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596B1 - Seismic rehabilitation of structural concrete columns for building structures - Google Patents
Seismic rehabilitation of structural concrete columns for building structur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2596B1 KR101982596B1 KR1020190000147A KR20190000147A KR101982596B1 KR 101982596 B1 KR101982596 B1 KR 101982596B1 KR 1020190000147 A KR1020190000147 A KR 1020190000147A KR 20190000147 A KR20190000147 A KR 20190000147A KR 101982596 B1 KR101982596 B1 KR 1019825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ement
- seismic
- column
- panel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9420 retrofitting Methods 0.000 abstract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70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5—Structures with concrete colum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건축물에 형성된 기초기둥에 합성보강기둥을 고정시켜 내진 보강을 이루도록 하고, 내진보강부와 내진마감부가 기초기둥과 합성보강기둥의 외면을 함께 감싸면서 시공됨으로써, 기초기둥에 합성보강기둥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기초기둥에도 지진에 따른 보강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져, 합성보강기둥과 기초기둥의 일체성이 확보되고 기초기둥의 자체 내진력도 향상되도록 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chieve seismic reinforcement by fixing a synthetic reinforcement column to a foundation column formed in an existing building, and the seismic reinforcement part and the seismic finishing part are synthesized with the foundation column. By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column together, the construction of the composite reinforcement pillar on the foundation column, the reinforcement is made directly to the foundation column due to the earthquake, thereby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synthetic reinforcement column and the foundation column, and the foundation pillar itsel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building structures to improve seismic strength.
일반적으로 내진 설계란 지진의 충격으로부터 각종 건축물을 보호하고자 하는 포괄적 의미의 시공방식이며, 이를 상세히 구분하면 내진(耐震), 면진(免震), 제진(制震) 설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In general, seismic design is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method to protect various buildings from the impact of an earthquake. The seismic design can be divided into seismic design, seismic isolation, and vibration suppression design.
그러나 내진설계 기준이 제정되기 이전 건설된 기존 건축물은 내진성능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진발생시 상당한 손상 및 붕괴가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건물에 대한 내진성능 평가 및 내진보강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정부의 기존 건축물 내진보강 사업은 학교, 지방자치단체 청사, 병원, 소방서 등을 대상으로 지진 재난 시 대피소 및 재난구호의 거점이 되는 중요 건물에 대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However, existing buildings constructed before the seismic design standards were enacted are expected to be damaged and collapsed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due to the lack of seismic performanc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government is continuously conducting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seismic reinforcement projects for buildings. The government's existing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projects are being extensively conducted for schools, local government buildings, hospitals, and fire stations for important buildings that serve as shelters and disaster relief centers during earthquake disasters.
기존 건축물의 구조부재 중 대부분은 철근콘크리트 부재로 스터럽에 대한 내진설계 기준의 간격기준 및 내진갈고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매우 취약한 연성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지진 등에 따른 진동 및 외력이 작용시 쉽게 무너지거나 쓰러져 심각한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Most of the structural members of existing buildings are reinforced concrete members, which do not satisfy the gap and seismic hook standards of the seismic design standards for the stirrup, and have very weak duct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serious damage occurs due to collapse or collapse.
따라서, 기존 건축물의 구조부재의 강도 및 강성을 증대시켜 건축물의 내력 증진에 의해 내진성능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내진보강 공법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conomical seismic reinforc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structural member of the existing building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building.
최근에는 상기한 내진보강 공법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여러 가지 내진보강 공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06110호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와이어구조의 강재와 그 강재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을 감싸면서 보강하여 내진에 따른 건축물을 붕괴를 막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Recently, a technology for various seismic reinforcing methods has been disclosed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he seismic reinforcing method. In particular,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06110, a concrete structure consisting of a wire structure steel and a connector connecting the steel material is disclosed, and a concrete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collapse of a structure due to earthquake by reinforcing the concrete structure is disclosed. .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은 강재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밀착되어 설치되지 않아 지지력을 균등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지진에 따른 상,하 진동과 좌,후 흔들림 및 자중에 의해 설치된 건축물에서 점차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고, 강재가 금속으로 이루어져 우천시 감전에 따른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However,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concrete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steel is not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rete structure and thus does not transmit the supporting force evenly. In particular, in a building installed by the up and down vibration and the left and right shaking and self-weight due to the earthquake There is a problem that gradually flows down, the steel is made of metal,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ly occurs accidents due to electric shock during rain.
또한,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은 기존의 기둥은 보강하지 않고, 기존 기둥에 보강하는 기둥을 덧대는 형태로 보강을 하였기 때문에, 기존 기둥에 설치되는 케미컬앵커로 인해 기존기둥의 콘파괴의 위험성이 높고, 이로 인해 보강구조물과의 일체성 결여, 기존 기둥의 단면손실에 의한 강도 및 강성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기존 기둥의 구조보강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concrete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does not reinforce the existing column, but reinforces it in the form of reinforcing the column to reinforce the existing column, so the risk of cone destruction of the existing column due to the chemical anchor installed in the existing column. High and this causes a problem such as lack of integrity with the reinforcement structure, reduction in strength and rigidity due to cross-sectional loss of the existing column, there is a limit to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of the existing colum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건축물에 형성된 기초기둥에 합성보강기둥을 고정시켜 내진 보강을 이루도록 하고, 내진보강부와 내진마감부가 기초기둥과 합성보강기둥의 외면을 함께 감싸면서 시공됨으로써, 기초기둥에 합성보강기둥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기초기둥에도 지진에 따른 보강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져, 합성보강기둥과 기초기둥의 일체성이 확보되고 기초기둥의 자체 내진력도 향상되도록 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a seismic reinforcement by fixing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to the foundation pillar formed in the existing build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seismic finish portion and By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mposite reinforcement pillar together,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earthquake is made directly on the foundation colum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on the foundation column, thereby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and the foundation column, It is to provide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crete columns for building structures to improve their own seismic for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는 건축 구조물의 기초기둥에 설치되는 내진보강구조로서, 상기 건축 구조물에 마련되는 보강할 기초기둥의 일면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개방되는 방향으로 설치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기초기둥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내진보강부와, 상기 내진 보강부에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합성보강기둥이 마련되는 내진마감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lar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installed on a foundation column of a building structure, and opens and opens one surface of the foundation column to be provided in the building structure. The seismic reinforcement part is fixed while surrounding the foundation pillar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and the seismic reinforcement portion is provided to close the open portion installed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portion, the composite reinforcement pillar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또한, 상기 내진보강부는 외면에 보강인서트부재들이 형성된 보강패널과 상기 보강패널을 외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한쌍의 내진보강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ismic reinforc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eismic reinforcing unit consisting of a reinforcement panel having a reinforcement insert memb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또한, 상기 내진보강부는 일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보강인서트부재들이 형성된 보강패널과 상기 보강패널을 외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한쌍의 내진보강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eismic reinforcement unit consisting of a reinforcement panel having a bent portion at one end and a reinforcement insert memb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또한, 상기 내진보강유닛에는 상기 보강패널에 연결되고 외면에 연결인서트부재들이 형성되며 연결패널과, 상기 연결패널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결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보강유닛이 더 설치되어, 상기 합성보강기둥을 지지하도록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unit is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and the connection insert memb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reinforcement unit consisting of a connection panel, a connection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nel,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To be supported.
또한, 상기 내진보강유닛들은 크로스타이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호 연결되며, 상기 크로스타이는 상기 합성보강기둥를 관통하여 상기 내진보강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ismic reinforcement units are interconnect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cross tie, the cross tie may be connected to the seismic reinforcement unit through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또한, 상기 보강패널에는 외면에 웨이브철선들이 더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panel may be further fixed to the wave wires on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콘크리트층에는 와이어메쉬가 더 인서트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 mesh may be further inserted into the concrete layer.
또한, 상기 내진마감부는 내면과 외면에 마감인서트부재들이 형성된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합성보강기둥과,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에 형성되는 마감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ismic finish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finish panel formed with the end insert member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a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 panel, and a finish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 panel.
또한, 상기 콘크리트층은 강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 등의 건축마감재로 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rete layer may be replaced by a building finishing material such as steel or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는 기존 건축물에 형성된 기초기둥에 합성보강기둥을 고정시켜 내진 보강을 이루도록 하고, 내진보강부와 내진마감부가 기초기둥과 합성보강기둥의 외면을 함께 감싸면서 시공됨으로써, 기초기둥에 합성보강기둥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기초기둥에도 지진에 따른 보강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져, 합성보강기둥과 기초기둥의 일체성이 확보되고 기초기둥의 자체 내진력도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lar for the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a seismic reinforcement by fixing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to the foundation pillar formed in the existing building, while the seismic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seismic finishing portion wraps the outer surface of the foundation column and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together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earthquake is performed directly on the foundation colum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on the foundation column, thereby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and the foundation pillar and improving the seismic force of the foundation pillar.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에 있어, 내진보강부에 내진마감부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내진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에 있어, 내진보강부에 내진마감부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내진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내진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보와 맞닿는 부분에 내진보강구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합성보강기둥의 하부가 기초에 설치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합성보강기둥의 하부가 기초에 설치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astening the seismic finishing unit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build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fastening the seismic finishing unit to the seismic reinforcing part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lar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build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build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eam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lower portion of a synthetic reinforcement column on a foundation in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method of instal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in the foundation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presented by way of example, and there may be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에 있어, 내진보강부에 내진마감부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the installation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seismic reinforcement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내진보강구조라 명명함)는 건축 구조물에 형성된 기초기둥(100)에 설치되어 지진에 따른 강도 및 지지력을 보강시키는 내진보강구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내진보강구조(10)는 내진보강부(20)와 내진마감부(30)로 이루어진다.1 to 3,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concrete column for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상기 내진보강부(20)는 건축 구조물에 형성된 보강할 기초기둥(100)의 일면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개방되는 방향으로 설치공간(S)이 형성되게 상기 기초기둥(100)을 감싸면서 고정된다.The
상기 내진보강부(20)는 일단에 절곡부(211a)가 형성되고 외면에 보강인서트부재(211b)들이 형성된 보강패널(211)들과 상기 보강패널(211)의 외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층(212)으로 구성된 한쌍의 내진보강유닛(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진보강부(20)는 기초기둥(100)과 케미컬앵커(C)(chemical anchor)에 의해 연결된다.The
상기 보강패널(211)들의 절곡부(211a)는 상호 용접 또는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내진보강유닛(21)은 상기 기초기둥(100)에 형성되는 앵커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기초기둥(100)에 고정된다.The
상기 보강패널(211)의 외면에는 " T "형 보강인서트부재(211b)들의 단부가 더 용접되고, 상기 보강인서트부재(211b)는 상기 콘크리트층(212)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인서트되어 고정됨으로서, 상기 콘크리트층(212)과 상기 내진보강유닛(21)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내진마감부(30)는 상기 내진 보강부(20)에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설치공간(S)에 배치되는 합성보강기둥(32)이 마련된다.The
상기 내진마감부(30)는 내면과 외면에 마감인서트부재(331)들이 형성된 마감패널(31)과, 상기 마감패널(31)의 내면에 형성되는 합성보강기둥(32)과, 상기 마감패널(31)의 외면에 형성되는 마감콘크리트층(33)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마감패널(31)의 양단부는 상기 내진보강부(20)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며, 상기 보강패널(211)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된다.Both ends of the
상기 합성보강기둥(32)은 상기 설치공간(S)에 배치되며, 기초기둥(100)의 일면과 맞닿게 배치되어 기초기둥(100)을 지지함으로서,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상기 마감패널(31)의 내면과 외면에는 " T "형상으로 형성된 마감인서트부재(331)들의 단부가 더 용접되고, 상기 마감패널(31)의 외면에 형성되는 마감인서트부재(331)는 상기 마감콘크리트층(3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인서트되어 고정됨으로서, 상기 마감콘크리트층(33)과 상기 마감패널(31)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Ends of the finish insert
상기 합성보강기둥(32)의 내부에 " H "빔이 인서트된 사각의 콘크리트기둥이며, 상기 합성보강기둥(32)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마감패널(31)의 내면에 형성되는 마감인서트부재(331)들이 인서트되어 상기 합성보강기둥(32)과 상기 마감패널(31)을 상호 연결,고정시키게 된다.Finishing insert member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내진보강유닛(21)과 상기 내진마감부(30)는 프리캐스트 형태로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에서 기초기둥(100)에 조립되어 설치되거나 내진보강유닛(21)과 내진마감부(30)를 구성하는 금속재 및 H빔을 조립하여 설치한 후 콘크리트타설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기초기둥(100)과 상기 합성보강기둥(32)이 맞닿는 면에는 에폭시 또는 모르트르를 도포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10)는 내진보강부(20)의 내진보강유닛(21)들을 상호 연결한 후 기초기둥(100)에 형성되는 앵커볼트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내진마감부(30)의 합성보강기둥(32)을 상기 내진보강부(20)가 상기 기초기둥(100)에 체결되면서 형성된 설치공간(S)에 배치한 후 내진마감부(30)를 상기 내진보강부(20)에 연결한 다음, 앵커볼트의 체결부위, 내진보강유닛(21)들의 연결부위 및 내진보강부(20)와 내진마감부(30)의 연결부위에 에폭시를 도포하거나 기타의 건축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하게 됨으로서, 일련의 시공을 마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기초기둥(100)을 따라 내진보강부(20)와 내진마감부(30)가 설치됨으로써, 내진마감부(30)의 합성보강기둥(32)에 의해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됨과 아울러 기초기둥(100)도 내진보강부(20)와 내진마감부(30)에 의해 보강됨으로서, 자체 저항력이 높아져 지진에 의한 붕괴위험을 대폭줄일 수 있게 되고, 근본적인 보강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ismic reinforcing
한편, 상기 내진보강유닛(21)과 상기 내진마감부(30)가 프리캐스트 형태로 사전 제작되어 현장에서 기초기둥에 조립되어 설치될 경우, 상기 내진보강유닛(21)들은 크로스타이(22)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호 연결되며, 상기 크로스타이(22)는 상기 합성보강기둥(32)을 관통하여 상기 내진보강유닛(21)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크로스타이(22)에 의해 상기 내진보강유닛(21)의 양측벽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고, 기초보와 내진보강유닛(21)을 밀착시킬 수 있어 재차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ismic reinforcing
상기 크로스타이(22)는 상기 합성보강기둥(32)을 관통한 후 상기 보강패널(211)에 용접되며, 단부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패널(211)을 관통한 다음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lars for the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modified.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내진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of the inside of the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rogressive steel structur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패널(211)은 이송과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절곡부(211a)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패널(211)들을 상호 용접하지 않고 " ㄷ "형태로 일체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4 and 5, the
여기서, 보강패널(211)들이 상호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는 부위나 상기 마감패널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콘크리트층(212)에 홈을 형성시키게 되고, 체결이 완료 후에는 상기 홈에 에폭시나 충진재를 주입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마감처리를 하게 된다.Here, a groove is formed i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의 설치과정에 있어, 내진보강부에 내진마감부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part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fastening the seismic finish por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내진보강유닛(21)에는 상기 보강패널(211)에 연결되고 외면에 연결인서트부재들(231a)이 형성되며 연결패널(231)과, 상기 연결패널(231)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결콘크리트층(232)으로 이루어진 연결보강유닛(23)이 더 설치되어, 상기 합성보강기둥(32)을 지지하도록 된다.6 and 7, the seismic reinforcing
상기 연결패널(231)과 상기 보강패널(211)은 상호 볼트체결하거나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연결보강유닛(23)이 상기 내진보강유닛(21)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서, 이송이 용이하게 되고 분할된 형태로 현장에서 조립하여 시공하게 되므로 중량물을 이송시키는 위한 이송장비가 불필요해 비용이 절감되고 시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내진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build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패널(211)에는 외면에 웨이브철선(211c)들이 더 고정된다. 상기 웨이브철선(211c)은 물경형태의 철선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패널(211)에 용접되어 고정되어, 상기 보강패널(211)과 상기 콘크리트층(212)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콘크리트층(212)의 지지력 및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웨이브철선(211c)들은 연결철선에 용접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8,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내진보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build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콘크리트층(212)에는 와이어메쉬(211d)가 더 인서트되어 배치된다. 상기 와이어메쉬(211d)는 망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크리트층(212)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지지력 및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패널(211)에는 크로스타이들을 형성하고 상기 크로스타이의 단부에 상기 와이어메쉬(211d)를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9, a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보와 맞닿는 부분에 내진보강구조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eam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기초기둥(100)에 내진보강구조(10)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기초기둥(100)이 층을 구분하는 슬래브(200) 및 슬래브(200)에 형성되는 기초보에 연결된 경우 슬래브(200)와 기초보(300)가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기초기둥(100)에 내진보강구조(10)를 시공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eismic reinforcin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합성보강기둥의 하부가 기초에 설치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lower portion of a synthetic reinforcement column on a foundation in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기초기둥(100)에 설치된 상기 합성보강기둥(32)을 기초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기초에 매립된 강재기둥(400)에 합성보강기둥(32)에 형성되는 H빔의 하단부를 커플러(80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합성보강기둥이 형성된 내진마감부(30)는 앵글패널(500)에 의해 기초와 앵커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앵커볼트를 기초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에 후크가 더 형성된다. 물론 커플러(80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대신에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method of fixing th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에 있어, 합성보강기둥의 하부가 기초에 설치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method of instal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in the foundation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강재기둥(400)의 상부에 결합패널(700)을 커플러(80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H빔에 고정된 상기 연결패널(600)과 상기 결합패널(700)을 볼트에 의해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2, after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내진보강구조 20 : 내진보강부
30 : 내진마감부
21 : 내진보강유닛 211 : 보강패널
211a : 절곡부 211b : 보강인서트부재
211c : 웨이브철선 211d : 와이어메쉬
212 : 콘크리트층 22 : 크로스타이
23 : 연결보강유닛 231 : 연결패널
231a : 연결인서트부재 232 : 연결콘크리트층
31 : 마감패널 331 : 마감인서트부재
32 : 합성보강기둥 33 : 마감콘크리트층
100 : 기초기둥 S : 설치공간
200 : 슬래브 300 : 기초보
400 : 강재기둥 500 : 앵글패널
600 : 연결패널 700 : 결합패널10: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20: seismic reinforcement part
30: seismic finish part
21: seismic reinforcement unit 211: reinforcement panel
211a: Bending
211c:
212
23: connection reinforcement unit 231: connection panel
231a: connecting insert member 232: connecting concrete layer
31: Finishing panel 331: Finishing insert member
32: synthetic reinforcement column 33: finished concrete layer
100: foundation pillar S: installation space
200: slab 300: basic beam
400: steel column 500: angle panel
600: connection panel 700: coupling panel
Claims (8)
상기 건축 구조물에 마련되는 보강할 기초기둥의 일면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개방되는 방향으로 설치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기초기둥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내진보강부; 및
상기 내진 보강부에 설치되어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고,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는 합성보강기둥이 마련되는 내진마감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진보강부는 일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보강인서트부재들이 형성된 보강패널과, 상기 보강패널의 외면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층으로 구성된 한쌍의 내진보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As a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installed on the foundation column of a building structure,
An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part which opens and closes one surface of the foundation pillar to be provided in the building structure and wraps the foundation pillar to form an installation space in an opening direction; And
The seismic reinforcement unit is provided with an earthquake-resistant finishing unit provided with a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closing the closed part.
The seismic reinforcement part is a concrete pillar for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reinforcement panel formed with reinforcement insert members on the outer surface, and a pair of seismic reinforcement unit consisting of a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상기 내진보강유닛에는 상기 보강패널에 연결되고 외면에 연결인서트부재들이 형성되며 연결패널과,
상기 연결패널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결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연결보강유닛이 더 설치되어, 상기 합성보강기둥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ismic reinforcement unit is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and the connection insert member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connection panel,
Connection reinforcement unit made of a connection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nel is further installed, 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for a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composite reinforcement pillar.
상기 내진보강유닛들은 크로스타이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호 연결되며, 상기 크로스타이는 상기 합성보강기둥를 관통하여 상기 내진보강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ismic reinforcement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cross tie, the cross tie is connected to the seismic reinforcement unit through the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s,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lars for building structures.
상기 보강패널에는 외면에 웨이브철선들이 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inforcement panel is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lars for building structu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ve wires are further fixed to the outer surface.
상기 콘크리트층에는 와이어메쉬가 더 인서트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crete layer is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lars for the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mesh is further inserted.
상기 내진마감부는 내면과 외면에 마감인서트부재들이 형성된 마감패널과, 상기 마감패널의 내면에 형성되는 합성보강기둥과,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에 형성되는 마감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용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ismic finishing part for the build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ishing panel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 insert member is formed, a synthetic reinforcement pilla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and the finishing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0147A KR101982596B1 (en) | 2019-01-02 | 2019-01-02 | Seismic rehabilitation of structural concrete columns for building structur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0147A KR101982596B1 (en) | 2019-01-02 | 2019-01-02 | Seismic rehabilitation of structural concrete columns for building structur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82596B1 true KR101982596B1 (en) | 2019-09-10 |
Family
ID=6795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0147A KR101982596B1 (en) | 2019-01-02 | 2019-01-02 | Seismic rehabilitation of structural concrete columns for building structur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259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110B1 (en) | 2014-01-03 | 2015-03-31 | 서울메트로 | Method for Reforcing the Performance of Concrete Structure |
KR101674823B1 (en) * | 2015-08-21 | 2016-11-10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Beam section enlargement method using socket shaped anchor |
-
2019
- 2019-01-02 KR KR1020190000147A patent/KR101982596B1/en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6110B1 (en) | 2014-01-03 | 2015-03-31 | 서울메트로 | Method for Reforcing the Performance of Concrete Structure |
KR101674823B1 (en) * | 2015-08-21 | 2016-11-10 |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Beam section enlargement method using socket shaped anch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8219196A1 (en) | Precast column base joi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767677B1 (en) | Compisite column structure for steel and concrete | |
KR101030419B1 (en) |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 |
KR101055672B1 (en) | Prefabricated internal hollow hollow pier pier using corrugated steel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295740B1 (en) | Joint of Steel Column | |
KR101453407B1 (en) | Non-welding type seismic reinforcing method for column using key hole type bolt jointed double C-type steels | |
KR101565543B1 (en) | A Joint Structures Between Steel Frame and Iron Concrete and A Joint Method | |
KR102240257B1 (en) | Precast wall reinforced with built-in pressure resistance | |
CN205954921U (en) | Novel big board shear wall structure is secretly supported in bolted connection's prefabricated assembled area | |
KR101637451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Hollow Precast Concret-encased Steel Column and Dry-splicing Methods for the Same | |
KR102079008B1 (en) | E-z connecting structure for beam and column wherein the end-moment and bending resistibility are reinforced | |
KR101670553B1 (en) | Seismic reinforcement using precast concrete wall outside of building | |
KR100381443B1 (en) | Reinforcing structure and a reinforcing method for joints among structural members | |
KR101982596B1 (en) | Seismic rehabilitation of structural concrete columns for building structures | |
KR20050065915A (en) | Steel plate shear wall with precast concrete panel | |
KR101521946B1 (en) | Enlarged capital of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column | |
JP3653691B2 (en) |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and structure for existing buildings | |
KR100578641B1 (en)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Hybrid Structure System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36594B1 (en)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
KR102017822B1 (en) | Earthquake-registant column and beam constructing method using concrete filled tube and pre-assembled rebar cage | |
JPH10292636A (en) | Structure reinforcing brace of existing building | |
KR101951404B1 (en) | Seismic retrofitting structure by enlarged cross section | |
KR101481152B1 (en) | Seismic 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s and the reinforcing method using it | |
CN207003639U (en) | A kind of frame and panel construction system | |
CN217325942U (en) | Steel sleeve and corrugated pipe hybrid connection assembled shear w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