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483B1 -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 Google Patents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483B1
KR101950483B1 KR1020180091730A KR20180091730A KR101950483B1 KR 101950483 B1 KR101950483 B1 KR 101950483B1 KR 1020180091730 A KR1020180091730 A KR 1020180091730A KR 20180091730 A KR20180091730 A KR 20180091730A KR 101950483 B1 KR101950483 B1 KR 10195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launch
projectile
fir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민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7/00Mine-sweep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G7/02Mine-sweeping means, Means for destroying mines
    • B63G7/06Mine-sweeping means, Means for destroying mines of electromagnetic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는 운동본체부, 상기 운동본체부에 구비되는 발사조립체, 상기 운동본체부에 구비되어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수중기폭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발사조립체의 발사를 제어하고, 상기 발사조립체가 발사되면 상기 수중기폭장치가 폭발하도록 상기 발사조립체의 자기장 형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Underwater vehicle for removing underwater detonator}
본 발명은 수중운동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뢰 등의 수중기폭장치는, 폭약과 기폭장치를 넣은 금속제의 용기로 구성되고, 전략적, 전술적 이익을 획득하기 위해 사전 계획에 따라 특정한 해중, 해저, 및 해상 교통로에 부설되어, 항해하는 잠수함 또는 수상함 등의 선박으로 인한 진동이나 수압, 혹은 자기장이나 음향 등에 의해 폭발함으로써, 선박의 손상이나 파괴에 영향을 끼치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수중기폭장치는 대형 선박을 파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로상의 선박의 접근을 지연시킬 수 있고, 비용대비 효과가 뛰어난 가장 경제적인 무기체계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무분별하게 설치된 수중기폭장치로 인해 민간인 선박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아지고, 그에 상응하는 인명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대형 유조선의 피폭으로 의한 해양환경의 대규모 오염이 우려됨에 따라 과거에 설치된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는 작업을 소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소해 작업은 소해함을 이용하여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하고, 물리적으로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큰 위험이 동반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511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렵거나 접근이 어려운 곳에 위치한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하고, 감지된 수중기폭장치의 폭발을 유도함으로써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는 운동본체부; 상기 운동본체부에 구비되는 발사조립체; 상기 운동본체부에 구비되어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수중기폭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발사조립체의 발사를 제어하고, 상기 발사조립체가 발사되면 상기 수중기폭장치가 폭발하도록 상기 발사조립체의 자기장 형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본체부는,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발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발사조립체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발사조립체 각각은 상기 발사 구멍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사 구멍은 와이어 구멍에 의해 서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사조립체는 측방와이어에 의해 측면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사조립체 각각은 다단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후방와이어에 의해 후단 또는 전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는, 주위에 자기장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사조립체 각각은, 상기 운동본체부의 내부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곽발사체, 상기 내곽발사체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발사체와, 상기 중앙발사체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곽발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곽발사체, 상기 중앙발사체, 및 상기 외곽발사체 각각은, 추진제와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동본체부는, 다단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본체부는, 꼬리부, 상기 꼬리부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꼬리부, 상기 몸통부, 및 상기 헤드부 각각에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음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사조립체에 구비되고, 모의 신호를 발산하는 신호모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에 의하면,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렵거나 접근이 어려운 곳에 위치한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하고, 감지된 수중기폭장치의 폭발을 유도함으로써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수중기폭장치의 폭발에 의해 주변 수상함 또는 잠수함 등의 선박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일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부분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수중 탐사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조립체의 발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 영역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일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부분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100)는, 수중에 부설되어 진동, 수압, 자기장 또는 음향 등에 의해 폭발하는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동본체부(110), 발사조립체(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추진부(150), 전원부(160), 및 신호모의부(170)를 포함한다.
운동본체부(110)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된다. 발사조립체(120)는 운동본체부(110)에 구비된다. 센서부(130)는 운동본체부(110)에 구비되어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한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30)에 의해 수중기폭장치가 감지되면 발사조립체(120)의 발사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발사조립체(120)가 발사되면 수중기폭장치가 폭발하도록 발사조립체(120)의 자기장 형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진부(150)는, 운동본체부(110)가 수중에서 전진 운동하도록 추진력을 제공한다. 전원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발사조립체(120) 및 추진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신호모의부(170)는 발사조립체(120)에 구비되어 수중기폭장치가 폭발하도록 모의 신호를 발산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100)는,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렵거나 접근이 어려운 곳에 위치한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하고, 감지된 수중기폭장치의 폭발을 유도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고, 수중기폭장치의 폭발에 의해 주변 수상함 또는 잠수함 등의 선박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100)의 상세 구성에 대해 추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운동본체부(110)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된다. 운동본체부(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운동본체부(110)는 수중에서 전진 운동이 용이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운동본체부(110)는 물의 저항력을 줄일 수 있도록 헤드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본체부(110)는 다단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운동본체부(110)는 분리된 부분이 자체 추진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에 용이하다.
예컨대, 운동본체부(110)는, 꼬리부(111), 제1 몸통부(113), 제2 몸통부(115), 및 헤드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운동본체부(110)는 필요에 따라 몸통부의 수가 늘거나 줄어들 수 있다.
꼬리부(111)와 제1 몸통부(113)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몸통부(113)와 제2 몸통부(115)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2 몸통부(115)와 헤드부(117)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결합 구조는, 예컨대, 별도의 외부 힘(후술할 발사조립체(120)의 전개에 따라 발생하는 저항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자석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꼬리부(111), 제1 몸통부(113), 및 제2 몸통부(115) 각각은,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발사 구멍(Lh)이 형성될 수 있다. 발사 구멍(Lh)은 발사조립체(120)의 발사가 가능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구성된다. 발사 구멍(Lh)은 와이어 구멍(Wh)에 의해 서로 연통한다. 와이어 구멍(Wh)은 발사조립체(120)에 구비되는 측방와이어(W1)의 배출 통로로 이용된다. 꼬리부(111), 제1 몸통부(113), 및 제2 몸통부(115) 각각의 내부에는 발사조립체(120)가 복수개 구비된다.
도 3에서, 발사조립체(120)는 발사 구멍(Lh)을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발사조립체(120)는 운동본체부(110) 내부의 고정부(fx)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fx)는 외주에 발사조립체(120)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fx)는 꼬리부(111), 제1 몸통부(113), 및 제2 몸통부(115) 각각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발사조립체(120)는 다단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발사조립체(120)는 내곽발사체(121), 중앙발사체(123)와, 외곽발사체(125)를 포함할 수 있다.
내곽발사체(121)는 고정부(fx)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중앙발사체(123)는 내곽발사체(121)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외곽발사체(125)는 중앙발사체(123)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결합구조는, 별도의 외부 힘에 의해 분리되도록 자석 결합 또는 끼움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발사조립체(120)는 측방와이어(W1)에 의해 좌우측의 인접한 다른 발사조립체와 연결된다. 측방와이어(W1)는 발사조립체(120)의 내곽발사체(121)들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측방와이어(W1)는 발사조립체(120)의 중앙발사체(123)들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측방와이어(W1)는 발사조립체(120)의 외곽발사체(125)들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측방와이어(W1)는 발사조립체(120)의 발사시 길이가 늘어나도록 발사조립체(120) 내부에 감겨서 보관될 수 있다.
내곽발사체(121), 상기 중앙발사체(123), 및 상기 외곽발사체(125)는, 후방와이어(W2)에 의해 각각의 후단 또는 전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후방와이어(W2)는 내곽발사체(121)의 후단과 운동본체부(110)의 고정부(fx)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방와이어(W2)는 내곽발사체(121)의 전단과 중앙발사체(123)의 후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방와이어(W2)는 중앙발사체(123)의 전단과 외곽발사체(125)의 후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방와이어(W2)는 발사조립체(120)가 다단 분리되는 경우, 길이가 늘어나도록 내곽발사체(121), 상기 중앙발사체(123), 및 상기 외곽발사체(125) 각각의 후단에 감겨서 보관될 수 있다.
상기한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는 측방와이어(W1)와 상기 후방와이어(W2)는, 주위에 자기장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된다.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경우,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자기장에 반응하는 수중기폭장치의 폭발을 유도할 수 있다.
발사조립체(120)는 추진제(prop)와 배터리(batt)를 구비할 수 있다. 추진제(prop)는 연료와 산화제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batt)는 추진제(prop)의 점화를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추진제(prop)와 배터리(batt)는 내곽발사체(121), 중앙발사체(123), 및 외곽발사체(125) 각각에 구비된다. 이는 추진제(prop)의 점화시 배출되는 가스와 그로 인한 진동을 통해 발사조립체(120)가 다단 분리 가능하도록 한다.
외곽발사체(125)는 발사 구멍(Lh)을 마주보는 일단이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곽발사체(125)가 물의 저항을 덜 받도록 한다. 한편, 외곽발사체(125)에는 신호모의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신호모의부(170)는 모의 신호를 발산한다. 모의 신호는 잠수함 또는 수상함을 구동하기 위한 엔진, 프로펠러 등의 소음을 모의한다. 신호모의부(170)는 일종의 음향센서일 수 있다. 모의 신호는 잠수함 또는 수상함에서 발산되는 소음에 반응하는 수중기폭장치의 폭발을 유도할 수 있다.
발사조립체(120)는 센서부(130)에 의해 수중기폭장치가 감지되면, 내곽발사체(121)의 추진제(prop)의 점화를 통해 운동본체부(110)에서 발사된다. 특히 발사조립체(120)는 운동본체부(110)의 구비된 위치에 따라 단계별로 발사된다. 상기한 단계별 발사는 도 5 및 도 6을 통해 후술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센서부(130)는 운동본체부(110)에 구비된다. 특히 센서부(130)는 운동본체부(110)의 헤드부(117)에 구비된다. 센서부(130)는 일종의 음향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130)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주변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한다. 센서부(130)는 수중기폭장치를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한편, 센서부(130)는 수중기폭장치의 탐지 성능 향상을 위해 자기, 열원, 화학 및 광학 센서 등을 추가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운동본체부(110)에 구비된다. 특히 제어부(140)는 운동본체부(110)의 헤드부(117)에 구비된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30)에 의해 수중기폭장치가 감지되면, 수중기폭장치의 제거를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140)는 발사조립체(120)의 발사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발사조립체(120)가 발사되면, 수중기폭장치가 폭발하도록 발사조립체(120)의 자기장 형성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한 수중기폭장치의 제거 과정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후술한다.
추진부(150)는 운동본체부(110)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제공한다. 예컨대, 추진부(150)는 프로펠러일 수 있다. 추진부(150)는 운동본체부(110)의 꼬리부(111), 제1 몸통부(113), 제2 몸통부(115), 헤드부(117)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추진부(150)의 추진력은 꼬리부(111), 제1 몸통부(113), 제2 몸통부(115), 및 헤드부(117)의 분리에 이용될 수 있다. 추진부(150)는 전원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전원부(160)는 추진용 배터리(161)와 자기장용 배터리(1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진용 배터리(161)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추진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자기장용 배터리(163)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발사조립체(120)의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추진용 배터리(161)와 자기장용 배터리(163)는 꼬리부(111), 제1 몸통부(113), 및 제2 몸통부(115)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수중 탐사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의 제2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수중운동체(100)를 이용한 수중기폭장치(300)의 제거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서, 수중운동체(100)는 별도의 소해함(200)에 탑재되어, 소해함(200)을 통해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수중운동체(100)는 수중기폭장치(300)의 예상 위치에서 소해함(200)으로부터 분리되어 목표 지점을 향해 수중을 항해한다. 여기서, 소해함(200)은 기뢰 등의 수중기폭장치(300)를 소해하기 위한 특수 목적을 가지는 수상선박이다.
수중운동체(100)는 추진부(150)의 추진력을 통해 수중을 항해한다. 수중운동체(100)는 수중 항해 도중에 센서부(130)를 이용하여 수중기폭장치(300)를 탐지한다. 센서부(130)는 음향 신호(AS)를 방사하고, 음향 신호(AS)에 의해 수중기폭장치(300)가 감지되면 별도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3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발사조립체(120)의 발사를 제어한다.
도 5에서, 먼저, 제어부(140)는 운동본체부(110)의 꼬리부(111)에 구비되어 있는 발사조립체(120)의 발사를 제어한다. 발사조립체(120)는 꼬리부(111)로부터 발사된 이후에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를 이용하여 그물망을 구현한다. 여기서, 발사조립체(120)의 발사 과정과 그물망 구현 과정은 도 7 및 도 8을 통해 후술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에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의 주변에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러한 자기장은 그물망과 같이 넓게 퍼진 형태로 구현되므로, 수중기폭장치(300)의 감응이 용이하다.
도 6에서, 제어부(140)는 발사조립체(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사조립체(120)의 발사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1 몸통부(113)의 추진부(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추진부(1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에 의해 발사조립체(120)가 그물망을 구현함에 따라 수중 저항력이 발생한다. 또한, 제1 몸통부(113)에 구비된 추진부(150)의 동작에 따라 추진력이 발생한다.
상기한 수중 저항력과 추진력에 의해 꼬리부(111)와 제1 몸통부(113) 사이에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꼬리부(111)가 제1 몸통부(113)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꼬리부(111)는 수중기폭장치(300)가 감지된 위치 부근에 분리된다. 이를 통해 꼬리부(111) 부근의 수중기폭장치(300)는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에 의한 자기장에 감응하여 폭발함으로써 제거된다. 한편, 발사조립체(120)에 구비된 신호모의부(170)는 발사조립체(120)가 방사상으로 전개된 이후에 모의 신호를 발산한다. 이를 통해 수중기폭장치(300)는 모의 신호에 감응하는 경우, 폭발함으로써 제거된다.
그런 다음, 꼬리부(111)가 제거된 수중운동체(100)는 제1 몸통부(113)에 구비된 추진부(150)의 추진력을 통해 계속해서 수중 항해한다. 이때 센서부(130)는 다른 수중기폭장치(300)를 탐지하기 위해 음향 신호를 발산한다. 센서부(130)는 다른 수중기폭장치(300)가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제어부(140)는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제1 몸통부(113)에 구비된 발사조립체(120)의 발사를 제어한다. 발사조립체(120)는 제1 몸통부(113)로부터 발사된 이후에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를 이용하여 그물망을 구현한다.
그 이후의 과정은 제1 몸통부(113)와 제2 몸통부(115)의 분리과정, 제2 몸통부(115)와 헤드부(117)의 분리과정, 상기 제2 몸통부(115)로부터 발사조립체(120)의 발사 과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한 내용을 통해 자명하게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사조립체의 발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 영역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발사조립체(120)의 발사 과정과 그물망 구현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의(a)에서, 복수의 발사조립체(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운동본체부(110)로부터 방사형으로 발사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발사조립체(120) 각각의 내곽발사체(121)에 구비되는 추진제(prop)를 점화한다. 발사조립체(120) 각각의 내곽발사체(121)는 추진제(prop)가 점화됨에 따른 가스분출과 그로 인한 반동에 의해 운동본체부(110) 내부로부터 분리된다. 발사조립체(120) 각각은 운동본체부(110)의 발사구멍(Lh)(도 1 참조)을 통과하여 운동본체부(110) 외부로 발사된다. 복수의 발사조립체(120)의 측면을 연결하고 있는 측방와이어(W1)는 운동본체부(110)의 와이어 구멍(Wh)(도 3 참조)을 통과하여 운동본체부(110)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의(b)에서, 발사조립체(120) 각각은, 내곽발사체(121)와 중앙발사체(123)가 분리된다. 여기서, 중앙발사체(123)의 추진제(prop)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발사조립체(120)의 발사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점화될 수 있다. 발사조립체(120) 각각의 중앙발사체(123)는, 추진제(prop)가 점화됨에 따른 가스분출과 그로 인한 반동에 의해 내곽발사체(121)로부터 분리된다.
도 7의(c)에서, 발사조립체(120) 각각은, 중앙발사체(123)와 외곽발사체(125)가 분리된다. 여기서, 외곽발사체(125)의 추진제(prop)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중앙발사체(123)의 분리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점화될 수 있다. 발사조립체(120) 각각의 외곽발사체(125)는, 추진제(prop)가 점화됨에 따른 가스분출과 그로 인한 반동에 의해 중앙발사체(123)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발사조립체(120) 각각의 내부에 감겨져 있던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는, 발사조립체(120)의 다단 분리에 따라 풀리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그물망 형상을 구현하게 된다. 그런 다음,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의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 수중기폭장치(300)는 자기장에 감응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한 측방와이어(W1)와 후방와이어(W2) 주변의 자기장에 감응함으로써 폭발하게 되며 최종 제거된다.
한편, 발사조립체(120)의 다단 분리가 완료되면, 외곽발사체(125)에 구비된 신호모의부(170)는, 잠수함 또는 수상함을 구동하기 위한 엔진, 프로펠러 등의 소음을 모의하는 모의 신호를 발산한다. 수중기폭장치(300)는 엔진, 프로펠러 등의 소음에 감응하는 장치인 경우, 상기한 모의 신호에 감응함으로써 폭발하게 되며 최종 제거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수중운동체
110: 운동본체부
fx: 고정부
Lh: 발사구멍
Wh: 와이어 구멍
111: 꼬리부
113: 제1 몸통부
115: 제2 몸통부
117: 헤드부
120: 발사조립체
121: 내곽발사체
123: 중앙발사체
125: 외곽발사체
130: 센서부
140: 제어부
150: 추진부
160: 전원부
161: 추진용 배터리
163: 자기장용 배터리
170: 신호모의부
200: 소해함
300: 수중기폭장치

Claims (12)

  1. 운동본체부;
    상기 운동본체부에 구비되는 발사조립체;
    상기 운동본체부에 구비되어 수중기폭장치를 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수중기폭장치가 감지되면 상기 발사조립체의 발사를 제어하고, 상기 발사조립체가 발사되면 상기 수중기폭장치가 폭발하도록 상기 발사조립체의 자기장 형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본체부는,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발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발사조립체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발사조립체 각각은 상기 발사 구멍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구멍은 와이어 구멍에 의해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사조립체는 측방와이어에 의해 측면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조립체 각각은 다단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후방와이어에 의해 후단 또는 전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와이어와 상기 후방와이어는, 주위에 자기장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조립체 각각은,
    상기 운동본체부의 내부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곽발사체, 상기 내곽발사체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앙발사체와, 상기 중앙발사체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곽발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곽발사체, 상기 중앙발사체, 및 상기 외곽발사체 각각은, 추진제와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본체부는, 다단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본체부는,
    꼬리부, 상기 꼬리부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전단에 후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꼬리부, 상기 몸통부, 및 상기 헤드부 각각에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음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조립체에 구비되고, 모의 신호를 발산하는 신호모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KR1020180091730A 2018-08-07 2018-08-07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KR10195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30A KR101950483B1 (ko) 2018-08-07 2018-08-07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730A KR101950483B1 (ko) 2018-08-07 2018-08-07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483B1 true KR101950483B1 (ko) 2019-02-20

Family

ID=6556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730A KR101950483B1 (ko) 2018-08-07 2018-08-07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4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668A (ko) * 2009-07-21 2011-0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089118B1 (ko) * 2002-12-18 2011-12-02 커먼웰스 오브 오스트레일리아 기뢰 제거 장치
KR20120089977A (ko) * 2011-01-11 2012-08-16 (주)아모스텍 잠수함의 지능형 무인 수중 자동항해 시스템과 잠수함의 무인 수중 자동 항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471094B1 (ko) * 2013-06-20 2014-12-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초소형 수중 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118B1 (ko) * 2002-12-18 2011-12-02 커먼웰스 오브 오스트레일리아 기뢰 제거 장치
KR20110008668A (ko) * 2009-07-21 2011-01-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1605112B1 (ko) 2009-07-21 2016-03-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 기뢰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120089977A (ko) * 2011-01-11 2012-08-16 (주)아모스텍 잠수함의 지능형 무인 수중 자동항해 시스템과 잠수함의 무인 수중 자동 항해를 제어하는 방법
KR101471094B1 (ko) * 2013-06-20 2014-12-0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초소형 수중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4241B2 (ja) 測位された機雷を破壊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161899B1 (en) Multiple torpedo mine
US68022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neutralization of mines using robotics and penetrating rods
US5341718A (en) Launched torpedo decoy
US6766745B1 (en) Low cost rapid mine clearance system
SE447019B (sv) Vapen for att forstora ett undervattensmal
US6502528B1 (en) Pressure-balanced gas turbine underwater launcher
KR20150030212A (ko) 소형 어뢰
US7975614B2 (en) Acoustic shotgun system
US5117731A (en) Tactical acoustic decoy
US11293731B2 (en) Non-lethal naval vessel interdiction weapon
US6376762B1 (en) Small vehicle launch platform
US6230629B1 (en) Rapid ignition infrared decoy for anti-ship missile
US5973994A (en) Surface launched sonobuoy
KR101950483B1 (ko) 수중기폭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중운동체
US9857156B1 (en) Extended range support module
CN115289919B (zh) 基于高压与常压气泡联合脉动原理对水中目标毁伤战斗部
GB24707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nce against persons intruding underwater
JP4888941B2 (ja) 対空超高速飛翔弾とこれを用いた対空攻撃方法
KR101404123B1 (ko) 음향 코드를 이용한 수중 트리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기폭방법
US8042447B2 (en) Electromagnetic initiator coil
RU2733732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надводного корабля и судна от поражения торпедой
US6868768B1 (en) Surf zone mine clearance and assault system
US6923105B1 (en) Gun-armed countermeasure
US20060180044A1 (en) Anti-submarine warfare cluster munitions an cluster depth char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