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81B1 - 기능성이 향상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이 향상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81B1
KR102046381B1 KR1020170153113A KR20170153113A KR102046381B1 KR 102046381 B1 KR102046381 B1 KR 102046381B1 KR 1020170153113 A KR1020170153113 A KR 1020170153113A KR 20170153113 A KR20170153113 A KR 20170153113A KR 102046381 B1 KR102046381 B1 KR 10204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mesenchymal
cell
progenitor cells
stem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817A (ko
Inventor
정형민
홍기성
신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Publication of KR2018006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4Muscles; Smooth muscle cells; Heart; Cardiac stem cells; Myoblasts; Myocytes; Cardiomy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5Fat tissue; Adipocytes; Stromal cells; Connective tiss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간엽 줄기세포(MSC, Mesenchymal Stem Cell)에 비해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를 과발현하고,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CD95(Cluster Differentiation 95)를 저발현하는 간엽성 전구세포(Mesenchymal Progenitor)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이 향상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NOVEL FUNCTIONALLY ENHANCED MESENCHYMAL PROGENITOR CELLS, CELL THERAPEUTIC COMPOSITION FOR REVASCULARIZATION OR PREVENTING VASCULAR DAMAG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이 향상된 간엽성 전구세포(Mesenchymal Progenitor)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간엽이란 배아 발생 중에 일어나는 상피-중간엽 이행(EMT, Epithelial to Mesenchyme Transition)에 의해 형성된 중간층에 해당하는 중배엽의 조직을 통칭하며,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이러한 초기 발생을 시험관 내에서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하며, 유익한 세포의 원천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성체뿐만 아니라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혹은 중간엽 전구세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성체에서 중간엽 줄기세포와 같이 골수에 골을 형성할 수 있는 전구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이 최초로 알려진 후 골수 외에도 치밀골, 말초혈액, 지방조직, 그리고 제대혈과 양막 등 태아의 조직에서 모두 분리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성체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세포치료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 임상치료에 있어 골, 연골, 힘줄 등 근골격계와 심혈관계에서 심근재생, 폐섬유화의 치료, 척추손상의 치료에까지 연장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세포치료에 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성체 중간엽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달리 시험관 내에서 장기간 계대 배양하는 경우, 불규칙한 증식능력을 나타내어 한 세포의 분열능력이 40회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확립된 세포 계통이 없어 성체로부터 반복적인 세포 준비가 요구되어 연구에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 내지 전구세포를 분리, 배양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알려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 또는 전구세포를 얻는 방법으로, 원하는 표지인자(Marker)를 나타내는 세포를 유세포 분석기(Fluorescent activated cell sorter, FACS)를 통해 분리하는 것과 분화 유도를 위해 싸이토카인(Cytokine)을 처리하는 방법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레이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포의 생존률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분리한 후 얻어지는 세포의 수가 적어 배양 기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싸이토카인 처리의 경우 지속적 처리에 의한 고비용 및 분화 후에도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화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줄기세포 내지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치료제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들 중, 창상이나 화상 치료의 목적으로는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의 분비물 내지 혈관형성 전구세포를 이용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나, 제조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대량생산 및 제품화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식능 및 분화능이 개선되고 이동능, 혈관신생 효능이 우수한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엽 줄기세포(MSC, Mesenchymal Stem Cell)에 비해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를 과발현하고,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CD95(Cluster Differentiation 95)를 저발현하는 간엽성 전구세포(Mesenchymal Progenitor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배아줄기세포(ESC, Embryonic Stem Cell),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또는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CNT,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cell) 유래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배아줄기세포는 포유동물 유래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LTBP(Latent-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binding Protein),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KDR(Kinase insert Domain Receptor), FZD(Frizzled), FGF(Fibroblast Growth Factor), ANG(Angiopoietin), PDGFR(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및 EMAP(Endothelial Monocyte-Activating Polypept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인자(angiogenesis factor)를 과발현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MMP(Matrix Metalloproteinase) 및 HGF(Hepatocyte growth factor)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인자(migration factor)를 과발현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지방세포(adipocyte), 골세포(osteocyte), 연골세포(chondrocyte) 또는 근세포(myocyte)로의 분화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배가 시간(doubling time)이 20시간 내지 35시간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혈관내피세포(endothelial cell)의 증식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혈관내피세포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배아줄기세포(ESC),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PSC) 또는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CNT) 유래의 배상체(Embryoid body)를 다공성 막이 구비된 세포배양 삽입체 상에서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세포배양 삽입체 하부로 이동한 간엽성 전구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및 CD95 발현 수준을 중간엽 줄기세포(MSC)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를 제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막의 기공 크기가 1㎛ 내지 20㎛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세포배양 삽입체는 FBS(Fetal bovine serum), SR(Serum replacement) 및 HPL(Human platelet lys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엽성 전구세포는 특정 마커 발현 양상 변화에 따라 우수한 증식능, 분화능, 이동능 및 혈관신생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혈관 재생 효능 및 혈관 손상 방지 효능을 구현할 수 있어 화상 및 창상 등에 의한 손상 부위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다공성 막이 구비된 세포배양 삽입체를 이용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를 제조함으로써, 세포생존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저비용으로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화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 의 제조방법 각 단계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Oct4 및 Nanog 발현 수준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배양 조건에 따른 세포 형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핵형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및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의 EGF-R 및 CD95 발현률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분화한 지방세포(Adipocyte) 및 골세포(Osteocyte)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이동 특성을 측정한 이미지 및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혈관신생인자(angiogenesis factor) 및 이동인자(migration factor)의 발현 수준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와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cutoff: 1.1).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혈관내피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로부터 형성된 혈관 튜브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색소 전이 분석(dye transfer assay)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튜브 조립 분석(tube assembly assay)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화상 치료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창상 치료 효능을 나타낸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능성이 강화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 ( FEMP , Functionally Enhanced Mesenchymal Progenitors)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조성물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엽 줄기세포(MSC, Mesenchymal Stem Cell)에 비해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를 과발현하고,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CD95(Cluster Differentiation 95)를 저발현하는 간엽성 전구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MSC)"는 뼈, 연골, 지방, 근육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중배엽성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분화능 줄기세포(multipotent stem cell)를 의미한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융모막, 탈락막 또는 태반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일 수 있다.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인간, 태아 또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로는 개과 동물, 고양이과 동물, 원숭이과 동물, 소, 양, 돼지, 말, 랫트, 마우스, 기니피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간엽성 전구세포는 통상적인 중간엽 줄기세포(MSC)에 비해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과발현하고, CD95를 저발현함에 따라,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증식능, 분화능 및 이동능을 보유할 수 있다. 즉,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기능성이 향상된 중간엽 전구세포(FEMP, Functionally Enhanced Mesenchymal Progenitor)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는 세포외 단백질 리간드의 상피 성장인자 패밀리에 대한 세포-표면 수용체로서, 줄기세포의 근거리분비(paracrine)를 촉진시켜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HGF(Fibroblast Growth Factor)와 같은 혈관신생인자의 발현을 촉진시킬 수 있고, HBEGF(Heparin-Binding EGF-like Growth Factor), AREG(Amphiregulin)와 같은 다양한 성장인자나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켜 줄기세포의 증식능, 분화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EGF-R은 MAP kinase(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KC(Protein Kinase C) 등과 함께 줄기세포에 작용하여 이동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EGF-R을 과발현하는 간엽성 전구세포는 통상적인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우수한 증식능, 분화능 및 이동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CD95(Cluster Differentiation 95)는 FasR(Fas Receptor), APO-1(Apoptosis antigen 1), 또는 TNFRSF6(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6) 등의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세포 표면에 위치하여 세포자살(apoptosis)을 유도하는 사멸수용체(death receptor)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CD95에 FasL(Fas Ligand) 또는 CD95L(CD95 Ligand)로 알려진 리간드가 결합하면 DISC(Death-Inducing Signaling Complex)를 형성하여 세포자살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줄기세포 또는 전구세포가 상기 CD95를 과발현하는 경우, 상기 CD95에 의해 세포자살의 신호전달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CD95를 상대적으로 저발현하는 줄기세포는 세포자살 신호전달이 억제되어 우수한 증식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MSC), 특히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에 비해 우수한 증식능을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줄기세포 이식(stem cell graft)에 있어서, 우수한 세포 생존능을 보유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배아줄기세포(ESC, Embryonic Stem Cell),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또는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CNT,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cell) 유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배아줄기세포(ESC, Embryonic Stem Cell)"는 포유동물의 수정란이 모체의 자궁에 착상하기 직전인 포배기 배아에서 내세포괴(ICM, Inner Cell Mass)를 추출하여 체외에서 배양한 것으로, 동물의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 줄기세포(pluripotency stem cell)를 의미한다. 이는 넓은 의미로는 배아줄기세포에서 유래한 배아체(embryoid body),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및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CNT,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cell)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아줄기세포는 인간, 영장류, 소, 돼지, 양, 말, 개, 쥐, 랫트 및 가축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유래의 모든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인간 배아줄기세포일 수 있다.
상기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예를 들어 H9(James A. Thomson et. al. Embryonic Stem Cell Lines Derived from Human Blastocysts. Science 1998 Dec 4; 282(5395):1827)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구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MSC)에 비해 LTBP(Latent-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binding Protein),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KDR(Kinase insert Domain Receptor), FZD(Frizzled), FGF(Fibroblast Growth Factor), ANG(Angiopoietin), PDGFR(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및 EMAP(Endothelial Monocyte-Activating Polypept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인자(angiogenesis factor)를 과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MSC)에 비해 MMP(Matrix Metalloproteinase) 및 HGF(Hepatocyte growth factor)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인자(migration factor)를 과발현할 수 있다.
혈관 퇴행 조직이나 상처가 발생한 조직 주변에 상기 줄기세포가 존재하는 경우, 이의 치료를 위해 세포의 이동능 및 혈관신생 효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능은 표적 기관 내지 조직으로 이동하는 호밍(homing)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MSC)에 비해 혈관신생인자 및 이동인자를 과발현함으로써, 표적 기관 내지 조직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혈관 조직을 복구할 수 있으므로, 관련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세포치료제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우수한 분화능, 예를 들어 지방세포(adipocyte), 골세포(osteocyte), 연골세포(chondrocyte) 또는 근세포(myocyte)로의 분화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창상 및 화상과 같은 질환, 증상의 치료에 적절한 세포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과발현함으로써 통상의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향상된 증식능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줄기세포 배양 시점으로부터 세포수가 2배가 되는 배가시간(doubling time)이 20시간 내지 35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내지 32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세포 증식능은 세포치료제로서 상기 FEMP의 효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혈관신생, 즉 손상된 혈관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고, 이 뿐만 아니라 이미 손상된 혈관이 지속적인 외력 등에 의해 추가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화상, 창상 등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혈관신생은 혈관내피세포(endothelial cell)의 증식을 유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혈관내피세포(endothelial cell)"는 혈관내강이 배접하여 내막을 구성하는 한 층의 세포를 의미하며, 엔도텔린(Endothelin)의 생산을 통한 혈관 긴장성 조절, 혈관 내 혈액응고 조절, 혈관 투과성 조절, 물질교환, 백혈구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생체방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손상된 혈관에서 상기 혈관내피세포의 증식능은 혈관 재생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혈관의 추가 손상 방지는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의 혈관주위세포(pericyte) 능력, 즉 혈관내피세포와 상호작용하는 능력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혈관주위세포(pericyte)"는 혈관내피와 특이한 국소접촉을 형성하는, 미세혈관계의 기저막 내에 위치한 혈관 벽세포를 의미한다. Rouget 세포, 외막세포(adventitial cell) 또는 벽세포(mural cell)로도 불리는 소혈관 주위의 결합조직 세포로, 혈관내피 외부의 10% 내지 50%를 둘러싸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늘고 긴 수축성 세포이며 기저막 외부에서 모세혈관전세동맥 주위를 싸고 있다.
상기 혈관주위세포는 상대적으로 미분화된 다분화능 세포이며 혈관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필요에 따라서 섬유아세포, 평활근 또는 대식세포로도 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관주위세포는 혈관신생뿐 아니라 혈-뇌 장벽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 내 세포에 대한 접착력으로 미세혈관계에서 혈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체, 바람직하게는 생분해성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생분해성 지지체는 피브린 글루, 히알루론산, 젤라틴, 콜라겐, 알긴산, 셀룰로오스, 펙틴, 키틴, 폴리글라이콜산, 또는 폴리유산과 같은 하이드로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및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치료제 조성물은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으로 제제화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성이 향상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a) 배아줄기세포(ESC),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PSC) 또는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CNT) 유래의 배상체(Embryoid body)를 다공성 막이 구비된 세포배양 삽입체 상에서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세포배양 삽입체 하부로 이동한 간엽성 전구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및 CD95 발현 수준을 중간엽 줄기세포(MSC)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를 제형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a) 단계의 배아줄기세포,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 및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에 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배상체(EB, Embryoid Body)"는 배아줄기세포 간 부착되어 형성된 세포 응집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미분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요소들을 제거한 배아줄기세포를 소수성 배양용기에 접종시키면 상기 배아줄기세포가 배양용기 바닥에 밀착하지 않고 세포들 간 응집하여 1㎜ 이하 크기의 배상체를 형성한다. 상기 배상체는 포유동물의 체성분을 구성하는 삼배엽성(내배엽, 중배엽, 외배엽) 분화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세포배양 삽입체"는 다공성 막을 가지는 기구로서, 배아줄기세포,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 또는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 유래의 배상체를 배양하는 경우, 배아 발생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피-중간엽 이행(EMT,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이 자연스럽게 일어나도록 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이 때, 상기 다공성 막의 기공 크기가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더 바람직하게는 8㎛일 수 있다.
상기 세포배양 삽입체의 배지 구성으로는 EGM2-MV, DMEM, MEM-α, STEMPRO-MSC, MesenCult-MSC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EGM2-MV, DMEM 또는 MEM-α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세포배양 삽입체는 FBS(Fetal bovine serum), SR(Serum replacement) 및 HPL(Human platelet lys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첨가물은 1~10%의 FBS, 1~10%의 SR 또는 1~10%의 HPL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FBS 또는 2.5~5% HP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 이후 다공성 막을 통해 세포배양 삽입체 하부로 이동한 전구세포, 구체적으로 간엽성 전구세포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세포배양 삽입체 하부에는 상기 세포가 상피세포 형상으로 응집되어 있을 수 있다.
간엽성 전구세포의 분리는 효소적 분리를 통해 단일 세포로 분리하는 방법, 또는 기계적 분리를 통해 상피세포 형상 시트로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줄기세포의 원형 유지를 위해 기계적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효소적 분리"는 효소 처리를 통하여 세포 응집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콜라게네이즈 Ⅰ, Ⅱ, Ⅲ, Ⅳ를 포함하는 콜라게네이즈(Collagense), 아큐타제(Accutase), 디스파제(Dispase), trypLE 또는 트립신-EDTA를 처리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저자극성 효소인 trypL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계적 분리 방법으로는 스크랩퍼를 이용하여 상피세포 형상의 시트의 원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분리, 배양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에서 분리한 간엽성 전구세포의 특정 마커 발현 수준을 중간엽 줄기세포(MSC), 구체적으로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의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단계로, 상기 마커는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및 CD95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c) 단계에서 분리한 간엽성 전구세포가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를 과발현하고, CD95를 저발현하는 경우, 목적하는 특성을 갖는 간엽성 전구세포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마커 특성에 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d) 단계에서는 EGF-R, CD95와 같은 마커 발현 수준에 따라 선별된 간엽성 전구세포를 지지체, 담체, 희석제, 기타 첨가제 등과 혼합하고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담체 등에 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인간 배아줄기세포( hESC ) 유래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분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엽성 전구세포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인간 배아줄기세포(A)를 정상산소 상태(37℃, 5%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상체(B) 형성을 통해 초기 분화시킨 후, 8㎛의 기공크기를 가진 세포배양 삽입체 상에 도말하였다(C). 도말 시 20% SR(Serum Replacement), 1% NEAA(Non-essential amino acid), 0.1% β-mercaptoethanol 및 1% anti-biotic을 포함하는 DMEM/F12(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Nutrient Mixture F-12) 배지를 사용하였다.
세포배양 삽입체 상에서 배상체를 1일 내지 10일 동안 배양하였고, 이에 따라 전구세포가 삽입체 하부로 이동하여 상피세포 형상의 시트를 형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D). RT-PCR 분석을 통해 각 세포의 이행 패턴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마커 유전자, 프라이머 염기서열 등의 구체적인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프라이머 염기서열 온도
(℃)
횟수
(cycle)
NCBI Reference
Sequence
Oct4 Sense AACTCGAGCAATTTGCCAAGCTCC 55 30 NM_001110336.1
Anti-sense TTCGGGCACTGCAGGAACAAATTC
Nanog Sense CAAAGGCAAACAACCCACTT 55 30 NM_024865.2
Anti-sense TCTGCTGGAGGCTGAGGTAT
도 3을 참고하면, 세포배양 삽입체 상부에 잔존하는 인간 배아줄기세포(hESC)는 전분화능(pluripotency) 표지자인 Oct4 및 Nanog을 일정 수준 발현한 반면에, 세포배양 삽입체 하부로 이동한 간엽성 전구세포(FEMP)는 인간 배아 섬유아세포(hEF)와 유사하게 Oct4 및 Nanog을 거의 발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상피-중간엽 이행을 통해 세포배양 삽입체 하부로 이동한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간엽성 전구세포(FEMP)는 인간 배아줄기세포(hESC)와는 상이한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 2: 인간 배아줄기세포( hESC ) 유래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배양 및 증식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의 제조방법의 각 단계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세포배양 하부에 형성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 시트를 스크랩퍼를 이용해 박리(E)한 후 새로운 배양 접시에 옮겨 계대 배양하였다. 이 때, 배양 배지는 5% 소태아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하는 EGM-2MV 배지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피세포 형상의 시트로부터 전구세포가 뻗어나오면, 상피세포 형상의 시트를 걷어내고, 이를 재차 계대하여 지속적으로 전구세포를 수득하였다. 잔존 전구세포는 trypLE를 사용하여 세포를 제거하고 계대 배양하였다.
1계대(F), 5계대(G) 및 7계대(H)의 전구세포를 관찰한 결과, 수 차례의 계대 배양을 반복하여도 세포의 형태나 특징에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계대의 제한성이 없고, 다공성 막을 활용하는 방법이 기존에 보고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하는 방법에 비해 효율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위와 동일한 조건으로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계대 배양하되, 5%의 FBS를 대체하여 2.5% 및 5%의 HPL(Human platelet lysate)를 사용한 결과, FBS를 사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구세포가 뻗어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실시예 3: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염색체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계대의 횟수와 기간에 관계 없이 정상적인 염색체 특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9계대 및 19계대 줄기세포에 대한 핵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양액 10㎖가 담긴 배양 용기에 100㎍/㎕ 농도의 콜히친(colchicine) 용액 20㎕을 혼합하여 37℃에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상기 용액을 500rpm에서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제거하고 5㎖의 저장액(0.075M KCl)에 세포를 부유시켜 37℃의 항온 수조에 25분 동안 방치하였다. 각 튜브에 고정액(methanol : glacial acetic acid = 3 : 1, v/v)을 5방울씩 첨가하여 1,200rpm에서 8분 동안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제거하고 5㎖ 고정액에 세포를 부유시켜 상온에 10분 동안 방치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세포를 0.5㎖의 고정액에 부유시키고 70% 에탄올에 침지해 둔 슬라이드 글라스 상에 세포 부유액을 적가하였다. 알코올 램프를 이용해 슬라이드 상의 에탄올을 건조시키고 공기 중에서 수분을 제거한 뒤 커버슬립을 덮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5).
도 5를 참고하면, 간엽성 전구세포(FEMP)는 계대의 횟수와 기간에 상관 없이 정상적인 염색체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마커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11계대 및 21계대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세포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유세포 분석기(FACS,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를 이용하여 마커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트립신-EDTA를 사용하여 전구세포를 박리한 뒤, 5x105cells/㎖ 농도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에 부유시켰다. 각 세포에 CD73, CD95, CD44, CD11b, CD14, CD19, CD34, CD45, HLA-DR(Human Leukocyte Antigen - antigen D Related) 및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항체를 첨가하여 45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뒤 각각의 세포에 대해 유세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EGF-R 및 CD95의 결과는 도 6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7계대의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 및 16계대의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사용하였다.
마커 BM-MSC p7 FEMP p11 FEMP p21 Fibroblast p16
CD73 99.75 99.27 98.92 99.4
CD95 93.64 12.38 18.07 93.90
CD44 99.59 99.79 99.65 97.43
CD11b 0.36 0.03 0.32 0.34
CD14 0.4 0.11 0.22 0.73
CD19 0.19 0.04 0.13 0.16
CD34 1.79 1.49 1.42 0.37
CD45 0.15 0.14 0.15 0.33
HLA-DR 0.36 0.1 0.06 0.26
EGF-R 15.26 85.93 58.43 98.84
(단위: %)
상기 표 2 및 도6을 참고하면, 간엽성 전구세포(FEMP)는 BM-MSC와 비교하여 EGF-R을 약 40% 내지 70% 과발현하고, CD95는 약 80% 저발현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FEMP가 BM-MSC에 비해 우수한 증식능 및 분화능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CD73와 같은 마커가 강하게 발현되었고, CD34, CD45 등의 조혈 줄기세포 마커는 발현되지 않아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통상적인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성 및 다분화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실제로 지방세포, 골세포, 근세포 등으로 분화됨을 확인하였다(도 7).
실시예 5: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증식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 에 따라 제조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증식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상 산소 분압 하에서 배양된 16 계대 간엽성 전구세포(FEMP)에 대한 세포 증식능을 생세포밀도(viable cell density)(cells/㎝2)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정상 산소 분압 하에서 배양된 16 계대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줄기세포를 6 well plate 의 배양접시에 2.0x104cells/plate 농도로 계대 별(16, 17, 18, 19 계대) 3 well씩 도말하였다. 각 세포를 정상 산소 분압에서 배양한 뒤, 배양기간 별로 0.25%의 트립신을 이용하여 배양접시에서 분리하였다. 혈구계수기(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3 회 반복 계수함으로써 평균 세포수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Group Passage 16 Passage 17 Passage 18 Passage 19
BM-MSC doubling time (dT) 39.7559 51.7705 52.2821 59.7651
PDL (회) 2.3691 1.8203 1.8051 1.5818
FEMP doubling time (dT) 24.2851 25.6893 36.5355 31.8651
PDL (회) 3.9357 3.6722 2.6305 2.9216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는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에 비해 배가 시간(doubling time)이 대폭 감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BM-MSC가 39시간 초과의 배가 시간을 나타냄에 반해, FEMP는 32시간 미만의 배가 시간을 나타내어 월등히 향상된 증식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시예 6: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이동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이동(migration)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μ-디쉬 35㎜, 고 배양-삽입(high culture-insert)을 이용하여 이동 세포수를 분석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μ-디쉬 35㎜에 상기 FEMP 및 BM-MSC를 각각 3x104cells/well 농도로 70㎕씩 시딩(seeding)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삽입(culture-insert)을 제거하였으며, 10% DMEM 2㎖를 첨가한 후,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이동 세포수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고하면, BM-MSC에 비해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이동 세포수가 월등히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우수한 이동능력을 통해 우수한 상처 치료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7: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혈관신생인자 이동인자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혈관신생인자(angiogenesis factor) 및 이동인자(migration factor)의 발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11계대의 간엽성 전구세포(FEMP) 및 7계대의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BM-MSC)의 발현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FEMP/BM-MSC의 상대적인 값(fold change)으로 나타내었으며, cutoff 값을 1.1로 설정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를 참고하면, 이동인자인 MMP-1 및 HGF는 BM-MSC에 비해 FEMP에서 1.3배 이상 발현되어 상기 FEMP가 우수한 이동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상기 실시예 6과 일치하는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BM-MSC와 비교하여 LTBP-1, ANG-1, FGF-16 등 다양한 혈관신생인자가 FEMP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며, 특히 LTBP-1, VEGF-B, KDR, Frizzled-1, FGF-16의 경우 1.3배 이상으로 발현되어 상기 FEMP 가 BM-MSC에 비해 우수한 혈관신생능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혈관재생과 같은 용도의 세포치료제로 상기 FEMP가 우수한 효능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혈관 재생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혈관 재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배양한 조건 배지(CM, Conditioned Media)와 내피세포 기초배지(EBM, Endothelial cell Basal Medium)에서 각각 인간 제대 정맥 내피세포(HUVEC, Human Umbilical Vein Endotheial Cell)를 배양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배지 종류 HUVEC 증식률(%)
EBM 100±0
FEMP CM 816.9±145.5
상기 표 4 및 도 10을 참고하면, 대조군인 기초배지에 비해 상기 FEMP가 포함된 조건 배지에서 혈관내피세포의 증식률이 8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마트리겔(Matrigel)이 코팅된 배지에 배양할 경우, 도 11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혈관 튜브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킴으로써, 손상된 혈관의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는 화상, 창상 등에 의해 손상된 혈관에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9: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혈관 손상 방지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의 혈관주위세포(pericyte) 능력, 즉 혈관내피세포(HUVEC)와의 상호물질 교환성을 확인하기 위해, 색소 전이 분석(dye transfer assay)을 수행하였다.
칼세인(calcein)은 세포 상호작용의 일환인 갭-정션(gap-junction)을 통해서만 이동되는 형광물질로서, 혈관내피세포에 표지된 칼세인이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로 전이되기 위해서 양 세포 간 갭-정션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칼세인-표지된 혈관내피세포(Calcein-HUVEC, 녹색) 및 Dil-표지된 줄기세포(Dil-FEMP, 적색)를 5% CO2, 37℃의 항온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공배양한 결과, 간엽성 전구세포(FEMP)에서 칼세인의 녹색 형광과 Dil의 적색 형광이 함께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는 혈관내피세포(HUVEC)와 갭-정션을 형성함으로써 물질 이동과 같은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피브린 겔(Fibrin gel)에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와 혈관내피세포(HUVEC)의 튜브 공조립(tube coassembly) 수행 결과, 혈관 유도 터널 내에서 Dio-표지된 HUVEC 주변에 Dil-표지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13).
위와 같은 결과는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FEMP)가 혈관주위 전구세포로서의 기능, 즉 혈관내피세포 주위에 위치하여 미세혈관계 형성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실시예 10: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이용한 화상 치료 능력 확인
심재성 2도 화상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FEMP 투여가 피부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육안관찰 결과 FEMP 투여군에서 조직 손상 1주 후부터 회복되는 기간까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재생 속도가 빠른 것으로 관찰되었다. 더불어 화상에 의한 조직재생 과정에서 분비되는 염증관련 인자들을 RNA 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MCP, TNF, IL6와 같은 염증유도인자들이 FEMP 투여군에서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며, 대표적인 항염증인자인 IL-10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4).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FEMP 투여 시 항염증인자의 분비가 증가되고, 염증인자의 분비는 감소됨으로써 상처 회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90℃의 인두를 10초간 피부에 부착하여 심재성 2도 화상을 유발한 후, 1x106의 FEMP를 상처 주위 3곳에 피내 주사하였다. 세포 이식 1주, 4주 후 조직을 생검하여 조직 슬라이드를 제작한 뒤 화상 부위를 관찰하였다. 1주 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화상을 유발하여 손상된 피부 위에 가피 형성이 관찰되었다. 반면, 피부조직 아래쪽에는 화상으로 인해 표피가 탈락되거나 손상된 진피조직 재생을 위해, 다수의 염증세포들이 침윤되어 육아조직을 형성함에 따라 정상 조직과는 다른 모습이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도 15).
실시예 11: 간엽성 전구세포(FEMP)를 이용한 창상 치료 능력 확인
누드마우스의 등쪽 피부조직의 3개 면을 절단하여, 혈액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허혈성 괴사를 유발하는 창상 모델을 제작하였고, 이를 통해 FEMP 투여에 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육안관찰 결과 FEMP 투여 그룹에서 대조군보다 허혈성 괴사가 일어난 조직의 면적이 적었으며, 면역염색결과 FEMP 군에서 투여된 세포와 융합되어 새로 생성된 미세혈관들이 관찰되었다. 조직학적 분석결과에서는 피부 괴사와 동반하는 염증반응이 FEMP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FEMP 투여는 허혈성 창상모델에서 염증반응을 개선하고, 혈관생성과 이에 따른 혈류량을 개선시킴으로써 조직 소실을 억제하며 보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6).
상기와 결과를 종합해보면,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간엽성 전구세포(FEMP)는 손상된 혈관 주위에서 혈관의 안정화를 도모함으로써, 추가의 혈관 손상을 방지하여 화상 및 창상 등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중간엽 줄기세포(MSC, Mesenchymal Stem Cell)에 비해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를 과발현하고,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CD95(Cluster Differentiation 95)를 저발현하는 간엽성 전구세포(Mesenchymal Progenitor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로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배아줄기세포(ESC), 유도 전분화능 줄기세포(iPSC) 또는 체세포 핵치환 줄기세포(SCNT) 유래의 배상체(Embryoid body)를 정상 산소 조건에서 다공성 막이 구비된 세포배양 삽입체 상에서 배양한 다음, 상기 세포배양 삽입체 하부로 이동한 세포를 분리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조혈 줄기세포 마커를 발현하지 않는 것인,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아줄기세포는 포유동물 유래인,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LTBP(Latent-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binding Protein),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KDR(Kinase insert Domain Receptor), FZD(Frizzled), FGF(Fibroblast Growth Factor), ANG(Angiopoietin), PDGFR(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및 EMAP(Endothelial Monocyte-Activating Polypept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혈관신생인자(angiogenesis factor)를 과발현하는,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에 비해 MMP(Matrix Metalloproteinase) 및 HGF(Hepatocyte growth factor)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인자(migration factor)를 과발현하는,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지방세포(adipocyte), 골세포(osteocyte), 연골세포(chondrocyte) 또는 근세포(myocyte)로의 분화능을 갖는,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배가 시간(doubling time)이 20시간 내지 35시간인,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혈관내피세포(endothelial cell)의 증식을 유도하는,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엽성 전구세포는 혈관내피세포와 상호작용하는, 화상 또는 창상 치료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53113A 2016-12-02 2017-11-16 기능성이 향상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6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585 2016-12-02
KR20160163585 2016-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817A KR20180063817A (ko) 2018-06-12
KR102046381B1 true KR102046381B1 (ko) 2019-11-19

Family

ID=6262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113A KR102046381B1 (ko) 2016-12-02 2017-11-16 기능성이 향상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9313A4 (en) * 2019-11-12 2023-10-18 Brexogen Inc.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KIDNEY DISEASES, COMPRISING EXOSOMES DERIVED FROM PRECURSOR CELLS OF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O2021096220A1 (ko) * 2019-11-12 2021-05-20 브렉소젠 주식회사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전구세포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2307B1 (ko) * 2020-06-30 2020-12-18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
WO2022004938A1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미래셀바이오 유사 중간엽 줄기세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492B1 (ko) * 2008-06-12 2011-06-30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혈관전구세포를 이용한 창상 치료용 이식재 및 창상 치료 방법
KR101422690B1 (ko) * 2009-02-27 2014-07-23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배아줄기세포 유래 혈관형성전구세포의 배양 분비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60239B1 (ko) * 2010-12-07 2017-07-24 (주)차바이오텍 세포배양 삽입체를 이용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세포의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817A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The influence of spheroid formati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on chitosan films on stemness and differentiation capabilities
KR102046381B1 (ko) 기능성이 향상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를 포함하는 혈관 재생용 또는 혈관 손상 방지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526581B2 (en) Modulation of cardiac stem-progenitor cell differentiation, assays and uses thereof
US20190153385A1 (en) Method of producing progenitor cells from differentiated cells
US20080152630A1 (en) Method of generation and expansion of tissue-progenitor cells and mature tissue cells from intact bone marrow or intact umbilical cord tissue
KR102155623B1 (ko) 성체 심장 줄기세포 군집
US20210363492A1 (en) Epithelial cell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 stromal cells
JP2019513416A (ja) 小型運動性幹細胞を使用した組成物および方法
US9422522B2 (en) Method of producing adipocytes from fibroblast cells
US9598675B2 (en) Method for preparing mesenchymal stem cell-like cells and cardiomyocyte-like cells
KR20120006386A (ko) 1기 태반조직 유래 줄기세포 및 이를 함유하는 세포치료제
KR20190060716A (ko) 무혈청 배지 조성물
Klemmt et al. Murine amniotic fluid stem cells contribute mesenchymal but not epithelial components to reconstituted mammary ducts
KR101760239B1 (ko) 세포배양 삽입체를 이용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세포의 분리방법
KR102035411B1 (ko) BMP2 및 TGFβ3 발현 미니서클벡터를 이용하여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
KR101900199B1 (ko) 기능성이 향상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간엽성 전구세포의 제조방법
Chang et al. Primary adipose-derived stem cells enriched by growth factor treatment improves cell adaptability toward cardiovascular differentiation in a rodent model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O2018101723A1 (ko) 기능성이 향상된 신규 간엽성 전구세포,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세포치료제 조성물 및 간엽성 전구세포의 제조방법
KR20130085308A (ko)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혈관주위 전구세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 조성물
KR20090008652A (ko) 옥트(Oct)-4 발현능을 가지는 피부 유래 다분화능 성체줄기세포 및 그의 제조방법
Shi et al. Mesenchymal Stem Cells for Cell Therapy and Tissue Regeneration in Urology
De Coppi et al. Stem Cells Derived from Amniotic Fluid and Placen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