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408B1 - Water Sterilization Purifier - Google Patents
Water Sterilization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8408B1 KR102008408B1 KR1020190038941A KR20190038941A KR102008408B1 KR 102008408 B1 KR102008408 B1 KR 102008408B1 KR 1020190038941 A KR1020190038941 A KR 1020190038941A KR 20190038941 A KR20190038941 A KR 20190038941A KR 102008408 B1 KR102008408 B1 KR 1020084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main body
- wound
- sterilization
- sedi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 살균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 내부에서 용수 소용돌이를 발생시켜 용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용수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브이램프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교체가 용이하며, 유브이램프에 스케일의 형성이 적어 장시간동안 살균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용수 살균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generating a water vortex inside the device to move the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easy to replace by installing a UV lamp horizontally, scales on the UV lam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sterilizing effect for a long time due to the small formation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수 살균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에서 용수 소용돌이를 발생시켜 용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용수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브이램프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교체가 용이하며, 유브이램프에 스케일의 형성이 적어 장시간동안 살균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용수 살균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generate a water vortex inside the device to move the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install a UV lamp horizontally, easy to replace, It provides a wate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maintain the sterilization effect for a long time due to the small scale formation on the UV lamp.
일반적으로 산업용으로 용수를 사용하기 위해 해수 및 담수를 정화 또는 살균하여 이용한다. 해수 및 담수에는 각종 이물질과 유해세균이 존재하여 장치를 이용하여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염소 투입, UV램프, 오존가스를 용수 속에 주입시켜 살균하기도 한다. Generally, seawater and fresh water are used to purify or sterilize water for industrial use. There are various foreign substances and harmful bacteria in seawater and fresh water, so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inside by using the device and to disinfect them by injecting chlorine, UV lamp and ozone gas into the water.
용수 살균을 위해 오존가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고농도 오존용존수를 만들기 위해 오존가스를 다량 투입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특히 용수원수 내부의 용존산소량를 증가시키고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산소발생장치나 액화산소를 투입하거나 스키머를 사용하고 있다.When ozone gas is used for water sterilization, ozone gas may be used in a large amount to make high concentration ozone dissolved water with strong sterilization power. Especially, in order to increase dissolved oxygen in water and remove bubbles, large amount of oxygen is generated. A device, liquefied oxygen, or a skimmer is used.
또한, 염소 투입 살균의 경우 투입되는 염소가 트리할로메탄이란 성분을 남기게 되어 2차오염이나 수산생물의 발병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UV램프는 초기 살균력이 뛰어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UV램프 표면에 스케일로 인해 살균력이 떨어지며, 지속적인 청소 및 관리가 필요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hlorine input sterilization, chlorine introduced may leave a component called trihalomethane, which may cause secondary pollution or aquatic organisms. In addition, UV lamps have excellent initial sterilization power, but as time goes by, the scale of the UV lamps loses their sterilization power and requires continuous cleaning and maintenance.
종래기술(중국 실용신안 제204039193호)은 일종 신형 해수 정화기로서, 장치 내부로 해수를 주입하여 자외선튜브로 살균시켜 정화하는 해수 정화기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침전물의 양이 많은 경우 장치 내부에서 완전한 배출이 어렵고, 자외선튜브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해수 내부의 이물들로 인해 스케일이 생겨 관리가 어려운 점이 있다. The prior art (China Utility Model No. 204039193) is a new type of seawater purifier, which discloses a seawater purifier in which seawater is injected into an apparatus and sterilized by an ultraviolet tube to purify it. 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amount of deposit is large,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discharge from the inside of the apparatus, and the ultraviolet tube is installed vertically, which is difficult to manage due to the scales caused by foreign matters inside the seawater.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내부에서 용수 소용돌이를 발생시켜 용수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켜 용수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유브이램프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교체가 용이하며, 유브이램프에 스케일의 형성이 적어 장시간동안 살균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용수 살균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it is easy to replace by generating a water vortex inside the device to move the wa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install the UV lamp horizontally, It is to provide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maintain the sterilization effect for a long time due to the formation of scale on the UV lamp.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용수 살균 정화장치는, 용수가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유입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 내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침전물제거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회전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용수유로가이드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를 살균하는 살균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유출되는 용수유출부와, 상기 용수의 부상물을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부상물제거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수유입부에는 상기 용수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주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 내부에 장착되는 유브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석영관의 파손을 막기위하여 상기 본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유지링이 부착되고, 상기 침전물제거부는, 상기 용수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용수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지지하는 브러쉬지지대 및 상기 브러쉬에 의하여 모아진 침전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된 침전물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accommodated, the water inlet un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sediment removal uni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o remove sediment in the water, and a water flow guid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formed in a spiral shape so that the water can rotate; A sterilization unit for sterilization and a water outle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wate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water from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 air inlet pipe is connected to supply air to the water, and the steriliz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horizontally cross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U-lamp mounted inside the quartz tube, wherein the main body is attached with a shape retaining ring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main body to prevent breakage of the quartz tube, and the precipitate removing unit includes the water inle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ush that is rotated by the water flowing from the portion, a brush support for rotating the brush and the sediment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precipitate collected by the brush.
또한, 상기 부상물제거부는, 상기 본체 상단에서 개폐되는 덮개와, 상기 용수의 부상물을 모으는 부상물가름막 및 상기 모아진 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상물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ound removal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that is opened and clos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the wound screen to collect the injury of the water and the wound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wounds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형상유지링은 공기주입관고정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hape retaining 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jection pipe fixing hole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용수 살균 정화장치는 용수를 하부로 공기와 같이 유입하여 용수 내에 버블을 생성하고, 용수유로가이드에 의해 용수가 회전하며 소용돌이를 형성해 상부로 용수가 이동할 수 있어 침전물은 하단으로 배출하고, 버블로 인해 부상물은 상단으로 배출하여 정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Water sterilization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as air to the bottom to create a bubble in the water, the water flows by the water flow guide to form a vortex can move the water to the top, sediment is discharged to the bottom As a result, bubbles can be released to the top, effectively purifying them.
또한, 장치 하부에 설치된 침전물제거부가 용수 소용돌이에 의해 같이 회전하면서 용수의 회전력이 증가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장치 내부의 침전물을 바로 제거하여 청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ile the sediment removal unit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rotates together by the water vortex increas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ater can move quick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sediment inside the device to effectively clean.
또한, 용수 소용돌이에 의해 장치 내부에 설치된 살균부의 표면에 스케일 형성이 적어 용수의 살균을 장시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scale on the surface of the steriliz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apparatus due to the water vortex can reduce the sterilization of the water for a long time effectively.
또한, 용수 소용돌이에 의해 버블이 용수 내 이물질과 결합하여 장치 상단에 설치된 부상물제거부로 상승시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부상물제거부를 개폐할 수 있어 장치 내부의 청소가 용이해 장치를 효과적으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water vortex, the bubble is combined with foreign matter in the water to rise to the wound removal unit installed at the top of the device to effectively remove i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ound removal unit makes it easy to clean the inside of the device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device effectively. Can manage
또한, 장치 내부에 형상유지링에 의해 정화장치의 팽창 및 수축을 예방하고, 내부의 공기주입관을 고정할 수 있어 장치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the shape retaining ring inside the device to prevent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urific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fix the air inlet pipe inside the device can be easily mana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살균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침전물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살균부와 형상유지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용수유출부 및 부상물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deposit removal unit shown in FIG. 1.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erilizing unit and the shape retaining ring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water outlet and the floating material removing unit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수 살균 정화장치의 일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 살균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침전물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살균부와 형상유지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용수유출부 및 부상물제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ediment removal unit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erilization unit and the shape retaining ring shown in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a water outflow portion and a floating object removal portion in FIG.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수 살균 정화장치(10)는 본체(100), 용수유입부(200), 침전물제거부(300), 용수유로가이드(400), 살균부(500), 용수유출부(600) 및 부상물제거부(7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a> of Figure 1, the water
상기 본체(100)는 용수가 수용되고, 상기 용수유입부(200)는 상기 본체(10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유입되며, 상기 침전물제거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 내의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기 용수유로가이드(4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회전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살균부(5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를 살균하고, 상기 용수유출부(6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유출되며, 상기 부상물제거부(700)는 상기 용수의 부상물을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서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용수 살균 정화장치(10)를 작동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용수는 해수 또는 담수일 수 있고, 살균 및 정화되어 산업용수 또는 공업용수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water may be sea water or fresh water, and sterilized and purified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dustrial water or industrial water.
또한, 상기 용수는 상기 용수유입부(200)에 의해 상기 본체(100) 하부로 유입되어 상기 용수유로가이드(400)를 따라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소용돌이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상부까지 이동할 수 있어, 상기 본체(100) 상부의 상기 용수유출부(600)로 유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용수유로가이드(400)는 상기 본체(100) 하부 외에도 상기 침전물제거부(300)에도 설치될 수 있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소용돌이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용수는 상기 본체(100) 하부에서 상기 본체(100)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살균부(500)에 의해 살균되고, 상기 용수와 같이 유입되는 무거운 물질들은 상기 본체(100) 하부로 침전되어 상기 침전물제거부(300)에 의해 제거되며, 가벼운 물질들은 상기 본체(100)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부상물제거부(700)에 의해 제거되어 살균 및 정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is sterilized by the
또한, 상기 용수유입부(200)는 공기주입관(210) 및 용수유입관(22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공기주입관(210)은 상기 본체(100) 외부에서 상기 용수유입관(220)까지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용수에 공급하고, 상기 용수유입관(220)은 외부의 펌프(P)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상기 용수를 유입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관(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용수유입관(220)을 통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용수에 버블을 발생시켜 상기 용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Here, the
도 1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주입관(210)과 상기 용수유입관(220)은 각각 연결되거나 복수의 상기 공기주입관(210)이 하나의 상기 용수유입관(220)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b> and <c> of FIG. 1, the
예를 들면, 하나의 상기 용수유입관(220)이 외부의 상기 펌프(P)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복수의 관으로 나눠져 상기 용수를 유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관(21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복수의 관으로 나눠진 상기 용수유입관(2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용수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For example, one of the
또 다른 예로, 하나의 상기 용수유입관(220)이 외부의 상기 펌프(P)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하나의 관으로 상기 용수를 유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관(210)은 하나의 상기 용수유입관(220)에 복수개 연결되어 상기 용수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one of the
또한, 상기 용수유입관(220)은 벤츄리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수를 빠른 속도로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빠른 회전력의 버블이 발생하여 용존산소량 증가 및 상기 용수 내부의 부유물질을 혼합하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용수유입부(200)는 상기 용수 살균 정화장치(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용수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용수가 소용돌이를 형성할 수 있다. The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침전물제거부(300)는 브러쉬(310), 브러쉬지지대(320) 및 침전물토출구(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a> and <b> of FIG. 2, the
먼저, 상기 브러쉬(310)는 상기 용수유입부(200)에서 유입되는 상기 용수에 의하여 회전하고, 상기 브러쉬지지대(320)는 상기 브러쉬(310)를 회전지지하며, 상기 침전물토출구(330)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320)에 의해 모아진 침전물을 토출할 수 있다. First, the
여기서, 상기 브러쉬(310)는 얇은 판상으로 하단은 상기 침전물을 쓸어내기 위한 빗자루의 비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용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100) 내부에 소용돌이를 형성 할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브러쉬(310)에는 상기 용수유로가이드(400)가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용수를 가이드하면서 상기 본체(100) 내부의 소용돌이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브러쉬지지대(320)는 수직지지대(321) 및 수평지지대(3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직지지대(321)는 상기 본체(100) 바닥의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322)는 상기 수직지지대(321)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 바닥으로부터 상기 브러쉬(310)를 수직으로 지지하여 상기 용수가 유입되면 상기 수직지지대(321)를 기준으로 상기 브러쉬(310)가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본체(100)의 바닥에 쌓이지 않게 상기 침전물토출구(330)로 바로 쓸어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침전물토출구(330)는 침전물게이지(331) 및 토출밸브(332)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상기 침전물게이지(331)로 상기 침전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토출밸브(332)를 열어 상기 침전물을 토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부(500)는 석영관(510) 및 유브이램프(5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에는 형상유지링(110)이 부착된다. Referring to <a> and <b> of FIG. 3, the
먼저, 상기 석영관(5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상기 본체(100)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유브이램프(520)는 상기 석영관(5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First, at least one
여기서, 상기 석영관(510)은 상기 본체(100)의 수평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유브이램프(520)를 쉽게 장착 및 교체할 수 있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용수의 이물로부터 상기 유브이램프(52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용수의 소용돌이에 의해 이물질의 흡착을 방지하여 상기 유브이램프(520)의 자외선을 방사를 장시간동안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또한, 상기 본체(100)에 부착된 상기 형상유지링(110)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형상유지링(110)은 상기 본체(100)의 팽창 또는 수축을 방지하여 상기 살균부(500)의 석영관(5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형상유지링(110)은 상기 용수유입부(200)의 공기주입관(210)을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고정할 수 있는 공기주입관고정홀(11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기주입관고정홀(111)은 상기 공기주입관(210)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소용돌이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용수유출부(600)는 부력 자동센서(610) 및 용수유출관(620)을 포함하고, 상기 부상물제거부(700)는, 덮개(710), 부상물가름막(720) 및 부상물배출관(7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먼저, 상기 용수유출부(600)의 상기 부력 자동센서(610)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상기 용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용수유출관(620)은 상기 본체(100) 상부에서 살균 및 정화된 상기 용수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유출할 수 있다.First, the buoyancy
여기서, 상기 부력 자동센서(610)는 상기 용수의 수위 및 상기 본체(100) 내부의 수압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용수유출관(620)은 상기 부력 자동센서(610)의 감지에 따라 유출하는 상기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buoyancy
또한, 상기 부상물제거부(700)의 상기 덮개(7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서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부상물가름막(720)은 상기 덮개(710)에 구비되어 상기 용수의 부상물을 모을 수 있으며, 상기 부상물배출관(730)은 모아진 상기 부상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덮개(710)를 개폐하여 상기 용수 살균 정화장치(10)의 내부 청소 및 소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부상물가름막(720)은 상기 침전물제거부(300)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이물질을 상기 본체(100) 상부에서 모을 수 있으며, 상기 부상물배출관(730)은 상기 부상물가름막(720)이 모은 상기 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an be modified or changed in various ways.
10: 용수 살균 정화장치
100: 본체 110: 형상유지링 111: 공기주입관고정홀
200: 용수유입부 210: 공기주입관 220: 용수유입관
300: 침전물제거부 310: 브러쉬 320: 브러쉬지지대
321: 수직지지대 322: 수평지지대 330: 침전물토출구
331: 침전물게이지 332: 토출밸브 400: 용수유로가이드
500: 살균부 510: 석영관 520: 유브이램프
600: 용수유출부 610: 부력 자동센서 620: 용수유출관
700: 부상물제거부 710: 덮개 720: 부상물가름막
730: 부상물배출관 P: 펌프 10: Water Sterilization Purifier
100: main body 110: shape retaining ring 111: air injection pipe fixing hole
200: water inlet 210: air inlet 220: water inlet
300: sediment removal unit 310: brush 320: brush support
321: vertical support 322: horizontal support 330: sediment discharge outlet
331: sediment gauge 332: discharge valve 400: water flow guide
500: sterilization unit 510: quartz tube 520: UV lamp
600: water outlet 610: buoyancy automatic sensor 620: water outlet pipe
700: wound removal unit 710: cover 720: wound screen
730: float discharge pipe P: pump
Claims (3)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유입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 내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침전물제거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회전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용수유로가이드;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수가 유출되는 용수유출부; 및
상기 용수의 부상물을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부상물제거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수유입부에는 상기 용수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주입관이 연결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 내부에 장착되는 유브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석영관의 파손을 막기위하여 상기 본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유지링이 부착되고,
상기 침전물제거부는,
상기 용수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용수에 의하여 회전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를 회전지지하는 브러쉬지지대; 및
상기 브러쉬에 의하여 모아진 침전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에 형성된 침전물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살균 정화장치.A body in which water is received;
A water inflow uni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introduce the water;
A sediment removal unit installed under the main body to remove sediment in the water;
A water flow guide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formed in a spiral shape so that the water can rotate;
A sterilization uni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sterilize the water;
A water outle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allow the water to flow out; And
Includes; a wound removal unit for discharging the wound of the water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An air inlet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so that air is supplied to the water,
The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quartz tube traversing the interior of the body horizontally and a u-lamp mounted inside the quartz tube,
The main body is attached with a shape retaining ring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main body to prevent damage to the quartz tube,
The precipitate removal unit,
A brush rotating by the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inlet;
A brush support for rotating the brush; And
And a sediment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the sediment collected by the brush.
상기 부상물제거부는,
상기 본체 상단에서 개폐되는 덮개;
상기 용수의 부상물을 모으는 부상물가름막; 및
상기 모아진 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상물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살균 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wound removal unit,
A cover opened and clos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wound separator to collect the wound of the water; And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wound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wound to the outside.
상기 형상유지링은 공기주입관고정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살균 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hape retaining ring is water sterilization purific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jection pipe fixing hole is provid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8922 | 2018-04-27 | ||
KR20180048922 | 2018-04-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8408B1 true KR102008408B1 (en) | 2019-08-09 |
Family
ID=6761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8941A Active KR102008408B1 (en) | 2018-04-27 | 2019-04-03 | Water Sterilization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840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2458A (en) * | 2021-03-22 | 2021-06-29 | 广州东艾生物科技有限公司 | Laboratory is with convertible air degerming equipment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7173B1 (en) * | 2009-06-03 | 2010-05-11 | 김혜경 | Purifier of quality of water for aquarium |
KR20120029743A (en) * | 2010-09-17 | 2012-03-27 | 최우열 | Apparatus for purifying aquarium |
KR20130013021A (en) * | 2011-07-27 | 2013-02-06 | 양일승 | Apparatus purifying the water of fish tank using bio-block |
CN204039193U (en) | 2014-06-26 | 2014-12-24 | 青岛龙宫海洋牧场生态修复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novel sea water purifier |
KR20160130681A (en) * | 2015-05-04 | 2016-11-14 | 박동재 | A Water Purification Device |
KR20170045607A (en) * | 2015-10-19 | 2017-04-27 | (주)에이트포인트 | Holder for fixing water pipe of aquarium |
-
2019
- 2019-04-03 KR KR1020190038941A patent/KR10200840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7173B1 (en) * | 2009-06-03 | 2010-05-11 | 김혜경 | Purifier of quality of water for aquarium |
KR20120029743A (en) * | 2010-09-17 | 2012-03-27 | 최우열 | Apparatus for purifying aquarium |
KR20130013021A (en) * | 2011-07-27 | 2013-02-06 | 양일승 | Apparatus purifying the water of fish tank using bio-block |
CN204039193U (en) | 2014-06-26 | 2014-12-24 | 青岛龙宫海洋牧场生态修复工程有限公司 | A kind of novel sea water purifier |
KR20160130681A (en) * | 2015-05-04 | 2016-11-14 | 박동재 | A Water Purification Device |
KR20170045607A (en) * | 2015-10-19 | 2017-04-27 | (주)에이트포인트 | Holder for fixing water pipe of aquariu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42458A (en) * | 2021-03-22 | 2021-06-29 | 广州东艾生物科技有限公司 | Laboratory is with convertible air degerming equipment |
CN113042458B (en) * | 2021-03-22 | 2022-02-15 | 广州东艾生物科技有限公司 | Laboratory is with convertible air degerm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8906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 |
US2015018365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ir scouring of a screen in a water treatment facility | |
KR101106649B1 (en) | Water Purifier with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 |
KR102008408B1 (en) | Water Sterilization Purifier | |
KR101236830B1 (en) | Ballast water processing unit | |
KR100998664B1 (en) | Water level sensitive sterilizer | |
RU143767U1 (en) | INSTALLATION FOR COMPREHENSIVE CLEANING OF DRINKING WATER | |
ES2691042T3 (en) | Biofilter for wastewater digestion | |
KR100758020B1 (en) |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and ultraviolet | |
KR100894646B1 (en) | Automatic Continuous Filtration Device Attached Dissolved Air Pressurized Tank | |
KR20090014911A (en) | Countertop Purifier | |
KR101730411B1 (en) | Integrated Type Filtering Apparatus For Reusing Rainwater Or Graywater | |
KR100918514B1 (en) | Water Sterilization and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 |
KR100826971B1 (en) | Raw water purifier | |
CN208345845U (en) | A kind of air knife pipe for MBBR sewage disposal system | |
KR200295845Y1 (en) | an aquarium water sterilization a purifier | |
KR200419211Y1 (en) | Precipitator | |
KR200445575Y1 (en) | Steriliz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live aquarium | |
KR101289909B1 (en) | A water-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live fish aquarium | |
JP2017064574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196745B1 (en) | Water Purification Module Using Flexible TIO2 Coating Filler | |
KR200303777Y1 (en) | A clean water and sterilization device of the seawater | |
KR101531087B1 (en) | Sewage discharge sewage settling tank structure | |
KR102560450B1 (en) | Air purifier using bubbles | |
JP6333097B2 (en) | Filter cleaning equipment with flow path clea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