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638B1 - Steel composite beam with steel materials on a pair of h-beams - Google Patents

Steel composite beam with steel materials on a pair of h-bea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638B1
KR101991638B1 KR1020180154238A KR20180154238A KR101991638B1 KR 101991638 B1 KR101991638 B1 KR 101991638B1 KR 1020180154238 A KR1020180154238 A KR 1020180154238A KR 20180154238 A KR20180154238 A KR 20180154238A KR 101991638 B1 KR101991638 B1 KR 10199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eams
steel
composit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2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미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이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filed Critical 이정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6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ion beam with a section steel material on a pair of H-beams, including: a pair of H-beams facing each other to be provided thereon; a board in which both end portions are fixed to each lower flange of the pair of H-beams to be provided; and a pair of U-shaped or L-shaped section steels installed on each upper flange of the pair of H-beams, wherein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shaped or L-shaped section steel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surface-to-surface manner.

Description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STEEL COMPOSITE BEAM WITH STEEL MATERIALS ON A PAIR OF H-BEAMS}[0001] STEEL COMPOSITE BEAM WITH STEEL MATERIALS ON A PAIR OF H-BEAMS [0002]

본 발명은 강재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material composite sheet.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콘크리트 양생기간 동안 액상 상태의 콘크리트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거푸집이 필요하며, 시공시 구조적 안전과 처짐을 제어하기 위해 장선, 멍에 및 동바리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이러한 거푸집의 탈형, 동바리 해체 등의 추가적인 공정이 수반되므로 시공이 번거로우며 공사기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require formwork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liquid concrete during the concrete curing period. In order to control the structural safety and deflection during construction, joists, yokes and torsion are necessary. Therefore,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accompanied by additional processes such as demolding and demolition of the formwork,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construction is troublesome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prolonged.

철골구조는 시공시 별도의 가설작업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재료비가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비싸고 강재가 노출되어 내구성 및 내화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The steel frame structure does not require any additional work during construction, but has a problem that the material cost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 steel is exposed, and durability and fire resistance are poor.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철골구조의 문제점을 상호보완하기 위하여 강콘크리트 합성보가 개발되어 왔다.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재 보와 콘크리트가 단일부재로 거동하도록 구현하여 휨모멘트를 받을 때 압축응력의 대부분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고 인장응력은 강재가 부담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부재로써 보의 춤을 줄여 건축구조물의 층고를 줄일 수 있고 보 단면의 저항강도와 저항강성 증대로 장 스팬 구조물이 가능하게 하며 극한성능이나 변형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Composite steel composite beams have been developed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steel structures. Steel Concrete Composite steel beam and concrete are made to behave as a single member, so that when the bending moment is applied, most of the compressive stress is made to be borne by the concrete and tensile stress is made to be imposed by the steel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ratification of the beam span and to increase the resistance strength and resistance stiffness of the beam section, thereby enabling the long span structure and increasing the extreme performance and deformation performance.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오랜 기간 동안 여러 형상이 개발되어 왔는데, 강재의 단면을 구조부재의 인장측 외피에 집중배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강판 영구 거푸집형 합성보가 그 중 하나이다. 강판에 의해 콘크리트가 구속됨으로 휨 강성이 증가되며 콘크리트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균열과 중성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보와 슬래브의 콘크리트가 일체로 타설되어 양생되므로 구조적 일체성이 확보되고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공법이다.Steel Concrete Composite has been developed for a long time, one of which is a steel plate permanent composite composite beam in which the section of steel is concentrated on the tensile side of the structural member and the concrete is filled in. Since the concrete is confined by the steel plate, the flexural rigidity is increased and the concrete is not expo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cracks and neutralization,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In addition, since the concrete of the composite beam and the slab is cured by being poured integrally, it is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because structural integrity is secured and no separate formwork is used.

근래에는 건물이 초고층화 기조에 맞추어 공간에 효율성 과 공사비 절감이라는 경제성에 착안하여 많은 건축물에 합성보가 확대하여 적용, 및 사용되고 있으나 많은 대다수의 합성보들이 성형 및 절곡공정 등의 2차 가공에 원재료비의 30~40%까지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비용은 고스란히 소비자의 부담이 된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omposite beams has been expanded and applied to many buildings due to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space and cost reduction in the space according to the super high-rise structure of the building. However, most of the composite beams are subjected to secondary processing such as molding and bending process, To 40%, which is a burden on consumers.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강재의 성형이나 절곡공정 없이 이미 생산 가공된 형강재만으로 일체화하여 합성보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u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long studied and made trial and error 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beam by integrating only a steel material that has been produced and manufactured without a forming or bending process of a steel material.

본 발명은 강재의 성형이나 절곡없이 표준화되어 생산된 형강재만으로 일체화하여 구조적 성능 및 경제성 그리고 시공성이 우수한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steel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disposed on a pair of H-beams having excellent structural performance, economical efficiency, and workability by being standardized without forming or bending a steel material.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unspecified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asily deduced from the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마주보고 배치되는 한 쌍의 H-빔;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comprising: a pair of H-beams facing each other;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 각각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판재; 및A plate having both ends fixedly disposed on each of the lower flanges of the pair of H-beams; And

한 쌍의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의 하부는 서로 면대면으로 고정결합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 pair of ' C ' or ' ' ' shaped < RTI ID = 0.0 > profiled < / RTI > beams mounted on each of the upper flanges of the pair of H- Facing each other face-to-face; ≪ / RTI >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제공한다.And a steel composite beam having a pair of H-beam-shaped steel materials disposed there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한 쌍의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바(bar)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he '-shaped' or '-shaped' shaped steel ba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prevent a pair of the ' And may further comprise a plurality of first ba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제1 바는 평평한 플랫바(flat bar)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irst bars may include a flat b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 각각에 고정되되,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portions may be fixed to the upper flanges of the pair of H-beams,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b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와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may be further provided for vertically connecting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nd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기둥과의 결합을 위하여 단부의 중앙부에 상기 H-빔과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는 결합용 H-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beam and the coupling H-beam corresponding to the total height of the 'C' or 'B'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결합용 H-빔의 양측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한 쌍의 결합용 'Z'자 형강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joining 'Z' shaped girders for pouring concrete may be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joining H-beam.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이용하면 강재의 성형이나 절곡없이 표준화된 일반 형강재만으로 일체화하여 구조적 성능 및 경제성 그리고 시공성이 우수한 합성보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By using a steel material composite beam having a pair of H-beams form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omposite beam having excellent structural performance, economical efficiency, and workability by integrating the standard steel with only standardized steel without molding or bending of the steel.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 the effect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which i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potential effects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고, 상부에 슬래브가 일체화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가 기둥과의 결합을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가 기둥과의 결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beam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beam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dispos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at a concrete material is filled in a steel material composite beam having a pair of H-beam-shaped steel materials disposed there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abs are integrated into the upper part.
FIG. 4 is a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beam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nd portion of a steel material composite beam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 steel composite beam having a pair of H-beams on a steel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ditional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colum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beam having a pair of H-beams and a steel material disposed on the pair of H-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steel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pair of H-beam-shaped steel material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나타낸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beam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는 한 쌍의 H-빔(100), 판재(200) 및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steel material composite having a pair of H-beams and a pair of H-beams 100, And includes a shaped steel section 300.

한 쌍의 H-빔(100)은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다. 판재(200)는 한 쌍의 H-빔(100)의 하부 플랜지 각각에 고정된다. 즉, 마주보고 배치되는 한 쌍의 H-빔(100)의 하단부 즉 양 측의 하부 플랜지와 판재(200)는 서로 고정되어 일체화된다. 양 측의 하부 플랜지와 판재(200)는 가용접후 볼트로 체결되어 일체화 될 수 있다. A pair of H-beams 100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Plate 200 is secured to each of the lower flanges of a pair of H-beams 100. That is,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pair of H-beams 100 facing each other, that is, the lower flanges on both sides and the plate member 20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integrated. The lower flange on both sides and the plate member 200 can be fastened together by means of a bolt to be assembled.

하부 플랜지와 판자의 일체화에 필요한 볼트의 개수 및 접합 시공 간격, 용접의 두께 등은 구조계산으로 산출될 수 있다.The number of bolts requir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lower flange and the plate, the spacing of the joints, and the thickness of the welds can be calculated by structural calculation.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한 쌍의’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은 한 쌍의 H-빔(100)의 상부 플랜지 각각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a pair of 'C' shaped or 'C' shaped sections 300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upper flanges of the pair of H-beams 100.

H-빔의 상부 플랜지와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의 하부는 서로 면대면으로 결합되어 일체화 될 수 있다. 이때 H-빔의 상부 플랜지와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의 하부는 용접 및 복수의 볼트를 통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and the lower part of the " C " or " B " shaped section steel 300 may be joined to each other in face-to- At this time,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 or 'B' shaped steel 300 may be welded and integrated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beam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dispos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는 복수의 제1 바(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바(400)는 한 쌍의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teel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shaped steel material is dispos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bars 400. The plurality of first bars 4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a pair of 'c' shaped or 'b' shaped sections 300, and a pair of 'c'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tortion and the like.

복수의 제1 바(400)는 평평한 플랫바로 형성될 수 있다. 평평한 플랫바로 형성되어 한 쌍의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 사이를 강하게 연결하여 일체화시킨다.The plurality of first bars 400 may be formed as flat flat bars. Flat flat bars are formed, and a pair of 'C' shaped or 'B' shaped steel bars 300 are strongly connected and integra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내부에 콘크리트(C)가 채워지고, 상부에 슬래브(S)가 일체화 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3 is a view showing that a concrete material C is filled in a steel material composite beam on which a pair of H-beam-shaped steel material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ab S is integrated on the upper part.

H-빔의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는’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은 합성보와 분리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거푸집 역할을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C) 타설 후 합성보의 인장과 압축을 극대화함으로써 보의 춤(높이)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합성보 중간 지점에 데크가 위치되는 매립형 합성보로 보의 춤을 줄여 강재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C' shaped or 'B' shaped steel 300 coupled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serves as a mold for the concrete C to be separated from the composite beam. At the same time, By maximizing the compression, it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dance (height) of the bea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steel by reducing the dancing of the beam with the buried composite beam where the deck is located at the midway point of the composite beam.

또한 한 쌍의 H-빔(100)의 상부 플랜지 바깥쪽으로 슬래브(S)용 데크가 지지되므로 데크 상부의 콘크리트(C) 비중을 줄일 수 있으며, 준공 슬래브(S)를 적용하여 슬래브(S)의 자중을 줄일 수 있어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때 데크의 높이는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슬래브(S)용 데크가 적용될 수 있다.Since the deck for the slab S is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flange of the pair of H beams 100,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crete C on the deck can be reduced and the finished slab S can be applied to the slab S It is possible to reduce weight and contribute to weight reduction. At this time, various decks for the slab 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 shaped or 'B' shaped steel 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beam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는 복수의 제2 바(500) 및 복수의 수직 보강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teel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shaped steel material is dispos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bars 500 and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600.

복수의 제2 바(500)는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 각각에 고정되되,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bars 500 are fixed to the upper flanges of the pair of H-beams at both end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부의 제1 바(400)와 같이 복수의 제2 바(500)가 합성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econd bars 500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beam as the first bars 400 on the upper side.

복수의 제2 바(500)는 한 쌍의 H-빔(100)과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의 뒤틀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콘크리트(C)에 적용시 스터드(STUD)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합성보의 휨저항력의 상승에도 크게 기여한다.The plurality of second bars 500 prevent twisting of the pair of H-beams 100 and the U-shaped or " B " shaped section steel 300, And perform the same role. This also contributes to an increase in the bending resistance of the composite.

또한, 복수의 수직 보강재(600)는 H-빔의 하부 플랜지와 H-빔의 상부 플랜지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수직 보강재(600)로 긴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600 vertically connect between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nd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At this time, a long bolt can be used as the vertical stiffener 600.

H-빔의 하부 플랜지 안쪽에 가공된 긴볼트를 이용하여 상부 플랜지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긴볼트와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연결 은 가용접후 너트로 일체화 하여 고정될 수 있다.It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using long bolts machined inside the bottom flange of the H-beam.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ng bolt and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can be fixed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available fitting nut.

이러한 복수의 수직 보강재(600)는 이후 타설되는 콘크리트(C)와 서로 섞이면서 합성보의 전체 저항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수직 보강재(600)의 개수 및 간격은 구조계산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600 can be mixed with the concrete C to be inserted thereafter to improve the overall resistance strength of the composite beams.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vertical stiffeners 600 may depend on the structural calculation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의 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n end portion of a steel material composite beam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는 합성보 단부에 기둥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H-빔(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teel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joining H-beam 700 for coupling with the column at the composite beam end.

이때 결합용 H-빔(700)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H-빔과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300)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upling H-beam 700 may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otal height of the H-beam and the 'C' or 'B' shaped steel 300 .

결합용 H-빔(700)이 합성보의 단부에 합성보 전체 높이만큼 형성되어 기둥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coupling H-beam 70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mposite beam at the entire height of the composite beam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column.

이를 위하여 기둥에는 상술한 결합용 H-빔(700)에 대응하는 H-빔이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용 H-빔(700)과 이에 대응하는 H-빔이 서로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용 H-빔(700)을 이용하여 기둥과 단순하게 결합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n H-beam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beam 70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the column in advance. The coupling H-beam 700 and its corresponding H-beam can be welded or bolted together. The coupling H-beam 700 can be used to simply engage the colum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가 기둥과의 결합을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가 기둥과의 결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that a steel composite beam having a pair of H-beams on a pair of H-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ditional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column, and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sheet in which a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according to an example, and is joined to a column. Fig.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결합용 H-빔(700)의 양측에 콘크리트(C) 타설을 위한 한 쌍의 결합용'ㄴ'자 형강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to 7, the coupling H-beam 70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coupling '?' Shaped beams for pouring concrete C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H-beam 700.

본 발명은 결합용 H-빔(700)과 이에 상응하는 기둥의 H-빔이 판재(200)와 볼트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된 결합용 H-빔(700)과 이에 상응하는 기둥의 H-빔의 양측에 결합용 'Z'자 형강(800)이 결합되고, 결합용 'Z'자 형강(800) 내측으로 즉, 결합용 'Z'자 형강(800)과 결합용 H-빔(700)과 이에 상응하는 기둥의 H-빔 사이에 콘크리트(C)가 타설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beam 700 for coupling and the H-beam of the corresponding column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plate 200 and the bolt, and the H-beam 700 and the corresponding column Z 'shaped steel bar 80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beam, and the inner' Z 'shaped steel bar 800 for joining and the H- The concrete C may be placed between the H-beam of the column 700 and the corresponding column.

본 발명에 따른 결합용 'Z'자 형강(800)은 'ㄴ'자 형강의 상부를 절곡하여 만든 형강을 의미한다.The 'Z' shaped steel 800 for jo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eel section formed by bending the upper part of the 'B' shaped steel.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와 종래 기술인 TSC 합성보, TU 합성보, Hyfo Beam의 성능제원을 비교한 것이다. [Table 1] below compares the performance specifications of the conventional composite steel composite material, the TU composite beam, and the Hyfo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Invention TSC 합성보TSC Composite TU 합성보TU Composite Hyfo BeamHyfo Beam 층고절감Reduced floors 750-> 450mm750-> 450mm 750-> 650mm750-> 650mm 750-> 500mm750-> 500mm 750-> 550mm750-> 550mm 적정최대스팬Proper maximum span 20mm20mm 16mm16mm 16mm16mm 16mm16mm 최대춤(높이)Maximum dancing (height) 1000mm1000mm 1000mm1000mm 1000mm1000mm 1000mm1000mm 내진성능Seismic performance 강접합부 용이Easy for steel connection 강접합부 불가No steel connections 강접합부 용이Easy for steel connection 강접합부 불가No steel connections 슬래브(S)Slab (S) 모든 슬래브(S) 가능All slabs (S) available 골 깊은 데크 불가Deep deck not possible 골 깊은 데크 가능Deep deck possible 골 깊은 데크 불리Deeper deck 제작성Writing 절곡 등이 불필요No need for bending 절곡 등의 성형공정 필요Molding process such as bending is required 롤성형 어려움Difficult to roll form 절곡 및 성형으로 어려움Difficulty in bending and forming 시공성Construction 기둥-보 용이Column - Beam 기둥-보 용이Column - Beam 기둥-보 힘듦Pillars - hard work 기둥-보 복잡Pillar - beam complex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와 종래 기술인 TSC 합성보, TU 합성보, Hyfo Beam의 경제성에 대한 비교를 한 것이다.[Table 2] below compares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conventional steel composite beam, the TU composite beam, and the Hyfo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a pair of H-beams.

본 발명Invention TSC 합성보TSC Composite TU 합성보TU Composite Hyfo BeamHyfo Beam H형강 및 판재(200)The H-shaped section and the plate member 200 800원800 won 750원750 won 750원750 won 750원750 won 성형, 절곡비용Molding, bending cost 0원0 yen 200원200 won 250원250 won 250원250 won 2차 가공비Secondary processing cost 150원150 won 150원150 won 150원150 won 150원150 won 공과잡비Ball and miscellaneous expenses 48원48 won 55원55 won 58원 58 won 58원58 won 관리비Administrative expenses 17원17 won 20원20 won 21원21 won 21원21 won 누계Cumulative 1015원1015 won 1175원1175 won 1229원1229 won 1229원1229 won

단위: 원/kgUnit: Yuan / kg

상술한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는 매립형 합성보로서 한 쌍의 H-빔 상부에 슬래브가 배치됨으로써 층고 절감의 효과가 뛰어나도.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슬래브(S) 적용 가능하고, 판재를 절곡이나 성형하여 사용하지 않고 표준화된 형강을 활용함으로써 제작성 및 시공성 등이 뛰어나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s 1 and 2, the steel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he shaped steel material is arranged on the pair of H-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ried composite beam, and the slab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H- Even if the effect is excell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slabs (S), and it is excellent in preparation and workability by utilizing a standardized steel sheet without using the sheet material by bending or molding.

또한 현재 건축현장에서 반영되어 상용되는 있는 절곡형 합성보보다 절곡 및 성형 공정의 생략으로 생산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 됨은 물론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품질 수준의 제품보다 공사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ding and forming process is omitted from the bending type composite beam which is reflected in the current construction site, and the production work time is greatly shortened,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As a result, construction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products with the same quality level.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는 표준화된 H 형강과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을 이용함으로써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품질 또한 보장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teel composite material having a pair of H-beams on the pair of H-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ufactured, economical and quality can be guaranteed by using the standardized H-shaped steel and the 'C' shape or the ' .

또한, 시공시와 사용시 구조적 변화에 따라 고무적이고 탄력적으로 설계가 가능하며, 판재가 아닌 형강재를 사용 하므로 생산 단가의 절감은 물론 표준화로 인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건축 시장에 합성보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can be designed in an elastic and flexible manner according to the structural changes during construction and use, and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due to the standardization as well as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using the steel material instead of the plate material, do.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in the foregoing. It is again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limited by obvious alterations or permu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한 쌍의 H-빔
200: 판재
300: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
400: 제1 바
C: 콘크리트
S: 슬래브
500: 제2 바
600: 수직 보강재
700: 결합용 H-빔
800: 결합용 'Z'자 형강
100: a pair of H-beams
200: plate
300: 'C' shape or 'C' shape shape
400: First bar
C: Concrete
S: Slab
500: The second bar
600: vertical stiffener
700: coupling H-beam
800: 'Z' shaped steel for joining

Claims (7)

마주보고 배치되는 한 쌍의 H-빔;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 각각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판재; 및
한 쌍의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의 하부는 서로 면대면으로 고정결합됨-; 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H-빔 상부에 슬래브가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은 상기 슬래브와 일체화되는 매립형 합성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A pair of H-beams facing each other;
A plate having both ends fixedly disposed on each of the lower flanges of the pair of H-beams; And
A pair of ' C ' or ''' shaped < RTI ID = 0.0 > profiled < / RTI > beams mounted on each of the upper flanges of the pair of H- Facing each other face-to-face; / RTI >
Wherein the slab is disposed on a pair of the H-beams, and the 'C' or 'C' shaped steel is a buried composite beam integrated with the slab.
Composite steel beams with a steel frame on a pair of H-beams.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한 쌍의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의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바(ba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first bars (C)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a pair of the 'C' shaped or 'C' shaped sections to prevent a pair of the 'C' bar. < RTI ID = 0.0 >
Composite steel beams with a steel frame on a pair of H-beams.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바는 평평한 플랫바(flat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3.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aid first bars comprises a flat flat bar.
Composite steel beams with a steel frame on a pair of H-beams.
제1항에 있어서,
양단부가 한 쌍의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 각각에 고정되되,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bars fixed at respective ends of the upper flanges of the pair of H-beams,
Composite steel beams with a steel frame on a pair of H-beam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빔의 하부 플랜지와 상기 H-빔의 상부 플랜지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vertically connecting the lower flange of the H-beam and the upper flange of the H-beam.
Composite steel beams with a steel frame on a pair of H-beams.
제1항에 있어서,
기둥과의 결합을 위하여 단부의 중앙부에 상기 H-빔과 상기 'ㄷ'자형 또는 'ㄴ'자형 형강의 전체 높이에 해당하는 결합용 H-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upling H-beam at the center of the end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column, the coupling H-beam corresponding to the total height of the " C " or "
Composite steel beams with a steel frame on a pair of H-beam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H-빔의 양측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한 쌍의 결합용'Z'자 형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 쌍의 H-빔위에 형강재를 배치한 강재 합성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 / RTI >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joining 'Z' shaped steels for pouring concrete on both sides of the joining H-
Composite steel beams with a steel frame on a pair of H-beams.
KR1020180154238A 2018-06-25 2018-12-04 Steel composite beam with steel materials on a pair of h-beams KR1019916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849 2018-06-25
KR20180072849 2018-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638B1 true KR101991638B1 (en) 2019-06-20

Family

ID=6710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238A KR101991638B1 (en) 2018-06-25 2018-12-04 Steel composite beam with steel materials on a pair of h-bea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63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966B1 (en) 2020-03-04 2020-11-27 (주)쓰리디엔지니어링 Combination structure system of composite columns using two H beams and composite beams using two H beams
KR102212695B1 (en) * 2020-04-16 2021-02-05 삼원중공업 주식회사 Long spa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102238294B1 (en) 2020-01-21 2021-04-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high performance Hybrid beam structure for seismic reinforc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96057B1 (en) * 2020-11-29 2021-09-01 ㈜쓰리디엔지니어링 Composite column using two h-beams
KR20230079815A (en) 2021-11-29 2023-06-07 이정미 Slim floor built-up composite beam system in which T-type unit with perforated web using H-beam and lower flange steel plate for deck support are combined
KR20230079832A (en) 2021-11-29 2023-06-07 이정미 A T-type unit using H-beam and a composite structure system with reduced floor height combined with a steel plate built-up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be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474A (en) * 2000-06-22 2002-01-09 Shimizu Corp Beam structure
KR20110003884A (en) * 2009-07-06 2011-01-1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Heterogeneity reinforcing composite profile beam
KR101449387B1 (en) * 2014-08-05 2014-10-13 강병구 composite beam assembly
KR101720103B1 (en) * 2016-02-02 2017-04-0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 Composite beam for construction fr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474A (en) * 2000-06-22 2002-01-09 Shimizu Corp Beam structure
KR20110003884A (en) * 2009-07-06 2011-01-1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Heterogeneity reinforcing composite profile beam
KR101449387B1 (en) * 2014-08-05 2014-10-13 강병구 composite beam assembly
KR101720103B1 (en) * 2016-02-02 2017-04-0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 Composite beam for construction fr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94B1 (en) 2020-01-21 2021-04-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high performance Hybrid beam structure for seismic reinforc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83966B1 (en) 2020-03-04 2020-11-27 (주)쓰리디엔지니어링 Combination structure system of composite columns using two H beams and composite beams using two H beams
KR102212695B1 (en) * 2020-04-16 2021-02-05 삼원중공업 주식회사 Long spa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102296057B1 (en) * 2020-11-29 2021-09-01 ㈜쓰리디엔지니어링 Composite column using two h-beams
KR20230079815A (en) 2021-11-29 2023-06-07 이정미 Slim floor built-up composite beam system in which T-type unit with perforated web using H-beam and lower flange steel plate for deck support are combined
KR20230079832A (en) 2021-11-29 2023-06-07 이정미 A T-type unit using H-beam and a composite structure system with reduced floor height combined with a steel plate built-up composite column and composite be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638B1 (en) Steel composite beam with steel materials on a pair of h-beams
US11098476B2 (en) Connecting core for column-beam joint an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U2015246120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WO2014126544A1 (en) Horizontal and vertical reinforcement used on columns and structural walls in buildings
KR101587583B1 (en) Mega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12695B1 (en) Long spa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100939970B1 (en)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mplex girder and its structure
KR101948788B1 (en) Composite core wall strengthened with double angle-shaped steel plates
JP2006009449A (en) Truss panel girder and precast truss panel
KR101373262B1 (en) Connecting plate crossing type concrete filled tubular column
KR101311207B1 (en) Column of steel framed reinforced precast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s for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same
JP2020037775A (en) Non-brace steel fram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column base unit
US20190145102A1 (en) C-sections and composite decks formed by cold-formed sheets for a system of composite reinforced concrete columns
KR101698807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sc girder using the corrugated steel plate and the psc girder manufactured thereby
KR101375382B1 (en) Precast formless composite be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20884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using RC wall and composite beam
KR20190124561A (en)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wide beam and floor structure
CN112922230A (en) Section steel partially-wrapped concrete composite beam and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148546B1 (en) Steel built up beam for longspan structure and steel frame using the same
KR101382652B1 (en) composite beam having high Strength frame pan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and constructing the composite beam
KR20170118349A (en) deck for wall form
KR101802971B1 (en) deck structure for wall form
KR20200143004A (en) Steel composite beam comprising shaped steel located on a pair of h-beams
KR102215372B1 (en) The compositeness girder
KR101825580B1 (en) Steel and precast concrete hybrid b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