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260B1 -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260B1
KR101974260B1 KR1020170008896A KR20170008896A KR101974260B1 KR 101974260 B1 KR101974260 B1 KR 101974260B1 KR 1020170008896 A KR1020170008896 A KR 1020170008896A KR 20170008896 A KR20170008896 A KR 20170008896A KR 101974260 B1 KR101974260 B1 KR 10197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mode
work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319A (ko
Inventor
김의성
문현욱
김양경
이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2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구동 대상 물체를 가열하거나 구동 대상 물체에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 즉 유도 가열 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INDUCTION HEAT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ING DEVICE}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 레인지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가스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 예컨대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장치들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은 크게 저항 가열 방식과 유도 가열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저항 방식은 금속 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 또는 전도를 통해 피가열 물체에 전달함으로써 피가열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은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 물체에 와전류(eddy current)를 발생시켜 피가열 물체 자체가 가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두 가지 가열 방식 중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하는 유도 가열 장치가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많은 전자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별도의 충전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충전 패드에 올려 놓는 것 만으로도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이 적용된 전자 장치는 유선 코드나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휴대성이 향상되며 크기와 무게가 종래에 비해 감소하게 된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과, 공진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마이크로파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전파 방사 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전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1차 코일과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2차 코일 간의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가열 방식은 전자기 유도에 의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한다는 점에서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과 원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모드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연결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출력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및 전자기 유도에 의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워킹 코일에 인가되는 공진 전류를 이용하여 워킹 코일에 전자기장을 유도하여 구동 대상 물체를 가열하거나 구동 대상 물체에 전력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그 원리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하나의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구동 대상 물체를 가열하거나 구동 대상 물체에 내장된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 즉 유도 가열 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중심을 공유하는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는 인버터부, 구동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하는 스위치부, 상기 구동 모드에 따라서 유도 가열 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동작을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은, 구동 대상 장치의 구동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구동 모드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인버터부와 연결하는 단계, 상기 구동 모드에 따라서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구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공진 전류의 인가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구동 모드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연결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출력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구동 대상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포함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설치되는 테이블 상부에 배치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테이블 하부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구동 대상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4)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10) 및 워킹 코일 어셈블리(10)를 수용하는 케이스(14)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14)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10)에 장착된 워킹 코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듈(12)이 수용된다.
워킹 코일 어셈블리(10)는 구동 대상 장치(108)를 가열하거나 구동 대상 장치(110)에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워킹 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워킹 코일은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을 포함한다. 제1 워킹 코일의 단부에는 두 개의 커넥터(10a, 10b)가 연결되고, 제2 워킹 코일의 단부에는 두 개의 커넥터(10c, 10d)가 연결된다. 각각의 커넥터(10a, 10b, 10c, 10d)는 구동 모듈(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은 커넥터(10a, 10b, 10c, 10d)를 통해 구동 모듈(1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워킹 코일 어셈블리(10)는 케이스(14)에 수용되는 구동 모듈(12)과 커넥터(10a, 10b, 10c, 10d)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모듈(12)은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구동 대상 장치(108, 11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4)의 구동 모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4)는 유도 가열 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4)의 구동 모드를 직접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값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구동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동 대상 장치(108, 110)가 구동 모듈(12) 근처에 놓여질 경우 구동 대상 장치(108, 110)와 구동 모듈(12) 간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구동 대상 장치(108, 110)의 종류, 구동 모드와 같은 데이터가 구동 모듈(12)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유도 가열 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모드가 결정되면, 구동 모듈(12)은 커넥터(10a, 10b, 10c, 10d)를 통해 워킹 코일 어셈블리(10)의 워킹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 대상 장치(108, 110)를 가열하거나 구동 대상 장치(108, 110)에 전력을 전송한다. 이 때 구동 모듈(12)에 포함된 스위치부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4)의 구동 모드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을 인버터부와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워킹 코일 어셈블리(10) 및 구동 모듈(12)을 수용하는 케이스(14)는 테이블(102)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테이블(102)의 상단에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1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구동 영역(106)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구동 영역(106) 내 또는 구동 영역(106) 근처에 구동 대상 장치(108, 110)를 올려 놓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모듈(12)에 의해 구동 모드가 결정되고, 결정된 구동 모드에 따라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4)가 구동된다.
한편, 테이블(102) 상에는 입력 인터페이스(112)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12)는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 강도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4)의 구동 시간 등을 입력하기 위한 모듈로서, 물리적인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 인터페이스(112)의 위치 및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정류부(504), 필터부(506), 제1 워킹 코일(202), 제2 워킹 코일(204), 스위치부(508), 스위칭 소자(S1, S2), 인버터 구동회로(510), 제어부(512)를 포함한다.
정류부(504)는 상용 전원(502)에 의해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필터부(506)는 정류부(504)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에 남아 있는 교류 성분을 제거한다. 정류부(504) 및 필터부(506)에 의해 정류된 직류 전력은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된다.
스위치부(508)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202)을 인버터부(514)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하거나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한다. 스위치부(508)의 동작은 제어부(512)의 제어 신호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부(508)의 동작에 의해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 즉 유도 가열 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 따라서 워킹 코일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스위치부(508)는 제1 워킹 코일(202)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서는 제1 워킹 코일(202)만이 구동되어 구동 대상 장치에 무선 전력을 전송한다.
다른 예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스위치부(508)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 모드에서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에 의하여 구동 대상 장치의 가열이 수행된다.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에 따라 스위치부(508)에 의해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되는 워킹 코일은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일 때 스위치부(508)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일 때 스위치부(508)는 제1 워킹 코일(202)만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508)에 의하여 연결되는 워킹 코일의 종류에 따라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이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512)는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구동 대상 장치로부터의 입력값에 따라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를 결정한다. 제어부(512)는 결정된 구동 모드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부(508)에 의한 워킹 코일의 연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결정된 구동 모드에 따라서 유도 가열 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인버터 구동회로(510)는 제어부(51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주파수에 따라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여 인버터부(514)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인버터부(514)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는 인버터 구동회로(510)에 의해 출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하여 교대로 턴 온 및 턴 오프된다. 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S1, S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고주파의 교류 전류가 워킹 코일(202, 204)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일 경우, 워킹 코일(202, 204)에 인가되는 고주파의 교류 전류에 의하여 워킹 코일(202, 204)과 구동 대상 장치 사이에 와전류가 발생되어 구동 대상 장치가 가열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일 경우 워킹 코일(202, 204)에 인가되는 고주파의 교류 전류에 의하여 워킹 코일(202, 204)에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워킹 코일(202, 204)과 대응되는 구동 대상 장치의 제2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구동 대상 장치에 내장되는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 또는 구동 대상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512)는 스위치부(508)를 제어하여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인버터부(514)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제어부(512)는 스위치부(508)를 제어하여 제1 워킹 코일(202)을 인버터부(514)와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제어부(512)는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를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와 비교하여 구동 대상 장치가 가열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12)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 구동 회로(510)를 통해 스위칭 소자(S1, S2)를 특정 주파수로 동작시킨다. 제어부(512)는 이와 같은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전류 측정부(CD)를 통해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장착되는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동 대상 물체가 자성체일 경우, 워킹 코일에서 구동 대상 물체로 많은 와전류가 유도되면서 공진되므로 워킹 코일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장착되는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동 대상 물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비자성체일 경우, 워킹 코일이 공진되지 않으므로 워킹 코일에는 상대적으로 큰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12)는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 측정되는 공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보다 작은 경우 구동 대상 물체가 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 측정되는 공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512)는 구동 대상 물체가 비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동 대상 물체가 자성체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512)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파워 레벨에 따라서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결정한다. 제어부(512)는 이와 같이 결정되는 주파수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인버터 구동회로(510)에 출력한다.
인버터 구동 회로(51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주파수에 기초하여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여 인버터부(514)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를 교대로 턴 온 및 턴 오프시킨다. 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S1, S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서 워킹 코일(202, 204)에 공진 전류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제어부(512)는 사용자에 의하여 오프 신호가 입력되거나 파워 레벨이 0으로 입력되는 등 구동 정지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서 인버터 구동회로(510)를 통한 인버터부(514)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제어부(512)는 구동 대상 장치와의 통신을 통하여 구동 대상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대상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치 정보는 구동 대상 장치의 종류, 충전 모드, 요구 전력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512)는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대상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512)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면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에 따라서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결정한다. 제어부(512)는 이와 같이 결정되는 주파수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인버터 구동회로(510)에 출력한다.
인버터 구동 회로(51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주파수에 기초하여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여 인버터부(514)에 포함된 스위칭 소자(S1, S2)를 교대로 턴 온 및 턴 오프시킨다. 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S1, S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서 워킹 코일(202, 204)에 공진 전류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제어부(512)는 미리 설정된 충전 시간이 경과하거나 오프 신호가 입력되는 등 구동 정지 조건이 만족됨에 따라서 인버터 구동회로(510)를 통한 인버터부(514)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기본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도 2b에 도시된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은 도 2a 도시된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과 서로 반대의 위치를 갖는다.
도 2b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스위치부(508)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일 때 제2 워킹 코일(204)만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하고,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일 때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부(508)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일 때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하고,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일 때 제2 워킹 코일(204)만을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은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와는 달리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부(508) 및 제1 워킹 코일(202)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스위치부(518) 및 제2 워킹 코일(204)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부(512)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에 따라서 스위치부(508, 514)를 제어하여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 또는 유도 가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면, 제어부(512)는 스위치부(508)를 폐쇄하고 스위치부(518)을 개방하여 제1 워킹 코일(202)만이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 또는 유도 가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면, 제어부(512)는 스위치부(508)를 개방하고 스위치부(518)을 폐쇄하여 제2 워킹 코일(204)만이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이나 유도 가열을 위하여 높은 출력이 요구될 경우, 제어부(512)는 스위치부(508, 518)를 모두 폐쇄하여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이 모두 스위칭 소자(S1, S2)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제어부(512)는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를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와 비교하여 구동 대상 장치가 가열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12)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 구동 회로(510)를 통해 스위칭 소자(S1, S2)를 특정 주파수로 동작시킨다. 제어부(512)는 이와 같은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전류 측정부(CD1, CD2)를 통해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제1 워킹 코일(202) 또는 제2 워킹 코일(204)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512)는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 측정되는 공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보다 작은 경우 구동 대상 물체가 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 측정되는 공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512)는 구동 대상 물체가 비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 이후 제어부(512)의 동작은 앞서 도 2a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포함되는 워킹 코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는 제1 워킹 코일(202), 제2 워킹 코일(204), 코일 베이스(206)를 포함한다.
제1 워킹 코일(202)은 코일 베이스(206)의 상부에 장착되며 반지름 방향으로 제1 회전 수만큼 감겨진다. 또한 제2 워킹 코일(204)은 코일 베이스(206)의 상부에 장착되고, 제1 워킹 코일(202)과 중심을 공유하며 반지름 방향으로 제2 회전 수만큼 감겨진다.
제1 워킹 코일(202)의 회전 수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회전 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제1 워킹 코일(202)의 회전 수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회전 수의 합은 코일 베이스(206)의 크기 및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규격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202)의 회전 수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회전 수의 합은 20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총 직경은 코일 베이스(206)의 크기 및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규격을 고려하여 8인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워킹 코일(202)의 직경은 6인치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은 동시에 구동될 때 최대 3kW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워킹 코일(202)은 단독으로 구동될 때 최대 2kW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이 생성하는 전력의 크기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회전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워킹 코일(202)의 양단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양단은 각각 도 1와 같이 제1 워킹 코일(202)의 양단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외부로 연장된다. 제1 워킹 코일(202)의 양단에는 커넥터(204a, 204b)가 연결되고, 제2 워킹 코일(204)의 양단에는 커넥터(204c, 204d)가 연결된다.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은 커넥터(204a, 204b, 204c, 204d)를 통해 구동 모듈(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커넥터(204a, 204b, 204c, 204d)는 전도성의 연결 단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코일 베이스(206)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체로서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코일 베이스(206)의 둘레에는 후술하는 보조 페라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208a~208h)가 형성된다. 또한 코일 베이스(206)의 중앙에도 보조 페라이트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210a~210h)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이 장착되는 영역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메인 페라이트 시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212a~212h)가 형성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8개의 페라이트 시트(메인 페라이트 시트 및 보조 페라이트 시트)가 코일 베이스(206)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페라이트 시트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의 상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베이스(206)의 둘레에 형성되는 수용구(208a~208h)에는 수용구(208a~208h)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보조 페라이트 시트(308a~308h)가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 베이스(206)의 중앙에 형성되는 수용구(210a~210h)에도 수용구(210a~210h)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보조 페라이트 시트(310a~310h)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페라이트 시트(308a~308h, 310a~310h)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반지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페라이트 시트(308a~308h, 310a~310h)는 후술하는 메인 페라이트 시트의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보조 페라이트 시트는 메인 페라이트 시트와 동일하게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속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페라이트 시트는 메인 페라이트 시트의 단면적이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페라이트 시트의 총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킹 코일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코일 베이스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베이스의 하부에는 메인 페라이트 시트(414a~414h)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412a~412h)가 형성된다. 메인 페라이트 시트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참고로 메인 페라이트 시트 및 보조 페라이트 시트의 개수, 형상, 위치, 단면적 등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베이스의 상부에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이 장착되고,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주변에는 보조 페라이트 시트 및 메인 페라이트 시트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보조 페라이트 시트 및 메인 페라이트 시트의 총 포화 자속 밀도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총 포화 자속 밀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조 페라이트 시트 및 메인 페라이트 시트의 총 포화 자속 밀도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의 총 포화 자속 밀도의 25% 보다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때 테이블의 두께는 20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와 구동 대상 장치 간의 간격이 20mm 이상이 되므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출력을 3kW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페라이트 시트가 워킹 코일 하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조 페라이트 시트 및 메인 페라이트 시트의 총 포화 자속 밀도는 350mT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총 포화 자속 밀도를 갖기 위하여, 보조 페라이트 시트 및 메인 페라이트 시트의 총 단면적은 800㎟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페라이트 시트의 단면적은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과 마주보는 페라이트 시트의 단면의 넓이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설치되는 테이블 상부에 배치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입력 인터페이스(112)에는 전원 버튼, 잠금 버튼, 파워 레벨 조절 버튼(+, -), 타이머 조절 버튼(+, -)이 구비된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입력 인터페이스(112)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물리 버튼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112)에 구비된 전원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할 경우, 전원 램프(602)가 점등되면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이 시작된다. 반대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할 경우 전원 램프(602)가 소등되면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이 종료된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할 경우 잠금 램프(604)가 점등되면서 다른 모든 버튼의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잠금 버튼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할 경우 잠금 램프(604)가 소등되면서 다른 모든 버튼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워 레벨 조절 버튼(+, -)을 터치할 경우, 파워 레벨 램프(606)에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현재 파워 레벨이 숫자로 표시된다. 파워 레벨 조절 버튼(+, -)의 터치에 의해 제어부(512)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입력된 파워 레벨에 대응되도록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조절한다.
또한 사용자는 타이머 조절 버튼(+, -)을 터치하여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512)는 사용자가 설정한 구동 시간이 경과할 경우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할 경우 타이머 조절 버튼(+, -)에 의하여 설정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시간은 구동 대상 장치의 가열 시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할 경우 타이머 조절 버튼(+, -)에 의하여 설정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시간은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시간이 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충전 모드 버튼을 터치할 경우 충전 모드 램프(610)가 점등되면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구동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512)는 구동 영역(106)에 안착된 구동 대상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해당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동 대상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치 정보는 구동 대상 장치의 종류, 충전 모드, 요구 전력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512)는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대상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를 파악할 수 있다.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는 일반 충전 모드 및 고속 충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2)는 확인된 충전 모드에 따라서 인버터부(514)의 주파수를 조절한다. 예컨대 고속 충전 모드인 경우 제어부(512)는 인버터(514)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서 보다 큰 공진 전류가 워킹 코일에 인가되도록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512)에 의해 확인된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에 따라서 일반 충전 램프(612) 및 고속 충전 램프(614)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112) 중 일부 버튼이나 램프는 구동 대상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구동 대상 장치의 경우 도 6과 같이 충전 모드(일반 충전, 고속 충전)를 결정하기 위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부(512)는 먼저 구동 영역(106)에 안착되는 구동 대상 장치의 구동 모드를 확인한다(702). 본 발명에서 구동 대상 장치는 유도 가열 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구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데이터나 구동 대상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치 정보를 통해 구동 대상 장치의 구동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112)를 통해서 사용자가 파워 레벨 조절 버튼(+, -)을 터치할 경우, 제어부(512)는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512)가 구동 영역(106)에 안착된 구동 대상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장치 정보를 수신할 경우, 제어부(512)는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12)는 확인된 구동 모드에 따라서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 중 적어도 하나를 인버터부(514)와 연결한다(7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인버터부(514)와 연결하도록 스위치부(508)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제1 워킹 코일(202)만을 인버터부(514)와 연결하도록 스위치부(508)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인버터부(514)와 연결되는 워킹 코일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12)는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일 경우 제1 워킹 코일(202)만을 인버터부(514)와 연결하도록 스위치부(508)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12)는 확인된 구동 모드에 따라서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결정한다(70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확인된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파워 레벨에 따라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확인된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에 따라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12)는 결정된 주파수에 따라서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한다(708). 제어부(512)는 결정된 주파수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인버터 구동 회로(510)가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여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소자(S1, S2)를 교대로 턴 온 및 턴 오프시킴으로써 공진 전류가 워킹 코일에 인가된다.
이후 구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512)는 공진 전류의 인가를 종료한다(7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사용자에 의하여 오프 신호가 입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가열 시간이 경과하거나 파워 레벨이 0으로 입력될 때 인버터 구동 회로(510)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공진 전류의 인가를 종료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512)는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미리 설정된 충전 시간이 경과하거나 오프 신호가 입력될 때 인버터 구동 회로(510)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공진 전류의 인가를 종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512)는 먼저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임을 확인한다(802). 이에 따라 제어부(512)는 스위치부(508)를 제어하여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을 인버터부(514)에 연결한다(804).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 중 어느 하나만이 인버터부(5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12)는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에 인가되는 공진 전류의 크기를 측정한다(806). 예컨대 제어부(512)는 미리 설정된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 구동 회로(510)를 통해 스위칭 소자(S1, S2)를 특정 주파수로 동작시킨다. 제어부(512)는 이와 같은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전류 측정부(CD)를 통해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12)는 측정된 공진 전류의 크기를 기준 전류와 비교한다(808).
만약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장착되는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동 대상 물체가 자성체일 경우, 워킹 코일에서 구동 대상 물체로 많은 와전류가 유도되면서 공진되므로 워킹 코일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나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장착되는 테이블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동 대상 물체가 존재하지 않거나 비자성체일 경우, 워킹 코일이 공진되지 않으므로 워킹 코일에는 상대적으로 큰 공진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12)는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 측정되는 공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보다 작은 경우 구동 대상 물체가 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테스트 구동 시간 동안 인버터부(514)에 의하여 워킹 코일로 인가되는 공진 전류 측정되는 공진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512)는 구동 대상 물체가 비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808)의 비교 결과 공진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512)는 구동 대상 물체가 비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하고 가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단계(808)의 비교 결과 공진 전류가 기준 전류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512)는 구동 대상 물체가 자성체인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파워 레벨에 따라서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결정한다(810). 제어부(512)는 이와 같이 결정되는 주파수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인버터 구동회로(510)에 출력함으로써 인버터 구동회로(510)를 통해 인버터부(514)를 구동시킨다(812).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동작에 의하여 공진 전류가 워킹 코일에 인가되면, 구동 대상 물체에 흐르는 와전류로 인하여 구동 대상 물체의 가열이 진행된다. 이후 제어부(512)는 구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814). 구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오프 신호가 입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가열 시간이 경과하거나, 파워 레벨이 0으로 입력될 때, 제어부(512)는 인버터 구동 회로(510)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공진 전류의 인가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512)는 단계(810) 및 단계(812)를 계속 수행하여 구동 대상 장치를 가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512)는 먼저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임을 확인한다(902). 이에 따라 제어부(512)는 스위치부(508)를 제어하여 제1 워킹 코일(202)을 인버터부(514)에 연결한다(904).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워킹 코일(202)이 인버터부(514)에 연결되거나, 제1 워킹 코일(202) 및 제2 워킹 코일(204)이 인버터부(5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12)는 구동 대상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구동 대상 장치로부터 수신한다(906). 이 때 구동 대상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장치 정보는 구동 대상 장치의 종류, 충전 모드, 요구 전력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12)는 수신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 대상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12)는 확인된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에 따라서 인버터부(514)의 스위칭 동작을 위한 주파수를 결정한다(908). 예컨대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가 고속 충전 모드인 경우, 제어부(512)는 일반 충전 모드일 때보다 빠른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버터부(514)의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12)는 이와 같이 결정된 주파수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인버터 구동회로(510)에 출력함으로써 인버터 구동회로(510)를 통해 인버터부(514)를 구동시킨다(910). 인버터부(514)의 구동에 의하여 공진 전류가 워킹 코일에 인가되며, 워킹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하여 구동 대상 장치에 포함되는 2차 코일에 전류가 유도되어 구동 대상 장치 내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이후 제어부(512)는 구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912). 구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충전 시간이 경과하거나 오프 신호가 입력될 때, 제어부(512)는 인버터 구동 회로(510)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공진 전류의 인가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512)는 단계(908) 및 단계(910)를 계속 수행하여 구동 대상 장치에 대한 전력 전송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8)

  1. 중심을 공유하는 제1 워킹 코일 및 제2 워킹 코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에 공진 전류를 인가하는 인버터부;
    구동 모드에 따라서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하는 스위치부;
    상기 구동 모드에 따라서 유도 가열 또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하여 설정되는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동작을 위한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구동 회로; 및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주변에 배치되는 페라이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반지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페라이트 시트; 및
    상기 메인 페라이트 시트의 양단에서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의 반지름 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보조 페라이트 시트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워킹 코일 및 상기 제2 워킹 코일을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하고,
    상기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1 워킹 코일을 상기 인버터부와 연결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상기 인버터부에 의하여 인가되는 공진 전류를 미리 설정된 기준 전류와 비교하여 구동 대상 장치가 가열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파워 레벨에 따라서 상기 주파수를 결정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유도 가열 모드이면 사용자에 의하여 오프 신호가 입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가열 시간이 경과하거나 파워 레벨이 0으로 입력될 때 상기 인버터 구동 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구동 대상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구동 대상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구동 대상 장치의 충전 모드에 따라서 상기 주파수를 결정하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드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이면 미리 설정된 충전 시간이 경과하거나 오프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인버터 구동 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008896A 2017-01-18 2017-01-18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197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96A KR101974260B1 (ko) 2017-01-18 2017-01-18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896A KR101974260B1 (ko) 2017-01-18 2017-01-18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19A KR20180085319A (ko) 2018-07-26
KR101974260B1 true KR101974260B1 (ko) 2019-04-30

Family

ID=6304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896A KR101974260B1 (ko) 2017-01-18 2017-01-18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89B1 (ko) 2020-03-06 2021-02-01 (주)실로암테크 인덕션 방식에 의한 고온 열분해 멸균 장치
EP4040917A1 (en) * 2021-02-03 2022-08-10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2680A1 (de) * 2018-07-30 2020-01-30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duktiven Energieübertragung
KR102346051B1 (ko) * 2020-09-23 2022-01-03 누구나(주) 다기능 인덕션
KR102233395B1 (ko) * 2020-10-12 2021-03-30 (주)투핸즈인터랙티브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
KR20220128216A (ko) * 2021-03-12 2022-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도마,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이용한 조리 관리 방법
US12001745B2 (en) 2021-03-12 2024-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cutting boar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oking management method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P4317573A4 (en) * 2021-04-02 2024-08-21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ELECTROMAGNETIC HEATING MODULE AND CLOTHING TREATMEN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0798A (ja) * 2009-10-20 2011-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装置
JP5645781B2 (ja) * 2011-09-14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037938B2 (ja) * 2013-05-23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20048A1 (en) * 2010-09-26 2013-07-3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Selectively controllable electromagnetic shield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0798A (ja) * 2009-10-20 2011-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装置
JP5645781B2 (ja) * 2011-09-14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6037938B2 (ja) * 2013-05-23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89B1 (ko) 2020-03-06 2021-02-01 (주)실로암테크 인덕션 방식에 의한 고온 열분해 멸균 장치
EP4040917A1 (en) * 2021-02-03 2022-08-10 LG Electronics Inc.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319A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260B1 (ko)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CN106134032B (zh) 具有无线电力发送装置的无线电力传输系统
KR101829257B1 (ko) 셀 분할에 기초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EP3337294B1 (en) Induction heat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064577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ntrol algorithm and circuit structure
CN104485759A (zh) 基于nfc的多头灶电磁炉无线供电系统及其工作模式控制方法
KR20180016237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
US11265973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ntrol algorithm and circuit structure
KR20190024546A (ko) 제어 알고리즘이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101931421B1 (ko)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190024547A (ko)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
KR20170138304A (ko) 유도 가열 장치
CN205681187U (zh) 一种电磁波发射设备
KR20190131386A (ko) 제어 알고리즘 및 회로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20200122714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CN107710555A (zh) 无线电力传输设备及其控制方法
EP3872959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3033834A (ja) エネルギー供給装置
EP4067749A1 (en) Electric cooker providing specific functions according to gestures of user
CN112394244B (zh) 一种检测电路、电器及控制方法
KR102565136B1 (ko) 무선 전력 송수신용 코일
KR20220117683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CN115362755A (zh) 感应加热式炉灶
KR20200122713A (ko) 사용자 경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US20220412567A1 (en) Electric range of which heat power is controlled without user interven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