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478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478B1
KR101961478B1 KR1020120103939A KR20120103939A KR101961478B1 KR 101961478 B1 KR101961478 B1 KR 101961478B1 KR 1020120103939 A KR1020120103939 A KR 1020120103939A KR 20120103939 A KR20120103939 A KR 20120103939A KR 101961478 B1 KR101961478 B1 KR 101961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ens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7593A (ko
Inventor
김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478B1/ko
Priority to US14/427,254 priority patent/US9544481B2/en
Priority to PCT/KR2013/000733 priority patent/WO2014046351A1/en
Priority to TW102104818A priority patent/TWI586164B/zh
Publication of KR2014003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593A/ko
Priority to US15/367,889 priority patent/US1008494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과 동심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궤적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폰, 장난감(toy)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은 소형화된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작은 사이즈의 카메라 모듈을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의 이미지 센서 칩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이미지 센서 칩에 렌즈를 통하여 사물을 집광하여,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LC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사물이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전달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스마트 기기의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다양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 감지센서로서 자이로 센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소형화의 부담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설치를 위한 추가 공간부를 마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자이로 센서가 함께 패키징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과 동심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궤적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렌즈를 지지하는 제 1 가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동유닛과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은 제 1 연결부재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재는 금 재질 또는 전도성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외주면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센싱돌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센싱돌기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상기 렌즈모듈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몸체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에 상기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돌기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4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센싱돌기의 적어도 2개의 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홀더부재 상측 및 상기 홀더부재와 인쇄회로기판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과 동심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 2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렌즈를 지지하는 제 2 가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동유닛과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은 제 2 연결부재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재는 금 재질 또는 전도성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모듈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 외주면에 적어도 4개가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센싱돌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센싱돌기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센싱돌기의 적어도 2개의 면과 마주보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과 동심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액츄에이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궤적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유닛;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 2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와 자이로 센서유닛 및 가속도 센서유닛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를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와 함께 패키징 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부피 증가 없이 자이로 센서를 전자기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와 자이로 센서가 배선을 공유할 수 있도록 배치되므로, 배선구조를 간략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액츄에이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자이로 센서유닛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 2 액츄에이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가속도 센서유닛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액츄에이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자이로 센서유닛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 2 액츄에이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가속도 센서유닛의 개략적인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홀더부재(20), 가동렌즈(30) 및 제 1 액츄에이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은 대략 중앙에 이미지 센서(11)가 설치되어, 화상정보를 독취 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제 1 액츄에이터(100)의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가 표면에 실장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홀더부재(20)에 형성된 전자회로패턴층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00)에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별도의 배선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00)에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홀더부재(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측에 배치되며, 1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모듈(21)이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21)은 상기 홀더부재(20) 내부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고, 접착제 등으로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홀더부재(20)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 1 액츄에이터(100)가 설치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모듈(21)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모듈(21)의 하측으로 상기 렌즈모듈(21)와 이미지 센서(1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20)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0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자회로 패턴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배선부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은 상기 홀더부재(20) 표면에 배선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홀더부재(20)의 측벽 및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측벽 및 상면 또는 하면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 패턴층은, 이른바 MID 기술(Molded Interconnect Device Technology)을 이용하여 될 수 있다. 배선부재의 경우에는 CF-PCB나 플랙시블 케이블 등으로 구성되어, 일단은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00)와 연결될 수 있다.
가동렌즈(30)는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00)에 의해 광축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거나, 틸팅 또는 쉬프팅 동작으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동렌즈(30)의 재질을 실리콘 또는 이와 유사한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00)에 의해 자체의 두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렌즈(30)를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 및/또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액츄에이터(100)는 상기 가동렌즈(30)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1)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 또는 흔들림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동유닛(110), 자이로 센서유닛(120) 및 제 1 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동유닛(110)은 상기 가동렌즈(30)와 결합되어, 상기 가동렌즈(30)를 광축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쉬프팅 하거나, 광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틸팅 시켜 손떨림에 따른 화상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동유닛(110)은 다양한 구성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동유닛(110)은 손떨림 보정 유닛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동유닛(110)은 상기 홀더부재(2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의 설계에 따라 설치 위치는 가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동유닛(110)은 상기한 손떨림 보정 기능 외에 오토포커싱 기능, 줌 기능, 셔터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동유닛(110)은 정전기력 또는 압전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피에조 폴리머를 사용하는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한 장의 렌즈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라면 어떠한 것이든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액츄에이터는 실리콘 방식 액츄에이터, 액체렌즈 등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능한 모든 액츄에이터 라면 어떠한 것이든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자이로 센서유닛(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동유닛(110)과 제 1 연결부재(130)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한 몸의 제 1 액츄에이터(100)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공(125)이 형성된 링 형상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사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센싱돌기(122) 및 상기 센싱돌기(1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센싱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돌기(122) 및 센싱부(123)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돌기(122)는 4개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센싱부(123)는 상기 센싱돌기(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공(125)의 지름(D)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렌즈(30)의 지름(d)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가동렌즈(30)를 통과하는 빛이 상기 통공(125)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125)의 중심과 상기 가동렌즈(30)의 중심은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모듈에 결합된 제 1 액츄에이터(100)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120)의 몸체(121)가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동렌즈(30)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몸체(121)가 움직이면, 상기 센싱돌기(122)와 센싱부(123)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이동궤적의 각도를 감지하는데, 이 때 상기 통공(125)과 가동렌즈(30)의 중심이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지 못할 경우, 상기 몸체(121)가 움직이면서, 상기 가동렌즈(30)의 일부를 가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발명자와 확인바랍니다)
제 1 연결부재(130)는 상기 제 1 가동유닛(110)과 자이로 센서유닛(120)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gold, AU) 재질 또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재(130)는 상기 제 1 가동유닛(110)과 자이로 센서유닛(120) 각각에 형성된 전자회로를 연결하여, 별도의 배선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직접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부피 증가 없이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00) 내부에 설치된 자이로 센서유닛(120)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가동유닛(110)과 자이로 센서유닛(120)에는 각각의 구동을 위한 전자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회로패턴에 서로 간의 전원공급 및 제어신호 인가를 위한 패턴을 추가할 경우, 이들의 연결을 통해 별도의 배선 부재 없이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00)가 상기 홀더부재(20)와 인쇄회로기판(10) 사이 공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120)은 상기 홀더부재(2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그 하측으로 상기 가동렌즈(30)를 지지하는 제 1 가동유닛(1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에 설치되는 제 1 액츄에이터(100)에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정밀한 동작제어를 위해 설치가 권장되는 자이로 센서유닛(120)을 제 1 가동유닛(110)과 함께 구성하므로,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전자기기에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120)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자이로 센서유닛(120)의 설치하는 공정이 삭제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설치하는 구성만으로, 카메라 모듈과 자이로 센서유닛(120)을 한번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조립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구조는 동일하지만, 제 1 액츄에이터(100)(도 1 참조)가 제 2 액츄에이터(200)로 변경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 2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가동렌즈(30)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11)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오토 포커싱 유닛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동유닛(210), 가속도 센서유닛(220) 및 제 2 연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동유닛(210)은 상기 가동렌즈(30)와 결합되어, 상기 가동렌즈(30)를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동유닛(210)은 상기 홀더부재(2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모듈의 설계에 따라 설치 위치는 가변 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동유닛(210)은 오토 포커싱 기능 외에 손떨림 보정 기능, 줌 기능, 셔터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동유닛(210)은 정전기력 또는 압전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피에조 폴리머를 사용하는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한 장의 렌즈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라면 어떠한 것이든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는 실리콘 방식 액츄에이터, 액체렌즈 등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능한 모든 액츄에이터 라면 어떠한 것이든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가속도 센서유닛(220)은 앞서 도 3에 도시된 자이로 센서유닛(120)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가동유닛(210)과 제 2 연결부재(230)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한 몸의 제 2 액츄에이터(200)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유닛(220)은 물체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크기를 출력하는 것으로, 축, 2축, 3축 등 축수에 의해 형식이 나누어질 수 있으며, 검지될 수 있는 범위가 3축 방향인 3축 가속도 센서는 x, y, z축의 3축 방향의 3차원 공간에서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중력가속도를 기준으로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와 각 방향의 가속도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전자기기, 예컨대 휴대전화 등의 경사도를 검출할 경우에는 상기한 3축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유닛(22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220)은 피에조 저항방식(piezoresistive resistance)이나 정전용량식(capacitive accelerometer)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전용량 방식을 일 예로 설명한다. 정전용량 방식은 복수 개의 전극들 사이에 무게추를 중앙에 배치하여, 가속도가 없으면 무게추는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가, 가속도가 가해질 경우 중앙의 위치에서 반대편의 전극으로 이동하게 되어 정전용량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값을 통해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2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로 작용하는 것으로 중앙에 통공(225)이 형성된 링 형상의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사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센싱돌기(222) 및 전극으로 작용하는 상기 센싱돌기(222)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센싱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돌기(222) 및 센싱부(223)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돌기(222)는 4개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센싱부(223)는 상기 센싱돌기(222)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공(225)의 지름(D)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렌즈(30)의 지름(d) 보다 큰 값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가동렌즈(30)를 통과하는 빛이 상기 통공(225)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225)의 중심과 상기 가동렌즈(30)의 중심은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모듈에 결합된 제 2 액츄에이터(200)에 일체로 구성된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220)의 몸체(221)가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가동렌즈(30)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몸체(221)가 움직이면, 상기 센싱돌기(222)와 센싱부(223)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이동궤적의 가속도를 감지하는데, 이 때 상기 통공(225)과 가동렌즈(30)의 중심이 서로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지 못할 경우, 상기 몸체(221)가 움직이면서, 상기 가동렌즈(30)의 일부를 가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제 2 연결부재(130)는 상기 제 2 가동유닛(210)과 가속도 센서유닛(220)을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gold, AU) 재질 또는 전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재(230)는 상기 제 2 가동유닛(210)과 가속도 센서유닛(220) 각각에 형성된 전자회로를 연결하여, 별도의 배선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직접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부피 증가 없이 상기 제 2 액츄에이터(200) 내부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유닛(220)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2 가동유닛(210)과 가속도 센서유닛(220)에는 각각의 구동을 위한 전자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회로패턴에 서로 간의 전원공급 및 제어신호 인가를 위한 패턴을 추가할 경우, 이들의 연결을 통해 별도의 배선 부재 없이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과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상기 제 2 액츄에이터(200)가 상기 홀더부재(20)와 인쇄회로기판(10) 사이 공간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220)은 상기 홀더부재(20)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그 하측으로 상기 가동렌즈(30)를 지지하는 제 2 가동유닛(2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은 앞서 설명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에 설치되는 제 1 액츄에이터(100)에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정밀한 동작제어를 위해 설치가 권장되는 자이로 센서유닛(120)을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제 1 가동유닛(110)과 함께 구성하고, 제 2 액츄에이터(200)에는 가속도 센서유닛(220)을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가동유닛(210)과 함께 구성하므로,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전자기기에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120) 또는 가속도 센서유닛(220)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특히, 손떨림 보정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 1 액츄에이터(100)를 설치하고, 자세차 보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한 제 3 및 제 4 실시예와 같이 제 2 액츄에이터(200)를 설치하여, 카메라 모듈의 설치만으로 전자기기의 손떨림 보정이나 자세차 보정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유닛(120) 또는 가속도 센서유닛(220)을 설치하는 공정이 삭제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을 설치하는 구성만으로, 카메라 모듈과 자이로 센서유닛(120) 또는 가속도 센서유닛(220)을 한번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조립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액츄에이터(100)에는 자이로 센서유닛(120)을 일체로 구성하고, 제 3 및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2 액츄에이터(200)에는 가속도 센서유닛(220)을 일체로 구성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액츄에이터(100)(200)를 모두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여 손떨림 보정과 오토 포커싱 기능을 모두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제 1 액츄에이터(100)에 상기한 가속도 센서유닛(220)을 일체로 구성하고, 제 2 액츄에이터(200)에는 자이로 센서유닛(120)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11; 이미지 센서
20; 홀더부재 21; 렌즈모듈
30; 가동렌즈 100; 제 1 액츄에이터
110; 제 1 가동유닛 120; 자이로 센서유닛
200; 제 2 액츄에이터 210; 제 2 가동유닛
220; 가속도 센서유닛

Claims (17)

  1.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에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궤적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홀더부재의 상측 및 상기 홀더부재와 인쇄회로기판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에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궤적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센싱돌기와, 상기 복수 개의 센싱돌기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렌즈를 지지하는 제 1 가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동유닛과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은 제 1 연결부재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에 상기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렌즈모듈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돌기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4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센싱돌기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센싱돌기의 적어도 2개의 면과 마주보는 카메라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8.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에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 2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홀더부재의 상측 및 상기 홀더부재와 인쇄회로기판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에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 2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센싱돌기와, 상기 복수 개의 센싱돌기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렌즈를 지지하는 제 2 가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가동유닛과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은 제 2 연결부재로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앙에 상기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은 상기 렌즈모듈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돌기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적어도 4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4개의 센싱 돌기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센싱돌기의 적어도 2개의 면과 마주보는 카메라 모듈.
  14.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과 동심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액츄에이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궤적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유닛;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 2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홀더부재의 상측 및 상기 홀더부재와 인쇄회로기판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5.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과 동심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액츄에이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궤적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유닛;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 2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이로 센서유닛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센싱돌기와, 상기 복수 개의 센싱돌기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6.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을 지지하는 홀더부재;
    상기 렌즈모듈과 동심 배치되는 가동렌즈;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제 1 액츄에이터;
    상기 제 1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이동궤적의 회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유닛;
    상기 가동렌즈를 움직여 상기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화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 2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에 일체로 구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설치된 전자기기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유닛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복수 개의 센싱돌기와, 상기 복수 개의 센싱돌기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7. 삭제
KR1020120103939A 2012-09-19 2012-09-19 카메라 모듈 KR101961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939A KR101961478B1 (ko) 2012-09-19 2012-09-19 카메라 모듈
US14/427,254 US9544481B2 (en) 2012-09-19 2013-01-30 Camera module
PCT/KR2013/000733 WO2014046351A1 (en) 2012-09-19 2013-01-30 Camera module
TW102104818A TWI586164B (zh) 2012-09-19 2013-02-07 攝像模組
US15/367,889 US10084946B2 (en) 2012-09-19 2016-12-02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939A KR101961478B1 (ko) 2012-09-19 2012-09-1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93A KR20140037593A (ko) 2014-03-27
KR101961478B1 true KR101961478B1 (ko) 2019-03-22

Family

ID=50341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939A KR101961478B1 (ko) 2012-09-19 2012-09-1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44481B2 (ko)
KR (1) KR101961478B1 (ko)
TW (1) TWI586164B (ko)
WO (1) WO2014046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7248B (zh) * 2015-12-16 2018-11-23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通过调整镜片实现光学系统成像质量的补偿方法
JP6704255B2 (ja) * 2016-01-19 2020-06-03 ソニー・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医療用観察装置、医療用観察システム及び画揺れ補正方法
US10451863B2 (en) * 2016-08-05 2019-10-22 Verily Life Sciences Llc Interposer for integration of multiple image sensors
KR20180088204A (ko) * 2017-01-26 2018-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체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JP2019144336A (ja) * 2018-02-19 2019-08-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像装置
KR102527400B1 (ko) 2018-05-14 2023-04-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665401B1 (ko) * 2019-01-18 2024-05-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서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200122013A (ko) * 2019-04-17 2020-10-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1866322A (zh) * 2019-04-30 2020-10-3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及其感光组件、电子设备和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2037A1 (en) * 2007-08-24 2009-02-26 Mats Goran Henry Wernersson Optical device stabilizer
US20090237517A1 (en) * 2008-03-24 2009-09-24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Optical module, camera, and mobile termin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3677B2 (ja) 2003-12-26 2010-09-15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ユニット
US7258011B2 (en) * 2005-11-21 2007-08-21 Invensense Inc. Multiple axis accelerometer
KR100741823B1 (ko) * 2006-01-11 2007-07-23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모듈 패키지
CN102016708B (zh) * 2008-04-30 2013-07-31 日本电产三协株式会社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KR100956226B1 (ko) 2008-09-05 2010-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IT1391972B1 (it) * 2008-11-26 2012-02-02 St Microelectronics Rousset Giroscopio microelettromeccanico con movimento di azionamento rotatorio e migliorate caratteristiche elettriche
KR101509256B1 (ko) * 2008-11-28 2015-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장치
WO2010089529A1 (en) * 2009-02-09 2010-08-12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Optical image stabilisation
CN101808191B (zh) 2009-02-16 2013-03-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防震相机模组
CN102422627A (zh) * 2009-03-18 2012-04-18 拜耳材料科技公司 晶片级光学系统
CN102033387B (zh) * 2009-09-28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稳定模组及成像装置
US8254769B2 (en) * 2010-03-04 2012-08-28 Tdk Taiwan Corp. Anti-shake structure for auto-focus modular
JP5063739B2 (ja) * 2010-05-21 2012-10-31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FR2965068B1 (fr) * 2010-09-21 2013-07-1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a membrane deformable par actionnement a temps de reponse reduit
US9426344B2 (en) * 2010-11-15 2016-08-23 DigitalOptics Corporation MEMS Camera modules with inertial sensors
US8847137B2 (en) * 2012-02-29 2014-09-30 Blackberry Limited Single package imaging and inertial navigation sens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2037A1 (en) * 2007-08-24 2009-02-26 Mats Goran Henry Wernersson Optical device stabilizer
US20090237517A1 (en) * 2008-03-24 2009-09-24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Optical module, camera, and mobile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593A (ko) 2014-03-27
US20170082866A1 (en) 2017-03-23
WO2014046351A1 (en) 2014-03-27
TWI586164B (zh) 2017-06-01
US9544481B2 (en) 2017-01-10
TW201414297A (zh) 2014-04-01
US20150219878A1 (en) 2015-08-06
US10084946B2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478B1 (ko) 카메라 모듈
US9746647B2 (en) Camera module with a variable lens
KR100584424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2620533B1 (ko) 카메라 모듈
US9699364B2 (en)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953703B2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30072721A (ko) 손떨림 보정장치
KR20130124672A (ko) 카메라 모듈
CN113711581B (zh) 相机模块及光学装置
JP202152461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1000006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24000414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3001947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4010406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532325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광학 기기
US20210396950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431039B1 (ko) 흔들림 보정 모듈
KR20220047134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US20240205544A1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EP4228240A1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KR20230008402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KR20210002825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KR20230008403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 기기
KR20210073795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