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033B1 -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033B1
KR101963033B1 KR1020170101899A KR20170101899A KR101963033B1 KR 101963033 B1 KR101963033 B1 KR 101963033B1 KR 1020170101899 A KR1020170101899 A KR 1020170101899A KR 20170101899 A KR20170101899 A KR 20170101899A KR 101963033 B1 KR101963033 B1 KR 10196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piston rod
rod
link mechanism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7292A (ko
Inventor
정선래
Original Assignee
조희영
정선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영, 정선래 filed Critical 조희영
Priority to KR102017010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0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기구부; 상기 링크기구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기구부와 함께 상승 및 하강되는 차량받침부; 및 제1 실린더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피스톤로드가 신축되면서 상기 링크기구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 엑츄에이터부, 상기 제1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실린더부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톱니가 구비되는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신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톱니가 상기 제1 톱니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에 포개어지고 상기 피스톤 로드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LIFTING EQUIPMENT FOR VEHICLE MAINTENANCE}
본 발명은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차량의 하체를 용이하게 정비하기 위하여 차량을 지상으로부터 일정높이 들어올리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러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는 차량의 하체를 받치는 받침 판을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다수의 링크 구동으로 승, 하강 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고 중량의 차량을 상승 및 하강시키며, 차량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차량의 무게를 견디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다수의 링크의 결합 불량으로 인해 차량의 무게를 버틸 수 없어서 차량이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되거나, 또는 전기의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유압실린더에 유압 공급이 중단되어 차량이 낙하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안전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프트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기구부; 상기 링크기구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기구부와 함께 상승 및 하강되는 차량받침부; 및 제1 실린더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피스톤로드가 신축되면서 상기 링크기구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 엑츄에이터부, 상기 제1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실린더부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톱니가 구비되는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신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톱니가 상기 제1 톱니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에 포개어지고 상기 제1 피스톤로드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기구부를 신축시키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각각의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는 상기 제1 엑츄에이터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로드의 길이의 수축을 위해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를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와 이격시키는 구속해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구속해제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 사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재 및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 상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제2 실린더 및 제2 실린더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피스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엑츄에이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제2 피스톤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피스톤로드의 길이가 수축되면 상기 제2 엑츄에이터부와 근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를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와 이격되도록 상승시키는 피벗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벗부는, 상단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실린더 외면에 지지되는 피벗로드부; 및 상기 제2 엑츄에이터부 및 피벗로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벗로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피스톤로드의 길이가 수축될 때 상기 피벗로드부를 당기는 로드당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2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과 평행하는 두 측면부의내면에 상기 제2 피스톤로드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당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평행한 단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들이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당김부가 상기 제2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커버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당김부의 상부로 위치하는 피벗동작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벗동작구속부는 하강하여 상기 로드당김부의 일측에 대응되고 상승하여 상기 로드당김부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동작구속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부에 구비되어 평상시 상기 베이스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리프트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각각의 리프트받침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받침부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프트받침부는 상기 복수의 받침부수용부 내에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하중이 부여되면 상기 베이스부가 지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복수의 받침부수용부 내로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리프트받침부는, 상기 받침부수용부 내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부수용부의 내측 상면 사이에 지지되어 평상시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받침부수용부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여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받침부수용부 내로 삽입 가능하게 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리프트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는 안전하게 유지되며, 전기가 단전되어 유압이 제거되는 상황이 발생되어도 리프트가 하강하지 않고 유지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기가 단전되는 등의 이유로 인해 리프트를 수동조작하여야 하는 경우 리프트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수동 조작이 어려움 없이 구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전장치의 구속해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로드당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커버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안전장치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가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베이스부(100), 링크기구부(200), 차량받침부(300) 및 안전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평상시 또는 링크기구부(200)가 상승 하여 차량을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킬 때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링크기구부(200)는 베이스부(100) 상에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링크기구부(200)는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링크부재(210)가 베이스부(100)의 좌, 우측에 다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X자 형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링크부재(210)가 3단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기구부(200)의 최하부의 링크부재(210)의 하단부는 베이스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링크기구부(200)의 최상부의 링크부재(210)의 상단부는 차량받침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차량받침부(300)는 링크기구부(200)의 상부에 연결되어 링크기구부(200)와 함께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받침부(300)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안전장치(400)는 링크기구부(200)가 신축되는 과정에서 링크기구부(200)의 신장은 자유롭도록 하고, 링크기구부(200)의 신장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400)는 제1 엑츄에이터부(410),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엑츄에이터부(410)는 제1 실린더(411), 제1 실린더(411)의 내외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피스톤로드(412), 제1 실린더(411)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1 회전축(413) 및 제1 피스톤로드(412)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제2 회전축(4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엑츄에이터부(410)는 링크기구부(200)의 다단으로 연결된 한 쌍의 링크부재(210)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전축(413)이 링크기구부(200)의 최하부의 한 쌍의 링크부재(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회전축(414)이 링크기구부(200)의 최상부의 한 쌍의 링크부재(2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엑츄에이터부(410)는 제1 피스톤로드(412)가 신장되면 링크기구부(200)를 신장시켜서 상승시키고, 제1 피스톤로드(412)의 길이가 수축되면 링크기구부(200)를 수축시켜서 하강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엑츄에이터부(410)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리프트를 상승 및 하강 조작하기 위한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이 구비되는 유선 또는 무선의 리모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1 엑츄에이터부(410)는 통상의 엑츄에이터와 동일하게 전기적 제어 없이도 수동으로 신축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피스톤로드(412)가 신장된 직후 제1 피스톤로드(412) 및 상승된 링크기구부(200)가 하강하지 않도록 베이스부(100) 방향을 향하는 제1 피스톤로드(412) 및 링크기구부(2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는 제1 피스톤로드(412)의 신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제1 실린더(411)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톱니(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는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일단부에는 제1 힌지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힌지부(422)는 제1 실린더(411)에 연결된 제1 회전축(4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톱니(421)는 바 형상의 장축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축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더욱 안정적으로 제1 엑츄에이터부(410) 및 링크기구부(20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2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는 제1 엑츄에이터부(410)의 제1 실린더(4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 회전축(4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제1 엑츄에이터부(410)의 제1 피스톤로드(412)의 신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제1 피스톤로드(41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톱니(4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일단부에는 제2 힌지부(4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힌지부(432)는 제1 피스톤로드(412)에 연결된 제2 회전축(41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톱니(431)는 바 형상의 장축변들 중 어느 하나의 장축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더욱 안정적으로 제1 엑츄에이터부(410) 및 링크기구부(200)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2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제1 피스톤로드(412)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2 회전축(4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제1 톱니(421) 및 제2 톱니(431)가 서로 맞물리도록 포개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에 포개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에 구비되는 제1 톱니(421) 및 제2 톱니(431)는 제1 피스톤로드(412)가 신장될 때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슬라이딩되어 제1 피스톤로드(412)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제1 피스톤로드(412)의 신장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1 단부(421a, 431a)와, 제1 피스톤로드(41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거나 상기 제1 단부(421a, 431a) 방향으로 경사진 제2 단부(421b, 4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피스톤로드(412)가 신장된 직후 제1 피스톤로드(412) 및 상승된 링크기구부(200)가 하강하지 않도록 베이스부(100) 방향을 향하는 제1 피스톤로드(412) 및 링크기구부(2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안전장치의 구속해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로드당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커버부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안전장치(400)는 구속해제장치(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구속해제장치(440)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로드(412)가 하강을 위해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와 이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속해제장치(440)는 하우징부(441), 제2 엑츄에이터부(442) 및 피벗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441)는 제2 엑츄에이터부(442) 및 피벗부(44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부(441)는 제1 피스톤로드(412)의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부(441)는 지지부재(4412) 및 커버부재(44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412)는 양측이 절곡된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절곡된 양측이 상기 각각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에 지지되어 각각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4412)의 상면에는 지지부재(4412)의 상면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개구부(4412a)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4413)는 상기 지지부재(441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부재(4413)는 저면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커버부재(4413)는 개방된 저면부가 지지부재(4412)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4413)는 상기 지지부재(4412)의 하우징부(441)를 덮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엑츄에이터부(442)는 제2 실린더(4421) 및 제2 실린더(4421)의 내외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피스톤로드(4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엑츄에이터부(442)는 상기 하우징부(44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엑츄에이터부(442)는 상기 지지부재(4412)의 개구부(4412a)에 인접하도록 지지부재(4412)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피스톤로드(4422)가 개구부(4412a)를 향하여 신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엑츄에이터부(442)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엑츄에이터부(442)는 제어부를 통해 제1 피스톤로드(412)의 길이를 수축시키는 리프트의 하강 조작시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피벗부(443)는 제2 피스톤로드(4422)와 연결되어 제2 피스톤로드(4422)의 신축 동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피벗부(443)는 피벗로드부(4431) 및 로드당김부(443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벗로드부(4431)는 제2 엑츄에이터부(442) 및 로드당김부(4432)에 의해 피벗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피벗로드부(4431)는 로드부재(44311), 피벗중심축(44312), 롤러(44313) 및 피당김부(44314)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재(44311)는 제1 로드(44311a) 및 제1 로드(44311a)와 이웃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로드(44311b)를 포함할 수 있다.
피벗중심축(44312)은 제1 로드(44311a) 및 제2 로드(44311b)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로 상기 커버부재(4413)의 양측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44313)는 상기 로드부재(44311)의 제1 로드(44311a) 및 제2 로드(44311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로드부재(4431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피당김부(44314)는 제1 로드(44311a) 및 제2 로드(44311b)의 사이에 결합되며, 제1 로드(44311a) 및 제2 로드(44311b)의 길이방향의 대략 가운데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피당김부(44314)는 제1 로드(44311a) 및 제2 로드(44311b)에 결합되는 연결축(44314a) 및 연결축(44314a)에 결합되는 베어링(4431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벗로드부(4431)는 상기 하우징부(441)의 내부에 수용되며, 이때 제2 엑츄에이터부(442)의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피벗중심축(44312)의 양단부가 상기 커버부재(4413)의 양측 측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 로드부재(44311)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4412)의 개구부(4412a)를 통해 제1 실린더(411)의 외면을 향해 연장되며, 이때 로드부재(44311)의 하단부에 결합된 롤러(44313)는 제1 실린더(41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고, 로드부재(44311)는 피벗중심축(44312)으로부터 제1 실린더(411)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로드당김부(4432)는 제2 엑츄에이터부(442) 및 피벗로드부(4431)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이 제2 피스톤로드(4422)에 연결되고 타측이 피벗로드부(4431)에 연결되어 제2 피스톤로드(4422)의 길이가 수축될 때 피벗로드부(4431)를 당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로드당김부(4432)는 상기 지지부재(4412)와 평행한 수평면(44321), 상기 수평면(44321)의 길이방향의 일측 끝에서 상기 수평면(44321)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1 수직면(44322), 상기 수평면(44321)의 길이방향의 타측 끝에서 상기 수평면(44321)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2 수직면(44323), 상기 수평면(44321)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일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지지면(44324) 및 상기 수평면(44321)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타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면(44324)과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2 지지면(443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로드당김부(4432)는 상기 지지부재(4412)의 개구부(4412a)의 위에서 상기 제1 지지면(44324) 및 제2 지지면(44325)이 상기 지지부재(4412)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 수직면(44323)은 제2 피스톤로드(4422)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수직면(44322)은 상기 피벗로드부(4431)의 피당김부(44314)의 베어링(44314b)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당김부(4432)의 연결 구조에 의해 제2 피스톤로드(4422)가 신축되면 로드당김부(4432)는 제2 피스톤로드(4422)를 따라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다. 이때, 제2 피스톤로드(4422)의 길이가 수축되어 후진되면 로드당김부(4432)는 후진되어서 상기 피당김부(44314)의 베어링(44314b)과 연결된 제1 수직면(44322)이 피당김부(44314)를 당길 수 있고, 제2 피스톤로드(4422)가 신장되어 전진되면 로드당김부(4432)는 전진되어서 상기 피당김부(44314)를 당기는 힘은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로드당김부(4432)가 피당김부(44314)를 당기는 경우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상승하는 경우이고, 로드당김부(4432)가 피당김부(44314)를 당기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즉 제2 피스톤로드(4422)가 신장되는 경우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하강하는 경우이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의 하강은 제1 피스톤로드(412)의 길이의 수축 과정이 정지되는 경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의 자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제2 피스톤로드(4422)의 길이는 연동하여 수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441)는 가이드부(4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414)는 상기 하우징부(441)의 커버부재(4413)의 상기 제1 지지면(44324) 및 제2 지지면(44325)과 대향하는 양측 측면부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4414)는 제1 가이드바(44141) 및 제2 가이드바(441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가이드부(4414) 및 제2 가이드바(44142)는 상기 커버부재(4413)의 양측 측면부 내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부재(44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바(44141) 및 제2 가이드바(44142)는 상기 제2 피스톤로드(4422)의 신축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커버부재(4413)의 저면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바(44141) 및 제2 가이드바(44142)는 상기 지지부재(4412)의 상면과 이격되게 위치하여 커버부재(4413)의 내측에 위치하는 로드당김부(4432)의 제1 지지면(44324) 및 제2 지지면(44325)의 위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당김부(4432)의 제1 지지면(44324) 및 제2 지지면(44325)은 상기 지지부재(4412)의 상면과 상기 제1 가이드바(44141) 및 제2 가이드바(44142)의 사이로 삽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4414)는 로드당김부(4432)가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로드당김부(4432)의 상, 하 방향 또는 좌, 우 방향으로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해제장치(440)의 제2 엑츄에이터부(442)는 통상의 엑츄에이터 구조와 동일하게 전기적 제어 없이도 수동으로 신축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즉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들어올리는 경우에 제2 피스톤로드(4422)의 길이가 수축될 수 있고, 작업자가 들어올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놓으면 제2 피스톤로드(4422)는 신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과정에서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당김부(4432)는 제2 피스톤로드(4422)와 함께 전진 및 후진하여 피벗로드부(44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의 상승 및 하강 조작 과정을 설명한다.
리프트의 상승 조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링크기구부(200)가 가장 낮은 높이로 수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링크기구부(200)를 상승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제어부를 조작, 예를 들어, 리모콘의 상승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링크기구부(200)에 연결되어 있는 안전장치(400)의 제1 엑츄에이터부(410)가 동작하게 된다. 즉, 제1 피스톤로드(412)는 신장되고, 그 신장되는 제1 피스톤로드(412)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회전축(414)에 연결된 링크기구부(200)의 최상부의 한 쌍의 링크부재(210)가 상승되면서 최상부 이하의 링크부재(210)들도 상승되며, 제1 피스톤로드(412)가 최대 길이로 신장되면 링크기구부(200)는 최대 높이로 상승된다.
이 과정에서, 안전장치(400)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와 포개져 있는 상태에서 제2 피스톤로드(4422)와 함께 상승한다. 이때,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 각각의 제1 톱니(421) 및 제2 톱니(431)의 제1 단부(421a, 431a)는 상기 제2 피스톤로드(4422)의 신장 방향으로 상향 경사져 있으므로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에 포개어진 상태로 자유롭게 상승할 수 있고, 링크기구부(200)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가 되면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의 제2 톱니(431)는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의 제1 톱니(421)에 치합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 각각의 제1 톱니(421) 및 제2 톱니(431)의 제2 단부(421b, 431b)는 제2 피스톤로드(4422)의 신장 방향에 수직하거나 상기 제1 단부(421a, 431a)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 각각의 제1 톱니(421) 및 제2 톱니(431)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에 의해 제2 피스톤로드(4422)가 신장된 직후 제2 피스톤로드(4422) 및 상승된 링크기구부(200)가 하강하지 않도록 베이스부(100) 방향을 향하는 제1 피스톤로드(412) 및 링크기구부(200)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링크기구부(200)가 상승된 상태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리프트의 하강 조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
리프트가 상승된 상태에서 링크기구부(200)를 하강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제어부를 조작, 예를 들어, 리모콘의 하강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링크기구부(200)에 연결되어 있는 안전장치(400)의 제1 엑츄에이터부(410) 및 제2 엑츄에이터부(442)가 동작하게 되는데, 먼저 제2 엑츄에이터부(442)가 동작하게 되고, 이어서 제1 엑츄에이터부(410)가 동작할 수 있다.
제2 엑츄에이터부(442)의 신장되어 있던 제2 피스톤로드(4422)의 길이는 수축되고, 수축되는 제2 피스톤로드(4422)를 따라 로드당김부(4432)가 이동한다. 이때, 로드당김부(4432)의 제1 수직면(44322)은 피벗로드부(4431)의 피당김부(44314)를 당기게 되고, 이에 의해 피벗로드부(4431)는 피벗중심축(443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피당김부(44314)에 결합된 베어링(44314b)이 로드당김부(4432)의 제1 수직면(44322)에 밀착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피당김부(44314)는 상기 제1 수직면(44322)과의 마찰 없이 원활하게 당겨질 수 있고, 회전하는 로드부재(44311)의 제1 로드(44311a) 및 제2 로드(44311b) 사이에 결합된 롤러(44313)가 제1 엑츄에이터부(410)의 제1 실린더(411)의 외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면서 로드부재(44311)가 회전하므로 회전하는 로드부재(44311)는 제1 실린더(411)와의 마찰 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안전장치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가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잘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피벗로드부(4431)가 제2 엑츄에이터부(442) 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드부재(44311)의 하단부는 롤러(44313)에 의해 제1 실린더(411)의 외면에 지지되고 로드부재(44311)의 상단부는 하우징부(441)의 커버부재(4413)에 결합된 피벗중심축(4431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재(4413)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상승하여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로부터 이격된다.
이어서, 제1 엑츄에이터부(410)는 제1 피스톤로드(412)의 길이가 수축되도록 동작한다. 이때,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의 간섭 없이 길이가 수축되는 제1 피스톤로드(412)를 따라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에 의해, 링크기구부(200)의 각각의 링크부재(210)들은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수축되어 처음 상태와 같이 가장 낮은 높이로 접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를 이용하면 안전장치(400)의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의 상승은 자유롭고 하강은 제한하는 형태의 제1 톱니(421) 및 제2 톱니(431)를 통해 서로 치합되어 있고, 상기 제1 톱니(421) 및 제2 톱니(431)가 치합되면서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상승하므로 리프트의 상승은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리프트가 상승된 높이에서 즉시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에 의해 제어부를 통한 조작 없이는 리프트의 하강이 제한된다. 따라서, 리프트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는 안전하게 유지되며, 전기가 단전되어 유압이 제거되는 상황이 발생되어도 리프트가 하강하지 않고 유지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를 조작하여 리프트를 하강시키는 경우 제2 엑츄에이터부(442) 및 피벗부(443)가 작동하여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와 이격시켜서 그 상태를 유지하여 리프트의 하강은 자유롭도록 하고, 리프트 하강 조작이 정지되는 즉시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자중에 의해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에 포개어져서 제1 톱니(421) 및 제2 톱니(431)가 치합되므로 리프트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도 리프트의 동작은 자유롭도록 하고 리프트의 동작이 정지되는 즉시 리프트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는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피벗동작구속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우징부(441)는 상기 피벗동작구속부(500)를 수용하기 위한 핀수용부(441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수용부(4413a)는 상기 커버부재(4413)에 구비되되, 상기 피벗부(443)의 로드당김부(4432)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향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피벗동작구속부(500)는 상기 피벗부(443)의 피벗로드부(4431)가 회전된 상태를 구속할 수 있다. 피벗동작구속부(500)는 상기 핀수용부(4413a)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당김부(4432)의 상부로 위치할 수 있다. 피벗동작구속부(500)는 하강 및 상승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피벗동작구속부(500)는 하강 및 상승 가능한 구조를 위해, 동작구속핀(510) 및 핀 지지스프링(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구속핀(510)은 상기 커버부재(4413)에 구비되는 핀수용부(4413a)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핀 지지스프링(520)은 상기 핀수용부(4413a)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핀 지지스프링(520)은 평상시 동작구속핀(510)을 상기 핀수용부(4413a)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동작구속핀(510)이 핀수용부(4413a)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동작구속핀(510)이 외압에 의해 눌려서 하강되면 수축할 수 있다. 하강되는 동작구속핀(510)은 로드당김부(4432)의 위로 위치하므로 하강되면 로드당김부(4432)의 앞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피벗동작구속부(500)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가 단전된 상황에서 리프트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해서는 제1 엑츄에이터부(410)로 유압을 공급하는 밸브를 수동으로 열어서 제1 엑츄에이터부(410)를 수동을 조작하여야 하며, 이때 제2 엑츄에이터부(442) 역시 수동 조작하여야 하므로 제1 엑츄에이터부(410)를 수동조작 하여 리프트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와 포개어진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작업자가 수동으로 들어올려서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로부터 이격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손에서 놓으면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계속적으로 들고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피벗동작구속부(500)의 동작구속핀(510)을 눌러서 하강시킨 후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를 손에서 놓으면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며, 이때 로드당김부(4432)의 제2 수직면(44323)은 하강된 동작구속핀(510)에 대응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로드당김부(4432)에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하강됨에 따라 신장되려는 제2 엑츄에이터부(442)의 제2 피스톤로드(4422)의 힘이 부여되어서 상기 제2 수직면(44323)은 동작구속핀(510)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의해 동작구속핀(510)의 하강된 상태는 유지되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의 하강이 동작구속핀(510)에 의해 저지되어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전기가 단전되는 등의 이유로 인해 리프트를 수동조작하여야 하는 경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430)가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42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작업자의 인력 없이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리프트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수동 조작이 어려움 없이 구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복수의 리프트받침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복수의 리프트받침부(60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받침부수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받침부수용부(11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받침부수용부(110)는 베이스부(100)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사방 모서리부분에 배치되어 상향 돌출될 수 있고, 베이스부(100)의 저면부 방향은 개방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부(100)의 사방 모서리부분에는 사각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101)들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받침부수용부(110)는 상기 절개부(101)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한 쌍의 측벽부(111) 및 한 쌍의 측벽부(111)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부(112)의 안쪽면에는 원통 형상의 축결합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트받침부(6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부에 구비되어 평상시 베이스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리프트받침부(600)는 상기 각각의 받침부수용부(110) 내에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베이스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베이스부(100)에 하중이 부여되면 베이스부(100)가 지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받침부수용부(110) 내로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리프트받침부(600)는 받침부재(610) 및 복귀스프링(620)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610)는 상기 받침부수용부(110) 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받침부재(610)는 역 U자 형상의 바퀴프레임(611), 바퀴프레임(611) 내에 결합되는 바퀴(612), 바퀴프레임(6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축(6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결합축(613)이 상기 받침부수용부(110)의 축결합부(113)에 결합되어 바퀴프레임(611) 및 바퀴(612)는 받침부수용부(110) 내에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복귀스프링(620)은 평상시 받침부재(610)를 상기 받침부수용부(110)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베이스부(100)에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여 받침부재(610)가 상기 받침부수용부(110) 내로 삽입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복귀스프링(620)은 받침부재(610)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부수용부(110)의 내측 상면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복귀스프링(620)은 상기 바퀴프레임(611)의 상면과 상기 받침부수용부(110)의 상판부(112)의 안쪽면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는 바퀴(612)를 포함하는상기 복수의 리프트받침부(600)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리프트받침부(600)에 의해 리프트 장치의 위치 이동이 자유로워질 수 있고, 리프트의 위치가 이동된 후 리프트를 상승시켜서 차량을 정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베이스부(10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리프트의 위치 이동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고, 차량의 크기에 따라 리프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물차, 승용차 등의 차량 종류에 상관 없이 차량 정비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상승 및 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링크기구부;
    상기 링크기구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기구부와 함께 상승 및 하강되는 차량받침부;
    제1 실린더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피스톤로드가 신축되면서 상기 링크기구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제1 엑츄에이터부, 상기 제1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실린더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제1 톱니가 구비되는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신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톱니가 상기 제1 톱니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에 포개어지고 상기 제1 피스톤로드를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기구부를 신축시키는 안전장치; 및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피스톤로드의 길이의 수축을 위해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를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와 이격시키는 구속해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 및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는 상기 제1 엑츄에이터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구속해제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 사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재 및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 상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제2 실린더 및 제2 실린더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피스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2 엑츄에이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제2 피스톤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피스톤로드의 길이가 수축되면 상기 제2 엑츄에이터부와 근접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리프트동작구속부를 상기 제1 리프트동작구속부와 이격되도록 상승시키는 피벗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2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벗부는,
    상단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실린더 외면에 지지되는 피벗로드부; 및
    상기 제2 엑츄에이터부 및 피벗로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 피스톤로드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피벗로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피스톤로드의 길이가 수축될 때 상기 피벗로드부를 당기는 로드당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제2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과 평행하는 두 측면부의내면에 상기 제2 피스톤로드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당김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평행한 단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들이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드당김부가 상기 제2 피스톤로드의 신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상기 커버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당김부의 상부로 위치하는 피벗동작구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벗동작구속부는 하강하여 상기 로드당김부의 일측에 대응되고 상승하여 상기 로드당김부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동작구속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부에 구비되어 평상시 상기 베이스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수의 리프트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각각의 리프트받침부를 수용하는 복수의 받침부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프트받침부는 상기 복수의 받침부수용부 내에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하중이 부여되면 상기 베이스부가 지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복수의 받침부수용부 내로 삽입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받침부는,
    상기 받침부수용부 내에 결합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부수용부의 내측 상면 사이에 지지되어 평상시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받침부수용부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베이스부에 하중이 가해지면 수축하여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받침부수용부 내로 삽입 가능하게 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KR1020170101899A 2017-08-10 2017-08-10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KR10196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99A KR101963033B1 (ko) 2017-08-10 2017-08-10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99A KR101963033B1 (ko) 2017-08-10 2017-08-10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292A KR20190017292A (ko) 2019-02-20
KR101963033B1 true KR101963033B1 (ko) 2019-03-27

Family

ID=6556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899A KR101963033B1 (ko) 2017-08-10 2017-08-10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0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5069B (zh) * 2019-10-30 2021-04-20 江苏力维液压装备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装置的液压升降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80B1 (ko) * 2013-07-10 2015-01-02 주식회사 리비코 차량 정비용 리프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5699B2 (ja) * 1997-12-03 2006-03-15 株式会社スギヤス リフトの下降止め装置
KR101266029B1 (ko) * 2011-10-25 2013-05-21 김재훈 구조 개선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80B1 (ko) * 2013-07-10 2015-01-02 주식회사 리비코 차량 정비용 리프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292A (ko)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7895B2 (en) Pallet dispenser and method thereof
EP1713714B1 (en) Pothole protection mechanism
EP0374500A1 (en) Vehicle scissor lift
JP5248047B2 (ja) 転倒防止装置
WO1995018901A1 (en) Roller assembly lift mechanism
US10046926B2 (en) Pallet dispenser and method thereof
JP2011016618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CN109382805B (zh) 升降自如的工件支撑装置
KR101963033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 장치
US20170267468A1 (en) Multi-stack pallet dispensing apparatus
JP6893675B2 (ja) 二段式駐輪装置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CN113964713B (zh) 一二次真空融合环网箱
KR102371271B1 (ko)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CN110722291B (zh) 一种安全防脱结构
EP2762204A1 (en) Tilting and folding device for a treadmill
KR102239969B1 (ko) 리프트 승강장치
KR102471031B1 (ko) 암 컬럼 고정 구조를 갖는 이동형 엑스선 장치
KR20050087442A (ko) 건설현장용 승강기의 추락방지구조
KR101666419B1 (ko) 차량정비용 리프트
KR101407984B1 (ko) 리프터
CN105731208B (zh) 施工升降机及其防冲顶装置
CN219136258U (zh) 一种剪式举升机的保险机构
KR100240078B1 (ko) 시저스 리프트
CN218968755U (zh) 剪式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