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435B1 -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 - Google Patents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435B1
KR101932435B1 KR1020170057586A KR20170057586A KR101932435B1 KR 101932435 B1 KR101932435 B1 KR 101932435B1 KR 1020170057586 A KR1020170057586 A KR 1020170057586A KR 20170057586 A KR20170057586 A KR 20170057586A KR 101932435 B1 KR101932435 B1 KR 101932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lange
steel
abdomen
region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3396A (en
Inventor
양인욱
임얼
김용국
Original Assignee
(주)삼현피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현피에프 filed Critical (주)삼현피에프
Priority to KR102017005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435B1/en
Publication of KR2018012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4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와 콘크리트 연결부에서 하중전달능력이 향상된 강합성 거더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영역에 제1높이로 형성되고 중앙부를 포함하는 제2영역에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로 형성된 복부와, 상기 복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와, 상기 제1영역의 상기 복부 상단에 형성된 제1상부 플랜지와, 상기 제2영역의 상기 복부 상단에 형성된 제2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된 중첩 영역이 구비된 강재 거더와; 상기 강재 거더의 상기 제2영역의 상측에 합성되되, 상기 강재 거더의 상기 제1영역의 상측의 일부 이상에는 합성되지 아니하고, 상면의 높이가 상기 제1상부플랜지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력이 증대되고, 강-콘크리트 접합면에서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줄임으로써, 강합성 거더의 내구성과 내하력이 증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교량을 시공할 수 있는 강합성 거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e girder having improved load transferring capability in a steel material and a concrete connection portion. The steel composite girder has a first region formed in a first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oth ends and a second region formed in a central region, A first upper flang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upper flang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second region; A steel girder including an overlapping region in which the first upper flange and a portion of the second upper flange are arrang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a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girder is not more than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gion of the steel girder but is synthesiz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flange, Concrete; , Which can improve the durability and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composite girder by reducing the phenomenon of the concentration of stress on the concrete in the steel-concrete joint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bridge. A steel composite girder is provided.

Description

강재와 콘크리트의 연결부에서 하중전달능력이 향상된 강합성 거더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mposite girder having improved load transfer capability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steel and concrete,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재 거더의 상부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일부 길이에 합성되는 강합성 거더에 있어서,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의 연결부에서 휨 변형에 따른 응력 집중 현상을 완화하여 하중전달능력이 향상된 강합성 거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e girder, more specifically, a steel composite girder in which a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to a certain length on the upper side of a steel girder, and a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caused by a bending deformation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teel girder and the casing concrete To a steel composite girder with improved load transmission capability.

일반적으로 강재는 인장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지만, 압축력에 대해서는 좌굴이 발생되어 갑작스런 붕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지만 인장력에 취약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면 균열이 쉽게 발생되어 구조물의 내하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Generally, steel can resist effectively tensile forc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buckling occurs in compressive force, causing sudden collapse. Concrete can resist effectively compressive force, but is vulnerable to tensile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structure is rapidly reduced.

이에 따라, 압축력이 작용하는 중립축 상연에는 케이싱 콘크리트로 저항하고 인장력이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에는 강재로 저항하는 구조의 강합성 거더를 제작하여, 교량의 구조 부재로 사용되고 있다. As a result, a steel composite girder having a structure that resists with a casing concrete and a structure that resists a steel is used as a structural member of a bridge.

즉, 강재는 인장력을 받는 구조에 유리하지만, 압축력을 받으면 부재가 얇을 경우에 좌굴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는 구조에 유리하지만, 인장력을 받으면 균열이 발생되어 내하력이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That is, although the steel is advantageous for the structure receiving the tensile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member is thin, the buckling occurs. However, when the member is thin, the concrete is advantageous for the structure receiving the compressive force. However, A problem arises.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1465호를 통해 개시한 강합성 거더는, 압축 응력이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중립축 상연에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하고, 인장 응력이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에는 강재 거더에 의하여 지지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 steel composite gird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6-0091465, which is supported by a casing concrete on a neutral axis on which compressive stress predominantly acts and which is supported by a neutral axis And a supporting structure supported by a steel girder in the lower part.

즉, 강재 거더의 중앙부에 비하여 단부에서 보다 복부가 높게 형성됨으로써, 압축력 지지에 효율적인 케이싱 콘크리트를 압축 부재로 사용하고 인장력 지지에 효율적인 강재를 인장 부재로 사용하여 충분한 단면 확보를 하되, 강재 거더의 단부는 보다 큰 단면의 복부에 의하여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을 견딜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강재 거더의 중앙부는 보다 작은 단면의 복부로 형성되어 작게 작용하는 단면력을 적은 양의 강재 사용량으로 저항함으로써, 고가의 강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단면 효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abdomen por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girder, the casing concrete effective for supporting the compressive force is used as a compression member and a steel material effective for supporting the tensile force is used as a tensile member to secure a sufficient section. Not only can bear the shear force acting largely by the abdominal portion of the larger cross section but also the middle portion of the steel girder is formed by the abdomen of the smaller cross section to resist the small cross sectional force with a small amount of steel material usag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conomical efficiency while improving the sectional efficiency while minimizing the usage amount.

또한, 강재를 압축 부재로 활용하여 나타나는 좌굴에 따른 단면 강성 감소 영향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재 설치를 최소화하더라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not on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sectional rigidity due to the buckling caused by the use of the steel material as the compression memb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ut the structure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if the installation of the additional reinforcement is minimized to prevent buckling.

그러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합성 거더(9)는 중앙부(10c)와 단부(10e)의 강재 단면이 서로 다르고, 이에 따라 케이싱 콘크리트(20)의 단면도 강재 단면의 변화에 따라 거더 상에서 변화하는 경우에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재질 차이에 의한 휨 강성 및 온도 변화율의 편차로 인하여, 강재와 콘크리트가 서로 만나는 부분(TR)에 반복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야기되어, 만나는 부분(TR)에서 콘크리트의 손상이 발생하여 성장하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steel composite girder 9 is different in the steel section cross section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0c and the end portion 10e, and accordingly, the cross section of the casing concrete 20, The stress is repeatedly concentrated at the portion TR where the steel material and the concrete meet each other due to the deviation of the bending stiffness and the rate of temperature change due to the material difference between the steel material and the concrete, ), The concrete is damaged and it grows.

다시 말하면, 시공 시에는 응력 집중에 의한 손상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더라도, 공용 시 차량의 통행 등에 의한 반복 하중에 의하여 만나는 부분(TR)의 케이싱 콘크리트(20)에서 국부적인 응력 집중이 발생됨에 따라 피로 파괴가 발생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이와 같은 피로 파괴는 교량의 내구성 및 내하력을 감소시켜 교량의 안전성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even if the damag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is not visually observ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local stress concentration occurs in the casing concrete 20 of the part TR encountered by the cyclic load due to the traffic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public use, Causing a problem that breakage occurs. In addition, such fatigue fail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and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bridge are reduced, posing a serious threat to the safety of the bridge.

즉, 기하학적으로 단면이 변화하거나, 힘이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연결부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이 연결되는 접합부에는 국부적인 응력이 작용하므로, 이와 같은 부분에서 발생되는 국부적인 응력을 완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강재 거더(10)와 케이싱 콘크리트(20)가 합성되는 강합성 거더(9)에 있어서, 강재 거더(10)의 단면이 끊기는 위치에서 케이싱 콘크리트(20)에 집중되는 응력을 완화하여, 교량의 내구성 및 내하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at is, there is a need to mitigate the local stress generated in such a portion because a local stress is applied to the joint where the geometric cross section changes, the force is locally concentrated, or where the different materials are connected. Therefore, in the steel composite girder 9 in which the steel girder 10 and the casing concrete 20 are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 stress concentrated on the casing concrete 20 at the position where the section of the steel girder 10 is cut off is alleviated Therefore, there is a great demand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and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ridg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 거더의 중앙부에 비하여 단부에서 복부가 높게 형성되고 강재 거더의 상측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강합성 거더에 있어서, 복부의 높이 편차에 따른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보다 높은 내구력과 내하력을 갖는 강합성 거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steel girder in which the abdomen is formed at a higher end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girder and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girder, And a concrete composite girder having a higher durability and a higher load-bearing capacity.

그리고, 본 발명은, 단면이 불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joining ability between a steel material and a concrete at a joining portion of a steel material and a concrete, the cross-section of which is discontinuously connected.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 하중 전달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load transfer performance at a joint portion between steel and concre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영역에 제1높이로 형성되고 중앙부를 포함하는 제2영역에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로 형성된 복부와, 상기 복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와, 상기 제1영역의 상기 복부 상단에 형성된 제1상부 플랜지와, 상기 제2영역의 상기 복부 상단에 형성된 제2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된 중첩 영역이 구비된 강재 거더와; 상기 강재 거더의 상기 제2영역의 상측에 합성되되, 상기 강재 거더의 상기 제1영역의 상측의 일부 이상에는 합성되지 아니하고, 상면의 높이가 상기 제1상부플랜지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first region including a first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oth ends and a second region including a central region, A lower flang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abdomen, a first upper flang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upper flang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second region, 1) a steel girder having an overlapping region in which an upper flange and a part of the second upper flange are arrang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a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girder is not more than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gion of the steel girder but is synthesiz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flange,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e composite girder comprising:

여기서, 상기 복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사이에 연장 형성된 복부는 전단홀이 형성된 유공 단면으로 형성되어,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Wherein the abdomen extends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overlap region and the abdomen extending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second upper flange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So that the joining performance between the steel material and the concrete can be further enhanced.

여기서, 상기 복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중첩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차이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강-콘크리트의 접합 성능을 높일 수 있다.Wherein the abdomen extends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overlap region and the length of the overlap region is formed to be at least twi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The bonding performance of the steel-concrete can be enhanced.

무엇보다도, 상기 복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플랜지는 상기 복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1상부 플랜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차이 이상만큼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강-콘크리트의 접합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강-콘크리트 접합부에서 응력 집중 현상을 한층더 완화시킬 수 있다.Above all, the abdomen extends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overlap region, and the first upper flange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abdomen toward the casing concrete, The projecting length of the upper flange is formed to protrude by a differenc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so that the joining performance of the steel-concret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in the steel- have.

한편,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와 만나는 제1상부플랜지에는 응력집중 방지재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first upper flange which meets the casing concrete.

예를 들어,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는 상기 제1상부플랜지로부터 상기 제2상부플랜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차이의 0.5배 이상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 강판이고, 상기 복부 끝단과 밀착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may be a steel plate extended from the first upper flange toward the second upper flange, and extended to a length at least 0.5 tim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It can be installed in a close contact with the end.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는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may exten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lange.

상기 복부는 상단이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영역의 제2상부플랜지의 상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상부플랜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상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abdomen portion is formed by an inclined surface whose upper end connects the first upper flang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second region in an inclined manner, And a steel plate that slope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lange from the end of the flange.

여기서,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는 관통공이 형성된 유공 강판으로 형성되어,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 능력을 높일 수 있다. Here,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is formed of a perforated steel plate having a through hole, so that the bonding ability between the steel and the concrete can be enhanced.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의 상단은 상기 제1상부플랜지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의 하단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는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에 비하여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선형으로 변화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불필요한 강재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의 응력 편차를 완화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lower end of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upper flange, And is formed into a shape that is formed largely and changes linear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thereby reducing the stress deviation at the joint portion of the steel-concrete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unnecessary steel material used.

특히,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는, 상기 강재 거더의 제1상부플랜지의 끝단과 상기 복부의 끝단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되어, 강합성 거더의 휨 변형이나 열변형 등에 의한 응력 집중에 따른 변형률을 탄성재로 수용함으로써,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의 케이싱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terposed between at least one of an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of the steel girder and an end of the abdomen and the casing concrete, The stress concentration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or the thermal deformation can be suppressed to a large extent by the elastic material as a result of concentrating the stress on the casing concrete of the steel-concrete joint.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거더의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하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외측'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거더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Inner " and similar terms in the present description and claims are defined as directions toward the center of the girder, and " outer " and similar terms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as directions toward the ends of the girders do.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재 거더의 단면이 끊기고 케이싱 콘크리트가 연속하는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에 거더 단부의 제1상부플랜지와 중앙부의 제2상부플랜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중첩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이종 재료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강-콘크리트 접합부에서 응력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verlapping area in which a first upper flange of a girder end and a second upper flange of a center portion ar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at a joint portion of a steel-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stress can smoothly flow in the steel-concrete joint where the dissimilar materials are combined.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단부의 제1상부플랜지가 복부의 끝단을 넘어서 제2영역의 상측까지 충분히 길게 연장 형성됨에 따라,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 결합력이 보다 증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rst of all, since the first upper flange of the end portion extends beyond the end of the abdomen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gion, the bonding force of the steel-concrete joint portion is further enhanced.

또한, 본 발명은,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의 사이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를 응력집중 방지재로서 개재시킴으로써, 강재 단면의 불연속에 따른 접합부에 발생하는 집중 응력을 탄성재에 의하여 수용하여 완화시킴으로써,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의 케이싱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크게 감소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between a steel girder and a casing concrete at a joining portion of steel-concrete is interposed as a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so that a concentrated stress generated in a joining portion due to discontinuity of a cros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greatly reducing the stress acting on the casing concrete of the joint portion of steel-concrete.

그 밖에, 본 발명은,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의 사이에 강재로 형성된 응력집중 방지재를 덧대는 것에 의하여,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완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stress in concrete at a joint portion of steel-concrete by applying a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aterial formed of a steel material between a steel girder and a casing concrete at a joint portion of steel- Can be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강재 거더의 복부 및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를 관통공이 형성된 유공 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력이 증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joining force between the steel material and the concrete by forming the abutment portion of the steel material girder and the steel plate-lik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aterial in which the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력이 증대되고, 강-콘크리트 접합면에서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줄임으로써, 강합성 거더 내에서 하중전달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내구성과 내하력이 증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교량을 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force between steel and concrete is increased, and the phenomenon of concentration of stress on concrete from the joint surface of steel-concrete is reduced, so that the loa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constructing a bridge having increased safety and improved safety.

도1은 종래의 강합성 거더를 도시한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를 도시한 정면도,
도3a는 도2의 절단선 X-X에 따른 단면도,
도3b는 도2의 절단선 Y-Y에 따른 단면도,
도4a는 도2의 강재 거더의 평면도,
도4b는 도2의 강재 거더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강합성 거더를 도시한 정면도,
도6a는 도2의 중첩 영역인 'A'부분의 확대도,
도6b는 도6a의 사시도,
도7a는 도2의 중첩 영역인 'A'부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7b는 도7a의 사시도,
도7c는 도2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강합성 거더의 'A'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8a는 도2의 중첩 영역인 'A'부분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8b는 도8a의 사시도,
도9a는 도2의 중첩 영역인 'A'부분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9b는 도9a의 사시도,
도9c는 도9a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모델링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10에 따른 모델링 해석 결과에 따른 강-콘크리트의 종단면 응력 분포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el composite girder,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2,
FIG. 3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YY in FIG. 2,
4A is a plan view of the steel girder of FIG. 2,
Fig. 4B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steel girder of Fig. 2,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
FIG. 6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6A,
FIG. 7A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A' portion of the overlapping region of FIG. 2,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7A,
Fig. 7c is a view showing an 'A' portion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pplicable to Fig. 2,
FIG. 8A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A' portion, which is the overlapping region of FIG. 2;
8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8A,
FIG. 9A is a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A' portion as the overlap region of FIG. 2,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9A,
FIG. 9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9A,
10 is a diagram showing modeling for confirming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longitudinal stress distribution diagram of the steel-concrete according to the modeling analysis result of FIG.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teel composite gir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는, 복부(112)의 높이가 단부인 제1영역(I)에 비하여 중앙부인 제2영역(Ⅱ)에서 보다 낮게 형성된 I자형 강재 거더(110)와, 강재 거더(110)의 상연의 일부에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120)로 구성된다. 2 to 3B, the steel composite gir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region that is a central portion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region I in which the height of the abdomen portion 112 is an end portion I-shaped steel girder 11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girder 110 and casing concrete 120 synthesized at a part of the upper edge of the steel girder 110.

상기 강재 거더(110)는, 거더의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의 단부를 포함하는 제1영역(I)에는 제1높이(H1)로 형성되고 중앙부를 포함하는 제2영역(Ⅱ)에는 제1높이(H1)보다 낮은 제2높이(H2)로 형성된 복부(112)와, 복부(112)의 하단에 결합되어 전체 영역에 걸쳐 연장 형성된 하부 플랜지(111)와, 제1영역(I)의 복부 상단에 형성된 제1상부 플랜지(1131)와 제2영역(Ⅱ)의 복부 상단에 형성된 제2상부 플랜지(1132)로 이루어진 상부 플랜지(113)와, 상부 플랜지(113)에 돌출 형성된 전단 연결재(115)와, 케이싱 콘크리트(120)와 만나는 강-콘크리트 접합부(TR)에서 응력의 집중을 완화시키는 응력집중 완화재(114, 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eel girder 110 is formed with a first height H1 in a first region I including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girder and a second height II including a center portion in a first region I, A lower flange 111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abdomen 112 and extending over the entire region and a lower flange 11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first region I, An upper flange 113 formed of a first upper flange 1131 and a second upper flange 113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second region II, a front end coupling member 115 protruding from the upper flange 113, And a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aterial (114, 118) for relieving the concentration of stress at the steel-concrete joint (TR) which meets with the casing concrete (120).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플랜지(1131)는 복부 높이가 제1높이(H1)인 제1영역(I)의 복부 상단에 형성되지만, 복부 높이가 제2높이(H2)인 제2영역(Ⅱ)의 상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영역(I)과 제2영역(Ⅱ)의 사이에는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가 중첩되게 배치되는 중첩 영역(DA)이 'L'로 표시된 길이만큼 형성된다. 6A, the first upper flange 1131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first region I whose abdomen height is the first height H1, 2 region II as shown in FIG. The overlap area DA in which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are arranged so as to overl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rea I and the second area II as indicated by " .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는 그 폭이 서로 동일한 치수로 정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는 제2상부플랜지(1132)의 상측에는 불필요한 강재 사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 플랜지(1131)의 폭(w1)은 제2상부 플랜지(1132)의 폭(w2)에 비하여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may be dimensioned to have the same widths, bu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upper end of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The width w1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is larger than the width w2 of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so as to reduce the amount of unnecessary steel material .

그리고, 제2상부플랜지(1132)의 끝단부는 외측 끝단으로 접근할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경사 단면(1132a) 형태로 형성되어, 제2상부플랜지(1132)의 단면 변화에 따른 응력 집중 현상을 완화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랜지(1131')의 끝단부도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경사 단면(1131a)으로 형성되어, 제1상부플랜지(1131)의 단면 변화에 따른 응력 집중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inclined end face 1132a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outer end so as to alleviate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caused by a chang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 4B,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flange 1131 'is also formed as an inclined end face 1131a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inner end, so that the cross-sectional change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caused by the stress.

여기서,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가 중첩 배치되는 중첩 영역(DA)의 길이는, 복부(112)의 제1높이(H1)와 제2높이(H2)의 차이(즉,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높이 차이, Hc)의 2배~5배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area DA in which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are overlapped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H1 and the second height H2 of the abdomen 112 (That is, a height difference (Hc)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즉,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중첩 길이(L)가 제1상부 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높이 편차(Hc)의 2배보다 작으면, 중첩 배치에 의하여 케이싱 콘크리트를 중첩 배치된 상부 플랜지(1131, 1132)에 의하여 이종 재료 간에 응력의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미미해져 케이싱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제1상부 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높이 편차(Hc)의 5배보다 커지면, 과도한 강재 사용량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That is, the overlap length L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is smaller than twice the height deviation Hc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The effect of smooth transfer of the stress between the different materials by the upper flanges 1131 and 1132 in which the casing concrete is superimposed by the superposed arrangement is small and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casing concrete. Which is greater than five times the height deviation Hc of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the economical efficiency is deteriorated due to an excessive amount of steel material used.

이와 같이,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가 충분한 길이로 중첩 배치됨으로써, 강-콘크리트 접합부(TR)의 케이싱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by a sufficient length,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concentration of stress on the casing concrete of the steel-concrete joint portion TR can be obtained.

도면에 도시된 전단 연결재(115)는 케이싱 콘크리트(120)와 합성하기 위한 것만 도시되어 있지만, 강합성 거더(100)가 교각이나 교대 등의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된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미도시)와 합성하는 데 사용되는 전단 연결재가 상부 플랜지(113) 상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shear connector 115 shown in the drawing is shown only for the purpose of combining with the casing concrete 120, the shear connector 115 may be formed of a bottom plate concrete (not shown) in a state where the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mounted on a lower structure such as a pi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flange 113 to protrude therefrom.

그리고 도면에는, 제1영역(I)이 거더의 양단부에 형성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연속교로 사용되거나, 제작된 강합성 거더(100)를 연결하여 보다 긴 길이의 강합성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제1영역(I)은 거더의 일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region I is illustrated at both ends of the girder in the figure, the girder may be used in a continuous bridge o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steel composite girder having a longer length by connecting the manufactured steel composite girder 100 The first region I may be formed only at one end of the gird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낮은 제2높이(H2)의 제2영역(Ⅱ)에 형성된 제2상부플랜지(1132')가 제2영역(Ⅱ)에만 형성되지 않고 제1영역(I)까지 연장 형성되어 거더 전체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steel girder 110 'is formed of a second upper flange (not shown) formed in a second region II of a lower second height H2, The first region 1132 'may be formed not only in the second region II but also in the entire region of the girder by extending to the first region I.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강합성 거더는 단순교, 연속교, 라멘교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연속교나 라멘교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제2영역(Ⅱ)은 고정 하중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작용하는 영역으로 정해지고, 제1영역(I)은 고정 하중에 의하여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영역으로 정해지며, 중첩 영역(DA)은 정모멘트와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경계를 포함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el composite girder fabrica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simple bridge, a continuous bridge, a ramen bridge, etc. When applied to a continuous bridge girder bridge, the second region (II) is a region where the momentum is applied by a fixed load The first region I is defined as a region where the momentum acts due to the fixed load, and the overlap region DA is preferably disposed so as to include the boundary where the momentum and the momentum act.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강재 거더가 적용될 수 있지만, 편의상 도2에 도시된 강재 거더(11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types of steel girders can be applied as described above. Howev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tructure of the steel girder 110 shown in FIG. 2 will be mainly described.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120)는 강재 거더(110)의 상부 플랜지(113)와 복부(112)의 내측 끝단(112e)를 감싸는 형태로 강재 거더(110)에 합성된다. The casing concrete 120 is synthesized on the steel girder 110 in such a manner as to enclose the upper flange 113 of the steel girder 110 and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portion 112.

본 발명은 제1영역(I)의 제1상부플랜지(1131)의 상면에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는 구성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축 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거더 중앙부가 포함된 제2영역(Ⅱ)의 상측에만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고 단부의 제1영역(I)에는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지 않는 것이, 거더의 내하 능력을 유지하면서 형고를 낮게 형성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struction in which the casing concrete 120 is synthesiz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of the first region I bu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concrete 120 is synthesiz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gion II including the first region I and the casing concrete 120 is not synthesized on the first region I of the end portion. Which is preferable in terms of formation.

즉, 케이싱 콘크리트(120)는, 강재 거더(110)의 제1영역(I)의 복부의 내측 끝단(112e)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지만, 제1상부플랜지(1131)의 상측에는 합성되지 않으며,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상면의 높이는 제1상부플랜지(1131)의 상면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That is, the casing concrete 12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of the first region I of the steel girder 110 but is not synthesiz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120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외측 끝단(120e)은 복부(112)의 내측 끝단(112e)에 비하여 보다 외측(거더 단부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사이에 드러나는 복부(112)의 내측 끝단(112e)은 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의하여 은폐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외측 끝단(120e)은 수직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휨 변형에 대하여 강재와의 응력 전달이 보다 원활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outer end 120e of the casing concrete 120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closer to the end of the girder) than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portion 112 and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112 ex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1112a and 1132 is concealed by the casing concrete 120. [ The outer end 120e of the casing concrete 120 may form a vertical surface or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stress transmission to the steel material can be mor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steel material in response to the flexural deform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강합성 거더(100)는, 강재의 단면이 거더 전체에 걸쳐 일정하지 않으므로, 이종재료의 결합 부분인 강-콘크리트 접합부(TR)에서 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강재와 콘크리트 간에 하중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In the steel composite girder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material is not uniform over the entire girder, a phenomenon that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casing concrete 120 at the steel-concrete joint portion TR, And the load is not smoothly transmitted between the steel and the concrete.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플랜지(1131)의 끝단으로부터 제2상부플랜지(1132)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된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완화재(114)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응력집중 완화재는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사이에 형성된 복부 끝단(112e)에 표면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며, 강재 거더(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A and 6B, a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aterial 114 in the form of a steel plat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is formed can do. Here,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a surface is coupled to the abdomen end 112e formed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and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steel girder 110 As shown in Fig.

이에 의하여, 강합성 거더(100)의 자중이나 거더에 작용하는 외력 및 계절 변화 등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하여 강-콘크리트 접합부(TR)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 응력 집중으로 인한 힘이 제1상부 플랜지(1131)의 끝단과 복부 끝단(112e)의 좁은 면적을 통해 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전달하여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에 증가한 지압 면적으로 응력이 전달됨으로써, 강-콘크리트 접합부(TR)의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stress concentration occurs in the steel-concrete joint portion TR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100,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girder, seasonal change, etc., The stress is transferred to the casing concrete 120 through the narrow area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flange 1131 and the abdomen end 112e so that the stress is not concentrated and the stress is transferred to the increased pressure area between the steel and the concret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phenomenon that stress concentrates on the concrete of the joint portion TR.

여기서,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완화재(114)는, 상단이 제1상부플랜지(1131)의 폭(W1)과 동일하고 하단이 제2상부플랜지(1132)의 폭(W2)과 동일하게 정해지고, 그 폭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응력집중 완화재(114)의 단면이 급작스럽게 변동하거나 끊기지 않도록 하여, 하중의 전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력집중 완화재(114)는 그 폭이 연속하여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6B,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in the form of a steel plate has the same upper end as the width W1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lower end of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having the width of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W2), and the width thereof is continuously decreased. Therefore, the cross section of the stress concentration mitigating member 114 is not abruptly changed or cut off, and the load transfer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For example,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width thereof is linearly decreasing continuously.

여기서, 응력집중 완화재(114)는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부플랜지(1131)과 제2상부플랜지(1132)를 수직하게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응력집중 완화재(114)의 판면이 결합되는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사이에 위치한 복부 끝단(112e)은 수직한 형태로 형성된다.Here,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vertically. The abdomen end 112e located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to which the plate surface of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is coupled is formed in a vertical shape.

한편,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응력집중 완화재(114')는 제1상부 플랜지(1131)과 제2상부플랜지(1132)를 경사지게 연결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응력집중 완화재(114')의 판면이 결합되는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사이에 위치한 복부 끝단(112e')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7A and 7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is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in an inclined manner . To this end, the abdominal end 112e 'located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to which the plate surface of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is coupled, is formed with an inclined slope.

무엇보다도,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사이에 위치한 복부의 끝단부는 전단홀(112a)이 형성되고, 응력집중 완화재(114')도 역시 관통공(114a)이 형성된 유공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싱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 굳지않은 콘크리트가 전단홀(112a)과 관통공(114a)을 통해 구석구석 침투시킬 수 있으며, 전단홀(112a)과 관통공(114a) 내에 합성된 콘크리트에 의하여, 중첩 영역(DA)에서 강재 거더(110)와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end portion of the abdomen located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is formed with the front end hole 112a and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 May be formed as a perforated steel plate. Accordingly, when the casing concrete is poured, the unhardened concrete can penetrate all the way through the front end holes 112a and the through holes 114a, and by the concrete synthesized in the front end holes 112a and the through holes 114a ,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teel girder 110 and the casing concrete 120 in the overlapping area DA can be increased.

또한, 이들 관통공(112a, 114a)에는 강재 거더(110)와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결합을 보조하는 철근이 관통하는 형태로 배근되어, 강재 거더(110)와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The through holes 112a and 114a ar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penetrate the reinforcing bars suppor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teel girder 110 and the casing concrete 120 so that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steel girder 110 and the casing concrete 120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와 같은 복부 전단홀(112a) 및 응력집중 완화재(114')의 관통공(114a)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abdominal front end hole 112a and the through hole 114a of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4 'may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other embodiments described later.

한편,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114)가 제1상부플랜지(1131)와 제2상부플랜지(1132)의 사이의 복부 끝단(112e)에 결합되지만, 제1상부 플랜지(1131)는 'S'로 표시된 길이만큼 복부 끝단(112e)으로부터 추가로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력집중 방지재(114)는 제1상부플랜지(1131)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거리 S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제2상부플랜지(1132)까지 연장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8A and 8B,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14 in the form of a steel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The first upper flange 1131 may be further extended from the abdominal end 112e by a length indicated by 'S'. Accordingly,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14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by the distance S to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이와 같이, 제1상부플랜지(1131)가 복부(112)의 내측 끝단(112e)으로부터 보다 더 내측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복부(112)의 내측 끝단(112e)의 위치에 무관하게 중첩 길이(L)를 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지며, 이에 의하여 이종 재료인 콘크리트와 강재 간에 응력이 원활하게 전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us, the first upper flange 1131 extends further inward than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112, so that the overlap length L (L) i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112 ) Can be formed longer than that of the concrete material, whereby the effect of smoothly transferring the stress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teel material, which are different materials, can be obtained.

무엇보다도,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응력집중 완화재(118)는 제1상부플랜지(1131)의 내측 끝단과 복부(112)의 내측 끝단(112e)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9A and 9B,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8 has an inner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an inner end of the abdomen 112, The elastic member 112e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즉, 탄성재로 형성된 응력집중 완화재(118)는 이종 재료인 강재와 콘크리트가 서로 접하는 위치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 재료가 서로 접하는 제1상부 플랜지(1131)의 내측 끝단과 복부의 내측 끝단(112e)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제1상부 플랜지(1131)의 내측 끝단과 복부의 내측 끝단(112e)의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That is,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8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s provided so as to be inter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teel material and concrete, which are different material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upper flange 1131 Or may be provided only at the inner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a part of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그리고, 탄성재는 콘크리트와 강재의 변위 차이를 수용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우레탄 계열의 소재로 정해질 수 있다. The elastic material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that accommodate the difference in displacement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teel. For example, the elastic material may be rubber, silicone, or urethane.

탄성재의 두께(t)는, 강합성 거더(100)의 휨 변형량에 따라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응력 집중에 따른 변형률과, 시공되는 장소의 온도 변화에 따른 강재와 콘크리트의 열변형률 차이를 수용하도록 정해지며, 강합성 거더(100)의 거리가 길수록 보다 더 두껍게 정해진다. 하나의 거더에 설치된 응력집중 완화재(11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강재와 콘크리트의 응력 집중에 따른 변형률이 큰 위치에서는 강재와 콘크리트의 변형률이 작은 위치에 비하여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thickness (t) of the elastic material is determined by the strain caused by the stress concentration occurring at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steel and concre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flexural deformation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the difference in thermal strain between the steel and concrete And the longer the distanc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100 is, the thicker it is determin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ember 118 provided on one girder may be formed to have a uniform thickness as a whole, but at a position where the strain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steel and concrete is large, the strain of the steel and concrete It may be formed thicker than a small position.

한편, 탄성재로 형성된 응력집중 완화재(118)는 도6a 내지 도8b에 도시된 강판으로 형성된 응력집중 완화재(114)와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즉,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완화재(114)에 의하여 강재와 콘크리트의 하중 전달이 보다 넓은 지압 면적으로 전달하면서, 동시에 강-콘크리트의 접합부에 배치된 강판(114)의 표면에 탄성재(바람직하게는 판 형상, 118)가 설치되어,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집중 응력(변형률)을 탄성재에 의해 수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aterial 118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aterial 114 formed of the steel sheet shown in Figs. 6A to 8B. That is, the load transfer of the steel material and the concrete is transmitted by the stress concentrating damping material 114 in the form of a steel plate to a wider pressure area, and at the same time, the elastic material A plate shape 118 may be provided so that a concentrated stress (strain) between the steel material and the concrete can be accommodated by the elastic material.

이를 통해, 강도가 큰 강재로부터 강도가 작은 콘크리트로 하중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로 형성된 응력집중 완화재(118)가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집중 응력에 따른 국부변형을 수용함으로써, 강-콘크리트의 접합면(TR)에서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크게 낮출 수 있으므로, 강-콘크리트의 접합면에서 콘크리트의 압축 파괴를 신뢰성있게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load from the high-strength steel to the low-strength concrete, the stress concentration relieving material 118 formed of the elastic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receives the local deformation due to the concentrated stress between the steel material and the concrete , The concentration of stress on the concrete at the joint surface (TR) of the steel-concrete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so that a favorable effect of reliably preventing the compression fracture of the concrete at the joint surface of the steel-concrete can be obtained.

상기와 같이 강-콘크리트 접합부(TR)에서의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응력이 분산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의 수치 해석을 수행하였다. 즉, 도10a에 도시된 구성은 제1상부플랜지(1031)과 제2상부플랜지(1032)가 중첩되는 구성을 모델링한 것이고, 도10b에 도시된 구성은 제1상부플랜지(1031)와 제2상부플랜지(1032)를 복부의 내측 끝단(112e)에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114)로 결합한 제1실시예의 구성(도6a 및 도6b)을 모델링한 것이고, 도10c에 도시된 구성은 제1상부플랜지(1031)의 내측 끝단과 복부(112)의 내측 끝단(112e)에 탄성재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118)를 개재시킨 제4실시예의 구성(도9a 및 도9b)을 모델링한 것이다.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stress acting on the concrete in the steel-concrete joint part TR as described abov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ed the following numerical analysis. 10A is a model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upper flange 10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032 are overlapped,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0B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upper flange 10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032 overlap each other, 6A and 6B)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upper flange 1032 is joined to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with a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14 in the form of a steel plate. The structure of the fourth embodiment (FIGS. 9A and 9B) in which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18 in the form of an elastic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1031 and the inner end 112e of the abdomen 112 is modeled It is.

도10a 내지 도10c에 도시된 모델링 구성의 해석을 위한 구체적인 재원 및 하중 조건은 다음과 같다.Specific resource and load condi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modeling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0A to 10C are as follows.

- 거더의 경간장: 29.8 (m)- Span of the girder: 29.8 (m)

- 거더의 형고: 0.960 (m)- Deformation of girder: 0.960 (m)

- 바닥판 두께 : 0.240 (m)- Thickness of bottom plate: 0.240 (m)

- 강재거더의 사양 : 제1상부플랜지 : 700*20 (mm)- Specification of steel girder: 1st upper flange: 700 * 20 (mm)

제2상부플랜지: 300*20 (mm)   Second upper flange: 300 * 20 (mm)

복부 : 10*940 (mm)Abdomen: 10 * 940 (mm)

하부플랜지 : 700*30 (mm)Lower flange: 700 * 30 (mm)

강재 종류 : SM520 (탄성계수 Es = 205,000 MPa)Steel type: SM520 (elastic modulus Es = 205,000 MPa)

- 바닥판 콘크리트 : 설계 압축강도 fck = 30MPa, 탄성계수 Ec = 27,537MPa, - Bottom plate concrete: design compressive strength fck = 30MPa, elastic modulus Ec = 27,537MPa,

- 케이싱 콘크리트 : 설계 압축강도 fck = 80MPa, 탄성계수 Ec = 37,519MPa- casing concrete: design compressive strength fck = 80 MPa, elastic modulus Ec = 37,519 MPa

- 단부에서 거더 자중 : 19.6 kN/m, 중앙부에서 거더 자중 : 22.3 kN/m- Girder weight at end: 19.6 kN / m, girder weight at center: 22.3 kN / m

- 바닥판 콘크리트 하중 : 9.8 kN/m (전체 동일)- Bottom plate concrete load: 9.8 kN / m (all the same)

- 활하중 : DB24, 횡방향 분배 해석을 통해 최대발생하중으로 산정 (38.4kN - 153.5kN - 153.5 kN) - Live load: DB24, calculated by maximum lateral load distribution analysis (38.4kN - 153.5kN - 153.5kN)

- 경계조건 : 단순 지지- boundary condition: simple support

상기와 같은 동일한 조건으로 응력 분포를 해석한 결과, 강-콘크리트 접합부(도6a의 TR)의 상면에서 가장 높은 응력값이 나타났으며, 강-콘크리트 접합부의 콘크리트의 수직 단면에서의 응력 분포도는 도11a 내지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도10a의 모델링에 대한 응력분포도는 도11a이고, 도10b의 모델링에 대한 응력분포도는 도11b이고, 도10c의 모델링에 대한 응력분포도는 도11c이다.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ess distribution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the highest stress value appea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concrete joint (TR in FIG. 6A), and the stress distribution in the vertical section of the concrete in the steel- 11a to 11c. Here, the stress distribution diagram for modeling in FIG. 10A is shown in FIG. 11A, the stress distribution diagram for modeling in FIG. 10B is shown in FIG. 11B, and the stress distribution diagram for modeling in FIG.

해석 결과, 강재 거더의 제1상부플랜지(1131)의 끝단과 접합된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최대 발생 응력은, 제1상부플랜지(1131)과 제2상부플랜지(1132)가 중첩 배치된 구성에 대해서는 -6.634MPa(도11a)의 값으로 나타났으며, 사다리꼴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114)가 설치된 제1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5.397 MPa(도11b)의 값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114)를 설치하는 구성(도10b)은 상부 플랜지(1131, 1132)가 중첩 배치된 구성(도10a)과 대비하여 약 19%의 응력 완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ximum generated stress of the casing concrete 120 joined to the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of the steel girder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The value of -6.334 MPa (FIG. 11A), and the value of -5.397 MPa (FIG. 11B)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14 in the form of a trapezoidal steel plate was provided. 10B) of the steel plate typ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14 has a stress relaxation effect of about 19%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flanges 1131 and 1132 are superposed (FIG. 10A) Respectively.

또한, 탄성재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114)가 설치된 제4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4.241MPa(도11c)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탄성재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118)를 설치하는 구성(도10c)은 상부 플랜지(1131, 1132)가 중첩 배치된 구성(도10a)과 대비하여 약 36%의 응력 완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e structure of the fourth embodiment in which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14 in the form of an elastic material was provided, it was -4.241 MPa (FIG. 11C). 10C), a stress relaxation effect of about 36% as compared with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flanges 1131 and 1132 are superimposed (FIG. 10A)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강-콘크리트의 접합부(TR)에 거더 중앙부의 제1상부플랜지(1131)와 단부의 제2상부플랜지(1132)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중첩 영역(DA)을 구비함으로써, 이종 재료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강-콘크리트 접합부에서 응력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구성에 응력집중 방지재(114, 118)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강-콘크리트 접합부의 케이싱 콘크리트 상면에 크게 작용하는 응력 집중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verlap region DA in which the first upper flange 1131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girder and the second upper flange 1132 at the end portion are arrang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at the joint portion TR of the steel-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s 114 and 118 are additionally provided in this structure so that the stress-preventing members 114 and 118 can be formed in the steel-concrete joint por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relieving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largely ac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of FIG.

그 밖에, 본 발명은,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는 강재 거더(110)의 복부(112) 및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114)를 관통공(112a, 114a)이 형성된 유공 단면으로 형성하고, 경우에 따라 이 관통공(112a, 114a)에 철근을 관통하게 배근하는 것에 의하여 이종 재료인 강재(110)와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접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structure in which the abdomen portion 112 of the steel girder 110 in which the casing concrete 120 is synthesized and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114 in the form of a steel plate are formed into a pierced cross section in which the through holes 112a and 114a are formed The reinforcement force of the steel material 110, which is a different material, and the casing concrete 120 can be increased by placing the reinforcing bars through the through holes 112a and 114a.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접합력이 증대되고, 강-콘크리트 접합면에서 콘크리트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줄임으로써, 강합성 거더 내에서 하중전달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내구성과 내하력이 증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교량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bonding force between steel and concrete, reduces the concentration of stress on the concrete in the steel-concrete joint surface, increases the durability and the load-bearing capacity as the load- So that a bridge having improved safety can be construc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강합성 거더 110: 강재 거더
111: 하부 플랜지 112: 복부
112e, 112e': 복부의 내측 끝단
113: 상부 플랜지 1131: 제1상부플랜지
1132: 제2상부플랜지 114: 강판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
115: 전단 연결재 118: 탄성재 형태의 응력집중 방지재
120: 케이싱 콘크리트 TR: 강-콘크리트 접합부
DA : 중첩 영역 H1: 제1높이
H2: 제2높이
120, 120': 케이싱 콘크리트 199: 바닥판 콘크리트
100: Steel composite girder 110: Steel girder
111: lower flange 112: abdomen
112e, 112e ': the inner end of the abdomen
113: upper flange 1131: first upper flange
1132: second upper flange 114: steel plate typ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aterial
115: Shear connector 118: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aterial
120: casing concrete TR: steel-concrete joint
DA: overlap area H1: first height
H2: second height
120, 120 ': casing concrete 199: bottom plate concrete

Claims (13)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영역에 제1높이로 형성되고 중앙부를 포함하는 제2영역에는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제2높이로 형성된 복부와, 상기 복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와, 상기 제1영역의 상기 복부 상단에 형성된 제1상부 플랜지와, 상기 제2영역의 상기 복부 상단에 형성된 제2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된 중첩 영역이 구비된 강재 거더와;
상기 강재 거더의 상기 제2영역의 상측에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와;
상기 강재 거더의 제1상부플랜지의 끝단과 상기 복부의 끝단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를 포함하는 응력집중 방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And a lower flang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abdomen, and a second flang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abdomen, wherein the abdomen is formed at a first height in a first reg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oth ends, A first upper flang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first region and a second upper flang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bdomen of the second region, wherein the first upper flange and a portion of the second upper flange are arranged A steel girder provided with an overlapped region;
A casing concrete synthesiz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gion of the steel girder;
And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terposed between at least one of an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of the steel girder and an end of the abdomen and the casing concrete;
And a steel composite gir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는, 상기 강재 거더의 상기 제1영역의 상측의 일부 이상에는 합성되지 아니하고, 상면의 높이가 상기 제1상부플랜지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such tha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flange without being synthesized over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gion of the steel gir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사이에 연장 형성된 복부는 전단홀이 형성된 유공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domen extends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overlap region and the abdomen extending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second upper flange has a piercing cross section Wherein the steel composite girder is made of ste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중첩 영역의 길이는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차이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domen extends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overlap region and the length of the overlap region is at least twi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Steel composite gird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는 상기 중첩 영역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플랜지는 상기 복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제1상부 플랜지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차이 이상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bdomen extends between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overlap region and the first upper flange projects from the end of the abdomen toward the casing concrete, And the protruding length is protruded by at lea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플랜지는 상기 강재 거더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upper flange extends to an end of the steel gir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집중 방지재는 상기 제1상부플랜지로부터 상기 제2상부플랜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의 차이의 0.5배 이상의 길이로 연장 형성된 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강판은 상기 복부 끝단과 밀착한 형태로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ess concentration preventing member further comprises a steel plate extending from the first upper flange toward the second upper flange and extending at a length of at least 0.5 tim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height and the second height, Further comprising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abdome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상면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teel plate extend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lang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는 상단이 상기 제1영역의 상기 제1상부플랜지의 끝단과, 상기 제2영역의 제2상부플랜지의 상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강판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상부플랜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상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bdomen is formed by an inclined surface whose upper end slants the upper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steel plate connect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flange in an inclined manner from an end of the first upper flange along the inclined surfa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관통공이 형성된 유공 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el plate is a perforated steel plate having a through hol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상단은 상기 제1상부플랜지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강판의 하단은 상기 제2상부플랜지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강판은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에 비하여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연속하게 변화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steel plate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irst upper flange and the lower end of the steel plate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upper flang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1).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57586A 2017-05-08 2017-05-08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 KR101932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586A KR101932435B1 (en) 2017-05-08 2017-05-08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586A KR101932435B1 (en) 2017-05-08 2017-05-08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96A KR20180123396A (en) 2018-11-16
KR101932435B1 true KR101932435B1 (en) 2018-12-26

Family

ID=6456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586A KR101932435B1 (en) 2017-05-08 2017-05-08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4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73B1 (en) * 2018-12-13 2020-06-16 (주)지승씨앤아이 Pseudo jointless bridge construction made of steel plate girder with overhanged end extended seat 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16B1 (en) * 2009-07-07 2011-11-03 (주)삼현피에프 Upper structure of continuous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for achieving easy installation and effective endurance for negative moment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1574628B1 (en) * 2014-07-22 2015-12-04 나윤득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steel be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616B1 (en) * 2009-07-07 2011-11-03 (주)삼현피에프 Upper structure of continuous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for achieving easy installation and effective endurance for negative moment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1574628B1 (en) * 2014-07-22 2015-12-04 나윤득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steel b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96A (en)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142B1 (en) Girder-plate type bridge using arch-shap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660826B2 (en) Rigid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composite members
KR101228135B1 (en) Composite beam using steel member with shear parts to upper part of steel memb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125917B1 (en) Prestress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100676627B1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arranged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and the shear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device
KR102027813B1 (en) Built-Up Beam
KR101329434B1 (en) Composite Beam With Slit-typed Web
KR101932435B1 (en) Composite girder with enhanced stress distribution at connection between steel part and concrete part
JP2003119718A (en) Bridge
KR101760429B1 (en) Negative moment part steel box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158947B2 (en) Composite structural beam and building structure having composite structural beam
JP2008088634A (en) Composite steel-concrete floor slab
KR101154121B1 (en) Steel built up beam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JP5029271B2 (en) I-girder structure near the continuous I-girder bridge and its intermediate fulcrum
KR200253561Y1 (en) girder reinforced by truss-typed member
JP6422803B2 (en) Column base joint structure
KR100684395B1 (en) Shear connector
KR101984211B1 (en) Wid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ng part of girders and column
KR200348999Y1 (en) Dubel for composite structure
JP200806380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full precast concrete slab
JP4432421B2 (en) Concrete plate member
JP2006183320A (en)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of corner part of existing steel pier
KR100485060B1 (en) Joint between steel super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 substructure of rahmen typed hybrid bridge
JP3950748B2 (en) Bridge girder
CN220434050U (en) Mixed connection structure of quincuncial perforated plates at end pa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