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47B1 - A mold chan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 mold chang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347B1 KR101923347B1 KR1020180072048A KR20180072048A KR101923347B1 KR 101923347 B1 KR101923347 B1 KR 101923347B1 KR 1020180072048 A KR1020180072048 A KR 1020180072048A KR 20180072048 A KR20180072048 A KR 20180072048A KR 101923347 B1 KR101923347 B1 KR 101923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unit
- base material
- space
- cylindrical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extruding metal
- B21C23/212—Details
- B21C23/214—Devices for changing die or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32—Lubrication of metal being extruded or of dies, or the like, e.g. physical state of lubricant, location where lubricant is appli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5/00—Profiling tools for metal extruding
- B21C25/02—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1/00—Control devices, e.g. for regulating the pressing speed or temperature of metal;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f metal,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extrusion pr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3/00—Feeding extrusion presses with metal to be extruded ; Loading the dummy 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형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성형 시스템에 이용되어 재료의 가공 구경에 맞추어 금형을 교체할 수 있는 금형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산업의 발전으로 동일한 부품을 다량으로 양산하는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됨에 따라 일정한 형틀을 만들어서 대량으로 성형가공하는 프레스나 사출기, 압출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 technique of mass production of the same parts in large quantities has been required, so that a press, an injection machine, an extruder,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따라서 상기한 공작기계들은 모두가 형틀, 즉 금형을 제작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바 여기에 사용되는 금형이 점점 대형화됨으로써 인간의 힘으로는 금형을 교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Therefore, all of the above-mentioned machine tools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old, that is, a mold is used, and as the mold used in the mold becomes larger and larger, there is a limit in replacing the mold with human power.
그래서 처음에는 무거운 금형을 들어올리는 기중기를 사용하였으나 소형 이동식 기중기는 작업이 번거럽고, 대형 기중기는 설치하는데 비용이 많이 드는 만큼 효율적이지 못하고 경제성도 떨어졌다.So, at first, we used a heavy lifting crane, but the small mobile lifting cranes were cumbersome, and the large cranes were costly to install and were not as efficient and economical.
또 다른 방법으로 금형을 지게차 등으로 교체하는 방법을 실시하였으나 이는 기계의비용이 비싸고 운용에 운전기술을 숙지하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효율적인 작업을 위하여 설비한 설비라인에 운행함에 있어서 안전사고와 작업방해의 원인이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 시켜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한 원인이 되었다.Another method is to replace the mold with a forklift truck. However, the cost of the machine is high and it is necessary to know the operation technology for the operation. In order to operate efficiently, Causing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causing the work efficiency has become a cause of degrad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에 따라 금형을 교체할 수 있는 압출 성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rusion molding system capable of replacing a mold in accordance with a machining diameter of a cylindrical base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는,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압출 성형하는 압출 성형시스템 - 상기 가열장치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를 상기 프레임부가 제공하는 작업공간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원통형 모재를 가압하는 압출성형장치,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압출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압출성형장치에 의해 가압된 상기 원통형 모재의 구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금형 및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에 맞추어 금형을 교체하는 금형교체장치를 구비함 - 에 이용되는 금형교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이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제1 폭방향 또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2 폭방향으로의 상기 금형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금형을 상기 제1 폭방향 또는 상기 제2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금형이동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신호감지부 및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은,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금형부, 제2 금형부, 제3 금형부로 구성되고, 상기 금형에 의해 압출되는 가공 구경은, 상기 제1 금형부, 상기 제2 금형부 및 상기 제3 금형부 각각에 장착되는 구경부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를 제1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1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1 구경부 및 상기 원통형 모재를 제2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2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2 구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1 압출공간 또는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A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rusion molding system for extruding a cylindrical base material heated by a heating device, a frame portion disposed apart from the heating device, a cylindrical base material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o the work space provided in the frame part; a housing space located above the frame part for hous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A mol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portion to provide an extrusion space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reform pressed by the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nd a mold replacement device for replacing the mold in accordance with the machining aperture of the mold And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ld in a first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or a second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on which the mold is mounted, An input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nput signal by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ld based on a sensing result of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A first mold portion, a second mold portion, and a third mold portion, which are sequentially disposed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toward the other side, The second mold portion and the third mold portion, and the bore portion is formed by a first extrusion space for reduc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o a first bore And a second bore for providing a second bore for reduc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o a second bor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bore of the cylindrical bore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inputted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The mold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pace and the first extruding space or the containing space and the second extruding spac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는 연결된 채,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안착되며, 상기 금형이동부는, 상기 제1 금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금형부를 상기 제1 폭방향 또는 상기 제2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금형이동부에 의한 상기 제1 금형부의 위치 이동에 연동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of 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formed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a second guide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guide portion, Wherei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seated on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moving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ortion may be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mold portion by the moving portion of the mo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1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1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1 압출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2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2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2 압출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the first diameter is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cylindrical bor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the second bore diameter is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so that the second extrusion The mold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space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의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연결은, 상기 제1 금형부 또는 상기 제2 금형부의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구현되며, 상기 금형을 구성하는 각각의 금형부는, 상기 압출성형장치와 대향하는 제1 대향면, 상기 제1 대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대향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금형부는, 상기 제2 금형부와 대향하는 제1-1 측면으로부터 함입된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1 금형부와 대향하는 제2-2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1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연장부의 종단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는, 상기 제1-1 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1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부 및 상기 형상부와 연결된 채 함입되되, 상기 제1 확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대응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of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of 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mold part or the second mold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Wherein each of the metal molds constituting the metal mold has a first opposing face opposing the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 second opposing fac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opposing face, and a second opposing face opposing the first opposing face, A second side connecting the first opposing surface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and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opposing surface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wherein the first mold portion , And a depressed portion embedded from a 1-1 side surface facing the second mold portion, wherein the second mold portion has a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2-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mold portion , And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formed in a shape larger than a terminal area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n extension corresponding portion embedded in the shap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의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함입부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함입부로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of 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ram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frame And the second mold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ld portion according to insertion of the first protrusion into the recessed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의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1 금형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금형부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확장대응부를 통한 상기 제1 확장부로의 외력 인가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와 연동될 수 있다.The second mold portion of 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rst mold portion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mold portion, And can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ld par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an external force to the extension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제1 길이방향 또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2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를 제3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3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3 구경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금형부로의 상기 제3 구경부의 장착을 위한 사용자의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제3 금형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안착된 채, 상기 가이드이동부에 의해 상기 제1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안착된 상기 제1 금형부 및 상기 제2 금형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moving unit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second guide unit and being moved in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unit or a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guide moving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and the aperture unit further includes a third aperture unit for providing a third extrusion space for reduc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o a third aperture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rame portion to facilitate a user's operation for mounting the third bore portion to the third mold portio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re moved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guide moving portion and are seated on the first guide portion,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3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2 금형부의 제1 대향면과 상기 제3 금형부의 제2 대향면이 대향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금형부와 상기 제3 금형부가 중첩되어 배치되면, 상기 제3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가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3 금형부의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금형부에 의해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금형부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제3 금형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금형부와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thi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the third diameter is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mold portion and the third mold portion are overlapped and arranged, the mold control portion controls the mold mov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opposing surface of the third mold portion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of the third mold port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controls the guide moving unit so that the first mold unit and the second mold unit move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mold unit moves the second mold unit in the second mold uni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hird mold unit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mold part is moved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to release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mold part, and the third mold part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mold part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ld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의 상기 제3 금형부는, 상기 제2 금형부와 대향하는 제2-3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3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2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2 연장부의 종단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제1 확장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 상기 제3 금형부의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함입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함입부에 삽입될 수 있다.The third mold portion of 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protruded from a second side of the second mold opposite to the second mold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formed in a shape larger than a terminal area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third side toward the first 1-2 side, Wherein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xtending portio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ird cylindrical member whe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Light ,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first and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and slide along the embedded portion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aid constri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에 따라 금형을 교체하여 다양한 구경의 제조물을 제조하기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 product having various diameters by replacing a mold in accordance with a machining diameter of a cylindrical base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시스템의 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압출부 및 공간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공기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usion mo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transfer unit of an extrusion mo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rrangements of a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4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n extrusion portion and a space providing portion of a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n air injection part of a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23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압출 성형시스템Extrusion mold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시스템의 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usion mo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transfer unit of an extrusion mo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압출 성형시스템은, 압출 성형장치 및 금형교체장치를 포함하므로, 상기 압출 성형장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고, 상기 금형교체장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15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Since the extrusion mol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nd a mold changing apparatu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xtrusion molding apparatus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4,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셩형시스템은, 가열장치(Q)에 의해 가열된 금속재료를 압연하여, 제조된 원통형 모재(M)를 제조하고자 하는 가공 구경으로 압출하기 위한 압출 성형시스템(1)이다.1 to 23, an extrusion-kneading typ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a metal material heated by a heating device Q is rolled, and a cylindrical workpiece M, (1).
상기 압출 성형시스템(1)은, 프레임부(10), 이송유닛(20), 압출성형장치(30), 금형(40) 및 금형교체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프레임부(10)는, 상기 가열장치(Q)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선반 형태로 형성된 채, 상기 압출성형장치(30), 금형(40) 및 금형교체장치(5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가열장치(Q)에 의해 가열된 원통형 모재(M)를 상기 프레임부(10)가 제공하는 작업공간(T, 도 6 참조)으로 이송할 수 있다.The
여기서, 작업공간(T)이란,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압출성형장치(30) 및 금형(40)에 의해 가공되기 위해, 이동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압출성형장치(30)와 인접한 위치의 공간을 의미한다.Here, the work space T means a space in which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is moved to be processed by the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제공한다. The
상기 금형(40)은, 상기 프레임부(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S)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압출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압출성형장치(3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구경이 축소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금형교체장치(50)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에 맞추어 금형(40)을 교체할 수 있다.The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가열장치(Q)의 토출구(Q1)로부터 토출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가열장치(Q)로부터 상기 압출성형장치(30)를 향한 제1 방향(D1)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21) 및 상기 제1 이송부(21)에 의해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작업공간(T)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22)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이송부(21)는,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롤러를 구비한 제1-1 이송부(211) 및 상기 제1-1 이송부(211)를 따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제1 위치(도 2 참조)에서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제2 위치(도 3 참조)로 회동되는 제1-2 이송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이송부(22)는, 상기 제1-2 이송부(21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2 이송부(212)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제1-2 이송부(212)와 나란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2 이송부(212)로부터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금형교체장치(50)는, 상기 제1-2 이송부(212)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1-2 이송부(212) 상에 안착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가압하여, 상기 원?형 모재가 상기 제1-2 이송부(212)로부터 상기 제2 이송부(22)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가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이송가압부(60)에 의해 가압력은, 상기 제2 방향(D2)이다.Here, the pressing force by the
또한, 상기 제2 이송부(22)는, 상기 제1-2 이송부(212)로부터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위치 이동되어 안착되면, 상기 제1-2 이송부(212)의 배치 높이와 동일한 제1 높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하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압출성형장치(30)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is moved and seated from the first to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제2 이송부(22)를 구성하는 복수의 회전롤러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22)가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로 하강하며, 상기 제2 이송부(22) 상에 안착된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접촉되는 접촉경사부(24, 도 5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접촉경사부(24)는, 상기 제2 이송부(22)로부터 멀어지는 제3 방향(D3, 도 6 참조)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이송부(22)의 상기 제1 높이에서 상기 제2 높이로의 하강 중에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접촉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자중에 의해 상기 제3 방향(D3)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작업공간(T)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배치부(31), 압출부(33) 및 공간제공부(35)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배치부(31)는, 상기 작업공간(T) 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수용공간(S, 도 9 참조)과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The
상기 압출부(33)는, 상기 배치부(31)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M)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수용공간(S)을 지나 상기 금형(40)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공간제공부(35, 도 9 참조)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금형(40)으로의 이동 경로인 수용공간(S)을 제공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금형(40)으로의 평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9) provides a space S for accommodat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to the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상기 안착부(312)로의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안착 전에, 상기 제3 위치의 상기 안착부(312) 상에 배치된 가열된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상기 압출부(33)가 용착(鎔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착방지물(P, 도 6 참조)을 안착시키는 용착방지부(37, 도 6 참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용착방지부(37)는, 상기 용착방지물(P)이 수용된 방지물수용부(371) 및 상기 방지물수용부(371)로부터 상기 작업공간(T)까지 형성된 채, 상기 용착방지물(P)을 이송하는 방지물이송부(37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압출성형장치(3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details of the
한편, 상기 금형교체장치(50)는, 가이드부(51, 도 10 참조), 금형이동부(53, 도 10 참조), 입력신호감지부(55, 도 23 참조) 및 제어부(57, 도 23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금형(40)이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제1 폭방향(W1, 도 15 참조) 또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제2 폭방향(W2, 도 17 참조)으로의 상기 금형(40)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guide portion 51 is formed in the guide portion 51 so that the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금형(40)을 상기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제2 폭방향(W2)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The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55 may sense an input signal by a user.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의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금형(40)은,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금형부(41, 도 15 참조), 제2 금형부(42, 도 15 참조) 및 제3 금형부(43, 도 15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금형(40)에 의해 압출되는 가공 구경은, 상기 제1 금형부(41), 상기 제2 금형부(42) 및 상기 제3 금형부(43) 각각에 장착되는 구경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bore diameter extruded by the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1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1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1 구경부(41a) 및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2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2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2 구경부(42a)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re portion includes a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제1 압출공간 또는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제2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금형교체장치(50)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details of the
압출성형장치Extrusion molding device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압출부 및 공간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S. 5 to 8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4 are views showing an extrusion section and a space providing section of a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또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 성형장치의 공기분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5 and 16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n air injection part of a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장치(30)는, 상술한 압출 성형시스템(1)에 이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The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배치부(31), 압출부(33) 및 공간제공부(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배치부(31)는, 상기 작업공간(T) 내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상기 수용공간(S)과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배치부(31)는, 상기 프레임부(10)에 장착된 채, 회동되는 회동부(311) 및 상기 회동부(311)에 연결되며, 상기 이송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안착되는 안착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회동부(311)는, 상기 안착부(312)가 상기 프레임부(10)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3 위치(도 7 참조)에서, 상기 안착부(312)가 상기 수용공간(S)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4 위치(도 8 ?조)로 위치 이동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7) in which the
상기 안착부(312)는, 측면이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회동부(311)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개구된 측면이 상기 이송유닛(2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원통형 모재(M)를 향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안착부(312)는,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회동보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회동되면, 상기 개구된 측면이 상측을 향하게 되고, 반원통 형상이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측면 및 바닥면을 포위하게 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안착부(312)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상기 압출부(33)는, 상기 배치부(31)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M)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부개가 상기 수용공간(S)을 지나 상기 금형(40)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공간제공부(35)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금형(40)으로의 이동 경로인 수용공간(S)을 제공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상기 금형(40)으로의 평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상기 안착부(312)로의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안착 전에, 상기 제3 위치의 상기 안착부(312) 상에 배치된 가열된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상기 압출부(33)가 용착(鎔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착방지물(P)을 안착시키는 용착방지부(37)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용착방지부(37)는, 상기 용착방지물(P)이 수용된 방지물수용부(371) 및 상기 방지물수용부(371)로부터 상기 작업공간(T)까지 형성된 채, 상기 용착방지물(P)을 이송하는 방지물이송부(37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압출부(33)는, 위치이동부(331) 및 삽입부(33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위치이동부(331)는, 상기 공간제공부(35)와 멀어지는 제3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상기 삽입부(333)는, 상기 위치이동부(331)의 상기 공간제공부(35)와의 대향면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간(S)의 종단면적의 크기와 같거나 작은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ng
한편, 상기 배치부(31)는,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333)와 상기 공간제공부(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삽입부(333)는, 상기 배치부(31)가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4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배치부(31)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M)를 가압하여, 상기 원통형 모재(M)가 상기 수용공간(S)을 통해 상기 금형(40)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안착부(312)는, 상기 압출부(33)로부터 상기 공간제공부(35)를 향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안착부(312a) 및 제2 안착부(312b)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회동부(311)는, 상기 제1 안착부(312a)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안착부(312a)를 회동시키는 제1 회동부(311a) 및 상기 제2 안착부(312b)와 연결된 채, 상기 제2 안착부(312b)를 회동시키는 제2 회동부(311b)를 구비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안착부(312)는, 상기 삽입부(33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시, 상기 위치이동부(33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안착부(312a)가 상기 제2 안착부(312b)보다 먼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상기 공간제공부(35)는, 상기 삽입부(333)에 의한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유입 시, 상기 금형(40)과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공간제공부(35)는, 상기 삽입부(333)에 의한 상기 원통형 모재(M)의 유입이 완료되면, 상기 금형(40)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by the
상기 용착방지물(P)은, 상기 삽입부(333)와 상기 안착부(312) 상의 상기 원통형 모재(M)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삽입부(333)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원통형 모재(M)에 전달하고,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접촉되면, 상기 원통형 모재(M)와 용착될 수 있다.The welding prevention member P is disposed between the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방지물가압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방지물가압부(38)는, 상기 공간제공부(35)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제공부(35)가 상기 금형(40)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공간제공부(35)와 상기 금형(4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이동되어, 상기 원통형 모재(M)의 끝단에 용착된 상기 용착방지물(P)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상기 방지물가압부(38)의 하측에 형성된 채, 상기 용착방지물(P)을 회수하여 상기 방지물수용부(371)로 이송하는 회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압출성형장치(30)는, 공기분사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상기 공기분사부(39)는, 상기 공간제공부(35)에 연결된 채, 상기 공간제공부(35)가 상기 금형(40)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공간제공부(35)의 외측에서 상기 공간제공부(35)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S) 내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공기분사부(39)는, 상기 수용공간(S) 내로의 원통형 모재(M)의 출입 및 상기 삽입부(333)의 상기 수용공간(S) 내로의 출입 과정에서 상기 수용공간(S)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압에 의한 금속재료의 파편들이 상기 수용공간(S) 내에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The
상기 공간제공부(35)는, 원통형을 형성된 채, 원형평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형평면이란 원통형의 원형면을 의미한다.The
상기 공기분사부(39)는, 상기 공간제공부(35)의 굴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391) 및 상기 고정부(391)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면 공기를 분사하는 회전부(393)를 구비할 수 있다.The
여기서, 굴곡면이란, 원통형의 측면을 의미한다.Here, the curved surface means a cylindrical side surface.
상기 회전부(393)는, 상기 고정부(391)에 장착되는 평행부(393a), 상기 평행부(393a)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공간제공부(35)의 굴곡면으로부터 원형평면을 향해 연장된 절곡부(393b) 및 상기 절곡부(393b)의 끝단에 형성되어 공기펌프로부터 제공된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393c)를 구비할 수 있다.The rotating
상기 절곡부(393b)는, 상기 평행부(393a)가 상기 고정부(391)를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평행부(393a)와 연동되어 상기 분사부(393c)가 상기 수용공간(S)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부(393c)는, 상기 수용공간(S)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면,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수용공간(S)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금형교체장치Mold replacement device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7 to 23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50)는, 상술한 압출 성형시스템(1)에 이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17 to 23, the
상기 금형교체장치(50)는, 가이드부(51), 금형이동부(53), 입력신호감지부(55) 및 제어부(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금형(40)이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부(10)의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제2 폭방향(W2)으로의 상기 금형(40)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guide part 51 includes a guide part 51 for supporting the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51)는,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uide portion 51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formed along a width direction of the
후술할 제1 금형부(41)와 제2 금형부(42)는 연결된 채,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안착될 수 있다.The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금형(40)을 상기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제2 폭방향(W2)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제1 금형부(41)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금형부(41)를 상기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제2 폭방향(W2)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금형이동부(53)에 의한 상기 제1 금형부(41)의 위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제1 폭방향(W1) 또는 상기 제2 폭방향(W2)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55 may sense an input signal by a user.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의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금형(40)은, 상기 프레임부(10)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금형부(41), 제2 금형부(42), 제3 금형부(43)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금형(40)에 의해 압출되는 가공 구경은, 상기 제1 금형부(41), 상기 제2 금형부(42) 및 상기 제3 금형(40)에 각각에 장착되는 구경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bore extruded by the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1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1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1 구경부(41a) 및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2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2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2 구경부(42a)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re portion includes a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제1 압출공간 또는 상기 수용공간(S)과 상기 제2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1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1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되면, 상기 제1 압출공간과 상기 수용공간(S)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is the first diameter, the
이 때,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제1 금형부(41)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금형부(41)의 상기 제1 압출공간과 상기 공간제공부(35)의 수용공간(S)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2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2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되면, 상기 제2 압출공간과 상기 수용공간(S)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is the second diameter, the
이 때, 상기 금형이동부(53)는, 상기 제1 금형부(41)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1 금형부(41)와 연동되는 상기 제2 금형부(42)의 제2 압출공간과 상기 공간제공부(35)의 수용공간(S)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금형(40)을 구성하는 각각의 금형(40)부는, 상기 압출성형장치(30)와 대향하는 제1 대향면, 상기 제1 대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대향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Each of the
쉽게 말해, 각각의 금형(40)부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은 상기 가이드부(51) 상에 안착되게 된다.In other words, each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금형부(41)는, 상기 제2 금형부(42)와 대향하는 제1-1 측면(41b,)으로부터 함입된 함입부(411)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the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제1 금형부(41)와 대향하는 제2-2 측면(42b)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421)를 구비할 수 있다.The
이하, 제1 금형부(41)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제1-1 측면(41b) 및 제2-1 측면으로, 상기 제2 금형부(42)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제1-2 측면 및 제2-2 측면(42b)으로, 후술할 제3 금형부(43)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은, 제1-3 측면 및 제2-3 측면(43b)으로 설명하여, 혼동을 방지한다.The first side face and the second side face of the
상기 제1 돌출부(421)는, 상기 제2-2 측면(42b)으로부터 상기 제1-1 측면(41b)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421a) 및 상기 제1 연장부(421a)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연장부(421a)의 종단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확장부(421b)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421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421a extending from the second-2
상기 함입부(411)는, 상기 제1-1 측면(41b)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1 연장부(42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부(411a) 및 상기 형상부(411a)와 연결된 채 함입되되, 상기 제1 확장부(421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대응부(411b)를 구비할 수 있다.The depressed portion 411 has a shape 411a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ed portion 421a and embedded in the first 1-1
상기 제1 돌출부(421)는, 상기 함입부(411)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411)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ss 411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rame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recess 411.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제1 돌출부(421)의 상기 함입부(411)로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41)와 연결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제1 금형부(41)와 상기 제2 금형부(42)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제1 금형부(41)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확장대응부(411b)를 통한 상기 제1 확장부(421b)로의 외력 인가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41)와 연동될 수 있다.Here, the
다시 말해, 상기 제1 돌출부(421)는, 상기 형상부(411a)와 상기 확장대응부(411b)의 경계가 만들어낸 단턱에 걸린 상태로, 상기 함입부(4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제1 금형부(41)에 작용하는 외력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의 외력이다.In other words,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421 is not separated from the embedding portion 411 in a state where the boundary between the shape portion 411a and the
결국, 상기 제1 금형부(41)와 상기 제2 금형부(42)의 연결은, 상기 제1 금형부(41) 또는 상기 제2 금형부(42)의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connection between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교체장치(50)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0)의 제1 길이방향(L1, 도 18 참조) 또는 상기 프레임부(10)의 제2 길이방향(L2, 도 18 참조)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이동부(59)를 제어할 수 있다.The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M)를 제3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3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3 구경부(43a)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bore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금형부(43)로의 상기 제3 구경부(43a)의 장착을 위한 사용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portion may protrude outwardly of the frame to facilitate a user's operation for mounting the
만약, 상술한 제1 금형부(41)와 제2 금형부(42)의 연결관계와 같이, 제3 금형부(43) 또한 제2 금형부(42)에 연결하여, 금형이동부(53)에 의한 위치 이동으로 제1 구경, 제2 구경, 제3 구경의 가공 구경을 변경할 수 있겠으나, 제1 구경, 제2 구경, 제3 구경이 아닌 다른 가공 구경을 이용하려면 금형(40)부에 장착된 구경부를 바꿔줘야만 한다.The
여기서, 가공 구경의 크기를 바꾸려면, 금형(40)이 위치한 협소하고 위험한 공간에 사용자가 어렵게 투입되어, 금형(40)부 내의 구경부를 바꾸어야만 한다.Here, in order to change the size of the machining aperture, the user must be difficult to insert into a narrow and dangerous space in which the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금형(40)부의 구경부를 바꿀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금형(40)부와 금형(40)부 사이의 연결 또한 자동으로 구현되도록 하여, 보다 다양한 가공 구경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not only can the user change the diameter of the
일례로, 제1 구경부(41a)가 구현하는 제1 구경은, 가장 사용도가 높은 것을 적용하여, 제1 금형부(41)의 제1 구경부(41a)는 장착 및 장착 해제하지 않도록 하고, 제2 금형부(42)와 제3 금형부(43)는 서로 위치 교환할 수 있으므로, 양자에 다양한 가공 구경을 장착 또는 장착 해제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하, 제2 금형부(42)와 제3 금형부(43)가 바뀌는 매커니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echanism by which the
우선, 상기 제3 금형부(43)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안착된 채, 상기 가이드이동부(59)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안착된 상기 제1 금형부(41) 및 상기 제2 금형부(42)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First, the
이 때의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3 금형부(43)의 관통부(H)에 제3 구경부(43a)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구경부(43a)가 구현하는 가구 구경인 제3 구경은, 제1 구경과 제2 구경과는 다른 값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In this standby state, the user can mount the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3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55)에 입력되면, 상기 제2 금형부(42)의 제1 대향면(41a)과 상기 제3 금형부(43)의 제2 대향면이 대향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53)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hi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is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55, the
쉽게 말해, 상기 제2 금형부(42)와 상기 제3 금형부(43)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상기 제어부(57)는, 상기 제2 금형부(42)와 상기 제3 금형부(43)가 중첩되어 배치되면, 상기 제3 금형부(43)와 상기 제2 금형부(42)가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이동부(59)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제2 금형부(42)는, 상기 제3 금형부(43)의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금형부(43)에 의해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금형부(41)와의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The
상기 제3 금형부(43)는,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41)와 나란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금형부(41)와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 제3 금형부(43)는, 상기 제2 금형부(42)와 대향하는 제2-3 측면(43b)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431)를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돌출부(431)는, 상기 제2-3 측면(43b)으로부터 상기 제1-2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431a) 및 상기 제2 연장부(431a)와 연결되되, 상기 제2 연장부(431a)의 종단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확장부(431b)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projecting
상기 제2 연장부(431a)는, 상기 제1 연장부(421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금형부(41)의 형상부(41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ding
또한, 상기 제2 확장부(431b)는, 상기 제1 확장부(421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금형부(41)의 확장대응부(411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ding
상기 제1 돌출부(421)는, 상기 원통형 모재(M)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411)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함입부(4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421 is slid along the insertion portion 41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when the processing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M is the third diameter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penetration portion 411.
동시에, 상기 제2 돌출부(431)는, 상기 제2 길이방향(L2)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411)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함입부(411)에 삽입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projecting
상기 제2 돌출부(431)의 상기 함입부(411)로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41)와 상기 제3 금형부(43)는 연결될 수 있다.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압출 성형시스템
10: 프레임부
20: 이송유닛
30: 압출성형장치
40: 금형
50: 금형교체장치
60: 이송가압부1: Extrusion molding system
10:
20:
30: Extrusion molding device
40: Mold
50: Mold replacement device
60: Feed pressing portion
Claims (10)
상기 금형이 안착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제1 폭방향 또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2 폭방향으로의 상기 금형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금형을 상기 제1 폭방향 또는 상기 제2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금형이동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입력신호감지부; 및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의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은,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금형부, 제2 금형부, 제3 금형부로 구성되고,
상기 금형에 의해 압출되는 가공 구경은,
상기 제1 금형부, 상기 제2 금형부 및 상기 제3 금형부 각각에 장착되는 구경부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를 제1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1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1 구경부 및 상기 원통형 모재를 제2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2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2 구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1 압출공간 또는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제2 압출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An extrusion molding system for extruding a cylindrical base material heated by a heating device, a frame part disposed apart from the heating device,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to a work space provided by the frame part, An extrusion molding apparatus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section and which provides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cylindrical preform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is accommodated and presses the cylindrical preform accommodated in the housing space, A mold for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pressed by the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nd a mold replacement device for replacing the mold in accordance with the bor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he mold repla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portion on which the mold is mounted and which guides movement of the mold in a first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or in a second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 mold moving portion for moving the mold in the first width direction or the second width direction;
An input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nput signal by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ld moving uni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 RTI >
The mold includes:
A first mold portion, a second mold portion, and a third mold portion sequentially disposed from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toward the other side,
Wherein a machining aperture diameter that is extruded by the metal mold,
The second mold portion, and the third mold portion, respectively,
[0031]
A first bore for providing a first extrusion space for reduc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o a first bore and a second bore for providing a second extrusion space for reducing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to a second bore,
Wherein,
Wherein the mold controls the moving part so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irst extruding space or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second extruding space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ted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는 연결된 채,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안착되며,
상기 금형이동부는,
상기 제1 금형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금형부를 상기 제1 폭방향 또는 상기 제2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금형이동부에 의한 상기 제1 금형부의 위치 이동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A first guide portion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a second guid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seated on the first guide part,
In the mold moving part,
Moving the first mold part in the first width direction or the second width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mold part,
The second mold portion includes:
Wherein the mold is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mold part by the moving par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1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1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1 압출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2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2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2 압출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Wherein when the first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the first diameter is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the mold controls the moving unit so that the first extrusion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secon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the second diameter is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the mold controls the moving unit so that the second extrusion spac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eatures a mold replacement device.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연결은,
상기 제1 금형부 또는 상기 제2 금형부의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구현되며,
상기 금형을 구성하는 각각의 금형부는,
상기 압출성형장치와 대향하는 제1 대향면, 상기 제1 대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대향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연결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대향면과 상기 제2 대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connection of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may be performed by,
The first mold portion or the second mold portion being implemented according to a positional shi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Wherein each of the metal molds constituting the metal mold comprises:
A first opposing face opposing the extrusion molding apparatus, a second opposing fac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opposing face, a first side connecting the first opposing face and the second opposing face, And a through-hol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opposing surface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and a through-hol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opposing surface and the second opposing surface.
상기 제1 금형부는,
상기 제2 금형부와 대향하는 제1-1 측면으로부터 함입된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1 금형부와 대향하는 제2-2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2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1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연장부의 종단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함입부는, 상기 제1-1 측면으로부터 함입되되, 상기 제1 연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형상부 및 상기 형상부와 연결된 채 함입되되, 상기 제1 확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확장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mold portion comprises:
And a recessed portion embedded from the 1-1 side surface facing the second mold portion,
The second mold portion includes:
And a first protrusion protruded from a second side surface (2-2) facing the first mold portio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may have a firs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2 side surface toward the first 1-1 side surface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having a shape larger than a terminal area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The embedding unit may include a shap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embedded in the shape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the extended portion being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ding portion, And a mold releasing unit for releasing the mold.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함입부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함입부로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fram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recessed portion,
The second mold portion includes:
Wherein the first mold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mold part when the first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1 금형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금형부가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확장대응부를 통한 상기 제1 확장부로의 외력 인가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cond mold portion includes:
When the first mold part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mold part, the first mold part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mold part according to application of external force to the first expansion part through the expansion counterpart. Mold replacement device.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제1 길이방향 또는 상기 프레임부의 제2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이드이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가이드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경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를 제3 구경으로 축소시키는 제3 압출공간을 제공하는 제3 구경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금형부로의 상기 제3 구경부의 장착을 위한 사용자의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제3 금형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안착된 채, 상기 가이드이동부에 의해 상기 제1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안착된 상기 제1 금형부 및 상기 제2 금형부와 동일 선상에 배치되지 않은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guide moving portion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being moved in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or in a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Wherein,
And controls the guide moving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0031]
Further comprising a third bore portion for providing a third extrusion space for reducing the cylindrical preform to a third bore,
The second guide portion
A first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outside the frame portion to facilitate a user's operation for mounting the third bore portion to the third mold portion,
The third mold portion may include:
The first mold part being seated on the second guide part and being moved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guide moving part and being seated on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mold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rota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에 해당하는 제3 입력신호가 상기 입력신호감지부에 입력되면, 상기 제2 금형부의 제1 대향면과 상기 제3 금형부의 제2 대향면이 대향하도록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금형이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금형부와 상기 제3 금형부가 중첩되어 배치되면, 상기 제3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가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제3 금형부의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3 금형부에 의해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금형부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제3 금형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금형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금형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a third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hird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input to the input signal sensing unit, the first opposing face of the second mold part and the second opposing face of the third mold part And the third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re arranged to overlap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hird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move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second mold part and the third mold part overlap each other, Controls the guide moving unit,
The second mold portion includes:
The first mold part is moved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third mold par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hird mold part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mold part is released,
The third mold portion may include:
Wherein the first mold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mold part while being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irst mold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제3 금형부는,
상기 제2 금형부와 대향하는 제2-3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3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1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연결되되, 상기 제2 연장부의 종단면적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제1 확장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 상기 제3 금형부의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함입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원통형 모재의 가공 구경이 상기 제3 구경인 경우, 상기 제2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함입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함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교체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third mold portion may include: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second and third side faces opposite to the second mold portion,
The second protrusion has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to the first side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ide toward the first sid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xtending portion,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extending portio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Wherein when the working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the third bore diameter,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slid along the recessed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hird mold portion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projection
Wherein when the working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the third diameter, the cylindrical base material is slid along the recessed por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048A KR101923347B1 (en) | 2018-06-22 | 2018-06-22 | A mold chang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048A KR101923347B1 (en) | 2018-06-22 | 2018-06-22 | A mold chang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3347B1 true KR101923347B1 (en) | 2019-02-27 |
Family
ID=6556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2048A Active KR101923347B1 (en) | 2018-06-22 | 2018-06-22 | A mold chang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334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15352A (en) * | 2022-07-28 | 2022-12-02 | 安徽科蓝特铝业有限公司 | A kind of extrusion molding process of aluminum alloy profile |
CN117380766A (en) * | 2023-10-25 | 2024-01-12 | 滁州市永兴模具配件有限公司 | But quick replacement mould's aluminium alloy shaping processing equipment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2567B2 (en) * | 1989-08-25 | 1995-12-06 | 富山軽金属工業株式会社 | Mold changing equipment for extrusion molding machine |
JPH0815617B2 (en) * | 1989-11-28 | 1996-02-21 | 宇部興産株式会社 | Operating method of extrusion press and its equipment |
JPH08174048A (en) * | 1994-12-20 | 1996-07-09 | Sankyo Alum Ind Co Ltd | Extrusion press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
JP2566491B2 (en) * | 1990-10-17 | 1996-12-25 | 宇部興産株式会社 | Extrusion press die block heat retaining device |
KR100275280B1 (en) | 1998-01-24 | 2000-12-15 | 이경용 | Device of pipe drawing |
KR20110136252A (en) | 2010-06-14 | 2011-12-21 | 주식회사 와이비에스 | Hot Extrusion of Metal Tubes to Improve Production Yields |
KR101109616B1 (en) | 2011-04-27 | 2012-01-31 | 한성웰텍 (주) | Mold Exchange Balance System |
JP2016016417A (en) * | 2014-07-07 | 2016-02-01 |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 Extrusion press |
KR20170125829A (en) * | 2015-03-09 | 2017-11-15 |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 Die slide device of extrusion press |
-
2018
- 2018-06-22 KR KR1020180072048A patent/KR1019233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2567B2 (en) * | 1989-08-25 | 1995-12-06 | 富山軽金属工業株式会社 | Mold changing equipment for extrusion molding machine |
JPH0815617B2 (en) * | 1989-11-28 | 1996-02-21 | 宇部興産株式会社 | Operating method of extrusion press and its equipment |
JP2566491B2 (en) * | 1990-10-17 | 1996-12-25 | 宇部興産株式会社 | Extrusion press die block heat retaining device |
JPH08174048A (en) * | 1994-12-20 | 1996-07-09 | Sankyo Alum Ind Co Ltd | Extrusion press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0275280B1 (en) | 1998-01-24 | 2000-12-15 | 이경용 | Device of pipe drawing |
KR20110136252A (en) | 2010-06-14 | 2011-12-21 | 주식회사 와이비에스 | Hot Extrusion of Metal Tubes to Improve Production Yields |
KR101109616B1 (en) | 2011-04-27 | 2012-01-31 | 한성웰텍 (주) | Mold Exchange Balance System |
JP2016016417A (en) * | 2014-07-07 | 2016-02-01 | 宇部興産機械株式会社 | Extrusion press |
KR20170125829A (en) * | 2015-03-09 | 2017-11-15 |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 Die slide device of extrusion pres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15352A (en) * | 2022-07-28 | 2022-12-02 | 安徽科蓝特铝业有限公司 | A kind of extrusion molding process of aluminum alloy profile |
CN117380766A (en) * | 2023-10-25 | 2024-01-12 | 滁州市永兴模具配件有限公司 | But quick replacement mould's aluminium alloy shaping processing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3347B1 (en) | A mold changing apparatus | |
US20090084236A1 (en) | Punching system using punching machine | |
KR101555968B1 (en) | Bending machine for pipe | |
CN112739515B (en) | injection molding system | |
KR101923345B1 (en) | System for extrusion molding | |
KR101828374B1 (en) | Pipe bending machine | |
KR101923346B1 (en) | Extrusion molding apparatus | |
JP2005254303A (en) | Press hole working device | |
JPWO2012090304A1 (en) | Press molding system | |
JP4608420B2 (en) | Transfer press machine | |
KR102475209B1 (en) | Automatic cutting apparatus for press mold | |
KR101487166B1 (en) | The treatment system for tandem press and method of changing die thereof | |
CN210523533U (en) | Common blanking die device for inner plate and outer plate of automobile blank | |
KR20150061313A (en) | Transfer mold for reducing raw materials | |
JP2007105767A (en) | Press line and workpiece machining method in press line | |
US6554120B2 (en) | Work sheet processing system | |
JP4767776B2 (en) | Embossed carrier tap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
KR100430049B1 (en) | a direction commutator for taper roller bearing retainer manufacture apparatus | |
JP7311382B2 (en) | Work processing device | |
KR100430051B1 (en) | a position rectifier for taper roller bearing retainer manufacture apparatus | |
KR100471848B1 (en) | Punching mold forming holes at square tube | |
JP5152825B2 (en) | Press processing system | |
JP6975133B2 (en) | Loading the die into the press | |
KR20200094429A (en) | press device using handling robot | |
JP5307521B2 (en) | Resin sheet thermoform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