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516B1 -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 - Google Patents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8516B1 KR101948516B1 KR1020180039129A KR20180039129A KR101948516B1 KR 101948516 B1 KR101948516 B1 KR 101948516B1 KR 1020180039129 A KR1020180039129 A KR 1020180039129A KR 20180039129 A KR20180039129 A KR 20180039129A KR 101948516 B1 KR101948516 B1 KR 1019485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electrical signal
- cable
- electric
- pa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702 transmitte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4237 Neck Muscle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6010028836 Neck pai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5298 Acut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18 muscle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02 Musc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112 My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366 Soft tissu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7 acu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73 effect on p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78 mass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0 muscle relax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저주파 신호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전기마사지를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시술자가 피시술자에게 마사지를 할 때 피시술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손을 통해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시술자의 마사지 부위를 물리적으로 강하게 자극하지 않아도 마사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복합 전기 마사지에 의해 경부근육의 스트레칭 및 근막 유리를 유도하여 빠른 시간내에 근육의 안정성과 경부통증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시술자가 피시술자에게 마사지를 할 때 피시술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손을 통해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시술자의 마사지 부위를 물리적으로 강하게 자극하지 않아도 마사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복합 전기 마사지에 의해 경부근육의 스트레칭 및 근막 유리를 유도하여 빠른 시간내에 근육의 안정성과 경부통증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주파 신호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전기마사지를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주파마사지는 전기자극을 통해 통증부위 조직의 이완을 유도하여 통증을 완화키는 마사지요법으로서, 특히 근육질환과 연부조직 질환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저주파 전류의 흐름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한다. 이는 심장의 펌프 작용을 촉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며, 근육이 이완될 때는 많은 양의 혈액이 흘러 들어가고 근육이 수축될 때는 노패물을 함유한 혈액이 돌아나오게 되어, 이러한 반복작용으로 혈액의 순환이 개선되는 것이다.
또한 통증이 있는 부위에 저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면. 통증을 전달하는 기능에 작용하여 뇌에 통증이 쉽게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피시술자의 마사지 부위를 물리적으로 강하게 자극하지 않아도 마사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복합 전기 마사지에 의해 경부근육의 스트레칭 및 근막 유리를 유도하여 빠른 시간내에 근육의 안정성과 경부통증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본체(100);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피시술자의 신체로 전달하는 제1전기신호전달부(200);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2전기신호 중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는 피시술자의 신체로,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는 시술자의 신체로 전달하는 제2전기신호전달부(300);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혼합신호전달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10),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20)에 따라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발생부(140)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제1전기신호전달부(200)로 출력시키고,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된 제2전기신호를 제2전기신호전달부(300)로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시키는 제1전기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의 강도를 설정하는 강도설정부(121), 신호발생부(140)에서 제1전기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122), 혼합신호전달부(400)로 제1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전기신호모드와 제2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제2전기신호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전환부(123)를 포함하고, 강도설정부(121)에서는 제2전기신호의 주파수를 3단계로 조절하되, 1단계는 3~10Hz, 2단계는 20~80Hz, 3단계는 100~300Hz로 구성되고, 제1전기신호의 주파수는 300~1000Hz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전기신호전달부(200)는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가 출력되는 음극포트(211)와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가 출력되는 양극포트(212)로 구성된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 일단이 음극포트(211)에 연결되는 음극케이블(221)과 양극포트(212)에 연결되는 양극케이블(222)로 구성된 제1전기신호케이블(220),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물질이 형성된 제1전기신호패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기신호전달부(300)는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가 출력되는 음극포트(311)와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가 출력되는 양극포트(312)로 구성된 제2전기신호출력포트(310), 일단이 음극포트(311)에 연결되는 음극케이블(321)과 양극포트(312)에 연결되는 양극케이블(322)로 구성된 제2전기신호케이블(320), 제2전기신호케이블(3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물질이 형성된 제2전기신호패드(330)를 포함하여, 제2전기신호케이블(320) 중 음극케이블(321)에 부착되는 제2전기신호패드(330)는 시술자의 신체에 부착되고, 양극케이블(322)에 부착되는 제2전기신호패드(330)는 피시술자의 신체에 부착되며, 상기 혼합신호전달부(400)는 제1전기신호의 음극 및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제2전기신호의 음극 및 양극신호 출력단자가 형성된 혼합신호출력포트(410), 일단이 혼합신호출력포트(410)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로 분산되는 혼합신호케이블(420), 혼합신호케이블(420)의 타단 각 케이블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 물질이 형성된 혼합신호패드(430)를 포함하며,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의 음극포트(211)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는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음극케이블(221)을 통해 이에 연결된 제1전기신호패드(230)인 음극패드(231)로 전달되며, 음극패드(231)가 부착된 피시술자(20)의 신체부위로 전기자극(e)을 주며,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의 양극포트(212)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는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양극케이블(222)을 통해 이에 연결된 제1전기신호패드(230)인 양극패드(232)로 전달되며, 양극패드(232)가 부착된 피시술자(20)의 신체부위로 전기자극(e)을 주고, 상기 제2전기신호패드(330)는 음극케이블(321)에 연결되어 시술자(10)가 양 발로 밟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음극패드(331), 양극케이블(322)에 연결되어 피시술자(20)의 신체에 부착되는 양극패드(332)로 구성되어, 음극패드(331)를 밟은 시술자(10)의 손이 피시술자(20)의 신체에 닿을 때 시술자(10)의 손을 통해 피시술자(20)의 신체 부위로 제2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를 제시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시술자가 피시술자에게 마사지를 할 때 피시술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손을 통해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시술자의 마사지 부위를 물리적으로 강하게 자극하지 않아도 마사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복합 전기 마사지에 의해 경부근육의 스트레칭 및 근막 유리를 유도하여 빠른 시간내에 근육의 안정성과 경부통증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제1전기신호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제2전기신호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혼합신호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마사지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마사지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2는 제1전기신호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제2전기신호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혼합신호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의한 전기마사지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한 전기마사지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는 도 1과 같이 본체(100), 제1전기신호전달부(200), 제2전기신호전달부(300), 혼합신호전달부(40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원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신호발생부(140), 신호출력부(150)로 구성된다.
전원부(110)는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부분이고, 제어부(120)는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어부(120)는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시키는 제1전기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의 강도를 설정하는 강도설정부(121), 신호발생부(140)에서 제1전기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122), 혼합신호전달부(400)로 제1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전기신호모드와 제2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제2전기신호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전환부(123)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강도설정부(121)에서 설정하는 강도에 따라 제2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아래 표 1에 제시된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조정된다.
강도단계 | 주파수범위 | 효과(치료목적) |
1단계 | 3~10Hz | 전기자극에 의한 통증 완화 상태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대이며, 3~7Hz의 범위에서 통증 완화 효과의 지속시간이 가장 길게 유지됨 |
2단계 | 20~80Hz | 일반적인 통증 완화 치료시 사용하는 주파수 범위. |
3단계 | 100~300Hz | 일반적인 급성 통증 완화 치료시 사용하는 주파수 범위, 특히 150~280Hz 사이에서는 통증에 대한 즉발성 효과가 나타나므로 이 영역대가 순간 역치 상승이 가장 높은 주파수 영역대에 해당함. 급성 근육통 등 즉발성 통증이 있는 경우 이 영역대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우선 실시하면 그 효과면에서 시간대비 가장 우수함. |
제1전기신호의 주파수는 300~1000Hz 영역대로서, 100~300Hz 영역대에서 마사지를 실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잔존통증이 남거나 혹은 치료의 효과가 미미할 때 제1전기신호에 의한 마사지를 병행하여 사용하면 보다 통증 완화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 영역대의 전기 자극은 보다 깊은 곳의 근육수축을 유발시키게 된다.
신호발생부(140)는 제어부(120)에 따른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킨다.
신호출력부(150)는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제1전기신호전달부(200)로 출력시키고,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된 제2전기신호를 제2전기신호전달부(300)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전기신호전달부(200)는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피시술자(20)의 신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와 같이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 제1전기신호케이블(220), 제1전기신호패드(230)로 구성된다.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는 제1전기신호가 출력되는 음극포트(211)와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가 출력되는 양극포트(212)로 구성된 포트이고,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이 연결된다.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은 일단이 음극포트(211)에 연결되는 음극케이블(221)과 양극포트(212)에 연결되는 양극케이블(222)로 구성된다.
제1전기신호패드(230)는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물질이 형성된 패드이다. 연결되는 케이블에 따라 음극패드(231) 또는 양극패드(232)로 결정된다.
즉, 도 5와 같이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의 음극포트(211)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는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음극케이블(221)을 통해 이에 연결된 제1전기신호패드(230)인 음극패드(231)로 전달되며, 음극패드(231)가 부착된 피시술자(20)의 신체부위로 전기자극(e)을 주게 된다.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역시 마찬가지로,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의 양극포트(212)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는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양극케이블(222)을 통해 이에 연결된 제1전기신호패드(230)인 양극패드(232)로 전달되며, 양극패드(232)가 부착된 피시술자(20)의 신체부위로 전기자극(e)을 주게 된다.
제2전기신호전달부(300)는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는 피시술자(20)의 신체로,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는 시술자(10)의 신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도 3과 같이 제2전기신호출력포트(310), 제2전기신호케이블(320), 제2전기신호패드(330)로 구성된다.
제2전기신호출력포트(310)는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가 출력되는 음극포트(311)와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가 출력되는 양극포트(312)로 구성된 포트이고, 제2전기신호케이블(320)이 연결된다.
제2전기신호케이블(320)은 일단이 음극포트(311)에 연결되는 음극케이블(321)과 양극포트(312)에 연결되는 양극케이블(322)로 구성된다.
제2전기신호패드(330)는 제2전기신호케이블(3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물질이 형성된 패드이다. 연결되는 패드에 따라 음극패드(331) 또는 양극패드(332)로 결정된다.
특히, 음극케이블(321)에 부착되는 음극패드(331)는 시술자(10)의 신체에 부착되고, 양극케이블(322)에 부착되는 양극패드(332)는 피시술자(20)의 신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시술자(10)의 손이 피시술자(20)의 신체에 닿을 때 시술자(10)의 손을 통해 피시술자(20)의 신체 부위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음극패드(331)는 시술자(10)의 신체에 부착되는데, 도 5와 같이 시술자(10)가 두 개의 음극패드(331)를 양 발로 각각 밟은 상태에서 피시술자(20)에게 마사지 시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시술자(10)의 손을 통해 피시술자(20)로 전달되는 전류의 강도를 시술자(10)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시술자(10)가 음극패드(331)를 양 발로 밟은 상태에서 한 발을 떼면 시술자(10)의 저항이 증가하여 피시술자(20)로 전달되는 전류의 강도가 줄어들게 되고, 반대로 시술자(10)가 음극패드(331)를 양 발로 밟으면 시술자(10)의 저항이 감소하여 피시술자(20)로 전달되는 전류의 강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시술자(10)가 발의 움직임으로 전류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혼합신호전달부(400)는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와 같이 혼합신호출력포트(410), 혼합신호케이블(420), 혼합신호패드(430)로 구성된다.
혼합신호출력포트(410)는 제1전기신호의 음극 및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제2전기신호의 음극 및 양극신호 출력단자가 형성된 포트로서, 제어부(120)의 모드전환부(123)에 의해 혼합신호출력포트(410)로 제1전기신호나 제2전기신호가 선택적으로 출력된다. 즉, 한 포트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혼합신호케이블(420)은 도 6과 같이 일단이 혼합신호출력포트(410)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로 분산되는 케이블이고, 혼합신호패드(430)는 혼합신호케이블(420)의 타단 각 케이블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 물질이 형성된 패드이다.
혼합신호출력포트(410)의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된 패드와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된 패드는 피시술자(20)의 신체 중 통증을 완화하고자 하는 부위에 부착된다.
혼합신호출력포트(410)의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된 패드는 시술자(10)의 신체에 부착되고,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의 끝단에 연결된 패드는 피시술자(20)의 신체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술자가 피시술자에게 마사지를 할 때 피시술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손을 통해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피시술자의 마사지 부위를 물리적으로 강하게 자극하지 않아도 마사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복합 전기 마사지에 의해 경부근육의 스트레칭 및 근막 유리를 유도하여 빠른 시간내에 근육의 안정성과 경부통증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220V 등의 교류전기를 시술자가 자기 몸을 통해 안전범위로 조절한 다음 피시술자의 혈자리를 짚어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막힌 경혈을 뚫고 소통시키면 기혈순환이 촉진되고 흐트러진 세포내의 분자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돕고 따라서 면역체계가 강화되면서 자가치유능력을 회복하게 되는 원리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전원부
120 : 제어부
121 : 강도설정부
122 : 시간설정부
123 : 모드전환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신호발생부
150 : 신호출력부
200 : 제1전기신호전달부
210 : 제1전기신호출력포트
211 : 음극포트
212 : 양극포트
220 : 제1전기신호케이블
221 : 음극케이블
222 : 양극케이블
230 : 제1전기신호패드
300 : 제2전기신호전달부
310 : 제2전기신호출력포트
311 : 음극포트
312 : 양극포트
320 : 제2전기신호케이블
321 : 음극케이블
322 : 양극케이블
330 : 제2전기신호패드
331 : 음극패드
332 : 양극패드
400 : 혼합신호전달부
410 : 혼합신호출력포트
420 : 혼합신호케이블
430 : 혼합신호패드
10 : 시술자
20 : 피시술자
110 : 전원부
120 : 제어부
121 : 강도설정부
122 : 시간설정부
123 : 모드전환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신호발생부
150 : 신호출력부
200 : 제1전기신호전달부
210 : 제1전기신호출력포트
211 : 음극포트
212 : 양극포트
220 : 제1전기신호케이블
221 : 음극케이블
222 : 양극케이블
230 : 제1전기신호패드
300 : 제2전기신호전달부
310 : 제2전기신호출력포트
311 : 음극포트
312 : 양극포트
320 : 제2전기신호케이블
321 : 음극케이블
322 : 양극케이블
330 : 제2전기신호패드
331 : 음극패드
332 : 양극패드
400 : 혼합신호전달부
410 : 혼합신호출력포트
420 : 혼합신호케이블
430 : 혼합신호패드
10 : 시술자
20 : 피시술자
Claims (3)
-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본체(100);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피시술자의 신체로 전달하는 제1전기신호전달부(200);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2전기신호 중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는 피시술자의 신체로,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는 시술자의 신체로 전달하는 제2전기신호전달부(300);
본체(10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혼합신호전달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110),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의 출력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20)에 따라 제1전기신호와 제2전기신호가 발생되는 신호발생부(140)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된 제1전기신호를 제1전기신호전달부(200)로 출력시키고,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된 제2전기신호를 제2전기신호전달부(300)로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신호발생부(140)에서 발생시키는 제1전기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의 강도를 설정하는 강도설정부(121),
신호발생부(140)에서 제1전기신호 또는 제2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122),
혼합신호전달부(400)로 제1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전기신호모드와 제2전기신호를 출력시키는 제2전기신호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전환부(123)를 포함하고,
강도설정부(121)에서는 제2전기신호의 주파수를 3단계로 조절하되,
1단계는 3~10Hz, 2단계는 20~80Hz, 3단계는 100~300Hz로 구성되고,
제1전기신호의 주파수는 300~1000Hz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전기신호전달부(200)는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가 출력되는 음극포트(211)와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가 출력되는 양극포트(212)로 구성된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
일단이 음극포트(211)에 연결되는 음극케이블(221)과 양극포트(212)에 연결되는 양극케이블(222)로 구성된 제1전기신호케이블(220),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물질이 형성된 제1전기신호패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전기신호전달부(300)는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가 출력되는 음극포트(311)와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가 출력되는 양극포트(312)로 구성된 제2전기신호출력포트(310),
일단이 음극포트(311)에 연결되는 음극케이블(321)과 양극포트(312)에 연결되는 양극케이블(322)로 구성된 제2전기신호케이블(320),
제2전기신호케이블(3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물질이 형성된 제2전기신호패드(330)를 포함하여,
제2전기신호케이블(320) 중 음극케이블(321)에 부착되는 제2전기신호패드(330)는 시술자의 신체에 부착되고, 양극케이블(322)에 부착되는 제2전기신호패드(330)는 피시술자의 신체에 부착되며,
상기 혼합신호전달부(400)는
제1전기신호의 음극 및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제2전기신호의 음극 및 양극신호 출력단자가 형성된 혼합신호출력포트(410),
일단이 혼합신호출력포트(410)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2전기신호의 음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 제2전기신호의 양극신호 출력단자와 연결된 케이블로 분산되는 혼합신호케이블(420),
혼합신호케이블(420)의 타단 각 케이블에 연결되며 신체에 부착되는 일면에 도전성 물질이 형성된 혼합신호패드(430)를 포함하며,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의 음극포트(211)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신호의 음극신호는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음극케이블(221)을 통해 이에 연결된 제1전기신호패드(230)인 음극패드(231)로 전달되며,
음극패드(231)가 부착된 피시술자(20)의 신체부위로 전기자극(e)을 주며,
제1전기신호출력포트(210)의 양극포트(212)에서 출력되는 제1전기신호의 양극신호는
제1전기신호케이블(220)의 양극케이블(222)을 통해 이에 연결된 제1전기신호패드(230)인 양극패드(232)로 전달되며,
양극패드(232)가 부착된 피시술자(20)의 신체부위로 전기자극(e)을 주고,
상기 제2전기신호패드(330)는
음극케이블(321)에 연결되어 시술자(10)가 양 발로 밟도록 구성되는 두 개의 음극패드(331),
양극케이블(322)에 연결되어 피시술자(20)의 신체에 부착되는 양극패드(332)로 구성되어,
음극패드(331)를 밟은 시술자(10)의 손이 피시술자(20)의 신체에 닿을 때 시술자(10)의 손을 통해 피시술자(20)의 신체 부위로 제2전기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9129A KR101948516B1 (ko) | 2018-04-04 | 2018-04-04 |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9129A KR101948516B1 (ko) | 2018-04-04 | 2018-04-04 |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8516B1 true KR101948516B1 (ko) | 2019-02-15 |
Family
ID=6536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9129A KR101948516B1 (ko) | 2018-04-04 | 2018-04-04 |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851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8108B1 (ko) | 2015-07-20 | 2015-11-12 | 바이오소스코리아(주) | 멀티 전신 파동 자극 시스템 |
-
2018
- 2018-04-04 KR KR1020180039129A patent/KR1019485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8108B1 (ko) | 2015-07-20 | 2015-11-12 | 바이오소스코리아(주) | 멀티 전신 파동 자극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26429B2 (en) | Interferential current treatment apparatus | |
AU2017219174B2 (en) | Device for performing electrotherapeutic massage and/or thermal treatment on a person's head, neck, and shoulders | |
EP2340079B1 (en) | Microcurrent and cranial electrotherapy stimulator for control of anxiety, insomnia depression and pain | |
US20100292746A1 (en) | Combination medical therapy device that integrates: electrical stimulation, light therapy, heat, pressure, and vibration. | |
JP2005531337A (ja) | 2相誘導電流連続パルスを使用した深層筋肉の収縮を電気誘導/電気刺激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KR101057974B1 (ko) |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을 동시 적용한 전기치료기 | |
KR20040085440A (ko) | 경피 신경 자극 치료 장치 | |
JP7048121B2 (ja) | 電気刺激装置 | |
CN108261607B (zh) | 一种用于运动机能调控的功能性经皮神经电刺激装置 | |
KR101948516B1 (ko) | 저주파 신호를 이용한 복합 전기마사지 장치 | |
CN205885974U (zh) | 一种电磁热三向治疗仪 | |
KR101499567B1 (ko) |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CA3030086C (en) | Electrotherapy device capable of gradually increasing stimulation intensity | |
KR200257426Y1 (ko) | 중·저주파 자극기 | |
EP1457189A1 (en) | An electric massaging pad having dual electrodes | |
KR200279850Y1 (ko) | 벨트형 온열 저주파 치료기 | |
US7930036B1 (en) | Tactile application of herboelectrical stimulation to augment mammary glands | |
RU51505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чрескожной электронейростимуляции | |
KR102054554B1 (ko) | 멀티 기능성 전기자극장치 | |
CN216366328U (zh) | 一种足底治疗装置 | |
CN210331141U (zh) | 一种针灸用电热针诊疗仪 | |
KR102306632B1 (ko) | 미세전류를 이용한 혈액순환장치 | |
KR200231530Y1 (ko) | 족부 수지 동시자극용 저주파치료기 | |
CN207084965U (zh) | 经络细胞养生仪 | |
KR20090097457A (ko) | 스파크 발생을 방지한 고주파 비만치료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