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168B1 - 프리캐스트 풀데크, 이를 구비한 교량, 도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풀데크, 이를 구비한 교량, 도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0168B1 KR102060168B1 KR1020190021223A KR20190021223A KR102060168B1 KR 102060168 B1 KR102060168 B1 KR 102060168B1 KR 1020190021223 A KR1020190021223 A KR 1020190021223A KR 20190021223 A KR20190021223 A KR 20190021223A KR 102060168 B1 KR102060168 B1 KR 102060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ll deck
- truss girder
- precast
- full
- deck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BGKWQHBNHJJPZ-LECWWXJVSA-N desonid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H]2[C@@H]1[C@@H]1C[C@H]3OC(C)(C)O[C@@]3(C(=O)CO)[C@@]1(C)C[C@@H]2O WBGKWQHBNHJJPZ-LECWWXJV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01C5/08—Reinforced units with steel fram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풀데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의 A-A선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제1 트러스거더의 도면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2의 B-B선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제2 트러스거더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C-C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이웃하는 풀데크 몸체들이 제1,2트러스거더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D-D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풀데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도 8의 A-A선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제1 트러스거더 또는 제2 트러스거더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B-B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이웃하는 풀데크 몸체들이 제1,2트러스거더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C선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풀데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 풀데크를 구비한 교량 또는 도로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티스바와 종래의 루프철근을 비교한 검토서에 적용되는 도면이다.
20: 철근 22: 루프 철근부
G: 보조기층
100, 300, 400: 프리캐스트 풀데크
110, 310, 410: 풀데크 몸체 120, 320, 420: 블록아웃부
120a, 320a: 제1블록아웃 120b, 320b: 제2블록아웃
121, 321, 421: 연결공간 122, 322, 422: 바닥패널
130, 330, 430: 트러스거더부 130a, 330a, 430a: 제1트러스거더
130b, 330b, 430b: 제2트러스거더 131, 331: 탑바
132a, 132b, 332a, 332b: 레티스바 133a, 133b, 333a, 333b: 버텀바
140, 340, 440: 맞댐이음부 150, 350, 450: 마중철근
170, 370: 가로철근 180, 380: 세로철근
Claims (10)
- 교량 또는 도로의 기초구조물 상면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로서,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풀데크 몸체;
상기 풀데크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제1길이로 함몰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블록아웃부; 및
상기 풀데크 몸체에 매립되고, 상기 풀데크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제1길이보다 시공 오차 값 범위를 고려한 길이만큼 짧은 제2길이로 돌출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트러스거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데크 몸체는,
이웃하는 풀데크 몸체와 상기 블록아웃부 내부에서 상기 트러스거더부에 의한 트러스거더 이음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부는,
상기 트러스거더부의 돌출된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풀데크 몸체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와 폭을 갖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공간; 및
상기 연결공간의 바닥을 이루며, 연결 시공 시 채움재의 누설을 방지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아웃부 사이의 간격은 35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부는,
상기 풀데크 몸체의 일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1블록아웃; 및
상기 풀데크 몸체의 타측에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2블록아웃을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아웃 및 상기 제2블록아웃은,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르며,
상기 풀데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제1블록아웃과 이에 이웃하는 다른 풀데크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블록아웃이 마주하여, 채움재가 채워지는 맞댐이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거더부는,
상기 풀데크 몸체에 매립되어 일부분이 상기 풀데크 몸체의 일측 및 타측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일부분이 상기 블록아웃부의 상기 연결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1블록아웃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1트러스거더; 및
상기 제2블록아웃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제2트러스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트러스거더와 상기 제2트러스거더는,
상기 맞댐이음부에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러스거더와 상기 제2트러스거더는,
크기가 다르고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중첩되게 엇갈려 배치되도록 상기 제1트러스거더의 크기가 상기 제2트러스거더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러스거더와 상기 제2트러스거더는,
크기가 다르거나 동일하고 다른 선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이웃하여 평행하게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부는,
상기 풀데크 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 또는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블록아웃부 사이의 간격은 35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데크 몸체에 매립되어 일부분이 상기 풀데크 몸체의 일측 및 타측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일부분이 상기 블록아웃부의 연결공간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중철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중철근은,
상기 트러스거더부를 와이어 또는 철근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아웃부의 바닥패널에 상하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트러스거더부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전단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볼트는,
상기 트러스거더부와 연계하여 접합면에서 결합력 및 수평전단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 - 적어도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제1길이로 함몰되는 다수의 블록아웃부가 형성되고, 상기 풀데크 몸체에 매립되고, 적어도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제1길이보다 시공 오차 값 범위를 고려한 길이만큼 짧은 제2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트러스거더부가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를 준비하는 단계;
기초구조물 상에 상기 프리캐스트 풀데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풀데크의 일측면에 다른 프리캐스트 풀데크의 타측면을 밀착시키는 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풀데크와 상기 다른 프리캐스트 풀데크에 형성된 상기 블록아웃부를 정렬시켜 맞댐이음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맞댐이음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호 엇갈리거나 중첩되게 배치된 상기 트러스거더부를 와이어 또는 철근에 의한 트러스거더 이음 방식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맞댐이음부에 채움재를 타설하여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풀데크를 구비한 교량 또는 도로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223A KR102060168B1 (ko) | 2019-02-22 | 2019-02-22 | 프리캐스트 풀데크, 이를 구비한 교량, 도로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223A KR102060168B1 (ko) | 2019-02-22 | 2019-02-22 | 프리캐스트 풀데크, 이를 구비한 교량, 도로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0168B1 true KR102060168B1 (ko) | 2019-12-27 |
Family
ID=69062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1223A KR102060168B1 (ko) | 2019-02-22 | 2019-02-22 | 프리캐스트 풀데크, 이를 구비한 교량, 도로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01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2000043A1 (en) * | 2020-02-27 | 2021-08-28 | Filippo Sangiorgio | Self-locking filigree slab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6819A (ko) * | 2008-06-05 | 2009-12-09 | (주)영구조엔지니어링 | 연속지지방식의 트러스데크 설치구조 |
KR101206353B1 (ko) * | 2012-10-08 | 2012-11-29 | (주)대우건설 | 부분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
KR101389704B1 (ko) | 2013-07-25 | 2014-04-28 | 김근택 |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방법 |
KR101460752B1 (ko) * | 2014-03-07 | 2014-11-12 | (주)대우건설 | 헤디드 바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
KR101479613B1 (ko) * | 2014-04-25 | 2015-01-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박스형 연결보를 이용하여 바닥판 이음부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연결 방법 |
-
2019
- 2019-02-22 KR KR1020190021223A patent/KR1020601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6819A (ko) * | 2008-06-05 | 2009-12-09 | (주)영구조엔지니어링 | 연속지지방식의 트러스데크 설치구조 |
KR101206353B1 (ko) * | 2012-10-08 | 2012-11-29 | (주)대우건설 | 부분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
KR101389704B1 (ko) | 2013-07-25 | 2014-04-28 | 김근택 |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방법 |
KR101460752B1 (ko) * | 2014-03-07 | 2014-11-12 | (주)대우건설 | 헤디드 바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모듈 |
KR101479613B1 (ko) * | 2014-04-25 | 2015-01-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박스형 연결보를 이용하여 바닥판 이음부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연결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2000043A1 (en) * | 2020-02-27 | 2021-08-28 | Filippo Sangiorgio | Self-locking filigree slab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90505B2 (en) | Precast concrete beam | |
KR10208514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더블월식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991869B1 (ko) | 단경간 및 다경간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007708B1 (ko) |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CN109930484A (zh) | 一种超高性能桥面板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0483083B1 (ko) | 바닥판 골조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복합형 바닥판 | |
CN106480818A (zh) | 简支梁桥复合连接板构造及其施工方法 | |
CN110106772A (zh) | 一种公路冷弯u形组合梁桥及其施工方法 | |
KR100703134B1 (ko) | 조립식 피시 빔 교량 및 그것의 시공 방법 | |
KR101239179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벌브티 거더교의 시공방법 | |
KR20160115602A (ko) | 교량 바닥판의 교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조립체 | |
KR102060168B1 (ko) | 프리캐스트 풀데크, 이를 구비한 교량, 도로 및 그 시공방법 | |
KR101998822B1 (ko) | 합성형 라멘교, 합성형 라멘교용 강거더 및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 방법 | |
KR101735077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 |
CN111893859B (zh) | 一种组合式t型桥面连续结构及施工方法 | |
KR100583671B1 (ko) |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1402620B1 (ko) | 슬래브교용 하프피씨슬래브를 이용한 합성 슬래브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 |
KR102033052B1 (ko) |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 |
KR101241401B1 (ko) | 콘크리트 가로보를 이용한 강합성 연속교 시공방법 | |
KR102630598B1 (ko) | 파형강판 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CN216338993U (zh) | 一种用于钢-UHPC装配式π型组合梁的纵向接缝 | |
KR101693266B1 (ko) | 하이브리드 거더 | |
CA2932655A1 (en) | Precast concrete beam | |
KR100989153B1 (ko) |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2274358B1 (ko) | 교량 구조물의 캔틸레버용 프리캐스트 바닥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