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399B1 - Frame for modular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 Google Patents

Frame for modular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399B1
KR101967399B1 KR1020180017252A KR20180017252A KR101967399B1 KR 101967399 B1 KR101967399 B1 KR 101967399B1 KR 1020180017252 A KR1020180017252 A KR 1020180017252A KR 20180017252 A KR20180017252 A KR 20180017252A KR 101967399 B1 KR101967399 B1 KR 10196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s
frame
building
error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주)정인그린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그린빌 filed Critical (주)정인그린빌
Priority to KR1020180017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3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39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6Connectio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은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 각각 또는 상기 본체의 일단을 구성하는 5면 중 적어도 2면에 각각 형성된 작업공; 및 상기 작업공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결공들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체결공들이 형성된 면의 모서리와 평행하고 상기 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면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 시공을 위한 프레임들의 연결 시 체결부재가 중첩되지 않으면 최소의 사이즈를 가지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The frame for a composit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having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work ball form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each of both ends of the main body or five surfaces constituting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wherein the fastening holes are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that is parallel to the edge of the fac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located in the face and bisects the area of the fac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rame for a building having a minimum size when the fastening members are not overlapped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frames for assembling the building.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및 이의 시공 방법{Frame for modular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과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건축물 시공을 위한 프레임들의 연결 시 체결부재가 중첩되지 않으면 최소의 사이즈를 가지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for a build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for a building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having a minimum size when the fastening members are not overlapped when the frames are connected .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은 기본 골조와 전기 배선, 욕실 등 건축물의 절반 이상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건축물이 들어설 부지에서 블록을 맞추듯이 조립을 하는 방식의 건축물로 일반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철거 및 구조 변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Generally, 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a structure that prefabricated more than half of the buildings such as basic frame, electric wiring, bathroom and so on, and assembles the block like a block in the site where the building is installed. It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ordinary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demolish and change the structure.

이에 따라 유럽, 일본, 미국 등과 같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조립식 건축물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국내에서도 학교, 방위 사업 시설 등에 적용이 되고 있으며 특히, 일반 도시형 생활 주택에 보급되어 2003년 이후 매년 1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Therefore, prefabricated buildings have been widely used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rope, Japan, and the United States. Recently, it has been applied to schools, defense business facilities in Korea. Especially, Or more.

조립식 건축물의 골격은 “H”빔, “ㄷ”자형 빔, 중공의 사각형 빔 등의 프레임들이 연결되어 만들어 진다. 이때, 프레임들 간의 연결은 용접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용접을 통해 프레임들 연결하는 경우 프레임 용접 부위의 손상이나 변형, 프레임들 간의 연결 강도의 저하, 사후 해체의 어려움 등을 가져올 수 있다.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made by connecting frames such as "H" beam, "C" shaped beam, and hollow square beam. At this time, connections between the frames are generally performed through welding. However, when the frames are connected through welding, it may cause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frame welded portion, decrease of the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frames, and difficulty in dismantling the fram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볼트 결합을 통해 조립식 건물의 골격을 만드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공지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4746호에서는 각 면에 4개의 암나사 구멍이 있는 정육면체에 4개의 구멍이 있는 철편을 양끝에 용접한 앵글을 볼트를 사용하여 조립한 앵글 구조물이 공지되어 있으나 등록실용신안공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한면이 생략된 직육면체의 프레임만을 결합할 수 있는 제한이 따른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echniques for making the skeleton of a prefabricated building through bolting have been developed. As a related art,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4746 discloses an angle structure in which a steel plate having four holes is welded to both ends of a cube having four female thread holes on each side, However, as shown in Fig. 3, there is a restriction that only a fram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t least one side omitted can be combined.

또 다른 기술로, 도 1 및 2에 도시된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임들의 연결 예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도 1의 a는 프레임(10)의 사시도, 도 1의 b는 프레임(10)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배면도이고, 도 1의 c는 프레임(10)의 평면도이다. 프레임(10)은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1), 본체(11)의 일단 및 타단을 구성하는 5면 각각에 형성된 작업공(12), 및 작업공(1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체결공(13)을 포함한다. 여기서, 4개의 체결공(13)은 각 면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즉, 거울 대칭)에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작업공(12)에 손을 넣어 프레임(10)들의 연결 작업, 프레임(10)의 중공을 경유하는 배선 작업 등을 실시한다. 따라서, 작업공(12)은 작업자(12)의 손이 들어가서 소정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를 가져야 한다. 또한, 체결공(13)에 삽입되어 프레임(10)들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볼트(14), 너트(15)) 역시 프레임(10)들을 일정 강도 이상으로 단단하게 연결 및 유지시켜 줄 수 있을 만큼의 사이즈(즉, 길이, 단면적 등)를 가져야 한다. 이때, 체결공(13)의 사이즈는 볼트(14)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의 단면 사이즈에 대응된다. 결과적으로, 프레임(10)은 상기에서 언급된 사이즈 조건을 만족할 만큼의 사이즈(즉, 가로 길이(W), 세로 길이(D))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프레임(10)의 사이즈가 커질 경우 자재비의 상승, 무게 증가에 따른 운송비의 상승, 시공의 어려움 등도 함께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필요로 하는 작업공(12)의 사이즈만을 만족시킨 채 프레임(10)의 사이즈를 필요 이상으로 작게 하는 경우, 프레임(10)들을 연결할 때 볼트(14)들이 중첩되어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한다(도 2 참조).As another technique, the techniques shown in Figs. 1 and 2 are known. Fig. 1 is 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connection example of fram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1B is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 left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frame 10, and Fig. 1C is a sectional view of the frame 10 10). The frame 10 includes a main body 11 having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work hole 12 formed on each of five surfaces constitu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 (13). Here, the four fastening holes 13 are formed at symmetrical positions (that is, mirror symmetry)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VL bisecting the area of each surface. The operator puts his / her hand into the work hole 12 to perform a connecting operation of the frames 10, a wiring operation via the hollow of the frame 10, and the like. Therefore, the work hole 12 should be sized so that the hand of the worker 12 can enter and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fastening members (the bolts 14 and the nuts 15)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13 and connecting the frames 10 are also made to be capable of tightly connecting and holding the frames 10 at a predetermined strength or more (I.e., length, cross-sectional area, etc.).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fastening hole 13 corresponds to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threaded end of the bolt 14. As a result, the frame 10 must have a size (i.e., a width W, a length D)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size condition.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frame 10 is increase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increase of the material cost, the increase of the transportation cost due to the weight increase, and the difficulty of the construction are also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frame 10 is made smaller than necessary by satisfying only the required size of the work hole 12,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bolts 14 are overlapped when the frames 10 are connected, (See Fig. 2).

KRKR 20-040474620-0404746 Y1Y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식 건축물 시공을 위한 프레임들의 연결 시 체결부재가 중첩되지 않으면 최소의 사이즈를 가지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for a building having a minimum size when the fastening members are not overlapped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frames for assembling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평계 등의 계측도구를 없이도 조립식 건축물 시공 중 각 부의 기울어짐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for a building, which can easily grasp and manag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each part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prefabricated building without a measuring instrument such as a leveling machine.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이 완성된 후에도 건축물의 노후, 땅꺼짐, 지진 등으로 인해 건축물의 기울어짐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building frame capable of easily grasping and managing a degree of tilting of a building due to aging of the building, grounding off, earthquake, etc. even after 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comple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은,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 각각 또는 상기 본체의 일단을 구성하는 5면 중 적어도 2면에 각각 형성된 작업공; 및 상기 작업공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결공들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체결공들이 형성된 면의 모서리와 평행하고 상기 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면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comprises a body having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work ball form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each of both ends of the main body or five surfaces constituting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wherein the fastening holes are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that is parallel to the edge of the fac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located in the face and bisects the area of the face / RTI >

여기서,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체결공들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면에 수직한 직선을 가상의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상의 직선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holes ar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with the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position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fastening holes as a virtual rotation axis / RTI >

여기서, 상기 체결공들은 3개 이상이고,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가상의 직선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체결공들의 중심을 연결했을 때 만들어지는 도형을 이동 경로로 하여, 상기 가상의 직선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the fastening holes is three or more, and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by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fastening holes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as a moving path, 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symmetric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여기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면에 형성된 체결공들의 회전 또는 이동 방향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면에 형성된 체결공들의 회전 또는 이동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The rotation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s formed on the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rotation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s formed on th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may be reversed.

여기서,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build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unit for measuring tilt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and transmitting the tilt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은,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 각각 또는 상기 본체의 일단을 구성하는 5면 중 적어도 2면에 각각 형성된 작업공; 및 상기 작업공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결공들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공들 각각은 그 중심을 관통하는 연장선이 이웃하는 면의 최인접 체결공 중심을 관통하는 연장선과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comprises a body having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work ball form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each of both ends of the main body or five surfaces constituting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formed around the work hole, wherein each of the fastening holes can be formed so that an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does not intersect with an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nearest fastening hole center of the neighboring face .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 각각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결합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체결 조인트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체결 조인트를 구성하는 면 중 적어도 2면에 각각 형성된 작업공; 및 상기 작업공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결공들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체결공들이 형성된 면의 모서리와 평행하고 상기 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면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for a building,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fastening joint having a hollow hexahedral shape join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or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main body; A work ball form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surfaces constituting the fastening joint; And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wherein the fastening holes are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that is parallel to the edge of the fac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located in the face and bisects the area of the face / RTI >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시공 방법은,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1개의 X, Y, Z축에 각각 1개의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이 결합하는 경우 각 축에 정합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수치를 확인하여 각 축에 따른 기본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제 1단계; 시공하고자 하는 조립식 건축물을 구성하는 X, Y, Z축 각각의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가정하고 이들이 각각 결합 가능한 각 축에 정합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수치를 통하여 각 축에 따른 최대 허용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제 2단계; 시공하고자 하는 조립식 건축물에 소요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총 개수를 X, Y, Z축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제 3단계; 시공에 착수하고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간의 결합 시 기울기 센서를 통하여 실제 오차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의 기본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4단계;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에 따른 실제 오차가 생성될 때 마다 생성된 실제 오차와 동일한 값의 오차가 연속되어 조립식 건축물이 완성될 경우를 연산하여 누적 가상 오차를 실 시간으로 연산하고 이를 상기의 최대 허용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5단계; 및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에 따른 실제 오차를 가감하여 누적 실제 오차를 실 시간으로 연산하고 이를 상기의 최대 허용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frame for a building, wherein when one frame for a building is coupled to the X, Y, and Z axes of one frame for the building, A first step of determining a value to be twis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setting a basic error range along each axis; Assume that each frame of the X, Y, and Z axes that constitute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is a rigid body, and that each of the axes can be coupled to each of the axes by a numerical value that is twis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second step of setting a maximum tolerance range; A third step of dividing and setting the total number of frames for a building to be used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to be installed on X, Y, and Z axes; A fourth step of starting the construction and measuring the actual error through the inclination sensor when joining the frames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comparison exceeds the basic error range and exceeds the basic error range; When a real time error is generat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frame for a building, the error of the same value as the actual error is consecutively generated to calculate a cumulative virtual error as a real time, A fifth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 contrast with an error range; And a sixth step of calculating an actual error by adding or subtracting an actual error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frame for a building and a real time and comparing and comparing the actual error with the maximum tolerance range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have.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 시공을 위한 프레임들의 연결 시 체결부재가 중첩되지 않으면 최소의 사이즈를 가지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rame for a building having a minimum size when the fastening members are not overlapped at the time of connecting the frames for assembling the building.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평계 등의 계측도구를 없이도 조립식 건축물 시공 중 각 부의 기울어짐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rame for a building-ready structure which can easily grasp and manag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each part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prefabricated building without a measuring instrument such as a leveling machine.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이 완성된 후에도 건축물의 노후, 땅꺼짐, 지진 등으로 인해 건축물의 기울어짐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frame for a building, which can easily grasp and manage the degree of tilting of the building due to aging, landing, earthquake, etc. of the building even after the completed building is complet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임들의 연결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들의 연결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의 직선(VL)에 대한 체결공들의 비대칭적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시공 방법의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example of fram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llustrates a frame for a composite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nection of fra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symmetrical arrangement of fastening holes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V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7c illustrate a frame for a composite building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D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onstruction of a prefabricated building using 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frame for a build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들의 연결 예이다.FIG. 3 is a frame for a modular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nection example of fram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도 3의 a는 프레임(100)의 사시도, 도 3의 b는 프레임(100)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배면도이고, 도 3의 c는 프레임(10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100)은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10), 본체(110)의 양단 각각 또는 일단을 구성하는 5면 중 적어도 2면에 각각 형성된 작업공(120), 및 작업공(120)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결공(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공(130)들은 체결공(130)이 형성된 면의 모서리와 평행하고 상기 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면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공(12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작업공(120)은 필요에 따라 각 면당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체결공(130)의 개수는 2개 이상이고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전체적으로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기만 한다면 그 개수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100. Fig. 3 (b) is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 left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frame 100, 100). The frame 100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having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plurality of worktops 110 formed on at least two of the two ends of the main body 110, (120), and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130) formed around the work hole (120). Here, the fastening holes 130 are formed at positions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VL that is parallel to the edg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ing hole 130 is formed and is located in the surface and bisects the area of the surface. Here, the shape of the work hole 120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an ellipse, or a polygon. In addition, the work hole 120 may be two or more per side,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fastening holes 130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number of the fastening holes 130 is two or more and is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VL.

이하, 발명의 명확한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공(120)은 프레임(100)의 일단에만 형성되어 있고 작업공(120)의 개수는 각 면당 1개로 형태는 원형이며, 체결공(130)들은 작업공(120)의 주변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개수는 4개인 것을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2, the work hole 120 is formed at only one end of the frame 100, and the number of the work holes 120 is one for each face, And the fastening holes 13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of the work hole 120 and the number of the fastening holes 130 is fou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공(130)들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달리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즉, 거울 대칭 아님)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10)와 작업공(120)의 사이즈가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본체(11)와 작업공(12)의 사이즈가 같은 경우에도 프레임(100)들을 연결할 때 볼트(140)들이 중첩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도 4 참조). 즉, 체결공(130)들이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각각의 체결공(130)은 그 중심을 관통하는 연장선(즉, 볼트(14)가 끼워지는 방향)이 이웃하는 면의 최인접 체결공의 중심을 관통하는 연장선과 교차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최적의 사이즈를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100)의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재비의 절감, 운송비의 감소, 시공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3, the fastening holes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osition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VL (i.e., not mirror-symmetrical), unlike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Respectively. Therefore, even when the sizes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work hol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e sizes of the main body 11 and the work hole 12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The bolts 140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when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ee FIG. 4). That is, since the fastening holes 130 are position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VL, each of the fastening holes 130 has an extension line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the bolt 14 is fitted) And does not intersect with an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nearest fastening hole on the side of the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frame 100 for an assembled building with an optimum siz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cost, the transportation cost, and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100)은 본체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부는 프레임(100)의 기울기 정보를 수집하는 기울기 센서와 수집된 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집된 정보는 Bluetooth, 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기기로 전달 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등일 수 있다. 작업자가 프레임(100)들을 연결하여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할 때, 프레임(100)의 수평 여부를 계측하기 위해 별도의 수평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수평계 등의 계측도구가 없이도 조립식 건축물 시공 중 각 부의 기울어짐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 건축물이 완성된 후에도 건축물의 노후, 땅꺼짐, 지진 등으로 인해 건축물의 기울어짐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rame 100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unit (not shown) for measuring tilt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and transmitting the tilt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The tilt sensor unit includes a tilt sensor for collecting tilt information of the frame 10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collect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or WIFI.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When a worker connects the frames 100 and constructs the prefabricated building, it is common to use a separate leveling system to measure whether the frame 100 is horizontal or not.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can easily grasp and manage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each part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prefabricated building without a measuring instrument such as a leveling instrument.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and manage the inclination degree of a building due to aging of the building, earth off, earthquake, etc. even after the completed building is completed.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의 직선(VL)에 대한 체결공들의 비대칭적 배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asymmetrical arrangement of fastening holes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straight line V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a는 프레임(100)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배면도이고, 도 5의 b는 프레임(100)의 평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공(13)들은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130)들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공(13)들의 위치에서 가상의 회전축(O)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체결공(130)들은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회전 각도는 15도 내지 25도 범위일 수 있다. 가상의 회전축(O)은 체결공(130)들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체결공(130)들이 형성된 면에 수직한 직선이다. 도 5에는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인 것을 예로 들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일 수도 있고, 또한, 일부 면에 대해서는 시계방향이고 그 나머지 면에 대해서는 반시계방향일 수도 있다.5A is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 left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frame 100, and FIG. 5B is a plan view of the frame 100. As shown in FIG. The fastening holes 13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formed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traight line VL. The fastening holes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at a position rotated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irtual rotation axis O at the positions of the fastening holes 13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balls 130 are formed in an a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traight line VL.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may range from 15 degrees to 25 degrees. The imaginary rotational axis O is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130 are formed,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fastening holes 130. In FIG. 5, it is assumed that the rotation direction is clockwise,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otation direction may be counterclockwise, or may be clockwise for some surfaces and counterclockwise for the remaining surfaces.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a는 프레임(100)의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 배면도이고, 도 6의 b는 프레임(100)의 평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공(13)들은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때 체결공(13)들의 중심을 연결했을 때 만들어지는 도형은 사각형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130)들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체결공(13)들의 위치에서 상기한 사각형을 이동 경로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 거리는 프레임(100)들을 연결할 때 볼트(140)이 중첩되지 않을 정도 이상의 거리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인 것을 예로 들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일 수도 있고, 또한, 일부 면에 대해서는 시계방향이고 그 나머지 면에 대해서는 반시계방향일 수도 있다.6, a in FIG. 6 is a front view, a right side view, a left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frame 100, and FIG. 6 (b) is a plan view of the frame 100. FIG. The fastening holes 13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formed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VL. At this time, when the centers of the fastening holes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gure formed becomes a square. The fastening holes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s 13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t this time, the moving distance may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to the distance that the bolts 140 are not overlapped when the frames 100 are connected. 6, it is assumed that the rotation direction is clockwise.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rotation direction may be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or may be a clockwise direction for some surfaces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or the remaining surfaces.

상술한 도 5 및 6에 도시된 실시예는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된 체결공(130)들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일 뿐이며, 도 5 및 6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가상의 직선(VL)에 대해 체결공(130)들이 형성된 위치가 비대칭적이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5 and 6 are merely examples of fastening holes 130 formed at a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VL.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5 and 6,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s 130 formed on the straight line VL is asymmetrical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7A to 7C are views showing a frame for a building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200)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211, 212, 213), 및 연결부재(211, 212, 213) 양단에 결합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체결 조인트(215)로 구성되는 본체(참조번호 미도시), 체결 조인트(215)를 구성하는 6면 중 5면에 각각 형성된 작업공(참조번호 미도시), 작업공 주변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4개의 체결공(참조번호 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공들은 체결공들이 형성된 면의 모서리와 평행하고 상기 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면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참조번호 미도시)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11, 212, 213)는 H형 빔, “ㄷ”자형 빔, 중공의 사각형 빔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의 형태가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7a 내지 7c에서 체결 조인트(125)가 연결부재(211, 212, 213)의 양단에 결합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 체결 조인트(125)는 연결부재(211, 212, 213)의 일단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a 내지 7c에서 연결부재(211, 212, 213)와 결합되는 체결 조인트(125)의 면은 막힌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공 및 체결공의 형태, 위치, 사이즈 등에 관한 사항은 앞서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7A to 7C, a frame 200 for a building-lik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necting members 211, 212 and 213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connecting members 211, 212 and 213, A body (not shown) formed by a fastening joint 215 having a hollow hexahedron shape coupled to the work joint 215, a work hole (not shown) formed on five of six surfaces constituting the fastening joint 215, And four fastening holes (not shown) formed radially around the work hole. Here,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 virtual straight line (not shown) parallel to the edg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located in the surface and bisect the area of the surface. As shown in FIGS. 7A to 7C, the connecting members 211, 212, and 213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n H-shaped beam, a C-shaped beam, a hollow rectangular beam,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s. 7A to 7C. Although the fastening joint 125 in Figures 7A to 7C has been described as being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s 211, 212 and 213, the fastening joint 125 may be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s 211, It may be combined only once. In addition, although the surfaces of the fastening joints 125 that are coupled with the connecting members 211, 212, and 213 in FIGS. 7A to 7C are shown as having a clogged form, they may be at least partially open if desi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tters related to the shape, position, size, and the like of the work hole and the fastener hole may be applied as described in Figs. 3 to 6 above.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8A to 8D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construction of a prefabricated building using 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 시공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100)의 단순한 연결을 통해 다양한 모양과 사이즈를 갖는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다. 즉, 프레임(100) 12개를 연결하여 정육면체 형태의 건축물 골격을 시공할 수도 있고, 이에 8개의 프레임(100)을 더 연결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건축물 골격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1층 형태로 시공한 복수의 조립식 건축물 골격을 높이 방향을 쌓아 올려 2층 형태의 조립식 건축물 골격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도 있다.8A to 8D, the building installer can construct the prefabricated building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through the simple connection of the frame 100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a twelve frames 100 may be connected to construct a cube-shaped building skeleton, and eight frames 100 may be further connected to construct a rectangular skeleton-like building skelet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building skeleton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ingle floor can b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to easily construct a two-floor prefabricated building skelet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 frame for a build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1개의 X, Y, Z축에 각각 1개의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이 결합하는 경우 각 축에 정합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수치를 확인하여 각 축에 따른 기본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제 1단계(S10);와 시공하고자 하는 조립식 건축물을 구성하는 X, Y, Z축 각각의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가정하고 이들이 각각 결합 가능한 각 축에 정합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수치를 통하여 각 축에 따른 최대 허용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제 2단계(20);와 시공하고자 하는 조립식 건축물에 소요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총 개수를 X, Y, Z축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제 3단계(30);와 시공에 착수하고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간의 결합 시 기울기 센서를 통하여 실제 오차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의 기본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4단계(40);와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에 따른 실제 오차가 생성될 때 마다 생성된 실제 오차와 동일한 값의 오차가 연속되어 조립식 건축물이 완성될 경우를 연산하여 누적 가상 오차를 실 시간으로 연산하고 이를 상기의 최대 허용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5단계(50);와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에 따른 실제 오차를 가감하여 누적 실제 오차를 실 시간으로 연산하고 이를 상기의 최대 허용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6단계(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시공 방법이다.And a tilt sensor unit for measuring tilt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tilt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first step (S10) of checking a numerical value which is twis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n the basis of matching on each axis when a frame for joining is assembled and a basic error range according to each axis is set; The maximum permissible error range for each axis is set by numerical values that are distor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n the basis of matching on each of the axes that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suming that each frame of the X, Y, and Z axes is a rigid body The second step (20) is to divide the total number of frames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s required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to be constructed into X, Y, and Z axes And a third step (30) for starting the construction and measuring the actual error through the inclination sensor at the time of joining between the frames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and comparing the basic error range with the basic error range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 the case where 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completed, the error of the same value as the actual error generated every time the actual error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frame for the fourth building (40) A fifth step (50)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 case of comparing with and exceeding the maximum allowable error range, and a fifth step (50) of calculating and accumulating actual error by adding or subtracting an actual error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frame And a sixth step (60)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when it compares with and exceeds the maximum allowable error range,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frame for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claim 1,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의 제 1단계(S10)에서 기본 오차 범위는 정합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하되 정합을 '0'으로 설정하고 시계 방향으로 비틀림 정도를 '+'로 설정하고 반시계 반향으로 비틀림 정도를 '-'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 3단계(S30)에서 최대 허용 오차 범위 역시 정합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하되 정합을 '0'으로 설정하고 시계 방향으로 비틀림 정도를 '+'로 설정하고 반시계 반향으로 비틀림 정도를 '-'로 설정한다.More specifically, in the first step S10, the basic error range is set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matching, but the matching is set to '0' and the twist degre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set to '+' And set the torsion degree to '-' in a counterclockwise echo. In the third step S30, the maximum tolerance range is set to b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on the basis of matching, but the matching is set to '0', the twist degree is set to '+' in the clockwise direction, Set the degree to '-'.

이후, 시공을 착수하고 제 4단계(S4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이 완료될 때 마다 실제 오차가 측정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실제 오차가 현장의 작업자나 관리자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말기에 실 시간으로 전송된다.Thereafter, the construction is started, and in the fourth step S40, the actual error is measured each time the frame for a building-lik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At this time, the actual error is preferably transmitted in real time to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f an operator or an administrator of the site.

그리고 제 5단계(50) 및 제 6단계(S60)에서 연산되는 누적 가상 오차와 누적 실제 오차 역시 현장의 작업자나 관리자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말기 내부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accumulated virtual error and cumulative actual error calculated in the fifth step 50 and the sixth step S60 are also performed through an application in a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f a field worker or an administrator.

여기서 누적 가상 오차는 이미 설치가 완료된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실시간 누적 실제 오차 값을 기준으로 재설정됨으로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이 결합할 때 마다 연산한다.Here, the accumulated virtual error is reset on the basis of the real-time cumulative actual error value of the frame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that has already been installed, so that it is calculated each time the frame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combined.

또한, 연속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 시 마다 연산되는 누적 가상 오차에 따라 이를 정합 값. 즉 '0'에 이를 수 있도록 '+' 또는 '-' 오차를 유도할 수 있도록 비틀림 방향을 포함한 가이드 오차 값을 생성하고 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가 추가 구성될 수도 있다.Also, the matching valu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umulative virtual error that is calculated every time a frame for a continuous assembly building is combined. That is, a step of generating a guide error value including a torsion direction so as to derive a '+' or '-' error so as to reach '0'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이에 따라, 실제 시공 현장에서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간의 결합 작업 시 작업자가 별도의 측정, 연산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비틀림에 대한 오차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일부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간의 결합에 의하여 누적 가상 오차가 최대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해당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분해 후 재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이후 결합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을 누적 가상 오차가 최대 허용 오차 범위 내로 들어 올 수 있도록 결합하여 시공 작업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한, 시공이 완료된 후 기울기 센서의 회수가 용이하여 경제성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the operator can manage the error of the twist without performing the separate measurement and computation operations in the joint operation between the frames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s, and the cumulative virtual error Even if the maximum allowable error range is exceeded, it is not necessary to disassemble and reassemble the frame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and then the combined frame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combined so that the cumulative virtual error can be withi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range, The efficiency is remarkably improved. In addi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the tilt sensor can be easily recovered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secur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00: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110: 본체
120: 작업공
130: 체결공
140: 볼트
150: 너트
S10: 제 1단계
S20: 제 2단계
S30: 제 3단계
S40: 제 4단계
S50: 제 5단계
S60: 제 6단계
100: Frame for prefabricated buildings
110:
120: work ball
130: fastening ball
140: Bolt
150: Nut
S10: Step 1
S20: Step 2
S30: Step 3
S40: Step 4
S50: Step 5
S60: Step 6

Claims (8)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단 각각 또는 상기 본체의 일단을 구성하는 5면 중 적어도 2면에 각각 형성된 작업공; 및
상기 작업공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결공들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체결공들이 형성된 면의 모서리와 평행하고 상기 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면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A body having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work ball form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each of both ends of the main body or five surfaces constituting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formed around the work hole,
Wherein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bisecting the area of the surface parallel to the edg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located in th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체결공들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면에 수직한 직선을 가상의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상의 직선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holes are locat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fastening holes and have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as a virtual rotation axis and are locat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and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Wherein the frame is formed as a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들은 3개 이상이고,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가상의 직선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체결공들의 중심을 연결했을 때 만들어지는 도형을 이동 경로로 하여, 상기 가상의 직선에 대해 대칭적인 위치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holes are three or more,
Wherein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by connecting a center of the fastening holes located at symmetrical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as a moving path and moving the fastening hol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straight line And is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면에 형성된 체결공들의 회전 또는 이동 방향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면에 형성된 체결공들의 회전 또는 이동 방향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 rotation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s formed on a surfac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a rotation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fastening holes formed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re oppos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기울기 정보를 측정하여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기울기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ilt sensor for measuring tilt information of the main body and transmitting the tilt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삭제delete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 각각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결합된 중공의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체결 조인트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체결 조인트를 구성하는 면 중 적어도 2면에 각각 형성된 작업공; 및
상기 작업공 주변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체결공들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공들은 상기 체결공들이 형성된 면의 모서리와 평행하고 상기 면 내에 위치하여 상기 면의 면적을 이등분하는 가상의 직선에 대해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A body having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a fastening joint having a hollow hexagonal shape join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or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 work ball formed on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surfaces constituting the fastening joint; And
At least two fastening holes formed around the work hole,
Wherein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bisecting the area of the surface parallel to the edg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and located in the surface.
제5항에 기재되어 있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1개의 X, Y, Z축에 각각 1개의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이 결합하는 경우 각 축에 정합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수치를 확인하여 각 축에 따른 기본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제 1단계;
시공하고자 하는 조립식 건축물을 구성하는 X, Y, Z축 각각의 프레임을 하나의 강체로 가정하고 이들이 각각 결합 가능한 각 축에 정합을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지는 수치를 통하여 각 축에 따른 최대 허용 오차 범위를 설정하는 제 2단계;
시공하고자 하는 조립식 건축물에 소요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총 개수를 X, Y, Z축으로 분할하여 설정하는 제 3단계;
시공에 착수하고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간의 결합 시 기울기 센서를 통하여 실제 오차를 측정하고 이를 상기의 기본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4단계;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에 따른 실제 오차가 생성될 때 마다 생성된 실제 오차와 동일한 값의 오차가 연속되어 조립식 건축물이 완성될 경우를 연산하여 누적 가상 오차를 실 시간으로 연산하고 이를 상기의 최대 허용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5단계; 및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결합에 따른 실제 오차를 가감하여 누적 실제 오차를 실 시간으로 연산하고 이를 상기의 최대 허용 오차 범위와 대비하고 초과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의 시공 방법.
7. A method of constructing a frame for a building-ready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5,
When a frame for a building is combined with one X, Y, and Z axes, check the values that are twis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each axis, and calculate the basic error range A first step of setting a first step;
Assume that each frame of the X, Y, and Z axes that constitute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is a rigid body, and that each of the axes can be coupled to each of the axes by a numerical value that is twis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second step of setting a maximum tolerance range;
A third step of dividing and setting the total number of frames for a building to be used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to be installed on X, Y, and Z axes;
A fourth step of starting the construction and measuring the actual error through the inclination sensor when joining the frames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comparison exceeds the basic error range and exceeds the basic error range;
When a real time error is generat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frame for a building, the error of the same value as the actual error is consecutively generated to calculate a cumulative virtual error as a real time, A fifth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in contrast with an error range; And
And a sixth step of calculating and transmitting a cumulative actual error in real time by adding or subtracting an actual error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frames for the prefabricated building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calculated actual error exceeds the maximum tolerance range and exceeds the maximum tolerance range. A method of constructing a frame.
KR1020180017252A 2018-02-12 2018-02-12 Frame for modular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1967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52A KR101967399B1 (en) 2018-02-12 2018-02-12 Frame for modular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52A KR101967399B1 (en) 2018-02-12 2018-02-12 Frame for modular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399B1 true KR101967399B1 (en) 2019-04-10

Family

ID=6616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2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7399B1 (en) 2018-02-12 2018-02-12 Frame for modular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39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0143A (en) * 2021-09-10 2021-11-26 苏州栖地工程设计顾问有限公司 Damping type steel structure building main body connecting structure and supporting mechanism for building
GB2596130A (en) * 2020-06-18 2021-12-22 Portakabin Ltd A modular building unit
CN114218657A (en) * 2021-12-29 2022-03-22 安徽沃恒建设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dynamic simulation analysis system and method
CN117627160A (en) * 2023-09-25 2024-03-01 中建机械有限公司 Dry-type building connection structure assembly and build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746Y1 (en) 2005-10-20 2005-12-27 이용재 A Structure of Constructing Angle
JP2013040552A (en) * 2011-07-19 2013-02-28 Shigeharu Nozaki Dice shaped block building material
JP2013249701A (en) * 2012-06-04 2013-12-12 Asahi Kasei Homes Co Joint structure of steel material and bearing panel of steel structure
US9212491B1 (en) * 2015-05-22 2015-12-15 Patrick J. Santini Modular stairway
KR101577618B1 (en) * 2015-03-20 2015-12-16 김헌재 Joint assembly for connecting structural fr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4746Y1 (en) 2005-10-20 2005-12-27 이용재 A Structure of Constructing Angle
JP2013040552A (en) * 2011-07-19 2013-02-28 Shigeharu Nozaki Dice shaped block building material
JP2013249701A (en) * 2012-06-04 2013-12-12 Asahi Kasei Homes Co Joint structure of steel material and bearing panel of steel structure
KR101577618B1 (en) * 2015-03-20 2015-12-16 김헌재 Joint assembly for connecting structural frame
US9212491B1 (en) * 2015-05-22 2015-12-15 Patrick J. Santini Modular stairwa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6130A (en) * 2020-06-18 2021-12-22 Portakabin Ltd A modular building unit
GB2596130B (en) * 2020-06-18 2024-09-18 Portakabin Ltd A modular building unit
CN113700143A (en) * 2021-09-10 2021-11-26 苏州栖地工程设计顾问有限公司 Damping type steel structure building main body connecting structure and supporting mechanism for building
CN114218657A (en) * 2021-12-29 2022-03-22 安徽沃恒建设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dynamic simulation analysis system and method
CN117627160A (en) * 2023-09-25 2024-03-01 中建机械有限公司 Dry-type building connection structure assembly and build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399B1 (en) Frame for modular building and its constructing method
JP7289048B2 (en) structural modular building connectors
US5711131A (en) Structural truss
EP2966232B1 (en) Dry joint joining device between columns and beams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JP2018514675A (en) Connectors for modular building structures
US6701691B1 (en) Dome constructing method
US20120285113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CN207095565U (en) Ruler
JP2011149224A (en) Connection structure of space truss
CN110331862B (en) Positioning lofting tool and component positioning lofting method
KR101974888B1 (en) Frame For Modular Building
WO2019138233A1 (en) Structural components
RU2358068C1 (en) Joint connection of crossing rods
CN215167184U (en) An adjustable angle bevel I-beam
JP2893580B2 (en) Joint equipment for building components
KR102260476B1 (en) Cft column reinforcement structure
JP2998000B2 (en) Joint equipment for building components
JP2952567B2 (en) Joint equipment for building components
WO2017006239A1 (en) Connection joint for wood panels of walls and floors of buildings,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the connection joint and method for the mak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JP2997999B2 (en) Joint equipment for building components
JP2797077B2 (en) Joint equipment for building components
JP2797076B2 (en) Joint equipment for building components
CN207700376U (en) A kind of aluminium alloy plate type node structure that the edge of a wing is reinforced
JP2916891B2 (en) Joint equipment for building components
JP2003013498A (en) Pillar of steel structur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