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964B1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Google Patents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8964B1 KR101928964B1 KR1020180072925A KR20180072925A KR101928964B1 KR 101928964 B1 KR101928964 B1 KR 101928964B1 KR 1020180072925 A KR1020180072925 A KR 1020180072925A KR 20180072925 A KR20180072925 A KR 20180072925A KR 101928964 B1 KR101928964 B1 KR 1019289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frame
- support
- slide
- slide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제작이 간편하고, 견고하면서도 좌판의 슬라이드 전진작동 및 리턴작동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성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레그프레임에 양측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등판; 지지프레임의 레그프레임에 돌출된 돌출브래킷에 지지브래킷이 회전가능하도록 그네구조로 연결설치되는 좌판프레임; 좌판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좌판; 좌판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판에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 슬라이드블록에 접촉지지되도록 좌판프레임의 롤러삽입홈내로 삽입설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롤러; 좌판프레임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슬라이드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좌판의 폴딩작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하중발생시에도 좌판의 슬라이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hair in which a seat is slid,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folding chair in which a seat is slidabl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simple to manufacture, and can smoothly perform slide forward operation and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will b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rame having mobility; A back plate on which both lower ends of the support frame are coupled and supported by leg frames; A stanchion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bracket is rotatably connected to a projecting bracket protruding from a leg frame of the support frame; A seat plate coupl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frame; A slide block installed to be slidable on a seat frame and fixedly installed on a seat; A plurality of slide rollers inserted into the roller insertion grooves of the seat frame so as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slide blocks; And a spring having one side end fixed to the seat fram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lide block,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at can be performed and the slide operation of the seat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when a load of the user is gener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좌판의 슬라이드 및 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hair in which a seat is sl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chair in which a seat is slidable so that sliding and folding of the seat can be smooth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개인업무공간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사무의자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사용되는 공용 사무의자가 있으며, 상기 개인용 사무의자는 대부분 장시간의 업무에도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등을 등받이에 기댈 때 뒤로 젖혀지는 틸트기능을 구비한 의자가 널리 사용되고, 상기 공용 사무의자는 경제성 및 견고성을 고려하여 단순한 착석기능만을 구비하도록 프레임에 등판과 좌판이 견고히 결합되는 프레임 의자 또는 좌판이 폴딩되는 접이식 의자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Generally, the office chair has a private office chair used in a private work space such as an office or a study room, a public office chair used in a large-scale space such as a conference room or a lecture room, and the personal office chair has less fatigue The chair is provided with a tilting function that is tilted back when the seat back is tilted to the back, and the common office chair is provided with a frame chair or a seat plate which is firmly coupled to the frame so as to have a simple seating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economy and robustness, Folding chair which is folded is widely used.
상기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받치기 위한 등판부와 사용자의 둔부를 받치기 위한 좌판부 및, 등판부와 좌판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다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를 수평으로 펼쳐 사용하고, 의자의 사용후 정리 및 보관시에는 좌판부를 폴딩시켜 접어보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folding chair is composed of a back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 left plate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a support frame (leg) for supporting the back plate and the left plate. And the folding and folding of the seat portion when the chair is used after being used and stored is configured to be folded and stored.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등판부 방향으로 폴딩만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어, 장시간 착석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허리에 부담이 유발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However, the folding chair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so that only folding is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back plate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seat plate is fixed, and when the user is seated for a long tim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maintain a comfortable posture.
특히, 사람은 서로 다른 신체 조건을 구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의자의 등판부에 등부분을 기대게 될 경우, 등판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은 앞으로 이동하려고 하나, 종래의 접이식 의자는 좌판부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가 없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대응하지 못할 뿐 아니라, 좌판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아, 사용자가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피로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a person has different physical conditions, and when the user leans the back part of the back part of the chair, the back part of the user is moved forward by the repulsive force against the load applied to the back part , The conventional folding chair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eat plate is slid forward, and not only does it not correspond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but also the seat plate is not slid forward so that the user can not take a sufficient rest and fatigue is increased There was a problem.
상기와 같은 문제들이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체공학을 기초로 하여 허리보호를 목적으로 한 의자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인체공학적 의자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유지보수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될 뿐 아니라, 인체공학적 의자 역시, 등판부와 좌판부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등판부와 좌판부에 신체를 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볼 때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chairs for protecting the waist based on ergonomics. However, such ergonomic chairs have a complicated structure,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problems in maintenance In addition, the ergonomic chair also has a back plate and a seat plate fixed, so that the user consciously attaches the body to the back plate and the seat plate, so that the user does not sit comfortably when sitting on the chair and work on the seat unconsciousl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be done.
특히, 인체공학적 의자들은 설계비용 및 제조원가가 증가되어 간단한 구조하며, 저비용으로 생산되는 접이식 의자에는 현실적으로 적용되지 못하였다. In particular, ergonomic chairs have not been applied to folding chairs produced with low cost and simple structure due to increased design cost and manufacturing cos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좌판이 슬라이딩되는 의자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종래에 개발되어진 슬라이딩 의자는, 대부분 좌판프레임에 슬라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좌판부의 쿠션이 슬라이딩되도록 되어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적인 부품수 및 조립공정의 증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chair in which a seat is slid is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liding chair, a slide rail is installed in most of the seat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shion is made to slide so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parts and the assembly process as a whole are increased.
특히, 종래의 슬라이딩 의자는 사용자가 등판부에 등을 기대면서 등을 밀어 좌판부를 전진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직접적인 힘의 작용에 의해 전진 슬라이드는 쉽게 이루어지지만, 정자세(등을 바로 세워 좌판이 원위치로 돌아오는 자세)로 변환할 경우, 사용자의 체중이 좌판부에 작용하여 슬라이딩 접촉면 간에 마찰력이 커지게 되므로, 좌판이 원위치로 돌아오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sliding chair, the user pushes the back of the backboard while leaning against the backboard and moves the seatboard forward. Thus, forward sliding can be easily performed by the action of the user's direct force. However, The user's body weight acts on the seat plate portion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liding contact surfaces,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seat plate does not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제작이 간편하고, 견고하면서도 좌판의 슬라이드 전진작동 및 리턴작동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able chair in which a seat is slidabl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simple to manufacture, and which can smoothly perform slide forward operation and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본 발명은 이동성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의 레그프레임에 양측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등판; 지지프레임의 레그프레임에 돌출된 돌출브래킷에 지지브래킷이 회전가능하도록 그네구조로 연결설치되는 좌판프레임; 좌판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좌판; 좌판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판에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 슬라이드블록에 접촉지지되도록 좌판프레임의 롤러삽입홈내로 삽입설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롤러; 좌판프레임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슬라이드블록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하여, 좌판의 폴딩작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하중발생시에도 좌판의 슬라이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rame having mobility; A back plate on which both lower ends of the support frame are coupled and supported by leg frames; A stanchion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bracket is rotatably connected to a projecting bracket protruding from a leg frame of the support frame; A seat plate coupl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frame; A slide block installed to be slidable on a seat frame and fixedly installed on a seat; A plurality of slide rollers inserted into the roller insertion grooves of the seat frame so as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slide blocks; And a spring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seat fram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lide block, so tha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seat can be performed and the slide operation of the seat can be smoothly performed even when a load of the user is generated .
본 발명은 좌판이 연결설치된 슬라이드블록이 좌판프레임에 설치된 슬라이드롤러의 구름작동에 의해 슬라이드되도록 되어 있어, 좌판 슬라이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좌판프레임과 슬라이드블록의 직접적인 마찰이 방지되어 좌판의 전후 이송과정에 발생되는 소음 및 마찰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 block to which the seat plate is connected is slid by the rolling action of the slide roller provided on the seat plate frame so that the slide operation of the seat plate is smoothly performed and also the direct friction between the seat plate frame and the slide block is prevented, Noise and friction generated in the transferring process are minimized.
본 발명은 좌판프레임의 회전지지점(P1)이 좌판의 상측에 위치하고, 좌판프레임의 좌판지지점(P2)이 좌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좌판프레임이 지지프레임에 연결설치되어 있어, 좌판에 사용자의 하중이 발생될 경우, 회전지지점(P1)을 중심으로 하는 그네작동에 의해 좌판의 전단방향 슬라이드 작동 및 후단방향으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좌판에 사용자의 하중이 발생되더라도 그네작동에 의해 좌판의 슬라이드 작동 및 리턴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fram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rotation support point (P1) of the seat fram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and the seat support point (P2) of the seat frame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slide operation in the front-end direction of the seat by the swinging operation around the pivot point P1 and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seat back to the home position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slide operation and the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plate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the swing operation even if a load is generated on the seat plate.
본 발명은 회전지지점(P1) 및 좌판지지점(P2)에 따른 좌판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연결관계 및, 이와 같은 연결관계에 의해 후단방향(B)으로 하향경사지게 배치되는 좌판프레임에 의해 좌판의 자연스러운 리턴작용이 구현될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sea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rotation support point (P1) and the seat support point (P2) and the natural return of the seat by the seat frame which is inclined downwardly in the backward direction (B) Not only the operation is implemented, but also an effect of giving a comfortable seat feeling to the user.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판부를 향해 등을 밀면서 편한 자세를 취하고자 할 경우 등을 미는 힘의 반발력에 의해 좌판이 전방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되므로, 사용자가 기존 접이식 의자들보다 더 편안하게 쉴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편안한 착석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rest more comfortably than existing folding chairs because the seat is slid forward in response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pushing force when the user tries to take a comfortable posture while pushing his back against the backrest , It is possible to induce a comfortable sitting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본 발명은 좌판의 슬라이드가 가능할 뿐 아니라, 폴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작은 공간에서 다수의 의자에 대한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lidable on the seat, but also foldable so that it is easy to use and easy to store a large number of chairs in a small space.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므로, 소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 및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원가의 절감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Sinc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umber of required parts,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process,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슬라이드블록 및 좌판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의 작동상태의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전방방향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후단방향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폴딩상태를 보인 예시도1 is an illustration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n explod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eat plate, a slide block, and a seat plat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ea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lid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sp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ward slide operation state of a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backward unidirectional slide operation state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lding state of a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슬라이드블록 및 좌판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블록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의 작동상태의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전방방향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후단방향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폴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disassemb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ea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slid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rward slide operation state of a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backward direction of a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lding state of a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자(100)는, 이동성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10); 지지프레임의 레그프레임(11)에 양측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등판(20); 지지프레임의 레그프레임(11)에 돌출된 돌출브래킷(15)에 지지브래킷(31)이 회전가능하도록 그네구조로 연결설치되는 좌판프레임(30); 좌판프레임(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좌판(40); 좌판프레임(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판(40)에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50); 슬라이드블록(50)에 접촉지지되도록 좌판프레임(30)의 롤러삽입홈(32)내로 삽입설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롤러(60); 좌판프레임(30)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슬라이드블록(50)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70)을 포함하여, 좌판의 폴딩작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하중발생시에도 좌판의 슬라이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A foldable cha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rame (10) having mobility; A back plate (20) supported at both lower ends of the leg frame (11) of the support frame by being coupled thereto; A seat frame (30) connected to the projecting bracket (15) protruding from the leg frame (11) of the support frame by a swinging structure so as to allow the support bracket (31) to rotate; A seat (40) coupl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frame (30); A slide block (50) slidably mounted on the seat frame (30) and fixed to the seat (40); A plurality of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레그프레임(11)과, 2개의 레그프레임(11)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을 포함하되, 상기 레그프레임(11)은 등판(20)이 결합되는 후방레그(12)와, 상기 후방레그(12)에서 하향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프레임(14)이 연결설치되는 전방레그(13)를 포함한다. 1 to 3, the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레그프레임(11)과 연결프레임(14)이 모두 파이프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레그프레임(11)의 하단 즉, 후방레그(12)와 전방레그(13)의 하측에는 이동성이 구비되도록 캐스터(12a,13a)가 더 설치될 수 있다. The supporting
또한, 상기 후방레그(12)는 상측에 좌판프레임(30)이 연결되는 돌출브래킷(15)이 전방방향(F)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연결프레임(14)은 2개의 레그프레임(12)을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좌판프레임(30)의 전방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양측단이 전방레그(13)에 용접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설치된다.The connecting
상기 등판(2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레그(12)에 볼트체결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 및 허리를 지지할 뿐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힘이 가해질 경우, 자체 탄성력에 의해 후방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사용자를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상기 등판(20)은 등판프레임에 메쉬가 결합된 메쉬타입의 등판 또는, 등판프레임에 직물, 스펀지 등의 쿠션재가 결합된 쿠션타입의 등판이 모두 사용되어질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등판(20)은 후방레그(12)에 끼움결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Further, the
또한, 상기 등판(20)은 등판연결부(16)에 의해 후방레그(12)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등판연결부(16)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프레임(21)이 볼트체결되는 몸체부(17)와, 상기 몸체부(17)의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팔걸이(25)가 끼움결합되는 상단결합부(18)와, 상기 몸체부(17)의 하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후방레그(12)로 끼움결합되어 볼트체결되는 하단결합부(19)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the back
상기 몸체부(17)는 등판프레임(21)과 암수결합 및 볼트체결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즉, 상기 몸체부(17)는 등판프레임(21)의 지지돌기(22)가 삽입되는 지지홈(17a)을 구비하고, 지지홈(17a)의 상하측에 등판프레임(21)과의 볼트체결을 위한 복수의 볼트공(17b)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단결합부(18)는 팔걸이(25)와 연결되어 팔걸이(25)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The upper
상기 하단결합부(19)에는 후방레그(12)와의 볼트체결을 위한 복수의 볼트공(19b)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공(19b) 상측에 후방레그의 절개홈(12a)내로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19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하단결합부(19)는 후방레그(12)와 등판연결부(16)의 결합시, 후방레그의 절개홈(12a)내로 회전방지돌기(19a)가 삽입되어 위치가 설정되게 되며, 이와 같은 등판연결브래킷의 위치설정에 의해 하단결합부의 볼트공(19b)이 후방레그의 볼트공(12b)이 연통되어 후방레그(12)와 등판연결부(16)의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등판연결부(16)에 의해 레그프레임(11)에 등판(20)이 연결설치될 경우, 좌판프레임(30)이 연결지지되는 돌출브래킷(16)은 등판연결부(16)의 몸체부(17)에 돌출형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상기 좌판프레임(30)은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블록(50)이 설치되는 프레임본체(33)와, 상기 프레임본체(33)의 후단양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돌출브래킷(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래킷(31)과, 프레임본체(33)의 하단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의 연결프레임(14)에 접촉지지되는 안착지지홈(34)을 포함한다. 4 and 5, the
상기 프레임본체(33)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롤러(60)가 삽입설치되는 롤러삽입홈(32)과, 스프링(70)이 삽입설치되는 스프링홈(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블록(50)과의 연결을 위한 가이드스크류(90)가 설치되는 스크류체결홀(36)이 형성되어 있다. 5, the
상기 롤러삽입홈(32)은 슬라이드롤러(60)가 회전(자전)가능하도록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본체(3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롤러(60)의 끼움설치 및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측이 언더컷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롤러삽입홈(32)의 구조는 슬라이드롤러(60)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품 및 조립과정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비 절감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스프링홈(35)은 슬라이드블록(50)의 슬라이드 작동시, 스프링(70)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프레임본체(33)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홈(35)은 프레임본체(33)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격자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스프링홈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브래킷(31)은 프레임본체(33)의 후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프레임본체(33)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지지프레임의 돌출브래킷(15)에 힌지축(80)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본체(33)는 지지브래킷(31)에 의해 돌출브래킷(16) 하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프레임본체(33)는 돌출브래킷(16)과 연결되는 힌지축(80)을 중심으로 그네작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축(80)은 좌판프레임이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볼트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안착지지홈(34)은 프레임본체의 하면에 지지프레임의 연결프레임(14)이 삽입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착지지홈(34)내에는 연결프레임(14)과의 접촉시, 프레임본체(33)의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고 완충작용을 위한 범퍼(3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좌판프레임(30)은 지지프레임(10)과 연결되는 회전지지점(P1)이 좌판프레임(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지지프레임(10)에 의해 접촉지지되는 좌판지지점(P2)이 좌판프레임(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10)에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지지점(P1)은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31)과 돌출브래킷(15)을 연결하는 힌지축(80)의 중심을 의미하고, 좌판지지점(P2)는 안착지지홈(34)과 연결프레임(14)의 접촉부위를 의미한다. The
이와 같이 회전지지점(P1)과 좌판지지점(P2)를 구비하도록 연결설치된 좌판프레임(30)은 폴딩작동 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경사를 구비하는 등판(20)에 좌판프레임의 프레임본체(33)가 밀착되도록 즉,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주운동하는 좌판프레임의 선단부분이 힌지축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폴딩된 좌판프레임(30)의 무게중심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후단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소정의 충격발생시에도 좌판프레임의 폴딩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10, when the fold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지지점(P1)과 좌판지지점(P2)를 구비하도록 연결설치된 연결설치되는 좌판프레임(30)은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하중을 이용한 그네작동에 의해 좌판의 전단방향 슬라이드 작동 및 후단방향으로의 원위치 복귀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connecting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설치되는 좌판프레임(30)은 연결프레임(14)에 안착지지홈(34)이 안착되어 지지될 경우, 좌판프레임(30)의 선단부위(37)가 후단부위(38)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즉, 좌판프레임(30)이 후단방향(B)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하게 된다. When the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4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블록몸체(51)와, 블록몸체(51)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중앙홀(52)과, 상기 중앙홀(52)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스크류(90)가 가이드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홀(53)을 구비한다 .6, the
상기 중앙홀(52)은 스프링(70)의 작동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스프링(70)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블록몸체(51)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가이드슬릿홀(53)은 좌판의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블록몸체(51)의 길이방향 즉, 좌판의 슬라이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블록몸체(51)의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중앙홀(5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형성되어 있다. The guide sli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블록(50)은 가이드스크류(90)에 의해 의자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도록 좌판프레임(30)에 연결설치된다. The
상기 가이드스크류(9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40)과 연결설치된 슬라이드블록(50)이 좌판프레임(30)상에서 슬라이드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슬라이드부시(92)가 이탈되지 않도록 와셔(91)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블록(50)의 가이드슬릿홀(53)을 관통하여, 좌판프레임의 스크류체결홀(36)에 고정설치된다. As shown in FIG. 4, the
즉, 상기 가이드스크류(90)가 스크류체결홀(36)에 고정될 시, 슬라이드부시(92)는 슬라이드블록의 가이드슬릿홀(53)내에 위치하고, 와셔(91)는 슬라이드블록(50) 상측에 위치하여, 슬라이드블록(50)이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상기 좌판(40)은 슬라이드블록(50)에 결합되어 좌판프레임(30) 상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는 것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블록(50)에 결합되는 쿠션프레임(41)과, 쿠션프레임의 상측에 고정설치되는 쿠션부(42)를 포함한다. The
상기 쿠션프레임(41)은 슬라이드블록(5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구(54)에 스냅링 결합 등과 같은 원터치 방식에 의해 끼움결합되거나, 슬라이드블록(50)에 볼트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터치 방식에 의해 끼움결합된다. The cushion frame 41 may be fitted to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54 formed in the
이때, 상기 좌판(40)은 후단방향(B)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하는 좌판프레임(30)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좌판(40) 역시 후단방향(B)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상기 슬라이드롤러(6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블록의 하면(50a)에 접촉되어 구름작동되도록 좌판프레임의 롤러삽입홈(32)내에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롤러(60)는 원기둥형상 또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드블록(50)의 안정적인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고려할 경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4 and 5, the
상기 스프링(70)은 슬라이드 작동된 슬라이드블록(50)을 인장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인장스프링이 사용되어지며,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이 좌판프레임(30)의 프레임본체(33)에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슬라이드블록의 하면(50a)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스프링(70)은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7, one end of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전방방향 슬라이드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판에 기대게 되면, 등판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가 접촉지지된 좌판은 도 7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을 인장시키면서 슬라이드롤러의 구름작용에 의해 전방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ront-side slide operation state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s leaned on the back plate while being seated on the seat plate, As shown in Fig. 7 (b), the seat is sli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rolling action of the slide roller while tensioning the spring.
이때, 좌판프레임의 회전지지점(P1)은 상측에 위치하고, 좌판지지점(P2)은 하측에 위치하며, 좌판프레임은 후단에 위치하는 지지브래킷(31)이 지지프레임의 돌출브래킷(16)에 힌지축(80) 결합되어 있어, 등판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사용자의 하중이 좌판(40)에 전달될 경우, 슬라이드블록이 고정설치된 좌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그네작동되어 좌판의 전방방향 슬라이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rotation support point P1 of the seat fram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seat support point P2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and the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후단방향 슬라이드 작동상태(원위치 복귀작동)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ckward unidirectional slide operation state (home position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정자세로 돌아오기 위하여 등판으로부터 등을 떼어 세우게 되면, 등판이 원위치로 세워짐과 동시에, 좌판에 안착되어 있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순간적으로 하중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user lifts the back from the back plate to return to the normal position, the back plate is rais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instantaneous load is generated in the hip portion of the user who is seated on the seat.
이때, 전방방향에 위치하는 좌판지지점(P2)은 좌판 하측에 위치하고, 후단방향에 위치하는 좌판프레임의 회전지지점(P1)은 좌판 상측에 위치하고 있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에 순간적인 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좌판프레임의 후단부분에 순간적인 휨현상이 발생되어 좌판의 리턴(원위치복귀)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seat support point P2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and the rotation support point P1 of the seat frame located on the rearward direction is located on the seat plate upper side. When instantaneous load is generated in the hip portion of the user , Momentary warpage occurs i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eat frame, and the seat back (home position return) is quickly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좌판지지점(P2)와 회전지지점(P1)에 의한 좌판프레임의 휨현상 및,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전방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있던 좌판(도 7 의 (b) 상태)이, 후단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도 7 의 (a)상태)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FIG. 7 (b)), which has been slid in the forward direction due to the bending of the seat frame by the seat support point P2 and the rotation support point P1 and the tension of the spring, (Fig. 7 (a)).
즉, 종래의 슬라이드 좌판을 구비한 의자는, 좌판의 지지점이 모두 좌판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 좌판에 사용자의 하중이 발생될 경우, 오히려 하중으로 인해 좌판의 슬라이딩 접촉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좌판의 리턴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향이 발생되므로, 좌판을 리턴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좌판으로부터 엉덩이를 떨어뜨려 좌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해제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본 발명은 좌판으로부터 엉덩이를 떨어뜨릴 필요없이 단순히 허리를 세우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좌판의 리턴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안락하고 부드럽게 엉덩이를 안내받을 수 있다.That is, in a conventional chair having a slide seat, all the support points of the seat ar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at, and when a load is generated on the seat, a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on the sliding contact surface of the seat due to the loa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lease the load applied to the seat by releasing the hip from the sea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mple structure of the seat, Since the return operation of the seat is performed quickly by the load of the user only by standing the waist, the user can comfortably and smoothly guide the buttocks.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폴딩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가 좌판부(좌판프레임, 슬라이드블록 및 좌판프레임)을 들어 등판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판이 설치된 좌판프레임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힌지축은 좌판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좌판부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주운동하며 회전되어 좌판부의 선단부분이 등판에 밀착되게 된다.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lding state of a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rotates a seat plate (a seat frame, a slide block, and a seat frame) in the direction of the seat back, . At this time, since the hinge axis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ft plate portion, the left plate portion is rotated around the hinge ax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tip portion of the left plate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ck plate.
이와 같이, 좌판부의 선단부분이 등판에 밀착되게 되면, 좌판부의 선단부분이 힌지축 후단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폴딩된 좌판부의 무게중심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후단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좌판프레임의 폴딩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Whe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ft side plate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plat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ft plate portion is located in the unidirectional direction after the hinge axis,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lded left side plate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backward direction around the hinge axis, .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지지프레임 (11) : 레그프레임
(12) : 후방레그 (12a) : 절개홈
(12b) : 볼트공 (13) : 전방레그
(14) : 연결프레임 (15) : 돌출브래킷
(16) : 등판연결부 (17) : 몸체부
(17a) : 지지홈 (17b) : 볼트공
(18) : 상단결합부 (19) : 하단결합부
(19a) : 회전방지돌기 (19b) : 볼트공
(20) : 등판 (21) : 등판프레임
(22) : 결합홀 (30) : 좌판프레임
(31) : 지지브래킷 (32) : 롤러삽입홈
(33) : 프레임본체 (34) : 안착지지홈
(35) : 스프링홈 (36) : 스크류체결홀
(40) : 좌판 (41) : 쿠션프레임
(42) : 쿠션부 (50) : 슬라이드블록
(50a) : 슬라이드블록 하면 (51) : 블록몸체
(52) : 중앙홀 (53) : 가이드슬릿홀
(54) : 결합구 (60) : 슬라이드롤러
(70) : 스프링 (80) : 힌지축
(90) : 가이드스크류 (100) : 접이식 의자(10): Support frame (11): Leg frame
(12): rear leg (12a): incision groove
(12b): bolt hole (13): front leg
(14): connection frame (15): projecting bracket
(16): back plate connection part (17): body part
(17a): Support groove (17b): Bolt hole
(18): upper end engaging portion (19): lower end engaging portion
(19a): rotation preventing projection (19b): bolt hole
(20): back plate (21): back plate frame
(22): engagement hole (30): seat plate frame
(31): support bracket (32): roller insertion groove
(33): Frame body (34): Retaining support groove
(35): Spring groove (36): Screw tightening hole
(40): a seat (41): a cushion frame
(42): Cushion part (50): Slide block
(50a): a slide block (51): a block body
(52): center hole (53): guide slit hole
(54): engaging member (60): slide roller
(70): spring (80): hinge shaft
(90): guide screw (100): folding chair
Claims (8)
지지프레임의 레그프레임(11)에 양측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등판(20);
지지프레임의 레그프레임(11)에 돌출된 돌출브래킷(15)에 지지브래킷(31)이 회전가능하도록 그네구조로 연결설치되는 좌판프레임(30);
좌판프레임(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좌판(40);
좌판프레임(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좌판(40)에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드블록(50);
슬라이드블록(50)에 접촉지지되도록 좌판프레임(30)의 롤러삽입홈(32)내로 삽입설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롤러(60);
좌판프레임(30)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되고, 타측단이 슬라이드블록(50)에 고정설치되는 스프링(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A support frame (10) having mobility;
A back plate (20) supported at both lower ends of the leg frame (11) of the support frame by being coupled thereto;
A seat frame (30) connected to the projecting bracket (15) protruding from the leg frame (11) of the support frame by a swinging structure so as to allow the support bracket (31) to rotate;
A seat (40) coupl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frame (30);
A slide block (50) slidably mounted on the seat frame (30) and fixed to the seat (40);
A plurality of slide rollers 60 inserted into the roller insertion grooves 32 of the seat frame 30 so as to be held in contact with the slide blocks 50;
And a spring (7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at frame (3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lide block (50).
좌판프레임(30)은, 슬라이드블록(50)이 설치되는 프레임본체(33)와, 상기 프레임본체(33)의 후단양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돌출브래킷(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래킷(31)과, 프레임본체(33)의 하단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의 연결프레임(14)에 접촉지지되는 안착지지홈(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t frame 30 includes a frame body 33 on which the slide block 50 is mounted and a frame body 33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frame body 33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to be attached to the projecting bracket 15 of the support frame 10 And a seat support groove (3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body (33) an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frame (14) of the support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bracket (31) Folding chair.
좌판프레임(30)은, 지지브래킷(31)과 돌출브래킷(15)을 연결하는 힌지축(80)의 중심점인 회전지지점(P1)이 좌판프레임(30)의 상측에 위치하고,
안착지지홈(34)과 지지프레임의 연결프레임(14)이 접촉되는 좌판지지점(P2)이 좌판프레임(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프레임(10)에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otation support point P1 which is the center point of the hinge shaft 80 connecting the support bracket 31 and the projecting bracket 15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at frame 30,
Wherein the seat support point P2 at which the seat support groove 34 and the connection frame 14 of the support frame are in contac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seat frame 30. [ Folding chairs.
안착지지홈(34)내에는 연결프레임(14)과의 접촉시, 프레임본체(33)의 손상 및 소음을 방지하고 완충작용을 위한 범퍼(37)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The method of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a bumper (37) for buffering action is further provided in the seat support groove (34) to prevent damage and noise of the frame body (33) when the seat frame chair.
상기 슬라이드블록(50)은 좌판(4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블록몸체(51)와, 블록몸체(51)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중앙홀(52)과, 상기 중앙홀(52)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스크류(90)가 가이드되는 복수의 가이드슬릿홀(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e block 50 includes a block body 51 coupled to and fixed to the seat 40, a center hole 52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block body 51, , And a plurality of guide slit holes (53) formed so as to be guided so as to guide the guide screw (90).
가이드스크류(90)는, 슬라이드부시(92)가 이탈되지 않도록 와셔(91)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부시(92)는 슬라이드블록의 가이드슬릿홀(53)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스크류에 설치되고, 상기 와셔(91)는 슬라이드블록(50)이 이탈이 방지되도록 슬라이드블록(50) 상측에 위치하도록 가이드스크류에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The guide screw 90 is installed by a washer 91 so that the slide bush 92 does not come off and the slide bush 92 is installed on the guide screw so as to be located in the guide slit hole 53 of the slide block , And the washer (91) is connected to the guide screw so that the slide block (50) is positioned above the slide block (50)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등판(20)은 등판연결부(16)에 의해 레그프레임(11)에 결합되되,
상기 등판연결부(16)는, 등판프레임(21)이 볼트체결되고 좌판프레임(30)이 연결지지되는 돌출브래킷(16)이 돌출형성된 몸체부(17)와, 상기 몸체부(17)의 상측에 돌출형성되어 등판프레임(21)내로 끼움결합되는 상단결합부(18)와, 상기 몸체부(17)의 하측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레그프레임의 후방레그(12)내로 끼움결합되어 볼트체결되는 하단결합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back plate 20 is coupled to the leg frame 11 by the back plate connecting portion 16,
The back plate connection portion 16 includes a body portion 17 having a back plate frame 21 bolted and a protrusion bracket 16 protruding from the back plate frame 30 to be connected thereto, And an upper engaging portion 18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7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ar leg 12 of the leg frame to be bolted thereto, And a coupling part (19).
하단결합부(19)에는, 후방레그(12)와의 볼트체결을 위한 복수의 볼트공(19b)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공(19b) 상측에 후방레그의 절개홈(12a)내로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19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The method of claim 7,
A plurality of bolt holes 19b for bolt fastening to the rear leg 12 are formed in the lower engaging portion 19 and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19a is inserted into the cutout groove 12a of the rear leg on the upper side of the bolt hole 19b, And a projection (19a)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e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925A KR101928964B1 (en) | 2018-06-25 | 2018-06-25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925A KR101928964B1 (en) | 2018-06-25 | 2018-06-25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8964B1 true KR101928964B1 (en) | 2018-12-13 |
Family
ID=6467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2925A Active KR101928964B1 (en) | 2018-06-25 | 2018-06-25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8964B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5096B1 (en) | 2019-06-17 | 2019-12-11 | 정윤산 | a chair with an incised seat |
KR102100622B1 (en) | 2019-08-12 | 2020-04-16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Fasteners for assembling a chair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
KR20200086948A (en) | 2019-01-10 | 2020-07-20 | 이재오 | a folding chair |
KR102158287B1 (en) * | 2020-04-27 | 2020-09-21 | (주)씨텍코리아 | chair |
KR102232904B1 (en) | 2020-06-16 | 2021-03-29 | 주식회사 유닉스 | Folding chair with sliding seat |
KR102276564B1 (en) | 2020-01-08 | 2021-07-14 | 연봉흠 | The chair equipped with the taking a seat flow prevention function |
CN113907550A (en) * | 2021-12-01 | 2022-01-11 | 浙江凯越家具制造有限公司 | Aluminum office chair with body-building and exercise effects |
TWI762289B (en) * | 2020-05-29 | 2022-04-21 | 美商辦公室專家股份有限公司 | Nesting chair with flip seat and movement |
KR20230157708A (en) * | 2022-05-10 | 2023-11-17 | (주)버닛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342B1 (en) | 2014-12-31 | 2015-07-22 | 허남요 | The chair |
-
2018
- 2018-06-25 KR KR1020180072925A patent/KR1019289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342B1 (en) | 2014-12-31 | 2015-07-22 | 허남요 | The chair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6948A (en) | 2019-01-10 | 2020-07-20 | 이재오 | a folding chair |
KR102055096B1 (en) | 2019-06-17 | 2019-12-11 | 정윤산 | a chair with an incised seat |
KR102100622B1 (en) | 2019-08-12 | 2020-04-16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Fasteners for assembling a chair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
KR102276564B1 (en) | 2020-01-08 | 2021-07-14 | 연봉흠 | The chair equipped with the taking a seat flow prevention function |
KR102158287B1 (en) * | 2020-04-27 | 2020-09-21 | (주)씨텍코리아 | chair |
TWI762289B (en) * | 2020-05-29 | 2022-04-21 | 美商辦公室專家股份有限公司 | Nesting chair with flip seat and movement |
KR102232904B1 (en) | 2020-06-16 | 2021-03-29 | 주식회사 유닉스 | Folding chair with sliding seat |
CN113907550A (en) * | 2021-12-01 | 2022-01-11 | 浙江凯越家具制造有限公司 | Aluminum office chair with body-building and exercise effects |
KR20230157708A (en) * | 2022-05-10 | 2023-11-17 | (주)버닛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KR102676215B1 (en) * | 2022-05-10 | 2024-06-18 | (주)버닛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8964B1 (en)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
US8177299B2 (en) | Chair more comfortable when seated in optimum posture while reclining | |
WO2009048448A1 (en) |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 |
JPH0146127B2 (en) | ||
KR102028263B1 (en) | The slide structure of the seat for the chair | |
KR101920340B1 (en) | Frame chair maintaining folding state of seat | |
US11910932B2 (en) | Motion chair | |
KR200421443Y1 (en) | Chair with backrest | |
KR100972233B1 (en) | Frame chair | |
NO319640B1 (en) | Movable link with spring resistance to a seating device | |
KR101691858B1 (en) | Chair assembly | |
JP2013132402A (en) | Chair | |
JPWO2020255195A5 (en) | ||
JP5567402B2 (en) | Chair | |
KR20120042565A (en) | Frame chair | |
KR102189085B1 (en) |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 |
CN212878495U (en) | Back seat linkage device for chair | |
KR101591947B1 (en) | Chair of up-down and revolution a board back | |
JP4202687B2 (en) | Seat front / rear sliding device in a chair | |
JP6777281B2 (en) | Chair | |
JP2022073211A (en) | Foldable chair | |
KR102032781B1 (en) | Reclining chair | |
KR100858161B1 (en) | Tilting device of chair | |
JP5616134B2 (en) | Chair | |
JP2008302084A (en) | Rocking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7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