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771B1 -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 - Google Patents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771B1
KR102006771B1 KR1020180170994A KR20180170994A KR102006771B1 KR 102006771 B1 KR102006771 B1 KR 102006771B1 KR 1020180170994 A KR1020180170994 A KR 1020180170994A KR 20180170994 A KR20180170994 A KR 20180170994A KR 102006771 B1 KR102006771 B1 KR 102006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drawer
evacuation
fire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Priority to KR102018017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7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77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 유해가스를 상기 터널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터널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 상기 대피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대피출구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대피출구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evacuation outlet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sidewal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nnel; A blowing fan install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sidewalk disposed adjacent to the evacuation outlet to blow harmful gas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An exhaust duct installed in the ceiling of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nd extending outside the tunnel;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to discharge harmful gas generated in the tunnel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A slide passag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evacuation exit and formed to be inclined lowered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so that water flows from an upper end of the slide passage to a lower end of the slide passage when the driver enters through the evacuation outlet; And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tunnel, a virtual hologram image signal is output to a space inside the tunnel facing the evacuation exit, and the driver confirms whether a fire occurs, and along the evacuation exit where the hologram image is implemen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evacuating to.

Figure R1020180170994
Figure R1020180170994

Description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Life-saving induction device in case of road tunnel fire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

본 발명은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터널 중앙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고, 사람들이 대피하는 동안 터널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운전자들에게 홀로그램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도 쉽게 화재 발생여부를 인지하여 미연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vacuating life when a road tunnel fire occurs. More specifically,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peopl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unnel can easily escape and occur inside the tunnel while people evacu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human injury from harmful gases, and if a fire occurs inside the tunnel, a warning message composed of hologram images is output to the drivers so that the driver who is located far from the fire area can easily catch f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vacuating lives in the event of a fire in a road tunnel that can recognize and evacuate in advance.

일반적으로 터널은 산을 뚫어서 도로 또는 철로 등을 건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산을 뚫은 후 그 내벽면에 방수 매트 등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반원 형상의 터널을 형성하고, 그 내부의 바닥면은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노면을 형성한다.In general, a tunnel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 construct roads or railroads through a mountain. After drilling a mountain, a waterproof mat or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concrete is poured to form a semi-circular tunnel. The surface forms a road surface on which the vehicle can travel.

이러한 터널의 내부에는 터널 천정의 벽면에는 다수의 조명등이 설치되고, 터널의 측면 벽면에는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화재 사고에 대비하여 다수개의 소정의 거리에 따라 소화장치가 설치된다.Inside the tunnel, a plurality of lights ar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tunnel ceiling,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tunnel according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stances in preparation for a fire accident of the vehicle occurring inside the tunnel.

최근에는 건설 기술의 발달로 도로나 철로, 지하철로, 해저통로 등을 위한 터널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터널의 길이도 점차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Recently, the construction of tunnels for roads, railroads, subways, sea passages, etc. has been actively perform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length of such tunnels tends to be gradually longer.

현재 국내에서는 한일 해저 터널, 부산과 거제도를 잇는 해저 터널 등이 계획 중이며, 건설 중인 춘천과 양양간 고속도로 중 인제 터널 등은 터널 길이만으로도 수 km를 넘어서고 있다.Currently, Korea-Japan undersea tunnels and undersea tunnels connecting Busan and Geoje Island are being planned, and Inje tunnels on the highway between Chuncheon and Yangyang are under construction.

이러한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장치는 터널 내부의 측면에 소정의 거리 마다 설치되는 소화전으로 구성되는데, 소화전은 내부에 분말 소화기와 소방 호스가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stalled in such a tunnel consists of a fire hydrant installed at predetermined distances on the side of the tunnel, and the fire hydra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owder fire extinguisher and a fire hose are provided therein.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 장치의 경우 대부분 분말 소화기나 소방 호스에 의존하고 있어, 화재 발생 시 운전자나 사용자가 직접 소화전에서 소화기와 소방 호스를 꺼내어 터널 내부의 차량 화재를 진압하여 위급 상황에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a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most of them rely on powder fire extinguishers or fire hoses.In the event of a fire, the driver or user directly pulls out the fire extinguisher and fire hoses from the fire hydrant to extinguish a vehicle fire in the tunnel to deal with an emergency situation. There is a situation.

또한, 분무를 이용한 소방 설비는 현행 규정상 터널의 길이가 3km 이상인 경우에만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1km 미만의 터널에서는 소화기만을 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using the spray is to be installed only when the length of the tunnel is 3km or more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regulations, especially in the tunnel less than 1km is equipped with a fire extinguisher.

이 경우 터널 내부에서 차량 사고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터널 내부에서의 경미한 사고도 터널의 구조상 엄청난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a vehicle accident or a fire caused by various causes does not respond quickly in the tunnel. For this reason, even a minor accident in the tunnel may lead to a huge disaster in the structure of the tunnel.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256호(2011년 5월 26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터널 내부의 재난 방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37256 (published on May 26, 2011, entitled Disaster Emergency Disaster in a Tunnel).

종래기술에 따른 터널에는 주로 화재발생 시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치들만 설치되기 때문에 터널 전체를 차단하는 큰 불이나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터널 내부에 위치하는 운전자들이 터널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어렵고, 터널 내부를 채우는 유해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tun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only the devices for extinguishing a fire are mainly installed, so in the event of a large fire or an accident that blocks the entire tunnel, drivers located inside the tunnel may escape from the tunnel.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problem, it is difficult to prevent human injury due to the harmful gas filling the tunnel inside.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터널에는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된 것을 쉽게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화재발생 초기에 운전자가 미연에 대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tun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located far from a fire occurrence area to easily recognize that a fire has occurred inside the tunnel, so that the driver cannot evacuate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터널 중앙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고, 사람들이 대피하는 동안 터널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운전자들에게 홀로그램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도 쉽게 화재 발생여부를 인지하여 미연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escape the peopl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unnel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tunnel, it is possible to prevent human injury caused by harmful gases generated inside the tunnel while people evacuate, the tunnel When a fire occurs inside, a warning message consisting of holographic images is output to the drivers so that even drivers located far from the fire area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evacuate it in adv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터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 유해가스를 상기 터널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터널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 상기 대피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대피출구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대피출구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evacuation outlet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sidewal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nnel; A blowing fan install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sidewalk disposed adjacent to the evacuation outlet to blow harmful gas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An exhaust duct installed in the ceiling of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nd extending outside the tunnel;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to discharge harmful gas generated in the tunnel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A slide passag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evacuation exit and formed to be inclined lowered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so that water flows from an upper end of the slide passage to a lower end of the slide passage when the driver enters through the evacuation outlet; And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tunnel, a virtual hologram image signal is output to a space inside the tunnel facing the evacuation exit, and the driver confirms whether a fire occurs, and along the evacuation exit where the hologram image is implemen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put unit for evacuating to.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급수부는,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물을 상기 노즐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우수가 담기도록 상면 일부분이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탱크;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통로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펌프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nozzle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lide passage;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nozzle and supplying water; A valv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and opening or closing the supply pipe; A pump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and pumping water to the nozzle side; A tank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having a sieve net installed to ope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so as to contain rainwater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opened upper surface; A sensor for detecting a driver's entry into the slide passage through the evacuation exit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ump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open the valve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출력부는,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여부 및 대피 방향을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수평면과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기울게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 굴절시켜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허상을 공중의 허상부에 투영하는 반사부; 상기 영상출력부가 설치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제어부가 수납되는 서랍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단프레임; 상기 서랍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서랍을 상기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랍이 개폐될 때에 상기 영상출력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상기 서랍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evacuation outlet, the image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fire occurrence and evacuation direction as an image; A reflection unit installed to be inclined to maintain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output horizontal plane of the image output unit to transmit and refract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to project a virtual imag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output image of the image output unit to the virtual image of the air; A cover frame in which the image output unit is installed; A stop frame supporting the cover frame and having a drawer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received; A detachable part for keeping the drawer closed and opening the drawer to the outside of the stop fram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that prevents the cable connect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from interfering with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opened or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detachable uni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서랍의 상단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린; 한 쌍이 상기 스크린의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서랍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봉부재; 한 쌍의 상기 봉부재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서랍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이 권취되는 드럼부재; 및 상기 서랍의 개방작동 및 폐쇄작동을 상기 스크린의 개방작동 또는 폐쇄작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creens which are installed to be protruding in the central direction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drawer; A pair of rod members supporting an end of the screen and slidably installed along an upper end of the drawer; A first elastic member connecting a pair of the rod members; A drum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drawer and the screen being woun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converting the opening operation and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to the opening operation or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creen.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는, 터널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대피출구 및 송풍팬이 설치되고, 터널 타측 천장에 배기덕트 및 배풍팬이 설치되므로 터널 일축에 구비되는 인도 측에서 터널 타측으로 유해가스를 이동시켜 배출하여 화재 발생 시에 운전자들이 대피출구로 이동할 때에 유해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road tunnel fire evacu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vacuation outlet and the ventilation fan is installed in the sidewal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nnel, the exhaust duct and the exhaust fan is installed in the ceiling of the tunnel side, so that the side By moving and discharging harmful gas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rivers can prevent human injury due to harmful gas when moving to evacuation exit in case of f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는, 운전자들이 배피출구를 통해 슬라이드통로에 진입하면 급수부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통로에 물이 흐르게 되므로 운전자들이 슬라이드통로를 따라 터널 외부로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되어 터널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road tunnel fire occu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enters the slide passage through the evacuation outlet, the water flows in the slide passage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so the drivers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along the slide passag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sualty caused by the tunnel f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는, 슬라이드통로에 공급되는 물이 우수가 저장되는 탱크로부터 공급되므로 운전자를 대피시키기 위한 물의 공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uman life evacuation guidance device when the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ied to the slide passage is supplied from the tank is sto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supplied to the water to evacuate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는,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터너 내부에 설치되는 모든 배피출구에 홀로그램 영상이 허공에 구현되게 하므로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고 화재 발생여부를 쉽게 인지하여 미연에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uman life evacuation induction device in the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fire occurs in the tunnel, the hologram image is implemented in the air at all the discharge exits installed in the turner located in the distant place from the fire occurrence area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vacuat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출력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서랍 및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서랍 및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서랍 및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life-saving induction apparatus in the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fe evacuation induction device during the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fe evacuation induction device during the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put of the life evacuation guidance device when the road tunnel fire occur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wer and an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of a life evacuation guidance device when a road tunnel fire occu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wer and an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of a life evacuation guidance device when a road tunnel fire occur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wer and a detachable part of a life evacuation guidance device when a road tunnel fire occu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fe-saving induction apparatus in the event of a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life-saving induction apparatus in the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ife evacuation induction device when a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fe evacuation induction device when a road tunnel fire occur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life-saving induction device in case of road tunnel fire.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출력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서랍 및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서랍 및 간섭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utput of the life evacuation guidance device in the event of a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wer and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of the life evacuation guidance device in the event of a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awer and an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of a life evacuation induction device in the event of a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의 서랍 및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rawer and a detachable part of a life evacuation induction apparatus in a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ife evacuation induction apparatus in a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는, 터널(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1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30)와, 유해가스를 터널(10)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대피출구(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인도(1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90)과, 터널(10)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터널(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터널(1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80)와, 배기덕트(80)에 설치되어 터널(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10)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84)과, 대피출구(30)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터널(10)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50)와, 대피출구(30)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슬라이드통로(50)의 상단으로부터 슬라이드통로(50)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70)와,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대피출구(30)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대피출구(30)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700)를 포함한다.1 to 8, when the road tunnel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fe-saving induction apparatus, evacuation outlet 30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sidewalk 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nnel (10) And a blowing fan 90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walk 12 disposed adjacent to the evacuation outlet 30 so as to blow noxious gas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10 and the ceiling of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10. And the exhaust duct 80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10 and extending outward of the tunnel 10 and the harmful gas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80 and generated inside the tunnel 10. The driver through the exhaust fan (84) to discharge to the outside, the evacuation outlet 30, the slide passage (50) formed to form an inclination that is lowered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10, and the evacuation outlet (30) When the water enters so that water flows from the upper end of the slide passage 50 to the lower side of the slide passage 50. When a fire occurs in the tunnel and a water supply unit 70 for supplying a gas, a virtual hologram image signal is output to a space inside the tunnel facing the evacuation outlet 30 so that the driver confirm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implements a hologram image. Along the evacuation outlet 30 is to include an output unit 700 to evacuate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터널(10)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여 터널(10)의 통행이 완전히 통제되고, 운전자가 대피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송풍팬(90) 및 배풍팬(84)이 구동되어 터널(10) 일측으로부터 터널(10) 타측으로 유해가스를 이동시킨다.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tunnel 10, the traffic of the tunnel 10 is completely controlled, and when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 is to be evacuated occur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00, the blowing fan 90 and the blowing fan ( 84 is driven to move the noxious gas from one side of the tunnel 10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10.

여기서, 터널(10) 일측은, 반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터널(10)의 단면도 상에서 일측 모서리를 의미하며, 터널(10) 일측에는 인도(12)가 구비되고, 송풍팬(90)은 인도(12)의 바닥면에 설치된다.Here, one side of the tunnel 10 means a corner on one side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nnel 10 having a semicircular shape, one side of the tunnel 10 is provided with a sidewalk 12, and the blowing fan 90 has a sidewalk 12.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송풍팬(90)이 설치되는 공간이 상면에는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되는 지지패널(90a)이 설치되므로 운전자가 인도(12)를 지날 때에 송풍팬(90)이 인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support panel 90a having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ace where the blower fan 90 is installed, the blower fan 90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human body when the driver passes the sidewalk 12. do.

따라서 운전자가 인도(12)를 지나 대피출구(30) 측으로 이동할 때에 송풍팬(90)에 의해 인도(12)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압송되는 공기는 유해가스를 터널(10) 천장을 따라 터널(10) 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운전자가 유해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er moves to the evacuation outlet 30 through the sidewalk 12, the air that is push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walk 12 by the blower fan 90 passes the harmful gas along the ceiling of the tunnel 10. 10) It is moved to the other side to prevent the driver from being exposed to harmful gas.

배기덕트(80)에는 터널(10)의 길이 방향으로 유해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배풍팬(84)이 설치되고, 배기덕트(80)에는 다수 개의 배기홀부(82)가 형성되므로 송풍팬(90)에 의해 압송되는 유해가스가 배기홀부(82)를 통해 배기덕트(80)로 유입되고, 배풍팬(84)의 작동에 의해 터널(10) 외부로 배출된다.The exhaust duct 8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haust fans 84 to discharge harmful gas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10, and the exhaust duct 8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82 are blower fans The noxious gas pressurized by 90 is introduced into the exhaust duct 80 through the exhaust hole 8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10 by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fan 84.

운전자가 대피출구(30)의 도어를 개방하여 진입하면 급수부(70)가 구동되어 슬라이드통로(50)에 물이 분사되고, 운전자가 슬라이드통로(50)에 착석하면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면서 터널(10) 외측으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river opens the door of the evacuation outlet 30 and enters, the water supply unit 70 is driven to spray water into the slide passage 50, and when the driver is seated on the slide passage 50, the driver moves in the direction of water flow. Easily sliding while being able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10).

슬라이드통로(50)는 터널(10)의 중앙부로부터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 방향으로 연장되어 터널(10) 외측으로 운전자를 탈출시킬 수 있게 되고, 슬라이드통로(50)는 대피출구(30)로부터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slide passage 50 extends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tunnel 10 in the inlet and outlet directions of the tunnel 10 to escape the driver outside the tunnel 10, and the slide passage 50 is an evacuation outlet 3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lower in the inlet and outlet direction of the tunnel 10 from.

따라서 급수부(70)의 작동에 의해 대피출구(30) 측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슬라이드통로(50)를 따라 물이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 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운전자가 슬라이드통로(50)의 상단에 착석하면 물의 흐름에 의해 터널(10)의 입구 또는 출구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터널(10) 외측으로 쉽게 탈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evacuation outlet 30 side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unit 70, water flows along the slide passage 50 in the inlet and outlet directions of the tunnel 10, so that the driver slides the passage 50. When seated at the top of the slide by the flow of water toward the inlet or outlet side of the tunnel 10 it is possible to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10).

급수부(70)는, 슬라이드통로(50)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70)과, 노즐(70)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74)과, 공급관(74)에 설치되고, 공급관(74)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76)와, 공급관(74)에 설치되고, 물을 노즐(70)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77)와, 공급관(74)에 연결되고, 우수가 담기도록 상면 일부분이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78a)이 설치되는 탱크(78)와, 대피출구(30)를 통해 슬라이드통로(50)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서(92)와, 센서(92)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펌프(77)에 전원을 인가하고, 밸브(76)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The water supply part 70 is provided in the supply pipe 74 which connects with the some nozzle 70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slide path 50, the nozzle 70, and supplies water, and the supply pipe 74, And a valve 76 for opening or closing the supply pipe 74, a pump 77 installed at the supply pipe 74, and pumping water to the nozzle 70 side, and a supply pipe 74. When the driver enters the slide passage 50 through the tank 78 and the evacuation outlet 30, the tank 78 is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s opened, and the strain screen 78a is installed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opened upper surface. Sensor 92 for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and a control unit 1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ump 77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92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open the valve 76. Include.

센서(92)는 대피출구(30) 일측에 설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대피출구(30) 타측에 설치되고,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므로 대피출구(30)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발광부의 빛을 차단하여 수광부에서 수신되는 빛이 차단되므로 운전자의 진입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The sensor 9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vacuation outlet 30,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evacuation outlet 30,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evacuation outlet 30, and thus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that detec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When the driver enters through), the light of the light emitter is blocked to block the light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er, thereby detecting the driver's entry.

물론, 센서(92)는 대피출구(30)에 설치되는 근거리감지센서(92), 슬라이드통로(5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접촉감지센서(9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f course, the sensor 92 may be used, such as the near-field detection sensor 92 installed in the evacuation outlet 30,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92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 passage 50, which is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hange and implement the configuration, detailed drawings or descriptions of other embodiments will be omitted.

운전자가 대피출구(30)를 통해 슬라이드통로(50) 측으로 진입하면 센서(92)로부터 감지신호가 송신되고, 제어부(100)에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펌프(77) 및 밸브(76)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므로 밸브(76)가 개방되고, 펌프(77)가 구동되면서 탱크(78)에 저장되는 우수가 공급관(74)을 따라 노즐(70)로 공급되고, 노즐(7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슬라이드통로(50)의 바닥면을 향해 분사된다.When the driver enters the slide passage 50 through the evacuation outlet 30, a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92, and is controlled by the pump 77 and the valve 76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ler 100. Since the signal is transmitted, the valve 76 is opened, and the rainwater stored in the tank 78 while the pump 77 is driven is supplied to the nozzle 70 along the supply pipe 74, and sprayed through the nozzle 70. Water is spray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 passage (50).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통로(50)의 상단에서 노즐(7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슬라이드통로(50)의 바닥면을 따라 터널(10)의 입구 및 출구 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슬라이드통로(50)에 착석한 운전자가 슬라이드통로(5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터널(10)의 입구 또는 출구 방향으로 이동되어 터널(10) 외부로 탈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prayed through the nozzle 70 at the upper end of the slide passage 50 flows in the inlet and outlet directions of the tunnel 10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e passage 50 to the slide passage 50. As the seated driver slides along the slide passage 50, the driver may move toward the inlet or the outlet of the tunnel 10 to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10.

탱크(78)의 상면 일부분은 개방되어 우수가 탱크(78) 내부에 저장되고, 탱크(78)의 개방부위에는 거름망(78a)이 설치되므로 우수와 함께 이물질이 탱크(78)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78 is opened so that the rainwater is stored in the tank 78, and since the strainer 78a is installed at the open portion of the tank 78,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tank 78 together with the rainwater. I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예의 출력부(700)는, 공중에 허상으로 투영될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200)와, 영상출력부(200)의 출력 수평면과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기울게 설치되어 영상출력부(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 굴절시켜 영상출력부(200)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허상을 공중의 허상부(400)에 투영하는 반사부(300)와, 영상출력부(200)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14)와, 영상출력부(200)가 설치되는 커버프레임(110)과, 커버프레임(110)을 지지하고, 제어부(114)가 수납되는 서랍(730)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단프레임(120)과, 서랍(730)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착탈부(780)와, 착탈부(780)의 작동에 의해 서랍(730)이 개폐될 때에 영상출력부(200)와 제어부(114)를 연결하는 케이블(734)이 서랍(73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77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7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output unit 200 for outputting the image to be projected as a virtual image in the air, and the tilted so as to maintain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output horizontal plane of the image output unit 200 image A reflection unit 300 for transmitting and refracting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200 to project a virtual imag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output image of the image output unit 200 to the virtual image unit 400 of the air, and an image output unit ( A control unit 114 for controlling the image output of the 200, the cover frame 110, the image output unit 200 is installed, the cover frame 110, the drawer 730 is supported, the control unit 114 is accommodated The stopper frame 120 which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y installed, the drawer 730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and a detachable part 780 which opens the drawer 730 to the outside of the stopper fram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detachable part ( The cable connecting the image output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114 when the drawer 73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780. 734 includes an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770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drawer (730).

본 실시예의 커버프레임(110)과 중단프레임(120)은 대피출부(30)에 인접하는 터널 내면에 설치되고, 커버프레임(110)을 중단프레임(120)의 상부에 벽면 외측 방향으로 대향되게 직립되게 설치되므로 제어부(114)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영상출력부(200)에서 허상의 영상이 공중에 구현되면 벽체로부터 전방 측에, 즉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화재발생 영상이 출력되므로 인근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터널 내부공간에 구현되는 영상을 확인하여 화재발생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ver frame 110 and the stop frame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nnel adjacent to the large evacuation unit 30, and the cover frame 110 is erected to face the wall outward direction on the top of the stop frame 120. Since the virtual image is implemented in the air by the image out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14, the image of the virtual fire is output to the front side from the wall, that is, the space inside the tunnel. The driver who locates can easily recognize the fire by checking the image that is implemented in the space inside the tunnel.

이때, 터널 내부 공간에 구현되는 허상의 영상은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는 모습이 담긴 영상 또는 대피출구(30)의 위치를 알리는 영상이 포함되어 운전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방향을 공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image of the virtual image implemen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tunnel includes an image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tunnel or the image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evacuation exit 30 can notify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can evacuate quickly. Will be.

또한, 제어부(114)에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촬영하여 제공하는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긴급한 음악과 함께 영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4 may be provided with a memory unit for storing an image signal to store the image data provided by the operator, and to enable the image to be implemented with urgent music.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4)는 영상출력부(200)의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영상출력부(200)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LCD, LED, PDP, DID, 프로젝션, 아날로그 필름 및 홀로그램 필름 등 다양한 영상 매체를 통하여 구현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4 is implemented as a computer system for controlling the image output of the image output unit 200, the image output unit 200 can output the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4 It is realized through various image media such as LCD, LED, PDP, DID, projection, analog film and hologram film.

반사부(300)는 영상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공중에 투영하는 투명판으로 이루어지는데, 반사부(300)가 밝은 빛은 더욱 밝게 방출하고 어두운 빛은 더욱 어둡게 흡수하는 것이 허상을 투영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에 투명판에 이러한 특성을 갖는 필름이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or 300 is formed of a transparent plate that reflects the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200 and projects it in the air. The reflector 300 emits bright light more brightly and absorbs dark light more darkly. Since it is advantageous for projecting a virtual im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which has such a characteristic adheres to a transparent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사부(300)의 투명판은 반사유리로 이루어지며, 이 반사유리에는 열차단용 필름이 부착되어 공중에 허상이 투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반사부(300)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종류의 투명판으로 대치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plate of the reflector 300 is made of reflective glass, and the reflective glass is attached to allow the virtual image to be projected in the air, the configuration of such a reflector 300 May be replaced by another type of transparent plat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한편, 허상부(400)는 물리적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되어 반사부(300)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허상이 투영되는 공간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image 400 does not mean a physical device, but means a space in which the virtual image output from the image output unit 200 and made through the reflector 300 is projected.

영상출력부(200)가 하부에 위치하고 반사부(300)는 영상출력부(200)의 상부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영상출력부(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이 반사부(300)에서 반사되어 공중의 허상부(400)에 허상(410)으로 투영된다.The image output unit 200 is located below and the reflector 300 is inclin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mage output unit 200, so that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200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300. Reflected by and projected as a virtual image 410 to the virtual image 400 of the air.

영상출력부(200)와 반사부(300)의 각도 조절을 통해 공중에 투영되는 허상(4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허상(410)이 가장 잘 맺히는 영상출력부(200)와 반사부(300)의 각도는 45도를 이루는 경우로서, 이 경우 관찰자 시선의 정면에 허상(410)이 맺히게 된다.The angle of the virtual image 410 projected to the air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image output unit 200 and the reflector 300. The image output unit 200 and the reflector ( The angle of 300 is 45 degrees, in which case the virtual image 410 is formed in front of the observer's gaze.

반사부(300)를 통하여 허상이 맺히는 것은 빛의 특성에 따라 반사되고 투영되는 유리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Formation of the virtual image through the reflector 300 uses the principle of glass that is reflected and proj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통상 거울의 경우 들어오는 빛의 대부분을 다시 반사시킴으로써 똑같은 형태를 비추어 보일 수 있다.Normally mirrors can reflect the same shape by reflecting back most of the incoming light.

유리의 경우 입사되는 빛이 그대로 투과되지 못하도록 유리 후면을 불투명한 재질을 이용해 차단하게 되면 빛은 유리를 통해 투과되지 못하고 다시 반사되는데 이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 거울이다.In the case of glass, if the back of the glass is blocked by using an opaque material so that the incident light cannot be transmitted as it is, the ligh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glass and reflected again.

허상은 이러한 유리의 특성과 빛의 투과, 반사성질을 이용하여 특정 빛은 투과시키고 특정 빛은 반사시키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The virtual image is made possibl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lass, the transmission of light, and the reflection property to transmit specific light and reflect specific light.

여기에서 특정 빛이라 함은 빛의 밝고 어두움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분은 색에 따라 미치는 영향이 크게 된다.Here, the specific light can be divided into light and dark of the light, and this distinction is greatly affected by the color.

검은색 계열로 갈수록 반사하는 빛의 양이 줄게 되어 유리를 통해 맺히는 상은 투명하게 뚫려 보이며, 흰색계열로 갈수록 빛의 반사정도가 많아져 유리를 통해 반사되는 빛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black series decreases, and the image formed through the glass is transparently visible. As the white series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through the glass increases.

따라서 유리의 특정 빛의 투과를 조절함으로써 거울과 같은 특징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specific light of the glass it is possible to create a mirror-like fea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빛의 반사를 보다 극명하고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열차단 필름을 사용하게 되는데, 열차단 필름은 표면에 알루미늄, 은, 금속합금 등이 코팅되어 있어 유리로 들어오는 빛을 반사하는 양을 늘려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hielding film is used to more clearly and clearly reflect the reflection of light, and the heat shielding film is coated with aluminum, silver, and metal alloy on the surface to reflect light entering the glass. You can increase the amount you say.

따라서 이러한 특정 필름을 유리에 부착함으로써, 유리를 통해 반사되는 상을 보다 선명하고 밝게 반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attaching such a specific film to the glass,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and brightly reflect the image reflected through the glass.

또한, 유리의 반사성질 중 반사되는 원래의 상과의 각도에 따라 반사되어 보여지는 상은 동일한 각도로 반대쪽에 상을 맺히게 된다.In addition, the image reflected by the angle of the original image reflected in the reflective properties of the glass form an image on the opposite side at the same angle.

본 실시예의 출력부(700)는, 중단프레임(120)의 상부에 커버프레임(110)이 설치되고, 커버프레임(110)에는 영상출력부(200) 및 반사부(300)가 설치되는데,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는 빛 간섭 및 외부노출을 피할 수 있도록 커버프레임(110)의 하부에 매립되어 설치된다.In the output unit 7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frame 110 is installed on the middle of the middle frame 120, the cover frame 110 is provided with an image output unit 200 and the reflection unit 300, the image Each image output unit 210 of the output unit 200 is embed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110 to avoid light interference and external exposure.

반사부(300)는 반사부지지대(350)를 통하여 커버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데, 반사부(300)는 각각의 반사유리(310)가 역 피라미드 형태로 설치되어 일측면에 설치되는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커버프레임(110) 내측 공간인 허상부(400)에 허상(410)으로 투영하게 된다.Reflector 300 is fixed to the cover frame 110 through the reflector support 350, the reflector 300, each reflecting glass 310 is installed in one pyramid form inverted pyramid image The image output from each image output unit 210 of the output unit 200 is projected as a virtual image 410 on the virtual image 400 which is an inner space of the cover frame 110.

영상출력부(200)가 일측에 위치하고 반사부(300)가 역 피라미드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은 관찰자가 허상부에 투영되는 허상을 올려다보는 경우에 적합한 구조이다.The image output unit 200 is located at one side and the reflection unit 300 is installed in an inverted pyramid shape is suitable for the observer looking up the virtual image projected on the virtual image.

각각의 반사유리(310)가 역 피라미드 형태로 설치되는 반사부(300)는 그 연장선과 영상출력부(200)의 바닥면이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반사부(300)는 전후좌우 4개의 반사유리(310)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 reflecting units 300, in which each reflecting glass 310 is installed in an inverted pyramid form, has an extension lin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image output unit 200 at an angle of 45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reflecting glasses 310 maintain the same angle.

반사부(300)를 지지하는 반사부지지대(35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빛의 반사를 최소화하고 외부반사를 흡수할 수 있는 검은색의 무광택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의 상부에는 영상출력기(21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211)가 씌워지는데, 이 영상출력부 커버(211)의 소재 또한 반사부지지대(350)와 같은 무광택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lector supporter 350 supporting the reflector 30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It is preferable to use a black matte material that minimizes light reflection and absorbs external reflection. A cover 211 for protecting the image output unit 210 is covered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image output unit 210 of the image output unit 200. The material of the image output unit cover 211 is also a reflector support unit 350. It is preferable to apply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atte light such as).

반사부(300)의 반사유리(310)에는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허상이 좀 더 선명하게 맺히게 하기 위하여 열차단 필름(311)이 코팅되거나 덧씌워진다.The heat shielding film 311 is coated or covered on the reflective glass 310 of the reflector 300 so that the virtual image of the image output from each of the image outputters 210 of the image outputter 200 is more clearly formed. Lose.

열차단 필름(311)의 농도는 주변 조도를 고려해 투과율 5∼50%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내부에서 가장 이상적인 투과율은 15~20%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부(300)를 통해 허상부(400)에 허상(410)이 투영되는 경우 반사부지지대(350) 및 영상출력부 커버(211)가 검은색 소재로 이루어져 빛을 흡수하므로 반사부(300)에는 허상이 맺히지 않게 된다.The concentration of the thermal barrier film 311 may be variously applied to transmittance of 5 to 50% in consideration of ambient roughness, and the most ideal transmittance of the inside is preferably about 15 to 20%. When the virtual image 410 is projected onto the virtual image 400 through the reflector 300, the reflector support 350 and the image output cover 211 are made of a black material to absorb light, thereby reflecting the light. There is no virtual image.

역 피라미드 형태로 설치된 반사유리(310)의 연장선이 만나는 꼭지점과 상하좌우에 위치한 영상출력부(200)의 각 영상출력기(210)와의 거리는 반사부(200)의 중심에 맺히는 허상의 높이와 같게 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es where the extension lines of the reflection glass 310 installed in the inverted pyramid form and the image output unit 210 of the image output unit 200 located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virtual imag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flector 200. .

또한, 본 실시예의 간섭방지부(770)는, 서랍(730)의 상단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린(772)과, 한 쌍의 스크린(772)의 단부를 지지하고, 서랍(73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봉부재(774)와, 한 쌍의 봉부재(774)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776)와, 서랍(7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크린(772)이 권취되는 드럼부재(777)와, 서랍(730)의 개방작동 및 폐쇄작동을 스크린(772)의 개방작동 또는 폐쇄작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제공부(75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part 77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screens 772 and the end of the pair of screens 772 which are installed to be protruded from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awer 730 in the center direction. A pair of rod members 774 which are supported and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top of the drawer 730, a first elastic member 776 connecting the pair of rod members 774, and a drawer 730. Rotatably installed in the drum member 777 on which the screen 772 is wound, and a power providing unit for converting the opening operation and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730 into the opening operation or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screen 772. 750.

따라서 제어부(114)의 수리작업 또는 교체작업이 요구되면 작업자가 착탈부(780)를 조작하여 서랍(73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고, 서랍(730)을 당기면서 중단프레임으로부터 서랍(730)을 배출시키면 동력제공부(750)의 작동에 의해 서랍(730)의 상부를 덮었던 스크린(772)이 서랍(73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측으로 벌어지면서 제어부가 서랍(730) 상부로 노출된다.Therefore, when a repair work or a replacement work of the control unit 114 is required, the operator operates the detachable part 780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drawer 730 and pulls the drawer 730 from the stopping frame while pulling the drawer 730. When discharged, the screen 772, which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730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750, opens towar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rawer 730, thereby exposing the controll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730.

이후에, 작업자는 서랍(730) 상부로 노출되는 제어부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되고,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폐쇄시키게 된다.Thereafter, the worker can replace or repair the control unit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awer 730, and when the replacement or repair work is completed, the worker closes the drawer 730 while sliding the inner side of the stop frame.

이때, 동력제공부(750)의 작동에 의해 서랍(730)이 중단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한 쌍의 스크린(772)이 서랍(730)의 전단부 및 후단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서랍(730)의 상부가 폐쇄되므로 제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영상출력부에 연결되는 케이블(734)이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면서 서랍(730) 및 중단프레임과 케이블(734)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drawer 730 is inserted into the stop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750 and the pair of screens 772 are moved from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rawer 730 to the center side. Since the upper part of the 730 is closed, the cable 734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the image output unit is coll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drawer 730 to prevent the drawer 730 and the stop frame from interfering with the cable 734. You can do it.

본 실시예의 서랍(730)의 전단부 내측 및 후단부 내측에는 각각 드럼부재(777)가 설치되고, 드럼부재(777)에 권취되는 스크린(772)은 서랍(730)의 상단부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한 쌍의 스크린(772) 외측 단부에는 각각 봉부재(774)가 연결되어 서랍(730)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rum member 777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rawer 73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reen 772 wound on the drum member 777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drawer 730 toward the center part. The rod members 774 are connected to the outer ends of the pair of screens 772 and are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drawer 730.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봉부재(774)에는, 한 쌍의 봉부재(774)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탄성부재(776)가 설치되므로 제1탄성부재(776)에서 제공되는 장력에 의해 봉부재(774)는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봉부재(774)에 연결되는 스크린(772)이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당겨지면서 드럼부재(777)로부터 풀리게 되어 서랍(730)의 상부를 폐쇄시키게 된다.The pair of rod members 774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members 776 connecting the pair of rod members 774 to the tension provid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776. The rod member 774 is pulled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drawer 730, and the screen 772 connected to the rod member 774 is pulled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drawer 730 while being released from the drum member 777 to draw the drawer ( The top of the 730 is closed.

상기한 바와 같은 봉부재(774)와 스크린(772)의 작동에 의해 제어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영상출력부에 연결되는 케이블(734)은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게 되므로 서랍(730)과 중단프레임 사이에 케이블(734)이 개재되면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able 734 extending upward from the control unit by the operation of the rod member 774 and the screen 772 as described above and connected to the image output unit is coll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drawer 730, and thus the drawer 730 and the drawer 730. As the cable 734 is interposed between the interrupt frame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본 실시예의 동력제공부(750)는, 드럼부재(777)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기어부재(779)와, 기어부재(779)와 기어연결되고 서랍(73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퀴 역할을 행하는 피니언부재(752)와,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피니언부재(752)와 기어연결되는 랙부재(754)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75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ar member 779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rum member 777, the gear is connected to the gear member 779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drawer 730 wheels And a rack member 754 installed to extend inside the suspension frame and gear-connected with the pinion member 752.

따라서 작업자가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당기면 피니언부재(752)가 랙부재(754)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피니언부재(752)에 기어연결되는 기어부재(779)가 회전되면서 드럼부재(777)를 회전시키고, 드럼부재(777)에 권취되는 스크린(772)이 드럼부재(777)에 감기면서 서랍(730)의 내부를 개방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pulls the drawer 730 to the outside of the stop frame, the pinion member 752 rotates and moves along the rack member 754, and the gear member 779 geared to the pinion member 752 is rotated and the drum is rotated. The member 777 is rotated and the screen 772 wound around the drum member 777 is wound around the drum member 777 to open the inside of the drawer 730.

제어부(114)의 교체작업 또는 수리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작업자가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피니언부재(75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기어부재(779) 및 드럼부재(777)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봉부재(774) 및 스크린(772)을 당기던 장력이 해제되고, 제1탄성부재(776)의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봉부재(774)가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스크린(772)을 당겨 서랍(730)의 상부를 폐쇄시키게 된다.After the replacement or repair work of the control unit 114 is finished, the operator inserts the drawer 730 into the middle of the stop frame. At this time, the pinion member 752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gear member 779 and the drum member ( By rotating the 777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tension pulling the rod member 774 and the screen 772 is released, and the pair of rod members 774 are pulled out of the drawer 73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776. The screen 772 is pulled to close the top of the drawer 730 while being moved toward the center side.

이때, 봉부재(774)에 의해 가압되는 케이블(734)들이 서랍(730)의 중앙부 측으로 모아지게 되므로 서랍(730)이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될 때에 케이블(734)과 서랍(730)이 간섭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ables 734 pressed by the rod member 774 are collected toward the center portion of the drawer 730, the cable 734 and the drawer 730 interfere with the drawer 730 when the drawer 730 is inserted into the stop fram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서랍(730)이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착탈부(780)의 작동에 의해 서랍(730)의 닫힘상태가 구속되는데, 본 실시예으 착탈부(780)는, 중단프레임의 입구부에서 중앙 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782)와, 후크부재(782)와 걸림결합되도록 서랍(730)에 형성되는 걸림홈부(784)와, 후크부재(782)를 서랍(730) 측으로 가압하여 돌출시키는 제2탄성부재(786)와, 제2탄성부재(786)를 압축시키면서 후크부재(782)를 후퇴시키도록 후크부재(782)의 배면으로부터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이어와,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788)를 포함한다.When the drawer 730 is fully inserted into the stop frame, the closing state of the drawer 730 is restricted by the operation of the detachable part 78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achable part 780 is moved from the inlet part of the stop frame to the center side. The hook member 782 which is installed to be protruding, the locking groove 784 formed in the drawer 730 to be engaged with the hook member 782, and the hook member 782 to protrude by pressing the hook member 782 toward the drawer 730 side. The second elastic member 786, an outer wire extending outward from the stopping fram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member 782 to retract the hook member 782 while compress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786, and an end portion of the wire It includes a lever member 788 is installed.

따라서 작업자가 서랍(730)을 중단프레임 내측으로 삽입하면 서랍(730)의 모서리에 의해 가압되어 후크부재(782)가 후퇴되면서 제2탄성부재(786)가 압축되고, 서랍(7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탄성부재(786)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부재(782)가 돌출되면서 걸림홈부(784)에 걸림결합되어 서랍(730)의 닫힘상태를 구속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drawer 730 into the stop frame, the second elastic member 786 is compressed while the hook member 782 is pushed back by the edge of the drawer 730 and the insertion of the drawer 730 is performed. When completed, the hook member 782 protrudes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786 and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784 to restrain the closed state of the drawer 730.

이후에, 서랍(730)을 개방할 때에는 레버부재(788)를 외측 방향으로 당겨 제2탄성부재(786)를 압축시키면서 후크부재(782)를 후퇴시킬 수 있어 서랍(730)의 걸림결합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Subsequently, when opening the drawer 730, the hook member 782 may be retracted while the lever member 788 is pulled outward to compress the second elastic member 786, thereby reduc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drawer 730. It can be released.

이로써, 터널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에 터널 중앙부에 위치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고, 사람들이 대피하는 동안 터널 내부에 발생되는 유해가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운전자들에게 홀로그램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운전자도 쉽게 화재 발생여부를 인지하여 미연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tunnel, peopl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tunnel can easily escap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human injury caused by harmful gas generated inside the tunnel while people are evacuated. If a fire breaks out, a warning message consisting of holographic images is output to the drivers so that drivers who are located far from the fire area can easily recognize the fire and evacuate it. I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또한,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유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e-saving induction apparatus in case of road tunnel fire wa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in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ther products other than the life-saving induction device in case of road tunnel fir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 : 터널 12 : 인도
30 : 대피출구 50 : 슬라이드통로
70 : 급수부 72 : 노즐
74 : 공급관 76 : 밸브
77 : 펌프 78 : 탱크
78a : 거름망 80 : 배기덕트
82 : 배기홀부 84 : 배풍팬
90 : 송풍팬 90a : 지지패널
90 : 센서 100 : 제어부
10: tunnel 12: sidewalk
30: evacuation exit 50: slide passage
70: water supply part 72: nozzle
74: supply pipe 76: valve
77 pump 78 tank
78a: sieve 80: exhaust duct
82: exhaust hole portion 84: exhaust fan
90: blower fan 90a: support panel
90 sensor 100 control unit

Claims (4)

터널의 일측에 구비되는 인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대피출구;
유해가스를 상기 터널의 타측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인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터널의 타측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터널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기덕트;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터널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풍팬;
상기 대피출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 외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통로;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운전자가 진입하면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하단 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터널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대피출구에 대향되는 터널 내부 공간에 허상의 홀로그램 영상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자가 화재발생여부를 확인하고, 홀로그램 영상이 구현되는 대피출구를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터널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슬라이드통로의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노즐;
상기 노즐과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밸브;
상기 공급관에 설치되고, 물을 상기 노즐 측으로 압송하는 펌프;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우수가 담기도록 상면 일부분이 개방되고, 개방되는 상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름망이 설치되는 탱크;
상기 대피출구를 통해 상기 슬라이드통로에 운전자가 진입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펌프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대피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여부 및 대피 방향을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수평면과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기울게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을 투과 굴절시켜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의 허상을 공중의 허상부에 투영하는 반사부;
상기 영상출력부가 설치되는 커버프레임;
상기 커버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제어부가 수납되는 서랍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단프레임;
상기 서랍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서랍을 상기 중단프레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서랍이 개폐될 때에 상기 영상출력부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상기 서랍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서랍의 상단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중앙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린;
한 쌍이 상기 스크린의 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서랍의 상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봉부재;
한 쌍의 상기 봉부재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서랍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이 권취되는 드럼부재; 및
상기 서랍의 개방작동 및 폐쇄작동을 상기 스크린의 개방작동 또는 폐쇄작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인명 대피 유도장치.
An evacuation outlet installed adjacent to a sidewalk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unnel;
A blowing fan install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sidewalk disposed adjacent to the evacuation outlet to blow harmful gas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An exhaust duct installed in the ceiling of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and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and extending outside the tunnel;
An exhaust fan installed in the exhaust duct to discharge harmful gas generated in the tunnel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A slide passag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evacuation exit and formed to be inclined lowered to the outside of the tunnel;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so that water flows from an upper end of the slide passage to a lower end of the slide passage when the driver enters through the evacuation outlet; And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tunnel, a virtual hologram video signal is output to the space inside the tunnel facing the evacuation exit, and the driver check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moves out of the tunnel at the beginning of the fire along the evacuation exit where the hologram image is implemented. Includes an output that allows evacuation,
The water-
A plurality of nozzle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lide passage;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nozzle and supplying water;
A valve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to open or shut off the supply pipe;
A pump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for feeding water to the nozzle side;
A tank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has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opened so as to contain rainwater and in which a filtering net is provided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opened upper surface;
A sensor for detecting a driver's entry into the slide passage through the evacuation exit and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pump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open the valve when a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The output unit includes:
An image output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evacuation outlet and outputting an image of fire occurrence and evacuation direction;
A reflection unit installed to be inclined to maintain an angle of 45 degrees with the output horizontal plane of the image output unit to transmit and refract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to project a virtual imag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output image of the image output unit to the virtual image of the air;
A cover frame in which the image output unit is installed;
A stop frame supporting the cover frame and having a drawer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received;
A detachable part for keeping the drawer closed and opening the drawer to the outside of the stop fram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nd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a cable connecting the image out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from interfering with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opened and closed by an operation of the detachable unit.
The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A pair of screens installed to be protruded from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rawer toward the center;
A pair of rod members supporting an end of the screen and slidably installed along an upper end of the drawer;
A first elastic member connecting a pair of the rod members;
A drum memb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drawer and the screen being wound; And
Life-saving induction device in the event of a road tunnel fi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converting the opening operation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rawer to the opening operation or closing operation of the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70994A 2018-12-27 2018-12-27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 Active KR1020067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994A KR102006771B1 (en) 2018-12-27 2018-12-27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994A KR102006771B1 (en) 2018-12-27 2018-12-27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771B1 true KR102006771B1 (en) 2019-08-02

Family

ID=6761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994A Active KR102006771B1 (en) 2018-12-27 2018-12-27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77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791A (en) * 2020-09-04 2020-12-01 广西交通设计集团有限公司 Hidden karst treatment method
KR20210157776A (en) * 2020-06-22 2021-12-29 (주)지승씨앤아이 Semi-Open Underpath structure using hat shape precast module for Bus Rapid Transit
KR102426442B1 (en) 2022-01-04 2022-07-29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Eye-catching device for tunnels that can respond to fire emergencies
CN116398226A (en) * 2023-05-12 2023-07-07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Telescopic safety channel for tunnel
KR102717672B1 (en) 2023-12-27 2024-10-15 모건인프라주식회사 Fire escape apparatus in road tunne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387A (en) * 1997-03-18 2000-12-26 모리시타 요이찌 Optical display
KR101437596B1 (en) * 2013-07-31 2014-09-04 (주)설화엔지니어링 Disaster prevention apparatus for tu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387A (en) * 1997-03-18 2000-12-26 모리시타 요이찌 Optical display
KR101437596B1 (en) * 2013-07-31 2014-09-04 (주)설화엔지니어링 Disaster prevention apparatus for tunne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776A (en) * 2020-06-22 2021-12-29 (주)지승씨앤아이 Semi-Open Underpath structure using hat shape precast module for Bus Rapid Transit
KR102529071B1 (en) * 2020-06-22 2023-05-08 (주)지승씨앤아이 Semi-Open Underpath structure using hat shape precast module for Bus Rapid Transit
CN112012791A (en) * 2020-09-04 2020-12-01 广西交通设计集团有限公司 Hidden karst treatment method
KR102426442B1 (en) 2022-01-04 2022-07-29 주식회사 케이알산업 Eye-catching device for tunnels that can respond to fire emergencies
CN116398226A (en) * 2023-05-12 2023-07-07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Telescopic safety channel for tunnel
CN116398226B (en) * 2023-05-12 2023-11-14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Telescopic safety channel for tunnel
KR102717672B1 (en) 2023-12-27 2024-10-15 모건인프라주식회사 Fire escape apparatus in road tunn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771B1 (en) Evacuation device for people in case of fire on read tunnel
KR102006770B1 (en) Road tunnel fire suppression and rescue system
KR102426442B1 (en) Eye-catching device for tunnels that can respond to fire emergencies
JP6510320B2 (en) Tunnel emergency equipment
JP5015860B2 (en) Tunnel fire extinguisher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KR101560348B1 (en) Hydrant box for tunnel
KR101437596B1 (en) Disaster prevention apparatus for tunnel
JP2017056020A (en) Hydrant apparatus
KR102272276B1 (en) Indoor fire hydrant for building firefighting
JP4270423B2 (en) Fire hydrant device for tunnel
KR102369693B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fire-fighting ventilation in apartment houses
KR100443177B1 (en) a bystreet fire truck
KR101673577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onitor installed on vehicle roof
JP2006187432A (en)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for specific space
JP6894224B2 (en) Fire extinguisher box
KR102301515B1 (en) Rooftop door automatic opening control system in case of fire in apartment houses
CN109026147A (en) A kind of protection of Road Tunnel Safety and information interaction system
RU2191612C2 (en) Fire-fighting-rescue complex
KR20240027417A (en) Fire hydrant box for emergency
JP2884540B2 (en) Indoor fire hydrant box
KR20110022916A (en) Fire hose protection cover of forest fire extinguishing vehicle
CN214301974U (en) Safe type has fire hydrant of anticollision effect
CH703083B1 (en) retractable smoke shield gallery for confined spaces.
JP2020168438A (en) Fire hydrant equipment and fire hydrant equipment in the tunnel
KR102796499B1 (en) Fire response outdoor power supply using I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