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942B1 - Automatic rescue apparatus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Automatic rescue apparatus for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4942B1 KR101924942B1 KR1020170030158A KR20170030158A KR101924942B1 KR 101924942 B1 KR101924942 B1 KR 101924942B1 KR 1020170030158 A KR1020170030158 A KR 1020170030158A KR 20170030158 A KR20170030158 A KR 20170030158A KR 101924942 B1 KR101924942 B1 KR 1019249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vibration
- earthquake
- unit
- emergency escap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68 st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855 Anxie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666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기의 운행 중 발생하는 정전뿐만 아니라 지진에도 승강기의 정상 운행을 중단시켜 사용자가 안전하게 승차장으로 하차 대피시킬 수 있으며, 승강기의 정상 운행 중 승강장에서 승강기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승강기의 적재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승강기의 적재 무게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수평 진동 또는 수직 진동을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정확하게 구분 판단하여 정상 운동 중 승강기의 오류 동작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top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not only in a power failure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ut also in an earthquake, so that the user can safely take off and leave the bus stop. The vertical or horizontal vibration caused by the change of the weight of the elevator is accurately discriminated from the vibra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and the error operation of the elevator To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an elevator capable of preventing interrup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승강기의 운행 중 발생하는 정전뿐만 아니라 지진에도 승강기의 정상 운행을 중단시켜 사용자가 정전 또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하게 승차장으로 하차 대피시킬 수 있으며, 승강기의 정상 운행 중 승강장에서 승강기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승강기의 적재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승강기의 적재 무게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수평 진동 또는 수직 진동을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정확하게 구분 판단하여 정상 운동 중 승강기의 오류 동작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spend normal operation of an elevator not only in a power failure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ut also in an earthquake, so that the user can safely evacuate from the power failure or earthquake, During the normal operation,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in the platform, the horizontal or vertical vibration generated by changing the weight of the elevator is detected by detecting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elevator, To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an elevator capable of preventing an erroneous operation stop of the elevator.
승강기에 갇힌 승객을 수동으로 구출할 경우에는 상당한 구출시간으로 승객의 불안을 일으키며, 훈련된 구조요원에 의한 구출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승객부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Manual rescuing of passengers trapped in elevators can cause passengers' anxiety with considerable rescue time and can lead to passenger injuries if not rescued by trained rescue personnel.
이에 따라, 근래에는 승강기의 전원 공급 중단으로 인한 비상탈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due to the interruption of power supply to the elevator.
정전된 승강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비상 운행시키는 시스템의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7204호에 승강기 비상탈출장치가 게시되어 있다.An elevator emergency escape apparatu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5-0097204 as a system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an electrostatic elevator for emergency operation.
위에 개시된 기술은 승강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신호제어부와, 동력제어부와, 도어제어부를 갖는 컨트롤러에 있어서, 정전시 승강기를 운전할 수 있도록 DC전원을 AC전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컨트롤러가 설치된 동력제어부, 동력제어부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되는 축전지, 축전지의 전원을 공급받은 동력제어부가 승강기의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되고, 센서에 의해 승강기가 승강장에 정위치되어 인명을 구할 수 있도록 평상시 사용하던 메인제어반을 정전으로 인한 비상운전시에도 동일한 메인제어반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has a signal controller, a power controller, and a door controller for driving the elevator. The controller includes an emergency controller that supplies power to convert the DC power to AC power so that the elevator can operate during a power failure The power control unit which is provided with the power source of the accumulator drives the driving motor of the elevator to move to the nearest layer and the sensor moves the elevator to the fixed position So that the same main control panel can be used even in emergency operation due to power failure.
이러한 비상탈출장치(ARD, Automatic rescue device)는 정상운행 중인 승강기가 정전이나 단순 고장 등으로 갑자기 멈추게 되면 자동으로 승강기를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킨 후 승객 스스로 안전하게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으로 인한 승객 갇힘의 공황상태를 제거하며 승강기를 몇 분 이내에 자동으로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하게 하여 승객을 스스로 안전하게 내릴 수 있도록 한다.Such an emergency rescue device (ARD) can automatically move the elevator to the nearest floor and can safely lower the passenger himself / herself when the elevator stops suddenly due to power failure or simple failure, The panic is removed and the elevator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nearest floor within a few minutes, so that the passengers can safely lower themselves.
그러나 종래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의 경우 승강기로 인가되는 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만 승강기를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지진 등의 이유로 승강기에 진동이 발생하여 승강기의 동작을 중단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대처 방안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only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vator is static, the elevator is moved to the nearest layer. If the elevator is to be shut down due to vibration due to an earthquake or the like, But it does not have the probl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승강기의 운행 중 발생하는 정전뿐만 아니라 지진에도 승강기의 정상 운행을 중단시켜 사용자가 안전하게 승차장으로 하차 대피시킬 수 있는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which stop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not only against a power failure occurring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an elevator in which a user can safely get off and leave the bus stop.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승강기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지진에 따른 제1 비상 탈출 모드와 정전에 따른 제2 비상 탈출 모드에 따라 상이한 안내 방송을 출력하여 승객에게 비상 상태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which can output a different announcement broadcast according to a first emergency exit mode according to an earthquake occurring 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a second emergency exit mode according to a power failure, And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승강기의 정상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과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정확하게 구분 판단하여 지진 발생시 승객을 안전하게 가까운 승차장에 하차 대피시킬 수 있는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an elevator capable of precisely distinguishing vibrations generated during normal operation of an elevator and vibrations generated by an earthquake to evacuate passengers safely to a nearby bus stop when an earthquake occurs will b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승강기의 정상 운행 중 승강장에서 승강기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승강기의 적재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승강기의 적재 무게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수평 진동 또는 수직 진동을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정확하게 구분 판단하여 정상 운동 중 승강기의 오류 동작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detecting a load weight change of an elevator in a state in which a door of an elevator is opened on a platform during a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an elevator capable of precisely distinguishing a generated vibration from an accident, and preventing an erroneous operation stop of an elevator during normal opera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승강기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와, 승강기에 발생한 진동 또는 승강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정전 여부를 판단하여 승강기의 비상 탈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원을 충전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기로 비상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승강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에 안내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ib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vibration of an elevator, and a controller for judging whether or not a power source applied to the elevator, A battery unit for charging the power source and providing emergency power to the elev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nnouncement broadcast to the user who rides in the elev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승강기의 진동 패턴을 판단하는 진동 패턴 판단부와, 승강기의 진동 크기를 임계 진동 크기와 비교하는 진동 크기 판단부와, 진동 패턴과 진동 크기에 기초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지진 판단부와, 승강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정전 여부를 판단하는 정전 판단부와, 지진 발생 여부 또는 승강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정전 여부에 따라 승강기의 비상 탈출 동작을 제어하는 탈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pattern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vibration pattern of the elevator, a vibration magnitude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vibration magnitude of the elevator with a critical vibration magnitude, An emergency stop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elevator is static, and an emergency escape oper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mergency escape operation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whether an earthquake has occurred or a power source applied to the elevator is turned off And an escap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탈출 제어부는 지진 발생 여부에 따라 제1 비상 탈출 모드로 동작 제어하며, 정전 발생 여부에 따라 제2 비상 탈출 모드로 동작 제어하는데, 제1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탈출 제어부는 지진 발생 안내 방송을 출력부로 출력 제어하며, 제2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탈출 제어부는 정전 발생 안내 방송을 출력부로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scap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in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according to whether an earthquake has occurr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in the second emergency escape mode according to whether a power failure has occurred or not. In the case of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And the escap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outage occurrence announcement broadcast to the output unit in the case of the second emergency exit mode.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패턴 판단부는 승강기의 진동이 정상 동작에 따라 수직 진동 패턴으로 발생하는 것인지 또는 불규칙 수평 진동 패턴으로 발생하는지 판단하며, 지진 판단부는 승강기에 불규칙 수평 진동 패턴의 진동이 임계 진동 크기 이상으로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임계 시간 동안 불규칙 수평 진동 패턴의 진동이 임계 진동 크기 이상 발생한 횟수를 카운트하며, 발생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지진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ibration patter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ibration of the elevator is generated in a vertical vibration pattern or an irregula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in accordance with a normal operation, and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vibration of the irregula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is greater than a critical vibration size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vibration of the irregula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exceeding the threshold vibration magnitude is counted based on the time point when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occurred. When the occurrence frequency is more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it is determined that an earthquake has occurred.
본 발명에 따른 탈출 제어부는 상기 제1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승강기를 현재 위치에서 인접한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 제어하며, 승강기를 승강장으로 이동 제어 후 승강기의 문을 개방 제어하며, 승강기의 문을 개방 제어 후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승강기로 입력되는 호출 명령을 차단하고 승강기의 이동 명령을 차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the escap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platform of the adjacent floor, controls the door of the elevator to open after controlling the elevator to move to the platform, The control unit interrupts the call command input to the elevator until the initialization command after the control is inputted and controls the movement command of the elevator to be blocked.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는 승강기 내부에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탈출 제어부는 탑승 감지부를 통해 승강기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비상 탈출 모드 또는 제2 비상 탈출 모드에 따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oard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user is boarding the elevator. When the boarding detec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elevator through the boarding detection unit, Mode or the second emergency exit mod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비상 탈출 장치는 승강기의 적재 무게 변화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지진 판단부는 승강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 후 승강기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설정된 임계 무게 이상으로 승강기의 적재 무게가 변화하며 발생하는 수평 진동 또는 수직 진동을 발생 횟수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eight sensing unit for sensing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elevator.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at the elevator is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after the elevator moves to a platform And the horizontal vibration or the vertical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weight of the elevator is changed over the set critical weight is excluded from the occurrence frequency.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승강기의 운행 중 발생하는 정전뿐만 아니라 지진에도 승강기의 정상 운행을 중단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안전하게 승차장으로 하차 대피시킬 수 있다.First,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p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not only the power failure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ut also the earthquake, so that the user can safely get off and leave the bus stop.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승강기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지진에 따른 제1 비상 탈출 모드와 정전에 따른 제2 비상 탈출 모드에 따라 상이한 안내 방송을 출력함으로써, 승객에게 비상 상태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Second,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different announcement broadcast according to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according to the earthquake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the second emergency escape mode according to the power failure, Can guid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승강기의 정상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과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정확하게 구분 판단함으로써, 지진 발생시 승객을 안전하게 가까운 승차장에 하차 대피시킬 수 있다.Thirdly,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distinguish between the vibration occurring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the vibra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so that the passenger can safely get off at a nearby bus stop when an earthquake occurs.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승강기의 정상 운행 중 승강장에서 승강기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승강기의 적재 무게 변화를 감지하여 승강기의 적재 무게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수평 진동 또는 수직 진동을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정확하게 구분 판단함으로써, 정상 운동 중 승강기의 오류 동작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Fourth, in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from the platform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horizontal or vertical vibration generated by changing the weight of the elevator By precisely distinguishing the vibra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rroneous operation of the elevator from being interrupted during the normal movement.
도 1은 승강기의 일반적인 동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지진 판단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승강기에 발생하는 진동 패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승강기에 발생하는 진동 크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general operation system of an elevator.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vibration pattern generated in an elevator.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magnitude of vibration occurring in an elevato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of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고로 승강기의 일반적인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승강기(30)는 건물에 형성되어 있는 승강구(20)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승객이 요청한 층의 승강장에 정지하여 승객 또는 화물을 탑승시키거나 하차시키는데, 승강기(3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건물의 상부에 기계실(10)이 구비되어 있다. 기계실(10)의 내부에는 승강기(30)를 승강구(20)를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40)가 설치되어 있는데, 구동부(40)는 일측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1)와, 모터(41)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소정의 속도로 승강기(30)가 이동되도록 하는 감속기와, 감속기의 회전력에 의해 승강기(30)를 승강구(2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풀리(43)를 구비하고 있다. 1, the elevator 3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entrance 20 formed in the building, stops at the platform of the floor requested by the passenger, To move the elevator 30, a machine room 10 is usually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A driving unit 40 for moving the elevator 30 along the elevation opening 20 is provided in the machine room 10. The driving unit 40 includes a motor 41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one side, And a pulley 43 for moving the elevator 30 in the elevation direction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eed reducer.
풀리(43)에는 와이어가 감겨져 승강기(30) 상부에 설치되고, 승강기(30)가 승강구(20)에서 이동이 원활하도록 승강기(30)의 무게보다 무겁게 설치된 추(50)가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된다.A wire 50 is wound on the pulley 43 and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30. A weight 50 installed to be heavier than the weight of the elevator 3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re so that the elevator 30 can move smoothly do.
한편, 기계실(10)에는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반(60)이 구비되어 있는데, 메인제어반(60)은 크게 승강기(30)를 구동시키거나 운행에 필요한 모든 신호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거나, 승강기(30)가 승강구(20)에서 이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구동부(40)와 승강기(30)에 제공하거나, 승강기(30)에 승객이 원하는 층에 하차거나 탑승시에 승강기(30)의 문을 개방 제어하여 승객이 편리하게 탑승 및 하차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machine room 10 is provided with a main control panel 6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main control panel 60 is used for driving the elevator 30 or controlling all the signals required for the opera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driving unit 40 and the elevator 30 with power necessary for the elevator 30 to move from the elevator door 20 to the door 30 of the elevator 30, So that passengers can conveniently board and get off.
한편, 기계실의 일측 또는 승강기의 지붕 상면에는 정전시 또는 지진 발생시 승강기(30)를 가까운 층의 승강장으로 강제 이동시켜 승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키는 비상탈출장치가 배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safely evacuating passengers by forcibly moving the elevator 30 to a landing area of a nearby floo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chine room or on the roof top surface of the elevator when a power failure or an earthquake occur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진동 감지부(110)는 승강기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며, 감지한 진동에 따라 진동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제어부(130)는 진동 감지부(110)에서 제공된 진동 신호 또는 승강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정전 여부에 따라 승강기의 정상 동작을 제어하거나 비상 탈출 동작을 제어한다. 2, the vibration sensing unit 110 senses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elevator, generates a vib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sensed vibration, and provides the generated vibr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30. FIG.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or the emergency escape oper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vibration signal provid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110 or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vator is static electricity.
제어부(130)는 진동 신호로부터 승강기에 발생한 진동의 진동 패턴 또는 진동 크기에 기초하여 승강기에 발생한 진동이 지진으로부터 기인한 진동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지진으로 인해 승강기에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승강기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층으로 승강기를 강제 이동시켜 승강기 내부의 승객이 안전하게 승강장으로 하차 대피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elevator is a vibra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based on the vibration pattern or the vibration magnitude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elevator from the vibration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vibration occurs in the elevator due to the earthquake, The passenger in the elevator can be safely moved off the platform to evacuate the elevator.
또한, 제어부(130)는 정전이 발생하여 승강기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배터리부(150)의 비상 전원을 이용하여 승강기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층으로 승강기를 강제 이동시켜 승강기 내부의 승객이 안전하게 승강장으로 하차 대피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vator is shut off due to a power outage, the control unit 130 forcibly moves the elevator to a layer nea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using the emergency power source of the battery unit 150, Escape safely to the platform to evacuate.
바람직하게, 제어부(130)는 지진 발생 여부에 따라 제1 비상 탈출 모드로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정전 발생 여부에 제2 비상 탈출 모드로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제어부(130)는 탑승 감지부(180)를 통해 승강기 내부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는 경우 제1 비상 탈출 모드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70)를 통해 승객에 지진 발생을 안내하거나 제2 비상 탈출 모드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부(170)를 통해 승객에 정전으로 승강기가 운행 중단됨을 안내한다. 여기서 탑승 감지부(180)는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이 승강기 내부에 승객이 탑승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the first emergency exit mode 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the second emergency exit mode depending on whether a power failure occurs or not, If the passenger is on the inside of the elevator through the first emergency exit mode 180, generates a guidance message according to the first emergency exit mode and guides the passenger through the output unit 170 to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or a guidance mess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ergency exit mode And informs the passenger through the output unit 170 that the elevator stops operating due to a power failure. Here, the boarding detection unit 18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an infrared sensor, that can detect whether or not a passenger is boarded in an elevator, which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무게 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무게 감지부(190)는 승강기의 적재 무게를 측정하며 제어부(130)는 승강기의 동작 상태와 승강기의 적재 무게 변화에 기초하여 승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승객의 승하차 또는 무거운 화물의 승하차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지진에 의해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승강기의 정상 운동 중 발생하는 승객의 승하차 또는 무거운 화물의 승하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하여 승강기가 오류로 비상 탈출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eight sensing unit 190. The weight sensing unit 190 measures the weight of the elevator and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elevator is caused by the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the heavy cargo getting on or off, or the earthquake. Based on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passeng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vator from operating in the emergency escape mode due to an erro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진동 패턴 판단부(131)는 진동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기에서 발생한 진동의 진동 패턴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진동 감지부는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수직 방향의 진동과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기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각각 감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진동 패턴 판단부(131)는 진동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기의 진동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는지 진동 패턴을 판단한다. 진동 패턴 판단부(131)는 승강기에서 수평 진동 패턴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수평 진동 패턴이 서로 다른 크기와 간격으로 불규칙한 진동으로 발생하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The vibration pattern determination unit 131 determines the vibration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elevator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vibration sensing uni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may detect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elevator, and vibr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vator, The vibration pattern determination unit 131 determines the vibration pattern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vibration of the elevator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ibration pattern determination unit 131 can also determine whethe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s occur at irregular vibrations of different sizes and intervals when the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vibrates in the elevator.
한편, 진동 크기 판단부(133)는 진동 감지부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기에서 발생한 진동의 크기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size determination unit 133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elevator based on the vibration signal provided from the vibration sensing unit.
지진 판단부(135)는 진동 패턴 판단부(131)와 진동 크기 판단부(133)에서 판단한 승강기의 진동 패턴과 진동 크기에 기초하여 지진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하는데, 지진 판단부(135)는 임계 진동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불규칙한 수평 패턴의 진동이 최초 발생한 시점부터 임계 시간 동안에 설정된 회수 이상으로 임계 진동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불규칙한 수평 패턴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지진 판단부(135)는 임계 진동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불규칙한 수평 패턴의 진동이 임계 시간 동안 발생한 횟수를 카운트하며, 카운트한 발생 횟수가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진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통해 지진 판단부(135)는 승강기의 정상적 동작 중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수평 패턴 진동으로 인하여 승강기가 작동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135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earthquake has occurred based on the vibration pattern and the vibration magnitude of the elevator determined by the vibration pattern determination unit 131 and the vibration magnitude determination unit 133.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135 determines,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an earthquake has occurred when a vibration of an irregular horizontal pattern having a magnitud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critical vibration magnitude exceed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during the critical time from the time when the vibration of the irregular horizontal pattern having the siz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gnitude is generated. That is,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135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vibration of the irregular horizontal pattern having the magnitud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vibration magnitude occurs during the critical time, and determines that the vibration occurs when the counted number of occurrences occurs more than the set number of times. Accordingly,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135 can prevent the elevator from being shut down due to the horizontal pattern vibration temporarily generated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한편, 정전 판단부(137)는 승강기로 인가되는 동작 전원을 모니터링하여 승강기로 인가되는 동작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failure determination unit 137 may monitor the operation power applied to the elevator and judge that a power failure occurs when the operation power applied to the elevator is interrupted.
탈출 제어부(139)는 지진 판단부(135)에서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비상 탈출 모드로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정전 판단부(137)에서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비상 탈출 모드로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종래 정전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 동작 제어뿐만 아니라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도 승객이 안전하게 승강기로부터 하차하도록 승강기의 비상 동작을 제어하는데, 탈출 제어부(139)는 지진의 발생과 정전의 발생을 구분하여 지진 발생의 경우 제1 비상 탈출 모드로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정전 발생의 경우 제2 비상 탈출 모드로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escape control unit 139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arthquake has occurred in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135.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failure has occurred in the power failure determination unit 137,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the escape mode.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ontrols the emergency operation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ower failure but also controls the emergency operation of the elevator so that the passenger safely descends from the elevator even if an earthquake occur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ontrolled in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in case of earthquake occurrence and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controlled in the second emergency escape mode in case of power failure.
본 발명에 따른 탈출 제어부(139)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탈출 제어부(139)는 지진 발생을 승객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부로 출력 제어하거나, 제2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정전 발생을 승객에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부로 출력 제어한다.In the first emergency exit mode, the escape control unit 139 generates a guidance message for guiding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to the passenger and controls the output to the output unit, In the emergency escape mode, a guidance message for guiding generation of a power failure to the passenger is generated and output control is performed to the output unit.
한편, 탈출 제어부(139)는 제1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제1 비상 탈출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를 메인 제어반으로 송신하며, 승강기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층의 승강장으로 승강기를 이동 제어하며, 승강장으로 이동 후 승강기의 문을 개방 상태로 유지 제어하여 승객이 안전하게 승강기로부터 하차하도록 한다. 또한, 지진으로 인하여 승강기의 문이 개방된 경우 탈출 제어부(139)는 입력되는 승강기의 호출 명령이나 이동 명령이 메인 제어반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탈출 제어부(139)는 승강기의 재동작을 위한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1 비상 탈출 모드의 해제를 알리는 제어 신호를 메인 제어반으로 송신하며, 이에 따라 승강기는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the escape control unit 139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to the main control panel, moves the elevator to the platform of the floor neares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The door of the elevator after the elevator is kept in the open state, so that the passenger can safely get off the elevator.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due to the earthquake, the escape control unit 139 blocks the call command or the movement command of the inputted elevato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panel. The escape control unit 139 initializes the elevator When the command is inputted, a control signal for notifying the release of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panel, so that the elevator performs normal operation again.
또한, 탈출 제어부(139)는 제2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승강기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층의 승강장으로 배터리부의 비상 전원을 이용하여 이동 제어하며, 승강장으로 이동 후 승강기의 문을 개방 상태로 유지 제어하여 승객이 안전하게 승강기로부터 하차하도록 한다. 정전으로 인하여 승강기의 문이 개방된 경우 탈출 제어부(139)는 이동 명령 또는 호출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승강기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며, 메인 제어반으로부터 제2 비상 탈출 모드의 해제를 알리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따라 승강기는 다시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In the second emergency escape mode, the escape control unit 139 performs movement control using the emergency power source of the battery unit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elevator to the landing area of the nearest floor, and controls the door of the elevator to be opened Allow passengers to safely get off the elevator.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due to a power failure, the escape control unit 139 controls the elevator not to move even if a move command or a call command is input,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informing the main control board of the cancellation of the second escape mode Accordingly, the elevator is operated again normally.
바람직하게, 탈출 제어부(139)는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정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먼저 탑승 감지부를 통해 승강기 내부에 승객이 탑승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승강기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경우에 한해, 앞서 설명한 제1 비상 탈출 모드 또는 제2 비상 탈출 모드에 따라 승강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승강기 내부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은 경우 승강기를 가까운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 제어없이 즉시 동작을 중단 제어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n earthquake has occurred or a power failure has occurred, the escape control unit 139 firs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assenger is boarding the elevator through the boarding detection unit, and if the passenger is boarding the elevato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or the second emergency escape mode as described above, and immediately stops the operation without moving the elevator to the platform of the nearest floor when the passenger is not boarded inside the elevator.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는 승강기의 정상적인 동작 중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지진으로 인한 진동으로 오인하여 승강기의 동작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동작 상태 또는 승강기의 적재 무게 변화를 고려하여 지진에 의해 승강기에 진동이 발생한 것인지 판단한다.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from being interrupted by mistaking the vibration temporarily generated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as a vibration due to the earthquake, It is determined whether vibration has occurred in the elevator due to an earthquake.
도 4를 참고로 살펴보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인 제어반은 지진 판단부(135)로 승강기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무게 감지부(190)는 지진 판단부(135)로 승강기의 적재 무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메인 제어반은 지진 판단부(135)로 승강기가 승강구를 따라 이동 중인지, 특정 승강장에 정지한 상태인지, 정지한 승강장에서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를 지진 판단부(135)로 제공한다.4, the main control panel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to the earthquake determining unit 135, and the weight detecting unit 190 detects the weight of the elevator by the earthquake determining unit 135 Provide information about That is, the main control panel informs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135 of information on whether the elevator is moving along the hatch, whether it is stationary at a specific platform, and whether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 at a stationary platform, ).
지진 판단부(135)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강기에서 발생한 진동 크기 또는 진동 패턴을 판단하여 임계 크기(DT, DB) 이상의 불규칙 수평 진동 패턴이 발생한 시점(T0)으로부터 임계 시간(T) 동안 임계 크기 이상의 불규칙 수평 진동 패턴이 발생한 횟수를 카운트하며, 카운트한 발생 횟수가 설정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critical time from the seismic determiner 135 point is generated is irregula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than to determine the vibration amplitude or vibration pattern generated in the lift critical dimension (D T, D B), as shown in FIG. 6 (T 0) Counts the number of times the irregula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is generated during the period T. If the counted number of times exceeds the set number, it is determined that an earthquake has occurred.
지진 판단부(135)는 발생 횟수를 카운트시 승강기의 정상적인 동작 중 발생한 진동은 발생 횟수에서 제외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 후 승강기의 문이 개방된 상태인지 판단하며, 승강기의 문이 개방되기 직전의 적재 무게와 승강기의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기의 적재 무게를 비교하여 설정된 임계 무게 이상으로 승강기의 적재 무게가 변화하며 발생하는 수평 진동 또는 수직 진동을 카운트한 발생 횟수에서 제외한다.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135 excludes the vibration occurring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during the counting of the number of occurrences from the number of occurrences. More specifically, if the elevator moves to the platform of the set floor according to the user command, The load weight immediately before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and the load weight of the elevator when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Exclude from the count of occurrences.
이를 통해 승강기의 정상적인 동작 중 승강기의 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무거운 화물을 승차 또는 하차하며 발생되는 진동을 지진으로 인한 진동으로 오판하여 승강기가 제1 비상 탈출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vator from operating in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by misjudging the vibration generated by riding or getting off the heavy cargo while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 dur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진동 감지부 130: 제어부
150: 배터리부 170: 출력부
180: 탑승 감지부 190: 무게 감지부
131: 진동 패턴 판단부 133: 진동 크기 판단부
135: 지진 판단부 137: 정전 판단부
139: 탈출 제어부110: vibration detection unit 130:
150: battery unit 170: output unit
180: boarding sensing unit 190: weight sensing unit
131: Vibration pattern determination unit 133: Vibration size determination unit
135: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137:
139:
Claims (7)
승강기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감지한 승강기 진동이 수직 진동 패턴으로 발생하는지 또는 불규칙 수평 진동 패턴으로 발생하는지 진동 패턴을 판단하는 진동 패턴 판단부와 상기 승강기의 진동 크기를 임계 진동 크기와 비교하는 진동 크기 판단부와, 상기 진동 패턴과 상기 진동 크기에 기초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지진 판단부와, 상기 승강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정전 여부를 판단하는 정전 판단부를 구비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충전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기로 비상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 및
상기 승강기의 적재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진 판단부는 상기 승강기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설정된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 후 승강기의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설정된 임계 무게 이상으로 승강기의 적재 무게가 변화하며 발생하는 수평 진동 또는 수직 진동을 제외하고 승강기에 불규칙 수평 진동 패턴의 진동이 임계 진동 크기 이상으로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임계 시간 동안 불규칙 수평 진동 패턴의 진동이 임계 진동 크기 이상 발생한 횟수를 카운트하여 지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장치. In an emergency escape apparatus of an elevator,
A vib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vibration of the elevator;
A vibration patter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elevator vibration occurs in a vertical vibration pattern or an irregula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a vibration size determination unit for comparing the vibration size of the elevator with a critical vibration size, An earthquak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n earthquake has occurred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and a power failur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elevator is in a power-off state. And
A battery unit charging the power source and providing an emergency power source to the elev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d a weight sensing unit for sensing a weight of the elevator,
The earthquak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earthquake has occurred in the elevator except for the horizontal vibration or the vertical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weight of the elevator is changed over the critical weight set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Wherein an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s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vibration of the irregula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vibration magnitude during the critical time based on a time when the vibration of the irregular horizontal vibration pattern occurs at or above the critical vibration magnitud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강기 내부에 탑승한 사용자에 안내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장치.2. The emergency escape device of claim 1,
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nnouncement broadcast to a user who is inside the eleva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지진 발생 여부 또는 상기 승강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정전 여부에 따라 상기 승강기의 비상 탈출 동작을 제어하는 탈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n escap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mergency escap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accordance with whether an earthquake has occurred or a power failure of the power source applied to the elevator.
지진 발생 여부에 따라 제1 비상 탈출 모드로 동작 제어하며,
정전 발생 여부에 따라 제2 비상 탈출 모드로 동작 제어하는데,
상기 제1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상기 탈출 제어부는 지진 발생 안내 방송을 상기 출력부로 출력 제어하며,
상기 제2 비상 탈출 모드의 경우 상기 탈출 제어부는 정전 발생 안내 방송을 상기 출력부로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escape control unit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is controlled according to whether an earthquake occurs or not,
The operation is controlled in the second emergency escape mod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power failure has occurred,
In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the escape control unit outputs the earthquake occurrence announcement broadcast to the output unit,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emergency escape mode, the escap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blackout announcement announcement to the output unit.
상기 승강기를 현재 위치에서 인접한 층의 승강장으로 이동 제어하며,
상기 승강기를 승강장으로 이동 제어 후, 상기 승강기의 문을 개방 제어하며,
상기 승강기의 문을 개방 제어 후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상기 승강기로 입력되는 호출 명령을 차단하고 상기 승강기의 이동 명령을 차단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장치.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in the case of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Controls the elevator to move from a current position to a platform of an adjacent floor,
Controlling the door of the elevator to be opened after controlling the elevator to move to a landing platform,
Wherein the control unit interrupts the call command input to the elevator and controls the movement command of the elevator until the initialization command is inputted after the door of the elevator is controlled to be opened.
상기 승강기 내부에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탑승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출 제어부는 상기 탑승 감지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 내부에 사용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비상 탈출 모드 또는 상기 제2 비상 탈출 모드에 따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탈출 장치.6. The system of claim 5, wherein the emergency escap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oard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user is boarding the elevator,
Wherein the escap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ergency escape mode or the second emergency escape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boarded the elevator through the boarding detec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0158A KR101924942B1 (en) | 2017-03-09 | 2017-03-09 | Automatic rescue apparatus for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0158A KR101924942B1 (en) | 2017-03-09 | 2017-03-09 | Automatic rescue apparatus for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3344A KR20180103344A (en) | 2018-09-19 |
KR101924942B1 true KR101924942B1 (en) | 2019-02-27 |
Family
ID=6371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0158A KR101924942B1 (en) | 2017-03-09 | 2017-03-09 | Automatic rescue apparatus for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494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660B1 (en) | 2019-07-03 | 2020-12-28 | 정홍구 | Automatic rescue operation control program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0696A (en) * | 2006-02-07 | 2007-08-23 | Hitachi Ltd | Control device for elevator |
JP2008114958A (en) * | 2006-11-02 | 2008-05-22 | Hitachi Ltd | Elevator device |
JP2011011868A (en) * | 2009-07-02 | 2011-01-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Operation device of elevator |
-
2017
- 2017-03-09 KR KR1020170030158A patent/KR10192494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10696A (en) * | 2006-02-07 | 2007-08-23 | Hitachi Ltd | Control device for elevator |
JP2008114958A (en) * | 2006-11-02 | 2008-05-22 | Hitachi Ltd | Elevator device |
JP2011011868A (en) * | 2009-07-02 | 2011-01-20 | Mitsubishi Electric Corp | Operation device of elevat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660B1 (en) | 2019-07-03 | 2020-12-28 | 정홍구 | Automatic rescue operation control program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3344A (en) | 2018-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8475B1 (en) | Multi-car elevator | |
JP5526092B2 (en) | Electronic elevator | |
EP2085348B1 (en) | Elevator controller | |
JP5653758B2 (en) | Elevator equipment | |
WO2005105648A1 (en) | Elevator apparatus | |
EP3351498A1 (en) | Elevator hover mode operation using sensor-based potential load change detection | |
KR101924942B1 (en) | Automatic rescue apparatus for elevator | |
JP3375454B2 (en) | Elevator seismic control operation device | |
JP4265938B2 (en) | Elevator emergency operation device | |
JP2009196807A (en) | Elevator device | |
JP2014114157A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JPH0840658A (en) |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emergency brake of elevator | |
JP2007331902A (en) | Control device of elevator | |
WO2010100713A1 (en) | Controlled operation system for elevator | |
JP4265920B2 (en) |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 |
JP2004359405A (en) | Remote rescue method for elevator in case of earthquake | |
JP6997680B2 (en) | Elevator abnormality monitoring system and elevator abnormality monitoring method | |
KR100809373B1 (en) | Automatic Rescue Circuit of Elevator | |
JP4795124B2 (en) | Elevator control device | |
KR101604330B1 (en) | Door opening and shutting system for emergency in the elevator | |
JP4946027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7147900B1 (en) | elevator | |
KR102434859B1 (en) |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levator door | |
KR10211774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vator | |
JP6488229B2 (en) | Elevator device and confinement rescue oper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