-31 2021-04-21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KR102141577B1 (ko) 2019-11-25 2020-08-05 유덕근 건축용 환기덕트 시공 방법 및 그 구조체
JP7451276B2 (ja) 2020-04-16 2024-03-18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およびx線診断装置用操作装置
JP2024094004A (ja) * 2022-12-27 2024-07-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照射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78Y1 (ko) * 2000-03-24 2000-09-15 서숙종 차량 도난 방지용 조향축 잠금장치
JP2007325856A (ja) * 2006-06-09 2007-12-20 Olympia:Kk 弾球遊技機
JP2007329815A (ja) * 2006-06-09 2007-12-20 Tokai Rika Co Ltd 携帯機及び同携帯機を具備する車両又は建物のドア錠の遠隔操作装置
JP2010109960A (ja) * 2008-07-09 2010-05-13 Panasonic Corp リモコン装置及び制御対象機器
WO2011132363A1 (ja) * 2010-04-19 2011-10-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用操作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x線撮影装置
US20120274218A1 (en) 2011-04-28 2012-11-01 Eldon Technology Limited Smart Illumination for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0486A (ja) 1988-04-21 1989-10-27 Nec Corp キーロック機能付き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
JPH02201523A (ja) 1989-01-30 1990-08-09 Nec Ic Microcomput Syst Ltd リモコンシステム
US5206894A (en) 1992-04-16 1993-04-27 Remote Technologies, Inc., A Ct Corp. X-ray system accessory
KR100247341B1 (ko) 1996-12-27 2000-03-15 윤종용 리모콘을사용한전자기기의제어키잠금방법
US6144756A (en) * 1997-01-23 2000-11-07 Kabushiki Kaisha Toshiba Finger verification system
JP3472957B2 (ja) * 1998-09-17 2003-1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スタスレーブマニピュレータ
JP2000270236A (ja) 1999-03-15 2000-09-29 Nippon Hoso Kyokai <Nhk> テレビ受像機を遠隔操作するためのリモコン端末装置および受信装置、ならびに、遠隔操作用記憶媒体
WO2000060534A1 (en) 1999-03-31 2000-10-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for display apparatus
GB9917807D0 (en) 1999-07-29 1999-09-29 Pace Micro Tech Plc Remote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system
US7786623B2 (en) 2005-09-07 2010-08-31 Amx Llc Power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446088B1 (ko) 2007-08-23 201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를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메뉴제공방법
US8175590B2 (en) * 2007-09-26 2012-05-08 Stryker Corporation System for preventing unintended activation of a medical device by a portable remote control console
DE102007055465A1 (de) * 2007-11-13 2009-05-20 Trumpf Medizin Systeme Gmbh Fernbedienung für eine Vorrichtung zur Lagerung eines Patienten
US8290646B2 (en) 2008-03-27 2012-10-16 Hetronic International, Inc. Remote control system implementing haptic technology for controlling a railway vehicle
KR20100047765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그립 반응형 리모콘 및 그 제어 방법
ES2571133T3 (es) * 2009-04-07 2016-05-24 Microchip Tech Germany Gmbh Dispositivo sensor y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 agarre y proximidad
JP2010284363A (ja) * 2009-06-12 2010-12-24 Shimadzu Corp X線撮影装置
CN102008824A (zh) 2010-10-22 2011-04-13 东莞市常平永柏高电子贸易部 一种游戏动作感应系统
CA2723647C (en) 2010-12-02 2015-11-24 Philip Y.W. Tsui Remote control device with password functions
KR101244031B1 (ko) 2010-12-13 2013-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2395925U (zh) 2011-12-20 2012-08-22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机系统
US20130342672A1 (en) * 2012-06-25 2013-12-26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gaze determination with device input
JP2014061761A (ja) * 2012-09-20 2014-04-10 Yuhshin Co Ltd 車載機器操作装置
KR101677656B1 (ko) 2013-02-04 201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CN103309618A (zh) * 2013-07-02 2013-09-18 姜洪明 移动操作系统
KR101550681B1 (ko) * 2013-09-17 2015-09-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150033764A (ko) * 2013-09-23 2015-04-02 유노시스템 주식회사 대기전력 차단 장치에 의하여 차단된 대기 전력의 자동 복구 시스템 및 자동 복구 방법
DE102013110681A1 (de) * 2013-09-26 2015-03-26 Terex Mhps Gmbh Steuerschalter für eine Bedienung einer Maschine, insbesondere eine drahtlose, tragbare und handbetätigbare Fernbedienung für einen Kran
CN103747313A (zh) 2013-12-30 2014-04-23 镇江市高等专科学校 智能电视遥控器及遥控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178Y1 (ko) * 2000-03-24 2000-09-15 서숙종 차량 도난 방지용 조향축 잠금장치
JP2007325856A (ja) * 2006-06-09 2007-12-20 Olympia:Kk 弾球遊技機
JP2007329815A (ja) * 2006-06-09 2007-12-20 Tokai Rika Co Ltd 携帯機及び同携帯機を具備する車両又は建物のドア錠の遠隔操作装置
JP2010109960A (ja) * 2008-07-09 2010-05-13 Panasonic Corp リモコン装置及び制御対象機器
WO2011132363A1 (ja) * 2010-04-19 2011-10-2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撮影用操作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x線撮影装置
US20120274218A1 (en) 2011-04-28 2012-11-01 Eldon Technology Limited Smart Illumination for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78797B2 (ja) 2019-09-25
CN107635467B (zh) 2021-04-13
AU2016303741A1 (en) 2017-12-07
US20180153499A1 (en) 2018-06-07
BR112017024129B1 (pt) 2023-03-28
US10667779B2 (en) 2020-06-02
WO2017022551A1 (ja) 2017-02-09
KR20190130670A (ko) 2019-11-22
AU2016303741B2 (en) 2019-06-27
BR112017024129A2 (pt) 2018-07-31
CN107635467A (zh) 2018-01-26
JP2017035137A (ja) 2017-02-16
KR20170140366A (ko) 2017-12-20
DE112016003588T5 (de)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155B1 (ko) 조작 장치 및 x선 촬영 유닛
TWI404560B (zh) 操作裝置
JP6649503B2 (ja) 感圧先端を有する無線位置決めペン
US8963086B2 (en) Shielding of an IR detector
CA2472563A1 (en) Personal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US10191557B2 (en) User interface device
US10237607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20170311913A1 (en) Radiographing apparatus and radiographing system
CN113434048B (zh) 多功能输入设备及其工作模式切换方法、切换装置
US20180333117A1 (en)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KR101401271B1 (ko) 터치 펜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US20110069007A1 (en) Pointing device
CN211787135U (zh) 用于安检判图系统的手持判图装置
US20160306443A1 (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Display System
KR100524352B1 (ko) 골무형 무선 광마우스
EP3612097B1 (en) X-ray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JP2022143410A (ja) 判別装置
JP2011164832A (ja) マウス
JP2016033781A (ja) 携帯型情報コード読取装置
KR101468273B1 (ko) 다기능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JP2013025484A (ja) データ入力装置
ITMC20090207A1 (it) Sistema di comunicazione per disabili.
JP2000194494A (ja) ワイヤレス式トラックボ―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