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059B1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7059B1 KR102067059B1 KR1020130107787A KR20130107787A KR102067059B1 KR 102067059 B1 KR102067059 B1 KR 102067059B1 KR 1020130107787 A KR1020130107787 A KR 1020130107787A KR 20130107787 A KR20130107787 A KR 20130107787A KR 102067059 B1 KR102067059 B1 KR 1020670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terminal
- terminal
- map
- controller
- ite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대화 상대와의 위치 정보 및 채팅 내용을 상기 휴대 단말기 및 대화 상대가 위치한 지역의 맵 상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hat contents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chat partner on a map of an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t partner are loc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o that the use of th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erminal can move It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mobile / portab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s the terminal functions are diversified, for example, such a terminal is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Is being implemented.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such a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 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종래에는 단말기들 간에 위치 정보를 공유 시에, 단말기들 서로 간에 위치 정보 제공을 동의하고,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서로 간의 위치 정보를 송수신한다.Conventionally, when shar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the terminals agre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transmit and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each other through a text message.
그러나, 종래에는 문자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간략한 텍스트 기반의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providing only simple text-base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ex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 및 대화 상대와의 위치 정보 및 채팅 내용을 상기 휴대 단말기 및 대화 상대가 위치한 지역의 맵 상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simultaneously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and chat contents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chat partner on a map of an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t partner are located. .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메신저 내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와 텍스트 기반의 채팅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채팅 내용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지역이 포함된 맵 데이터를 구비된 메모리와;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모드가 맵 기반의 채팅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맵 데이터 중에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역을 묘사하는 맵을 검색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맵 내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를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템 상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아이템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 receive a message including text-based chat contents with one or more external terminals registered in a messenger;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chat content with the external terminal on a screen; A memory having map data including at least one region; When the text-based chat mode is switched to a map-based chat mode, a map depicting an area includ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is searched for in the map data and displayed on the screen. Displays first and second items represen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at points corresponding to current loc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portable terminal moves to the external terminal on the first item.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the chat contents to be transmitted and to display the chat content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the external terminal on the second ite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메신저 내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와 텍스트 기반의 채팅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화면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채팅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모드를 맵 기반의 채팅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기 구비된 맵 데이터 중에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역을 묘사하는 맵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 상에 상기 검색된 맵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맵 내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를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아이템 상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아이템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text-based chat contents with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registered in a messenger; Displaying chat contents with the external terminal on a screen; Switching the text-based chat mode to a map-based chat mode; Retrieving a map depicting an area includ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from among the provided map data; Displaying the searched map on the screen; Displaying first and second items respectively represen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at points corresponding to current loc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map; And displaying the chat contents transmitted by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xternal terminal on the first item, and displaying the chat contents transmitted by the external terminal to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second item.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기 및 대화 상대와의 위치 정보 및 채팅 내용을 상기 휴대 단말기 및 대화 상대가 위치한 지역의 맵 상에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채팅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대화 상대와 서로 간의 위치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hat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t partner on a map of the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t partner are located, thereby performing a chat and simultaneously. Provides the effect of sharing the location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19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control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휴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portable termi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100)와 휴대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The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associated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In view of the fact that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 단말기의 방위, 휴대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The rear structure of the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137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137,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a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The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When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may be referred to as "contact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may mean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touch.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o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지역이 포함된 맵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The
식별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made to be 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the like.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applications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The disclosed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The body of the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등 보조 저장매체(165)와 같이 탈착이 필요한 부품은 외측으로 부터 케이스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매체(165)가 휴대 단말기(1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실장되도록 케이스 측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카드 슬롯(166, 167)이 형성될 수도 있다.Parts that need to be detached, such as an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The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3 조작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Content input by the first or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 133)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 133)에도 터치센서(13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The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The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that may be implemented in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언급되는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인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mentioned below includes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Specificall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터치 액션은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터치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touch action refers to a touch gesture implemented by touching or proximity touching on the touch screen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터치 드래그(touch & drag), 플리킹(flicking),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Touch gestures can be tapped, touch & drag, flicking, long touch, multi touch, pinch in, or pinch out depending on the action. out).
태핑은 디스플레이부(151)를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Tapping is an operation of lightly pressing and releasing the
또한, 터치 드래그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ouch drag is an operation of releasing after moving to a specific position while releasing the touch of the
또한, 플리킹(flicking)은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및 특정 속도(또는 세기)로 스트로크(stroke)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휴대 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In addition, flicking refers to an operation of touching the
또한, 롱 터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long touch refers to an operation of continuously touching the
또한, 멀티 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ulti-touch refers to an operation of simultaneously touching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또한, 핀치 인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In addition, pinch-in refers to an operation of dragging a plurality of pointers in multi-touch on the
또한, 핀치 아웃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In addition, pinch-out refers to an operation of dragging a plurality of pointers in multi-touch on the
이하, 도 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휴대 단말기 및 하나 이상의 채팅 상대와의 위치 정보 및 채팅 내용을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채팅 상대가 위치한 지역의 맵 상에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채팅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채팅 상대와 서로 간의 위치를 공유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4 to 1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hat conten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t partner on the map of the area where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hat partner is locate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sharing the location between the chat partner and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5 to 19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control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들과 그룹 채팅을 위한 메신저를 구동하고, 상기 구동된 메신저의 텍스트 기반의 채팅 내용 표시 화면을 터치스크린(151) 상에 표시한다.4 to 19, the
상기 메신저는 본 발명에 따라 텍스트 기반의 채팅 모드 및 맵 기반의 채팅 모드를 제공한다.The messenger provides a text-based chat mode and a map-based cha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메신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기들이 포함된 채팅 그룹이 설정되면[S110], 상기 채팅 그룹에 설정된 외부 단말기들과 채팅 내용을 포함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채팅 내용을 상기 메신저의 채팅 내용 표시 화면 상에 표시한다[S120].If a chat group including one or more external terminals is set from the user through the messenger [S110], the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 모드를 맵 기반의 채팅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 모드를 상기 맵 기반의 채팅 모드로 전환하고[S130], 메모리(160)에 구비된 맵 데이터 중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역을 묘사하는 맵을 검색한다[S140].At this time, if a command for switching the text-based chat mode to a map-based chat mode is input, the
즉, 제어부(180)는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 모드가 상기 맵 기반의 채팅 모드로 전환되면, 위치 정보 모듈(115)을 구동시켜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들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의 정보를 전송하여 제공하고, 상기 외부 단말기들로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파악된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상기 맵 데이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역을 묘사하는 맵을 검색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ext-based chat mode is switched to the map-based chat mode, the
제어부(180)는 상기 검색된 맵을 상기 메신저의 채팅 내용 표시 화면 상에 배경으로 표시하고[S150],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들을 나타내는 각각의 아이템들을 상기 표시된 맵 내의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각각 표시한다[S160].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표시된 아이템들 중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아이템 상에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사용자들에게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고[S170], 상기 표시된 아이템들 중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들 각각을 나타내는 아이템들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사용자들 각각이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한다[S180].In addition, the
일 예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 모드 환경의 메신저의 화면 상에서 상기 맵 기반의 채팅 모드 전환 기능이 할당된 터치키(411)가 터치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 모드(200)를 상기 맵 기반의 채팅 모드(300)로 전환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A, the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특정 채팅 상대인 외부 단말기로부터 현재의 텍스트 채팅 모드를 맵 채팅 모드로 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 채팅 모드를 맵 채팅 모드로 전환을 위한 터치키(412)가 터치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 모드(200)를 상기 맵 기반의 채팅 모드(300)로 전환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5, when the
제어부(180)는 상기 맵 채팅 모드(300)로 전환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60)에 구비된 맵 데이터 중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역의 맵(310)을 검색하여 상기 메신저 화면의 배경으로 표시한다.When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ME")를 나타내는 제1 아이템(211)을 상기 맵(310) 내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 상에 표시하고, 외부 단말기들의 사용자들("LEE", "TOM")을 나타내는 각각의 제2 및 제3 아이템(221, 231)을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사용자들("LEE", "TOM")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 상에 각각 표시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211) 상에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ME")가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사용자들("LEE", "TOM")에게 전송하는 채팅 내용(212)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고, 제2 및 제3 아이템(221, 231)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사용자들("LEE", "TOM") 각각이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ME")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222, 232)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아이템(211) 내에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ME")의 대화 명칭 또는 메모리(160)의 폰북 내에 기 등록된 연락처 명칭을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2 및 제3 아이템(221, 231) 내에 해당 외부 단말기들의 사용자들("LEE", "TOM")의 대화 명칭 또는 상기 폰북 내에 기 등록된 상기 외부 단말기들의 사용자들("LEE", "TOM")의 연락처 명칭을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제어부(180)는 이하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맵(310) 상에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들의 이동 경로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맵 기반의 채팅 모드로 전환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및 외부 단말기들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들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상기 변경된 해당 위치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들을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아이템(211, 221, 231)을 각각 표시하고, 상기 맵(310) 상에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전 위치에서 현재 변경된 위치로 이동한 경로(213) 및 상기 외부 단말기들이 각각 이전 위치에서 현재 변경된 위치로 이동한 경로들(223, 233)를 각각 표시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6, when the
그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이하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제1 아이템(211)이 선택되면, 상기 맵(3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기능의 리스트를 상기 맵(310)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 내의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맵(310)을 원하는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7, when the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아이템(211)이 선터치되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맵(3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편집 기능(421, 422, 423, 424, 425)의 리스트(420)를 상기 맵(310) 상에 표시한다.As illustrated in FIG. 7A, when the
일 예로, 상기 리스트(420)는 맵 캡처(map capture) 기능(421)을 포함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맵 캡처 기능(421)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아이템(211, 221, 231) 및 해당 채팅 내용(212, 222, 232)이 포함된 상기 맵(310)을 캡처한다.For example, the
다른 예로, 상기 리스트(420)는 맵 저장(map capture) 기능(422)을 포함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맵 저장 기능(422)이 선택되면, 제1 내지 제3 아이템(211, 221, 231) 및 해당 채팅 내용(212, 222, 232)이 포함된 상기 맵(310)을 메모리(160)에 저장한다.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예로, 상기 리스트(420)는 맵 공유 기능(423)을 포함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맵 공유 기능(423)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아이템(211, 221, 231) 및 해당 채팅 내용(212, 222, 232)이 포함된 상기 맵(310)의 이미지를 상기 외부 단말기들로 전송하여 공유하거나, 또는 상기 맵 공유 기능(423)이 선택되고, 특정 상대방 단말기의 연락처가 지정되면, 상기 맵(310)의 이미지를 상기 특정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예로, 상기 리스트(420)는 맵 줌인/줌아웃 기능(424)을 포함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맵 줌인/줌아웃 기능(424)이 선택되고, 상기 맵(310) 상에 핀치-인(pinch-in)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핀치-인 정도에 상응하게 상기 맵(310)을 줌아웃하고, 상기 맵(310) 상에 핀치-아웃(pinch-out) 터치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핀치-아웃 정도에 상응하게 상기 맵(310)을 줌인한다.As another example, the
또 다른 예로, 상기 리스트(420)는 채팅 상대 추가 기능(425)을 포함하고, 제어부(180)는 상기 채팅 상대 추가 기능(425)이 선택되면, 상기 메신저에 등록된 채팅 상대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또는 새로 추가할 채팅 상대의 연락처/채팅 아이디(ID)의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를 통해 선택되는 채팅 상대 또는 상기 입력창을 통해 입력되는 채팅 상대를 현재의 채팅 그룹에 추가한다.As another example, the
그 다음으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단말기들로 전송할 채팅 내용 입력창(430)을 상기 맵(3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a) of FIG. 8, when the
그 다음으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맵(310) 내에 표시된 제1 내지 제3 아이템(211, 221, 231) 중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된 후 제2 및 제3 아이템(221, 231)이 터치되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0) 및 외부 단말기들 간에 다자간 통화(음성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연결한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9A, the
또한, 제어부(18))는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된 후, 제2 및 제3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이 선택되면, 휴대 단말기(100) 및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와 음성 통화 또는 화상 통화를 연결한다.In addition, if one of the second and third items is selected after the
그 다음으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나타내는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 입력창(440)을 표시하고 ,상기 메모 입력창(440)을 통해 메모 내용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메모 내용 안에 상기 맵(310)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메모 내용을 상기 외부 단말기들에게 전송하여 공유할 수도 있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10A, when the
그 다음으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되고, 상기 맵(310) 상에서 목적지(451)로 설정할 특정 지점이 터치되면,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아이템(211)이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451)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경로(452)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경로(452)를 상기 맵(3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및 상기 경로(452)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단말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11A, when the
그 다음으로,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되고, 상기 제2 및 제3 아이템(221, 231) 중 적어도 하나인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된 후 상기 맵(310) 상에서 약속 장소(461)로 설정할 특정 지점이 터치되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된 약속 장소(461)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약속 장소(461)의 위치를 알린다.Next, as shown in FIG. 12A,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된 시점의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상기 약속 장소(461)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제1 경로(462) 및 상기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된 시점의 외부 단말기의 위치에서 상기 약속 장소(461)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제2 경로(463)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제1 및 제2 경로(462, 463)를 상기 맵(310) 상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그 다음으로,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11의 과정에 의해 상기 맵(310) 상에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목적지(451)가 설정된 후, 제1 아이템(211) 및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되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된 시점의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451)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경로를 근거로 예상 도착 시간을 파악한다.Next, as shown in (a) of FIG. 13,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예상 도착 시간 내에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목적지(451)의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터치된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의 연락처 또는 기 설정된 관공서의 연락처(일 예로, "112 또는 119")로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자동 전송한다.If the
그 다음으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211) 및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되면,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채팅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체크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기 설정된 관공서의 연락처(일 예로, "112 또는 119")로 상기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자동 전송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4A, when the
그 다음으로,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211) 및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템(211)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 및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의 사용자와 1:1 귓속말 채팅 기능을 제공한다.Next, as shown in (a) of FIG. 15, when the
그 다음으로,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211) 및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되면,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템(211)에 해당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의 위치까지의 최단 거리를 가지는 중간 지점의 이동 경로 및 예상 도착 시간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중간 지점의 이동 경로 및 예상 도착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470)를 상기 맵(310) 내의 상기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파악된 중간 지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a) of FIG. 16, when the
그 다음으로,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되면,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채팅 그룹 내에서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를 삭제 또는 탈퇴시킨다.Next, as shown in (a) of FIG. 17, when the
그 다음으로,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아이템(211) 및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되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121)를 구동시키고, 상기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실시간 길거리 영상(481)을 상기 제1 아이템(211) 상에 섬네일 형태로 표시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길거리 영상(481)을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외부 단말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 주변의 실시간 길거리 영상(481)을 표시하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a) of FIG. 18, when the
또한, 제어부(180)는 제3 아이템(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로 상기 외부 단말기 주변의 실시간 길거리 영상(482)을 요청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고,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의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외부 단말기 주변의 실시간 길거리 영상(482)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 주변의 실시간 길거리 영상(482)을 상기 제3 아이템(231) 상에 섬네일 형태로 표시한다.In addition, the
마지막으로,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 내지 제3 아이템(211, 221, 231)이 터치되고, 상기 맵(310) 상에서 약속 장소(491)로 설정할 특정 지점이 터치되면,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된 약속 장소(461)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및 제3 아이템(221, 231)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들로 전송하여 상기 약속 장소(491)의 위치를 알린다.Lastly, as shown in FIG. 19A, the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아이템(211)이 터치된 시점의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에서 상기 약속 장소(461)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제1 경로(492)와, 상기 제2 아이템(221)이 터치된 시점의 외부 단말기의 위치에서 상기 약속 장소(491)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제2 경로(493) 및 상기 제3 아이템(231)이 터치된 시점의 외부 단말기의 위치에서 상기 약속 장소(491)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제3 경로(494)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제1 내지 제3 경로(492, 493, 494)를 상기 맵(310) 상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a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11: 방송 수신부 112: 이동통신 모듈
113: 무선 인터넷 모듈 114: 근거리 통신 모듈
115: 위치 정보 모듈 120: A/V 입력부
121: 카메라 122: 마이크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41: 근접 센서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52: 음향 출력 모듈
153: 알람 모듈 154: 햅틱 모듈
155: 프로젝터 모듈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81: 멀티미디어 모듈 190: 전원 공급부100: mobile terminal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broadcast receiving unit 112: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5: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20: A / V input unit
121: camera 122: microphone
130: user input unit 140: sensing unit
141: proximity sensor 150: output unit
151: display unit 152: sound output module
153: alarm module 154: haptic module
155: Projector Module 160: Memory
170: interface unit 180: control unit
181: multimedia module 190: power supply
Claims (19)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채팅 내용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지역이 포함된 맵 데이터를 구비된 메모리; 및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모드가 맵 기반의 채팅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맵 데이터 중에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검색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맵 내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를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아이템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아이템 상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아이템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 receive a message including text-based chat contents with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registered in a messenger;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chat content with the external terminal on a screen;
A memory having map data including at least one region; And
When the text-based chat mode is switched to a map-based chat mode, a map indicating a region includ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is search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map data.
Displaying first and second items respectively represen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at points corresponding to current loc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map;
Displaying chat contents transmitted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terminal on the first item;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isplay chat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o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second item.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획득을 위한 위치 정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모드가 상기 맵 기반의 채팅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위치 정보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And a location information unit for acquir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when the text-based chat mode is switched to the map-based chat mode, obtains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unit, and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providing a location and requesting and obtain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사용자의 대화 명칭 또는 연락처 명칭을 각각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may display a conversation name or a contact name of a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user of the external terminal on the first and second items, respective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 상에 각각의 해당 채팅 내용을 말풍선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chat contents in the form of speech bubbles on the first and second item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근거로 상기 맵 내에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가 이동한 각각의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troller is further configured to display respective movement path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map based on current loc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맵의 캡처(capture), 저장, 공유 및 줌인/줌아웃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when the first item is selected, performs at least one of capturing, storing, sharing, and zooming in and out of the map.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맵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채팅 내용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item is selected, the controller displays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chat contents to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on the map.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와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when the first and second items are selected,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any one of a voice call and a video call with the external terminal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맵 상에 메모 내용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if the first item is selected,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the memo content on the map.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맵 상에서 목적지로 설정할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아이템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특정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경로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경로를 상기 맵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item is selected and a specific point to be set as a destination on the map is selected, the controller grasps a path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tem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oint, and determines the identified point. And displaying a route on the map.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특정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및 상기 파악된 경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point and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path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이 선택되고, 상기 맵 상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약속 장소로 설정할 특정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아이템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특정 지점에 해당하는 위치까지의 경로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경로를 상기 맵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and second items are selected, and a specific point to be set as an appointment place with the external terminal is selected on the map, the controller ma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pecific point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path from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tem to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oint, and displaying the identified path on the map.
상기 메모리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발생된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상기 외부 단말기의 연락처 및 관공서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예상 도착 시간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예상 도착 시간 내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의 연락처 및 상기 관공서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memory may store at least one of a contact point of the external terminal and a contact point of a public office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of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items are selected, the controller determines an estimated arrival time from a current lo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preset destin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located at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within the estimated estimated arrival time. If not,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t least one of the contact of the external terminal and the contact of the governmen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상기 메모리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발생된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관공서의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채팅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체크하고, 상기 체크 결과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채팅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공서의 연락처로 상기 외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memory, at least one of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ublic office for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d to the user of the external terminal is stored,
When the first and second items are selected,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a message including chat contents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a preset time, an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chat contents are received from the external terminal. If the included message is not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of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he contact of the government offi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둘 이상의 외부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제2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하고만 일대일(1:1) 채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and second items are selected, the controller performs one-to-one (1: 1) chat with only an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tem among two or more external terminal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까지의 최단 거리를 가지는 이동 경로 및 상기 이동 경로를 통한 예상 도착 시간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이동 경로 및 예상 도착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맵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irst and second items are selected, the controller determines a movement path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from a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a current position of the external terminal and an estimated arrival time through the movement path, And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identified movement rout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on the map.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아이템에 해당하는 외부 단말기를 채팅 그룹에서 삭제 또는 탈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econd item is selected, the controller deletes or leaves the external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tem from the chat group.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실시간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further includes;
The controller, when the first and second items are selected, transmits images input through the camera in real time to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camera of the external termi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mage input through the real time.
화면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와의 채팅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기반의 채팅모드를 맵 기반의 채팅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기 구비된 맵 데이터 중에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포함된 지역을 나타내는 맵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화면 상에 상기 검색된 맵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맵 내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외부 단말기를 각각 나타내는 제1 및 제2 아이템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 상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아이템 상에 상기 외부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채팅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Transmitting / receiving a message including text-based chat contents with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registered in the messenger;
Displaying chat contents with the external terminal on a screen;
Switching the text-based chat mode to a map-based chat mode;
Retrieving a map representing a region includ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from pre-installed map data;
Displaying the searched map on the screen;
Displaying first and second items represen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at points corresponding to current loc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terminal in the map; And
And displaying the chat contents transmitted by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external terminal on the first item, and displaying the chat contents transmitted by the external terminal to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second item.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7787A KR102067059B1 (en) | 2013-09-09 | 2013-09-09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7787A KR102067059B1 (en) | 2013-09-09 | 2013-09-09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088A KR20150029088A (en) | 2015-03-18 |
KR102067059B1 true KR102067059B1 (en) | 2020-01-16 |
Family
ID=5302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7787A KR102067059B1 (en) | 2013-09-09 | 2013-09-09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70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6625B1 (en) * | 2015-03-20 | 2016-10-14 | 신명진 | Messaging Service System for Location Based by Multi Users and Method thereof |
KR101648515B1 (en) * | 2015-03-31 | 2016-08-16 | (주)테슬라시스템 | Position Information Sharing Method Based on Meeting Time and Place |
KR101710886B1 (en) * | 2015-11-06 | 2017-02-28 | 주식회사 하오문 | Method for processing notice message by monitoring |
KR102081220B1 (en) * | 2016-08-10 | 2020-02-25 |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 Messenger service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providing output effects |
KR101983082B1 (en) * | 2016-11-21 | 2019-05-30 | 파파야 주식회사 | Personal Information Appratus and System for Sharing Map-Based User Creating Contents for SN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
KR102630218B1 (en) * | 2021-12-27 | 2024-01-29 | 주식회사 카카오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versational service in map based virtual spa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9819B1 (en) | 2006-12-19 | 2009-05-27 | 주식회사 트윈클리틀스타 |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ng service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s |
US20090254840A1 (en) | 2008-04-04 | 2009-10-08 | Yahoo! Inc. | Local map cha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387B1 (en) * | 2008-02-22 | 2009-10-23 |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map upside locate foundation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KR101340206B1 (en) * | 2012-02-14 | 2013-12-10 | (주)카카오 | Instant messaging service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
-
2013
- 2013-09-09 KR KR1020130107787A patent/KR1020670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9819B1 (en) | 2006-12-19 | 2009-05-27 | 주식회사 트윈클리틀스타 | Method of providing communicating service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user terminals |
US20090254840A1 (en) | 2008-04-04 | 2009-10-08 | Yahoo! Inc. | Local map ch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9088A (en) | 2015-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9855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068564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2131828B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30038477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17696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 |
KR20130005174A (en) |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KR102152709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046118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67059B1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40134864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1992194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00044945A (en) | Mobile termian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20150050883A (en) |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58994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 |
KR20120032336A (en) |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ugmented reality and terminal thereof | |
KR101980704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063072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110037064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10064289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mobile terminal thereof | |
KR20150012945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014780B1 (en) | Mobile terminal, message transceiving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1919778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
KR101958782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10136078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100050828A (en) | User interfa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