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403B1 - 캘리브레이터 - Google Patents

캘리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403B1
KR102065403B1 KR1020130046893A KR20130046893A KR102065403B1 KR 102065403 B1 KR102065403 B1 KR 102065403B1 KR 1020130046893 A KR1020130046893 A KR 1020130046893A KR 20130046893 A KR20130046893 A KR 20130046893A KR 102065403 B1 KR102065403 B1 KR 102065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tating
display screen
calibrato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121A (ko
Inventor
이경원
류주혁
권오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6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403B1/ko
Priority to CN201380074856.7A priority patent/CN105075252B/zh
Priority to US14/769,751 priority patent/US9530340B2/en
Priority to PCT/KR2013/007390 priority patent/WO2014175511A1/en
Priority to EP13883210.0A priority patent/EP2989792B1/en
Publication of KR2014012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2Mechanical elements; Support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91Housings; Spectrometer accessories; Spatial arrangement of elements, e.g. folded path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50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3/50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measuring the colour produced by screens, monitors, displays or C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7Special input arrangements or commands for improving display capabi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09G2360/147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the originated light output being determined for each pix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을 보정하는 캘리브레이터(calibrator)에 있어서, 형상이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진공흡착방식으로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제1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절부; 상기 흡착판의 제2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 상기 조절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에 실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을 보정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터는 화면의 정확한 위치에 캘리브레이터를 고정할 수 있어 화면조정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기울어진 화면에도 부착가능하여 활용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캘리브레이터{caliartor}
본 발명은 손쉽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장착구조를 갖는 캘리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중 특히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및 박형화와 저전력 소모의 장점을 가지며, 노트북 컴퓨터, 사무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스위치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가 이용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장치는 동적인 이미지를 표시하기 에 적합하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에서 출력되는 밝기와 콘트라스트는 제품별로 제조사별로 다르게 세팅되어 있어, 동일한 영상을 출력하더라도 다른 색감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디자인 등 화면에 표현되는 색감이 중요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화면의 색감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여러개의 액정표시장치를 매트릭스로 배치하여 하나의 화면을 구현하는 비디오 월의 경우 이웃하는 액정표시장치와의 색감이 차이가 있는 경우 화면의 통일감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보정(caliartion)할 필요가 있다.
다만, 종래의 캘리브레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에 케이블을 걸쳐 걸어놓는 방식으로 화면에 접촉시켜 이용하였기 때문에 대형 비디오 월에서는 상기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매우 긴 케이블 선을 이용해야하고 케이블선이 길어지면 캘리브레이터의 위치가 움직이는 문제가 있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캘리브레이터를 손쉽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장착구조를 갖는 캘리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을 보정하는 캘리브레이터(calibrator)에 있어서, 형상이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진공흡착방식으로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제1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절부; 상기 흡착판의 제2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 상기 조절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에 실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을 보정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캘리브레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흡착판의 제1 부분에 결합하는 조절판 및 상기 조절판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조절로드를 구비한 조절 브라켓; 및 상기 조절로드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조절 브라켓 및 흡착판의 제1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하부와 접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시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끝에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2단으로 구성되어, 제1 경사면과 제1 안착면 상기 제1 안착면에 이어 형성된 제2 안착면과 제2 안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바닥면의 두께 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조절로드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결합하며, 하면은 상기 흡착판의 제2 부분과 밀착하는 돌출부와 상기 흡착판의 제1 부분과 이격된 홈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조절로드가 관통하는 상기 홈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로드가 관통하는 로드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하여 상기 회로부를 덮고 상기 조절로드가 관통하는 로드 삽입홀이 형성된 미들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폴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폴이 삽입되는 가이드폴 삽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폴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을 하부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폴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중심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개구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을 커버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는 탑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커버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후크가 관통하는 후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커버는 상기 후크가 관통하여 상기 미들커버 내측면에서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후크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후크 체결홈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후크가 이동하는 거리에 상응하는 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탑커버는 둘레에 형성된 요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판은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된 도넛 형상이고, 상기 제1 부분은 링 형상으로 상기 도넛 형상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도넛 형상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일 수 있다.
상기 흡착판은 원형의 흡착판이 3개 이상이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흡착판의 중앙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흡착판의 외각 둘레일 수 있다.
상기 흡착판은 단부에서 돌출된 분리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을 보정하는 센서가 실장된 조정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부는 외부 단말기 또는 시스템과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무선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의 정확한 위치에 캘리브레이터를 고정할 수 있어 화면조정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기울어진 화면에도 부착가능하여 활용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을 생략할 수 있어 휴대성이 증대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의 조절브라켓과 흡착판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흡착판의 변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고정 플레이트가 결합된 모습과 회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미들커버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회전 플레이트와 이동 프레임을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의 경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탑커버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의 조절 브라켓과 흡착판 위에 고정 플레이트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미들커버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회전부와 흡착판 위치가변부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탑커버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에 부착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D-D'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컬러 보정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색상조정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띄우고 상기 캘리브레이터(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 화면에 고정하여 색상을 조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가 TV나 모니터와 같이 하나만 수직 방향으로 세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캘리브레이터(100)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부에 케이블을 걸쳐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장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진 비디오 월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전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기존의 케이블로 캘리브레이터(100)를 장착하는 방식은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캘리브레이터(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에 직접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하여 도 1과 같이 기울어진 디스플레이 장치(10)도 색상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하부는 캘리브레이터(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에 고정시 화면 방향을 의미하고, 상부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캘리브레이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캘리브레이터(100)는 흡착판(120)의 형상을 변화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과 흡착판(120) 사이에 진공상태의 공간을 만들어 진공 흡착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고정된다.
이때 종래의 일반적인 흡착판(120)은 부착하기 위해 사용자가 가압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이 눌려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캘리브레이터(100)에 이용되는 흡착판(120)은 회전부(190)를 회전하면 흡착판(120)과 디스플레이 장치(10) 사이에 진공 상태가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외부 시스템 또는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캘리브레이터(100)는 케이블 없이 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1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절 브라켓(110), 흡착판(120), 고정 플레이트(130), 회로부(140), 미들커버(150), 회전 플레이트(160), 이동 프레임(170), 탄성부재(180) 및 탑커버(19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부착되는 흡착판(120), 상기 흡착판(120)의 일부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밀착시키며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130, 150), 상기 고정부(130, 150)에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160, 190), 상기 회전부(160, 190)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흡착판(120)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조절부(110, 170)로 구성된다.
고정 플레이트(130), 회로부(140), 미들커버(150)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에 해당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160)와 탑커버(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으로 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에 해당하며, 상기 조절 브라켓(110)과 상기 이동 프레임(170)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절부에 해당한다.
도 3의 각 부재들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100)의 조절 브라켓(110)과 흡착판(120)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흡착판(120)은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형상이 변화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판(120)은 제1 부분은 디스플레이 장치(10)로 부터 이격되고 제2 부분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밀착되어 진공상태를 형성한다. 진공상태에서는 압력이 낮기 때문에 주변의 대기압이 상기 흡착판(120)을 눌러 흡착판(120)과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분리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흡착판(120)은 도넛 형상으로 가운데에 개구부(1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색상조정을 위한 센서(149)가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과 대면해야 하는 바, 흡착판(120)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개구부(127)를 형성하여 상기 센서(149)를 바닥으로 노출시킨다.
도넛 형상의 흡착판(120)을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제1 부분은 도넛형상의 중앙부분으로 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흡착판(120)의 내측 단부와 외측단부에 해당한다.
조절 브라켓(110)은 조절부로서, 상기 흡착판(120)의 제1 부분이 디스플레이 화면과 이격시킨다. 제1 부분의 형상에 상응하는 링형상의 조절판(111)과, 조절판(1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조절로드(115)로 이루어진 조절 브라켓(110)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4의 흡착판(120)의 변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조절판(111)은 흡착판(120)의 내측에 위치하고, 조절로드(115)만 로드 삽입홀(121)을 통해 흡착판(1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조절 브라켓(110)과 흡착판(120)을 일체형으로 만들 수 있다. 흡착판(120)의 하면은 진공상태를 위해 틈이 생기지 않도록 조절 브라켓(110)과 흡착판(120)을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a)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에 부착하기 위해 제1 부분(123)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과 이격되도록, 조절 브라켓(110)으로 제1 부분을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b)와 같이 흡착판(120)과 디스플레이 장치(10)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캘리브레이터(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부분(122)도 같이 들리지 않도록 고정 플레이트(130)가 흡착판(120)의 제2 부분(122)을 눌러준다. 흡착판의 상면에 안착되는 고정 플레이트(130)의 하면은 제2 부분(122)은 눌러주고, 제1 부분(123)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흡착판(120)의 제2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 돌출부(137)가 형성되고, 제1 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홈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조절로드(115)는 상기 조절 브라켓(110)의 조절판(111)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하는 부재로서, 도면 상으로 3개가 개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조절로드(115)의 개수가 많아지면 조절 브라켓(110)에 더 많은 힘을 전달할 수 있으나, 캘리브레이터(100)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적정 갯수로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12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고정플레이트와 미들커버(150) 및 회전 플레이트(160)를 관통하여 단부가 이동 프레임(170)과 결합된다. 이동 프레임(170)의 상하운동이 조절로드(115)를 통해 조절판(111) 및 흡착판(120)의 제1 부분(123)에 전달되어 진공 흡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4에 고정 플레이트(130)가 결합된 모습과 회로부(1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고정 플레이트(130)는 흡착판(120)의 제2 부분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상면에는 회로부(140)가 실장된다.
고정 플레이트(130)는 조절로드(115)가 관통하는 로드 삽입홀(131)과, 후술할 미들커버(150)가 결합하기 위한 제1 고정 결합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에 안착되는 센서(149)로 빛을 유입시키는 라이트 가이드(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안착 되는 회로부(140)에는 조정보드(141), 쉴드캔(147), 무선보드(143), 전원보드(145)를 포함한다.
조정보드(141)는 색상을 조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화면에서 사출되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149)가 실장되고, 상기 센서(149)에서 수집한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조정보드(141)에는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케이블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 이외에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보드(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보드(143)는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시스템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정보드(141)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쉴드캔(147)은 측면으로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정보드(141)의 상면에 설치하여 무선보드(143)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제공하며, 상기 쉴드캔(147)을 2 단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전원보드(145)는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조정보드(141) 및 무선보드(14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도 6에 미들커버(150)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미들커버(150)는 전술한 고정 플레이트(130)와 함께 고정부를 구성하며 회전부(160, 190)가 회전시에 움직이지 않는다. 미들커버(150)는 회로부(14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회로부(140)를 덮어 보호한다. 또한, 미들커버(150)의 상면은 회전 플레이트(160) 및 이동 프레임(170)이 실장될 수 있는 안착면을 제공한다.
미들커버(150)는 내측에 형성된 제2 고정 결합부(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 결합부가 상기 제1 고정 결합부(133)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130)와 미들커버(150)가 결합한다. (도 11 참조)
미들커버(150)는 측면을 통해 배터리(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형성하고 배터리 커버(158)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바닥에 흡착판(120)이 위치하지 않아 배터리(20)를 바닥에서 삽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20) 삽입을 위해 바닥면의 크기를 늘리지 않고 측면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외에 스트랩 등과 연결할 수 있는 고리(159) 등도 미들커버(150)에 부착할 수 있다.
미들커버(150)의 상면에는 로드 삽입홀(151)이 형성되며, 상기 로드 삽입홀(151)을 통해 미들커버(150) 상면으로 조절로드(115)가 돌출된다. 미들커버(150)의 상면에 호 형상의 후크 체결홈(15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탑커버(190)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197)가 후크 체결홈(157)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 체결홈(157)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후크(197)와 후크 체결홈(157)은 회전부(160, 190)가 회전시 상기 탑커버(190)가 미들커버(150)와 벌어져서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미들커버(150)의 상면에 복수개의 가이드폴(153, 155)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폴(153, 155)은 미들커버(150)위에 결합하는 회전 플레이트(160)와 이동 프레임(170)을 관통한다. 가이드폴(153, 155)은 회전 플레이트(160)가 회전 시 미들커버(150)의 상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회전 플레이트(160)에 가이드폴(153, 155)이 관통하기 위한 가이드홈(162, 164)이 형성된다(도 3 참조). 가이드폴(153, 155)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62, 164)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폴(153, 155)이 중앙에 형성되면 원형의 개구부(164)가, 중앙에서 바깥쪽에 형성된 가이드폴(153, 155)이 관통하기 위해서는 호형상의 개구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회전 플레이트(160)와 이동 프레임(170)을 결합한 사시도이다. 회전 플레이트(160)는 미들커버(150) 상면에서 회전하며, 상기 회전에 따라 이동 프레임(170)은 상하로 이동한다.
회전 플레이트(160)는 미들커버(15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미들커버(15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폴(153, 155)과 조절로드(115)가 관통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개구부(161, 162, 1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160) 상면에 상기 조절로드(115)와 상기 가이드폴(153, 155)이 삽입되는 이동 프레임(170)이 안착된다. 이동 프레임(170)은 조절로드(115)의 단부와 스크류(177) 로 체결되며, 이동 프레임(17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조절 브라켓(110)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회전 플레이트(160)의 상면에 이동 프레임(170)의 하면과 접하는 경사부(163)를 포함한다. 이동 프레임(170)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160)가 회전시 상기 경사부(163)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160)로부터 거리가 변화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100)의 경사부(16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경사부(16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63a, 163c)과 안착면(163b, 163d)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사면(163a, 163c)을 따라 이동 프레임(17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조절로드(115)가 위로 당겨지면서 흡착판(120)이 도 5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안착면(163b, 163d)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면(163a, 163c)에서 미끌어지지 않도록 편평한 면을 제공한다.
또한 경사부(163)는 도 9와 같이 제1 경사면(163a)과 제1 안착면(163b) 그리고 연달아 이어서 제2 경사면(163c)과 제2 안착면(163d)으로 이어지도록 2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기울기에 따라 접착력이 더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경사면을 2단으로 구성하면 상기 흡착판(120)의 흡착력을 2단으로 구현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60)에 형성된 개구부(161, 162, 164) 중 상기 조절로드(115)가 삽입되는 회전홈(161)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1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160)가 상기 조절로드(115)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거리에 상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홈(161)의 길이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회전 플레이트(160)는 회전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162)은 회전 플레이트(160)의 회전축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폴(153)이 삽입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회전 플레이트(160)의 회전에 따라 제1 가이드폴(153)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160)의 상대적인 위치는 가변되므로 상기 제1 가이드홈(162)은 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가이드폴(155)은 중앙에 형성되며, 회전 플레이트(160)의 회전 중심이 되며, 제2 가이드폴(155)은 회전 플레이트(160)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상기 제2 가이드폴(155)이 삽입되는 제2 가이드홈(16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회전 플레이트(160)에 상기 제1 가이드폴(153)과 상기 제2 가이드폴(155)이 모두 한번에 관통하는 큰 개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후크 삽입홀(167)은 탑커버(190)에서 돌출된 후크(197)가 미들커버(1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197)가 관통하는 개구부로 회전 플레이트(160)는 탑커버(190)와 같이 회전하므로 후크 삽입홀(167)의 크기는 후크(197)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면 충분하다.
이동 프레임(170)은 가이드폴(153, 155)과 조절로드(115)가 삽입되는 삽입홀(171, 173, 175)을 포함한다. 조절로드(115)가 삽입되는 조절로드(115) 삽입홀(171)에서 스크류(177)로 조절로드(115)와 체결되어 회전 플레이트(160)의 회전시 경사부(163)를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이동 프레임(170)은 가이드폴(153, 155)과 스크류 등으로 체결되지 않고 끼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이동 프레임(170)이 상하로 이동시 가이드폴(153, 155)은 삽입홀(173, 175)의 상하로 인입출 되며 움직일 수 있다. 즉, 가이드폴(153, 155)은 이동 프레임(170)과 체결되지 않고 이동 프레임(170)의 상하 운동 시 이동 프레임(170)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한다.
제1 가이드폴(153)은 호 형상의 제1 가이드홈(162)에 삽입되어 회전 플레이트(16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도 같이 할 수 있다.
가이드폴(153, 155)의 단부에 탄성부재(180)가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재(180)는 인장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163)를 따라 이동 플레이트(170)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조절로드(115)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도록 이동 플레이트(170)에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형성된 제2 가이드폴(155)에 결합하여 이동 플레이트(170)에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가이드폴(153)의 단부에도 탄성부재(180)가 결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탑커버(190)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회전 플레이트(160)에 형성된 제1 회전 결합부(165)와 탑커버(19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회전 결합부(195)가 체결되며, 회전 플레이트(160)와 탑커버(190)가 결합한다.
탑커버(190)는 이동 프레임(17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미들커버(150)하고, 동시에 회전 플레이트(160)의 회전을 손쉽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전 플레이트(160)를 돌릴 수 있다.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탑커버(190) 외측에 요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탑커버(190)의 내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197)가 회전 플레이트(160)의 후크 삽입홀(167)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후크(197)는 도 11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후크(197) 단부의 걸림돌기가 미들커버(150)의 후크 체결홈(157)을 관통하여 미들커버(150)의 내측면에 걸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탑커버(190)가 회전시 미들커버(150)는 움직이지 않으므로 후크(197)는 호 형상의 후크 체결홈(157)을 따라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캘리브레이터(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부착하는 매커니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100)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부착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100)의 부착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부착되기 전에는 이동 프레임(170)이 경사부(163)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 즉, 경사부(163)에서 제일 낮은 부분에 위치한다. 이때, 흡착판(1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인접해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캘리브레이터(1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부착하고 탑커버(190)를 돌려 회전 플레이트(160)를 회전시키면(도면 상으로는 시계방향) 도 12와 같이 이동 프레임(170)은 경사부(163)의 높은 부분에 위치하며, 경사부(163)의 높이(a)만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프레임(170)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로드(115)를 따라 힘이 전달되어 조절 브라켓(110)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그와 함께 흡착판(120)의 제1 부분(123)이 a 높이로 위쪽으로 당겨져 올라가 진공흡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캘리브레이터(100)를 분리시에는 탑커버(190)를 반대로 돌려 진공상태를 해제하거나, 흡착판(120)의 일측에 형성된 분리돌기(125)를 잡아 흡착판(120)에 형성된 진공부분에 공기를 주입해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2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2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의 캘리브레이터(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중앙에 개구부가 없는 원형의 흡착판(220)을 이용한다. 상기 흡착판(220)은 3개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전체적인 구성이 전술한 실시예보다 구성이 보다 간단하다.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2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조절 브라켓(210), 흡착판(220), 고정 플레이트(230), 회로부(240), 미들커버(250), 회전 플레이트(260), 이동 프레임(270) 및 탑커버(290)가 도시되어 있다.
가운데에 센서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으로 복수개의 흡착판(220)을 배치한다. 상기 각 흡착판(220)은 원형 이외에 사각형 형상도 가능하나, 흡착판(220)의 단부에 균일한 힘이 가해지기 위해서는 원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원형으로 형성된 흡착판(220) 각각에 조절 브라켓(210)이 결합한다. 본 실시예의 조절 브라켓(210)은 흡착판(220)의 형상에 상응하여 흡착판(22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조절판(111)과 조절판(111)에서 흡착판(22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된 조절로드(215)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로드(215)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 플레이트(230)를 관통하여 미들커버(250)와 회전 플레이트(260)를 관통하여 이동 프레임(270)과 결합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200)의 조절 브라켓(210)과 흡착판(220) 위에 고정 플레이트(23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3개의 조절로드(215)에 상응한 위치에 3개의 로드 삽입홀(231)이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30)가 흡착판(220)의 상면에 안착된다.
고정 플레이트(230) 상면에 조절보드를 포함하는 회로부(240)가 안착되며, 본 실시예에서 무선보드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부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전원보드를 별도로 부착하지 않고 고정 프레임(230)에 자체에 배터리(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배터리(20)를 넣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보다 고정 플레이트(230)의 바닥면이 노출된 면적이 넓어 상기 배터리(20)를 바닥에서 삽입할 수도 있다.(도 20 참조) 배터리 삽입을 위한 개구부는 배터리 커버(237)로 개폐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 미들커버(250)를 결합한 사시도로서, 미들커버(250)와 고정 플레이트(230)가 결합하며 고정부를 형성한다.
미들커버(250)의 상면에는 조절로드(215)가 관통하는 로드 삽입홀(251)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 삽입홀(251)을 통해 조절로드(215)가 상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의 미들커버(250)는 전술한 실시예의 가이드폴(153, 155) 대신에 가이드 돌기(253)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253)는 이동 프레임(270)의 상하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이동 프레임(270)이 삽입될 수 있는 요홈(25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요홈(254) 양측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253)에 의해 이동 프레임(270)은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회전 플레이트(260)와 이동 프레임(270)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회전 플레이트(260)는 전술한 실시예의 탑커버(290)의 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회전 플레이트(260)의 외측면에 측벽(263)형태로 형성된다. 탑커버(290)과 회전 플레이트(260)는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측벽(263)이 어느 쪽에서 연장되는지는 문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회전 플레이트(260)의 상면에 형성된 경사부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회전 플레이트(260) 상면 전체적으로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절로드(115)가 삽입되는 회전홈(161)을 따라 나란히 형성된 경사부(163) 였으나(도 8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홈(261)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260)의 바닥면이 회전홈(261)을 따라 두께가 달라지며 경사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경사부에 안착면 더 포함할 수 있고, 2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동 프레임(270)은 각 조절로드(215) 방향으로 돌출된 팔을 갖으며 각 팔은 상기 가이드 돌기(253)의 요홈(254)에 끼워지고 단부는 조절로드(215)와 스크류(277)로 체결된다.
도 19는 도 20에 탑커버(290)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탑커버(290)는 측벽(263)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탑커버(190)과 같이 사용자가 파지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으나, 상기 이동 프레임(27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 도 20를 참조하면, 회전 플레이트(260)의 측벽(263)에 형성된 제1 회전 결합부(265)와 탑커버(290)에 형성된 제2 회전 결합부(295, 도 15 참조)가 체결되어 탑커버(290)가 회전 플레이트(260)와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캘리브레이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결합하는 매커니즘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 화면에 부착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0는 도 19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터(2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 화면에 부착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은 도 21의 D-D'의 단면도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부착되기 전에는 이동 프레임(270)이 경사부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 즉, 회전 플레이트(260)의 가장 얇은 부분(264)에 위치한다. 이때, 흡착판(22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프레이 장치(10)와 인접해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캘리브레이터(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부착하고 회전부(260, 190)를 잡아 회전시키면 도 21와 같이 이동 프레임(270)이 경사부의 가장 위쪽 부분, 즉 회전 플레이트(260)의 가장 두꺼운 부분(266)에 위치하게 되며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2에 도시된 회전 플레이트(260)의 두꺼운 부분(266)의 두께(c)는 도 20에 도시된 회전 플레이트(260)의 얇은 부분(2의 두께(b)의 차이(c-b)만큼 이동 프레임(270)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조절로드(215)가 상부로 이동하고 흡착판(220)의 제1 부분이 c-b의 높이 만큼 들려지며 진공흡착이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캘리브레이터(200)를 분리시에는 탑커버(290)를 반대로 돌려 진공상태를 해제하거나, 흡착판(220)의 일측에 형성된 분리돌기(225)를 잡아 흡착판(220)에 형성된 진공부분에 공기를 주입해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의 정확한 위치에 캘리브레이터를 고정할 수 있어 화면조정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기울어진 화면에도 부착가능하여 활용 범위가 넓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탈부착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을 생략할 수 있어 휴대성이 증대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20: 배터리
30: 케이블
100: 캘리브레이터 110: 조절 브라켓
111: 조절판
115: 조절로드(rod) 120: 흡착판
121: 로드 삽입홀 122: 제2 부분
123: 제1 부분 125: 분리돌기
127: 중앙홀 130: 고정 플레이트
131: 로드 삽입홀 133: 제1 고정 결합부
137: 돌출부 138: 홈부
139: 라이트 가이드 140: 회로부
141: 조정보드 142: 인터페이스
143: 무선보드 145: 전원보드
147: 쉴드캔 149: 센서
150: 커버 151: 로드 삽입홀
152: 제2 고정 결합부 153: 제1 가이드폴
155: 제2 가이드폴 157: 후크 체결홈
158: 배터리 커버 159: 고리
160: 회전 플레이트 161: 회전홈
162: 제1 가이드홈 163: 경사부
165: 제1 회전 결합부 167: 후크 삽입홀
170: 이동 프레임 171: 로드 삽입홀
177, 187: 체결나사 180: 탄성부재
190: 탑커버 195: 제2 회전 결합부
197: 후크 200: 캘리브레이터
210: 조절 브라켓 215: 조절로드(rod)
220: 흡착판 225: 분리돌기
230: 고정 플레이트 231: 로드 삽입홀
235: 배터리 삽입부 237: 배터리 커버
240: 회로부 250: 커버
251: 로드 삽입홀 253: 가이드 돌기
260: 회전 플레이트 261: 회전홈
263: 측벽 270: 이동 프레임
290: 탑커버

Claims (22)

  1. 삭제
  2.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을 보정하는 캘리브레이터(calibrator)에 있어서,
    형상이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하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진공흡착방식으로 부착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의 제1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조절부;
    상기 흡착판의 제2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밀착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 상기 조절부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에 실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을 보정하는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흡착판의 제1 부분에 결합하는 조절판 및 상기 조절판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조절로드를 구비한 조절 브라켓; 및
    상기 조절로드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조절 브라켓 및 흡착판의 제1 부분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회전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하부와 접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시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 끝에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캘리브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2단으로 구성되어,
    제1 경사면과 제1 안착면 상기 제1 안착면에 이어 형성된 제2 안착면과 제2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바닥면의 두께 차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조절로드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호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흡착판의 상면에 결합하며, 하면은 상기 흡착판의 제2 부분과 밀착하는 돌출부와 상기 흡착판의 제1 부분과 이격된 홈부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조절로드가 관통하는 상기 홈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로드가 관통하는 로드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하여 상기 회로부를 덮고 상기 조절로드가 관통하는 로드 삽입홀이 형성된 미들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폴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폴이 삽입되는 가이드폴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폴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을 하부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폴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중심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개구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을 커버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함께 회전하는 탑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후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후크가 관통하는 후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커버는 상기 후크가 관통하여 상기 미들커버 내측면에서 상기 후크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후크 체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심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후크 체결홀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후크가 이동하는 거리에 상응하는 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는 둘레에 형성된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가운데에 개구부가 형성된 도넛 형상이고,
    상기 제1 부분은 링 형상으로 상기 도넛 형상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도넛 형상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캘리브레이터.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원형의 흡착판이 3개 이상이 원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흡착판의 중앙이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흡착판의 외각 둘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단부에서 돌출된 분리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상을 보정하는 센서가 실장된 조정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외부 단말기 또는 시스템과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무선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브레이터.
KR1020130046893A 2013-04-26 2013-04-26 캘리브레이터 KR102065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893A KR102065403B1 (ko) 2013-04-26 2013-04-26 캘리브레이터
CN201380074856.7A CN105075252B (zh) 2013-04-26 2013-08-16 校准器
US14/769,751 US9530340B2 (en) 2013-04-26 2013-08-16 Calibrator for a display screen
PCT/KR2013/007390 WO2014175511A1 (en) 2013-04-26 2013-08-16 Calibrator
EP13883210.0A EP2989792B1 (en) 2013-04-26 2013-08-16 Calib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893A KR102065403B1 (ko) 2013-04-26 2013-04-26 캘리브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121A KR20140128121A (ko) 2014-11-05
KR102065403B1 true KR102065403B1 (ko) 2020-01-13

Family

ID=5179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893A KR102065403B1 (ko) 2013-04-26 2013-04-26 캘리브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30340B2 (ko)
EP (1) EP2989792B1 (ko)
KR (1) KR102065403B1 (ko)
CN (1) CN105075252B (ko)
WO (1) WO2014175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3512B (zh) * 2015-07-23 2018-08-24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设备
CN105096324B (zh) 2015-07-31 2017-11-2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装置标定方法及摄像装置
CN108510931B (zh) * 2018-03-26 2021-07-27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色彩校正装置
USD957276S1 (en) * 2020-06-18 2022-07-12 Lg Electronics Inc. Color calibrator for monitor
KR102314788B1 (ko) * 2021-07-28 2021-10-19 주식회사 오아이씨코리아 컬러 디텍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0225A1 (en) * 2006-03-08 2007-09-13 Carnevali Jeffrey D Suction cup having compact axial installation and releas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2387A (en) * 1986-03-17 1988-05-0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color balance of a color television monitor including an ambient light sensing and data compensating function
US5371537A (en) * 1991-10-31 1994-12-0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alibrating a CRT display
US5270540A (en) 1992-03-23 1993-12-14 Eastman Kodak Company Monitor calibrator housing and mounting bracket
US5892585A (en) * 1996-05-05 1999-04-06 Sequel Imaging Colorimeter for measurement of temporally variant light sources
US6611249B1 (en) * 1998-07-22 2003-08-26 Silicon Graph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de aspect ratio flat panel display monitor independent white-balance adjustment and gamma correction capabilities
JP3284997B2 (ja) * 1999-01-29 2002-05-27 ミノルタ株式会社 測定用光学系
DE59915109D1 (de) * 1999-07-06 2010-01-21 X Rite Europe Gmbh Lichtmessvorrichtung
US6163377A (en) * 1999-07-23 2000-12-19 Cv Us, Inc. Colorimeter
US6067166A (en) * 1999-08-12 2000-05-23 Cv U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n electro optical measuring device, especially a colorimeter on a monitor
US6262804B1 (en) * 2000-02-04 2001-07-17 X-Rite, Incorporated Handheld color measurement instrument
GB2363472A (en) * 2000-06-14 2001-12-19 Barry Thomas Reynolds Portable optical magnifying device which attaches to a flat surface
EP1328793A4 (en) * 2000-08-29 2006-09-20 Applied Color Systems Inc COLORIMETER HAVING AN INTEGRATED PREDIFFUSED CIRCUIT WITH FIELD PROGRAMMING
US7027140B2 (en) * 2000-12-18 2006-04-11 Colorvision Administrative Ag Monitor calibrator
CN100437056C (zh) * 2001-09-21 2008-11-26 应用色彩系统公司 色度计
US6775633B2 (en) * 2001-12-31 2004-08-10 Kodak Polychrome Graphics, Llc Calibration techniques for imaging devices
JP2003294528A (ja) * 2002-03-29 2003-10-15 Fuji Photo Film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の輝度測定装置
US6933967B2 (en) * 2002-09-10 2005-08-23 Sony Corporation Color reference system for display monitor
US6880790B2 (en) * 2002-10-15 2005-04-19 Gretagmacbeth, Llc Sensor with suction cup array mount
US7064831B2 (en) * 2002-10-15 2006-06-20 Gretagmacbeth, Llc Colorimeter with single cable low impact mounting system
JP2004246232A (ja) * 2003-02-17 2004-09-02 Nikon Gijutsu Kobo:Kk 携帯機器のモニター用着脱式付属装置
DE202005009807U1 (de) * 2005-06-22 2006-11-02 Fischerwerke Artur Fischer Gmbh & Co. Kg Saughalter
EP1845350B1 (de) * 2006-04-10 2009-10-07 X-Rite Europe GmbH Handfarbmessgerät mit zwei relativ zueinander verstellbaren Gehäuseteilen, in denen die passiven Komponenten bzw. die optoelektronische Messeinheit untergebracht sind
CN201074632Y (zh) * 2007-02-09 2008-06-18 禹喆锡 多功能真空吸附机构
US20080204437A1 (en) * 2007-02-26 2008-08-28 Klein Optical Instuments, Inc. Light-sensor-placement device for color display, and displays comprising same
US20080250858A1 (en) * 2007-04-11 2008-10-16 Dooyang Systems Inc. Automatic transportation device of characteristic value detection sensor of display appliance, transportation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appliance with the same
US20080294298A1 (en) * 2007-04-11 2008-11-27 Dooyang Systems Inc. Automatic transportation apparatus of characteristic value measurement sensor unit of video appliance and transportation method of the same
KR20090017950A (ko) * 2007-08-16 2009-02-19 (주)용성엔지니어링 진공 흡착기
EP2068136B1 (de) * 2007-12-03 2019-02-20 X-Rite Switzerland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 mobiles Farbmessgerät
JP5200547B2 (ja) * 2008-01-10 2013-06-0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ティクス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カラー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ならびにディスプレイの校正方法
JP5156561B2 (ja) * 2008-09-23 2013-03-06 株式会社村上開明堂 モニタ装置の支持具
KR20100041485A (ko) * 2008-10-14 2010-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위치와 그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5105122B2 (ja) * 2008-10-16 2012-12-19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情報検出装置
US8467060B2 (en) * 2009-04-06 2013-06-18 Ferrand D. E. Corley Colour image reference system for monitor and projector images
JP5589299B2 (ja) * 2009-04-10 2014-09-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測色装置および該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システム
KR20100134908A (ko) * 2009-06-16 2010-12-24 이규웅 메이크업용 조명장치
JP4648982B1 (ja) * 2009-08-27 2011-03-09 株式会社ナナオ 表示装置
CN102117590B (zh) * 2011-03-31 2013-01-09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屏颜色调整装置及其颜色调整方法
US9041929B2 (en) * 2011-07-13 2015-05-26 Datacolor Holding Ag Method for securing a display diagnostic device to a display
KR20130076978A (ko) * 2011-12-29 2013-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색상 보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0225A1 (en) * 2006-03-08 2007-09-13 Carnevali Jeffrey D Suction cup having compact axial installation and releas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9792A4 (en) 2017-01-04
KR20140128121A (ko) 2014-11-05
US20160005343A1 (en) 2016-01-07
EP2989792B1 (en) 2018-04-11
CN105075252B (zh) 2017-09-05
CN105075252A (zh) 2015-11-18
WO2014175511A1 (en) 2014-10-30
EP2989792A1 (en) 2016-03-02
US9530340B2 (en) 201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403B1 (ko) 캘리브레이터
US8767384B2 (en)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CN101676592B (zh) 旋转结构
WO2020073745A1 (zh) 柔性衬底、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10090361B2 (en) Edge-to-edge mobile terminal
EP2762992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WO2020098293A1 (zh) 一种显示装置
AU2023200172B2 (en) Display device
WO2020168921A1 (zh) 一种移动终端
US11805610B2 (en) Display device
KR10242586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0133781A1 (zh) 一种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US20240201533A1 (en) Display device
KR10266231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3239006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3827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0701455B (zh) 色彩校正装置
CN111261083B (zh) 显示装置
WO2023191118A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05129A (ko) 거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15577462U (zh) 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KR2024005333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113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202223856A (zh) 用以製造顯示模組的方法以及相關的全螢幕影像顯示器
KR101684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