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386B1 -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386B1
KR101921386B1 KR1020160174288A KR20160174288A KR101921386B1 KR 101921386 B1 KR101921386 B1 KR 101921386B1 KR 1020160174288 A KR1020160174288 A KR 1020160174288A KR 20160174288 A KR20160174288 A KR 20160174288A KR 101921386 B1 KR101921386 B1 KR 10192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ry
compartments
planting
mes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1554A (ko
Inventor
주진철
김현기
변규덕
송재화
윤민규
이대홍
이승민
이태현
정민영
최재혁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3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3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평방향을 따라 다단 구획된 격실;과, 인접한 격실로 치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격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치어배출구;와, 상기 격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 격실 내의 치어 먹이공급과 도피처를 제공하는 여재부;와, 상기 격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생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격실에 연결되는 치어배출구는 프레임을 골격으로 하고, 둘레에는 서로 다른 메쉬 크기를 갖는 메쉬망이 결합되어 역통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식재부는 저면에 각 격실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먹이공급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the Young of fishes protective device for Inverted fish trap}
본 발명은 토종어류가 외래 어종으로부터 섭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종어류의 성장 정도에 따라 다른 격실로 점차 이동 가능하고, 성장 후 최종 치어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토종어류는 외래어종으로부터 충분한 방어 능력을 키울 수 있어, 결국 토종어류의 자생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배스와 블루길 같은 외래 어종이 급속히 번성하여 서식처나 먹이 섭취 과정에서 다른 생물 종에 연쇄적으로 변화를 초래함으로써 결국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현재 국내에 정착한 외래 담수어류는 이스라엘잉어, 떡붕어, 초어, 흑연, 백연, 찬넬동자개, 은연어, 무지개송어, 블루길, 배스, 작은입우럭, 나일틸라피아로 모두 12종으로 보고된다.
이러한 외래 담수어류는 국내 토종어류의 먹이나 치어들을 섭식 당하여 그에 따른 대책이 시급하게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대책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베스, 블루길 등 외래어종과 환경오염 등으로 줄어든 어족 자원의 증강을 위해 쏘가리와 같은 토종치어들 부화시켜 방류를 실시해 왔다.
하지만 부화시설에서 부화한 토종치어를 방생하기 위한 어느 정도의 크기까지 성장할 수 있도록 별도의 어항 등과 같은 생육시설에서 생육시켜야 함으로서, 부화시설과 생육시설 등을 별도로 구비함으로 인해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
제점과 함께 유지 관리 또한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에도 어패류의 부화나 생육을 위하여, 어패류가 서식할 수 있는 조건에 따라 민물이나 바다 등지에 통상의 가두리 양식장 등과 같은 형태의 어항을 직접 제작하여 그 어항에서 알을 부화시키거나 치어를 생육하는 방법도 사용되었으나, 이같이 민물이나 바다 등지에 직접 제작되는 가두리 양식장 등과 같은 어항의 경우에는 그 규모가 상당히 크게 제작됨으로 인한 경제적인 많은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유지관리 또한 상당히 번거롭고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치어들 보호할 수 있는 장치로, "치어 틀(특허등록 제1306284호)"가 있는데, 하지만 이러한 "치어 틀"은 다만 갖 부화한 치어를 일정기간 만 보호할 수 밖에 없어 토종어류의 개체수를 증대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비용이 적게 제작되는 블록화된 단위 유닛 형태로 구성하되, 수질을 보호하고, 더불어 외래어종으로부터 토종치어들이 섭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크기로 생장할 수 있도록 한 치어 보호시설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062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토종어류를 보육하여 외래어종에 충분한 방어능력을 증진시켜 토종어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제 2목적은, 토종치어의 성장 정도에 따라 다른 격실로 점차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성장 후 최종 치어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토종어류는 외래어종으로부터 충분한 방어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여 결국, 토종어류의 자생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수평방향을 따라 다단 구획된 격실;과, 인접한 격실로 치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격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치어배출구;와, 상기 격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 격실 내의 치어 먹이공급과 도피처를 제공하는 여재부;와, 상기 격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생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격실에 연결되는 치어배출구는 프레임을 골격으로 하고, 둘레에는 서로 다른 메쉬 크기를 갖는 메쉬망이 결합되어 역통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식재부는 저면에 각 격실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먹이공급원을 더 포함하고 프레임을 골격으로 하여 면상에는 식물식재가 가능한 코코넛패드를 결합시키며, 상기 여재부는 프레임을 골격으로 각 격실의 메쉬에 크기에 맞는 메쉬망이 둘레에 결합되고 프레임 골격 내부에는 원통형상을 갖는 다수의 하우징이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각 하우징의 내부에는 플라스틱 여재가 충전되고, 상기 코코넛패드는 상기 각 격실에 대응하는 영역에 출입문을 구비하되, 상기 각 출입문은 먹이공급원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식재부의 일부 영역에는 태양광패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식재부의 하부에는 상기 태양광패널과 전기적으로 폭기장치가 각 격실에 수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치어배출구는 성장된 치어가 인접한 격실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의 격실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식재부의 테두리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통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격실과 치어배출구는 깔때기 또는 삼각뿔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치어유도부를 통해 상호 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에 따르면, 토종치어가 성장함에 따라 각기 다른 격실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고, 또한 다 자란 토종치어들이 충분히 성장하면 바깥으로 나가게 되어 외래어종으로부터 섭식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장된 치어는 전 단계의 격실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어린 치어의 생장을 방해하는 요소를 없앨 수 있어 치어의 개체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치어의 쉼터를 제공하고, 또한 수질을 보호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서 격실과, 여재부를 이루는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격실과 여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격실과, 여재부를 이루는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격실과 여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종치어가 외래 어종으로부터 섭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토종치어의 성장 정도에 따라 다른 격실로 점차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성장 후 최종 치어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토종어류는 외래어종으로부터 충분한 방어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여 결국, 토종어류의 자생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프레임을 골격으로 한 격실(10)과, 여재부(20) 및 식재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격실(10)은 프레임을 골격으로 수평방향을 따라 다단 구획되어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격실(10)로 구획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각 격실(10)은 둘레에 메쉬망(M)이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각 메쉬망(M)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메쉬가 점차 커지도록 하여 토종치어가 성장함에 따라 각기 다른 격실(10)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각 격실(10)의 일측에는 치어배출구(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치어배출구(11)는 인접한 격실(10)로 치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기능 한다.
이 때 상기 각 치어배출구(11)는 성장된 치어가 인접한 격실(10)로 원활히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의 격실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각 격실(10)과 치어배출구(11)는 깔때기 또는 삼각뿔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치어유도부(12)를 통해 상호 간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각 격실(10)과 상기 각 격실(10)에 연결되는 치어유도부(12) 및 치어배출구(11)는 프레임을 골격으로, 둘레에는 서로 다른 메쉬 크기를 갖는 메쉬망(M)이 결합되어 역통발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술된 각 격실(10)의 구조는 메쉬망(M)의 메쉬 크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크게 구성하여 가장 작은 토종치어들이 성장함에 따라 다음 격실(10)로 이동하고, 마지막 세번째 격실(10)에서 다 자란 토종치어들이 충분히 성장하면 바깥으로 나가게 되어 외래어종으로부터 섭식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반대로 치어배출구(11) 역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바, 이미 성장된 치어는 전 단계의 격실(1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어린 치어의 생장을 방해하는 요소를 없앨 수 있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각 격실(10)에 결합된 메쉬망(M)은 식재부(30)가 결합되는 상부면과, 여재부(20)가 결합되는 하부면에는 설치되지 않는 구성이다.
상기 여재부(20)는 상기 격실(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 격실(10) 내의 치어 먹이공급과 도피처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여재부(20)는 육면체의 프레임 골격 내부로 원통형상을 갖는 다수의 하우징(21)이 병렬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각 하우징(21)의 내부에는 플라스틱 여재(22)가 충전되고, 충전된 여재(22)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여재부(20) 전체에 걸쳐 별도의 메쉬망(M)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여재부(20)에 결합된 메쉬망(M)은 각 격실(10)의 메쉬에 크기에 맞는 메쉬망(M)이 둘레에 결합되어 해당 크기의 치어만이 해당 격실(10)로만 유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여재부(20)는 여재(22)에 조류가 증식하여 치어의 먹이 공급원이 되도록 구성하고, 동시에 치어의 도피처 및 쉼터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식재부(30)는 상기 격실(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더불어 저면에는 각 격실(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먹이공급원(321)을 더 포함하여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식재부(30)는 프레임을 골격 면상에 식물식재가 가능한 코코넛패드(31)를 결합시키고, 상기 코코넛패드(31)는 상기 각 격실(10)에 대응하는 영역에 출입문(32)을 구비하되, 상기 각 출입문(32)은 먹이공급원(321)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식재부(30)는 코코넛패드(31)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대나무껍질과 같은 다양한 천연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합성섬유와 같은 인공소재로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식재부(30)는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각 격실(10)의 내부로 산소공급은 물론 치어의 산란, 서식, 피난처, 쉼터와 같은 기능과 치어의 유입을 증가시키는 부가적인 기능을 겸한다.
그리고 상기 출입문(32)은 사람이 격실(10) 내부로 들어가 큰빗이끼벌레나 다른 유해생물 유입과 같은 돌발상황에서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먹이공급원(321)은 와이어(322)를 통해 상기 출입문(32)과 연결되고,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 끈을 둥글게 엮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출입문(32)을 개방하여 손쉽게 먹이공급원(321)을 외부에서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먹이공급원(321)은 조류가 증식하도록 하여 먹이공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치어들을 각 격실(10)의 중앙부위에 모이도록 하여 외래어종의 흡입에 의해 딸려 들어가 섭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한다.
또한 상기 먹이공급원(321)은 와이어를 통해 연결시켜 물살에 먹이공급원이 유동되도록 하고, 이는 치어들에게 흥미로움을 유발시켜 치어가 각 격실(10)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322)와, 먹이공급원(321)은 그 재질을 코코넛껍질 및 대나무껍질과 같은 다양한 천연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합성섬유와 같은 인공소재로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식재부(30)의 일부영역에는 태양광패널(33)이 더 설치되고 상기 식재부(30)의 하부에는 상기 태양광패널(33)과 전기적으로 폭기장치(34)가 각 격실(10)에 수장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폭기장치(34)는 각 격실(10)에 용존산소를 증대시켜 수질에 의한 치어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어항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공기발생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수차와 같은 구조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식재부(30)의 테두리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통(35)이 더 결합시켜 식재부(30)가 수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사람이 식재부(30) 위로 진입한다 하더라도 식재부(30)가 침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에 기능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여재부(20)와, 식재부(30)에 식재된 수생식물과, 폭기장치(34) 및 먹이공급원(321)를 통해 토종치어들을 각 격실로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격실(10)과 여재부(20)에는 서로 다른 메쉬 크기를 갖는 메쉬망(M)이 둘레에 결합되어 있어, 해당 메쉬에 맞는 크기의 치어가 상기 각 격실(10)로만 유입됨을 유도한다.
상기 각 격실(10)로 유입된 치어는 먹이공급원(321)과, 여재(22)의 먹이를 섭취하여 성장되고, 이 때 크기가 큰 외래어종은 메쉬망(M)에 의해 차단되어 안정적으로 성장한다.
첫번째 격실(10)에서 성장된 치어가 두번째 격실(10)로 이동되어 성장하면 첫번째 격실(10)에 설치된 메쉬망(M)의 메쉬 크기에 의해 진입이 불가능하게 되어 작은 크기의 치어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을 없앨 수 있다.
다만 크기가 작은 치어는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격실(10)까지 마음대로 유출입할 수 있다.
세번째 격실(10)에 충분히 성장된 치어들은 세번째 격실(10)에 형성된 최종 치어배출구(11)를 통해 바깥으로 나가게 되더라도 외래어종으로부터 섭식됨을 최소화하여 토종어류의 번식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100)는 토종어류를 보육하여 외래어종에 충분한 방어능력을 증진시켜 토종어류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격실 11: 치어배출구 12: 치어유도부
20: 여재부 21: 하우징 22: 여재
30: 식재부 31: 코코넛패드 32: 출입문
321: 먹이공급원 322: 와이어
33: 태양광패널 34: 폭기장치
35: 부력통
F: 프레임 M: 메쉬망
100: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Claims (8)

  1. 수평방향을 따라 다단 구획된 격실(10);
    인접한 격실(10)로 치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격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치어배출구(11);
    상기 격실(10)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 격실 내의 치어 먹이공급과 도피처를 제공하는 여재부(20);
    상기 격실(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생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격실(10)에 연결되는 치어배출구(11)는 프레임을 골격으로 하고, 둘레에는 서로 다른 메쉬 크기를 갖는 메쉬망(M)이 결합되어 역통발 형태를 취하고,
    상기 식재부(30)는 저면에 각 격실(10)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먹이공급원(321)을 더 포함하고 프레임(F)을 골격으로 하여 면상에는 식물식재가 가능한 코코넛패드(31)를 결합시키며,
    상기 여재부(20)는 프레임(F)을 골격으로 각 격실(10)의 메쉬에 크기에 맞는 메쉬망(M)이 둘레에 결합되고 프레임(F) 골격 내부에는 원통형상을 갖는 다수의 하우징(21)이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각 하우징(21)의 내부에는 플라스틱 여재(22)가 충전되고,
    상기 코코넛패드(31)는 상기 각 격실(10)에 대응하는 영역에 출입문(32)을 구비하되, 상기 각 출입문(32)은 먹이공급원(321)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식재부(30)의 일부 영역에는 태양광패널(33)이 더 설치되고 상기 식재부(30)의 하부에는 상기 태양광패널(33)과 전기적으로 폭기장치(34)가 각 격실(10)에 수장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치어배출구(11)는 성장된 치어가 인접한 격실(10)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의 격실(10)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30)의 테두리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력통(35)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격실(10)과 치어배출구(11)는 깔때기 또는 삼각뿔 형태로 성형된 프레임(F)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치어유도부(12)를 통해 상호 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KR1020160174288A 2016-12-20 2016-12-20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Active KR101921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88A KR101921386B1 (ko) 2016-12-20 2016-12-20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88A KR101921386B1 (ko) 2016-12-20 2016-12-20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554A KR20180071554A (ko) 2018-06-28
KR101921386B1 true KR101921386B1 (ko) 2018-11-22

Family

ID=6278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288A Active KR101921386B1 (ko) 2016-12-20 2016-12-20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3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5840A (zh) * 2019-08-01 2019-09-17 邱小平 一种便于筛选大小鱼苗的培育箱
CN110326578A (zh) * 2019-08-13 2019-10-15 张云飞 一种鱼苗分选箱
KR102347953B1 (ko) 2020-12-24 2022-01-07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치어보호용 쉘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7547B (zh) * 2018-11-23 2020-03-20 青岛黄海学院 一种室内海水养殖投饵运输装置及其工作方法
CN109952985A (zh) * 2019-04-24 2019-07-02 中国海洋大学 鱼苗限量装置
CN110432203B (zh) * 2019-08-26 2021-09-14 周红娇 一种鱼苗培养箱
CN110367154A (zh) * 2019-09-02 2019-10-25 吉林省水产科学研究院 杂色杜父鱼幼鱼培育方法
CN111903586B (zh) * 2020-08-25 2023-07-21 湖南鸿众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用饲料投放设备
CN113273533B (zh) * 2021-05-12 2023-06-23 辽宁省海洋水产科学研究院 一种测量目测中大型水母伞径的方法
CN113229181A (zh) * 2021-05-13 2021-08-10 桐乡市常新农机专业合作社 一种基于鱼苗养殖用一体化放苗机构
KR102605358B1 (ko) * 2022-12-14 2023-11-24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260Y1 (ko) 2004-03-03 2004-06-25 주득욱 관상어 치어육성통 겸 부화통
KR100582210B1 (ko) * 2006-04-03 2006-05-2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KR101175896B1 (ko) * 2011-08-19 2012-08-21 한국수자원공사 어류 산란장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260Y1 (ko) 2004-03-03 2004-06-25 주득욱 관상어 치어육성통 겸 부화통
KR100582210B1 (ko) * 2006-04-03 2006-05-2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KR101175896B1 (ko) * 2011-08-19 2012-08-21 한국수자원공사 어류 산란장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5840A (zh) * 2019-08-01 2019-09-17 邱小平 一种便于筛选大小鱼苗的培育箱
CN110235840B (zh) * 2019-08-01 2021-08-06 义乌市君胜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筛选大小鱼苗的培育箱
CN110326578A (zh) * 2019-08-13 2019-10-15 张云飞 一种鱼苗分选箱
CN110326578B (zh) * 2019-08-13 2021-07-09 杨性宇 一种鱼苗分选箱
KR102347953B1 (ko) 2020-12-24 2022-01-07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치어보호용 쉘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554A (ko)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386B1 (ko)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Alikunhi Fish culture in India
KR102044634B1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전복 및 해삼양식장
CN104255623B (zh) 一种波纹唇鱼的人工育苗方法
KR20200102788A (ko) 이동식 수산생물 방류장치를 이용한 종묘 방류 시스템
KR102297174B1 (ko)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CN112772476A (zh) 一种红树林种植耦合中华乌塘鳢养殖的海洋生态系统
KR100732907B1 (ko) 수중 복합 어류산란장 및 이의 시설 방법
KR101415366B1 (ko) 이중 튜브식 해삼 양성용 쉘터 및 이를 이용한 해삼용 가두리
KR20190085386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Nabhitabhata et al. Sepioteuthis lessoniana
KR102690711B1 (ko) 치어 방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어 서식장 조성 방법
KR101549211B1 (ko) 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JP3836771B2 (ja) 池内生態系保全方法並びに同方法に用いる浮体構造及びその付属設備
JP3669968B2 (ja) 蟹類の養殖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542581B1 (ko) 성게 양성용 사행식 사육장치
Joseph et al. Captive seed production of pearl spot in backyard hatcheries
Nabhitabhata et al. Performance of simple large-scale cephalopod culture system in Thailand
KR101352899B1 (ko) 대게보육어초
Dzidzornu Investigations into hatchery and nursery operations for the culture of the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Vollenhovenii, Herklots 1857) in Ghana
Ranjan et al. Good aquaculture practices for marine finfish hatchery
KR101890563B1 (ko) 문어 치어의 단계별 생육 양식어장 구조
RU2360410C1 (ru) Аквариум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
KR20170006474A (ko) 토종물고기 보호용 인공어초
Brian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the Snakeheads of Iran (Family Channid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