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571B1 - 듀얼 팬 쿨링 모듈 - Google Patents

듀얼 팬 쿨링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571B1
KR102002571B1 KR1020140010520A KR20140010520A KR102002571B1 KR 102002571 B1 KR102002571 B1 KR 102002571B1 KR 1020140010520 A KR1020140010520 A KR 1020140010520A KR 20140010520 A KR20140010520 A KR 20140010520A KR 102002571 B1 KR102002571 B1 KR 102002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eat exchanger
air
area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642A (ko
Inventor
박대석
김병주
최정범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571B1/ko
Priority to RU2014106970/06U priority patent/RU150752U1/ru
Publication of KR2015008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5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팬 쿨링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냉각수 순환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라디에이터 및 냉매압축사이클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조립체;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팬;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팬; 및 상기 제1 및 제2 팬을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팬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비중첩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팬 모두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팬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쉬라우드는, 상기 중첩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팬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쉬라우드는, 상기 제2 팬을 네 모서리에서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중첩 영역 내로 연장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듀얼 팬 쿨링 모듈{COOLING MODULE WITH DUAL FAN}
본 발명은 듀얼 팬 쿨링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장착되는 쿨링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 중에는 차량의 엔진 또는 각종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이 발생되며, 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 장착되게 된다. 아울러, 차량의 실내를 설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공조장치도 함께 구비되게 되는데, 냉각 사이클을 이용한 공조장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냉각장치에 구비되는 라디에이터 및 응축기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앞부분에 장착되며, 주행중에 생기는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라디에이터 또는 응축기 내부를 통과하는 열전달 매체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라디에이터 또는 응축기와 같은 열교환기는, 소위 프론트 엔드 모듈로 불리우는 조립체 내에 장착되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계없이 충분한 냉각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팬-쉬라우드 조립체와 함께 쿨링 모듈을 구성한다. 상기 팬-쉬라우드 조립체는 상기 열교환기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지지하면서 그 주위를 둘러싸 보호하는 쉬라우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열교환기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공기를 송풍하는 하나의 팬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열교환기의 높이에 비해서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두 개의 팬을 열교환기의 일측면에 배치한 형태의 듀얼 팬 쿨링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듀얼 팬 쿨링 모듈이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7-230519에 개시된 바 있고, 이를 도 1에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팬(1, 2)이 쉬라우드(3)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각각의 팬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열교환기(미도시)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공기의 흐름이 야기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팬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팬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열교환기의 전면에 배치되어 열교환기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푸셔 타입팬과, 열교환기의 배면에 배치되어 열교환기의 전면에 존재하는 공기를 열교환기측으로 빨아들이는 풀러 타입팬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푸셔 타입팬 보다는 풀러 타입팬이 송풍 효율이 좋을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상기 도 1에 도시된 듀얼 팬 쿨링 모듈에 있어서도 두 개의 팬이 열교환기의 배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엔진룸 구조에 따라 열교환기의 배면에 두 개의 팬을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가령, 상기 열교환기에 구비되는 리저버 탱크가 열교환기의 배면 중앙측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리저버 탱크와의 간섭으로 인해서 두 개의 팬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불가피하게 두 개의 팬을 열교환기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하여야 하지만, 상기 도 1에 도시된 형태에 비해서는 통풍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보다 고성능의 구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비용증가를 초채할 뿐더러 소음과 내구성의 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푸셔 및 풀러 타입팬을 혼용하더라도 통풍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듀얼 팬 쿨링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냉각수 순환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라디에이터 및 냉매압축사이클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조립체;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팬;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팬; 및 상기 제1 및 제2 팬을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팬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비중첩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팬 모두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팬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쉬라우드는, 상기 중첩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팬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쉬라우드는, 상기 제2 팬을 네 모서리에서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중첩 영역 내로 연장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가 상기 관통공의 주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브라켓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첩 영역은 두 개의 비중첩 영역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중첩 영역은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첩 영역이 상기 비중첩 영역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첩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팬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1 면에 제1 송풍영역을,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에 제2 송풍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송풍영역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팬 조립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팬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송풍영역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 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송풍영역 각각은 상기 열교환기의 제1 또는 제2 면의 면적보다 작고, 그 합은 상기 열교환기의 제1 또는 제2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팬 조립체는 제1 팬 및 상기 제1 팬을 고정하는 제1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쉬라우드는 상기 제2 송풍영역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팬 조립체는 제2 팬 및 상기 제2 팬을 고정하는 제2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쉬라우드는, 상기 제2 팬을 네 모서리에서 감싸며 고정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제1 송풍영역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열교환기 조립체의 전후면에 각각 팬을 설치하되, 열교환기 조립체의 전후면 사이에서 두 개의 팬이 서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을 둠으로써, 설치될 수 있는 팬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용량의 구동모터를 사용할 수 있어, 송풍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소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중첩 영역이 각각의 팬의 크기 보다는 작도록 함으로써, 푸쉬 타입팬과 풀러 타입팬이 중첩될 때 야기될 수 있는 효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중첩 영역에 위치하는 브라켓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제1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의 저항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첩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쉬라우드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제2 팬으로 보다 많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에 가이드 부를 형성하여, 관통공 전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이드 부가 비드를 포함하므로 관통공 형성으로 인한 강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듀얼 팬 쿨링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모듈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냉각회로 및 냉매압축사이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모듈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실시예가 적용되는 냉각회로 및 냉매압축사이클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회로(10)는 엔진(E)으로부터 도입된 고온의 냉각수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각하는 라디에이터(12)를 포함하고, 상기 냉매압축사이클 장치(2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기(22)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24)를 포함한다.
상기 라디에이터(12)와 응축기(24)는 차량의 전면에 나란히 배치되며, 후술할 팬 또는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야기되는 주행풍을 이용하여, 공기를 도입함으로써 그 내부를 통과하여 흐르는 냉각수 및 냉매를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라이에이터 및 응축기는 알려진 형태의 것들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구체적인 동작원리 또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모듈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100)는 상술한 라디에이터(12)와 응축기(22)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조립체, 상기 응축기(24)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팬 조립체(110) 및 상기 라디에이터(12)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 팬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 상에서 전후 및 좌우라는 용어는 차량의 전후 및 좌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팬 조립체(110)는 제2 팬 조립체(12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차량의 전면부와 가깝게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제1 팬 조립체(11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응축기(24)에 도달하는 영역, 즉 송풍 영역(S1)은 응축기(24)의 전체 면적에 비해서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상기 응축기(24)의 전면 중 상기 송풍 영역(S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S2)으로는 외부 공기가 자유롭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역(S1)은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며, 그 우측 단부는 상기 응축기(24)의 우측 단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가급적 상기 영역(S1)이 응축기(24)의 최우측 단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응축기(24)에는 후술할 리시버 드라이어(26)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팬 조립체(110)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6)가 간섭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우측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팬 조립체(120)의 송풍 영역(S3)은 상기 송풍 영역(S1)과는 반대로 라디에이터(12)의 좌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 영역(S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S4)에서 상기 라디에이터(12)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다만, 상기 두 개의 팬 조립체 각각의 송풍 영역의 합이 상기 응축기 또는 라이에이터의 일측면의 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서로 중첩되는 중첩 영역(S12)이 존재한다. 상기 중첩 영역(S12)은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첩 영역(S12)에서는 열교환기 조립체의 전면 및 배면이 모두 상기 두 개의 팬 조립체에 의해 덮혀있게 된다.
상기 제1 팬 조립체(110)는 도 3에서 하향으로 송풍하여 푸셔 팬에 해당되고, 제2 팬 조립체(120)도 제1 팬 조립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송풍하여 풀러 팬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S2)에서는 제2 팬 조립체(120)에 의해서 송풍이 이루어지고, 영역(S4)에서는 제1 팬 조립체(110)에 의해서 송풍이 이루어지며, 상기 중첩 영역(S12)에서는 제1 및 제2 팬 조립체 모두에 의해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두 개의 팬 조립체를 배치함으로써, 열교환기 조립체의 전 영역에 걸쳐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 및 라디에이터는 정사각형이 아니라 일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하나의 송풍팬만으로 응축기 또는 라디에이터 전면에 걸쳐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즉, 상기 팬 조립체에 포함될 수 있는 팬의 직경은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높이(도 3의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을 따른)에 의해 제한되므로, 필연적으로 상기 영역(S2, S4)와 같이 송풍팬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영역이 생기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팬 조립체를 중첩 영역이 생성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정해진 크기의 열교환기 조립체에 대해서 최대의 송풍량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중첩 영역(S12)의 면적은 상기 각각의 송풍 영역(S1, S3)의 면적보다는 작게 설정된다. 만일, 상기 중첩 영역(S12)의 면적이 각각의 송풍 영역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 즉 어느 하나의 팬 조립체의 송풍 영역 전부가 다른 하나의 송풍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송풍되는 대부분의 공기가 제1 및 제2 팬 조립체 모두를 통과하여 흐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풀러 타입의 팬이 푸셔 타입의 팬 보다 송풍 효율이 높으며, 푸셔 팬과 풀러 팬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팬이 다른 하나의 팬의 작동에 저항으로서 작용할 수 있어 송풍 효율이 오히려 저하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 영역의 크기를 각각의 송풍 영역보다는 작게 설정하면 그러한 송풍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열교환기 전체에 걸쳐서 충분한 정도의 송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팬 조립체는 반드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일 예로 상기 제1 팬 조립체가 좌측에, 제2 팬 조립체가 우측에 배치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팬 조립체(1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팬 조립체(110)는 구동모터(112)와 상기 구동모터(112)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팬(114)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블레이드는 허브의 외주부에 방사상으로 고정되고, 상기 허브에 상기 회전축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112)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팬(114)을 수용하는 제1 쉬라우드(116)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쉬라우드(116)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직사각형의 꼭지점 부근에는 상기 응축기(24)에 체결되는 볼트를 위한 체결공(116a)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쉬라우드(116)는 상기 응축기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기(24)는 그 양단부에 각각 헤더(24a)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헤더(24a)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튜브 및 상기 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응축기 코어(24b)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헤더(24a) 중 하나에는 냉매압축사이클 장치를 순환하는 냉매에 포함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리시버 드라이어(26)가 설치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6)는 상기 헤더(24a)로부터 상기 코어(24b)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쉬라우드(116)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6)와 간섭되지 않도록, 도 4에서 우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배치되나,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26)와 같은 간섭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코어(24b)의 좌측단부와 일치하거나 그보다 좌측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쉬라우드(116) 중 우측에 위치한 일부분은 상술한 중첩 영역(S12)에 놓이게 된다. 그 중에서, 상기 블레이드가 위치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팬 조립체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공(116b)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6b)의 형상은 상기 제1 쉬라우드의 강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체결공(116a)과 인접한 두 개의 지점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공(116b)의 주위에는 리브(118)가 상기 제1 쉬라우드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118)는 관통공 형성으로 인한 강성 저하를 방지하는 한편, 관통공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여 관통공 전후에서의 압력저하를 최소화하는 가이드 부로서도 기능한다. 도 5에서는 상기 리브(118)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단부로 갈수록 이격되는, 즉 디퓨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로 돌아가서, 상기 제1 쉬라우드 중 중첩 영역이 아닌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관통공을 형성하는 경우 강성을 저하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중첩 영역이 아닌 경우에는 유로 저항 개선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팬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관통공을 통해서 재유입될수 있으므로, 상기 중첩 영역에만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팬 조립체(1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팬 조립체(120) 역시 제1 팬 조립체와 동일하게, 구동모터(122), 팬(124) 및 제2 쉬라우드(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라디에이터(12)는 양측면에 헤더(12a)를 포함하고, 상기 헤더 사이에 라이에이터 코어(1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쉬라우드(126)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고정 브라켓(126a)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해서 상기 라디에이터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 중 일부는 상기 중첩 영역(S12)에 포함되며, 이들 고정 브라켓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관통공(126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6a)은 상기 제1 팬 조립체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브도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 쉬라우드와 달리 제2 쉬라우드의 본체는 상기 중첩 영역에도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 팬 조립체에 구비되는 팬은 풀러 타입이므로 관통공을 형성하더라도 팬의 흡입압으로 인해서 관통공이 아니라 팬 측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관통공을 형성하더라도 압력저하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상기 고정 브라켓 측에만 관통공을 형성한다. 다만, 상기 팬의 면적보다 상기 제2 쉬라우드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흐름저항을 줄이는 데 유리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냉각수 순환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라디에이터 및 냉매압축사이클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응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조립체;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팬;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타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팬; 및
    상기 제1 및 제2 팬을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는 상기 제1 및 제2 팬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비중첩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팬 모두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첩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팬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쉬라우드는, 상기 중첩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팬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쉬라우드는, 상기 제2 팬을 네 모서리에서 감싸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중첩 영역 내로 연장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가 상기 관통공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브라켓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은 두 개의 비중첩 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로 하는 쿨링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첩 영역은 상기 열교환기 조립체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중첩 영역이 상기 비중첩 영역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 팬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
  9. 제1 면에 제1 송풍영역을,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에 제2 송풍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송풍영역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 팬 조립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팬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송풍영역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 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송풍영역 각각은 상기 열교환기의 제1 또는 제2 면의 면적보다 작고, 그 합은 상기 열교환기의 제1 또는 제2면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제1 팬 조립체는 제1 팬 및 상기 제1 팬을 고정하는 제1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쉬라우드는 상기 제2 송풍영역으로 공기를 전달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팬 조립체는 제2 팬 및 상기 제2 팬을 고정하는 제2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쉬라우드는, 상기 제2 팬을 네 모서리에서 감싸며 고정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열교환기와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 송풍영역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모듈.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10520A 2014-01-28 2014-01-28 듀얼 팬 쿨링 모듈 KR10200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20A KR102002571B1 (ko) 2014-01-28 2014-01-28 듀얼 팬 쿨링 모듈
RU2014106970/06U RU150752U1 (ru) 2014-01-28 2014-02-26 Охлаждающий модуль с двумя вентиляторами (вариант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520A KR102002571B1 (ko) 2014-01-28 2014-01-28 듀얼 팬 쿨링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642A KR20150089642A (ko) 2015-08-05
KR102002571B1 true KR102002571B1 (ko) 2019-07-23

Family

ID=5329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520A KR102002571B1 (ko) 2014-01-28 2014-01-28 듀얼 팬 쿨링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2571B1 (ko)
RU (1) RU150752U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438Y1 (ko) * 1999-04-01 2005-04-2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냉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355A (ko) * 2006-02-10 2007-08-1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한 차량용 엔진냉각장치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438Y1 (ko) * 1999-04-01 2005-04-2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150752U1 (ru) 2015-02-27
KR20150089642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220B2 (ja) 冷却装置
US9765989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0072670B2 (en) Fan shroud assembly
US9702588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10007132A (ko) 공조 및 냉각시스템을 위한 공랭식 2단 콘덴서
US961821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629854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2002571B1 (ko) 듀얼 팬 쿨링 모듈
KR101784881B1 (ko) 팬 슈라우드 조립체
JP2009113775A (ja) 車両用冷却装置
US11982287B2 (en) Fan shroud assembly
KR20130077518A (ko) 팬쉬라우드 조립체
KR102010920B1 (ko) 팬 쉬라우드
US9696062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2439434B1 (ko) 차량용 팬 슈라우드
KR100935078B1 (ko) 차량용 팬 쉬라우드 구조
KR20160090249A (ko) 차량용 팬 슈라우드
KR20160013653A (ko) 쿨링 모듈
KR20170007603A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US990338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372707B1 (ko)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를 위한 자동차의 냉각팬 조립체
KR102039435B1 (ko) 쿨링팬
US20240141920A1 (en) Fan shroud assembly
KR101566723B1 (ko) 차량용 냉각팬 쉬라우드
KR20150071981A (ko) 듀얼팬 일체형 팬 쉬라우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