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637B1 -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 Google Patents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637B1
KR101930637B1 KR1020170088161A KR20170088161A KR101930637B1 KR 101930637 B1 KR101930637 B1 KR 101930637B1 KR 1020170088161 A KR1020170088161 A KR 1020170088161A KR 20170088161 A KR20170088161 A KR 20170088161A KR 101930637 B1 KR101930637 B1 KR 101930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customer
online
customer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필
Original Assignee
안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필 filed Critical 안종필
Priority to KR102017008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Abstract

본 출원은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은, 관리서버가, 매장에 대한 매장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매장을 등록매장으로 설정하는 매장가입단계; 관리서버가, 고객단말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기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단말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을 생성하는 고객가입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고객단말이 수신한 신용카드의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추출한 파싱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파싱정보수신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파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각 등록매장별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는 리워드적립단계; 및 관리서버가, 상기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가 기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을 상기 고객단말에게 제공하는 쿠폰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Method for providing on-line coupon and magagement server for the same}
본 출원은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자동으로 적립할 수 있는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에 관한 것이다.
쿠폰은 상품 거래에 있어서, 구매자에게 가격의 할인 또는 소정의 사은품의 지급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티켓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쿠폰은 상품으 제조업자나 상인들에 의해서 배포되고, 상품 판촉을 위해서 사용된다. 종래의 쿠폰은 종이 등에 인쇄되어 구매자가 이를 판매자에게 제시함으로써 혜택을 받았다.
최근에는 온라인상에서의 거래가 늘어남에 따라 쿠폰 코드를 온라인 쇼핑몰 등의 사이트에 입력함으로써 구매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온라인 쿠폰은 업체로서는 인쇄물에 출력할 필요없이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쿠폰 발행 비용이 절감되고, 구매자로서는 즉석에서 쿠폰을 받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103084호
본 출원은, 문자메시지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자동으로 적립할 수 있는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은, 관리서버가, 매장에 대한 매장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매장을 등록매장으로 설정하는 매장가입단계; 관리서버가, 고객단말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기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단말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을 생성하는 고객가입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고객단말이 수신한 신용카드의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추출한 파싱정보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파싱정보수신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파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각 등록매장별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는 리워드적립단계; 및 관리서버가, 상기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가 기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을 상기 고객단말에게 제공하는 쿠폰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리워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록매장에서 결제한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개수로 적립되는 온라인 스탬프 또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비율로 적립되는 적립포인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싱정보는 상기 알림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복수개의 항목으로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항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싱정보는 상기 알림메시지의 수신번호, 신용카드를 사용한 사용매장의 명칭, 결제금액 및 결제일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싱정보수신단계는 관리서버가, 상기 알림메시지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상기 사용내역을 파싱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워드적립단계는, 관리서버가, 상기 파싱정보로부터 추출한 상기 수신번호 및 상기 사용매장의 명칭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번호에 대응하는 고객단말과 상기 사용매장의 명칭에 대응하는 등록매장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단말 및 등록매장의 검색이 성공하면, 관리서버가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상기 등록매장에 대한 온라인 리워드를 상기 결제금액에 따라 적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은, 관리서버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단말의 SNS 이벤트 참여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온라인 리워드를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적립하는 SNS 적립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NS 이벤트는, 상기 고객단말이 상기 SNS 서버 내에서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상기 고객단말이 상기 SNS 서버 상에 인증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은, 관리서버가, 고객단말에게 상기 매장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광고메시지를 전송하는 광고메시지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서버는, 매장에 대한 매장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매장을 등록매장으로 설정하는 매장계정생성부; 고객단말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기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단말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을 생성하는 고객계정생성부; 상기 고객단말이 수신한 신용카드의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알림메시지를 파싱(Pashing)하여 상기 사용내역을 파싱정보로 추출하는 파싱부; 상기 파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각 등록매장별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는 리워드적립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단말의 SNS 이벤트 참여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온라인 리워드를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적립하는 SNS 적립부; 및 상기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가 기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을 상기 고객단말에게 제공하는 쿠폰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에 의하면, 신용카드사가 고객단말로 제공하는 알림메시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고객의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추가적인 입력 등을 수행할 필요없이 단순히 매장을 방문하여 비용을 결제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에 의하면, 고객에게 SNS 이벤트 참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바이럴 마케팅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에 의하면, 지역기반의 중소 매장이나 프랜차이즈 매장에 대한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에 의하면, 온라인 쿠폰을 QR 코드 등으로 발행할 수 있으며, 매장단말이 태블릿 PC인 경우에는 자체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온라인 쿠폰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에 의하면, 고객기본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각각의 고객에게 맞춤형 광고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알림메시지 파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시스템의 온라인 리워드 적립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시스템에서 고객이 설정한 "마이 매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객단말을 이용하여, 적립한 스탬프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객단말을 이용하여, 선택한 매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장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쿠폰을 인식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시스템은 매장단말(10), 고객단말(20), 관리서버(100), 알림메시지 서버(200) 및 SNS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시스템을 설명한다.
매장단말(10)은 매장에서 사용하는 단말장치로, 매장의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기일 수 있다. 여기서, 매장단말(10)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기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데스크탑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키오스크, POS(Point of Sales) 단말 등도 해당할 수 있다. 매장의 담당자는 매장단말(10)을 이용하여 관리서버(100) 등과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고객에게 온라인 리워드 제공, 맞춤형 광고메시지 전송, 예약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담당자는 매장단말(10)을 이용하여 고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리워드는 온라인 스탬프나 적립포인트 등일 수 있다. 즉, 매장단말(10)은 고객이 해당 매장에서 결제한 금액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온라인 스탬프를 적립하거나 기 설정된 비율로 적립포인트를 적립하도록 관리서버(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를들어, 매장이 커피판매점이고, 고객이 커피 3잔을 구매한 경우, 매장단말(10)은 고객에게 3개의 온라인 스탬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커피 한잔의 가격이 4,000원이고 결제금액의 10%를 적립하는 경우에는, 3잔에 해당하는 12,000원의 10%인 1,200점을 적립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다. 종래에는 종이카드 등을 활용하여 종이카드 내에 스탬프를 날인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종이카드 등의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으며, 매장의 입장에서는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종이카드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온라인 스탬프의 경우 분실의 우려가 없으며, 각각의 고객별로 적립되므로 종래의 문제를 용이하게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매장단말(10)은 고객단말(20)에게 발급된 온라인 쿠폰에 대응하여 재화나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매장은 고객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상을 약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상은 온라인 쿠폰 형태로 발행될 수 있다. 고객이 온라인쿠폰을 제시하면, 매장에서는 이를 확인하고 대응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매장단말(10)은 고객단말(20)이 제시하는 온라인쿠폰을 확인하고, 온라인쿠폰의 사용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라인 쿠폰은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바코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매장단말(10)은 고객이 제시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형태의 온라인 쿠폰을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매장단말(10)에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전용인식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매장단말(10)이 태블릿 PC인 경우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 PC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매장은 백화점, 마트, 음식점 등과 같은 오프라인 업체나 인터넷 쇼핑몰 등의 온라인 업체 등일 수 있으며, 각각의 매장은 사용자에게 신용카드 등을 이용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매장은 신용카드사 등과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에 대한 가맹 계약을 먼저 맺을 수 있으며, 이후 매장은 가맹 계약에 따라 사용자에게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은 신용카드 이외에 체크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등 다양한 종류의 카드 사용에 대하여도 각각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단말(20)은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장치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기기일 수 있다. 고객은 고객단말(20)을 이용하여 관리서버(100),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300) 등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거나, 온라인 쿠폰 등을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20)은 자신이 사용한 신용카드 등의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알림메시지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문자메시지이거나, 별도의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등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객단말(20)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고객단말(20)에 수신된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알림메시지로부터 신용카드의 사용내역을 추출한 후, 이를 활용하여 고객의 신용카드 사용내역에 대응하는 온라인 리워드를 자동으로 적립시킬 수 있다.
다만, 고객단말(20)은 다양한 종류의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고객단말(20)이 수신하는 다양한 문자메시지 중에서 알림메시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고객단말(20)은 수신한 문자메시지의 발신번호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상기 알림메시지에 해당하는 문자메시지를 구별할 수 있다. 즉, 알림메시지의 발신번호를 해당 신용카드를 발급한 신용카드사의 발신번호와 비교한 후, 수신한 문자메시지의 발신번호가 상기 신용카드사의 발신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알림메시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신용카드사의 발신번호는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신용카드사의 발신번호는, 고객이 미리 직접 입력하거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각각의 신용카드사의 발신번호 목록을 수신하는 등의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문자메시지가 알림메시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고객단말(20)은 알림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text)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복수개의 항목으로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항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파싱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단말(20)이 추출하는 파싱정보에는 알림메시지에 포함된 발신번호, 수신번호, 신용카드를 사용한 사용매장의 명칭, 결제금액, 결제일자, 신용카드의 명칭, 신용카드사, 신용카드번호, 사용자명, 할부기간, 사용취소내역, 누적사용금액, 알림메시지의 수신일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단말(20)은, 도3과 같은 알림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고객단말(20)은 알림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의 위치, 음절, 어절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텍스트를 복수개의 항목으로 구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수신한 알림메시지의 첫번째줄 "1588-6700"을 "발신번호" 항목으로 구별하고, 3번째줄 첫번째 어절에 해당하는 "OO카드"를 "신용카드사" 항목, 다음 두개의 어절인 "홍길동 9*0*"을 "카드구분" 항목으로 구별할 수 있다. 또한, 4번째줄 첫번째 어절인 "일시불"과 두번째 어절인 "5,900원"을 각각 "사용구분" 항목과 "결제금액" 항목으로 구별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섯번째 줄의 각각의 어절을 나누어, "사용매장의 명칭", "결제일자", "누적사용금액" 등의 항목을 구별하고, 이를 파싱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알림메시지에 포함된 사용내역의 항목이나 배열 등이 변화되면, 고객단말(20)은 이에 대응하여 항목을 추출하는 규칙을 변경할 수 있다. 즉, 파싱한 문자열이 각각의 항목에 대응하지 않으면, 알림메시지의 형태가 변경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서버(100) 등에게 알릴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00)가 변경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도록 상기 규칙을 업데이트하면, 고객단말(20)는 업데이트된 규칙을 적용하여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단말(20)는 알림메시지의 형태 변경에 불구하고, 파싱을 수행하여 파싱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고객단말(20)은 알림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또는 기 설정된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파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알림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파싱 등을 수행하여 파싱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일정한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파싱을 수행하여 파싱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단말(20)이 수신한 알림메시지의 내용을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서버(100)에서 해당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사용내역을 파싱정보로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고객단말(20)은 고객이 매장에 대한 정보나 상품평, 광고메시지 등을 확인하거나 예약 등을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고객은 자신의 고객단말(20)을 이용하여 주변의 매장을 검색할 수 있으며, 자신이 주로 이용하거나 이용할 예정인 매장에 대하여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마이 매장"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고객단말(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주위 매장을 검색하거나, 고객이 입력한 행정구역 내에 위치하는 매장에 대한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단말(20)은 "마이 매장"으로 등록한 매장이 제공하는 광고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마이 매장"으로 등록한 매장에 대하여 온라인 리워드 등을 적립할 수 있다. 즉, 고객단말(20)은 지역 내 단골 매장 등에 대하여 "마이 매장"으로 등록하여, 지역내 매장이 제공하는 마케팅 정보 등을 수신하고, 쿠폰적립이나 사용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편, 고객단말(20)은 고객이 자신의 온라인 리워드 현황이나 매장정보 등을 시각, 청각 등 감각을 통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은 고객단말(20)을 이용하여 자신이 각각의 매장에 대하여 적립한 온라인 리워드를 확인하거나,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매장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알림메시지 서버(200)는, 고객단말(20)로 신용카드 등의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고객이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매장에서 비용을 결제하는 경우, 해당 신용카드를 발급한 신용카드사에서는 해당 결제에 대한 승인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결제승인이 완료되면 신용카드사에서는 신용카드의 사용내역에 대한 정보를 알림메시지 서버(200)로 제공하여, 알림메시지 서버(200)가 고객단말(20)로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신용카드 사용시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신용카드의 부정사용이나 결제 오류 등 금융사고를 고객이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매장단말(10), 고객단말(2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매장단말(10), 고객단말(20)과의 통신을 통하여 온라인 쿠폰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매장단말(10)으로부터 각각의 고객에게 적립할 온라인 리워드에 대하여 입력받을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객단말(20)이 수신하는 알림메시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자동으로 적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관리서버(100)는 각각의 매장에서 설정한 광고메시지를 고객단말(20)로 전송하거나, 고객과 매장 사이의 예약 설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00)는 온라인 리워드 적립이나, 광고메시지 전송, 예약 등 매장의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10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장계정생성부(110), 고객계정생성부(120), 파싱정보수신부(130), 리워드적립부(140), SNS 적립부(150), 쿠폰제공부(160), 광고메시지전송부(170) 및 예약관리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리서버(100)를 설명한다.
매장계정생성부(110)는 매장에 대한 매장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매장을 등록매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매장기본정보는 각각의 매장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로서, 매장의 명칭, 위치정보, 업종,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 매장 연락처, 대표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등록매장은 매장의 명칭, 주소나 연락처, 대표자 등 매장기본정보를 이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즉, 매장을 등록하고 매장계정을 생성하는 것은 매장단말(10)이 없이도 가능하고, 이 경우 각각의 고객에 대한 온라인 리워드적립은 알림메시지를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매장에 매장단말(10)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매장계정생성부(110)는 각각의 매장단말(10)을 구별하기 위하여 매장단말(10)의 고유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고유번호는 매장단말(10)에 대응하는 휴대전화번호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일 수 있다. 즉, 매장단말(10)이 무선통화를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에는 고유번호로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으나, 무선통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MAC 주소를 활용하여 각각의 매장단말(10)들을 구별할 수 있다. 매장에 매장단말(10)이 구비된 경우에는, 매장단말(10)을 이용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거나 알림메시지를 활용하여 적립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고객계정생성부(120)는 고객단말(20)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기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고객단말(2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계정생성부(120)는 고객기본정보를 고객단말(20) 또는 매장단말(1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고객이 스스로 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고객계정을 생성하거나, 고객이 매장을 방문했을 때, 매장의 담당자가 고객에게 온라인 리워드의 적립을 위한 고객계정생성을 안내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고객이 직접 자신의 고객단말(20)을 이용하여 고객계정을 생성할 수 있으나, 담당자가 고객에게 매장단말(10)을 이용하여 고객계정을 생성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객계정 생성은 고객단말(20)의 휴대전화번호 등의 입력만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매장단말(10)에 고객단말(20)의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고객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고객이 입력하는 고객기본정보에는, 고객의 성별이나 나이,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직업, 결혼여부, 거주지역, 관심분야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고객단말(20)의 경우 휴대전화번호를 고유번호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객단말(20)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고유번호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싱정보수신부(130)는 고객단말(20)로부터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생성한 파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메시지는 고객이 사용한 신용카드 등의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알림메시지는 신용카드사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즉, 고객이 등록매장 등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면, 고객단말(20)로 알림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단말(20)은 수신한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신용카드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파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고객단말(20)에서 수행되는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은, 고객단말(20)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객단말(20)이 파싱하는 대신에 관리서버(100)에서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관리서버(100)는 파싱정보수신부(130) 대신에 파싱부(미도시)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싱부는 고객단말(20)로부터 알림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파싱부에서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을 수행하여 파싱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파싱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리워드적립부(140)는 파싱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단말(20)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각 등록매장별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워드적립부(140)는 먼저 파싱정보 중에서 알림메시지의 수신번호 및 사용매장의 명칭을 이용하여, 고객과 고객이 이용한 등록매장을 특정할 수 있다. 알림메시지는 신용카드를 사용한 고객의 고객단말(20)에게 전송되므로 알림메시지의 수신번호와 일치하는 고객단말(20)의 고유번호를 검색하면 대응하는 고객단말(20)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파싱정보에는 신용카드를 사용한 "사용매장의 명칭"이 포함되므로 동일한 명칭의 등록매장을 검색함으로써 등록매장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객단말(20)과 등록매장의 검색이 성공하면, 리워드적립부(140)는 고객단말(20)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등록매장에 대한 온라인 리워드를 결제금액에 따라 적립할 수 있다. 반면에, 대응하는 고객단말(20)이나 등록매장이 없는 경우에는 온라인 리워드 적립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명칭의 다른 매장이 존재하거나, 파싱시 파싱정보의 추출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등을 대비하여, 리워드 적립부(140)가 등록매장의 매장단말(10)에게 최종승인 여부를 확인한 후 온라인 리워드 적립을 수행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리워드 적립부(140)는 파싱정보에 따라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기 전에, 해당 등록매장의 매장단말(10)로 온라인 리워드 적립을 확인하는 적립확인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매장단말(10)로부터 적립확인메시지에 대응하는 승인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 한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만약 불승인메시지가 입력되는 경우 등에는 온라인 리워드 적립을 취소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리워드적립부(140)가 매장단말(10)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고객에게 온라인 리워드의 적립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워드적립부(140)는 고객단말(20)의 고유번호와 고객단말(20)에 제공할 온라인 리워드를 매장단말(1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고객단말(20)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해당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예를들어, 매장이 커피판매점이고, 고객이 커피 3잔을 구매한 경우, 고객은 커피 3잔에 해당하는 결제금액을 결제할 수 있으며, 이후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기 위하여 매장단말(10)에 자신의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워드적립부(140)는 매장단말(10)로부터 고객단말(20)의 휴대전화번호와 커피 3잔에 대응하는 온라인 스템프 3개의 적립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커피 한잔의 가격이 4,000원이고 결제금액의 10%를 적립하는 경우에는, 고객단말(20)의 휴대전화번호와 3잔의 결제금액에 해당하는 12,000원의 10%인 1,200점의 적립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리워드적립부(130)는 고객계정에 각각의 등록매장별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등록매장이 온라인 리워드의 적립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SNS 적립부(150)는, SNS 서버(300)로부터 고객단말(20)의 SNS 이벤트 참여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확인메시지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온라인 리워드를 고객단말(20)의 고객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단말(20)이 참여하는 SNS 이벤트는 고객단말(20)이 SNS 서버(300) 내에서 매장단말(10)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고객단말(20)이 SNS 서버(300) 상에 인증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것 등일 수 있다. 즉, 고객이 자신의 SNS 계정을 이용하여 매장의 웹페이지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고객이 직접 해당 매장을 이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문서 등의 인증콘텐츠를 SNS 서버(300)에 업로드하여 타인과 이를 공유하는 것이 SNS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SNS 이벤트들은 고객이 해당 매장에 대한 홍보 또는 광고에 직접 참여하는 것으로, 일종의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에 해당한다. 바이럴 마케팅은, 고객들 사이에서 광고, 홍보가 자연스럽게 전파되고, 고객들 사이의 거부감이 적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효과적인 광고방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매장에서는 이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고객이 바이럴 마케팅과 관련되는 SNS 이벤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SNS 이벤트에 참여하는 경우에 고객에게 1개의 온라인 스탬프를 추가로 적립해준다거나, 고객에게 2,000 포인트의 적립포인트를 추가로 적립해주는 등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단말(20)은 관리서버(100)를 통하여 SNS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고객단말(20)은 접속한 SNS 서버(300) 상에서 SNS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SNS 서버(300)는 고객단말(20)이 수행하는 SNS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고객단말(20)은 관리서버(100)를 경유하여 SNS 서버(300)로 접속하므로, SNS 서버(300)가 관리서버(100)로 고객단말(20)의 SNS 이벤트 수행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고객단말(20)이 업로드하는 게시물에 해당 매장의 명칭 등 미리 설정된 해시태그 등이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관리서버(100)는 SNS 서버(300)의 Open API를 활용하여, 확인메시지 전송이나 해시태그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SNS 리워드 적립부(150)가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하기에 앞서, 고객단말(20)의 위치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즉, 고객 중 일부는 실제로 매장을 방문하여 매장의 재화나 서비스 등을 제공받지 않고, 단지 온라인 리워드만을 바라고 SNS 이벤트를 수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매장의 입장에서는 SNS 이벤트에 대한 온라인 리워드 제공의 부담이 커질 수 있으며, 고객의 입장에서도 해당 매장에 대한 잘못된 정보 등을 얻을 위험이 높아지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SNS 리워드 적립부(150)는, 고객단말(20)에게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고객단말(20)은 GPS 신호 등을 통하여 계산한 자신의 위치정보를 SNS 리워드 적립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SNS 리워드 적립부(150)는 고객단말(20)의 위치정보를 매장기본정보 내에 포함된 매장의 위치정보와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고객단말(20)이 해당 매장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후, SNS 리워드 적립부(150)는 고객단말(20)이 매장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한하여, 고객 단말(20)에게 SNS 이벤트 완료에 대응하는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고객단말(20)이 매장 내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SNS 리워드 적립부(150)가 고객단말(20)이 SNS 이벤트를 완료한 후, 매장에서 결제까지 수행한 경우에 한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제로 매장에 방문하여 매장이 제공하는 제화나 서비스를 구매한 고객이 SNS 서버(300)에 후기를 올리는 등 SNS 이벤트를 수행한 경우에 한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NS 리워드 적립부(150)가 SNS서버(300)로부터 확인메시지를 수신하고, 고객이 결제한 결제비용 등이 고객단말(20)로부터 수신한 파싱정보나 매장단말(10)로부터 입력된 결제정보로부터 확인되는 경우에 한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SNS 리워드 적립부(140)가 확인메시지를 수신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유예시간 내에 대응하는 파싱정보 또는 결제정보를 수신하거나, 파싱정보 또는 결제정보를 수신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대기시간 내에 SNS 서버(300)로부터 확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SNS 리워드 적립부(150)는 고객단말(20)에 대응하는 고객이 SNS 이벤트를 완료한 후, 결제한 비용에 따라 제공하는 온라인 리워드의 양을 달리 할 수 있다. 즉, 파싱정보 또는 결제정보로부터 결제비용을 확인하고, 결제비용에 따라 설정되는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쿠폰제공부(160)는 온라인 리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을 고객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매장의 담당자는 관리서버(100)에 접속하여 쿠폰제공부(160)가 제공할 온라인 쿠폰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쿠폰제공부(160)는 고객계정에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온라인 쿠폰을 발행하여 고객단말(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커피판매매장에서는 온라인 스탬프 10개를 적립하면 아메리카노 1잔을 제공하는 온라인 쿠폰을 발행할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쿠폰제공부(160)가 고객단말(20)의 입력에 따라 온라인 쿠폰을 발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커피판매매장에서 적립한 온라인 스탬프가 10개이면 아메리카노 1잔, 15개이면 바닐라라떼 1잔, 30개이면 텀플러 1개를 제공하는 온라인 쿠폰을 발행할 것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쿠폰제공부(160)가 고객단말(20)의 입력에 따라 해당 온라인 쿠폰의 발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쿠폰제공부(160)는 각각의 조건을 충족할 때마다 고객단말(20)에게 온라인 쿠폰을 발행받을 수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쿠폰제공부(160)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형태로 온라인 쿠폰을 생성할 수 있으며, 고객이 온라인 쿠폰을 사용하여 매장단말(10)이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게 되면, 매장단말(10)은 해당 온라인 쿠폰의 사용사실을 관리서버(100)에게 알릴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100)는 해당 온라인 쿠폰은 사용된 것으로 처리하고 재사용될 수 없도록 사용된 온라인 쿠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쿠폰제공부(160)는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이 발행되면, 발행한 온라인 쿠폰에 대응하는 온라인 리워드를 고객계정에서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리워드가 적립포인트인 경우에는, 쿠폰제공부(160)가 적립포인트에 대응하는 상품권을 고객단말(20)에게 발급하는 형태로 온라인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광고메시지전송부(170)는 고객단말(20)에게 각각의 매장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광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메시지는 고객단말(20)에게 SMS, MMS 등 문자 메시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고메시지전송부(170)는 매장의 담당자의 요청에 따라, 고객기본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메시지를 전송할 광고대상을 먼저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남성전용미용실의 경우, 남성, 20-30대를 광고대상으로 설정하여 광고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네일샵의 경우 여성, 20-30대를 광고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메시지전송부(170)는 관리서버(100)에 입력되는 광고대상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계정에 저장된 고객기본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다. 즉, 광고메시지전송부(170)는 상기 설정된 광고대상에 해당하는 고객단말(20)들을 고객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해당하는 고객단말(20)에게 광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광고메시지에는 각각의 매장을 홍보하거나 가격할인 등의 정보를 전송하여 고객을 매장으로 유인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광고메시지에 할인가격 및 상기 할인가격이 적용되는 할인시간정보를 표시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2월 28일 오후 6시부터 7시까지는 피자 50% 할인"과 같이, 할인기간을 정해두고 할인가격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광고메시지전송부(170)는 매장의 담당자가 설정한 할인시간에 자동으로 광고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매출이 저조한 시간대 등에 집중적으로 광고메시지를 전송하여 고객을 유도하는 등의 마케팅이 가능하다.
예약관리부(180)는 고객단말(20)로부터 매장에 대한 예약요청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예약요청메시지를 매장단말(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매장단말(10)은 수신한 예약요청메시지에 대응하여 예약을 확정하는 예약확정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예약관리부(180)는 예약확정메시지를 고객단말(20)로 전송하여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예를들어, 고객은 자신의 고객단말(20)에 등록된 매장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객단말(20)은 예약관리부(180)로 예약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객단말(20)로부터 수신하는 예약요청메시지에는 해당 매장, 예약날짜 및 시간, 인원수, 예약종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약관리부(180)는 매장단말(10)로 예약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매장단말(10)은 예약요청메시지의 도착을 담당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매장 담당자가 예약요청메시지에 포함된 예약날짜 및 시간, 인원수 등의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예약을 승인할 수 있으며, 매장단말(10)을 이용하여 예약관리부(180)로 예약확정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약관리부(180)는 예약확정메시지를 고객단말(20)에게 전송하여 예약이 확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 제공시스템의 온라인 리워드 적립 및 온라인 쿠폰 제공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장단말(10)은 관리서버(100)에게 매장단말(10)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매장기본정보를 입력하여 매장계정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1). 또한, 고객단말(20)도 관리서버(100)에게 고객단말(20)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기본정보를 입력하여 매장계정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2). 여기서는 고객단말(20)이 고객계정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매장단말(10)에서 고객계정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고객은 매장에 방문하여 매장으로부터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받은 재화나 서비스에 대응하는 비용을 신용카드 등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S3).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알림메시지서버(200)는 고객단말(20)에게 알림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S4), 알림메시지를 수신한 고객단말(20)은 이를 파싱하여 파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파싱을 완료한 고객단말(20)은 관리서버(100)로 파싱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S6), 관리서버는 수신한 파싱정보를 바탕으로 온라인 리워드 적립을 수행할 수 있다(S7). 관리서버(100)는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을 고객단말(20)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S8), 고객단말(20)은 제공받은 온라인 쿠폰을 매장에 제시할 수 있다(S9). 이 경우, 매장단말(10)은 온라인 쿠폰에 대응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한 후, 온라인 쿠폰을 인식하여 사용완료처리할 수 있다(S10). 또한, 관리서버(100)로 해당 온라인 쿠폰의 사용완료를 알려 해당 온라인 쿠폰이 재사용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S11).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은 매장가입단계(S100), 고객가입단계(S200), 파싱정보수신단계(S300), 리워드적립단계(S400), SNS 적립단계(S500), 쿠폰제공단계(S600), 광고메시지전송단계(S700) 및 예약단계(S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매장가입단계(S100)에서는, 관리서버가 매장에 대한 매장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매장기본정보는 각각의 매장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로서, 매장의 명칭, 위치정보, 업종,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 매장 연락처, 대표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등록매장은 매장의 명칭, 주소나 연락처, 대표자 등 매장기본정보를 이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즉, 매장을 등록하고 매장계정을 생성하는 것은 매장단말이 없이도 가능하고, 이 경우 각각의 고객에 대한 온라인 리워드적립은 알림메시지를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매장에 매장단말이 구비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매장가입단계(S100)에서는 각각의 매장단말을 구별하기 위하여 매장단말의 고유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고유번호는 매장단말에 대응하는 휴대전화번호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일 수 있다.
고객가입단계(S200)에서는, 관리서버가 고객단말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기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고객단말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기본정보는 고객단말 또는 매장단말이 입력할 수 있다. 즉, 고객단말이 직접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고객계정을 생성할 수도 있으나, 매장의 담당자가 고객에게 가입을 권유함에 따라 매장단말로부터 고객기본정보를 입력받아 고객계정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객이 입력하는 고객기본정보에는, 고객의 성별이나 나이, 이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결혼여부, 거주지역, 직업, 관심분야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고객단말의 경우 휴대전화번호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을 고유번호로 활용할 수 있다.
파싱정보수신단계(S300)에서는, 관리서버가 고객단말로부터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생성한 파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알림메시지에는 고객이 사용한 신용카드 등의 사용내역이 포함되며, 고객이 등록매장 등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경우 알림메시지 서버에서 고객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단말은 수신한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신용카드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파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고객단말에서 수행되는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은, 고객단말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생성된 파싱정보는 유, 무선 통신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객단말이 파싱하는 대신에 관리서버가 직접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관리서버는 고객단말로부터 알림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을 수행하여 파싱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파싱정보를 추출하는 내용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리워드적립단계(S400)에서는, 관리서버가 파싱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각 등록매장별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먼저 파싱정보로부터 추출한 수신번호 및 사용매장의 명칭을 이용하여, 수신번호에 대응하는 고객단말과 사용매장의 명칭에 대응하는 등록매장을 검색할 수 있다. 알림메시지는 신용카드를 사용한 고객의 고객단말로 전송되므로 알림메시지의 수신번호와 일치하는 고객단말의 고유번호를 검색하면 대응하는 고객단말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파싱정보에는 신용카드를 사용한 "사용매장의 명칭"이 포함되므로 동일한 명칭의 등록매장을 검색함으로써 등록매장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고객단말과 등록매장의 검색이 성공하면, 관리서버는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등록매장에 대한 온라인 리워드를 결제금액에 따라 적립할 수 있다. 반면에, 대응하는 고객단말이나 등록매장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온라인 리워드 적립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명칭의 다른 매장이 존재하거나, 파싱시 파싱정보의 추출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등을 대비하여, 관리서버가 등록매장의 매장단말에게 최종승인 여부를 확인한 후 온라인 리워드 적립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리워드적립단계(S400)에서, 각각의 매장에 위치하는 매장단말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고객에게 온라인 리워드의 적립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서버는 고객단말의 고유번호와 고객단말에 제공할 온라인 리워드를 매장단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리워드는 고객이 매장에서 결제한 금액에 대응하여 적립되는 온라인 스탬프이거나, 고객이 매장에서 결제한 금액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비율로 적립되는 적립포인트일 수 있다. 리워드적립단계(S400)에서는 고객계정에 각각의 등록매장별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등록매장이 온라인 리워드의 적립을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SNS적립단계(S500)에서는, 관리서버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고객단말의 SNS 이벤트 참여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온라인 리워드를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단말이 참여하는 SNS 이벤트는, 고객단말이 SNS 서버 내에서 매장단말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고객단말이 SNS 서버 상에 인증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것 등일 수 있다. 즉, 고객이 자신의 SNS 계정을 이용하여 매장의 웹페이지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고객이 직접 해당 매장을 이용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 문서 등의 인증콘텐츠를 SNS 서버에 업로드하여 타인과 이를 공유하는 것이 상기 SNS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매장에서는 고객의 SNS 이벤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SNS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에게 온라인 리워드 등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단말은 관리서버를 통하여 SNS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고객단말은 접속한 SNS 서버 상에서 SNS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SNS 서버는 고객단말이 수행한 웹페이지의 공유나 인증 컨텐츠의 업로드 등의 SNS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고객단말은 관리서버(100)를 경유하여 SNS 서버로 접속하였으므로, SNS 서버는 고객단말의 SNS 이벤트 수행 여부를 감지하여 확인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서버는 SNS 서버의 Open API를 활용하여, 확인메시지 등을 전송받을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SNS 리워드 적립단계(S500)에서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하기 전에, 고객단말의 위치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고객단말은 GPS 신호 등을 통하여 계산한 자신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서버는 고객단말의 위치정보를 매장기본정보 내에 포함된 매장의 위치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고객단말이 해당 매장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고객단말이 매장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 한하여, 고객 단말에게 SNS 이벤트 완료에 대응하는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SNS 리워드 적립단계(S500)에서 고객단말이 SNS 이벤트를 완료하고, 매장 내에서 결제까지 수행한 경우에 한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가 SNS서버로부터 확인메시지를 수신하고, 고객이 결제한 결제비용 등이 고객단말로부터 수신한 파싱정보나 매장단말로부터 입력된 결제정보로부터 확인되는 경우에 한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관리서버가 확인메시지를 수신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유예시간 내에 파싱정보 또는 결제정보를 수신하거나, 파싱정보 또는 결제정보를 수신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대기시간 내에 SNS 서버로부터 확인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SNS 리워드 적립단계(S500)는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이 SNS 이벤트를 완료한 후, 결제한 결제비용에 따라 제공하는 온라인 리워드의 양을 달리 할 수 있다. 즉, 파싱정보 또는 결제정보로부터 결제비용을 확인하고, 결제비용에 따라 설정되는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쿠폰제공단계(S600)에서는, 관리서버가 온라인 리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을 상기 고객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매장의 담당자는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쿠폰제공단계(S600)에서 제공할 온라인 쿠폰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는 고객계정에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온라인 쿠폰을 발행하여 고객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자동으로 온라인 쿠폰이 발행되는 대신에, 고객단말의 입력에 따라 온라인 쿠폰을 발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커피판매매장에서 적립한 온라인 스탬프가 10개이면 아메리카노 1잔, 15개이면 바닐라라떼 1잔, 30개이면 텀플러 1개를 제공하는 온라인 쿠폰을 발행할 것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서버가 고객단말의 입력에 따라 해당 온라인 쿠폰의 발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는 각각의 조건을 충족할 때마다 고객단말에게 온라인 쿠폰을 발행받을 수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쿠폰제공단계(S600)에서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의 형태로 온라인 쿠폰을 생성할 수 있으며, 고객이 온라인 쿠폰을 사용하여 매장단말이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인식하게 되면, 매장단말은 해당 온라인 쿠폰의 사용사실을 관리서버에게 알릴 수 있다. 이후, 관리서버는 해당 온라인 쿠폰은 사용된 것으로 처리하고 재사용될 수 없도록 사용된 온라인 쿠폰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는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이 발행되면, 발행한 온라인 쿠폰에 대응하는 온라인 리워드를 리워드적립정보에서 삭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리워드가 적립포인트인 경우에는, 관리서버가 적립포인트에 대응하는 상품권을 고객단말에게 발급하는 형태로 온라인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광고메시지전송단계(S700)에서는, 관리서버가 고객단말에게 각각의 매장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광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메시지는 고객단말에게 SMS, MMS 등의 문자 메시지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는 매장 담당자의 입력에 따라, 광고메시지를 전송할 광고대상을 먼저 설정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입력되는 광고대상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고객계정에 저장된 고객기본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결과 대응하는 고객단말에게 광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광고메시지에는 각각의 매장에 대한 홍보나 가격할인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고객을 매장으로 유인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광고메시지에 할인가격 및 상기 할인가격이 적용되는 할인시간정보를 표시하여 전송하거나, 각 매장에서 설정한 할인시간에 자동으로 광고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매출이 저조한 시간대 등에 집중적으로 광고메시지를 전송하여 고객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예약단계(S800)에서는 관리서버가 고객단말로부터 매장에 대한 예약요청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예약요청메시지를 매장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매장단말은 예약요청메시지에 대응하여 예약을 확정하는 예약확정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는 수신한 예약확정메시지를 고객단말로 전송하여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예를들어, 고객은 자신의 고객단말에 등록된 매장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객단말은 관리서버로 예약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고객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예약요청메시지에는 해당 매장, 예약날짜 및 시간, 인원수, 예약종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관리서버는 매장단말로 예약요청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매장단말은 예약요청메시지의 도착을 담당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매장 담당자가 예약요청메시지에 포함된 예약날짜 및 시간, 인원수 등의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예약을 승인할 수 있으며, 매장단말을 이용하여 관리서버로 예약확정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는 예약확정메시지를 고객단말에게 전송하여 예약이 확정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매장단말 20: 고객단말
100: 관리서버 110: 매장계정생성부
120: 고객계정생성부 130: 파싱정보수신부
140: 리워드 적립부 150: SNS 적립부
160: 쿠폰제공부 170: 광고메시지전송부
180: 예약관리부 200: 알림메시지 서버
300: SNS 서버
S100: 매장가입단계 S200: 고객가입단계
S300: 파싱정보 수신단계 S400: 리워드적립단계
S500: SNS 적립단계 S600: 쿠폰제공단계
S700: 광고메시지전송단계 S800: 예약단계

Claims (10)

  1. 관리서버가, 매장에 대한 매장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매장계정을 생성하고, 상기 매장을 등록매장으로 설정하는 매장가입단계;
    관리서버가, 고객단말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기본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단말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을 생성하는 고객가입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고객단말이 수신한 신용카드의 사용내역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알림메시지를 파싱하여 상기 사용내역을 파싱정보로 추출하는 것으로, 상기 고객단말은 수신한 문자메시지의 발신번호가 상기 신용카드를 발급한 신용카드사의 발신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알림메시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별하는 파싱정보수신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파싱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각 등록매장별로 온라인 리워드를 적립하는 리워드적립단계;
    관리서버가, SNS(Social Network Service)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단말의 SNS 이벤트 참여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온라인 리워드를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적립하는 SNS 적립단계; 및
    관리서버가, 상기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가 기 설정값에 도달하면, 상기 적립된 온라인 리워드에 대응하는 온라인 쿠폰을 상기 고객단말에게 제공하는 쿠폰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SNS 이벤트는
    상기 고객단말이 상기 SNS 서버 내에서 상기 매장에 대응하는 웹페이지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상기 고객단말이 상기 SNS 서버 상에 인증컨텐츠를 업로드하는 것이고,
    상기 파싱정보수신단계는
    관리서버가, 상기 알림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복수개의 항목으로 구별하고, 상기 구별된 항목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상기 파싱정보로 추출하며, 상기 알림메시지에 포함된 사용내역의 항목의 종류 또는 배열이 변경되면, 변경된 알림메시지에 대응하도록 규칙을 업데이트하여 상기 알림메시지에 대한 파싱을 수행하고,
    상기 파싱정보는 상기 알림메시지의 수신번호, 신용카드를 사용한 사용매장의 명칭, 결제금액 및 결제일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리워드적립단계는
    관리서버가, 상기 파싱정보로부터 추출한 상기 수신번호 및 상기 사용매장의 명칭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번호에 대응하는 고객단말과 상기 사용매장의 명칭에 대응하는 등록매장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단말 및 등록매장의 검색이 성공하면, 관리서버가 상기 등록매장의 매장단말로부터 최종승인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고객단말에 대응하는 고객계정에 상기 등록매장에 대한 온라인 리워드를 상기 결제금액에 따라 적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SNS적립단계는
    상기 확인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단말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단말의 위치정보와 상기 매장기본정보 내에 포함된 매장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고객단말이 상기 매장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온라인 리워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리워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등록매장에서 결제한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개수로 적립되는 온라인 스탬프 또는 상기 결제금액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비율로 적립되는 적립포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관리서버가, 고객단말에게 상기 매장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광고메시지를 전송하는 광고메시지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10. 삭제
KR1020170088161A 2017-07-12 2017-07-12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KR101930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161A KR101930637B1 (ko) 2017-07-12 2017-07-12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161A KR101930637B1 (ko) 2017-07-12 2017-07-12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637B1 true KR101930637B1 (ko) 2018-12-18

Family

ID=6495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161A KR101930637B1 (ko) 2017-07-12 2017-07-12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782B1 (ko) * 2019-02-27 2020-02-07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결제 승인문자와 앱 위치 정보 대조를 이용한 포인트 자동적립 시스템
KR20210082793A (ko) 2019-12-26 2021-07-06 엄태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쿠폰 제공 방법 및 쿠폰 제공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782B1 (ko) * 2019-02-27 2020-02-07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결제 승인문자와 앱 위치 정보 대조를 이용한 포인트 자동적립 시스템
KR20210082793A (ko) 2019-12-26 2021-07-06 엄태호 사용자 위치 기반의 쿠폰 제공 방법 및 쿠폰 제공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7550B2 (en) Electronic coupon management
US103542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 loyalty program and processing payments
US8903734B2 (en) Coupon offers from multiple entities
AU2007339987B2 (en) Coupon offers from multiple entities
US8775243B2 (en) Electronic coupon creation deployment, transference, validation management, clearance, redemption and reporting system and interactive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and groups within the system
CA2738508C (en) Real-time statement credits and notifications
US20130290096A1 (en)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lift in a marketing program
US20140244409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electronic payment
US20120022930A1 (en) System and method of a media delivery services platform for targeting consumers in real time
US20120022944A1 (en) System and method of a media delivery services platform for targeting consumers in real time
US20130041734A1 (en) Method of Passing and Redeeming Coupons Via Webpage Accessed from Mobile Phone
US2011001598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romotional reward program
US11257094B2 (en) System and method of a media delivery services platform for targeting consumers in real time
KR20070075986A (ko) 한 개의 카드번호를 이용한 복수의 멤버십카드 지원 시스템및 방법
AU2200202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storing and processing electronic vouchers with a mobile tele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20220027881A1 (en) Payment Processing Using Electronic Benefit Transfer (EBT) System
JP2006277717A (ja) 特典情報管理方法及び特典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930637B1 (ko)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서버
JP2006277716A (ja) 特典情報管理方法及び特典情報管理システム
KR101631609B1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98634B1 (ko)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서버를 활용한 전자할인쿠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3507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promotional reward program
KR101593275B1 (ko) 가맹점정보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21693A (ko) 안면 인식을 사용한 샵앤샵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7166A (ko) Sns 인증을 이용한 온라인 쿠폰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