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759B1 - Front suspension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ront suspension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2759B1 KR102042759B1 KR1020190081176A KR20190081176A KR102042759B1 KR 102042759 B1 KR102042759 B1 KR 102042759B1 KR 1020190081176 A KR1020190081176 A KR 1020190081176A KR 20190081176 A KR20190081176 A KR 20190081176A KR 102042759 B1 KR102042759 B1 KR 102042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wheel
- front wheel
- steering
- 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05—Steering pivot axis arranged within the wheel, e.g. for a hub center steering 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 B62K2201/04—Helic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동 킥보드나 스쿠터와 같이 전륜과 후륜을 구비하고, 모터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된 전동 차량에 있어, 전륜이 좌우로 선회하여 조향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전후방에 각각 배치된 전륜(110) 및 후륜(120)과 연결되고 상부에 배치된 핸들(130)과 연결되며 상기 전륜(110)과 후륜(120)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힌지 메인샤프트(140)가 설치된 메인플레이트(100); 전단에 상기 전륜(110)과 연결된 메인브라켓(210)이 구비되고 후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연결된 완충부재(220)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브라켓(210)과 완충부재(22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14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힌지 메인샤프트(140)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1포크파이프(200); 상기 핸들(130)과 전륜(110)을 상호 연결하여 핸들(130)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전륜이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하는 조향수단(300); 을 포함하여, 전륜을 통해 상기 제1포크파이프(200)로 전해지는 충격이 상기 완충부재(220)에 의해 감소되게 한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More specifically, in an electric vehicle equipped with front and rear wheels such as an electric kickboard or a scooter, and driven by a motor, the front wheel can be turned left and right to steer. At the same time for the purpose of absorbing shock,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110 and the rear wheel 120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handle 130 disposed in the upper and the front wheel 110 and the rear wheel 120 Main plate 100 is installed between the hinge main shaft 1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main bracket 210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110 is provided at a front end, and a rea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buffer member 220 connected to the main plate 100, and any one between the main bracket 210 and the buffer member 220 is provided. A first fork pipe 200 having a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inge main shaft 140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main shaft 140; Steering means (300) connecting the handle (130) and the front wheel (110) to allow the front wheel to tur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of the handle (130); Including, the front wheel suspension of the vehicle to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first fork pipe 200 through the front wheel is reduced by the buffer member 220.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동 킥보드나 스쿠터와 같은 전동 차량에 적용되어 전륜을 통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동시에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that is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such as an electric kickboard or a scooter to absorb a shock applied through the front wheel and to allow steering.
일반적으로 킥보드나 자전거, 스쿠터 등은 핸들을 이용하여 주행을 조작하는 이동 수단으로서, 최근에는 인체의 힘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이동 수단에서 벗어나 모터와 같은 동력장치를 장착한 전동 킥보드나 전동 자전거 또는 구조를 간소화시킨 스쿠터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 수단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힘을 들이지 않고 장거리 이동을 할 수 있는 편리성으로 인해 전동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인구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In general, kickboards, bicycles, scooters, etc. are a means of manipulating driving by using a steering wheel, and in recent years, electric kickboards or electric bicycles or structures equipped with a power device such as a motor away from a means of traveling by using the power of a human body. Various types of vehicles, such as scooters, have been developed and marketed, and the population using electric vehicles is increasing due to the convenience of long-distance travel without effort.
전동 이동 수단의 일 예로서 전동 킥보드는 구조의 단순화 및 경량화로 인해 장애물이나 요철에 의한 충격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장시간 주행이 어렵고 주행 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As an example of the electric movement means, the electric kickboar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travel for a long time and the driving stability is not excellent because the shock due to obstacles or unevenness is transmitted to the user due to the simplific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structure.
이에, 주행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현가장치를 장착한 전동 킥보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현가장치는 스프링이나 쇼크업소버 등의 완충장치를 단일 채용한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고, 급격한 지형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 electric kickboard equipped with a suspension device has been attempted in order to improve driving stability, but such suspension devices have a limitation in absorbing shock because most of them employ a single shock absorber such as a spring or a shock absor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dequately respond to rapid terrain changes.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자체의 서스펜션을 비롯하여 전륜 자체에 서스펜션을 부가함으로써 지형 변화에 따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또한 링크 구조를 이용한 조향수단을 채용하여 전륜을 안정적으로 선회할 수 있게 하여 회전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by adding a suspension to the front wheel itself, including the suspension of the vehicle itself,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of the terrain changes, and also employ a steering means using a link struct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ont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that can stably rotate the front wheel to improve the rotational safe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는, 전후방에 각각 배치된 전륜 및 후륜과 연결되고 상부에 배치된 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힌지 메인샤프트가 설치된 메인플레이트;The front wheel suspens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is connected to the handle disposed at the top and the main shaft hi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Installed main plate;
전단에 상기 전륜과 연결된 메인브라켓이 구비되고 후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연결된 완충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브라켓과 완충부재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힌지 메인샤프트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1포크파이프;The front bracket is provided with a main bracket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buffer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plate and any portion between the main bracket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inge main shaft to shaft the hinge main shaft A first fork pipe provided to be rotatable;
상기 핸들과 전륜을 상호 연결하여 핸들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전륜이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하는 조향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제1포크파이프로 전해지는 충격이 상기 완충부재에 의해 감소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ering means for allowing the front wheel to tur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handle by inter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front wheel; Including,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first fork pipe is reduced by the buffer member.
이때 상기 완충부재 전단은 상기 제1포크파이프의 후단과 제1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후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제2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buffer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and the first hinge of the first fork pipe, the rear end of the buffer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plate and the second hing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륜의 림 내측에 환형의 휠프레임이 림의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상기 휠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롤러 외면이 상기 림 내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휠프레임에 고정된 휠샤프트가 상기 메인브라켓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단과 휠샤프트의 상단 및 상기 메인브라켓의 하단과 휠 샤프트의 하단 사이에 각각 코일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휠샤프트가 상기 메인브라켓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탄성력으로 복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annular wheel fram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to the center of the rim of the front wheel,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installed on the wheel frame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m, respectively. The wheel shaft fixed to the wheel frame penetrates the main bracket vertically, and a coil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main bracket, an upper end of the wheel shaft, a lower end of the main bracket, and a lower end of the wheel shaf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racket and at the same time recoverable with an elastic force.
여기서 상기 휠샤프트는 상기 메인브라켓을 관통한 상태에서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휠샤프트에 연결되어 전륜이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wheel shaft may be rotatably provided while penetrating the main bracket, and the steering means may be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so that the front wheel may be pivoted left and right.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힌지 메인샤프트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2포크파이프와, 상기 제2포크파이프의 중공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링크샤프트와, 일측 단부가 상기 링크샤프트의 후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조향샤프트에 연결된 제1스티어링샤프트와, 일측 단부가 상기 링크샤프트의 전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휠샤프트에 연결된 제2스티어링샤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과 연결된 조향샤프트의 좌우 선회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휠샤프트가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ering means may include: a second fork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main shaft so as to pivot about the hinge main shaft, and a link shaft that slid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fork pi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irst steering shaf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ink shaf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teering shaft,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link shaf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Including a steering shaft, the wheel shaft can be turned left and right in conjunction with the left and right turn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shaft connected to the handle.
여기서 상기 조향샤프트의 상단부가 핸들샤프트의 하단부와 조인트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조향샤프트가 조인트핀을 축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조향샤프트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제1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티어링샤프트의 일부가 상기 제1슬롯을 관통하여 제1슬롯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Here,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haft via a joint pin so that the steering shaft can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joint pin, and a first slot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teering shaft. A portion of the first steering shaft may penetrate the first slot and move vertically in the first slot.
또한, 상기 메인브라켓의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구비되어 상기 휠샤프트의 중앙부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휠샤프트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제2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티어링샤프트의 일부가 상기 절개홈을 통해 상기 제2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휠샤프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main bracket is provided with an incision groove cu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expose the center portion of the wheel shaft and a second slo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wheel shaft is formed and the second steering shaft of the A portion of the wheel shaft may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slot through the cutting groove.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과 차량 본체의 메인플레이트 사이에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전륜 자체에 서스펜션을 장착함으로써 전륜을 통해 차량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고 장시간 이동하거나 고속 주행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hock absorb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main plate of the vehicle body, and by mounting a suspension on the front wheel itself,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ront wheel can be minimized, so that stable driving can be performed for a long time. Safety can be ensured when traveling or driving at high speeds.
또한, 전륜을 핸들 하부가 아닌, 전방에 배치하고, 핸들과 전륜을 링크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급격한 방향 전환시 전복 등의 우려 없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wheel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andle, not the lower portion, and by 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front wheel in a link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bility without fear of overturning when sudden change of dir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를 다른 관점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요부(서스펜션)를 확대한 부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요부(전륜)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요부(조향수단)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요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ckboard applied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rom another perspective;
Figure 3 is an enlarged partial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suspension)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front wheel)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teering means)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7 is a state of use of the kickboard applied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양태에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only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nventiona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of the illustrated forms.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a portion is 'connected' to another portion includes 'direct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 element, and 'comprising' to include a component is particularly contrary. If no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no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명세서 전체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와 같은 방향성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차량을 탑승한 상태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것임을 밝혀둔다.In addition, directional terms such as 'before and after',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r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o be understood based on a user in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를 다른 관점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요부(서스펜션)를 확대한 부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요부(전륜)를 확대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요부(조향수단)를 확대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n enlarged main portion (suspension)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e partial side view, Figure 4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front wheel)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teering means)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전륜의 현가장치는, 전후방에 각각 배치된 전륜(110) 및 후륜(120)과 연결된 메인플레이트(1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의 상부는 핸들(130)과 연결된 핸들샤프트(131)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에서 상기 전륜(110)과 후륜(120)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힌지 메인샤프트(140)가 설치된다.1 to 5, the suspens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메인플레이트(100)는 차량 본체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요소일 수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이 소정 거리 이격 설치되며,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140)는 한 쌍의 메인플레이트 사이를 가로질러 좌우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140)의 양쪽 단부에 베어링이 설치되어 힌지 메인샤프트(140)가 메인플레이트(100)에 완전 고정되지 않고 그 자체가 회전될 수 있다.The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140)를 기준으로 양쪽 단부에는 각각 메인플레이트(100)와 전륜(1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제1포크파이프(200) 및 제2포크파이프(310)가 연결되고, 상기 제1포크파이프(200)는 서스펜션에 관여하고, 상기 제2포크파이프(310)는 전륜(110)의 조향에 관여한다.The
서스펜션을 위한 제1포크파이프(200)의 전단에 상기 전륜(110)과 연결된 메인브라켓(210)이 구비되고 그 후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연결된 완충부재(220)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브라켓(210)과 완충부재(220) 사이의 어느 한 부분이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14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제1포크파이프(200)가 힌지 메인샤프트(140)를 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도 3 참조).A
상기 제1포크파이프(200) 회동을 위해 상기 완충부재(220) 전단은 상기 제1포크파이프(200)의 후단과 제1힌지(221)로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재(220)의 후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100)와 제2힌지(222)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ont end of the
이 경우 제1포크파이프(200)는 힌지 메인샤프트(140)를 축으로 시소와 같이 회동할 수 있고, 그 후단은 완충부재(220)를 통해 메인샤프트(10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220)에 의해 제1포크파이프(200)로 가해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완충부재(220)는 스프링(223)을 적용하거나 또는 쇼크업소버(224)를 적용할 수 있고, 또한 스프링(223)과 쇼크업소버(224)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본 발명의 차량 전륜의 현가장치는, 상기 전륜(110) 자체의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이 서스펜션은 전륜(110)의 타이어(112) 내측에 배치된 환형의 림(111) 내부에 마련된다(도 4 참조).The suspens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spension of the
이러한 서스펜션은 상기 림(111) 내측에 환형의 휠프레임(150)이 림(111)의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상기 휠프레임(150)에는 다수의 지지롤러(151)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롤러(151)는 휠프레임(150)에 대해 적어도 3개 또는 그 이상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The suspension is provided with an
다수의 지지롤러(151) 외면은 상기 림(111) 내면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림(111) 내측의 휠프레임(150)은 림(111)의 구동(회전)에 간섭받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휠샤프트(16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휠프레임(150)에 고정되고, 휠샤프트(160)는 림(111)의 내측에 마련된 메인브라켓(2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브라켓(210)의 상단과 휠샤프트(160)의 상단, 그리고 상기 메인브라켓(210)의 하단과 휠 샤프트(160)의 하단 사이에는 각각 코일스프링(17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170)은 상기 휠샤프트(16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top and bottom of the
이 경우 상기 휠샤프트(160)가 상기 메인브라켓(2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동시에 코일스프링(170)에 의해 탄성력으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륜(110) 회전시 지면의 변화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코일스프링(170)이 충격을 흡수하여 메인브라켓(210)으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본 발명의 차량 전륜의 현가장치는, 상기 핸들(130)과 전륜(110)을 상호 연결하여 핸들(130)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전륜(110)이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하는 조향수단(300)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상기 휠샤프트(160)는 상기 메인브라켓(210)에 관통된 상태에서 자전, 즉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조향수단(300)은 상기 휠샤프트(160)에 연결되어 핸들(130) 조작에 따라 전륜(110)이 좌우로 선회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uspens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means 300 and the
더 구체적으로 상기 조향수단(300)은,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14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힌지 메인샤프트(140)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2포크파이프(310)를 포함하며, 이때 제2포크파이프(310)와 제1포크파이프(200)는 각각 힌지 메인샤프트(14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메인샤프트(140)를 축으로 동시에 시소 형태로 회동 가능하다.More specifically, the steering means 300 includes a
상기 제2포크파이프(310)는 관 형태로 되어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그 내부의 중공부에 링크샤프트(320)가 관통하며, 링크샤프트(320)는 제포크파이프(310)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The
링크샤프트(320)의 후단에는 제1스티어링샤프트(340)의 일측 단부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1스티어링샤프트(340)의 타측 단부는 조향샤프트(330)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상기 조향샤프트(330)의 상단부는 핸들샤프트(131)의 하단부와 조인트핀(132)을 매개로 연결되어 조향샤프트(330)가 조인트핀(132)을 축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향샤프트(330)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제1슬롯(3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티어링샤프트(340)의 일부분이 상기 제1슬롯(331)을 관통함으로써 제1스티어링샤프트(340)는 그의 일측 단부가 힌지를 통해 링크샤프트(320) 후단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1슬롯(331)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5 참조).The upper end of the
링크샤프트(320)의 전단에는 제2스티어링샤프트(350)의 일측 단부가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제2스티어링샤프트(350)의 타측 단부는 전륜(110)의 휠샤프트(160)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상기 메인브라켓(210)의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211)이 구비되어 상기 휠샤프트(160)의 중앙부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휠샤프트(160)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제2슬롯(16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티어링샤프트(350)의 일부분이 상기 절개홈(211)을 통해 상기 제2슬롯(16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에 따라 제2스티어링샤프트(350)가 휠샤프트(160)를 좌우로 선회시시킬 수 있는 동시에 휠샤프트(160)가 제2스티어링샤프트(35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4 참조).A second cut-out
도 6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요부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현가장치가 적용된 킥보드의 사용상태도이다.6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7 is a state diagram of the kickboard to which the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100)에 설치된 힌지 메인샤프트(140)의 일측에는 서스펜션을 위한 제1포크파이프(20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전륜(110) 조향을 위한 제2포크파이프(310)가 연결되며, 제1포크파이프(200)와 제2포크파이프(310)는 힌지 메인샤프트(140)에 의해 상호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힌지 메인샤프트(140)는 도 3과 같이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축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제1포크파이프(200)와 제2포크파이프(310)는 상호 연동하여 동일한 각도로 시소 회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a
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해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핸들(130)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연동하여 제1스티어링샤프트(340)의 각도가 틀어지면서 링크샤프트(32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제2스티어링샤프트(350)의 각도가 틀어지면서 휠샤프트(160)가 우측으로 회전하며, 휠프레임(150) 및 전륜(110)이 우측으로 회전하여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rotates the
이와 같이 조향샤프트(330)가 링크 구조에 의해 휠샤프트(160)와 연결되어 좌우로 선회되는 구조이므로 핸들샤프트(131)의 전방에 전륜(110)을 배치할 수 있고, 이는 종래 핸들샤프트 하부에 직접 전륜이 구비되는 것과 차이가 있다.As such,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 전륜의 현가장치는, 전륜의 급격한 방향 전환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메인플레이트(100)에 연결된 완충부재(220) 및 전륜(100)에 배치된 코일스프링(170)에 의해 이중으로 충격을 흡수하므로 충격 흡수율이 높아서 승차감을 대폭 상승시킬 수 있고, 장치 요소의 충격을 감소시켜서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suspens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maintain the stability when changing the sharp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but also to the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 즉 전동 킥보드에 적용된 예로 설명하였으나, 전륜과 후륜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전동 차량에 적용 가능하고, 심지어 후륜이 2개로 이루어진 3륜 전동 킥보드에도 적용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나 형상 및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 가능하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given to a limited embodiment show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n example applied to an electric kickboard, it is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electric vehicles including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and even a three wheel electric kickboard having two rear wheels. As can be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shapes, and numerical values,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changing and mixing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메인플레이트 110... 전륜
111... 림 112... 타이어
120... 후륜 130... 핸들
131... 핸들샤프트 132... 조인트핀
140... 힌지 메인샤프트 150... 휠프레임
151... 지지롤러 160... 휠샤프트
161... 제2슬롯 170... 코일스프링
200... 제1포크파이프 210... 메인브라켓
211... 절개홈 220... 완충부재
221... 제1힌지 222... 제2힌지
223... 스프링 224... 쇼크업소버
300... 조향수단 310... 제2포크파이프
320... 링크샤프트 330... 조향샤프트
331... 제1슬롯 340... 제1스티어링샤프트
350... 제2스티어링샤프트100
111 ...
120 ...
131 ... handle
140 ... hinged
151 ...
161 ... slot 2 170 ... coil spring
200 ...
221 ... hinge 1 222 ... hinge 2
223 ...
300. Steering means 310 ... Second fork pipe
320 ...
331 ... Slot 1 340 ... Steering Shaft 1
350 ... 2nd Steering Shaft
Claims (7)
상기 전륜의 림 내측에 환형의 휠프레임이 림의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상기 휠프레임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롤러 외면이 상기 림 내면과 접촉되며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휠프레임에 고정된 휠샤프트가 상기 메인브라켓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단과 휠샤프트의 상단 및 상기 메인브라켓의 하단과 휠 샤프트의 하단 사이에 각각 코일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휠샤프트가 상기 메인브라켓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동시에 탄성력으로 복귀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A main plate connected to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disposed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a handle disposed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hinge main shaft installed between the front wheels and the rear wheel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ront bracket is provided with a main bracket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buffer member connected to the main plate and any portion between the main bracket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inge main shaft to shaft the hinge main shaft A first fork pipe provided to be rotatable; Steering means for allowing the front wheel to tur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f the handle by interconnecting the handle and the front wheel; Including,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first fork pipe can be reduced by the buffer member,
An annular wheel fram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to the center of the rim of the front wheel, and a plurality of support roller outer surfaces installed on the wheel frame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im, and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heel are fixed to the wheel frame, respectively. The shaft penetrates the main bracke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 coil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main bracket, an upper end of the wheel shaft, and a lower end of the main bracket, and a lower end of the wheel shaft, so that the wheel shaft is connected to the main bracket. A front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which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recoverable with an elastic force.
상기 완충부재 전단은 상기 제1포크파이프의 후단과 제1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후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와 제2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end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fork pipe and the first hinge, the rear end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main plate and the second hinge.
상기 휠샤프트는 상기 메인브라켓을 관통한 상태에서 자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휠샤프트에 연결되어 전륜이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 shaf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state passing through the main bracket, the steer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the front wheel suspension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wheel is pivotably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조향수단은, 상기 힌지 메인샤프트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힌지 메인샤프트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제2포크파이프와, 상기 제2포크파이프의 중공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링크샤프트와, 일측 단부가 상기 링크샤프트의 후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조향샤프트에 연결된 제1스티어링샤프트와, 일측 단부가 상기 링크샤프트의 전단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휠샤프트에 연결된 제2스티어링샤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핸들과 연결된 조향샤프트의 좌우 선회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휠샤프트가 좌우로 선회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ring means may include: a second fork pip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main shaft so as to pivot about the hinge main shaft, and a link shaft that slid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fork pi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first steering shaft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link shaf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steering shaf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link shaf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Including a steering shaft, the front wheel suspension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shaft can be turned left and right in conjunction with the left and right turning operation of the steering shaf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상기 조향샤프트의 상단부가 핸들샤프트의 하단부와 조인트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조향샤프트가 조인트핀을 축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조향샤프트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제1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1스티어링샤프트의 일부가 상기 제1슬롯을 관통하여 제1스티어링샤프트가 제1슬롯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haft via a joint pin so that the steering shaft can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joint pin, and a first slot cut up and dow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shaft is formed. And a portion of the first steering shaft penetrates the first slot so that the first steering shaft can move up and down within the first slot.
상기 메인브라켓의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구비되어 상기 휠샤프트의 중앙부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휠샤프트의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된 제2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티어링샤프트의 일부가 상기 절개홈을 통해 상기 제2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휠샤프트가 제2스티어링샤프트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 incision groove cut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in bracket to expose the central portion of the wheel shaft, and a second slot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heel shaft, and a part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is The front wheel suspension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the cut through the second slot the wheel shaft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second steering shaf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176A KR102042759B1 (en) | 2019-07-05 | 2019-07-05 | Front suspension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1176A KR102042759B1 (en) | 2019-07-05 | 2019-07-05 | Front suspension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2759B1 true KR102042759B1 (en) | 2019-11-08 |
Family
ID=6854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1176A Active KR102042759B1 (en) | 2019-07-05 | 2019-07-05 | Front suspension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275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68637A1 (en) * | 2020-02-21 | 2021-08-25 | Koninklijke Gazelle N.V. | Bike |
CN115180058A (en) * | 2021-04-02 | 2022-10-14 | 佛山市新玛拓机车部件实业有限公司 | Turning adjusting device for motorcycle and motorcycle |
KR102511768B1 (en) * | 2022-10-18 | 2023-03-21 |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 Tilting apparatus for three-wheel vehic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33167B2 (en) * | 1984-05-04 | 1989-07-12 | Nippon Koden Kogyo Kk | |
JPH0725347B2 (en) * | 1988-02-10 | 1995-03-22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Front and rear wheel steering system for motorcycles |
JP4131002B2 (en) * | 1997-05-16 | 2008-08-13 | コンセプション エ デヴロップマン ミシュラン,ソシエテ アノニム | Assembly with wheel and suspension integrated with wheel |
JP6433167B2 (en) * | 2014-06-13 | 2018-12-05 | 久義 兼賀 | Tricycle |
KR101929958B1 (en) | 2018-01-04 | 2018-12-18 | (주)머케인 | A suspension for battery driven kick board |
-
2019
- 2019-07-05 KR KR1020190081176A patent/KR1020427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33167B2 (en) * | 1984-05-04 | 1989-07-12 | Nippon Koden Kogyo Kk | |
JPH0725347B2 (en) * | 1988-02-10 | 1995-03-22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Front and rear wheel steering system for motorcycles |
JP4131002B2 (en) * | 1997-05-16 | 2008-08-13 | コンセプション エ デヴロップマン ミシュラン,ソシエテ アノニム | Assembly with wheel and suspension integrated with wheel |
JP6433167B2 (en) * | 2014-06-13 | 2018-12-05 | 久義 兼賀 | Tricycle |
KR101929958B1 (en) | 2018-01-04 | 2018-12-18 | (주)머케인 | A suspension for battery driven kick board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68637A1 (en) * | 2020-02-21 | 2021-08-25 | Koninklijke Gazelle N.V. | Bike |
NL2024962B1 (en) * | 2020-02-21 | 2021-10-13 | Koninklijke Gazelle N V | Bike |
CN115180058A (en) * | 2021-04-02 | 2022-10-14 | 佛山市新玛拓机车部件实业有限公司 | Turning adjusting device for motorcycle and motorcycle |
CN115180058B (en) * | 2021-04-02 | 2023-11-10 | 佛山市新玛拓机车部件实业有限公司 | Turning adjusting device for motorcycle and motorcycle |
KR102511768B1 (en) * | 2022-10-18 | 2023-03-21 |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 Tilting apparatus for three-wheel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73806B2 (en) | Three-wheel rolling vehicle with front two-wheel steering | |
KR102042759B1 (en) | Front suspension for vehicle | |
KR101594767B1 (en) | 3 threewheeled rearsteering scooter | |
JP2012056503A (en) | Vehicle configured to roll vehicle body | |
US20060181148A1 (en) | Traction assembly for a vehicle | |
JP2016147540A (en) | Oscillation type vehicle | |
JP2009544516A (en) | Motorcycle vehicle | |
CN104271434A (en) |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 |
JP2014061870A (en) | Vehicle | |
USRE44854E1 (en) | Vehicle with improved integrated steering and suspension system | |
US6059304A (en) | Suspension device with crank type axle | |
JP2005506923A (en) | Vehicle suspension stabilization device | |
KR200486043Y1 (en) | Two-Wheeled Vehicle and Dual front wheel tilting Combined with steering device | |
JP6832692B2 (en) | Rough terrain vehicle | |
KR20170034625A (en) | Bicycle with baby carriage | |
JP2017013662A (en) | Bicycle steering device and tricycle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180077934A (en) | Electric powered driving device | |
JP2018043681A (en) | Tricycle | |
KR100320806B1 (en) | suspens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 |
JP2017154685A (en) | vehicle | |
KR20130039558A (en) | Structure of rear suspension for three-wheeled car | |
JP5890722B2 (en) | Suspension device | |
CN210011830U (en) | Front wheel suspension tilting mechanism of double-front-wheel vehicle | |
KR101403919B1 (en) | Bicycle having tilt function | |
JP2019031183A (en) | Suspension device, saddle-riding type vehicle including the same, snow vehicle and irregular ground traveling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7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