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878B1 - 다층 액체 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액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878B1
KR101917878B1 KR1020117004042A KR20117004042A KR101917878B1 KR 101917878 B1 KR101917878 B1 KR 101917878B1 KR 1020117004042 A KR1020117004042 A KR 1020117004042A KR 20117004042 A KR20117004042 A KR 20117004042A KR 101917878 B1 KR101917878 B1 KR 10191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discharge port
polyethylene
polymerized
multi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878A (ko
Inventor
토요아키 스즈키
코이치 미우라
아츠시 미오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최내층이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고, 또한 표층의 주요부가 특정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는 배출구가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란트에 특정한 조건에서 용착 된 다층 액체 용기.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액의 유효성분이 용기 본체뿐만 아니라, 배출구를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도 흡착이나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고온 멸균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배출구가 높은 용착강도 및 낙하강도를 갖는 다층 액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 액체 용기{MULTILAYERED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배출구를 갖는 수지제의 다층 액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액의 유효성분이 용기 본체뿐만 아니라, 배출구를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도 흡착이나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고온 멸균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배출구가 높은 용착강도 및 낙하강도를 갖는 다층 액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점적 정맥 주사용의 제제로서 주사용의 약제를 미리 희석 조제하고, 플라스틱제 등의 가요성을 갖는 용기에 충전한 소프트백 제제가 개발되었고, 당해 소프트백 제제는, 사용시의 편리성이나 신속성과 아울러, 유리제의 병이나 앰풀과 비교하여 폐기성이 우수한 점에서도 유용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니트로글리세린, 알부민, 호르몬 등의 단백질 함유 제제, 히알루론산 제제, 비타민류, 미량 원소, 인슐린, 항암제, 라디칼 포착 제제 등을 비롯한 일부의 약품은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통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PO 수지)나 염화비닐 등의 의약 용기의 기재에 흡착 또는 투과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 내용액의 유효성분이 흡착되거나, 기재에 포함되는 첨가물이나 저분자 성분과 내용액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등, 소프트백 제제를 개발하는데 과제로 되어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4-298220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약품의 흡착이나 투과가 없는 수지로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OP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 2008-29829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종래부터 프리필드 시린지 용기에 사용되고 있던 COP 수지를 소프트백에 응용 전개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용기는, 최내층을 폴리에틸렌계 수지(PE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용기로서의 낙하충격 강도를 강하게 하고, 액체 보존용기로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성분 흡착이나 내용액과의 상호작용을 저감시키는 일정한 효과가 확인된다. 그러나, 최내층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이기 때문에, 종래의 유리제 용기에 비해 성분 흡착이나 내용액과의 상호작용을 방지하는 효과는 뒤떨어져, 충분한 문제해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COP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과 비교하여, 분자량도 크고, 보다 직쇄상이며, 분자골격에 환상 탄화수소기에 의한 부피가 큰 분자구조를 갖기 때문에, 분자 주쇄의 열 운동이 제한된다. 그 결과, 필름으로 성형한 경우, 단단하여 깨지기 쉬운 필름으로 되기 쉽다. 그 때문에 소프트백의 기재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PE 수지 등의 유연성이 풍부한 PO 수지와 적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5-254508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외층에 PO 수지를, 내층에 COP 수지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백이 개시되고, 고압 증기 멸균처리가 가능한 것이나 성분 흡착성이 억제되므로, 흡착되기 쉬운 주사 제제에의 사용에 적합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 2006-081898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COP 수지, 또는 COP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과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나 PO 수지를 적층한 소프트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 다층 필름을 사용한 소프트백은, 성분 흡착성의 관점에서, 최내층을 COP 수지층으로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들 소프트백에서는, 통상, 약액의 배출을 행하기 위한 배출구(포트)가 설치된다. 배출구 부재로서는, 백의 최내층의 COP 수지와의 용착성 때문에, 동일하게 COP 수지로 형성된 배출구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PO 수지와 비교하여 대단히 고가인 COP 수지만으로 배출구 부재를 성형하면 사용되는 수지량이 많아, 비용면에서 뒤떨어지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COP 수지 자신이 단단하여 깨지기 쉬우므로, COP 수지끼리의 용착부는, 용착강도가 높아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굴곡에 깨지기 쉽고, 낙하시에 배출구 주변부에서 파손되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고무 마개부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마개부를 덮는 캡을 용착할 때에도 동일한 캡의 비용이나 용착부의 취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캡 자체도 COP이면 낙하한 경우에 캡부에 충격이 집중된 결과, 파손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약품의 흡착이나 투과가 없고, 또한 낙하 등의 충격에서도 잘 파손되지 않는 소프트백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배출구 자신의 깨지기 쉬움에 대해서는, COP 수지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배합하여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이 일본 특개 2005-254508호 공보(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 2005-254508호 공보(특허문헌 3)에서는, 최내층에 COP 수지를 사용하고, 최외층에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사용한 2색 성형 포트를 사용해도 되는 내용의 기재가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수지의 성상이나 용착 태양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특히, 필름과 배출구의 용착 태양에 대하여, 실시예에서는, 2색 성형 포트를 사용하고 있지 않고, 필름과 배출구와의 용착강도에 대하여 구체적인 개시는 없다.
일본 특개 2008-18063호 공보(특허문헌 5)에서도, 용기의 필름의 최내층이 COP 수지로 구성되고, 배출구도 싱글 사이트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LLDPE, COP 수지나 그것들의 다층으로 구성되는 배출구를 사용해도 되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용착강도 시험에서는, 용기의 주연부의 필름끼리의 용착강도만이 개시되고, 필름과 배출구와의 용착강도에 관한 개시는 전혀 없다.
일본 특개 2004-298220호 공보 일본 특개 2008-29829호 공보 일본 특개 2005-254508호 공보 일본 특개 2006-081898호 공보 일본 특개 2008-1806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용액의 유효성분이 용기 본체뿐만 아니라, 배출구를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도 흡착이나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고온 멸균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배출구가 높은 용착강도 및 낙하강도를 갖는 다층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최내층이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고, 또한 표층의 주요부가 특정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는 배출구가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란트에 특정 조건에서 용착된 다층 액체 용기는, 내용액의 유효성분이 용기 본체뿐만 아니라, 배출구를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도 흡착이나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고온 멸균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배출구가 높은 용착강도 및 낙하강도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하기 다층 액체 용기를 제공한다.
청구항 1: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실란트가 일면에 적층된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일부에, 배출로에 직교하는 단면이 적층구조를 갖는 배출구가 적어도 1개 이상 용착된 다층 액체 용기로서,
상기 배출구의 배출로를 형성하는 최내층이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고, 또한 표층의 주요부가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가 상기 실란트와 용착되는 용착부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최내층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의 표층에 상기 다층 필름의 끝가장자리를 따르는 띠 형상으로 노출되고, 표층의 종속부로 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적어도 일부와 표층의 주요부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쌍방이 상기 실란트와 띠 형상으로 용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2:
상기 배출구의 상기 용착부측의 단부의 표층에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3:
상기 용착부에 있어서,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의한 용착폭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의한 용착폭의 비율이 95:5∼5:95인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4:
상기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이 직쇄상의 폴리에틸렌이며, 그 밀도가 880∼970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5:
상기 배출구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 단독, 또는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 중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6:
상기 배출구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밀도 935∼970kg/m3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40질량%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기재의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7:
상기 배출구의 최내층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톨루엔을 용매로 한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 3,000 이하의 수지 성분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8:
상기 배출구의 최내층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다음 화학식 (1) 및/또는 (2)로 표시되는 청구항 1∼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다층 액체 용기.
Figure 112011012667390-pct00001
(식 중, R1, R2, R3, R4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또한 R1과 R2, 및/또는 R3과 R4는 서로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m, p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청구항 9:
상기 배출구의 적층구조에 있어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측에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구항 1∼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10:
상기 배출구에 고무 마개를 구비하는 캡이 용착된 청구항 1∼9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다층 액체 용기.
청구항 11:
상기 용기가 105℃ 이상의 고온 멸균처리가 가능한 청구항 1∼10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다층 액체 용기.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액의 유효성분이 용기 본체뿐만 아니라, 배출구를 구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도 흡착이나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고온 멸균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배출구의 용착부에 2종류의 용착부가 존재하므로, 배출구가 높은 용착강도 및 낙하강도를 갖는 다층 액체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의 제 1 형태예에 의한 배출구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의 제 1 형태의 다른 예에 의한 배출구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의 제 2 형태예에 의한 배출구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의 제 3 형태예에 의한 배출구 근방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1)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1)의 제 1 형태예의 배출구 근방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1)는, 배출구(2)가 적어도 1개 이상 용착된, 필름이나 튜브의 주변을 용착한 백 형상 용기, 또는 블로우 성형한 용기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필름도 시트도 구별하지 않고 필름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주성분」이란 50질량% 이상 포함하는 성분을 의미한다.
다층 액체 용기(1)가 백 형상 용기인 경우에는, 다층 액체 용기(1)의 다층 필름(11, 12)은 실란트(111, 121)가 다 같이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그 외측에는, 통상은,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PO 수지 등이 적층된다. 단, 후술하는 다른 수지층을 적층해도 된다. 다층 필름(11, 12)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실란트(111, 121)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용착성의 관점에서는 동일의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필름(11, 12)의 적층방법은, 통상의 용기의 제조방법으로서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층 인플레이션 성형, 다층 T다이 캐스트 성형 등의 공압출 성형, 또는 용융 수지를 직접 적층하는 압출 라미네이트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등의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또한 COP 수지와 PO 수지 등을 공압출 성형으로 적층하는 경우에는, 이것들을 직접 적층해도 되지만, 미츠이카가쿠사제의 아도머, 미츠비시카가쿠사제의 모딕 등으로 대표되는 접착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PO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폴리프로필렌(PP) 및 이것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나 이것들의 블렌드를 들 수 있다. 이들 PO 수지를 사용하면 용기에 내열성과 유연성 모두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층 필름(11, 12)의 전체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70∼400㎛가 일반적이다.
그 경우,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실란트(111, 121)는 15∼15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이다. 실란트(111, 121)의 두께가 15㎛ 미만에서는, 배출구(2)와의 용착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 배출구(2)를 용착할 때 실란트(111, 121)가 가열·가압에 의해 얇아져, 핀홀에 의한 액누출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실란트(111, 121)의 두께는 150㎛를 초과해도 되지만, 두꺼워지면 용기의 유연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비용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PO 수지층 대신, 또는 PO 수지층과 함께 적층하는 다른 수지층으로서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연신 필름 등의 기재 필름이나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층을 적층해도 된다.
산소 배리어나 수증기 배리어 등의 배리어성을 부여하는 층으로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그 코팅 필름, MXD 나일론, 폴리염화비닐리덴 또는 그 코팅 필름, 불소계 필름,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실리카 증착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의 수지층을 사용할 수 있다.
다층 필름(11, 12)은 필요 개소를 공지의 수단으로 용착하여 주연부를 형성하거나, 배출구(2)와 용착하거나 하여 다층 액체 용기(1)가 된다.
용착하는 방법은 히트실링이 일반적이지만, 초음파 실링이나 고주파 실링을 사용해도 된다. 다층 필름(11, 12)은 진공 성형이나 압공 성형으로 불룩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층 액체 용기(1)가 블로우 성형 용기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다층의 압출 블로우 성형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다층의 공압출 블로우 성형의 방법으로서는, 복수의 압출기를 갖는 다층 압출기를 사용하여, COP 수지 및 PO 수지, 필요에 따라 접착성 수지나 그 밖의 합성 수지를 각각의 압출기로 용융하여 압출을 행하고, 공기를 불어 넣어 블로우 성형을 행한다. 블로우 성형시에는, 일단, 프리폼으로 만들고나서, 블로우 성형을 행해도 되고, 각 용융 수지층을 다층 패리슨 성형용 다이의 내부에서 관 형상의 다층 패리슨으로 만들고나서 블로우 성형하는 다이렉트 블로우 성형을 행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층 액체 용기(1)의 일부에 배출구(2)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다. 배출구(2)는 충전구 등도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구(2)의 용착방법은, 다층 액체 용기(1)가 백 형상 용기인 경우에는,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끼리를 포개고, 그 사이에 배출구(2)를 삽입하고 히트실링으로 용착한다.
또한 다층 액체 용기(1)가 블로우 성형인 경우에는, 성형시에 배출구(2)를 금형 내에 삽입하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다층 액체 용기(1)의 성형시에 용착한다. 또는 개구부를 갖는 다층 용기를 성형하고, 뒤에 개구부에 배출구(2)를 삽입하고 히트실링으로 용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배출구(2)는, 내용액의 유효성분의 흡착이나 투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배출로로서 접액하는 최내층(21)이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된다. 당해 수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사용량을 억제하기 위하여, 및, 배출구(2)의 용착부(3)의 취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다층 액체 용기(1)의 다층 필름(11, 12)과 용착되는 배출구(2)의 표층(22)은 밀도 880∼970kg/m3인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대부분이 구성된다. 한편, 용착부(3)의 용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부는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된다.
즉, 표층의 주요부가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됨과 아울러, 배출구(2)가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와 용착되는 용착부(3)에 있어서,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일부가 배출구(2)의 표면에 다층 필름(11, 12)의 끝가장자리를 따른 띠 형상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노출되어 표층의 종속부로 된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적어도 일부와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쌍방이 상기 실란트(11, 12)와 띠 형상으로 용착된다. 따라서, 도 2 및 3에서는,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띠 형상의 부분은 다층 액체 용기의 수납부측(도면의 아래쪽)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배출구의 표층에 대하여, 「주요부」란 배출구의 표층의 표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종속부」란 배출구의 표층의 표면적의 50% 미만을 차지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용착부(3)(폭 I을 갖는 부분)에 있어서, 배출구(2)의 표층(22)에,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표출되는 부분(폭 III을 갖는 부분)은, 용착부(3)의 수지층이 모두 COP 수지가 되므로, 용착강도가 높다. 반면,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부분은 깨지기 쉽다.
한편,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띠 형상의 부분(폭 II를 갖는 부분)이 존재하면 용착부(3)의 낙하시의 충격을 이 수지층에 의한 용착부(폭 II를 갖는 부분)가 흡수 또는 분산한다. 이것에 의해 낙하시의 충격에 대한 강도(낙하강도)가 향상된다.
즉, 본 발명은, 용착부(3)에 2종류의 용착부가 존재하므로, 용착강도가 높고, 또한 배출구(2)의 용착부(3)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액누출의 염려가 없어진다.
이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은, 다층 필름(11, 12)에 사용한 실란트(111, 121)의 COP 수지와의 용착을,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끼리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강도로 용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용착강도는 30N/15mm 이상이 얻어진다. 또한, 105℃ 이상의 고온 멸균처리를 충분히 견디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이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끼리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용착강도가 얻어지기 위해서는, 배출구(2)의 표층(22)이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메탈로센계 촉매 이외의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 수지는 분자량 분포도 넓고, 저연화점의 성분이나 저분자량 성분이 다량으로 존재한다. COP 수지와 용착을 행할 때에, 이것들이 용착면에 블리드 아웃하여 용착성에 영향을 주므로, 용착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한편,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PE 수지를 중합하면, 이 PE 수지의 용착 계면에 존재하는 저연화점 성분이나 이 PE 수지의 표면으로 블리드 아웃하여 용착성에 영향을 주는 저분자량 성분이 극히 적어진다. 그 결과로서, 직쇄상이고, 분자 골격에 환상 탄화수소기에 의한 부피가 큰 분자 구조를 갖는 COP 수지의 분자쇄와 이 PE 수지의 분자쇄의 얽힘을 구축하기 쉬워진다.
이때, 이 PE 수지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면, 적절하게 α-올레핀의 측쇄가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분자 사이에 α-올레핀의 측쇄가 들어가기 쉬워지므로, 보다 강고한 용착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분자쇄의 얽힘이 일어날 때의 조건은 밀도가 880∼970kg/m3, 바람직하게는 900∼960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935∼955kg/m3이다. 밀도가 935∼955kg/m3이면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강도가 높아짐과 아울러, 내열성이 더한층 향상되고, 고온 멸균처리의 온도를 1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880kg/m3를 밑돌면 내열성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있어, 고온 멸균시에 배출구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밀도가 970kg/m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용상의 용착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출구(2)의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톨루엔을 용매로 한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 3,000 이하의 수지성분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이면, 저분자 성분의 용출이나 약액의 유효성분의 흡착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톨루엔을 용매로 한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200,000, 바람직하게는 20,000∼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0∼50,000이면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수지와 배출구(2)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계면에는, 이 최내층(111, 121)의 수지에 유래하는 저연화점 성분이나 저분자량 성분도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분자쇄의 얽힘이 일어나기 쉽고, 더욱 높은 용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는, HDPE나 전술한 바와 같은 COP 수지를 4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의 범위로 배합하면 내열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단, HDPE나 COP 수지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내열성이 향상되는 반면, HDPE의 배합비율이 40질량%를 초과하면, 다층 필름과의 용착강도가 충분하지는 않게 되는 경우가 있고, COP 수지의 배합비율이 40질량%를 초과하면, 용착부(3)가 깨지기 쉬워져 낙하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는, 이것들을 4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으면, 직쇄상의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한 수지의 경우이더라도, 고온 멸균처리의 온도를 121℃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함유시키는 HDPE는, 밀도가 935∼970kg/m3이면, 배출구(2)에 적당한 경도와 높은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의 COP 수지와 배출구(2)의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이 되는 부분이 용착부(3)에 띠 형상으로 노출되므로, 실란트(111, 121)와의 용착강도도 높아 안정된 것으로 된다. 예를 들면, 융착 폭이 3mm 이상 있으면, 30N/15mm 이상의 용착강도가 얻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실란트(111, 121)의 주성분이 되는 COP 수지는, 배출구(2)의 최내층(21)의 주성분이 되는 COP 수지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름 그레이드와 성형 그레이드 등 다소 상이해도 된다.
그런데,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와 배출구(2)의 표층(22)을 모두 COP 수지로 하면, 30N/15mm 이상의 용착강도가 얻어지지만, 본 발명에 적합한 고온 멸균처리를 견딜 수 있는 용기에 사용하는 실란트로서의 COP 수지는, 일반적으로 파단신율 3∼60%로 작고, 굽힘탄성률 2,000∼3,200MPa로 단단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대단히 깨지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이 때문에, 통상의 용기에 사용되는 PE 수지와 같이 파단신율 700∼1,000%로 충분히 신장되고, 굽힘탄성률 100∼700MPa로 유연한 소재에 의해 용기의 실란트를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내용액 충전후의 수송시 등에 배출구(2)의 용착부(3)가 파괴되기 쉬워, 액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황은 실질적으로 실용적인 용착강도로 용착된다고는 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 배출구(2)는, 다층 필름(11, 12)과 용착되는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일부가 배출구(2)의 표층에, 다층 필름(11, 12)의 끝가장자리를 따르는 띠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노출된 최외층(표면)의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적어도 일부와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쌍방이 상기 실란트와 띠 형상으로 용착된다.
본 형태예에서는, 도 2 및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구(2)의 용착부(3)측의 단부에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존재하지 않도록, 배출구(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구(2)가 다층 필름(11, 12)에 용착되면, 다층 액체 용기(1)의 내용액 수납부로부터 배출구(2)의 유로 내에서, 내용액과 배출구(2)가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 접하지 않는다. 즉, 내용액의 접촉면이 COP 수지만으로 구성되므로, 내용성분이 다층 필름(11, 12)이나 배출구(2)에 흡착되거나, 다층 필름(11, 12)이나 배출구(2)를 투과하거나 하지 않는다. 따라서, 내용액의 성분 함유량이 저하되거나, 다층 필름(11, 12)이나 배출구(2)와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나 오염되지는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용기(1)는, 용착부(3)에 있어서,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노출되는 한, 노출하는 폭의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노출되는 폭(폭 III)의 범위는 1∼20mm, 바람직하게는 2∼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3∼10mm의 범위이다. 노출되는 폭의 범위는 1mm 미만이어도 되지만, 지나치게 좁으면 배출구(2)의 성형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20mm를 초과해도 되지만, 용착강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어, 비용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용착부(3)에 있어서,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의한 용착폭(폭 II)과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의한 용착폭(폭 III)의 비율이 95:5∼5:95, 바람직하게는 90:10∼30:7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20∼60:40이면, 실란트(111, 121)의 COP 수지와 배출구(2)의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이 되는 부분에 의한 높은 용착강도와, 다층 필름(11, 12)의 최내층의 COP 수지와 배출구(2)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이 되는 부분에 의한 취성 완화와의 밸런스가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다층 액체 용기(1) 배출구(2)와의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높게 확보한 채, 용착부(3)의 취성이 개선된다. 즉,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의한 30N/15mm 이상의 용착강도가 반영되어, 낙하강도가 우수한 다층 액체 용기(1)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형태예에서는, 배출구(2)의 다층 액체 용기(1)의 수납부측의 하단 표층에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존재하지 않고,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만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내용액의 유효성분이 다층 액체 용기(1)에 흡착되거나, 다층 액체 용기(1)를 투과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성분 함유량이 저하되거나, 다층 액체 용기(1)와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 내용액이 열화나 오염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1)의 제 2 형태예의 배출구 근방의 단면도이다. 본 형태예가 제 1 형태예와 상이한 점은 도 4에 도시하는 요철(6)이 설치되는 점뿐이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표층(22)의 주부에 사용되는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HDPE, MDPE나 LDPE 단독의 경우 또는 그 혼합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배출구(2)의 최내층(21)과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과의 용착강도가 충분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최내층(21)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측에 오목 및/또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목부나 볼록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환상의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요철(6)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1개의 환상의 오목부나 볼록부이어도 된다. 또는, 이 요철(6)은 환상이 아니어도 되고, 연속되지 않는 단순한 오목부와 볼록부가 랜덤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최내층(21)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측이면, 어디에 형성해도 된다. 이 요철(6)에 의해, 배출구(2)의 최내층(21)과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과의 접착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이어도, 최내층(21)과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이 박리되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1)의 제 3 형태예의 배출구 근방의 단면도이다. 본 형태예가 제 1 및 제 2 형태예와 상이한 점은, 본 실시형태의 다층 액체 용기(1)는, 배출구(2)의 용착부의 중간부에 있어서,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에 의한 용착부가 존재하는 점뿐이다.
본 형태예는, 다층 액체 용기(1)의 수납부측의 하단 표층도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하는 태양이다. 이 경우에는, 배출구(2)의 하단부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이 내용액에 접할 가능성이 있지만, 다층 액체 용기(1)의 다층 필름(11, 12)이 용착부(3)에서 배출구(2)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영향은 작다. 그러나, 내용액이 충전된 다층 액체 용기의 보존기간이 긴 경우도 고려하면, 흡착이나 투과에 의한 영향이 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내용액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이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표층 사이에 표출되면,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에 의한 용착부의 취성이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에 의해 효과적으로 커버된다. 따라서, 낙하강도가 대폭 향상되어, 스루홀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 및 배출구(2)에 사용하는 COP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여러 환상 올레핀 모노머의 중합체나, 환상 올레핀 모노머와 에틸렌 등의 다른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및 그것들의 수소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다층 필름(11, 12) 및 배출구(2)에 사용하는 COP 수지로서는 필름 그레이드와 성형 그레이드의 차 정도의 차이가 있어도, 거의 동일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착이 가능하다면, 상이해도 된다.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 및 배출구(2)에 사용하는 COP 수지로서 중합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노르보르나디엔, 메틸노르보르넨, 디메틸노르보르넨, 에틸노르보르넨, 염소화노르보르넨, 클로로메틸노르보르넨, 트리메틸실릴노르보르넨, 페닐노르보르넨, 시아노노르보르넨, 디시아노노르보르넨, 메톡시카르보닐노르보르넨, 피리딜노르보르넨, 나드산 무수물, 나드산 이미드 등의 2환 시클로올레핀;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이나 그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 치환체 등의 3환 시클로올레핀; 디메타노헥사히드로나프탈렌,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이나 그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 치환체 등의 4환 시클로올레핀; 트리시클로펜타디엔 등의 5환 시클로올레핀; 헥사시클로헵타데센 등의 6환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노르보르넨, 2개의 노르보르넨환을 탄화수소쇄 또는 에스테르기 등으로 결합한 화합물, 이것들의 알킬, 아릴 치환체 등의 노르보르넨환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디시클로펜타디엔, 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과 같은, 분자골격 중에 노르보르넨 골격을 포함하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노르보르넨계 수지, 또는 그 수소첨가물, 및 그것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이, 본 발명에서의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 및 배출구(2)의 최내층(21)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COP 수지의 모노머 분자의 중합방법이나 중합기구로서는 개환중합이어도, 부가중합이어도 된다. 부가중합의 경우에는 메탈로센계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종의 모노머를 병용하는 경우의 중합방법이나 얻어지는 중합체의 구조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공지의 중합체로 할 수 있고, 모노머 시에 배합하여 공중합을 행해도 되고, 어느 정도 중합한 후에 배합하여 블록 공중합체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란트(111, 121) 및 배출구(2)에 사용하는 COP 수지로서 상기에 나열한 COP 수지 중,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구조식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특히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COP 수지는 특히 필름 제막 적성이 우수하고, 또한 배출구(2)의 성형을 행하는데 보다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화학식 (2)로 표시되는 COP 수지는 COP 수지 단독으로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를 구성하거나, 배출구(2)의 최내층(21)을 구성할 수 없으므로, 가공 적성을 향상할 목적으로 PE 수지를 블렌드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흡착이나 투과에 의한 영향이 큰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내용액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의 함유량이 많으면 내열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Figure 112011012667390-pct00002
(식 중, R1, R2, R3 및 R4는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또한 R1과 R2, 및/또는 R3과 R4는 서로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m, p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수 1∼20의 유기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sec-부틸, t-부틸, i-펜틸, t-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t-옥틸(1,1-디메틸-3,3-디메틸부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이코실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의 시클로알킬기; 1-메틸시클로펜틸, 1-메틸시클로헥실, 1-메틸-4-i-프로필시클로헥실 등의 알킬시클로알킬기; 알릴, 프로페닐, 부테닐, 2-부테닐, 헥세닐, 시클로헥세닐 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비페닐기, 페녹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술포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2-페닐에틸기(페네틸기), α-메틸벤질기, α,α-디메틸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것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러한 COP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는 상기 화학식 (1), (2) 중의 l, m, n, p의 값, 또는 치환기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적당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 (2) 이외의 COP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에 대해서도, 사용하는 모노머종, 모노머종의 배합비율, 모노머 배열, 치환기의 종류 등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COP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니혼제온사제의 제오넥스, 제오너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COP 수지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츠이카가쿠사제의 아펠, TICONA회사제의 TOPAS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 및 배출구(2)에 사용하는 COP 수지로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COP 수지 단독으로 구성되고, 다른 수지가 함유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COP 수지의 경우에는, 필름의 제막시에 발생하는 겔을 방지하기 위하여, PE 수지 등을 10∼40질량% 정도의 비율로 블렌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COP 수지의 경우에는, 에틸렌의 함유량이 적고, 환상 올레핀의 함유량이 많으면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배출구(2)는 2색 이상의 다색 성형 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성형된다. 성형 방법은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구(2)의 선단은 소프트백 제조시에는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부(23)로부터 충전 노즐을 삽입하고, 내용액의 충전이나 질소 치환을 행한 후, 고무 마개(4)를 중심에 구멍을 갖는 캡(5)에 사전에 끼워 맞춘 고무마개 몸체를 장착하고, 초음파 실러 등으로 용착하여 밀봉한다. 이 때,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이 배출구(2)의 선단까지 연장 설치되어 표출되어 있으면, 캡(5)에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용착이 용이하고, 확실하고 비용적으로도 우수하며, 낙하시에도 캡이 PE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또 캡부의 파손도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고무 마개(4)는 통상 사용되는 고무 마개이면, 종래 공지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고무 마개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를 그대로, 또는, 그것들에 불소계 수지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LLDPE 등을 피복한 라미네이트 고무 마개이면, 고무를 시린지 등의 바늘로 찔러 관통한 경우에, 고무 마개(4)의 일부가 떨어져서 내용액 내에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내용액이 고무 마개에 흡착하거나, 내용액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또 고무 대신, 엘라스토머계 수지를 사용하여 고무 마개(4)를 작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고무 마개(4)의 성형 공정이 단축되고, 게다가, 내용액의 흡착도 적기 때문에, 라미네이트의 필요가 없어져 비용적으로 메리트가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액체 용기(1)는, 주로 의료용의 액체의 수납에 사용되기 때문에, 105℃ 이상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 이상의 고온 멸균처리에 의해 다층 액체 용기(1)의 변형이나, 파열이 없는 구성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층 필름(11, 12)의 실란트(111, 121) 및 배출구(2)에 사용되는 COP 수지는 모두 유리전이 온도가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층 필름(11, 12)의 작성:
미츠비시카가쿠사제의 PP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최외층(112, 122): 160㎛, 미츠비시카가쿠사제의 모딕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성 수지층: 30㎛, 유리전이 온도 102℃의 니혼제온사제의 COP 수지 제오너 70%(질량비)와 유리전이 온도 136℃의 니혼제온사제의 COP 수지 제오넥스 30%(질량비)의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실란트(111, 121): 60㎛를 적층한 총 두께: 250㎛의 수지층을 수냉 다층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막하고, 도 2에 도시하는 다층 필름(11, 12)으로 했다.
배출구(2)의 작성:
유리전이 온도 102℃의 니혼제온사제의 COP 수지 제오너 60%(질량비)와 유리전이 온도 136℃의 니혼제온사제의 COP 수지 제오넥스 40%(질량비)를 블렌드하여, 배출구(2)의 최내층(21)의 수지로 했다. 밀도 935kg/m3의 메탈로센계 LLDPE(우베마루젠 폴리에틸렌사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배출구(2)의 표층(22)의 주요부의 수지로 했다. 최내층(21) 및 표층(22)의 주요부의 수지를 2색 성형법으로 적층 성형하고, 용착부(3)에 상당하는 부분에 배출구(2)의 단부측의 표층에 최내층의 수지가 노출되어 있는 도 2에 도시하는 배출구(2)를 작성했다. 배출구는 전장 40mm, 용착부에 상당하는 개소에서 직경이 17mm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했다
다층 액체 용기(1)의 작성:
다층 필름(11, 12) 사이에 배출구(2)를 1개 끼우고 주연부를 용착하여, 도 1에 도시하는 폭 115mm, 길이 170mm의 다층 액체 용기(1)를 작성했다. 용착폭은 양측 가장자리에서 5mm, 가장 좁은 곳에서 3mm로 하고, 용착의 조건은, 배출구(2)의 주변 및 그 이외 모두, 260℃에서 4초간 용착을 행했다. 배출구(2)의 반대측에는 훅에 매달기 위한 구멍(7)을 설치했다.
용착부(3)의 구성:
다층 필름(11, 12)과 배출구(2)의 용착부(3)는 도 2에 도시하는 태양으로 하고, 용착부(3)의 전체의 폭(I)을 10mm,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폭(II)을 9mm,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폭(III)을 1mm로 했다(II:III=90:10).
용착강도의 측정:
다층 필름(11, 12)과 배출구(2)의 용착부(3)의 용착강도의 측정 시에는, 배출구(2)와 다층 필름(11, 12)을 다층 액체 용기(1)로부터 잘라냈다. 다층 필름(11, 12)의 배출구(2)의 중앙 부근에서 유로를 따르는 방향으로 5mm 간격의 절단선을 2개 만들고, 다층 필름(11, 12)의 5mm폭의 자유단을 작성했다. 다층 필름(11, 12)의 각각의 5mm 폭의 자유단을 측정기의 척에 고정하고 필름(11, 12)을 잡아당겨, JIS-Z0238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측정값은 15mm 폭으로 환산했다.
결과는 45N/15mm이며, 극히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다층 필름(11, 12)끼리의 측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측정했다. 단, 측가장자리의 용착부는 용착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5mm 폭으로 잘라내어 측정했다. 결과는 용착강도는 30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다층 액체 용기(1)에 배출구(2)로부터 100ml의 정제수를 충전하고, 115℃에서 고온 멸균처리를 40분간 실시한 후, 4℃ 환경하에서 24시간 보관하고, 그 상태에서 1.5m의 높이에서 콘크리트 위로 자연낙하시켜 시험을 행했다. 낙하 시험은 배출구(2)를 아래로 하여 항상 배출구(2)부터 콘크리트에 떨어지도록 실시하고, 동일한 다층 액체 용기(1)를 반복하여 5회 낙하시켜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는 파열, 액누출은 없어, 충분한 낙하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2]
다층 필름(11, 12)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배출구(2)의 작성:
도 3에 도시하는 배출구(2)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다층 액체 용기(1)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부(3)의 구성:
용착부(3)의 전체의 폭(I)을 10mm,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폭(II)을 6mm, 최내층이며 최외층에 표출된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21)과의 용착폭(III)을 4mm로 했다(II:III=60:40).
용착강도의 측정: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결과는 42N/15mm로, 극히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다층 필름(11, 12)끼리의 측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한 바, 용착강도는 32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파열, 액누출은 없어, 충분한 낙하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3]
다층 필름(11, 12)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배출구(2)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한 COP 수지로 미리 두께 1mm의 도 2의 부호 21로 표시되는 COP 수지제의 원통 형상물을 사출 성형했다. 밀도 930kg/m3의 메탈로센계 LLDPE(토소사제)에, 밀도 963kg/m3의 HDPE(토소사제)를, LLDPE:HDPE가 80:20(질량비)의 비율이 되도록 배합하고, 금형에 상기 원통 형상물을 배치함과 아울러, 인서트 성형법으로 COP 수지제의 원통 형상물을 피복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도 2에 도시하는 배출구(2)를 작성했다.
다층 액체 용기(1)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부(3)의 구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강도의 측정: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결과는 40N/15mm로, 극히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고 있다.
한편, 다층 필름(11, 12)끼리의 측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한 바, 용착강도는 30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파열, 액누출은 없어, 충분한 낙하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4]
다층 필름(11, 12)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배출구(2)의 작성:
도 4에 도시하는 링 형상의 탈락 방지용 요철(6)을 최내층(21)의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의 표층(22)측에 설치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배출구(2)를 작성했다.
다층 액체 용기(1)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부(3)의 구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강도의 측정: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결과는 35N/15mm로, 극히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다층 필름(11, 12)끼리의 측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한 바, 용착강도는 30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파열, 액누출은 없어, 충분한 낙하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5]
다층 필름(11, 12)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배출구(2)의 작성:
표층(22)의 주요부의 수지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밀도 935kg/m3의 메탈로센계 LLDPE(우베마루젠 폴리에틸렌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인서트 성형으로 성형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배출구(2)를 작성했다.
다층 용기(1)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부(3)의 구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강도의 측정: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결과는 44N/15mm로, 극히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다층 필름(11, 12)끼리의 측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한 바, 용착강도는 30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파열, 액누출은 없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6]
다층 필름(11, 12)의 작성:
밀도 936kg/m3의 HDPE(토소사제)로 이루어지는 최외층(112, 122): 15㎛,
밀도 925kg/m3의 LLDPE(프라임 폴리머사제)로 이루어지는 최외층(112, 122)에 인접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 1 중간층: 150㎛,
밀도 910kg/m3의 LLDPE(닛폰폴리에틸렌사제)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제 1 중간층과 실란트(111, 121)에 접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 2 중간층: 25㎛,
유리전이 온도 102℃의 니혼제온사제의 COP 수지 제오너 60%(질량비)와 유리전이 온도 136℃의 니혼제온사제의 COP 수지 제오넥스 40%(질량비)의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실란트(111, 121): 60㎛를 적층한 총 두께 250㎛의 도 2에 도시하는 다층 필름(11, 12)을 다층 T다이 공압출법에 의하여 제막했다.
배출구(2)의 작성: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했다.
다층 액체 용기(1)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부(3)의 구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강도의 측정: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결과는 40N/15mm로,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다층 필름(11, 12)끼리의 측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한 바, 용착강도는 33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멸균을 121℃, 30분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파열, 액누출은 없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7]
다층 필름(11, 12)의 작성: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했다.
배출구(2)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다층 액체 용기(1)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부(3)의 구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강도 측정: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결과는 42N/15mm이며, 극히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다층 필름(11, 12)끼리의 측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한 바, 용착강도는 33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파열, 액누출은 없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8]
다층 필름(11, 12)의 작성:
밀도 935kg/m3의 LLDPE(토소사제)로 이루어지는 최외층(112, 122): 40㎛, 밀도 925kg/m3의 LLDPE(프라임폴리머사제)와 밀도 905kg/m3의 LLDPE(닛폰폴리에틸렌사제)를 9:1(질량비)로 블렌드하여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중간층: 150㎛, 유리전이 온도 102℃의 니혼제온사제의 COP 수지 제오너 60%(질량비)와 유리전이 온도 136℃의 니혼제온사제의 COP 수지 제오넥스 40%(질량비)의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실란트(111, 121): 60㎛를 적층한 총 두께 250㎛의 도 5에 도시하는 다층 필름(11, 12)을 다층 공압출 T다이법에 의해 제막했다.
배출구(2)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다층 액체 용기(1)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부(3)의 구성:
다층 필름(11, 12)과 배출구(2)의 용착부(3)는 도 5에 도시하는 태양으로 했다. 용착부(3)의 전체의 폭(I)을 10mm,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부를 용착부(3)의 중간에 설치하고, 그 폭(III)을 3mm로 했다.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폭(II)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mm와 2mm의 상하로 분할하고, 그 합계를 7m로 했다(II:III=70:30).
용착강도의 측정: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결과는 45N/15mm로, 극히 높은 용착강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다층 필름(11, 12)끼리의 측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한 바, 용착강도는 30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파열, 액누출은 없어, 충분한 낙하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비교예 1]
다층 필름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배출구의 작성:
최내층(21)의 CO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표층(22)에 노출되지 않고 적층된 것 이외는, 실시예 1의 배출구와 동일하게 했다.
다층 용기의 작성: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부(3)의 구성:
다층 필름과 배출구의 용착부 모두를 최외층(22)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PE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용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용착강도의 측정:
용착부(3)의 용착강도를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측정했다. 결과는 21N/15mm로, 용착강도는 낮았다.
한편, 다층 필름끼리의 둘레 가장자리의 용착부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측정한 바, 용착강도는 30N/15mm이었다.
낙하충격 시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을 행했다.
결과는 낙하 1회에서는 파열, 액누출 모두 없었지만, 3회째의 낙하에서 배출구 주연부로부터의 액누출이 발생했다.
1 다층 액체 용기
11, 12 다층 필름
111, 121 다층 필름의 실란트
2 배출구
21 배출구의 최내층
22 배출구의 표층
3 용착부
4 고무 마개
5 캡
6 요철
7 구멍

Claims (11)

  1.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실란트가 일면에 적층된 다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일부에, 배출로에 직교하는 단면이 적층구조를 갖는 배출구가 적어도 1개 이상 용착된 다층 액체 용기로서,
    상기 배출구의 배출로를 형성하는 최내층이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고, 또한 표층의 주요부가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직쇄상의 폴리에틸렌이며, 그 밀도가 880∼970kg/m3인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가 상기 실란트와 용착되는 용착부에서, 상기 배출구의 최내층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의 표층에 상기 다층 필름의 끝가장자리를 따르는 띠 형상으로 노출되고, 표층의 종속부로 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적어도 일부와 표층의 주요부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직쇄상의 폴리에틸렌이며, 그 밀도가 880∼970kg/m3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와의 쌍방이 상기 실란트와 띠 형상으로 용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상기 용착부측의 단부의 표층에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에서,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의한 용착폭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에 의한 용착폭의 비율이 95:5∼5: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 단독, 또는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과, 환상 올레핀계 수지, 중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밀도 935∼970kg/m3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40질량%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최내층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톨루엔을 용매로 한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 3,000 이하의 수지 성분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최내층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다음 화학식 (1) 및/또는 (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Figure 112015104643895-pct00003

    (식 중, R1, R2, R3, R4는 서로 동일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또한 R1과 R2, 및/또는 R3과 R4는 서로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m, p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적층구조에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의 메탈로센계 촉매에 의해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층측에 오목부 및/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고무 마개를 구비하는 캡이 용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105℃ 이상의 고온 멸균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액체 용기.
KR1020117004042A 2008-08-05 2009-07-27 다층 액체 용기 KR101917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1730A JP5262407B2 (ja) 2008-08-05 2008-08-05 多層液体容器
JPJP-P-2008-201730 2008-08-05
PCT/JP2009/063333 WO2010016404A1 (ja) 2008-08-05 2009-07-27 多層液体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878A KR20110044878A (ko) 2011-05-02
KR101917878B1 true KR101917878B1 (ko) 2019-01-29

Family

ID=4166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042A KR101917878B1 (ko) 2008-08-05 2009-07-27 다층 액체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09189B2 (ko)
EP (1) EP2330048B1 (ko)
JP (1) JP5262407B2 (ko)
KR (1) KR101917878B1 (ko)
CN (1) CN102149607B (ko)
CA (1) CA2732865C (ko)
ES (1) ES2427620T3 (ko)
WO (1) WO2010016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266521T3 (da) * 2008-03-14 2013-10-28 Otsuka Pharma Co Ltd Plastikampul
JP5262407B2 (ja) * 2008-08-05 2013-08-14 藤森工業株式会社 多層液体容器
WO2013125515A1 (ja) * 2012-02-22 2013-08-2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遮光容器
CN102602599B (zh) * 2012-03-14 2015-02-25 上海农安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应用在农用投入品包装物的制备方法
DE102012007904B4 (de) * 2012-04-23 2015-08-27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Beutel mit verbundenem biegesteifen Kunststoffteil
JP2014037271A (ja) * 2012-08-14 2014-02-27 Yuki Yoshida 無菌操作用プラスチックバッグ
WO2014061403A1 (ja) * 2012-10-17 2014-04-24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7064830B2 (ja) * 2017-05-12 2022-05-11 藤森工業株式会社 薬液収容プラスチック容器
EP3461469A1 (de) * 2017-10-02 2019-04-03 Weibel CDS AG Primärpackmittel
JP7530712B2 (ja) * 2019-12-06 2024-08-08 株式会社細川洋行 塞ぎ部材付き排出用部材および収容容器
CA3211905A1 (en) * 2021-03-16 2023-09-12 Manuel Jose MORENO BROCINER Closure system with barrier layer
WO2023006565A1 (en) 2021-07-26 2023-02-02 Medichem, S.A. Process for preparing formulations of edarav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0222B2 (ja) * 2003-03-26 2008-03-1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液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044A (ja) * 1998-07-15 2000-03-28 Showa Denko Kk 医療容器用口部材、口栓体及び医療容器
JP4004650B2 (ja) * 1998-07-16 2007-11-07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口栓用材料
AU765985B2 (en) * 1999-03-01 2003-10-0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ackage for medical device
US6800692B2 (en) * 2000-06-22 2004-10-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allocene-produced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s
JP2002255200A (ja) * 2000-12-27 2002-09-11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用注出部材
EP1219545B1 (en) 2000-12-27 2010-05-05 Toyo Seikan Kaisya, Ltd. Pouring mouth member for container
JP2003220641A (ja) * 2002-01-29 2003-08-05 Yoshino Kogyosho Co Ltd 二軸延伸ブロー成形壜体及びその一次成形品
US6893715B2 (en) * 2002-05-20 2005-05-17 Mitsui Chemicals, Inc. Resin compositions for sealants and films
EP1552335A4 (en) * 2002-10-18 2006-12-20 Bae Systems Information METHOD AND DEVICE FOR USING OPTICAL DISTORTION IN A TEMPORARY COUNTER-MEASUREMENT SYSTEM FOR PROVIDING A VARIABLE VISIBILITY
JP2004298220A (ja) 2003-03-28 2004-10-28 Terumo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4596124B2 (ja) 2004-03-09 2010-12-08 藤森工業株式会社 医療用容器
EP1779831B1 (en) * 2004-07-09 2013-08-21 Ajinomoto Co., Inc. Sealed article having drug stored therein
KR101211552B1 (ko) 2004-08-16 2012-12-12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JP4696773B2 (ja) 2004-08-16 2011-06-08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多層容器および医療用多層複室容器
US20060198973A1 (en) * 2005-03-03 2006-09-07 Jester Randy D Packaging with cycloolefin food/beverage contact layer
JP5124085B2 (ja) 2005-08-24 2013-01-23 押尾産業株式会社 自立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53961A (ja) 2006-03-20 2007-10-04 Dainippon Printing Co Ltd 注出口付き包装用袋
JP4976033B2 (ja) * 2006-03-28 2012-07-18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袋状容器用注出具
CN101478945B (zh) * 2006-06-28 2013-07-31 藤森工业株式会社 液体收纳容器
JP5052833B2 (ja) 2006-07-13 2012-10-17 株式会社細川洋行 医療容器用多層体および医療容器
WO2008026733A1 (fr) * 2006-08-31 2008-03-06 Zeon Corporation Polymères de polymérisation par ouverture de cycle à base de norbornène hydrogéné, composition de résine et objets moulés
JP5122878B2 (ja) * 2007-07-04 2013-01-1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液流出入用筒部材および薬液容器
JP5262407B2 (ja) * 2008-08-05 2013-08-14 藤森工業株式会社 多層液体容器
JP5090525B2 (ja) * 2009-01-06 2012-12-05 藤森工業株式会社 注出口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注出口を備える液体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0222B2 (ja) * 2003-03-26 2008-03-1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薬液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36954A (ja) 2010-02-18
CA2732865C (en) 2016-03-29
CA2732865A1 (en) 2010-02-11
US20110135223A1 (en) 2011-06-09
EP2330048B1 (en) 2013-07-03
JP5262407B2 (ja) 2013-08-14
KR20110044878A (ko) 2011-05-02
EP2330048A4 (en) 2012-04-04
CN102149607B (zh) 2012-12-26
WO2010016404A1 (ja) 2010-02-11
US8309189B2 (en) 2012-11-13
EP2330048A1 (en) 2011-06-08
ES2427620T3 (es) 2013-10-31
CN102149607A (zh)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878B1 (ko) 다층 액체 용기
CA2748925C (en) Pouring port,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ntainer for liquid provided with the pouring port
EP2127866B1 (en) Multilayer film and container
EP1894851B1 (en) Duplex-chamber package
KR101450368B1 (ko) 약제 용기 및 다층 필름
KR101195707B1 (ko)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JP4888646B2 (ja) 複室容器
JP2014057723A (ja) ポート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106891B2 (ja) 多層フィルム、薬液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40374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
JP3883157B2 (ja) 二重包装体の製造方法
WO2022177025A1 (ja) 容器用多層体、容器、医療容器及び薬剤入り医療容器
JP2023023035A (ja) 成形品およ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5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16

Effective date: 2018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