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143B1 -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143B1
KR101945143B1 KR1020177026050A KR20177026050A KR101945143B1 KR 101945143 B1 KR101945143 B1 KR 101945143B1 KR 1020177026050 A KR1020177026050 A KR 1020177026050A KR 20177026050 A KR20177026050 A KR 20177026050A KR 101945143 B1 KR101945143 B1 KR 101945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frequency
s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804A (ko
Inventor
류스케 이시카와
마사히토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7011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 탑재기(110)와, 차량 탑재기와 대응지어지고,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0)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기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113)와, 통신 방식 변경부와,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112)를 구비한다. 휴대기는, 통신 방식 선택부와,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220)와, 수신 처리부와, 휴대기측 송신부와, 노이즈 판정부를 구비한다.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통신 방식 선택부는, 현재 채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휴대기측 송신부는,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 방식 변경부는,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통신 방식을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 지정된 통신 방식으로 변경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3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71640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개시를 여기에 참조에 의해 원용한다.
본 개시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기와, 유저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기가 상호 통신을 행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탑재된 차량 탑재기와, 유저에 의해 휴대되며, 차량 탑재기와 대응지어진 휴대기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한 대조가 성립된 것에 기초하여, 차량의 도어의 시해정이나 엔진 시동 등의 다양한 제어를 실행하는 전자 키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는, 차량 탑재기는 LF(Low Frequency)대에 속하는 소정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여 휴대기에 대해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휴대기는,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UHF(Ultra High Frequency)대에 속하는 소정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여 반송한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기는, 차량 탑재기가 탑재된 차량(자차량이라 함)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폴링 주기로 휴대기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신호(폴링 신호라 함)를 송신하고, 휴대기로부터의 응답의 유무에 따라 휴대기가 차량 탑재기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기는, 폴링 신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 휴대기와 대조에 관한 처리를 무선 통신에 의해 개시한다.
그러나, 휴대기에 있어서, 자차량 이외의 차량(타차량이라 함)이 송신하는 폴링 신호가, 자차량과의 통신을 저해하는 노이즈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노이즈란, 자차량 이외의 전자 기기(타차량)로부터 송신된 전파 중,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할 정도의 신호 강도를 갖는 전파(소위 방해 전파)를 가리킨다.
그러한 과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는, 폴링 주기를 차량마다 상이한 값으로 함으로써, 자차량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와, 타차량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가 중복되어 있을 경우의 상호 간섭을 회피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JP 5218572 B2
그러나, 휴대기에 있어서의 노이즈란, 타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뿐만이 아니다. 예를 들어, 자차량이나 타차량, 다른 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로부터 발하는 전파가 노이즈로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구성을 적용했다고 하더라도, 타차량이 폴링하는 타이밍과 자차량이 폴링하는 타이밍이 우연히 겹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려,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를 휴대기가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례에 의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기와, 차량 탑재기와 대응지어지고, 차량의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기는, 제1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소정의 통신 방식에 준한 신호를 휴대기에 송신하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와,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변경하는 통신 방식 변경부와, 휴대기로부터 차량 탑재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를 구비한다. 휴대기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차량 탑재기가 채용해야 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와, 제1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와,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통신 방식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통신 방식에 준하여 수신 처리하는 수신 처리부와, 차량 탑재기에 대한 신호를 제2 주파수대의 전파로 송신하는 휴대기측 송신부와, 수신 처리부에 의한 수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대에 속하는 주파수 중, 적어도 차량 탑재기로부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인 제1 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유무를 판정하는 노이즈 판정부를 구비한다.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해야 할 통신 방식으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휴대기측 송신부는,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통신 방식 선택부가 새롭게 선택한 통신 방식을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통신 방식 변경부는,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 지정된 통신 방식으로 변경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기는,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현재 채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소정의 통신 방식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차량 탑재기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기에 신호를 송신할 때의 통신 방식을,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나타나는 통신 방식으로 변경한다. 즉, 차량 탑재기는,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하고, 휴대기에 신호를 송신한다.
어떤 통신 방식에 준하여 차량 탑재기가 송신한 신호가, 노이즈에 의해 휴대기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모든 통신 방식에 있어서,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휴대기가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을 가능성은 작다.
상기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의하면,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휴대기에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어느 통신 방식에 있어서, 차량 탑재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휴대기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기로부터의 신호를 휴대기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2는 차량측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휴대기측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4는 휴대기측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 및 휴대기측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 및 휴대기측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7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과,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0)를 구비한다. 휴대기(200)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과 대응지어져 있으며, 차량에 대한 고유의 키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편의상, 이후에는, 휴대기(200)에 대응지어져 있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이 탑재된 차량을 자차량이라고 칭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과 휴대기(200)는 각각, 서로 소정의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한 무선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주지의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차실 내 및 차량 주변의 소정 범위(무선 통신 에어리어라 함)를 향하여 소정의 제1 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함과 함께,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제2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휴대기(200)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제1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대하여 소정의 제2 주파수대의 신호를 반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제1 주파수대란 20㎑부터 200㎑까지의 주파수를 가리키고, 제2 주파수대란 300㎒부터 400㎒까지의 주파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물론, 제1 주파수대, 제2 주파수대가 가리키는 범위는 적절히 설계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는 제1 주파수대 중, 22㎑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 30㎑보다도 높은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출력하는 전파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효과는, 일본 국내에서의 전파법에서 유래되는 것으로서, 다른 나라에 있어서는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휴대기(200)가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존재하는 경우, 휴대기(200)와 무선 통신에 의한 대조 처리를 실시하고, 대조가 성립한 것에 기초하여, 도어의 시해정이나 엔진 시동 등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휴대기(200)를 휴대한 유저는, 키로서의 휴대기(200)를 조작하는 일 없이, 도어의 시정/해정, 엔진의 시동/정지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이 형성하는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적절히 설계되면 되고, 예를 들어 차실 외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차량으로부터 수미터 이내의 범위로 한다.
또한, 휴대기(200)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고, 유저에 의해 조작된 스위치에 따른 신호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함으로써, 차량 도어의 시정/해정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소위 리모트 키리스 엔트리 기능을 갖는다. 이렇게 휴대기(200)는 차량의 키로서 기능한다. 이하, 이들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구성]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조 ECU(110),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 터치 센서(140), 스타트 버튼(150), 및 바디 ECU(160)을 구비한다. 대조 ECU(110)는, 상술한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다. 대조 ECU(110)와,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 터치 센서(140), 스타트 버튼(150) 및 바디 ECU(160) 각각은, 차량 내에 구축된 LAN(Local Area Network)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대조 ECU(110)는, 더 세부적인 구성 요소로서, 차량측 제어부(111)와, 수신부(112)와, 송신 제어부(113)를 구비한다. 대조 ECU(110)가 본 개시의 차량 탑재기에 상당한다.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는 제2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부(112)에 출력한다.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는 차량에 있어서 적절히 설계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는 송신 제어부(113)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1 주파수대의 전파로 변환하여 공간에 방사한다.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는 차량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는 차량의 각 도어에 설치된 도어 핸들 부근과, 트렁크 도어의 도어 핸들 부근 및, 차실 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하는 에어리어(도달 에어리어라고 함)는 원하는 무선 통신 에어리어를 형성하도록 결정된다.
터치 센서(140)는 차량의 각 도어 핸들에 장비되며, 유저가 그 도어 핸들을 접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각 터치 센서(140)의 검출 결과는, 대조 ECU(110)[구체적으로는 차량측 제어부(111)]에 순차 출력된다.
스타트 버튼(150)은 유저가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푸쉬 스위치이다. 스타트 버튼(150)은 유저에 의해 푸시 조작이 되면, 그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차량측 제어부(111)에 출력한다.
바디 ECU(160)는,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를 제어하는 ECU이다. 예를 들어 바디 ECU(160)는, 대조 ECU(110)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차량에 설치된 도어의 시해정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각 차량 도어에 설치된 도어록 모터에 출력하고, 각 도어의 시해정을 행한다. 수신부(112)는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차량측 제어부(111)에 제공한다. 이 수신부(112)가 본 개시의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에 상당한다.
송신 제어부(113)는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입력된 기저 대역 신호를 반송파 신호로 변조한 신호(송신 신호라 함)를 생성한다. 그리고, 그 생성된 송신 신호를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에 출력하고, 전파로서 방사시킨다.
이 송신 제어부(113)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지시된 변조 방식에 준하여 기저 대역 신호를 변조하고,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 송신 제어부(113)가 본 개시의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에 상당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송신 제어부(113)는 PSK(Phase Shift Keying), ASK(Amplitude Shift Keying), FSK(Frequency Shift Keying)의 3개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SK로서, BPSK(Binary-PSK)를 채용하고, FSK로서는, CPFSK(Continuous Pahse FSK)를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물론, PSK로서는, 기타의 위상 편이 변조 방식, 예를 들어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기타 형태로서 송신 제어부(113)는 BPSK와 QPSK 등의 복수 종류의 PSK에 대응하고 있으며, 복수 종류의 PSK 중에서도 채용하는 변조 방식을,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구분지어 사용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송신 제어부(113)는 다른 변조 방식, 예를 들어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의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다는 구성은,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어느 변조 방식도 실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것들의 변조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 및, 채용하는 변조 방식을 전환하는 기능은,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는 것으로 한다.
차량측 제어부(111)는 CPU, ROM, 플래시 메모리, RAM, I/O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차량측 제어부(111)는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측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차량측 제어부(111)는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 블록으로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처리부 F1, 차량 정보 취득부 F2, 대조 처리부 F3, 및 변조 방식 변경부 F4A를 구비한다. 또한, 차량측 제어부(111)가 구비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1개 또는 복수의 IC 등을 사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통신 처리부 F1은, 차량측 수신 안테나(120)를 통해 수신부(112)가 수신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 F1은,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시키기 위한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또는 취득)하고,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차량 정보 취득부 F2는, 터치 센서(140)나, 스타트 버튼(150), 바디 ECU(160) 등의 차량에 탑재된 센서나 ECU로부터, 차량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차량 정보)를 취득한다. 차량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도어 핸들에 유저가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 스타트 버튼(150)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 도어의 개폐 상태나, 각 도어의 시정/해정 상태 등이 해당한다.
도어 핸들에 유저가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는, 터치 센서(140)로부터 취득할 수 있고, 스타트 버튼(150)이 눌러져 있는지 여부는 스타트 버튼(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폐 상태나, 각 도어의 시정/해정 상태 등은, 바디 ECU(16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시프트 포지션 센서가 검출하는 시프트 포지션이나, 브레이크 페달이 답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브레이크 센서의 검출 결과 등도 차량 정보에 포함된다.
대조 처리부 F3은, 휴대기(200)와의 무선 통신에 의한 대조를 실시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대조 관련 처리라고 함)를 실시함으로써, 주지의 스마트 엔트리 기능을 실현한다. 이 대조 관련 처리의 수순은 주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략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 대조 처리부 F3은 통신 처리부 F1과 협동하여, 폴링 신호를 소정의 폴링 주기(예를 들어 200밀리초)로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한다. 이 폴링 신호는, 휴대기(200)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고, 휴대기(200)가 무선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대조 처리부 F3이 판정하기 위한 신호이다.
그리고 대조 처리부 F3은, 휴대기(200)가 무선 통신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고, 또한, 대조 처리를 실시해야 할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에 대조 처리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대조 처리부 F3은,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기(200)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진입한 것을 검지했을 때나, 스타트 버튼(150)이 푸쉬되었을 때 등에 대조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휴대기(200)가 진입했는지 여부는,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폴링 신호에 대한 휴대기(200)로부터의 응답의 유무에 기초하여 판정하면 된다. 즉, 웨이크 신호에 대한 휴대기(20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휴대기(200)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휴대기(200)가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진입했다고 판정하면 된다.
대조 처리에서는 통신 처리부 F1과 협동하여, 휴대기(200)에 대하여 휴대기(200) 고유의 ID(휴대기 ID)로부터 생성되는 ID 코드를 송신하도록 요구하는 대조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 대조 요구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으로서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통신 처리부 F1이 취득한 경우에는, 그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ID 코드를 해석하고, 당해 응답 신호를 송신한 휴대기(200)가 정규의 휴대기(20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휴대기(200)의 대조가 성공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 있어서의 차량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처리(도어의 시해정이나 엔진 시동의 준비 처리)를 실시한다.
변조 방식 변경부 F4A는, 변조 방식을 지정하는 제어 신호(변조 방식 제어 신호라고 함)를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차량측 제어부(111)는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임의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시킨 신호를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시킬 수 있다. 이 변조 방식 변경부 F4A가 본 개시의 통신 방식 변경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 변조 방식 변경부 F4A가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란,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되는, 후술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부(112)가 수신한 경우이다. 이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이 나타나 있으며, 변조 방식 변경부 F4A는,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나타나는 변조 방식으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변조 방식 변경부 F4A는, 일단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출력한 후에 있어서, 변조 방식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즉, 새로운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형태로 한다. 그 경우, 송신 제어부(113)에서는, 마지막으로 입력된 변조 방식 제어 신호에 준한 변조 방식을 계속해서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물론, 다른 형태로서, 변조 방식 지정 지시 신호는 순차 출력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대조 ECU(110)의 기동 직후에 있어서는, 변조 방식 변경부 F4A는,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디폴트 변조 방식이라고 함)으로 변조하도록 지시하는 변조 방식 제어 신호를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디폴트 변조 방식은, 적절히 설계되면 되고, 여기에서는 PSK(보다 상세하게는 BPSK)로 한다.
[휴대기(200)의 구성]
이어서, 휴대기(2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휴대기(2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기측 제어부(210)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와,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를 구비한다. 휴대기측 제어부(210)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 및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 각각과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는 제1 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기측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는 휴대기측 제어부(21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제2 주파수대의 전파로 변환하여 공간에 방사한다. 이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본 개시의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에 상당한다.
휴대기측 제어부(210)는 CPU, ROM, 플래시 메모리, RAM, I/O 등을 구비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ROM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휴대기측 제어부(210)는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휴대기측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ROM에는 상기 프로그램 외에, 휴대기(200) 고유의 ID인 휴대기 ID가 저장되어 있다.
이 차량측 제어부(111)는 상술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 블록으로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신 처리부 G1, 변조 방식 선택부 G2A, 및 송신 처리부 G3을 구비한다. 또한, 휴대기측 제어부(210)가 구비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1개 또는 복수의 IC 등을 사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수신 처리부 G1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 처리(복호도 포함)를 실시하고, 차량 탑재 시스템(100)이 송신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수신 처리부 G1은,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할 수 있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각각에 대응한 복조 처리가 실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 처리부 G1은, PSK, ASK, FSK의 3개의 변조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복조 처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신 처리부 G1은,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복조 처리 중, 후술하는 변조 방식 선택부 G2A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변조 방식에 대응한 복조 처리를 행한다. 또한, 초기 상태로서 수신 처리부 G1은, 디폴트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수신 처리부 G1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제1 사용 주파수라 함)의 노이즈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노이즈 판정부 G11을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노이즈란, 차량 탑재 시스템(100) 이외의 장치나 시스템으로부터 송신된 제1 사용 주파수의 전파 중, 그 신호 강도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휴대기(200)가 정상적으로 수신(복조)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레벨이 되어 있는 전파를 가리킨다. 즉, 노이즈가 존재하는 상태란, 휴대기(200)가 제1 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전파 방해를 받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휴대기(200)가 전파 방해를 받는 경우란, 예를 들어 타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과 자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우연히 겹쳐져 버리고 있는 경우 등이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 30㎑ 이하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래 관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예를 들어 120 내지 140㎑)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통신 에어리어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에어리어를 더 크게 형성하면, 유저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되거나, 유저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다양화하거나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타차량의 폴링 신호가 노이즈가 되기 쉬워진다. 즉,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신호의 송신에 30㎑ 이하의 주파수의 전파를 사용하는 형태가 보급되고, 자차량뿐만 아니라 타차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 시스템으로부터 휴대기로의 신호의 송신에 30㎑ 이하의 전파가 사용되게 되었을 경우, 타차량의 폴링 신호가 노이즈가 되어, 휴대기(200)가 전파 방해를 받기 쉬워져 버린다.
노이즈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 방법은, 주지의 방법을 원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수신 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에 대하여,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이나, 패리티 체크 등을 실시하여, 수신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음을 검출한 경우에,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된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이었던 수신 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미리 정해진 비트 열로 이루어지는 커맨드나 코드를 검출할 수 없었을 경우에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즉, 수신 신호를 디지털화한 데이터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과 휴대기(200)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포맷에 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하면 된다.
또한, 수신 신호 강도가 소정의 역치 이상으로 되어 있는 신호를, 일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수신한 경우에,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노이즈 판정부 G11은,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변조 방식 선택부 G2A에 통지한다.
또한, 수신 처리부 G1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정상적인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송신 처리부 G3에 제공한다. 정상적인 데이터란,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 깨짐 등이 발생하고 있지 않고, 소정의 커맨드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가리킨다.
변조 방식 선택부 G2A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계통[송신 제어부(113) 등]이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으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과는 상이한 소정의 변조 방식을 선택한다. 그리고, 그 선택한 변조 방식으로 변조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 처리부 G3에 송신시킨다. 또한, 수신 처리부 G1에 대하여, 선택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복조하도록 지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조 방식 선택부 G2A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3개의 변조 방식 중,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과는 상이한 변조 방식을 채용하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이 PSK일 경우에는, 다음에는 FSK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이 FSK일 경우에는, ASK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시킨다.
변경처의 변조 방식은, 미리 설계된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면 된다. 예를 들어 변조 방식 선택부 G2A는, 디폴트 변조 방식(여기서는 PSK)으로부터,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순서로 한바퀴 돌게 하면 된다. 또한, PSK→FSK→PSK→ASK→PSK와 같이, 디폴트 변조 방식 이외의 변조 방식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일단 디폴트 변조 방식으로 되돌리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변조 방식 선택부 G2A가 본 개시의 통신 방식 선택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송신 처리부 G3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에 출력하고, 제2 주파수대의 전파로서 송신시킨다. 이 송신 처리부 G3이 본 개시의 휴대기측 송신부에 상당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하는 신호란, 상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 외에, 수신 처리부 G1이 수신 및 복조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처리부 G1이 대조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휴대기 ID로부터 소정의 규칙에 준하여 ID 코드를 생성하고, 당해 ID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반송한다. 즉, 송신 처리부 G3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커맨드에 대응한 처리를 실시하고, 응답 신호를 반송한다.
(휴대기측 처리)
이어서, 휴대기(200)가 실시하는 처리(휴대기측 처리라고 함)에 대해서,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는, 예를 들어 수신 신호 강도가 일정한 역치 이상으로 되어 있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개시되면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휴대기(200)는 동작 모드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수신 신호에 대한 응답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통상 모드와, 통상 모드와 비교하여 실행 가능한 기능을 한정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모드인 슬립 모드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하는 흐름도는, 슬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이행했을 때, 개시되어도 된다. 또한, 슬립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란, 폴링 신호를 수신한 경우 외에, 휴대기(200)에 설치된 스위치(도시 생략)가 유저에 의해 조작된 경우 등이다.
먼저, S101에서는 수신 처리부 G1이,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복조 처리를 실시하여, S102로 이동한다. S102에서는 수신 처리부 G1이, 수신 데이터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정상적인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정상적인 데이터란, 상술한 바와 같이, 정정 불가능한 데이터 깨짐(즉, 비트 에러) 등이 발생하고 있지 않고, 소정의 커맨드나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가리킨다.
또한,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란, 노이즈를 수신한 경우나, 노이즈의 영향에 따라 부분적으로 데이터 깨짐이 발생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경우를 가리킨다. 어느 쪽이든, 수신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니었을 경우란, 노이즈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S102는 노이즈 판정부 G11이 노이즈의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에 상당한다.
S102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102가 "예"가 되어 S103으로 이동한다. 한편, S102에 있어서 수신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102가 "아니오"가 되어서 S104로 이동한다.
S103에서는 송신 처리부 G3이, 수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생성 및 송신한다. 이 S103에서의 처리가 완료되면, 본 플로우를 종료한다.
S104에서는 노이즈 판정부 G11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하여 S105로 이동한다. S105에서는 변조 방식 선택부 G2A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계통이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으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변조 방식과는 상이한 소정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고, S106으로 이동한다.
S107에서는 송신 처리부 G3이, 변조 방식 선택부 G2A가 선택한 변조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또한, 수신 처리부 G1은, 변조 방식 선택부 G2A가 선택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복조를 행하도록 설정을 변경한다. 이 S107에서의 처리가 완료되면 본 플로우를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200)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변조 방식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그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따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 형태를 변경한다.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변조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한다.
가령 타차량의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과 자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겹쳐 버리는 경우이더라도, 변조 방식이 상이하면,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에 의해 휴대기(200)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 실시 형태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고, 또한, 하기 이외에도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의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구성의 일부에만 언급하고 있을 경우,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먼저 설명한 제1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 시스템(100) 및 휴대기(200)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 휴대기(200)의 개략적인 구성도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주된 상위점은, 제1 사용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의 대처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변조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사용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억제한다. 이하, 이 상위점에 관련되는 부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부(113)는 제1 주파수대에 속하는 주파수 중,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지시된 주파수를 반송 주파수(즉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송신 제어부(113)는 22㎑, 25㎑, 28㎑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다는 구성은, 3개의 상이한 주파수 중, 어느 주파수도 반송 주파수로서 채용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송신 제어부(113)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는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는 주파수의 수나, 구체적인 주파수의 값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송신 제어부(113)는 2개나, 4개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여기서는 일례로서, 3개의 주파수 모두, 30㎑ 이하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송신 제어부(113)는 125㎑, 130㎑, 134㎑의 3개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23㎑, 29㎑, 125㎑, 134㎑의 3개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반송 주파수(즉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는 주파수를 전환하는 기능 및, 그 채용한 주파수의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은,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주파수로 겸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111)는 기능 블록으로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 변경부 F4B를 구비한다. 주파수 변경부 F4B는,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해야 할 주파수를 지정하는 제어 신호(주파수 제어 신호라고 함)를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차량측 제어부(111)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여기서는 3개)의 주파수 중, 임의의 주파수의 반송파에 데이터를 게재한 송신 신호를 차량측 송신 안테나(130)로부터 송신시킬 수 있다. 이 주파수 변경부 F4B가 본 개시의 통신 방식 변경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주파수 변경부 F4B가 주파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부(112)가 수신한 경우이다. 단,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이 아니라, 송신 제어부(113)가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해야 할 주파수가 나타나 있다. 주파수 변경부 F4B는,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나타나는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대조 ECU(110)의 기동 직후에 있어서는, 주파수 변경부 F4B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디폴트 주파수라고 함)를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송신 제어부(113)에 출력한다. 디폴트 주파수는, 적절히 설계되면 되고, 여기에서는 22㎑로 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기측 제어부(210)는 수신 처리부 G1, 주파수 선택부 G2B, 및 송신 처리부 G3을 구비하고 있다.
수신 처리부 G1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제1 사용 주파수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복조 처리(복호도 포함)를 실시하여, 차량 탑재 시스템(100)이 송신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수신 처리부 G1은,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할 수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후술하는 주파수 선택부 G2B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선택되어 있는 주파수의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행한다. 또한, 초기 상태로서, 수신 처리부 G1은, 디폴트 주파수의 신호에 대하여 복조 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수신 처리부 G1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노이즈 판정부 G11을 구비한다. 노이즈 판정부 G11은, 적어도, 주파수 선택부 G2B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선택되어 있는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노이즈의 유무의 판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주파수 선택부 G2B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계통이 채용해야 할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송신 제어부(113)가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현재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와는 상이한 소정의 주파수를 선택한다. 그리고, 그 선택한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송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 처리부 G3에 송신시킨다. 또한, 수신 처리부 G1에 대하여, 선택한 주파수 성분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도록 지시한다.
변경처의 주파수는, 미리 설계된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면 된다. 예를 들어 주파수 선택부 G2B는, 현재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가 22㎑일 경우에는, 다음에는 제1 사용 주파수로서 25㎑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현재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가 25㎑일 경우에는, 28㎑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시킨다. 즉, 주파수 선택부 G2B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될 때마다, 디폴트 주파수로부터 미리 정해진 순서로 한바퀴 돌게 하면 된다.
또한, 주파수 선택부 G2B는, 22㎑→25㎑→22㎑→28㎑→22㎑와 같이, 디폴트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선택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일단 디폴트 주파수로 되돌리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 주파수 선택부 G2B가 본 개시의 통신 방식 선택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송신 처리부 G3은, 앞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방식 변경 지시 신호나 응답 신호와 같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 및, 휴대기측 송신 안테나(230)에 출력하고, 송신시킨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기(200)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1 사용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그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따른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송신 신호를 생성하고, 휴대기(200)에 송신하도록, 통신 형태를 변경한다.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제1 사용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한다.
가령 타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과 자차량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겹쳐 버리는 경우에도, 각각의 제1 주파수로서 채용하고 있는 주파수가 상이하면,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복조 및 수신할 수 있다.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타차량과 자차량 각각이 폴링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겹쳐 버리는 경우이더라도, 타차량으로부터의 폴링 신호에 의해, 자차량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200)에 있어서의 노이즈란, 타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뿐만은 아니다. 다양한 기기로부터 발해지는 전파가, 제1 사용 주파수와 일치하고 있으며, 그 신호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상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전파(즉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차량이나 타차량, 다른 기계에 탑재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나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 발하는 전파가 노이즈가 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그와 같이 액추에이터나 전자 제어 장치로부터의 노이즈가 정상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는, 폴링 주기가 어떤 값이어도, 휴대기(200)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어떤 주파수에 있어서 노이즈가 있는 경우이더라도,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의 모든 주파수에 있어서, 노이즈가 존재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어떤 주파수를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상황에 있어서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1 사용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운용한다. 그로 인해, 다양한 기기로부터 소정의 주파수에 있어서 소정의 신호 강도를 갖는 전파가 발해지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그 전파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에 의해 휴대기(200)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제2 실시 형태의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구성의 일부만 언급하고 있을 경우,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제2 실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를 조합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이다. 즉,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제1 사용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 변조 방식의 변경, 또는, 제1 사용 주파수의 변경, 그리고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한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1)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휴대기(200)로의 통신 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의 저감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부(113)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지시된 변조 방식에 준하여 기저 대역 신호를 변조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113)는 제1 주파수대에 속하는 주파수 중,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차량측 제어부(111)로부터 지시된 주파수를 반송주파수(즉 제1 사용 주파수)로 한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송신 제어부(113)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PSK, FSK, ASK의 3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또한, 22㎑, 25㎑, 28㎑의 3개의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측 제어부(11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조 방식 변경부 F4A, 및 주파수 변경부 F4B의 양쪽을 구비하는 통신 방식 변경부 F4를 구비하고 있다. 변조 방식 변경부 F4A나 주파수 변경부 F4B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통신 방식 변경부 F4는, 송신 제어부(113)로부터 송신시키는 신호의 반송 주파수 및 변조 방식(즉 통신 방식)을, 휴대기(200)로부터 송신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과,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주파수가 나타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변경 방식 변경 지시 신호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원의 휴대기(200)를 수신측[대조 ECU(110)]이 인식하기 위한 ID 코드와, 주파수 지정 커맨드와, 변조 방식 지정 커맨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주파수 지정 커맨드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주파수를 나타내는 비트 열이며, 변조 방식 지정 커맨드는,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을 나타내는 비트 열이다.
또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는, 반드시 주파수 지정 커맨드와, 변조 방식 지정 커맨드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변경의 필요가 없는 요소(주파수 또는 변조 방식)에 관한 커맨드는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시 도 6으로 되돌아가서,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기측 제어부(2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기측 제어부(21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조 방식 선택부 G2A 및 주파수 선택부 G2B의 양쪽을 구비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 G2를 구비하고 있다. 변조 방식 선택부 G2A나 주파수 선택부 G2B의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통신 방식 선택부 G2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 송신 제어부(113)가 채용해야 할 반송 주파수 및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의, 변조 방식 및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규칙은 적절히 설계되면 된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우선은 변조 방식을 PSK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주파수를 22㎑, 25㎑, 28㎑의 순서로 한바퀴 돌게 한다. 어느 설정 상태여도 통신이 성공하지 않았거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되었거나 했을 경우에는, 변조 방식을 FSK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다시 주파수를 한바퀴 돌게 한다. 그리고, 어느 설정 상태여도 통신이 성공하지 않았거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되거나 했을 경우에는, 변조 방식을 FSK로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다시 주파수를 한바퀴 돌게 한다. 또한, 각 설정 상태는,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이더라도, 그 설정 상태로 되고 나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폴링 주기) 경과할 때까지는, 그 설정 상태를 유지해도 된다.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되어도,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에서 예시한 통신 방식의 변경 수순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변조 방식 및 주파수를 변경시키는 규칙은 적절히 설계되면 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대적으로 노이즈 레벨이 작은 주파수를 특정할 수 있을 경우에는, 그 주파수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을 한바퀴 돌게 하는 처리를 우선적으로 실시시켜도 된다.
송신 처리부 G3은, 통신 방식 선택부 G2가 결정한 주파수 및 변조 방식으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휴대기(200)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통신 방식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송신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할 때의 형태를,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나타나는 통신 방식으로 변경한다. 즉,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의 유무에 따라,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할 때의 통신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휴대기(200)에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노이즈에 의해 휴대기(200)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1)
휴대기(200)가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조건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패턴과 일정한 유사성을 갖는 노이즈를 수신한 경우로 해도 된다. 이것은, 휴대기(200)가 불필요하게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자차량으로부터 이격된 장면이라도 휴대기(200)가 노이즈를 수신하는 것은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 자차량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일은 없고,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할 필요는 없다. 한편,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패턴과 일정한 유사성을 갖는 노이즈를 수신한 경우에는, 휴대기(200)가 자차량의 근처에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노이즈가 존재하는 경우이며, 또한, 그 노이즈가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패턴과 일정한 유사성을 갖는 경우에,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형태로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변형예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실현되면 된다.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그 선두에 소정의 길이(예를 들어 수밀리초)의 버스트 신호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기(200)는 그 규정된 길이 이상의 버스트 신호를 수신한 경우이며, 또한, 그 수신 데이터가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한 구성에 의하면, 펄스 노이즈를 수신한 경우에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선두에는, 미리 정해진 프리앰블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프리앰블 부분은 데이터 전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프리앰블 부분이 노이즈의 영향에 의해 데이터 깨짐되어 버릴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프리앰블을 인식할 수 있는 정상적이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란, 노이즈의 영향에 의해 부분적으로 데이터 깨짐이 발생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즉, 휴대기(200)가 자차량 부근에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프리앰블을 인식할 수 있는 정상적이지 않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변형예 2)
또한, 제2,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주파수의 수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수신 처리부 G1은, 송신 제어부(113)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미사용 주파수라고 함)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강도를 평가해도 된다.
예를 들어, 휴대기(200)의 수신 처리부 G1은, 휴대기측 수신 안테나(220)가 수신한 수신 신호로부터, 미사용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의 수신 신호 강도를 취득하고, 미사용 주파수마다의 수신 신호 강도를, 미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강도를 나타내는 노이즈 정보로서 주파수 선택부 G2B에 제공한다. 또한, 미사용 주파수의 주파수 성분은, 수신 신호로부터 주지의 필터 회로 등에 의해 추출되면 된다.
그리고, 주파수 선택부 G2B는,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제1 사용 주파수의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복수의 미사용 주파수 중, 가장 노이즈 레벨이 작은 주파수를, 변경처의 주파수로서 채용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노이즈 판정부 G11에 의해 노이즈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의 변경처의 주파수로서, 더욱 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변형예 2의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3)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는, 주파수 지정 커맨드나 변조 방식 지정 커맨드와 같은, 통신 방식을 지정하는 커맨드뿐만 아니라,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소정의 제어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커맨드를 포함시키고 있어도 된다. 즉,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식 변경 지시 신호는,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대하여 소정의 제어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커맨드인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 커맨드에 의한 제어 대상은, 대조 ECU(11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전장 부품이다.
제어 커맨드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실시시키는 제어 처리란, 웰컴 조명의 점등이나, 사이드미러의 각도 조정 등이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웰컴 조명을 점등시키도록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대조 ECU(110)가 바디 ECU(160)나 도시하지 않은 전원 ECU 등과 협동하여, 소정의 조명 기구를 점등시킨다. 또한, 전원 ECU는, 차내의 각종 전장 부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ECU이다.
또한, 차량 탑재 시스템(100)은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각도로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대조 ECU(110)는 바디 ECU(160)와 협동하여,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변경하는 모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변경한다.
또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포함되는 제어 커맨드에 따른 처리의 완료(또는 개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1분) 경과해도, 휴대기(200)와의 대조가 성립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차량의 상태를 원상태로 돌리면 된다. 즉, 웰컴 조명으로서 점등시키고 있었던 조명 기구를 소등하거나,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주차 상태의 각도로 복귀시키거나 한다.
또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의해, 차량 탑재 시스템(100)에 실행시키는 제어의 내용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제어 내용은, 조명 점등의 ON/OFF와 같은 시큐리티상 문제없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저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에 기인하여 실시되는 처리(웰컴 처리라고 함)는, 종래 휴대기(200)와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대조가 성립되고 나서 실시되고 있었다. 이 변형예 3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200)와 차량 탑재 시스템(100)의 대조가 성립되기 전의 상태에서, 웰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기재되는 흐름도, 혹은, 흐름도의 처리는, 복수의 스텝(혹은 섹션이라고도 언급됨)으로 구성되고, 각 스텝은, 예를 들어 S101로 표현된다. 또한, 각 스텝은, 복수의 서브 스텝으로 분할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스텝이 합쳐져서 하나의 스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개시에 의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의 실시 형태 및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 및 구성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 및 각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이한 실시 형태 및 구성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요소를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 및 구성에 대해서도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 및 구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1.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탑재기(110)와, 상기 차량 탑재기와 대응지어지고, 상기 차량의 유저에게 휴대되는 휴대기(200)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이며,
    상기 차량 탑재기는,
    20㎑에서 200㎑까지의 주파수대인 제1 주파수대의 전파를 사용하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소정의 통신 방식에 준한 신호를 상기 휴대기에 송신하는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113)와,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변경하는 통신 방식 변경부(F4, F4A, F4B)와,
    상기 휴대기로부터 상기 차량 탑재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300㎒에서 400㎒까지의 주파수대인 제2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는, 상기 휴대기에 대하여 응답을 요구하는 폴링 신호를 소정의 주기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기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통신 방식 중, 상기 차량 탑재기가 채용해야 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통신 방식 선택부(G2, G2A, G2B)와,
    상기 폴링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220)와,
    상기 제1 주파수대용 안테나가 수신한 신호를,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통신 방식에 준하여 수신 처리하는 수신 처리부(G1)와,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대의 전파로 송신하는 휴대기측 송신부(G3)와,
    상기 수신 처리부에 의한 상기 폴링 신호의 수신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대에 속하는 주파수 중, 적어도 상기 차량 탑재기로부터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인 제1 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유무를 판정하는 노이즈 판정부(G11)를 구비하고,
    상기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해야 할 통신 방식으로서, 현재 채용하고 있는 통신 방식과는 상이한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휴대기측 송신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가 새롭게 선택한 통신 방식을 채용하도록 지시하는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통신 방식을,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 지정된 통신 방식으로 변경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 주파수로서, 30㎑ 이하의 주파수가 채용되고 있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변조 방식을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상기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변조 방식 중, 상기 차량 탑재기가 채용해야 할 변조 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휴대기측 송신부는,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서,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변조 방식을, 상기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의해 지시된 변조 방식으로 변경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처리부는, 상기 휴대기측 송신부가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송신한 후에, 수신 처리에 사용하는 복조 방식을,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지시한 변조 방식에 대응하는 복조 방식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기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는 주파수를 동적으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상기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 가능한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해야 할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휴대기측 송신부는,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로서,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가 선택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신호를, 상기 차량 탑재기에 대하여 송신하고,
    상기 통신 방식 변경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수신부가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상기 수신한 방식 변경 지시 신호에 의해 지시된 주파수를 채용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는, 미리 정해진 3개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 처리부는,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대응하고 있는 복수 종류의 주파수 중, 상기 제1 사용 주파수로서 채용하고 있지 않은 주파수인 미사용 주파수마다의 수신 신호 강도를, 상기 미사용 주파수에 있어서의 노이즈의 강도를 나타내는 노이즈 레벨로서 취득하고,
    상기 통신 방식 선택부는, 상기 노이즈 판정부에 의해 상기 노이즈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복수의 상기 미사용 주파수 중 상기 노이즈 레벨이 가장 작은 주파수를, 상기 차량 탑재기측 송신부가 채용해야 할 주파수로서 선택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식 변경 지시 신호는, 상기 차량 탑재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전장 부품에 소정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KR1020177026050A 2015-03-31 2016-02-22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KR101945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1640A JP6387880B2 (ja) 2015-03-31 2015-03-31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JP-P-2015-071640 2015-03-31
PCT/JP2016/000911 WO2016157699A1 (ja) 2015-03-31 2016-02-22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04A KR20170118804A (ko) 2017-10-25
KR101945143B1 true KR101945143B1 (ko) 2019-02-01

Family

ID=5700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050A KR101945143B1 (ko) 2015-03-31 2016-02-22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87880B2 (ko)
KR (1) KR101945143B1 (ko)
WO (1) WO2016157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3259B2 (ja) * 2018-04-16 2021-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WO2022030329A1 (ja) * 2020-08-07 2022-02-10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式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5838A (ja) * 2005-01-26 2006-08-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受信機
JP2009278452A (ja) * 2008-05-15 2009-11-26 Tokai Rika Co Ltd ノイズ監視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6773A (ja) * 1997-06-02 1998-12-18 Omron Corp 送信機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6801134B1 (en) * 2000-03-02 2004-10-05 Trw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function operation with controlled distance communication having vehicle-based frequency selection
JP2008252462A (ja) * 2007-03-30 2008-10-16 Mitsubishi Materials Corp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5218572B2 (ja) 2011-01-07 2013-06-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制御システム
JP5991068B2 (ja) * 2012-08-07 2016-09-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無線キー通信システム
JP6032743B2 (ja) * 2013-01-30 2016-11-3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5838A (ja) * 2005-01-26 2006-08-1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受信機
JP2009278452A (ja) * 2008-05-15 2009-11-26 Tokai Rika Co Ltd ノイズ監視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04A (ko) 2017-10-25
JP2016191248A (ja) 2016-11-10
WO2016157699A1 (ja) 2016-10-06
JP6387880B2 (ja)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6271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과, 구성 장치
US8532576B2 (en) System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ler
JP5721754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JP6477589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US9430890B2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442398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5643033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6111935B2 (ja) 車両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携帯機
US9889819B2 (en) Smart key system
US9473879B2 (en) Portable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20200309941A1 (en) Distance-measuring system, distance-measuring device and distance-measuring method
US9472035B2 (en) Remote convenience method and apparatus with reduced signal nulls
KR101945143B1 (ko)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JP6693208B2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6235321B2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の車載中継機
JP4714085B2 (ja) 受信機及び遠隔制御装置
JPWO2005098177A1 (ja) 車載無線装置
JP6116513B2 (ja) 携帯機、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制御システム
JP6040127B2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車載中継機、及び携帯中継機
JP2018152776A (ja) 変調波送信装置
JP5768728B2 (ja) 通信装置
JP2020071199A (ja) 携帯機位置判定装置
JP5270517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5264461A (ja) 車両用遠隔制御装置
JP2006016928A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