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990B1 - 치과용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990B1
KR102017990B1 KR1020180046238A KR20180046238A KR102017990B1 KR 102017990 B1 KR102017990 B1 KR 102017990B1 KR 1020180046238 A KR1020180046238 A KR 1020180046238A KR 20180046238 A KR20180046238 A KR 20180046238A KR 102017990 B1 KR102017990 B1 KR 102017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esin
filling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송재경
Original Assignee
김동환
송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송재경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180046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가공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베이스부;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부; 및 편평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면이 상기 수용홈을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 놓여, 상기 공간을 제한하는 캡부를 포함하며, 레진의 충전이 수행된 후 상기 충전부의 상측을 상기 캡부로 제한함으로써, 제조하고자 하는 높이에 맞추어 균일한 높이의 밀링 블록을 조할 수 있는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지그 장치{JIG DEVICE FOR PRODUCING DENTAL WORKPIECE}
본 발명은 치과용 가공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레진 소재의 구강내 장치 또는 치과용 보철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밀링용 블록을 고정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이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다. 비만으로 인하여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도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또한 인두 주변 근육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인두의 기도 확장근의 힘이 횡격막에 의한 흉곽 내 음압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도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
구강내 장치를 통해 혀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별도의 수술을 요구하지 않고, 자는 동안 기도를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므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강내 장치는 입에 물고 잠을 자게 하는 것으로 치아 사이에 끼운 기구를 이용하여 아래 턱관절을 당겨 코골이를 방지하는 기구이다. 이 기구를 이용하여 턱관절을 당김에 따라 연구개 및 이와 연결된 목젖, 혀뿌리, 편도선의 사이를 더욱 멀어지게 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기도를 훨씬 넓어지게 하고, 넓어진 기도에 의해 수면 중 호흡을 위하여 흡입된 공기가 목젖, 혀뿌리, 편도선 등과 같은 부위를 회피하면서 자유롭게 통과하게 되어 공기의 통행에 의한 연구개 및 편도선 등이 진동되는 것을 사전에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강내 장치는 별도의 수술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구강내 장치는 다른 치과용 보철물과 유사하게 대개 환자별 구강 구조에 맞추어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작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치과 의사가 수작업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제작이 가능한 기공소에서 숙달된 전문 제작사인 기공사에 의해서 제작 된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 자동화 장비인 광학, 디지털화 장치, 기계적 밀링 기기 및 CAD/CAM 등이 등장하여 기공사의 수작업 영역과 장치의 제작 기간이 현저히 줄어 들었다. 이러한 컴퓨터 자동화 장비는 종래의 수작업 방법보다 빠른 속도 및 낮은 노동 요구량으로 필요한 구강내 장치 또는 보철물을 거의 정확한 형상 및 형태로 절단, 밀링 및 분쇄하여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CAD/CAM 장치는 ce.novation(Inocermic, Germany), Ceron(Degudent, Germany), Cerec 3D(Sirona, Germany), Cerec InLab(Sirona, Germany), Decim(Cad.esthetcs, Sweden), DigiDent(Girrbach, Germany), etkon(etkon, Germany), Everest(Kavo, Germany), Evolution 4D(D4D Technologies, USA), GN-1(GC international, Japan), Lava(3M ESPE, Germany), Medfacturing(Bego Medical, Germany), Pricident DCS(DCS, Switzerland), Perfactory(DeltaMed, Germany), Procera Biocare, Sweden), Pro 50 (Cynovad, Canada), Wol-Cram(Wol-Dent, Germany), Xawx(Xawex, Switzerland), ZEN-CAM(ZFN, Germany), ZirkonZahn(Steger, Italy) 등을 비롯하여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CAD/CAM 장치를 이용하는 구강내 장치 또는 보철물의 제조는 전형적으로 "밀 블랭크(mill blank)", 즉, 절단 또는 조각되는 재료의 고체 블록의 사용을 포함한다.
구강내 장치의 제조방법으로는 모델에 왁스-업을 통한 구강내 장치의 디자인 후 제진 주입식 방법으로 레진을 중합하여 만드는 방법과, 또는 모델 위에 솔트 앤드 페퍼 기술(salt and pepper technique)로 레진을 중합시켜 장치를 만드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구강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레진으로 주로 아크릴 레진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l methacrylate, PMMA)가 이용되고 있으나, 호상(paste)의 미중합체에서부터 고체상 중합체로 반응이 일어나면서 밀도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피수축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7,255,562호에는 고분자계 수지 매트릭스(polymeric resin matrix)와 필러로 이루어진 치과용 밀 블랭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치과용 밀 블랭크는 밀 블랭크 제작시 생성되는 크랙 생성이 억제되고 우수한 절단 능력(cuttability)와 경도(hardness)를 가지고 있으나 큰 사이즈의 블랭크 제작시 여전히 크랙발생(내부균열) 되고 있다. 이는 광경화에 의한 중합수축율에 대한 자체응력을 조절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보통 중합수축의 방향은 자가중합형은 무게 중심방향으로, 광중합형은 광원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중합과정 전 모노머간의 약한 분자간 결합(반데르발스 상호작용)이 광중합을 통해 강력한 공유결합으로 바뀌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량의 수축이 생기게 된다. 수축에 의한 힘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블랭크 변연이나 재료 자체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자가중합형의 경우 컴포지트 레진의 혼합과정에 함입되는 기포에 의한 수축응력 완충효과와 컴포지트 레진의 경화과정(gel point)이 광중합처럼 급격하지 않아서 응력을 분산하면서 경화되기 때문인데, 하지만 전체적 물성은 광중합에 비해 월등히 떨어진다.
통상적으로 구강내 장치의 제조를 위해 98mm 직경을 가진 원형의 틀의 한쪽을 비닐 등의 소재로 막고 그 위에 호상(paste)의 레진을 부어 굳혀 밀링 블록을 제조하고 있는데, 이런 종래기술의 경우 전술한 고분자물질의 중합으로 인한 부피수축의 문제로 바닥의 소재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발생시켜 블록이 제대로 제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관통형의 외형 틀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의 경우 비닐을 이용하여 내부에 충전한 레진을 지지하며 중합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중합 도중 발생하는 부피의 변화로 인하여 비닐이 손상되거나 부족한 지지력으로 인해 레진의 변화 형태에 따라 비닐이 말려들어가거나 휘어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하부에 빈 공간을 갖는 불량인 밀링 블록으로 제조되어 재료 및 시간의 낭비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는, 수축으로 인해 제작자가 제작하고자 했던 거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제조됨으로써, 이러한 오차로 밀링장치가 밀링을 시작해야 하는 높이를 맞추지 못하게 되어 고가인 드릴링 장치의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른 문제점으로는 사용하고 남은 밀링 블록의 재활용이 되지 않으므로 블록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2020110006263 U KR 1020100118543 A US 7255562 B2
개시사항은 아크릴 레진의 중합 내지 경화 또는 경화로 발생하는 부피 수축으로 인한 밀링 블록의 높이변화를 방지하여, 높이가 균일한 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치과용 가공물의 제작을 위한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 일부가 함입된 형상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기 결정된 두께의 측벽부를 가지고,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 내로 안착될 수 있는 충전부; 및 편평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면이 상기 수용홈을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 놓여, 상기 공간을 제한하는 캡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는 상기 편평한 일측면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형의 나사산공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관통하며 이동되는 레진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결정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 일측에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고정부결합부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하고, 기 결정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결합부가 관통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관통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결합부는 스터드 볼트이고, 상기 고정부결합부를 통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부의 결합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결합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암나사 또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결정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관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기공용 레진이 충전된 상태로 파지 또는 밀링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면 일부가 함입된 형상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마련하는 제 1단계; 기 결정된 두께의 측벽부를 가지고,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부를 마련하는 제 2단계; 및 편평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면이 상기 수용홈을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 놓여, 상기 공간을 제한하는 캡부를 마련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형의 나사산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관통하여 이동되는 레진분리유도부를 더 마련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 결정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마련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면 일부가 함입된 형상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마련하는 제 1단계; 기 결정된 두께의 측벽부를 가지고,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부를 마련하는 제 2단계; 상기 충전부의 측벽부 일측을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 테두리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제 3단계; 편평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이 상기 수용홈을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 놓여, 상기 공간을 제한하는 캡부를 마련하는 제 4단계; 상기 캡부를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서 상기 충전부의 측벽부 타측과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제 5단계; 상기 충전부 내로 기공용 레진을 충전시키는 제 6단계; 충전된 레진을 중합 내지 경화시키는 제 7단계; 및 중합 내지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캡부를 분리시키는 제 8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밀링 블록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단계 내지 제 5단계 사이에, 기 결정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베이스부 위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하는 치과용 장치 제작을 위한 지그 장치는 레진의 충전이 수행된 후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편평한 면의 형상으로 가압함으로써, 기공용 레진의 중합 내지 경화시 발생하는 부피 수축으로 인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밀링 블록의 높이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높이에 맞추어진 균일한 높이의 밀링 블록을 높은 정확도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공공정에서의 재료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링 기기에서 인식되는 표준화된 형상의 밀링 블록을 불량발생을 저감시키면서 일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지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지그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지그 장치에서 베이스부 및 고정부결합부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지그 장치에서 캡부가 중합 내지 경화가 완료된 레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치과용 지그 장치를 이용하는 치과용 밀링 블록 제조 공정의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과용 지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치과용'은 치과용 가공물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치과용 가공물로는, 예를 들면 구강내 장치 또는 치과용 보철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지그 장치는 도 1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은 도 2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는 베이스부(110); 기공용 레진이 충전되는 충전부(130); 및 편평한 일 측면이 형성된 캡부(1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후술할 충전부(1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형상에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예를 들면,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사각형 형태의 상면 및 바닥면을 포함하는 판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스부(110)에는 상면의 일부가 함입된 형상의 수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 중앙에 상기 수용홈(112)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용홈(112)은 상기 충전부(130)가 위치하여 안착하게 되는 곳으로,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 일측이 상기 수용홈(11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용홈(112)은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 일측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일측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부(13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홈(112)은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 일측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의 일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12)의 바닥면의 테두리부에는 실링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3)는 상기 충전부(130)가 바닥면 없이 측벽부로만 형성된 것일 경우에,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 및 상기 수용홈(112)이 접하는 부분을 실링하기 위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부(130) 내로 충전되는 호상(paste) 레진의 누설(leaking)을 방지하거나 레진의 중합 내지 경화로 발생하는 부피변화로 인하여 상기 수용홈(112)의 바닥면과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고 공기가 유입되어 레진 밀링 블록의 바닥면이 편평하지 못한 형상으로 제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3)는 상기 수용홈(112)의 바닥면의 테두리부 및 상기 수용홈(112)의 내부 측면부의 적어도 일측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용홈(112)이 원의 형상인 경우, 상기 실링부(113)는 상기 수용홈(112)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고무링이 상기 수용홈(112)의 외주연에 맞물려 끼워지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지그 장치(100)가 상기 고정부(120)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 일부에는 후술할 고정부(12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고정부결합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의 형상은 기둥의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원기둥 또는 각형 기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상기 수용홈(112)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110)를 관통하는 분리관통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결합부(111)는 상기 분리관통공(114)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상기 분리관통공(114)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 및 바닥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며 내부에 나사산을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결합부(111)는 상기 분리관통공(114)에 대응하는 직경 및 나사산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관통공(114) 및 상기 고정부결합부(111)는 나사산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고정부결합부(111)는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만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결합부(111)는 예를 들면, 스터드 볼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터드 볼트의 헤드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십자 드라이버 또는 다각형의 렌치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결합부(111)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12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고정부결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고정부결합부(111)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에서 상기 수용홈(11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결합부(111)는 상기 베이스부(110) 및 상기 고정부(120) 사이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고 상기 고정부(120)의 이동 또는 움직임을 보다 제한하기 위한 측면에서, 추가적인 별개의 고정수단(150)과 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에 회전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에 결합되기 위하여 내측으로 그에 대응되는 직경 및 나사산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의 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 또는 너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10)는 충전된 레진의 중합 내지 경화 또는 경화가 종료된 후 제조된 밀링블록 또는 상기 고정부(120)를 상기 베이스부(1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리관통공(114)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분리관통공(114)의 일부는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와 결합되되 다른 일부는 미결합된 상태에서 레진의 충전 및 중합이 수행된 후, 먼저 상기 일부의 분리관통공(114) 및 고정부결합부(111)의 결합을 해제하고, 다음으로 상기 다른 일부의 분리관통공(114) 하부측에서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 및 하면 사이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볼트가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부(120)를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고정부(120)가 상기 베이스부(1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에 별개의 고정수단(150)이 체결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먼저 해제한 후 상기 분리관통공(114)을 이용한 결합 또는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분리관통공(114)은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와 결합되는 상기 일부 분리관통공(114)은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부결합부(111)와 결합되지 않는 상기 다른 일부의 분리관통공(114)은 상기 고정부(120)를 분리하기 위하여 하부측에서 결합되는 볼트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10)로부터 상기 고정부(120)가 분리된 다음, 상기 충전부(130)가 상기 베이스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후술할 캡부(140)의 이동을 보다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기 결정된 높이를 가지고, 충전공(121)을 포함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기 결정된 높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제조하고자 하는 밀링 블록의 높이에 맞춘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의 높이 및 그 상측에 놓이는 상기 캡부(140)의 높이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고정부(12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적층개수를 달리함으로써 a, 2a, 3a 와 같은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되거나, a 또는 b 단위의 높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고정부(120)가 형성되되, a, a+b, 2a, 2a+b와 같은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120)의 상면 및 하면의 형상은 내부에 상기 캡부(140)의 후술할 평탄면(편평한 일측면)이 안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공(121)은 그 내부로 상기 캡부(140)의 상기 평탄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전공(121)은 그 내부로 상기 캡부(140)의 평탄면이 삽입되고, 상기 캡부(140)의 평탄면이 형성되는 일측부 일부가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공(121)은 상기 캡부(140)의 평탄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공(121)은 상기 베이스부(110)로부터 적층되며 상기 캡부(140)의 일측부가 삽입되도록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공(121) 내부로는 상기 캡부(140)의 일측부 및 상기 충전부(130)가 놓이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120)에 의하여 상기 캡부(140) 외에도 상기 충전부(130) 또한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10)와 결합하여 그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 결합관통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관통공(122)은 상기 고정부결합부(111)가 관통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부결합부(111)가 그 내부를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결합부(111)보다 크거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30)는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관통형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외형 틀로서, 기 결정된 두께 및 높이를 가지는 측벽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기 결정된 두께 및 높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120)와는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 결정된 두께는 사용자가 제조하고자 하는 밀링 블록의 제조를 위해 충전되는 기공용 레진의 부피 및 무게를 고려하여 중합 내지 경화로 인한 부피수축으로 인해 상기 측벽부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범위 내에서 결정되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기 결정된 높이는 제조되는 밀링 블록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결정되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밀링 블록'은 절삭 밀링으로 치과용 가공물을 성형할 수 있는 고형의 재료로, 상기 측벽부 내에서 중합 내지 경화된 후 그로부터 분리된 고체상의 기공용 레진 또는 상기 측벽부 내에서 중합 내지 경화된 고체상의 기공용 레진과 상기 측벽부의 결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충전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빈 공간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부(110)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홈(111)의 바닥면의 형상을 윗면 및 아랫면으로 갖는 기둥 형태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충전부(130)는 라운드 곡면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홈(111)의 바닥면은 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30)는 기공용 레진이 충전된 상태로 파지 또는 밀링이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내부의 공간에서 레진의 중합 내지 경화가 종료되면, 상기 베이스부(110)로부터 분리되어 파지장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후 드릴링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30)는 파지장치와의 결합을 위한 파지부를 상기 측벽부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공용 레진은 아크릴 레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l methacrylate, PMM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캡부(140)는 일측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충전부(14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공(141)을 포함하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공용 레진을 용기 내로 충전하여 중합 내지 경화시키게 되면, 부피수축이 발생하면서 충진용기내에 충전된 상면에서 용기에 가까운 쪽은 용기와의 접착력으로 인해 처음 충전한 높이와 유사한 높이로 형성되나 중앙부 쪽은 부피의 손실로 인해 충전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고상화된 레진의 상면에서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치과용 지그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캡부(140)의 상기 편평한 일측면으로 상기 충전부(14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을 제한함으로써 균일한 높이로 고체상의 레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상화'는 미중합 상태의 레진을 중합 내지 경화시켜 고체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캡부(140)는 상기 편평한 일측면이 하부를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140)의 상측에 놓여, 상기 충전부(140)의 측벽부 상측에 인접하며 상기 충전부(14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부를 제한하게 되며, 상기 관통공(141) 내부까지 채우도록 레진을 충진시킴으로써, 중합 내지 경화로 인하여 충전된 레진의 부피수축이 발생하여도 그로 인한 부피 손실분은 상기 관통공(141) 내부에 채워지는 레진으로 한정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충전부(140) 내에서 최종 고체상으로 형성되는 레진은 상기 충전부(140)의 높이에 맞추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중합 내지 경화된 레진은, 상기 캡부(140)의 상기 편평한 일측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일부에서는 상기 충전부(14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고, 상기 관통공(14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다른 일부에서는 상기 충전부(14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충전부(140)의 높이보다는 높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41)은 상기 캡부(14)의 편평한 일측면 및 다른 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면 그 형태 또는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 때, 상기 캡부(140)는 상기 충전부(130) 상측에 놓여진 후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편평한 일측면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턱은 상기 충전부(130)의 외측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부(130)가 상기 측벽부에 의하여 원형으로 상면이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상기 캡부(140)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 단턱은 상기 충전부(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충전부(130)의 일측이 상기 단턱에 의하여 둘러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둘러지게'는 단턱이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 일부를 외측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는 형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부(130)의 상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부(130)의 일측은 상기 단턱에 의하여 상기 충전부(130)의 중심축에서 반경방향으로 인접하여 둘러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캡부(140)가 상기 충전부(130) 상측에 놓이게 되면, 상기 충전부(130)의 일측이 상기 단턱에 인접하여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기 캡부(140)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140)는 레진의 중합 내지 경화가 완료된 후 형성되는 밀링 블록으로부터 상기 캡부(140)을 떨어뜨리기 위한 구성으로, 나사산공(142) 및 상기 나사산공(142)에 체결되는 레진분리유도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산공(142)은 상기 관통공(141)과 구별되는 관통형 구성으로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레진분리유도부(143)는 상기 나사산공(142) 내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직경 및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진분리유도부(143)는 헤드부 및 나사산부를 포함하는 수나사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헤드부와 반대측 방향의 첨단부가 뭉툭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일 첨단부 및 그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첨단부가 동일하게 편평한 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헤드부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나사산부보다 크거나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공(142) 및 상기 레진분리유도부(143)를 이용하여 상기 캡부(140) 및 고체상의 레진을 분리하는 일례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캡부(140)가 상기 충전부(130) 상부에 놓일 때는 상기 레진분리유도부(143)의 상기 첨단부 말단의 편평한 면 형상을 상기 캡부(140)의 편평한 바닥면과 일치시키고, 상기 충전부(130) 내부로 충전된 레진의 중합 내지 경화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헤드부에 결합가능한 수단을 이용해 상기 레진분리유도부(143)를 하부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레진분리유도부(143)의 면 형상의 말단부에 의해 고체상의 레진이 밀려나게 되어, 상기 캡부(140)의 편평한 일측면과 맞닿는 고체상의 레진면이 떨어져 나가, 상기 캡부(140) 및 상기 고체상의 레진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에 결합가능한 수단은 상기 헤드부의 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드라이버 또는 렌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분리가 일어난 후에, 상기 관통공(141) 하부에서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이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체상의 레진의 제거가 수행됨으로써, 상기 충전부(130)의 높이에 대응되는 일정하고 균일한 높이를 가지는 치과용 밀링 블록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그 장치(100)는 각 부별로 제조된 후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그 장치(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하드(hard)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경화성 수지 또는 금속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충전부(130)는 기공용 레진의 중합 내지 경화로 인한 부피변화에 연동되지 않고 그 형상을 유지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13)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soft) 재질의 중합체 또는 고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치과용 지그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밀링 블록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도 5에 도시된 내용에 기반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조방법은 상면 일부가 함입된 형상의 수용홈(112)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10)를 마련하는 제 1단계(S1); 기 결정된 두께의 측벽부를 가지고,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부(130)를 마련하는 제 2단계(S2);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 일측을 상기 수용홈(112)의 바닥면 테두리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제 3단계(S3); 편평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이 상기 수용홈(112)을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130)의 상측에 놓여, 상기 공간을 제한하는 캡부(140)를 마련하는 제 4단계(S4); 상기 캡부(140)를 상기 충전부(130)의 상측에서 상기 충전부(130)의 측벽부 타측과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제 5단계(S5); 상기 충전부(130) 내로 기공용 레진을 충전시키는 제 6단계(S6); 충전된 레진을 중합 내지 경화시키는 제 7단계(S7); 및 중합 내지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캡부(140)를 분리시키는 제 8단계(S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장치(100)가 상기 고정부(120)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3단계(S3) 내지 제 5단계(S5)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20)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부(120)를 상기 베이스부(110) 위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는 기 결정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베이스부
111 : 고정부결합부
112 : 수용홈
113 : 실링부
114 : 분리관통공
120 : 고정부
121 : 충전공
122 : 결합관통공
130 : 충전부
140 : 캡부
141 : 관통공
142 : 나사산공
143 : 레진분리유도부
150 : 암나사 또는 너트

Claims (15)

  1. 상면 일부가 함입된 형상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
    기 결정된 두께의 측벽부를 가지고,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홈 내로 안착될 수 있는 충전부; 및
    편평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면이 상기 수용홈을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 놓여, 상기 공간을 제한하는 캡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위로 적층되며, 기 결정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충전된 레진의 부피수축으로 인한 부피 손실분을 한정되게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부는 기공용 레진이 충전된 상태로 파지 또는 밀링이 수행될 수 있는, 치과용 지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편평한 일측면의 테두리부의 적어도 일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치과용 지그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형의 나사산공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관통하며 이동되는 레진분리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면 일측에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의 고정부결합부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결합부가 관통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관통공을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결합부는 스터드 볼트이고,
    상기 고정부결합부를 통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부의 결합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결합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암나사 또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
  10. 삭제
  11. 상면 일부가 함입된 형상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마련하는 제 1단계;
    기 결정된 두께의 측벽부를 가지고,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부를 마련하는 제 2단계;
    편평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일측면이 상기 수용홈을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 놓여, 상기 공간을 제한하는 캡부를 마련하는 제 3단계;
    상기 캡부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형의 나사산공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캡부를 관통하여 이동되는 레진분리유도부를 더 마련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 위로 적층되며, 기 결정된 두께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고정부를 마련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지그 장치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상면 일부가 함입된 형상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마련하는 제 1단계;
    기 결정된 두께의 측벽부를 가지고, 기공용 레진이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충전부를 마련하는 제 2단계;
    상기 충전부의 측벽부 일측을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 테두리부와 접촉하도록 위치시키는 제 3단계;
    편평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이 상기 수용홈을 향하도록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 놓여, 상기 공간을 제한하는 캡부를 마련하는 제 4단계;
    상기 캡부를 상기 충전부의 상측에서 상기 충전부의 측벽부 타측과 접하도록 위치시키는 제 5단계;
    상기 충전부 내로 기공용 레진을 충전시키되, 상기 캡부의 상기 관통공 내부까지 채우도록 충진시키는 제 6단계;
    충전된 레진을 중합 내지 경화시키는 제 7단계; 및
    중합 내지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상기 캡부를 분리시키는 제 8단계를 포함하는, 치과용 밀링 블록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및 제 5단계 사이에,
    기 결정된 높이를 가지고, 상기 캡부의 편평한 일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충전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베이스부 위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밀링 블록의 제조 방법.
KR1020180046238A 2018-04-20 2018-04-20 치과용 지그 장치 KR102017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238A KR102017990B1 (ko) 2018-04-20 2018-04-20 치과용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238A KR102017990B1 (ko) 2018-04-20 2018-04-20 치과용 지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990B1 true KR102017990B1 (ko) 2019-09-03

Family

ID=6795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238A KR102017990B1 (ko) 2018-04-20 2018-04-20 치과용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9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316A (ja) * 1996-01-31 1997-08-12 G C:Kk 義歯床用レジン重合用フラスコ
US7255562B2 (en) 1999-01-08 2007-08-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ntal mill blanks
KR20100118543A (ko) 2009-04-28 2010-11-05 정연오 치과 보철물 밀링가공을 위해 다수의 덴탈블록을 고정시키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밀링방법
KR20110006263U (ko) 2009-12-15 2011-06-22 정수창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US20130249132A1 (en) * 2012-02-08 2013-09-26 Global Dental Science, LLC Process and Systems for Molding Thermosetting Plastics
KR101652673B1 (ko) * 2016-07-14 2016-08-31 김홍대 임시치아 제조형틀 및 그 형틀에 의해서 제조된 임시치아 시술방법
JP2017035458A (ja) * 2015-08-07 2017-02-16 大成歯科工業株式会社 加工用ディスク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316A (ja) * 1996-01-31 1997-08-12 G C:Kk 義歯床用レジン重合用フラスコ
US7255562B2 (en) 1999-01-08 2007-08-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ntal mill blanks
KR20100118543A (ko) 2009-04-28 2010-11-05 정연오 치과 보철물 밀링가공을 위해 다수의 덴탈블록을 고정시키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밀링방법
KR20110006263U (ko) 2009-12-15 2011-06-22 정수창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US20130249132A1 (en) * 2012-02-08 2013-09-26 Global Dental Science, LLC Process and Systems for Molding Thermosetting Plastics
JP2017035458A (ja) * 2015-08-07 2017-02-16 大成歯科工業株式会社 加工用ディスク
KR101652673B1 (ko) * 2016-07-14 2016-08-31 김홍대 임시치아 제조형틀 및 그 형틀에 의해서 제조된 임시치아 시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02042B (zh) 用于从模具移取壳体的装置和方法
JP5745198B2 (ja) 歯科用レジン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8403669B2 (en) Artificial tooth
EP4324426A2 (en) Dental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9492252B2 (en) Molding artificial teeth in denture base disc
US20090305195A1 (en) Preformed malleable solid crown
KR20170023890A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WO2006056980A2 (en) Method and accessory for preparing a dental crown or bridge
CN104644276A (zh) 制造牙齿矫治器的方法以及牙齿矫治器
US9662189B2 (en) Stress-reduced denture base disc
JP2011229839A (ja) 義歯床作製用ブロック体
CN106687069A (zh) 假牙和模制方法
KR102017990B1 (ko) 치과용 지그 장치
WO2014115090A1 (en) Method for obtaining endodontic posts
JP2005028140A (ja) ベニヤシェル板を利用した臨時仮義歯
KR20220072370A (ko)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치아 모양의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1599B1 (ko) 치과용 지그 장치
US20180263739A1 (en) Dental modeling system and method with direct implant analog and thread retention
JP2011078489A (ja) 天然歯における歯冠補綴構造及びその構造の構築方法並びに分解方法
Kaur et al. Assessment of effect of implant angulation and implant number on the dimensional accuracy of definitive casts
JP2011172778A (ja) 口腔内密着装着体の製造方法
CN207270402U (zh) 一种3d打印的义齿修复模
WO2019058575A1 (ja) 歯科用の複模型を作製するためのフラスコ
TWI790087B (zh) 牙科種植體乘載負荷支架及假牙製作方法
JPH0417848A (ja) 有床義歯の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