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730B1 -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 Google Patents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730B1
KR101977730B1 KR1020180146394A KR20180146394A KR101977730B1 KR 101977730 B1 KR101977730 B1 KR 101977730B1 KR 1020180146394 A KR1020180146394 A KR 1020180146394A KR 20180146394 A KR20180146394 A KR 20180146394A KR 101977730 B1 KR101977730 B1 KR 101977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bedding
auxiliary
main
protru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180146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7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73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5Covering or enveloping cores of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는, 베개, 방석 또는 쿠션을 포함하는 침구로서, 메인 속재료가 담겨진 내피 주머니가 수용되는 메인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메인 개폐부를 구비하는 침구용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침구용 외피의 상면에는, 상면보다 더 높은 돌출 쿠션부가 만곡지게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침구가 1인용 베개, 방석 또는 쿠션인 경우에, 상기 돌출 쿠션부는 중간영역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침구가 2인용 베개인 경우에, 상기 돌출 쿠션부가 중간에 1개 형성되고 상기 중간에 형성되는 돌출 쿠션부의 양쪽에 상기 돌출 쿠션부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 쿠션부의 내부는, 분리막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과 구분되고 보조 속재료가 채워지는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수용공간은, 외부 개폐부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거나, 내부 개폐부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으로 개방되거나, 상기 외부 개폐부와 내부 개폐부를 구비하여 외부와 상기 메인 수용공간으로 개방되며, 상기 돌출 쿠션부 사이의 중간영역이나 중간의 쿠션감과 상기 돌출 쿠션부의 쿠션감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내피 주머니에 수용되는 메인 속재료와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상기 보조 속재료는, 서로 다른 소재,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같은 소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 방석 및 쿠션을 포함하는 침구에 본체의 쿠션감과는 다른 쿠션감을 제공하는 돌출 쿠션부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다소 견고한 쿠션감과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ing feelings is disclosed. The bedding having a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dding including a pillow, a cushion or a cushion. The bedding includes a mai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n inner bag containing the main ingredient material and a mai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Wherein a projecting cushion portion higher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cushioning portion is curvedl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ing cushion, wherein when the cushion is a single-person pillow, cushion or cushion, And when the bedding is a pillow for two persons, one of the protruding cushion parts is formed in the middle, and the protruding cushion part formed at the middle is formed with a gap from the protruding cushion part, Wherein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containing space by a separating membrane and is filled with auxiliary material And the auxiliary storage space is opened to the outside by the ex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or is opened to the main storage space by the in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or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the main containing space by the ex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the inside opening and closing part The main component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inner film bag and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fill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r different materials so that the middle area between the protruding cushion parts or the middle cushion feeling and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protruding cushion p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in the form of a material and a shape which are the same as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llow, the cushion, and the cushion including the cushion are provided with the respective protruding cushion parts that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different from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main body, the one cushioning feeling and the soft cushioning feeling can be provided with one product .

Description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0002]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 방석 및 쿠션에 본체의 쿠션감과는 다른 돌출 쿠션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쿠션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ding having a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a cushion and a cushion having a cushioning portion different from a cushioning portion of a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ding having a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일반적으로 침구는, 이불, 요, 침대 매트리스, 베개, 쿠션, 방석 등과 같은 침구류는 수면시 또는 휴식시에는 물론 일반적인 생활에서도 아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다양한 문양이나 모양의 외피 내에 탄성체 또는 유동체를 삽입하여 구성하거나 별도의 내피에 넣고 이를 외피 내에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bedding such as bedding, bedding, bed, mattress, pillow, cushion, cushion, and the like are used extensively in sleeping or resting, as well as in general life, and an elastic body or a fluid is inserted Or by inserting it into a separate inner skin and inserting it into the outer skin.

이러한 침구는 인체에 접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안락함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침구류들이 개발되어 사용됨으로써 생활의 질 향상은 물론 인체에 유용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recent years, such bedding has been used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In recent years, besides the basic function of comfort, bedding having various function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hereby improving not only the quality of life but also a useful effect to the human body.

예를 들어, 원적외선 발산체, 음이온 발생 물질, 한약재, 황토, 숯, 곡물, 씨앗, 목재칩 등이 내장되어 있는 침구류가 개발되어 사용됨으로써 내장되어 있는 물질들로 인한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베개의 내피에 곡물이나 씨앗을 채워하여 사용하거나, 솜이나 헝겊 등을 채워 사용함으로써 자신이 선호하는 쿠션감을 얻고 있었다. For example, a bedding having a built-in far infrared ray emitter, anion generating material, herb medicine, loess, charcoal, grain, seed, wood chips and the like is developed and used so that various effects due to the built- . In other words, the pillow's inner skin was filled with grains or seeds, or it was filled with cotton or cloth.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침구는 하나의 내피에 동일한 속재료만 채우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쿠션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eneral bedding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vide various cushioning feeling because it is configured to fill the same inner material with only the same material.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20462호(공개일 : 1999.06.15)에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의한 베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 1 수납부(4)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일단부가 개방되어 제 1 입구(5)가 형성되어 있는 제 1커버(2)와, 내부에 제 2 수납부(8)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제 2 입구(9)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버(2)의 제 1입구(5)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제 1 커버(2)의 제 1 수납부(4)를 구획하고 있는 제 2 커버(3)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수납부가 다수의 격판(7)에 의해 분리형성되어 제 1 커버(2)에 선택적으로 씨앗(10)이나, 수정 등을 수납하고, 제 2 커버(3)에 왕겨(11) 등을 수납하도록 된 것에 의해, 베개(1)의 사용시 사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씨앗(10)이나, 수정이 특정부위로 몰리는 것을 상기 격판(7)이 방지하여 주어 항시 베개의 원래형상을 위지시켜 사용자가 항시 편안한 상태에서 수면을 이루게 되고, 베개(1)의 사용시 씨앗(10)이나, 수정에 의해 인체에 이로운 에너지가 방출되게 되어 편안한 상태의 수면과, 한층 더 고급화된 베개(1)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었다. As a prior art for solving such a problem, a pillow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No. 20-1999-20462 (published on June 15, 1999). As shown in FIG. 1,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first cover 2 having a first storage portion 4 formed therein and a first inlet 5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inlet 9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2. The first inlet 5 of the first cover 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ver 2 And the second cover 3 separating the first storage portion 4 of the first cover 2 so that the respective storage portion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7 so that the seeds 10 The rice husk 11 and the like are housed in the second cover 3 so that the seed 10 and the crystal can be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The diaphragm 7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 of the pillow 1, so that the original shape of the pillow is always applied, Yongsi seed 10 and, there is effect that it provides an advantageous is so energy is released and the relaxed surface of the water, the more advanced the pillow (1) on the human body by the correction can be provided.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선행기술에 의한 침구는, 내용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사용자에게 다양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bed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such a structure can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ning to one side, but it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provide various cushion feeling to the user.

.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20462호(공개일 : 1999.06.15). Korean Utility Model No. 20-1999-20462 (Publication Date: June 15, 1999)

본 발명의 목적은, 베개, 방석 및 쿠션을 포함하는 침구에서, 본체의 쿠션감과는 다른 쿠션감을 제공하는 돌출 쿠션부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쿠션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and comfort with a single product by providing a cushioning part which provides a cushioning feeling different from a cushioning feeling of a main body in a bedding including a pillow, a cushion and a cushion hav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베개, 방석 또는 쿠션을 포함하는 침구로서, 메인 속재료가 담겨진 내피 주머니가 수용되는 메인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메인 개폐부를 구비하는 침구용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침구용 외피의 상면에는, 상면보다 더 높은 돌출 쿠션부가 만곡지게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침구가 1인용 베개, 방석 또는 쿠션인 경우에, 상기 돌출 쿠션부는 중간영역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침구가 2인용 베개인 경우에, 상기 돌출 쿠션부가 중간에 1개 형성되고 상기 중간에 형성되는 돌출 쿠션부의 양쪽에 상기 돌출 쿠션부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 쿠션부의 내부는, 분리막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과 구분되고 보조 속재료가 채워지는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수용공간은, 외부 개폐부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거나, 내부 개폐부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으로 개방되거나, 상기 외부 개폐부와 내부 개폐부를 구비하여 외부와 상기 메인 수용공간으로 개방되며, 상기 침구용 외피의 쿠션감과 상기 돌출 쿠션부의 쿠션감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내피 주머니에 수용되는 메인 속재료와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상기 보조 속재료는, 서로 다른 소재,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같은 소재, 형태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밀도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cupuncture bed comprising a pillow, a cushion or a cushion, the acupuncture having a mai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n endocardial bag containing main ingredient material is accommodated, and a mai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Wherein the projecting cushion portion is formed by projecting a projecting cushion por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in a curved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upuncture cushion, wherein when the acupuncture is a single-person pillow, cushion or cushion, Wherein when the pillow is a pillow for two persons, the protruding cushion part is formed in the middle, and each of the protruding cushion parts formed in the middle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otruding cushion part,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containing space by a separating film and an auxiliary receiving space filled with the auxiliary starting material is formed, Where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is opened to the outside by an ex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or is opened 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by an in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or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by the ex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the inside opening and closing part, The main component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inner film bag and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fill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r shapes so that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protruding cushion part is different from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protruding cushion part, And are filled with different densities. ≪ Desc / Clms Page number 2 >

상기 침구가 베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사용자의 뒷목과 뒷머리 영역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양쪽 상기 돌출 쿠션부 사이에 하향으로 만곡진 오목한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bedding is made of a pillow, a downwardly curved recessed seat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protruding cushion portions so as to stably support the user's back and back hair regions.

상기 돌출 쿠션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may have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상기 침구가 1인용 베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중간영역에서 양쪽의 상기 돌출 쿠션부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bedding is made of a single-person pillow, it may be formed so as to become gradually larger in the intermediate region toward both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상기 돌출 쿠션부를 하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보조 속재료의 일부 또는 상기 보조 속재료가 담겨지는 보조 주머니의 일부가 상기 메인 수용공간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는 신체에 대한 반력이 약화되도록 임의로 개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A part of the auxiliary material or a part of the auxiliary bag in which the auxiliary material is contained may be optionally opened when the protruding cushion part is pressed downward to weaken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body which moves to and presses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have.

상기 내피 주머니에 수용되는 메인 속재료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고형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속재료는, 상기 메인 속재료와는 쿠션감이 다르도록 솜, 스펀지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메인 속재료와 상기 보조 속재료가 서로 같은 소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보조 속재료와 상기 메인 속재료는 쿠션감이 다르도록 밀도가 서로 다르게 채워질 수 있다. Wherein the main component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inner film bag is made of a sol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made of cotton, sponge or fabric so that the cushioning feel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ingredient material, When the main component material and the auxiliary component material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form, the auxiliary component material and the main component material may be filled with different densities so as to have different cushioning feelings.

상기 보조 속재료가 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보조 속재료는, 솜 85 - 95중량%와, 편백나무를 대패로 가공하여 얻어진 편백칩 5 - 15중량%로 이루어지되, 3-7mm의 크기로 절단된 상기 편백칩과 상기 솜을 혼합하여 상기 솜의 올 사이에 상기 편백칩이 균일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material is cotton, the auxiliary material includes 85 to 95% by weight of cotton and 5 to 15% by weight of a chewy chip obtained by planerizing a cottonwood, wherein the auxiliary material is cut to a size of 3-7 mm And the texturing chips may be uniformly positioned between the textiles by mixing the texturing chips and the textiles.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 방석 및 쿠션을 포함하는 침구에 본체의 쿠션감과는 다른 쿠션감을 제공하는 돌출 쿠션부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제품으로 다소 견고한 쿠션감과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llow, the cushion, and the cushion including the cushion are provided with the respective protruding cushion parts that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different from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main body, the one cushioning feeling and the soft cushioning feeling can be provided with one product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의 경우에 양쪽의 돌출 쿠션부 사이에 오목한 안착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뒷목이나 뒷머리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서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안착부에 해당하는 중간영역이나 중간은 돌출 쿠션부와는 다른 고형의 재료로 이루어진 메인 속재료가 채워짐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반력이 발생하지 않아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pillow, a concave sea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wo protruding cushion portions, so that the user can stably support the back or back, And the middle part is filled with the main component material made of the solid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rotruding cushion part, so that reaction force is not generated in the movement of the user, so that comfort and comfor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의 경우에 사용자가 돌아 누울 때 얼굴 영역이 오목한 안착부보다 높은 돌출 쿠션부에 지지되므로 목이 꺽이지 않고 수평으로 지지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전성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ce region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higher than the concave seating portion when the user turns around in the case of the pillow, safety and comfor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y being supported horizontally without being b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의 경우에, 사용자가 돌아 누워 얼굴 영역으로 돌출 쿠션부를 가압할 때 보조 속재료의 일부가 메인 수용공간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압하는 사용자의 얼굴로 전달되는 반력이 약화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pillow, when the user turns around and presses the cushion portion to the face region, a part of the auxiliary material is moved 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whereby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pressing user's face is weakened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providing comfort to the user.

또한, 보조 속재료를 솜과 편백칩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쿠션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편백나무가 갖는 천연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nstituting the auxiliary ingredient material with the cotton and the flaky chip,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he natural fragrance of the white cotton tree can be diverged,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helping the user to sleep.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베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1인용 베개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베개를 도시한 결합상태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베개에 외부 개폐부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베개에 를 도시한 내부 개폐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베개의 메인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메인 속재료와 보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보조 속재료의 채움 밀도가 서로 다르게 채워지는 상태를 표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베개를 도시한 도면대용 평면사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1인용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2인용 베개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2인용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방석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쿠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illow for a single person.
3 (a) and 3 (b) are a combined state transverse sectional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pillow shown in Fig.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pillow shown in FIG. 2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opening / closing part.
5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opening / closing part shown in the pillow shown i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component material fill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of the pillow shown in FIG. 2 and the filler densities of the auxiliary material fill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are filled with different amounts.
Fig. 7 is a plan view of the pillow shown in Fig. 2; Fig.
FIG. 8 is a photograph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llow for a single person shown in FIG. 2;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illow for two persons.
Fig. 10 is a photograph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llow for two shown in Fig. 9;
11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ushion.
1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ush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이 1인용 베개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된 베개를 도시한 결합상태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illow for a single person, and Figs. 3 (a) and 3 (b) are a combined state transverse sectional view showing the pillow shown in Fig. 2,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10)는, 베개나 방석 또는 쿠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베개에 적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베개로 이루어진 침구(10)는, 메인 속재료(22)가 담겨진 내피 주머니(24)가 수용되는 메인 수용공간(S1)을 구비하며 메인 수용공간(S1)을 개폐하기 위한 메인 개폐부()를 구비하는 침구용 외피(20)를 포함하고, 침구용 외피(20)의 상면()에는, 상면(28)보다 더 높은 돌출 쿠션부(30)가 만곡지게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edding 10 having a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low, a cushion or a cushion. The bedding 10 made of a pillow has a main accommodating space S1 in which the endniquet bag 24 containing the main ingredient material 22 is accommodated and a mai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1 And a cushioning portion 20 that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2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ing sheath 20 so as to be bent.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로 이루어진 침구(10)는, 직물로 이루어져 재봉에 의해 내부에 메인 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외피(20)와, 외피(20)의 상면 양쪽에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면서 구비되는 돌출 쿠션부(30)를 포함한다. 2, the bedding 10 made of a pillow includes a casing 20 made of a fabric and forming a main accommodation space S1 therein by sewing, And a protruding cushion portion 30 provided while forming the protruding portion S2.

돌출 쿠션부(30)는 외피(20)의 일부를 상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직물을 덧대어 형성할 수도 있다. The protruding cushion part 30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casing 20 protrudes upward or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separate fabric.

그리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수용공간(S1)과 보조 수용공간(S2)는 분리막(40)에 의해 격리된 구조를 갖는다. As shown in FIG. 3A,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have a structure isolated by the separator 40. As shown in FIG.

한편, 메인 수용공간(S1)에는 메인 속재료(22)가 채워진 내피 주머니(24)가 수용되고, 보조 수용공간(S2)에는 보조 속재료(32)가 채워진 보조 주머니(34)가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 수용공간(S1) 및 보조 수용공간(S2)에는 보조 속재료(32)가 보조 주머니(34) 없이 직접 채워질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ag containing space S1 is filled with the main bag material 22, and the auxiliary bag space S2 is filled with the auxiliary bag material 3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uxiliary ingredient material 32 may be directly filled in the main containing space S1 and the auxiliary containing space S2 without the auxiliary bag 34. [

전술한 각 돌출 쿠션부(30)의 내부는, 분리막(40)에 의해 메인 수용공간(S1)과 구분되고 보조 속재료(32)가 채워지는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된다. 보조 수용공간(S2)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개폐부(42)에 의해 메인 수용공간(S1)으로 개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개폐부(36)에 의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 개폐부(36)와 내부 개폐부(42)를 구비하여 외부와 메인 수용공간(S1)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The inside of each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described above is separated from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by the separation film 40 and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filled with the auxiliary inlay material 32 is formed. The auxiliary accommodating space S2 can be opened to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S1 by the in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42 as shown in Fig. 3 (a), and as shown in Fig. 4, 36, respectively.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rnal opening / closing unit 36 and the internal opening / closing unit 42 may be open to the outside and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여기서, 내부 개폐부(42)와 외부 개폐부(36)는 벨크로 테잎이나 지퍼, 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지퍼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Here, the inner opening / closing part 42 and the outer opening and closing part 36 may be formed of a velcro tape, a zipper, a button, and the like.

이와 같은 내부 개폐부(42)와 외부 개폐부(36)에 의해 돌출 쿠션부(30)의 보조 수용공간(S2)이 개폐될 수 있음으로써, 보조 수용공간(S2)에 보조 속재료(32) 채워지거나, 보조 속재료(32)가 담겨진 보조 주머니(34)를 넣거나 빼내어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The auxiliary storage space S2 can be opened or closed by the inner opening and closing part 42 and the outer opening and closing part 36 so that the auxiliary storage material 32 is filled in the auxiliary storage space S2,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work such as inserting or removing the auxiliary bag 34 containing the auxiliary ingredient material 32 and replacing it.

한편, 내피 주머니(24)에 수용되는 메인 속재료(22)와 보조 수용공간(S2)에 채워지는 보조 속재료(32)는, 서로 다른 소재,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돌출 쿠션부(30)들과, 양쪽 돌출 쿠션부(30) 사이의 중간영역이나 중간, 즉 침구용 외피(20)의 메인 수용공간(S1)에 수용되는 메인 속재료(22)의 쿠션감과 돌출 쿠션부(30)의 보조 수용공간(S2)에 수용되는 보조 속재료(32)의 쿠션감이 서로 다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flux material 22 accommodated in the inner bag 24 and the auxiliary material 32 filled in the auxiliary storage space S2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r different shapes. This is because the cushioning of the main component material 22 accommodat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and between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And the cushioning of the auxiliary material (32)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S2) of the cushion part (3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침구(10)의 중간영역(A)을 베고 누웠을 때의 쿠션감과, 어느 한쪽의 돌출 쿠션부(30)를 베고 누었을 때의 쿠션감이 다르도록, 외피(20)의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워지는 메인 속재료(22)와 돌출 쿠션부(30)의 보조 수용공간(S2)에 채워지는 보조 속재료(32)의 소재를 다르게 하고 형태도 다르게 한다. The cushioning feeling when the user laid the middle region A of the bedding 10 and the cushioning feeling when the one of the cushioning portions 30 are folded and tilt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in component material 22 fill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nd the auxiliary part material 32 fill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of the projecting cushion part 30 have different materials and different shapes.

예를 들면, 메인 속재료(22)는 딱딱한 느낌의 쿠션감이 발현되도록, 곡물, 씨앗, 목재칩, 플라스틱 칩,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플라스틱 튜브, 소정의 크기로 절단 가공된 목재 등으로 구성하고, 보조 속재료(22)는 부드러운 쿠션감이 발현되도록 솜, 스펀지, 양모, 오리 솜털이나 거위 솜털로 이루어진 다운 또는 직물재 등으로 구성하여, 침구용 외피(20)를 베고 누웠을 때에는 딱딱한 느낌의 쿠션감으로 사용자의 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워 두부의 측면이나 얼굴의 측면이 돌출 쿠션부(30)에 닿았을 때 부드러운 쿠션감이 얼굴의 측면을 감싸도록 하여 포근한 느낌을 주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main component material 22 is composed of a grain, seed, wood chip, plastic chip, plastic tube cut to a predetermined size, wood cu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like so that a feeling of cushion feeling of a hard feeling is developed A sponge, a wool, and a down or fabric material made of duck-down or goose down fur so that a soft cushioning feeling can be developed so that the cushioning feeling of a hard feeling when the bedding- So that the soft cushion feeling will wrap the side of the face so that the user feels warm when the side of the head or the side of the face touches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30. [ do.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외피(20)의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워지는 메인 속재료(22)와 돌출 쿠션부(30)의 보조 수용공간(S2)에 채워지는 보조 속재료(32)의 소재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속재료(22)와 보조 속재료(32)를 동일한 소재인 솜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워지는 메인 속재료(22)의 밀도를 보조 수용공간(S2)에 채워지는 보조 속재료(22)의 밀도보다 더 높게 하여 메인 수용공간(S1)의 쿠션감은 다소 딱딱하게 발현되도록 하고, 보조 수용공간(S2)의 쿠션감은 부드럽게 발현되도록 하여 하나의 침구(10)로 서로 다른 쿠션감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main component material 22 filled in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of the shell 20 and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32 fill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of the projecting cushion part 30 Can be made the same. For example, the main material 22 and the auxiliary material 3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main ingredient material F filled in the main containing space S1 22 is made higher than the density of the auxiliary material 22 fill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so that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is somewhat hardened and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So that a single cushioning feeling can be provided by one bedding 10.

전술한 메인 속재료(22) 또는 보조 속재료(32)가 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속재료(22) 또는 보조 속재료(32)는, 솜 85 - 95중량%와, 편백나무를 대패로 가공하여 얻어진 편백칩 5 - 15중량%로 이루어지되, 3-7mm의 크기로 절단된 편백칩과 솜을 혼합하여 솜의 올 사이에 편백칩이 균일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편백칩이 5중량% 이하로 혼합되면, 편백나무가 갖는 효능, 예를 들면 향, 피톤치드 방출량이 낮게 되고, 15중량% 이상 혼합되면 편백나무의 효능은 향상되나, 압력을 받는 편백칩이 부서지는 소리(버석거림)가 과도하게 발생되어 사용자의 휴식 및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10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where the main component material 22 or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32 described above is made of cotton, it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The main ingredient 22 or the auxiliary ingredient 32 is composed of 85 to 95% by weight of Cotton and 5 to 15% by weight of a flattened chip obtained by planarizing a plain wood, And the cotton and the cotton may be mixed to uniformly place the flattened chips between the cotton swatches. In this case, when the chewing chips are mixed in an amount of 5 wt% or less, the efficacy of the chewy gum, for example, the fragrance and the phytoncide release amount is lowered. When the chewing gum is mixed by 15 wt% or more, A cracking sound (excessive noise) may occur excessively,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user's rest and sleep.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mix 10% by weight.

한편, 베개로 이루어진 침구(10)의 상면(28),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쪽의 돌출 쿠션부(30) 사이의 중간영역(A)에는 하향으로 만곡진 안착부(29)가 형성된다. 이 안착부(29)는 하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뒷머리 또는 뒷목을 안정적으로 감싸게 되며, 양쪽의 돌출 쿠션부(30)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베고 누웠을 때 머리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위로보고 누웠을 때 머리가 옆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a), an intermediate region A between the two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is provided with a downwardly curved seating portion (not shown) on the upper surface 28 of the bedding 10 made of a pillow, 29 are formed. The seating portion 29 is formed to be concave downward so as to stably cover the back or back of the user and to be lower than both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to prevent the head from being excessively raised when the user is laid down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d from tilting sideways when the user looks up and down.

또한, 돌출 쿠션부(3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봤을 때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영역(A)에서 양쪽 돌출 쿠션부(30)들 쪽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아령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중간영역(A)은 비교적 좁은 면적을 갖는 사용자의 뒷머리나 뒷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좁게 형성되고, 양쪽의 돌출 쿠션부(30)들은 옆머리나 얼굴의 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중간영역(A)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누워 중간영역(A)을 베었을 때, 양쪽의 돌출 쿠션부(30)의 각 일부가 어깨 부분에 밀착되어 이불을 덮었을 때 찬바람이 목과 어깨사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2 and 7,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30 is circular or elliptical when viewed from above. By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 7, the cushion portions 30 are gradually enlarged from the intermediate region A toward both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to have a dumbbell shape. In such a structure, the intermediate region A is narrowly formed so as to stably support the rear head or the rear head of a user having a relatively narrow area, and both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are formed so as to stably support the side head or the face side. So as to have a wider area than the area A. [ Particularly, when the user normally lays the middle region A, each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shoulder portion to prevent the cold wind from flowing between the neck and the shoulder do.

이와 같이 구성된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10)가 1인용 베개이고, 인 경우에, 사용자가 양쪽 돌출 곡면부(30) 사이의 중간영역(A), 즉 안착부(29)를 베게 되면 사용자는 메인 속재료(22)에 의해 비교적 딱딱한 쿠션감을 느끼게 된다. 이는 메인 속재료(22)가 곡물이나 씨앗, 목재칩, 합성수지재 튜브 칩 등 알갱이 형태를 갖는 소재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펀지나 솜 등에 비하여 딱딱한 쿠션감을 발현하기 때문이다. In the case where the bedding 10 having the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a one-person pillow, when the user chops the middle region A between the two convex curved portions 30, i.e., the seating portion 29, The main component material 22 causes a feeling of relatively firm cushioning. This is because the main ingredient 22 is made of materials having a granular form such as grain, seed, wood chips,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ube chip, and thus exhibits a hard cushion feeling compared with sponge or cotton.

그리고, 사용자가 안착부(29)를 베게 되면, 안착부(29)가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뒷목이나 뒷머리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머리가 옆으로 돌아가는 현상(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chucks the seat 29, the seat 29 is bent downward, so that the user's back or back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shaking. Therefore, The phenomenon (lateral inclina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한편,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눕게 되면, 사용자의 머리 측면이나 얼굴 옆면이 돌출 쿠션부(30)를 베게 된다. 이때 돌출 쿠션부(30)의 보조 속재료(32)가 솜이나 스펀지 또는 직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메인 속재료(22)에 비하여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워 얼굴 옆면이 돌출 쿠션부(30)에 닿게 되면 돌출 쿠션부(30)의 보조 속재료(32)가 부드러운 쿠션감으로 사용자의 얼굴 측면을 감싸게 되어 사용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워 얼굴 측면이 돌출 쿠션부(30)를 가압할 때 보조 속재료(32)가 쉽게 압축되므로 사용자의 얼굴 측면의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lies down, the user's head or face side faces the cushioning portion 30. At this time, since the auxiliary material 32 of the protruding cushion 30 is made of cotton, sponge or fabric, it provides a soft cushioning feeling compared to the main material 22.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lies sideways and the side face of the face touches the protruding cushion part 30, the auxiliary ingredient material 32 of the protruding cushion part 30 wraps the side of the user's face with a soft cushion feeling, .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component material 32 is easily compressed when the user lies sideways and the face of the face presses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30, the deformation of the user's face side can be minimized.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베개에 를 도시한 내부 개폐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ner opening / closing part shown in the pillow shown in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개폐부(42)는 지퍼 등에 의해 개폐되지 않고 임으로 개방되도록 분리막(40)을 절개하여 형성하거나, 분리막(40)을 겹치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개폐부(42)가 임의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As shown in FIG. 5, the inner opening / closing part 42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separating film 40 so as to be opened without being opened or closed by a zipper, or by overlapping the separating film 40. The inner opening / closing part 42 is configured to be opened as desired.

이와 같이, 내부 개폐부(42)가 임의로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돌출 쿠션부(30)를 하향으로 가압할 때 보조 속재료(32)의 일부 또는 보조 속재료(32)가 담겨지는 보조 주머니(34)의 일부가 보조 수용공간(S2)에서 메인 수용공간(S1)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는 신체, 즉 얼굴 측면이나 머리의 측면에 대한 반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opening / closing part 42 is configured to be opened arbitrarily. Thus, when the projecting cushion part 30 is pressed downward, a part of the auxiliary material 34 or the part of the auxiliary bag 34 It is possible to weaken the reaction force on the side of the body, that is, the side of the face or the side of the head, which moves 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from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워 얼굴의 측면으로 돌출 쿠션부(30)를 가압하면, 보조 속재료(32)의 일부 또는 보조 속재료(32)가 담겨지는 보조 주머니(34)의 일부가 보조 수용공간(S2)에서 메인 수용공간(S1)으로 이동하여 보조 수용공간(S2)에 수용된 보조 속재료(32)의 반발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보조 속재료(32)의 과도한 탄력으로 사용자의 얼굴 측면을 가압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상태로 휴식 및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pushes the projecting cushion part 30 to the side surface of the face so that a part of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32 or a part of the auxiliary bag 34 containing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32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part 32. [ The user moves from the space S2 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S1 and reduces the repulsive force of the auxiliary ingredient material 32 accommodat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S2 to pressurize the face of the user with excessive elasticity of the auxiliary ingredient material 32 So that it can be minimized. Thus, the user can relax and take a good night's sleep in a comfortable state.

한편, 전술한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구(10)가 1인용 베개에 적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침구(10)는 보다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2 to 7, the bedd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products. However, the bedd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roducts .

먼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1인용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First, Fig. 8 is a photograph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llow for a single person shown in Fi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구(10)는 도 2에 도시된 베개와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bedd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pillow shown in FIG.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이 2인용 베개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2인용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illow for two persons, and FIG. 10 is a photograph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illow for two persons shown in FIG.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구(10)는 2인용 베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인용 베개의 상면(28)의 중앙과 양쪽에 돌출 쿠션부(30)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2인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받을 수 있다. 9 and 10, the bedd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pillow for two persons. By providing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28 of the pillow for two persons as described above, not only two persons can use the cushion feeling at the same time but also different cushion feeling can b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은 본 발명이 방석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이 쿠션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대용 사진이다. 11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ushion, and Fig. 12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ushion.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구(10)는 방석이나 쿠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방석이나 쿠션의 상면 양쪽에 돌출 쿠션부(30)를 각각 형성하여 방석에 앉거나 쿠션에 기댈 때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11 and 12, the bedd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ushion or a cushion. That is,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3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shion or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to provide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when sitting on the cushion or leaning against the cushion.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침구 20 : 침구용 회피
22 : 메인 속재료 24 : 내피 주머니
26 : 메인 개폐부 28 : 상면
29 : 안착부 30 : 돌출 쿠션부
32 : 보조 속재료 34 : 보조 주머니
36 : 외부 개폐부 40 : 분리막
42 : 내부 개폐부 A : 중간영역
10: bedding 20: bedding avoidance
22: main material charge 24: inner pocket
26: main opening / closing part 28: upper surface
29: seat part 30: projecting cushion part
32: Auxiliary material 34: Secondary pocket
36: ex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40:
42: Inner opening / closing part A:

Claims (7)

베개, 방석 또는 쿠션을 포함하는 침구로서,
메인 속재료가 담겨진 내피 주머니가 수용되는 메인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메인 개폐부를 구비하는 침구용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침구용 외피의 상면에는, 상면보다 더 높은 돌출 쿠션부가 만곡지게 각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침구가 1인용 베개, 방석 또는 쿠션인 경우에, 상기 돌출 쿠션부는 중간영역을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침구가 2인용 베개인 경우에, 상기 돌출 쿠션부가 중간에 1개 형성되고 상기 중간에 형성되는 돌출 쿠션부의 양쪽에 상기 돌출 쿠션부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 쿠션부의 내부는,
분리막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과 구분되고 보조 속재료가 채워지는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수용공간은, 외부 개폐부에 의해 외부로 개방되거나, 내부 개폐부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으로 개방되거나, 상기 외부 개폐부와 내부 개폐부를 구비하여 외부와 상기 메인 수용공간으로 개방되며,
상기 침구용 외피의 쿠션감과 상기 돌출 쿠션부의 쿠션감이 서로 다르도록, 상기 내피 주머니에 수용되는 메인 속재료와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상기 보조 속재료는, 서로 다른 소재,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같은 소재, 형태로 이루어지되 서로 다른 밀도로 채워지고,
상기 내부 개폐부는,
상기 돌출 쿠션부를 하향으로 가압할 때 상기 보조 속재료의 일부 또는 상기 보조 속재료가 담겨지는 보조 주머니의 일부가 상기 메인 수용공간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는 신체에 대한 반력이 약화되도록 임의로 개방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
A bedding comprising a pillow, cushion or cushion,
And an acupuncture jacket having a mai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an endothelium bag containing a main ingredient is accommodated and a main opening and closing par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accommodating space,
In the case where the bedding is a pillow, a cushion or a cushion for one person, the cushion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iddle region, respective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dding cushion, Wherein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is formed in the middle and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is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at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Wherein the auxiliary storag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main storage space by a separation membrane and is filled with auxiliary material, the auxiliary storage space is opened to the outside by an ex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opened to the main storage space by an internal opening and closing part, An external opening / closing unit and an internal opening / closing unit,
The main component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inner film bag and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filled in the auxiliary accommodation space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r shapes so that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acupuncture jacket and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protruding cushion p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terial, and shape, but filled with different densities,
The internal opening /
A part of the auxiliary material or a part of the auxiliary bag containing the auxiliary material is opened to the main accommodation space and is optionally opened so as to weaken the reaction force against the body when the projecting cushion part is pressed downward As a result,
Bedding with a different cushioning f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가 베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사용자의 뒷목과 뒷머리 영역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양쪽 상기 돌출 쿠션부 사이에 하향으로 만곡진 오목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edding is a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seating portion curved downward is formed between both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so as to stably support the user's back and back end regions.
Bedding with a different cushioning f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쿠션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Bedding with a different cushioning fe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구가 1인용 베개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중간영역에서 양쪽의 상기 돌출 쿠션부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bedding is made of a single-person pillow,
And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 is formed so as to gradually increase in size from the intermediate region toward both of the protruding cushion portions.
Bedding with a different cushioning feel.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주머니에 수용되는 메인 속재료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고형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속재료는, 상기 메인 속재료와는 쿠션감이 다르도록 솜, 스펀지, 다운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재료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메인 속재료와 상기 보조 속재료가 서로 같은 소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보조 속재료와 상기 메인 속재료는 쿠션감이 다르도록 밀도가 서로 다르게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main component material contained in the inner film bag is made of a sol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auxiliary material material is made of a material made of cotton, sponge, down or cloth so as to have a different cushioning feeling from the main component material ,
Wherein when the main component material and the auxiliary component material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in the same form, the auxiliary component material and the main component material are filled with different densities so that the cushion feeling is different.
Bedding with a different cushioning fe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속재료가 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보조 속재료는, 솜 85 - 95중량%와, 편백나무를 대패로 가공하여 얻어진 편백칩 5 - 15중량%로 이루어지되, 3-7mm의 크기로 절단된 상기 편백칩과 상기 솜을 혼합하여 상기 솜의 올 사이에 상기 편백칩이 균일하게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쿠션감을 갖는 침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auxiliary material is made of cotton,
Wherein the auxiliary ingredient material comprises 85 to 95% by weight of cotton and 5 to 15% by weight of a flattened chip obtained by processing a flattened wood by a planer, wherein the flattening chip cut to a size of 3-7 mm and the cotton are mixed And the flattening chips are uniformly positioned between the teeth of the cotton.
Bedding with a different cushioning feel.


KR1020180146394A 2018-11-23 2018-11-23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Active KR101977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94A KR101977730B1 (en) 2018-11-23 2018-11-23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94A KR101977730B1 (en) 2018-11-23 2018-11-23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730B1 true KR101977730B1 (en) 2019-05-13

Family

ID=6658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394A Active KR101977730B1 (en) 2018-11-23 2018-11-23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73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0775B2 (en) 2020-05-04 2022-06-07 Shining Star Stitchery LLC Pillow system and apparatus having different tactile textures
KR20230060699A (en) * 2021-10-28 2023-05-08 김종욱 Cervical pillow
KR20230082779A (en) *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고도 Pillow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462U (en) 1997-11-26 1999-06-15 구인모 Pillow
JP2015150372A (en) * 2014-02-19 2015-08-2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pillow
KR20180000222A (en) * 2016-06-22 2018-01-02 니시카와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Bedding and cush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0462U (en) 1997-11-26 1999-06-15 구인모 Pillow
JP2015150372A (en) * 2014-02-19 2015-08-24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pillow
KR20180000222A (en) * 2016-06-22 2018-01-02 니시카와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Bedding and cush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0775B2 (en) 2020-05-04 2022-06-07 Shining Star Stitchery LLC Pillow system and apparatus having different tactile textures
KR20230060699A (en) * 2021-10-28 2023-05-08 김종욱 Cervical pillow
KR102578451B1 (en) * 2021-10-28 2023-09-13 김종욱 Cervical pillow
KR20230082779A (en) *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고도 Pillow
KR102563803B1 (en) * 2021-12-02 2023-08-09 주식회사 고도 Pi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7877B1 (en) Beanbag sofa with a built-in headrest
KR101977730B1 (en)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KR200484694Y1 (en) Functional cervical vertebra and wing pillow
KR200321358Y1 (en) Health pillow
US20190343307A1 (en) Travel pillow
JP3128886U (en) Pillow equipment
US20170000680A1 (en) Decorative cushion massage device
KR102152448B1 (en) Functional pillow for induction of deep sleep
JP3132068U (en) Pillow equipment
KR200313925Y1 (en) A cushion
KR200270177Y1 (en) A cloth pillow over provide with a neck rest
KR102149635B1 (en) Functional pillow
KR20040101584A (en) Multi-hardness and elastomer of Health pillow for control of Height
KR101837910B1 (en) Functional Pillow
KR200443835Y1 (en) Functional pillow
CN213696432U (en) Pillowcase
KR200415546Y1 (en) Sofa cushions
CN210810310U (en) Combined multifunctional cervical vertebra nursing pillow
CN110613285A (en) Adjustable cervical pillow
KR200491545Y1 (en) Custom type functional pillow
KR102520310B1 (en) Functional pillow with adjustable cervical vertebrae height
KR101649980B1 (en) Functional pillow with neck support pillow portion
JP3050776U (en) pillow
KR101626219B1 (en) Enabled functionality pillows in different directions
JP2000166709A (en) Sofa and mattress corresponding to body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