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553B1 -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553B1
KR101936553B1 KR1020180119851A KR20180119851A KR101936553B1 KR 101936553 B1 KR101936553 B1 KR 101936553B1 KR 1020180119851 A KR1020180119851 A KR 1020180119851A KR 20180119851 A KR20180119851 A KR 20180119851A KR 101936553 B1 KR101936553 B1 KR 10193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rame
sub
glass substrate
main
convey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섭
Original Assignee
이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섭 filed Critical 이덕섭
Priority to KR1020180119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측에서 글라스기판(S)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1컨베이어모듈(100)에 밀착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상기 글라스기판(S)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모듈(200)과;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의 조립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위치정렬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Assembly type conveyer system}
본 발명은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글라스기판을 이송할 수 있는 경로의 길이를 변경 가능한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공정에서는 대형의 글라스 기판을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장치는 대형의 글라스 기판을 이송시키면서 면취, 스크리아빙(scribing), 브레이킹(breaking), 연마, 세척공정등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 이러한 일련의 공정들은 LCD, LE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공개번호 10-2006-0002373호에 글라스 이송용 컨베이어 시스템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IT 기기의 사용 주기가 짧아지고,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및 슬림화에 따라, 대형의 글라스기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를 자주 새롭게 구축하여야 하였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장치를 새로 구축하기 위한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른 생산 수율의 저하가 발생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글라스기판의 이송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형의 글라스 기판을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부측에서 글라스기판(S)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모듈(100);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에 밀착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상기 글라스기판(S)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모듈(200); 및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의 조립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위치정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은,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메인박스프레임(110)과, 상기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서브박스프레임(120)과, 상기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의 제1메인바닥(110a) 모서리측 4 곳에 지지되어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제1서브바닥(120a)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130)와, 상기 제1서브박스프레임(120) 바닥에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레일(140)과, 제1가이드레일(140)에 형성된 다수의 제1레일축(141)에 축결합되어 글라스기판(S)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피동롤러(150)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140)의 전후방에서 상기 제1레일축(141)에 고정되어 상기 제1피동롤러(150)에 지지되는 상기 글라스기판(S)을 이송 구동시키는 다수의 제1구동롤러(160)와, 상기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여 제1수평신호(H1)를 발생하는 제1수평측정부(170)와, 상기 제1수평신호(H1)에 연동되어 상기 4 개의 제1승강부(13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수평제어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컨베이어모듈(200)은,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2메인박스프레임(210)과, 상기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2서브박스프레임(220)과, 상기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의 제2메인바닥(210a) 모서리측 4 곳에 지지되어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제2서브바닥(220a)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230)와, 상기 제2서브박스프레임(220) 바닥에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가이드레일(240)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240)에 형성된 다수의 제2레일축(241)에 축결합되어 글라스기판(S)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피동롤러(250)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240)의 전후방에서 상기 제2레일축(241)에 고정되어 상기 제2피동롤러(250)에 지지되는 글라스기판(S)을 이송 구동시키는 다수의 제2구동롤러(260)와, 상기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여 제2수평신호(H2)를 발생하는 제2수평측정부(270)와, 상기 제2수평신호(H2)에 연동되어 상기 4 개의 제2승강부(23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2수평제어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130)는, 상기 제1메인바닥(110a)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몸체(130a)와, 상기 제1실린더몸체(130a)에서 출몰되어 상기 제1서브바닥(120a)을 지지하는 제1실린더로드(13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부(230)는, 상기 제2메인바닥(210a)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몸체(230a)와, 상기 제2실린더몸체(230a)에서 출몰되어 상기 제2서브바닥(220a)을 지지하는 제2실린더로드(230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승강부(130)(230)는, 상기 제1,2실린더로드(130b)(230b)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제1,2볼부(130c)(230c)와, 상기 제1,2볼부(130c)(230c)에 밀착되는 구면홈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서브바닥(120a)(220a)에 하부측에 지지되는 제1,2볼부지지단(130d)(230d)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이드레일(140)(24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2키홈(142)(242)이 형성된 제1,2레일축(141)(241)이 설치되고; 상기 제1,2피동롤러(150)(250)는 상기 제1,2키홈(142)(242)에 끼어지는 제1,2키돌기(152)(25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1,2베어링(151)(251)과, 상기 제1,2베어링(151)(2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2탄성링(153)(25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구동롤러(160)(260)는, 상기 제1,2키홈(142)(242)에 끼어지는 제1,2키돌기(162)(26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1,2고정자(161)(261)와, 상기 제1,2고정자(161)(261)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제1,2고정자(161)(261)에 대하여 회전되는 제1,2회전자(162)(262)와, 상기 제1,2회전자(162)(262)의 외측에 형성된 제1,2탄성링(163)(263)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측정부(170)는, 4 개의 상기 제1승강부(13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몸체(171)와, 상기 제1몸체(171)에 4 개의 제1승강부(130)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전도볼(C1)이 이송되는 제1,2,3,4채널(172)(173)(174)(175)과, 상기 제1,2,3,4채널(172)(173)(174)(175)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정 채널에 위치되는 제1전도볼(C1)을 검지하는 제1,2,3,4검지부(176)(177)(178)(179)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평측정부(270)는, 4 개의 상기 제2승강부(23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몸체(271)와, 상기 제2몸체(271)에 4 개의 제2승강부(230)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전도볼(C2)이 이송되는 제5,6,7,8채널(272)(273)(284)(275)과, 상기 제5,6,7,8채널(272)(273)(274)(275)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정 채널에 위치되는 제2전도볼(C2)을 검지하는 제5,6,7,8검지부(276)(277)(278)(27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렬부(300)는,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의 제1메인측벽(110b) 전,후방측에서 그 제1메인측벽(110b) 상단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제1,2위치정렬부(310)(320)와, 상기 제2컨베이어모듈(200)의 제2메인측벽(210b) 전,후방측에서, 그 제2메인측벽(210b) 상단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제3,4위치정렬부(330)(340)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제1피동롤러 및 제1구동롤러로 구성되는 제1컨베이어모듈과, 다수의 제2피동롤러 및 제2구동롤러로 구성되는 제2컨베이어모듈을 밀착 조립시키는 것에 의하여, 대형의 글라스기판(S)을 이송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송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2구동롤러는 제1,2레일축에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이송시키는 글라스기판(S)의 크기나 이송속도에 따라 제1,2구동롤러를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이송 용량이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치정렬부에 의하여, 대형의 제1컨베이어모듈과 제2컨베이어모듈을 위치정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글라스기판을 정확히 이송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 의 제1,2컨베이어모듈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제1,2가이드레일의 제1,2레일축에 설치되는 제1,2피동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제1,2가이드레일의 제1,2레일축에 설치되는 제1,2구동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제1,2서브박스프레임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2수평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제1,2수평측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위치정렬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위치정렬부에 의하여 제1,2컨베이어모듈이 위치정렬되게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의 제1,2컨베이어모듈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도 2의 제1,2가이드레일의 제1,2레일축에 설치되는 제1,2피동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제1,2가이드레일의 제1,2레일축에 설치되는 제1,2구동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7은 도 2의 제1,2서브박스프레인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2수평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1,2수평측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1 및 도 2의 위치정렬부를 발췌하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위치정렬부에 의하여 제1,2컨베이어모듈이 위치정렬되게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부측에서 글라스기판(S)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1컨베이어모듈(100)에 밀착 조립되는 것으로서 제1컨베이어모듈(100)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상기 글라스기판(S)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모듈(200)과.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의 조립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위치정렬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2 개의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송 궤도의 길이에 따라 컨베이어모듈의 개수는 늘어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은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을 가진다.
제1컨베이어모듈(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메인박스프레임(110)과,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서브박스프레임(120)과,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의 제1메인바닥(110a) 모서리측 4 곳에 지지되어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제1서브바닥(120a)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130)와, 제1서브박스프레임(120) 바닥에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레일(140)과, 제1가이드레일(140)에 형성된 다수의 제1레일축(141)에 축결합되어 글라스기판(S)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피동롤러(150)와, 제1가이드레일(140)의 전후방에서 제1레일축(141)에 고정되어 상기 제1피동롤러(150)에 지지되는 글라스기판(S)을 이송 구동시키는 다수의 제1구동롤러(160)와,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여 제1수평신호(H1)를 발생하는 제1수평측정부(170)와, 제1수평신호(H1)에 연동되어 상기 4 개의 제1승강부(13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수평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은, 다수의 다리(B)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1메인바닥(110a)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제1메인측벽(110b)으로 이루어져 상부측으로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은,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1서브바닥(120a)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제1서브측벽(120b)으로 이루어져 상부측으로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1서브측벽(120b)은 제1메인측벽(110b)에서 이격되어 있다.
제1승강부(130)는 동일 구성을 가지며, 제1메인바닥(110a)의 모서리측 4곳에서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을 승강시킴은 물론,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을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승강부(130)는, 제1메인바닥(110a)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몸체(130a)와, 제1실린더몸체(130a)에서 출몰되어 상기 제1서브바닥(120a)을 지지하는 제1실린더로드(130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승강부(130)는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을 4 곳에서 독립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제1승강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로드(130b)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제1볼부(130c)와, 제1볼부(130c)에 밀착되는 구면홈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1서브바닥(120a)에 하부측에 지지되는 제1볼부지지단(130d)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을 비스듬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을 수평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1가이드레일(140)은,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제1서브바닥(120a)에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이송되는 글라스기판(S)의 크기에 따라 설치 개수가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12 개를 채용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제1가이드레일(14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레일축(141)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제1레일축(141)의 외주면에는 제1키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제1피동롤러(150)는 다수의 제1레일축(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글라스기판(S)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1피동롤러(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키홈(142)에 끼어지는 제1키돌기(15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1베어링(151)과, 제1베어링(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탄성링(153)을 포함한다.
제1구동롤러(160)는 제1가이드레일(140)의 전방측 및 후방측 제1레일축(141)에 설치되어 글라스기판(S)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글라스기판(S)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구동롤러(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키홈(142)에 끼어지는 제1키돌기(16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1고정자(161)와, 제1고정자(161)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제1고정자(161)에 대하여 회전되는 제1회전자(162)와, 제1회전자(162)의 외측에 형성된 제1탄성링(163)을 포함한다.
제1수평측정부(170)는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를 측정하여 제1수평신호(H1)를 발생한다. 제1수평측정부(170)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제1승강부(13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몸체(171)와, 제1몸체(171)에 4 개의 제1승강부(130)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전도볼(C1)이 이송되는 제1,2,3,4채널(172)(173)(174)(175)과, 제1,2,3,4채널(172)(173)(174)(175)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정 채널에 위치되는 제1전도볼(C1)을 검지하는 제1,2,3,4검지부(176)(177)(178)(17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2,3,4채널(172)(173)(174)(175)은 동일 구조를 가지며, 제1,2,3,4검지부(176)(177)(178)(179) 역시 동일 구조를 가진다.
제1,2,3,4검지부(176)(177)(178)(179) 각각은, 제1,2,3,4채널(172)(173)(174)(175)의 바닥에 형성되는 제1,2,3,4바닥단자(176a)(177a)(178a)(179a) 및 제1,2,3,4채널(172)(173)(174)(175)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1,2,3,4측벽단자(176a)(177a)(178a)(179a)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2,3,4검지부(176)(177)(178)(179)에 의하여, 특정 검지부에 제1전도볼(C1)이 위치될 때, 해당 바닥단자와 측벽단자가 제1전도볼(C1)에 의하여 통전되어 경사신호를 발생하고, 이는 그 특정 검지부측이 기울어졌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이 제1검지부(176) 측으로 기울어지면 제1전도볼(C1)은 제1채널(172) 측으로 움직이고, 제1전도볼(C1)이 제1바닥단자(176a) 및 제1측벽단자(176b)를 통전시킬 때 제1수평측정부(170)는 해당되는 제1채널(172) 측으로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이 경사졌다라는 경사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경사신호는 제1수평제어부(180)로 전송되고, 제1수평제어부(180)는 해당되는 제1채널(172) 측의 제1승강부(130)를 작동시켜 경사신호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위치 각도를 가변한다.
그리고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이 수평 상태이면, 제1전도볼(C1)은 제1,2,3,4채널(172)(173)(174)(175) 중앙에 위치되어 제1,2,3,4바닥단자(176a)(177a)(178a)(179a) 사이에 위치되고, 이 경우 제1수평측정부(170)는 제1수평신호(H1)를 발생한다. 즉, 어떠한 경사신호도 발생되지 않을 때,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은 수평 상태라는 제1수평신호(H1)를 발생하는 것이다.
제2컨베이어모듈(2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2메인박스프레임(210)과,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2서브박스프레임(220)과,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의 제2메인바닥(210a) 모서리측 4 곳에 지지되어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제2서브바닥(220a)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230)와, 제2서브박스프레임(220) 바닥에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가이드레일(240)과, 제2가이드레일(240)에 형성된 다수의 제2레일축(241)에 축결합되어 글라스기판(S)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피동롤러(250)와, 제2가이드레일(240)의 전후방에서 제2레일축(241)에 고정되어 상기 제2피동롤러(250)에 지지되는 글라스기판(S)을 이송 구동시키는 다수의 제2구동롤러(260)와,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여 제2수평신호(H2)를 발생하는 제2수평측정부(270)와, 제2수평신호(H2)에 연동되어 상기 4 개의 제2승강부(23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2수평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은, 다수의 다리(B)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제2메인바닥(210a)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제2메인측벽(210b)으로 이루어져 상부측으로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은,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2서브바닥(220a)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제2서브측벽(220b)으로 이루어져 상부측으로 개구된 박스형태를 가진다. 이때 제2서브측벽(220b)은 제2메인측벽(210b)에서 이격되어 있다.
제2승강부(230)는 동일 구성을 가지며, 제2메인바닥(210a)의 모서리측 4곳에서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을 승강시킴은 물론,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을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승강부(230)는, 제2메인바닥(210a)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몸체(230a)와, 제2실린더몸체(230a)에서 출몰되어 상기 제2서브바닥(220a)을 지지하는 제2실린더로드(230b)를 포함한다.
제2승강부(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린더로드(230b)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제2볼부(230c)와, 제2볼부(230c)에 밀착되는 구면홈을 가지는 것으로서 제2서브바닥(220a)에 하부측에 지지되는 제2볼부지지단(230d)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을 기준으로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을 비스듬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을 수평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2가이드레일(240)은,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제2서브바닥(220a)에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이송되는 글라스기판(S)의 크기에 따라 설치 개수가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12 개를 채용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제2가이드레일(24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2레일축(241)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제2레일축(241)의 외주면에는 제2키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제2피동롤러(250)는 다수의 제2레일축(2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글라스기판(S)을 지지한다. 이러한 제2피동롤러(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키홈(242)에 끼어지는 제2키돌기(25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2베어링(251)과, 제2베어링(2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탄성링(253)을 포함한다.
제2구동롤러(260)는 제2가이드레일(240)의 전방측 및 후방측 제2레일축(241)에 설치되어 글라스기판(S)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글라스기판(S)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2구동롤러(2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키홈(242)에 끼어지는 제2키돌기(26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2고정자(261)와, 제2고정자(261)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제2고정자(261)에 대하여 회전되는 제2회전자(262)와, 제2회전자(262)의 외측에 형성된 제2탄성링(263)을 포함한다.
제2수평측정부(270)는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전후좌우 수평 상태를 측정하여 제2수평신호(H2)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2수평측정부(270)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제2승강부(23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몸체(271)와, 제2몸체(271)에 4 개의 제2승강부(230)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전도볼(C2)이 이송되는 제5,6,7,8채널(272)(273)(284)(275)과, 제5,6,7,8채널(272)(273)(274)(275)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정 채널에 위치되는 제2전도볼(C2)을 검지하는 제5,6,7,8검지부(276)(277)(278)(279)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5,6,7,8채널(272)(273)(284)(275)은 동일 구조를 가지며, 제5,6,7,8검지부(276)(277)(278)(279) 역시 동일 구조를 가진다.
제5,6,7,8검지부(276)(277)(278)(279) 각각은, 제5,6,7,8채널(272)(273)(284)(275)의 바닥에 형성되는 제5,6,7,8바닥단자(276a)(277a)(278a)(279a) 및 제5,6,7,8채널(272)(273)(284)(275)의 측벽에 형성되는 제5,6,7,8측벽단자(276b)(277b)(278b)(279b)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5,6,7,8검지부(276)(277)(278)(279)에 의하여, 특정 검지부에 제2전도볼(C2)이 위치될 때, 해당 바닥단자와 측벽단자가 제1전도볼(C1)에 의하여 통전되어 경사신호를 발생하고, 이는 그 특정 검지부측이 기울어졌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이 제5검지부(276) 측으로 기울어지면 제2전도볼(C2)은 제5채널(272) 측으로 움직이고, 제2전도볼(C2)이 제5바닥단자(276a) 및 제5측벽단자(276b)를 통전시킬 때 제2수평측정부(270)는 해당되는 제5채널(272) 측으로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이 경사졌다라는 경사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경사신호는 제2수평제어부(280)로 전송되고, 제2수평제어부(280)는 해당되는 제5채널(272) 측의 제2승강부(230)를 작동시켜 경사신호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위치 각도를 가변한다.
그리고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이 수평 상태이면, 제2전도볼(C2)은 제5,6,7,8채널(272)(273)(284)(275) 중앙에 위치되어 제5,6,7,8바닥단자(276a)(277a)(278a)(279a) 사이에 위치되고, 이 경우 제2수평측정부(270)는 제2수평신호(H2)를 발생한다. 즉, 어떠한 경사신호도 발생되지 않을 때,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은 수평 상태라는 제2수평신호(H2)를 발생하는 것이다.
위치정렬부(300)는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이 조립될 때 정렬을 위한 조립위치를 정렬한다. 이러한 위치정렬부(300)는, 제1메인측벽(110b)의 전,후방측에서, 제1메인측벽(110b) 상단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제1,2위치정렬부(310)(320)와, 제2메인측벽(210b)의 전,후방측에서, 제2메인측벽(210b) 상단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제3,4위치정렬부(330)(340)를 포함하고, 제1,2,3,4위치정렬부(310)(320)(330)(340)는 실질적으로 동일 구조를 가진다. 이때 제1,2,3,4위치정렬부(310)(320)(330)(340)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메인측벽(110b)(210b)에 설치되는 제1,2,3,4정렬부몸체(310a)(320a)(330a)(340a)에 제1,2,3,4위치정렬홀(310b)(320b)(330b)(340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을 조립할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정렬부(310)의 제1정렬부몸체(310a)에 레이저포인터(350)를 탑재한 후 제1위치정렬홀(310b)을 통하여 레이저(L)를 제1,2,3위치정렬홀(320b)(330b)(340b)로 조사하고, 레이저(L)가 제1,2,3,4위치정렬홀(310b)(320b)(330b)(34b) 모두를 관통할 때 제1,2컨베이어모듈(100)(200)을 정확히 위치 정렬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제1피동롤러(150)와 제1구동롤러(160)로 구성되는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다수의 제2피동롤러(250)와 제2구동롤러(260)로 구성되는 제2컨베이어모듈(200)을 밀착 조립시키는 것에 의하여, 대형의 글라스기판(S)을 이송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송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2구동롤러(160)(260)는 제1,2레일축(141)(242)에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이송시키는 글라스기판(S)의 크기나 이송속도에 따라 제1,2구동롤러(160)(260)를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이송 용량이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위치정렬부(300)에 의하여, 대형의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을 위치정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글라스기판(S)을 정확히 이송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제1컨베이어모듈 110 ... 제1메인박스프레임
110a ... 제1메인바닥 110b ... 제1메인측벽
120 ... 제1서브박스프레임 120a ... 제1서브바닥
120b ... 제1서브측벽 130 ... 제1승강부
130a ... 제1실린더몸체 130b ... 제1실린더로드
130c ... 제1볼부 130d ... 제1볼부지지단
140 ... 제1가이드레일 141 ... 제1레일축
142 ,,, 제1키홈 150 ... 제1피동롤러
151 ... 제1베어링 152 ... 제1키돌기
153 ... 제1탄성링 160 ... 제1구동롤러
170 ... 제1수평측정부 171 ... 제1몸체
172, 173, 174, 175 ... 제1,2,3,4채널
176, 177, 178, 179 ... 제1,2,3,4검지부
176a, 177a, 178a, 179a ... 제1,2,3,4바닥단자
176ba, 177b, 178b, 179b ... 제1,2,3,4측벽단자
180 ... 제1수평제어부
200 ... 제2컨베이어어모듈 210 ... 제2메인박스프레임
210a ... 제2메인바닥 210b ... 제2메인측벽
220 ... 제2서브박스프레임 220a ... 제2서브바닥
220b ... 제2서브측벽 230 ... 제2승강부
230a ... 제2실린더몸체 230b ... 제2실린더로드
230c ... 제2볼부 230d ... 제2볼부지지단
240 ... 제2가이드레일 241 ... 제2레일축
242 ,,, 제2키홈 250 ... 제2피동롤러
251 ... 제2베어링 252 ... 제2키돌기
253 ... 제2탄성링 260 ... 제2구동롤러
270 ... 제2수평측정부 271 ... 제2몸체
272, 273, 274, 275 ... 제5,6,7,8채널
276, 277, 278, 279 ... 제5,6,7,8검지부
276a, 277a, 278a, 279a ... 제5,6,7,8바닥단자
276ba, 277b, 278b, 279b ... 제5,6,7,8측벽단자
280 ... 제1수평제어부
300 ... 위치정렬부
310, 320, 330, 340 ... 제1,2,3,4위치정렬부
310a, 320a, 330a, 340a ... 제1,2,3,4정렬부몸체
310ba, 320b, 330b, 340b ... 제1,2,3,4위치정렬홀

Claims (9)

  1. 상부측에서 글라스기판(S)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모듈(100);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에 밀착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에 의하여 이송되어지는 상기 글라스기판(S)을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모듈(200); 및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과 제2컨베이어모듈(200)의 조립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위치정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은,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메인박스프레임(110)과, 상기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1서브박스프레임(120)과, 상기 제1메인박스프레임(110)의 제1메인바닥(110a) 모서리측 4 곳에 지지되어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제1서브바닥(120a)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부(130)와, 상기 제1서브박스프레임(120) 바닥에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1가이드레일(140)과, 제1가이드레일(140)에 형성된 다수의 제1레일축(141)에 축결합되어 글라스기판(S)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피동롤러(150)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140)의 전후방에서 상기 제1레일축(141)에 고정되어 상기 제1피동롤러(150)에 지지되는 상기 글라스기판(S)을 이송 구동시키는 다수의 제1구동롤러(160)와, 상기 제1서브박스프레임(120)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여 제1수평신호(H1)를 발생하는 제1수평측정부(170)와, 상기 제1수평신호(H1)에 연동되어 상기 4 개의 제1승강부(13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1수평제어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컨베이어모듈(200)은,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2메인박스프레임(210)과, 상기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측으로 개구된 제2서브박스프레임(220)과, 상기 제2메인박스프레임(210)의 제2메인바닥(210a) 모서리측 4 곳에 지지되어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제2서브바닥(220a)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부(230)와, 상기 제2서브박스프레임(220) 바닥에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가이드레일(240)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240)에 형성된 다수의 제2레일축(241)에 축결합되어 글라스기판(S)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피동롤러(250)와, 상기 제2가이드레일(240)의 전후방에서 상기 제2레일축(241)에 고정되어 상기 제2피동롤러(250)에 지지되는 글라스기판(S)을 이송 구동시키는 다수의 제2구동롤러(260)와, 상기 제2서브박스프레임(220)의 수평 상태를 측정하여 제2수평신호(H2)를 발생하는 제2수평측정부(270)와, 상기 제2수평신호(H2)에 연동되어 상기 4 개의 제2승강부(23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제2수평제어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130)는, 상기 제1메인바닥(110a)에 고정되는 제1실린더몸체(130a)와, 상기 제1실린더몸체(130a)에서 출몰되어 상기 제1서브바닥(120a)을 지지하는 제1실린더로드(13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승강부(230)는, 상기 제2메인바닥(210a)에 고정되는 제2실린더몸체(230a)와, 상기 제2실린더몸체(230a)에서 출몰되어 상기 제2서브바닥(220a)을 지지하는 제2실린더로드(2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승강부(130)(230)는, 상기 제1,2실린더로드(130b)(230b)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제1,2볼부(130c)(230c)와, 상기 제1,2볼부(130c)(230c)에 밀착되는 구면홈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2서브바닥(120a)(220a)에 하부측에 지지되는 제1,2볼부지지단(130d)(230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가이드레일(140)(24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제1,2키홈(142)(242)이 형성된 제1,2레일축(141)(241)이 설치되고;
    상기 제1,2피동롤러(150)(250)는 상기 제1,2키홈(142)(242)에 끼어지는 제1,2키돌기(152)(25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1,2베어링(151)(251)과, 상기 제1,2베어링(151)(2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2탄성링(153)(2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구동롤러(160)(260)는, 상기 제1,2키홈(142)(242)에 끼어지는 제1,2키돌기(162)(262)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1,2고정자(161)(261)와, 상기 제1,2고정자(161)(261)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제1,2고정자(161)(261)에 대하여 회전되는 제1,2회전자(162)(262)와, 상기 제1,2회전자(162)(262)의 외측에 형성된 제1,2탄성링(163)(2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측정부(170)는, 4 개의 상기 제1승강부(13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몸체(171)와, 상기 제1몸체(171)에 4 개의 제1승강부(130)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전도볼(C1)이 이송되는 제1,2,3,4채널(172)(173)(174)(175)과, 상기 제1,2,3,4채널(172)(173)(174)(175)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정 채널에 위치되는 제1전도볼(C1)을 검지하는 제1,2,3,4검지부(176)(177)(178)(179)를 포함하고;
    상기 제2수평측정부(270)는, 4 개의 상기 제2승강부(23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몸체(271)와, 상기 제2몸체(271)에 4 개의 제2승강부(230)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교차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전도볼(C2)이 이송되는 제5,6,7,8채널(272)(273)(274)(275)과, 상기 제5,6,7,8채널(272)(273)(274)(275) 각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정 채널에 위치되는 제2전도볼(C2)을 검지하는 제5,6,7,8검지부(276)(277)(278)(2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렬부(300)는,
    상기 제1컨베이어모듈(100)의 제1메인측벽(110b) 전,후방측에서 그 제1메인측벽(110b) 상단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제1,2위치정렬부(310)(320)와,
    상기 제2컨베이어모듈(200)의 제2메인측벽(210b) 전,후방측에서, 그 제2메인측벽(210b) 상단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설치되는 제3,4위치정렬부(330)(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180119851A 2018-10-08 2018-10-08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KR10193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51A KR101936553B1 (ko) 2018-10-08 2018-10-08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51A KR101936553B1 (ko) 2018-10-08 2018-10-08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553B1 true KR101936553B1 (ko) 2019-04-03

Family

ID=6616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851A KR101936553B1 (ko) 2018-10-08 2018-10-08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463B1 (ko) * 2021-11-26 2023-02-16 주식회사 팩스타글로벌 박스 제함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019A (ja) * 2002-09-18 2004-04-08 Ito Denki Kk モータ内蔵ローラ、並びに、搬送装置
KR100763807B1 (ko) * 2007-06-28 2007-10-05 (주)다사로봇 기판세척롤러
JP2007284203A (ja) * 2006-04-18 2007-11-01 Asyst Shinko Inc 搬送設備
US20080073185A1 (en) * 2006-09-25 2008-03-27 Dematic Corp. Belt conveyor and method
KR20120025659A (ko) * 2010-09-07 2012-03-16 (주)리드 평판 표시 장치 제조용 글라스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WO2012104092A1 (en) * 2011-02-02 2012-08-09 Interroll Holding Ag Conveyor system
JP2014156353A (ja) * 2013-02-18 2014-08-28 Wrh Walter Reist Holding Ag 運搬装置、少なくとも2つの枠プロファイルをともない、枠構築物を形成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運搬装置の使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7019A (ja) * 2002-09-18 2004-04-08 Ito Denki Kk モータ内蔵ローラ、並びに、搬送装置
JP2007284203A (ja) * 2006-04-18 2007-11-01 Asyst Shinko Inc 搬送設備
US20080073185A1 (en) * 2006-09-25 2008-03-27 Dematic Corp. Belt conveyor and method
KR100763807B1 (ko) * 2007-06-28 2007-10-05 (주)다사로봇 기판세척롤러
KR20120025659A (ko) * 2010-09-07 2012-03-16 (주)리드 평판 표시 장치 제조용 글라스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WO2012104092A1 (en) * 2011-02-02 2012-08-09 Interroll Holding Ag Conveyor system
JP2014156353A (ja) * 2013-02-18 2014-08-28 Wrh Walter Reist Holding Ag 運搬装置、少なくとも2つの枠プロファイルをともない、枠構築物を形成するためのキット、および運搬装置の使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0463B1 (ko) * 2021-11-26 2023-02-16 주식회사 팩스타글로벌 박스 제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8857B2 (en) Transportation device and conveyor device
TWI401201B (zh) 增進傳送器之傳送效能的設備與方法
KR101960679B1 (ko) 가이드휠을 장착한 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팰릿 이송 시스템
KR101365074B1 (ko) 글라스용 면취 가공 시스템
KR20170067088A (ko) 이송 시스템 및 그 이송 경로 전환 방법
TWI652471B (zh) 具有可進行AOI θ軸對齊的輸送設備的線上台架
KR101936553B1 (ko) 글라스기판 컨베이어 시스템
JP2014152026A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KR20090006984A (ko) 이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CN116730012A (zh) 玻璃基板校正装置以及玻璃基板传送系统
KR102049037B1 (ko) 주행 및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레일턴모듈 및 이를 이용한 팰릿이송시스템
JP2008168997A (ja) コンベヤ装置
JP5890611B2 (ja) 生産装置
JP2010155683A (ja) 基板搬送機構および基板処理装置
JP4882754B2 (ja) 板状体搬送設備
JP4961966B2 (ja) コンベヤ装置
KR20180064120A (ko) 카세트 정렬 유닛
CN113932718A (zh) 一种建筑工程用质量检测设备
CN110745517A (zh) 一种传输装置
KR20160119918A (ko) 멀티 암 반송 로봇
CN218200630U (zh) 一种传输装置
KR102046431B1 (ko) 주행 및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주행레일 및 이를 이용한 팰릿이송시스템
KR20150144919A (ko) 회전지지유닛을 가지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CN221274205U (zh) 一种硅片输送机构及硅片检测装置
KR20140056855A (ko) 기판 이송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