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255B1 - 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 Google Patents

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255B1
KR102054255B1 KR1020180042478A KR20180042478A KR102054255B1 KR 102054255 B1 KR102054255 B1 KR 102054255B1 KR 1020180042478 A KR1020180042478 A KR 1020180042478A KR 20180042478 A KR20180042478 A KR 20180042478A KR 102054255 B1 KR102054255 B1 KR 10205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late
flange
plate
composite beam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4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9265A (en
Inventor
김형섭
강병구
Original Assignee
(주)씨지스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지스플랜 filed Critical (주)씨지스플랜
Priority to KR102018004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255B1/en
Publication of KR2019011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25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1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제1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루는 제2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하는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1 확장 플랜지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제2 확장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합성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eb plate having an upper flange bent inwardly horizontally at the upper end and a lower flange bent inwardly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and constituting any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second web plate symmetrical to the first web plate and constituting the other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lower plate coupled to a low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low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to form a bottom of the composite beam; A first expansion flange coupl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second expansion flange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in a form symmetrical with the first expansion flange.

Description

용접 최소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본 발명은 용접 최소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플랜지를 별도의 철판으로 구현하고 전단 연결용 스터드 앵커와 함께 조립되는 구조로서 용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for minimizing welding, and relates to a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that can be minimized welding as a structure that is assembled with a stud anchor for shear connection and the upper flange to a separate steel plate.

현재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합성보 생산은 거의 냉간 성형에 의존을 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주사용 자재인 철판을 감은 코일을 성형기에 넣어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며 이는 자재의 손실(loss)을 최소화하고 빠른 생산을 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Currently, the production of synthetic beams used at home and abroad is almost dependent on cold forming. This method is a method of producing a product by inserting a coil wound on a steel sheet, which is a material for injection, which is widely used for minimizing the loss of material and for rapid production.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제품을 규격화한 사이즈의 제품이 아닌 비규격 사이즈 자재를 사용하게 되고 그로 인한 재고 확보로 인해 원가 상승, 기계의 과도한 투자로 인한 생산비 및 금융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However, this method uses non-standard sized materials rather than standard sized products, which leads to higher costs due to inventory acquisition and higher production and financial costs due to excessive investment of machinery.

또한, 대부분의 제품이 위와 같은 이유로 대형업체가 독점 생산권을 가지고 있는 형태가 대부분이어서, 경쟁이 없는 상태에서의 이윤적용으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most of the products are in the form of large companies have exclusive production rights for the above reasons, the price of the product is relatively high due to the profit application without competition.

또한, 종래의 단일 성형기에서 나오는 제품은 그 생산의 한계가 있기에 여러 현장이 동시에 발주가 들어가는 경우, 사실상 납기준수가 매우 곤란한 것이 현실이며 발주자가 생산자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since a product from a conventional single molding machine has a limitation in its production, when multiple sites are placed at the same time, the reality is that the lead standard is very difficult and the orderer is aware of the producer.

또한, 종래의 합성보는 냉간 성형 제품을 용접에 의해 사용하고 있으나, 냉간 성형시 판재의 뒤틀림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용접을 사용할 경우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용접 합성보는 대형보에 사용할 경우, 휨을 받는 압축강재 요소의 판폭 두께비의 제한 규정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mposite beam is using a cold-formed product by welding, the distortion of the plate may occur during cold form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variety of products when using the welding. In addition, conventional welded composite beams, when used in large beams,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eet the limitation of the plate width thickness ratio of the compressed steel element subjected to bending.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4515호 공고일자 2014년06월27일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04515 Publication Date June 27, 2014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267호 공고일자 2012년09월27일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86267 Publication Date September 27, 2012

본 발명은 상부 플랜지를 별도의 철판으로 구현하고 전단 연결용 스터드 앵커와 함께 조립되는 구조로서 용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합성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structure that can be minimized welding as a structure that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steel plate and assembled with a stud anchor for shear connec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접 최소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는,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제1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루는 제2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하는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1 확장 플랜지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제2 확장 플랜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for minimizing the we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lange is horizontally bent inwardly at the top and the lower flange is horizontally bent inwardly at the bottom, any of the composite beam A first web plate constituting the side plate; A second web plate symmetrical to the first web plate and constituting the other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lower plate coupled to a low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low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to form a bottom of the composite beam; A first expansion flange coupl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second expansion flange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in a form symmetrical with the first expansion flange.

이때, 상기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2 확장 플랜지는 각각,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를 합성보 외측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철판으로서,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와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 결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xpansion flange and the second expansion flange, respectively, is an iron plate provided to extend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composite beam, the first web The upper flange of the plat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can be coupled to the bolt / nut.

또한, 상기 볼트는,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olt may be a stud bolt for shear connection.

한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 단은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스터드 볼트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 단은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스터드 볼트에 결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late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first web plate and the second web plate, one end of the fixing plate is coupled to the stud bolt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late may be coupled to a stud bol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용접 최소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는,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제1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루는 제2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외측에 결합하는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1 확장 플랜지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외측에 결합하는 제2 확장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2 확장 플랜지는 각각, ㄱ형 강재로서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은 합성보의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스터드 볼트 및 상기 스터드 볼트에 결합하는 너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for minimizing the we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eb plate having a lower flange inwardly horizontally bent at the bottom, and forms any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second web plate symmetrical to the first web plate and constituting the other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lower plate coupled to a low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low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to form a bottom of the composite beam; A first expansion flange coupled to the top outer sid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second expansion flange which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expansion flange and coupled to an out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web plate, wherein the first expansion flange and the second expansion flange are each a-shaped steel. It is coupl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op height of the top of the web plate and the top of the second web plate, the coupling may be made by a stud bolt and a nut coupled to the stud bolt inserted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접 최소화를 위한 조립식 합성보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for minimizing we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확장 플레이트가 웨브의 상부 플랜지를 확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판폭 두께 비에 의한 제한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 즉, 확장 플레이트를 웨브보다 두꺼운 철판으로 제작하여 조립하므로 스터드 볼트의 직경 < 플랜지의 두께(x2)의 규정을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First, since the expansion plate serves to expand the upper flange of the web, it is easy to overcome the limitation by the plate width thickness ratio. That is, since the expansion plate is manufactured by fabricating a steel plate thicker than the web, the specification of the diameter of the stud bolt <thickness of the flange (x2) can be easily satisfied.

둘째,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와 너트 결합을 통해 스터드 볼트의 설치 및 확장 플레이트의 고정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스터드 볼트 설치를 위한 용접을 배제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stud bolt and the fixing of the expansion plate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through the stud bolt and the nut for shear connection, welding for the stud bolt installation can be ex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shown in FIG.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mposite beam.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to be no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10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 제2 웨브 플레이트(200), 하부 플레이트(300), 제1 확장 플랜지(500) 및 제2 확장 플랜지(400)를 포함한다.1 to 4,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web plate 100, a second web plate 200, a lower plate 300, and a first expansion flange 500. ) And a second expansion flange 400.

제1 웨브 플레이트(100)는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130)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120)를 구비하고, 상부 플랜지(130)와 하부 플랜지(120)를 잇는 웨브(110)를 포함한다.The first web plate 100 has an upper flange 130 horizontally bent inwardly at the top and a lower flange 120 horizontally bent inwardly at the bottom, and connects the upper flange 130 and the lower flange 120. Web 110.

상부 플랜지(130), 웨브(110) 및 하부 플랜지(120)는 일체형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웨브 플레이트(100)는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upper flange 130, the web 110 and the lower flange 120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integral steel sheet. That is, the first web plate 100 may be formed by bending one steel plate.

상부 플랜지(130) 및 하부 플랜지(120)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나, 동일한 길이로 하여 제1 웨브 플레이트(100)를 상하 대칭형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lengths of the upper flange 130 and the lower flange 12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the first web plate 100 in a vertically symmetrical form with the same length.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룬다.The second web plate 200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web plate 100 and forms the other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230)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220)를 구비하고, 상부 플랜지(230)와 하부 플랜지(220)를 잇는 웨브(210)를 포함한다. 제2 웨브 플레이트(200) 또한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web plate 200 has an upper flange 230 horizontally bent inwardly at the top and a lower flange 220 horizontally bent inwardly at the bottom, and connects the upper flange 230 and the lower flange 220. Web 210. The second web plate 200 may also be formed by bending one steel plate.

하부 플레이트(3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하부 플랜지(120)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하부 플랜지(220)와 결합하여 합성보(1000)의 바닥을 이룬다.The lower plate 300 is combined with the lower flange 120 of 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lower flange 220 of the second web plate 200 to form the bottom of the composite beam 1000.

이때,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하부 플랜지(120)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하부 플랜지(220)와 볼트(B)/너트(N)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와셔는 간결한 도시를 위해 생략되었다.At this time, the lower flange 120 of 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lower flange 220 of the second web plate 200 are coupled by a bolt (B) / nut (N) coupling method. Washers have been omitted for the sake of brevity.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볼트(B)가 합성보(10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너트(N)와 결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형태 가운데 하나일 뿐으로서, 볼트(B)의 삽입 방향은 실시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the bolt B is inserted from the inside of the composite beam 1000 to the outside to engage with the nut N, but this is only one of the embodiment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bolt (B) is implemente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ule.

실시자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300)를 보강하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300)와 하부 플랜지(120, 220)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a reinforcing plat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300 and the lower flanges 120 and 220 to reinforce the lower plate 300.

또한, 하부 플레이트(300)에 하나 또는 다수의 보강 철근이 하부 플레이트(300) 길이 방향으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reinforcing bars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lower plate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300.

제1 확장 플랜지(5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상부 플랜지(130)와 결합하는 철판으로서, 상부 플랜지(130)의 넓이를 합성보의 외측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is an iron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30 of the first web plate 100, and is provided to extend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130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composite beam.

제2 확장 플랜지(400)는 제1 확장 플랜지(500)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상부 플랜지(230)과 결합한다.The second expansion flange 400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230 of the second web plate 200 in a symmetrical form with 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제1 확장 플랜지(500) 및 제2 확장 플랜지(400)는 각각 제1 웨브 플레이트(100) 및 제2 웨브 플레이(200)트의 상부 플랜지(130, 230)와 볼트(B)/너트(N)에 의한 체결 결합한다. 이때 볼트(B)는 실지자에 따라 스터드 볼트(S)로 실시될 수 있다.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and the second expansion flange 400 are the upper flanges 130 and 230 and the bolts B and nuts N of 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second web play 200, respectively. Fasten by). At this time, the bolt (B) may be implemented as a stud bolt (S) according to the practitioner.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확장 플랜지(500)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볼트(B)가 아래에서 상측 방향으로 삽입되어 너트(N)와 결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형태 가운데 하나일 뿐으로서, 볼트(B) 또는 스터드 볼트(S)의 삽입 방향은 실시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As shown, the bolt B used to join 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is inserted from the bottom upward to engage the nut N, but this is only one of the embodiments. (B) or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tud bolt (S) may be changed by the operator.

도 5는 종래의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제1 웨브 플레이트(100)를 강재를 절곡하여 형성할 때 판폭 두께 비(L/T)에 의해 상부 플랜지(130)의 길이(L1)을 일정 길이 이상 길게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mposite beam. When the first web plate 100 is formed by bending steel, it is difficult to form the length L1 of the upper flange 130 long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by the plate width thickness ratio L / T.

일 예로, 4.5T 강재의 경우 L1은 60mm 이하로 형성하고, 6T 강재의 경우 L1은 80mm 이하로 형성해야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4.5T steel, L1 should be formed to 60mm or less, and in the case of 6T steel, L1 should be formed to 80mm or less.

그러나, 상부 플랜지(P)는 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L1이 60mm 또는 80mm 이하인 경우 데크는 지지 가능하나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SB)를 설치할 겅유 데크가 지지될 수 있는 잔여 플랜지의 길이(L2)가 짧아져 데크의 지지가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SB)를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However, the upper flange (P) is for supporting the deck, the length of the remaining flange (L2) that can support the deck when L1 is less than 60mm or 80mm but can be supported by the deck to install the stud bolt (SB) for shear connection Is shortened, making it difficult to support the deck.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 disadvantage arises in that the shear connection stud bolt SB is installed using a separate member.

본 발명은 제1 확장 플랜지(500) 결합에 의해 상부 플랜지(130)의 외측 돌출 길이(L4)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판폭 두께 비(L/T)의 제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expand the outer protruding length (L4) of the upper flange 130 by coupling 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plate width thickness ratio (L / T).

또한, 합성보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 플랜지(130)의 길이(L3)는 고정용 볼트(B) 또는 스터드 볼트(S)의 결합을 위한 길이만큼만 형성하면 되므로 부차적으로 강재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ngth (L3) of the upper flange 130 bent into the composite beam only needs to be formed as long as the length for the coupling of the fixing bolt (B) or stud bolt (S) can additionally obtain a steel saving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식 합성보(10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1000 ′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late 600 for preventing 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second web plate 200 from spreading.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조립식 합성보에서 상부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 또는 장력을 지지하는 역할 보다는 거푸집에 가까운 역할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 보의 하측에 인가되는 장력은 하부 플레이트(300)에 의해 지지되며, 인력은 합성보 내부에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에 의해 지지 되는 것이다.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second web plate 200 play a role close to the formwork rather than supporting the attraction or tension generated by the superstructure in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In other words, the tension a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beam is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300, and the attraction force is supported by the concrete that is poured and cured in the composite beam.

따라서 강재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4.5T 내지 6T의 강재를 절곡하여 형성하는데, 합성보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타설된 콘트리트의 자중에 의해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제2 웨브 플레이트(200)가 벌어질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waste of steel, 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second web plate 200 are formed by bending steel materials of 4.5T to 6T. When concrete is poured into a composite beam, the weight of concrete poured 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second web plate 200 may be open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600)를 스터드 볼트(S')를 결합할 때 함께 결합하여 합성보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xing plate 600 may be coupled together when the stud bolts S 'are coupled to prevent the composite beam from spreading.

구체적으로, 고정 플레이트(600)의 일 단은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상부 플랜지(130)에 결합하는 스터드 볼트(S')에 결합하고, 고정 플레이트(600)의 타 단은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상부 플랜지(230)에 결합하는 스터드 볼트(S')에 결합할 수 있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xing plate 600 is coupled to the stud bolt (S ')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30 of the first web plate 100,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late 600 is the second web It may be coupled to the stud bolt (S ') coupled to the upper flange 230 of the plate 20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플랜지는 다양한 단면의 합성보에 적용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xpansion fl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composite beam of various cross-sec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의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합성보(10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 제2 웨브 플레이트(200'), 하부 플레이트(300), 제1 확장 플랜지(500') 및 제2 확장 플랜지(400')를 포함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10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web plate 100 ′, a second web plate 200 ′, a lower plate 300, a first expansion flange 500 ′ and a second expansion flange. 400 '.

제1 웨브 플레이트(100')는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웨브 플레이트로서,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120')를 구비한다.The first web plate 100 ′ is a web plate constituting any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nd has a lower flange 120 ′ horizontally bent inward at a lower end thereof.

제2 웨브 플레이트(2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룬다.The second web plate 200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web plate 100' and forms the other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하부 플레이트(3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하부 플랜지(120')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하부 플랜지(220')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룬다.The lower plate 300 is combined with the lower flange 120 'of 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lower flange 220 'of the second web plate 200' to form a bottom of the composite beam.

제1 확장 플랜지(500')는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상단 외측에 결합한다. 제2 확장 플랜지(500')는 제1 확장 플랜지(500')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상단 외측에 결합한다.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is coupled to the top outer side of the first web plate 100'. The second expansion flange 500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an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web plate 200 '.

이때, 제1 확장 플랜지(500') 및 제2 확장 플랜지(400')는 각각, ㄱ형 강재로서 제1 웨브 플레이트(100')의 상단 및 제2 웨브 플레이트(200')의 상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되고, 결합은 합성보의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스터드 볼트(S'') 및 스터드 볼트에 결합하는 너트(N)에 의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and the second expansion flange 400' are the same height as the top height of the top of the first web plate 100 'and the second web plate 200', respectively, as a-shaped steel. Is coupled to have, the coupling is made by a stud bolt (S '') is inserted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and the nut (N) for coupling to the stud bolt.

구체적으로, 제1 확장 플랜지(500') 및 제2 확장 플랜지(400')는 각각 수평부(510', 410') 및 수직부(520', 420')를 가지는 강재로서, 수평부(510', 410')가 웨브(110' 210')의 끝 지점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수직부(520', 420')가 웨브(110' 210')와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자에 따라 용접이 더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expansion flange 500 ′ and the second expansion flange 400 ′ are steels having horizontal portions 510 ′ and 410 ′ and vertical portions 520 ′ and 420 ′, respectively. ', 410' is position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end points of the web 110 '210', and the vertical portions 520 ', 420' are fixed by the web 110 '210' with bolt / nut couplings. do. Although not shown, welding may be further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or.

이때, 고정에 수행되는 스터드 볼트(S'')는 합성보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전단 연결용 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ud bolt (S '') to be fixed may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composite beam to serve as a member for shear connection.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 조립식 합성보
100 : 제1 웨브 플레이트
200 : 제2 웨브 플레이트
300 : 하부 플레이트
400 : 제1 확장 플랜지
500 : 제2 확장 플랜지
600 : 제1 고정 플레이트
1000: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100: first web plate
200: second web plate
300: lower plate
400: first expansion flange
500: second expansion flange
600: first fixing plate

Claims (5)

상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상부 플랜지 및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제1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루는 제2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하는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1 확장 플랜지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제2 확장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2 확장 플랜지는 각각,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를 합성보 외측 방향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철판으로서,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와 볼트/너트에 의한 체결 결합하고,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 단은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스터드 볼트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타 단은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부 플랜지에 결합하는 스터드 볼트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합성보.
A first web plate having an upper flange horizontally bent inwardly at an upper end and a lower flange horizontally bent inwardly at a lower end thereof and forming one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second web plate symmetrical to the first web plate and constituting the other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lower plate coupled to a low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low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to form a bottom of the composite beam;
A first expansion flange coupl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second expansion flange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in a form symmetrical with the first expansion flange,
The first expansion flange and the second expansion flange, respectively,
An iron plate provided for extending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in a direction outside the composite beam,
Fastening and coupling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by bolts / nuts,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late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first web plate and the second web plate,
One end of the fixing plate is coupled to a stud bol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late is coupled to a stud bol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Prefabricated beam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전단 연결용 스터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합성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lt is,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 bolt for shear connection.
삭제delete 하단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하부 플랜지를 구비하고, 합성보의 어느 한 측판을 이루는 제1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합성보의 다른 쪽 측판을 이루는 제2 웨브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하부 플랜지와 결합하여 합성보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외측에 결합하는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1 확장 플랜지와 대칭되는 형태로서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외측에 결합하는 제2 확장 플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확장 플랜지 및 상기 제2 확장 플랜지는 각각,
ㄱ형 강재로서 상기 제1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및 상기 제2 웨브 플레이트의 상단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은 합성보의 외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삽입되는 스터드 볼트 및 상기 스터드 볼트에 결합하는 너트에 의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합성보.
A first web plate having a lower flange horizontally bent at the lower end and constituting any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second web plate symmetrical to the first web plate and constituting the other side plate of the composite beam;
A lower plate coupled to a lower flang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lower flange of the second web plate to form a bottom of the composite beam;
A first expansion flange coupled to the top outer side of the first web plate; And
A second expansion flange coupled to the top outer side of the second web plate in a form symmetrical with the first expansion flange,
The first expansion flange and the second expansion flange, respectively,
As the a-shaped steels are joined to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op height of the top of the first web plate and the top of the second web plate,
The coupling is a prefabricated composite beam,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a stud bolt and a nut coupled to the stud bolt is inserted in the inward direction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mposite beam.
KR1020180042478A 2018-04-12 2018-04-12 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Active KR102054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78A KR102054255B1 (en) 2018-04-12 2018-04-12 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478A KR102054255B1 (en) 2018-04-12 2018-04-12 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65A KR20190119265A (en) 2019-10-22
KR102054255B1 true KR102054255B1 (en) 2019-12-10

Family

ID=6842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478A Active KR102054255B1 (en) 2018-04-12 2018-04-12 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2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817A (en) 2020-12-24 2022-07-01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Composite Be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264B1 (en) * 2020-01-08 2021-10-07 (주)센벡스 Built up beam for composite beam of steel and concrete
KR102149461B1 (en) * 2020-02-04 2020-08-31 주식회사 이에스데크 Girder form deck for welding deck
KR102575033B1 (en) * 2022-08-31 2023-09-0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연구소 Composite Beam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87B1 (en) * 2014-08-05 2014-10-13 강병구 composite beam assembly
KR101720103B1 (en) * 2016-02-02 2017-04-0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 Composite beam for construction fr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267B1 (en) 2012-02-06 2012-09-27 김재학 Hybrid multi-forming composite beam
KR20130100665A (en) 2012-03-02 2013-09-11 이창남 Hybrid beam with separated double swellings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87B1 (en) * 2014-08-05 2014-10-13 강병구 composite beam assembly
KR101720103B1 (en) * 2016-02-02 2017-04-0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 Composite beam for construction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817A (en) 2020-12-24 2022-07-01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Composite B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65A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255B1 (en) composite beam assembly for welding reduction
KR102128903B1 (en) composite beam assembly for field installation
KR101492377B1 (en) composite beam assembly
KR101432260B1 (en)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KR101449387B1 (en) composite beam assembly
KR101159041B1 (en) Joint of steel box column and steel beam
KR101512944B1 (en) super composite beam assembly
KR102144476B1 (en) Modular steel plate form
WO2009011516A2 (en) Form with reinforcing bars, non-support form system and non-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514606B1 (en) wide composite beam assembly
KR101636246B1 (en) Steel-PC hybrid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70444B1 (en) Steel Form Beam
KR20130100665A (en) Hybrid beam with separated double swellings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101375382B1 (en) Precast formless composi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77668B1 (en) Formed steel beam having bolt connection with lattice reinforcement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KR101429527B1 (en) Joint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KR20190012766A (en) Built-Up Beam
JP2013501169A (en) Reinforced concrete component comprising a reinforcing portion made of an L-shaped thin plate member
KR20060068694A (en) Concrete preserving steel formwork and its forming method
KR101360360B1 (en) Form assembly easily installed distance maintenance implement
KR20090087678A (en) Steel plate forming steel beam for tensile reinforcement and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 using same
KR102465099B1 (en)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G beam form
KR102056313B1 (en) Hybrid Beam Consisted Using Compressive Member and Lattice
KR101259139B1 (en) Steel 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 bea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29001B1 (en)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