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898B1 -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facilities - Google Patents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facilit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2898B1 KR101912898B1 KR1020180040125A KR20180040125A KR101912898B1 KR 101912898 B1 KR101912898 B1 KR 101912898B1 KR 1020180040125 A KR1020180040125 A KR 1020180040125A KR 20180040125 A KR20180040125 A KR 20180040125A KR 101912898 B1 KR101912898 B1 KR 101912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water
- water supply
- chlorine
- ground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9608 sal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ZPVPNZTYPUODG-UHFFFAOYSA-M sodium;chloride;dihydrate Chemical compound O.O.[Na+].[Cl-] XZPVPNZTYPUODG-UHFFFAOYSA-M 0.000 claims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AKHNMLFCWUSKQB-UHFFFAOYSA-L sodium thiosulfate Chemical group [Na+].[Na+].[O-]S([O-])(=O)=S AKHNMLFCWUSKQ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76 S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13 Cobalt-iro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30 Iron–nicke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1 biological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0 biolog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IOWANYIHSOXQY-UHFFFAOYSA-N cobalt silicon Chemical compound [Si].[Co] AIOWANYIHSOXQ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WHPIFXRKKHEKR-UHFFFAOYSA-N iro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Fe] XWHPIFXRKKHE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0 salti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시, 계측하여 얻은 상태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상수도 시설관리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며, 분석결과 기준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 신호를 자동으로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상기 상수도 시설물을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 계측, 제어할 뿐 만 아니라 상수도 시설장 안으로 외부의 무단 침입을 감시, 사전 차단 등을 통해 상수도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보다 효과적이고,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ing a water supply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ing a water supply facility by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data from a water supply facility management unit that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monitoring and measuring the status of the water supply facilities, And provides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and remotely monitors and controls the waterworks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larm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of the analysis result. Remote monitoring, measurement, and control, as well as monitoring and trespassing of outside trespass into waterworks facilities,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for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that can more effectively and integrally maintain waterworks facilities Control system.
일반적으로, 마을 상수도시설이나 간이 상수도시설은 계곡이나 지하심정 등으로부터 적정한 수질의 원수를 필요한 양만큼 취수하는 취수부문과, 취수부문에서 취수한 원수를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정수하여 임시 저장해 두었다가 최종 수요처로부터 급수요구가 있을 때 그 요구량만큼 방출하는 저수부문과, 이들 취수부문과 저수부문과 최종 수요처 사이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부문 및 취수부문의 전기, 전자, 기계 요소의 운전제어와 저수부문의 물탱크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어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village waterworks facilities and the simplified waterworks facilities are constructed by taking water from the valleys or underground waterways as much as necessary, and by physically, chemically, and biological methods, In the case of water supply from the end customer, it is required to discharge the required amount of water, and the operation control and storage of electric, electronic, and mechanical elements of the pipeline sector and the intake sector connecting the water intake sector with the water storage sector and the final demand sector And a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to a constant level.
대개 이러한 제어부문은 취수부문, 저수부문, 관리자단말장치에 필요한 기능들이 분산된 형태로 구현된다. Typically, these controls ar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fashion with functions needed for the intake, storage, and administrative endpoints.
그리고 이 같은 취수부문과 저수부문과 제어부문의 유지 및 관리는 전문관리업체에 위탁되어 주기적으로 행해진다.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uch intake, storage, and control departments are entrusted periodically to professional management companies.
일반적으로 상수도 처리장의 제어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장소에 설치되며, 수위, 수온, 오염도, 압력, 유량, 유속, 이산화탄소 농도, 수질 상태 등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요소들을 검출하는 복수개의 검출장비가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원격제어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용되고 있다. Generally, a control system of a water treatment plant is installed in more than one place and a plurality of detection devices for detecting physical, chemical or biological factors such as water level, water temperature, pollution degree, pressure, flow rate, And is operated using data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 stations.
하지만, 종래기술은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 계측, 제어할 뿐 만 아니라 상수도 시설장 안으로 외부의 무단 침입을 감시, 사전 차단 등을 통해 상수도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보다 효과적이고,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can remotely monitor, measure, and control the state of the waterworks facilities, and can more effectively and integratively perform maintenance of the waterworks facilities through monitoring and preventing the intrusion of the outside into the waterworks faciliti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vide the technolog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시, 계측하여 얻은 상태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상수도 시설관리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며, 분석결과 기준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 신호를 자동으로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상기 상수도 시설물을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 계측, 제어할 뿐 만 아니라 상수도 시설장 안으로 외부의 무단 침입을 감시, 사전 차단 등을 통해 상수도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보다 효과적이고,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state information data from a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unit that transmits state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monitoring and measuring the state of a water supply facility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remotely monitor, measure and control the state of the waterworks facility by providing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that automatically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an external user terminal and remotely monitors and controls the waterworks facility And to provide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that can more effectively and integrally perform maintenance of waterworks facilities through surveillance and prevention of outside intrusion into the waterworks facility sit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은,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시, 계측하여 얻은 상태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상수도 시설관리부(100); 및 상기 상수도 시설관리부(100)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며, 분석결과 기준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 신호를 자동으로 외부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상기 상수도 시설물을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ing a water supply facility, including: a water supply facility management unit for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monitoring and measuring a state of a water supply facility in real time; And receives and analyzes the state information data from the water
본 발명은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 계측, 제어할 뿐 만 아니라, 상수도 시설장 안으로 외부의 무단 침입을 감시, 사전 차단 등을 통해 상수도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보다 효과적이고,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remotely monitors, measures, and controls the state of the waterworks facilities, but also monitors the intrusion of the outside intrusion into the waterworks facilities and makes maintenance of the waterworks facilities more effective and integrated There is a technical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상수도 시설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 간의 관계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시설 관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수질검사 센서의 구성 및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상수도 시설장의 감시 및 외부 침입으로부터의 보안 처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도 4a의 구성 중 상수도 시설장의 출입 시 보안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리더박스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특정인이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경우 리더박스를 통한 보안 해지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수질검사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수질검사센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염소 투입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염소투입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염소투입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the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unit,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onstruction of a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water quality inspection senso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FIG.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urity processing apparatus from monitoring and external intrusion of a water suppl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reader box for implementing the security processing in accessing the water supply facility sit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4A.
FIG. 4C illustrate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urity termination procedure is performed through a leader box when a particular user has a user terminal.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ter quality inspection sensor of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water quality inspection sensor of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hlorine-input device of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lorinator of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lorinator of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상수도 시설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 간의 관계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the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unit, and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 상수도시설 관리부(1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상수도 시설에 대한 감지, 계측, 제어 등을 원격에서 통합적으로 구현한다.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이 경우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은 상수도 시설관리부(100)와 원격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상수도 시설관리부(100)로부터 전송된 수질 감지정보, 계측정보 등을 분석하고, 기준을 초과한 경우 경보를 사용자 단말(300)로 자동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상수도 시설물을 신속히 유지, 관리, 보수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this case,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여기서 상수도 시설물은 상수도 시설장의 설비들, 이를테면 식수를 저장하는 물탱크, 도어, 뚜껑 등을 포함하며, 상수도 시설관리부(100)에 의해 물탱크 내의 수질의 오염여부, 수위 정도, 뚜껑의 개폐여부 뿐만 아니라 외부의 무단 침입자 여부 등을 감지하고 이를 전송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후술한다. Here, the waterworks facilities include facilities of the waterworks facilities, such as a water tank for storing drinking water, a door, a lid and the like. The water supply
사용자 단말은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일반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을 의미하며, 이를테면 스마트 폰, PDA,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ser terminal means a mobile terminal owned by an administrator or a general user who manages a facility,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 phone, a PDA, a notebook,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시설 관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construction of a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 시설 관리부(100)는, 전원부(110), 무선통신부(120), 센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he water supply
전원부(110)는 내부의 전기기기에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며, 본 발명의 경우 과충전 보호회로가 내장된 2차 전지와 태양전지판으로 구성된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하여 구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무선통신부(120)는 외부의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테면 지그비(Zigbee), 알에프(RF), 와이파이(WiFi), 3G, 4G, LTE, LTE-A,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센서부(130)는 수질검사센서(131), 수위레벨센서(132), 개폐감지센서(133) 및 침입감지센서(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수질검사센서(131)은 물탱크 내의 수질이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은 도 3에서 후술한다. The water
수위레벨센서(132)는 CCTV의 수위 높이 촬영 등을 이용하여 물탱크의 현재 수위를 측정하고, 개폐감지센서(133)는 물탱크의 도어나 뚜껑의 개폐 여부를 이를테면, 압력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사용하여 감지한다. The water level sensor 132 measures the current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using the height level photographing of the CCTV and the open / close detection sensor 133 measures whether the door or the lid of the water tank is opened or closed by using a pressure sensor, .
침입감지센서(134)는 물탱크가 설치된 상수도 시설장(10) 안으로 외부인이 무단으로 침입한 지 여부를 감시 카메라(5), 광센서 등을 통해 감지하고, 필요시 사전에 인증된 사용자만 내부에 출입할 수 있도록 상수도 시설장(10)의 입구에 리더박스(400)를 설치하여 운영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a에서 후술한다. The intrusion detection sensor 134 detects whether or not an unauthorized person intrudes into the water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부(110), 무선통신부(120) 및 센서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도 3은 도 2의 구성 중 수질검사 센서의 구성 및 기능을 나타낸 것이다. FIG. 3 shows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water quality inspection senso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질검사 센서(30)는 발광부(31a), 수광부(31b), 수질감지회로부(32), 필터링 및 증폭부(33), A/D 변환부(34), 컨트롤러(35), 통신부(36) 및 경보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3, the water
발광부(31a)와 수광부(31b)는 상수도 관로를 타고 흐르는 수돗물(또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혼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으로서, 발광부(31a)와 수광부(31b)는 상수도 관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한다. The
이 경우 발광부(31a)에서 빛을 발광하면, 발광된 빛은 상수도 관로를 투과하고, 투과된 빛은 수광부(31b)로 입사된다. In this case,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이때 수광부(31b)에 입사된 빛의 양은, 상수도 관로를 타고 흐르는 물이 이물질, 녹물 등으로 인해 수질이 오염된 정도가 심할수록 발광부(31a)에서 발광한 빛을 더 많이 차단하므로, 통상의 경우 보다 작아지며, 이 원리를 이용하여 수질오염정도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수질감지회로부(32)는 제1~제6 저항(R1∼R6), 제1 가변저항(VR1), 비교기(A1), 제너 다이오드(ZD1)를 사용하여 평형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였으며, 수광부(31b)에 의해서 수광된 빛은 수질감지회로부(32)에 의해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The water quality
즉 수광부(31b)에 의해서 광량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제2, 제3 저항(R2,R3) 및 제4, 제5 저항(R4,R5)에 의해서 검출되는 전압값은 비교 증폭기(A1)를 통해서 비교 증폭되어 수광량에 대응하는 전압값이 감지신호로서 출력된다. The voltage values detected by the second and third resistors R2 and R3 and the fourth and fifth resistors R4 and R5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the comparison amplifier A1 ), And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is output as a detection signal.
수질감지회로부(32)에서 출력된 이물질 감지신호는 필터링 및 증폭부(33)에 입력되는데, 입력된 이물질 감지신호에서 잡음신호 등의 불필요한 신호를 필터링해내고, 이물질 감지신호 만을 증폭하여 출력한다.The foreign substance sensing signal outputted from the water quality
필터링 및 증폭부(33)에서 필터링 및 증폭된 이물질 감지신호는 A/D 변환기(34)에 입력되면, 입력된 아날로그 이물질 감지신호를 디지털 이물질 감지신호로 변환시켜 컨트롤러(35)로 입력된다.The foreign substance sensing signal filtered and amplified by the filtering and amplifying
컨트롤러(35)는 입력된 디지털 이물질 감지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경보 기준값과 비교 판단한다.The
이 경우 컨트롤러(35)가 입력된 디지털 이물질 감지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경보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이물질 등이 상수도 관로에 흐르는 물에 혼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부(37)로 하여금 경보를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In this case, when the
한편, 컨트롤러(35)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통신부(36)를 통해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으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Meanwhile, the data processed by the
또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은 새로 변경된 경보 설정값 등을 컨트롤러(35)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Also,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상수도 시설장의 감시 및 외부 침입으로부터의 보안 처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FIG.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urity processing apparatus from monitoring and external intrusion of a water supply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를 참조하면, 상수도 시설장(10)에는 상수도 시설장(10) 주변 또는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감시 카메라(5)들 및 사전에 인증된 사용자만 내부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수도 시설장(10)의 입구에 리더박스(400)를 설치하여 운영된다. Referring to FIG. 4A, the water
이 경우 감시 카메라(5)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돔 카메라, PTZ(Pan Tilt Zoom)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아날로그 카메라 등이 사용도리 수 있으며, 이들 카메라들은 각각의 장소에 설치되고,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 및 음성데이터는 AVB(Audio Video Bridge) 기반으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 In this case, the surveillance camera 5 may be a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a dome camera, a PTZ (Pan Tilt Zoom) camera, a digital camera, an analog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AVB(Audio Video Bridge)는 현재 IEEE 802.1 프로토콜을 통해 랜(LAN) 상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스트림(stream)을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한 전송 품질 보장형 기술을 제공하는데, 이 기술의 핵심은 브리지(bridge) 들의 클럭(clock)이 동기화되면 정확하게 원하는 시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일정한 크기의 이더넷 프레임을 브리지 사이에서 전달되게 할 수 있으므로, 이 기본 동작을 적절히 확장 적용하면 브리지 메시(Bridge Mesh)가 동기 트래픽(Synchronous Traffic)을 안정되게 전달하는 인프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AVB (Audio Video Bridge) provides a transmission quality guarantee type technology for smoothly transmitting a multimedia stream such as audio and video over a LAN through the IEEE 802.1 protocol. The bridge meshes can b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by properly extending the basic operation so that the Ethernet frames of a certain size can be transmitted between the bridge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t precisely desired time intervals. Traffic can be used as an infrastructure for stable delivery.
한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은 감시 카메라(5)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및 음성데이터는 해당 디스크에 블록단위 병렬 직접 저장 방식으로 저장된다.Meanwhile,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여기서 블록단위 병렬 직접 저장 방식은, 보드의 고유의 MAC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전송량과 프레임을 축소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 채, 병렬적으로 각각의 디스크에 순차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저장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block-by-parallel direct storage method can selectively control each disk using the unique MAC address information of the board,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sequential access to each disk in parallel So that the storage speed can be increased.
이는 파일 단위 저장방식의 경우, 파일 시스템에서 패킷(packet) 전송 시 패킷의 불필요한 헤더(Header) 정보, 연속된 입출력(I/O) 신호의 발생, 전송량과 프레임이 축소된 채, 각 디스크에 병렬방식이 아닌 순차방식으로 저장함으로써, 저장 속도가 느린 것과 대비된다. In the case of the file unit storage method, unnecessary header information of a packet and a continuous input / output (I / O) signal are generated, a transmission amount and a frame are reduced while a file system transmits a packet, By storing in a sequential manner rather than in a sequential manner, the storage speed is slow compared to the slow.
다음으로, 리더박스(400)를 이용한 상수도 시설장(10)의 보안 처리부(A10)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security processing unit A10 of the water
보안 처리부(A10)는 리더박스(400), 사용자 단말(300) 및 인증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ecurity processing unit A10 includes a
리더박스(40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보안정보와 미리 저장된 비밀키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특정인에 대한 보안설정을 해지하는 일종의 특정인에 대한 보안확인 장치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b에서 후술한다. The
사용자 단말(300)은 BLE(Bluetooth Low Energy) 무선 모듈을 내장하여,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리더박스(400)에서 전송한 자기장 정보들 독출하고, 독출결과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자력값과 일치되는 경우,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을 요청하는 신호를 인증서버(500)로 송출하여 리더박스(400)로 하여금 특정인에 대한 보안설정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인증서버(500)는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데, 이를테면, 리더박스(400)의 요청에 따른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리더박스(4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일치되는 자력값에 따른 특정인의 보안설정 모드의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에 상응하여 특정인의 보안설정 모드를 변경하고, 변경된 보안해지 신호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리더박스(400)로 전송한다.The
도 4b는 도 4a의 구성 중 상수도 시설장의 출입 시 보안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리더박스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FIG. 4B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reader box for implementing the security processing in accessing the water supply facility sit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4A.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더박스(400)는 리더전원부(410), 근거리 통신부(420), 마그네틱 소자부(430), 저장부(440), 보안 판단부(450), 보안설정 및 해지부(460), 경보부(470), 디스플레이부(480) 및 리더제어부(490)을 포함한다. 4B, the
리더전원부(410)은 리더박스(40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기 기기에 필요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테면, 배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reader
근거리 통신부(420)는 사용자 단말(300) 또는 인증서버(5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를테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알에프(RF), UWB(Ultra-wideband)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hort
마그네틱 소자부(430)는 낮은 자기성을 띠는 마그네틱(magnetic) 재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형성함으로, 자기장에 대한 특성 응답을 이용하여 유일한 식별자를 제공함으로, 특정인의 보안 설정 및 해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Since the
이를 부연설명하면, 사용되는 마그네틱(magnetic) 재료의 종류,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으로 인해 식별 가능한 고유한 특성 값(이를테면, 히스테리 루프, 보자력 등)을 제공하는데, 이 경우 제공된 특성 값과 미리 측정되고 저장된 특성 값과의 비교를 통해 특정인에 대한 보안 설정 및 해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provides a unique characteristic value (such as a hysteresis loop, coercive force, etc.) that can be identified due to the type of magnetic material used, the two- or three-dimensional shape used, And the security setting and revocation of a specific person can be performed through comparison with stored characteristic values.
이 경우 마그네틱(magnetic) 재료들은 이를테면, 니켈, 철, 코발트, 니켈-철 합금, 코발트-철 합금, 철-규소 합금 또는 코발트-규소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magnetic materials such as nickel, iron, cobalt, nickel-iron alloy, cobalt-iron alloy, iron-silicon alloy or cobalt-silicon alloy can be used.
또한 마그네틱(magnetic) 재료들을 이용한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은 이를테면, 마그네틱 와이어, 평탄화된 와이어, 바(bars), 도트(dots), 랜덤 스팟(random spots), 랜덤 블럽(random blobs) 등의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Further, the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hape using magnetic materials may be in the form of a shape such as magnetic wire, flattened wire, bars, dots, random spots, random blobs, Can be used.
저장부(440)는 보안과 관련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비밀키 및 리더제어부(490)을 통해 처리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 경우 저장매체로 이를테면, 플래시 메모리 등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보안 판단부(450)는 특정인이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300)을 소지한 경우, 특정인의 보안설정 해지를 위한 보안 판단 과정을 실행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 도 4c에서 설명한다. The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특정인이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경우 리더박스를 통한 보안 해지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FIG. 4C illustrate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urity termination procedure is performed through a leader box when a particular user has a user terminal.
도 4c를 참조하면, 우선 리더박스(400)에서는 특정인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과정(a10)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4C, the
이 경우 사용자 단말(300)을 소지한 특정인이 리더박스(400)로부터 소정의 근접 거리에 도달한 경우, 리더박스(400)는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Bluetooth Low Energy, BLE)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파악하고, 특정인이 접근하였음을 감지한다. In this case, when a specific person having the
리더박스(400)는 사용자 단말(300)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는 제2 과정(a20)을 갖는다.The
사용자 단말(300)은 블루투스 신호에 포함된, 마그네틱 소자부(430)에서 특정인의 식별을 위해 발생시킨 고유 특성값을 갖는 자기장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 결과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특성값과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3 과정(a30)을 갖는다. The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상기 제3 과정(a30)에서 독출된 자기장 정보가 특정인에게 사전에 부여된 특성값과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보안설정 모드 변경 요청신호를 인증서버(500)로 전송하는 제4 과정(a40)을 갖는다. Next, when the
다음으로, 인증서버(500)는 제4 과정(a40)에서 요청된 보안설정 모드 변경신호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 상태를 보안설정에서 보안해지로 변경하도록 명령하는 보안해지 신호를 리더박스(400)로 전송하는 제5 과정(a50)을 갖는다. Next, the
마지막으로, 리더박스(400)는 제5 과정(a50)에서 전송한 보안해지 신호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을 해지하는 제6 과정(a60)을 갖는다. Finally, the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보안설정 및 해지부(460)는 보안 판단부(450)의 특정인에 대한 보안정보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 유지 또는 보안설정 해지 여부를 실행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4B, the security setting and
경보부(470)는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보안정보와 다른 루트를 통해 보안설정이 해지된 경우(이를테면, 무단 침입자 발생 등), 경보(alarm)를 발생시키는데, 이 경우 경보수단은, 이를테면 청각수단(부저, 음성경고 등), 시각(문자 메시지 등), 촉각(진동 등)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부(480)는 특정인이 입력한 보안정보 결과 및 리더제어부(490)을 통해 처리된 각종 결과를 화면으로 표시하는데, 이 경우 표시장치로 이를테면, 엘시디(LCD), 엘이디(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The
리더제어부(490)은 리더전원부(410), 근거리 통신부(420), 마그네틱 소자부(430), 저장부(440), 보안 판단부(450), 보안설정 및 해지부(460), 경보부(470) 및 디스플레이부(480)를 제어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수질검사센서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수질검사센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water quality inspection sensor of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water quality inspection sensor of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센서(700)는, 수질의 오염도,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오염 물질 속으로 투입되는 본체(710), 이 본체(710)에 구비되는 근적외선 발광소자(720), 근적외선 수광소자(730), 백색램프(740) 및 칼라센서(750)를 포함한다.5 and 6, the water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광센서를 이용한 수질 측정 장치(700)는 본체(710)에 구비되는 반사부재(760) 및 상기 근적외선 발광소자(720), 근적외선 수광소자(730), 백색램프(740), 칼라센서(75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통해 오염 물질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본체(710)와 연결되는 표시 단말기(770)를 더 포함한다.The water
본체(710)는 오염 물질의 부유물이 통과하도록 제1하우징(711) 및 제2하우징(713)에 의해 부유물이 통과하는 공간부(710a)를 형성한다.The
또한, 본체(710)는 제1하우징(711)에 근적외선 발광소자(720)가 설치되고, 제2하우징(713)에 근적외선 수광소자(730), 백색램프(740) 및 칼라센서(750) 구비된다.The
이러한, 본체(710)는 보다 넓은 영역의 부유물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1하우징(711)의 길이(L1)가 제2하우징(713)의 길이(l2)보다 작게 형성되고, 본체(710)는 제1하우징(711)에 백색램프(740)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재(760)가 부착된다.The
본체(710)는 근적외선 수광소자(730)가 근적외선 발광소자(7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제2하우징(713)에 설치되고, 백색램프(740) 및 칼라센서(750)가 근적외선 수광소자(730)의 하측 및 상측에 각각 위치한다.The
또한, 본체(71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 단말기(770)와 연결되며, 제1 하우징(711)과 제2 하우징(713)이 투명하게 형성된다.The
근적외선 발광소자(720)는 제1하우징(711)에 결합되어 공간부(710a)를 통해 근적외선 수광소자(730)로 빛을 조사하고, 근적외선 발광소자(720)에서 조사되는 빛은 부유물을 통과하거나 부유물에 의해 굴절되면서 근적외선 수광소자(730) 및 칼라센서(750)로 전달된다.The near-infrared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발광소자(720)는 850nm 내지 950nm 파장을 가지는 빛을 조사한다.The near-infrared
근적외선 수광소자(730)는 제2하우징(713)에 구비되어 근적외선 발광소자(720)에서 조사하는 빛을 수광하고, 칼라센서(750) 또한 제2하우징(713)에 구비되어 근적외선 발광소자(720)에서 조사하는 빛을 수광한다.The near infrared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적외선 수광소자(730) 및 칼라센서(750)는 백색램프(740)에서 조사되어 반사부재(760) 및 부유물을 통해 반사되는 빛도 수광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칼라센서(750)로는 RGB 칼라센서가 사용되고, 표시 단말기(770)는 본체(710)에서 송신하는 빛의 전류와 전압신호를 수신하고 이 신호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의 오염상태를 검출하고 표시한다.The near infrared
이러한, 표시 단말기(770)는 본체(71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파라메타를 검출하여 오염 물질의 오염상태를 검출하는 제어부(771)와, 이 제어부(771)에서 검출된 오염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773)와, 오염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75)를 구비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센서(700)는 근적외선 발광소자(720)에서 발광하는 빛이 수광소자(730)와 컬러센서(750) 수신하게 되며, 근적외선 수광소자(730)가 수광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고, 컬러센서(750)가 수광되는 빛을 통해 물질 오염의 농도와 형태를 감지한다.In the water
또한, 본 실시예의 수질검사센서(700)는, 백색램프(740)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부재(760) 및 부유물에 반사되고, 이를 수광소자(730)와 컬러센서(750)가 수신하여 물질의 색에 따른 변화를 감지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질검사센서(700)는, 부유물질로 인하여 근적외선 발광소자(720)의 빛을 근적외선 수광소자(730)와 컬러센서(750)가 수신하지 못할 경우, 백색램프(740)에서 조사되는 빛이 부유물에 반사되어 근적외선 수광소자(730)와 컬러센서(750)로 수신되므로, 부유물에 의한 측정오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When the near infrared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염소 투입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염소투입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의 염소투입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chlorinator of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chlorinator of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hlorinator of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은, 지하수를 취수하여 상수 관로에 공급할 때에 지하수에 포함되는 세균을 박멸하여 공급하는 염소 투입장치(8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7 to 9,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따라서 상수 관로에 지하수를 공급하여 부족한 양의 상수를 보충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groundwater to the water pipe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quantity of the constant water.
본 실시예의 염소 투입장치(800)는, 취수원에 삽입되고, 지상으로 연장되며, 저장탱크(812)에 연결되는 집수관(810)과, 집수관(810)을 따라 공급되는 지하수에 염소를 공급하도록 집수관(810)으로부터 분기되는 공급관(814)과, 공급관(814)에 설치되고, 염수가 담수되는 염수탱크(816)와, 집수관(810)을 따라 취수되는 지하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신호를 송신하고, 공급관(814)으로부터 제공되는 염소에 의해 변화되는 염도 변화를 측정하며,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송신하는 염도감지부(830)와, 염도감지부(830)에서 송신되는 염도신호가 설정치 미만이면 염수탱크(816)에 담수된 염수를 공급관(814)을 따라 압송하여 집수관(810)을 따라 흐르는 지하수에 염소를 공급하는 펌핑부(852)와,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의 담수량이 설정치 미만으로 적어지면 염수탱크(816)에 지하수를 공급하는 급수부(872)와, 염도감지부(830)로부터 송신되는 염수탱크(816)에 담수된 염수의 염도가 설정치 미만으로 측정되면 염수탱크(816)에 염소를 공급하는 보충부(874)와,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를 집수관(810)에 공급할 때에 염수탱크(816) 바닥면에 누적되는 염소를 지하수에 용해시키도록 지하수를 교반시키는 교반부(880)와, 별도의 구동부 없이 펌핑부(852)를 구동시키도록 교반부(88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펌핑부(852)에 전달하는 연동부(890)를 포함한다.The chlorine introducing apparatus 8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llecting pipe 810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source and extending to the ground and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812 and a chlorine supplying device 810 for supplying chlorine to the groundwater supplied along the collecting pipe 810 A salt water tank 816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814 and brine is dewatered to measure the salinity of the groundwater taken along the collector pipe 810 to measure the salinity A salt sensing unit 830 for measuring a change in salinity change by the chlorine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814 and measuring and transmitting the salinity of the saline solution to be salified in the saltwater tank 816, A pumping unit 852 for supplying chlorine to the groundwater flowing along the collecting pipe 810 by feeding the salt water desiccated in the salt water tank 816 along the supply pipe 814 if the salinit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ltwater tank 830 is less than the set value, , The fresh water amount of the brine to be desalinated in the brine tank 816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water level in the salt water tank 816 and the water level in the salt water tank 816 are measured to be less than the set value, (816) for supplying chlorine to the bottom of the brine tank (816) when supplying the brine to the bottom of the brine tank (816) And an interlocking portion 890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agitating portion 880 to the pumping portion 852 so as to drive the pumping portion 852 without a separate driving portion.
집수관(810)은 지면으로부터 지하로 연장되어 취수원으로 삽입되고, 집수관(810)의 외측 단부는 지하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812)에 연결되며, 지상으로 노출되는 집수관(810)에는 펌프(818)가 설치되어 지하수를 저장탱크(812)로 압송시키게 되고, 집수관(810)을 통과하는 지하수는 염도감지부(830)의 작동에 의해 지하수 중에 포함되는 염소의 양을 측정하여 염소제어부(900)에 송신하게 된다.The
지하수에 포함되는 염소의 농도, 즉 염도는, 0.3~0.4ppm으로 유지되어야 지하수의 살균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지하수의 염도가 0.3ppm 미만인 경우에는 펌핑부(852)의 작동에 의해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가 집수관(810)에 공급되어 지하수의 염도를 증가시키게 된다.When the salinity of groundwater is less than 0.3 ppm,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contained in the groundwater, that is, the salinity is maintained at 0.3 to 0.4 ppm, 816 are supplied to the collecting
상기한 바와 같이 집수관(810)에 염수가 공급된 후에 염도감지부(830)의 작동에 의해 지하수의 염도가 다시 측정되고, 지하수의 염도가 0.3~0.4ppm 사이의 수치로 측정되면 펌핑부(852)의 작동을 중단하여 염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The salinity of the groundwater is measured again by the operation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812)에는 0.3~0.4ppm의 염도를 유지하는 지하수가 저장되어 지하수 내에 포함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groundwater maintaining the salinity of 0.3 to 0.4 ppm is stored in the
본 실시예의 염도감지부(830)는, 집수관(810)을 따라 유입되는 지하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신호를 송신하도록 집수관(810)의 단부와 공급관(814)의 연결부위 사이에 설치되는 제1센서(832)와, 공급관(814)으로부터 제공되는 염수가 혼합되는 지하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신호를 송신하도록 공급관(814)의 연결부위와 저장탱크(812) 사이에 배치되도록 집수관(810)에 설치되는 제2센서(834)와,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지하수의 염도를 측정하도록 염수탱크(816)에 설치되는 제3센서(836)를 포함한다.The salt-sensing
따라서 펌프(818)의 작동에 의해 취수원으로부터 집수관(810)을 따라 지상으로 배출되는 지하수는 제1센서(832)에 의해 염도가 감지되고, 펌핑부(852)의 작동에 의해 염수가 공급관(814)을 따라 제공되면 공급관(814)의 연결부위를 지나 저장탱크(812) 측으로 이동되는 지하수의 염도가 제2센서(834)에 의해 측정된다.The salinity is detected by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집수관(810)을 통과하는 지하수의 염도를 2번에 걸쳐 측정하는데, 공급관(814) 연결부위 이전의 지하수와, 공급관(814) 연결부위를 통과하며 염수가 공급된 지하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수 공급에 의해 높아진 지하수의 염도 변화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alinity of the groundwater passing through the collecting
본 실시예의 펌핑부(852)는, 공급관(814)에 설치되는 블레이드(856)와, 블레이드(856)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교반부(880)로부터 연동부(890)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블레이드(856)에 전달하는 기어박스(854)를 포함한다.The
공급관(814)의 일측 단부는 염수탱크(816)의 하부에 연결되고, 공급관(814)에는 펌핑작동을 행하는 블레이드(856)가 설치되고, 블레이드(856)의 회전축에는 기어박스(854)가 연결되어 교반부(88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의 전달 방향 및 회전 속도가 가변되어 블레이드(856)에 전달된다.One end of the
공급관(814)과 집수관(810)의 연결부위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므로 집수관(810)에 염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개폐밸브가 개방된 후 블레이드(856)가 회전되면서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를 집수관(810)에 공급하여 지하수의 염도를 0.3~0.4ppm까지 높이게 된다.When the brine is supplied to the collecting
상기한 바와 같은 염소 공급작동이 장기간 반복되면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의 저장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염수탱크(816)에 설치되는 잔량감지부(838)로부터 송신되는 잔량신호에 따라 염소제어부(900)로부터 구동신호가 송신되어 급수부(872) 및 보충부(874)가 구동되어 염수탱크(816) 내부에 설정 범위 내로 염도를 유지하는 염수가 보충된다.When the chlorine supply operation is repe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amount of salt water to be desalinated in the
본 실시예의 급수부(872)는, 집수관(810)에 설치되는 펌프(818)와 저장탱크(812) 사이에 위치하는 집수관(810)으로부터 분기되고, 염수탱크(816)에 연결되는 분기관(872a)과, 분기관(872a)을 개폐할 수 있도록 분기관(872a)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전환밸브(872b)를 포함한다.The
따라서 염소제어부(9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전환밸브(872b)가 개방되면 집수관(810)을 따라 저장탱크(812) 측으로 압송되는 지하수의 일부분이 분기관(872a)을 따라 염수탱크(816) 내부로 공급되므로 염수탱크(816)에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When a
또한, 염수탱크(816)에 설치되어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지하수의 염도를 측정하는 제3센서(836)로부터 염도신호가 송신되고, 이 염도가 설정치 보다 낮은 염도로 판단되면 보충부(874)의 작동에 의해 염수탱크(816) 내부로 염소가 투입되면서 염소탱크 내부에 담수되는 염소는 일정한 염도를 유지하게 된다.A salinity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상기한 바와 같이 염소탱크 내부에 담수되는 지하수의 염도가 설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유지되므로 염수탱크(816)로부터 집수관(810)으로 공급되는 염수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저장탱크(812)에 저장되는 지하수의 염도를 0.3~0.4ppm 내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alinity of the ground water to be desalinated in the chlorine tank is maintained to be within the set range, the concentration of saline water supplied from the
본 실시예의 보충부(874)는, 염수탱크(816)에 설치되고, 염소 원액이 수납되는 보충케이스(874a)와, 보충케이스(874a)와 염소탱크를 개폐 가능하게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체크밸브(874c)와, 체크밸브(874c)를 향하여 로드가 출몰되도록 보충케이스(874a)에 설치되고, 염소 원액을 체크밸브(874c) 측으로 가압하여 염수탱크(816)에 공급하는 투입실린더(876)를 포함한다.The
보충케이스(874a)의 바닥면에는, 체크밸브(874c) 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도록 경사면(874b)이 형성되고, 투입실린더(876)는 경사면(874b)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투입실린더(876)로부터 출몰되는 로드는 경사면(874b)을 관통하여 체크밸브(874c) 측으로 연장되고, 로드의 단부에는 염소 원액을 체크밸브(874c)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876a)가 설치된다.An
따라서 염소제어부(900)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어 투입실린더(87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보충케이스(874a)의 경사면(874b)에 담수된 염소 원액이 가압부재(876a)에 의해 체크밸브(874c) 측으로 가압되고, 체크밸브(874c)가 가압부재(876a)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개방되면 보충케이스(874a) 내부에 담겨진 염소 원액의 일부분 정량이 염수탱크(816) 내부로 공급된다.When the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상기한 바와 같이 투입실린더(87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는 1번의 작동에 의해 일정한 양의 염소 원액이 염수탱크(816)에 공급되므로 염소제어부(90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투입실린더(876)가 다수 차례 구동되면서 염수의 농도를 설정된 염도까지 정확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A predetermined amount of chlorine stock solution is supplied to the
체크밸브(874c)는, 보충케이스(874a)에 대향되는 염수탱크(816) 외벽에 형성되는 보충홀부(875c)와, 보충홀부(875c)를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부재(875a)와, 볼부재(875a)를 보충홀부(875c) 측으로 가압하여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부재(875b)를 포함한다.The
보충홀부(875c)는, 보충케이스(874a) 측 단부의 단면적이 좁고, 염수탱크(816) 측 단부의 단면적은 상대적으로 넓은 깔때기 모양의 단면 형상을 이루며, 염수탱크(816) 측 단부에는 탄성부재(875b)의 단부가 지지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된다.The supplemental
탄성부재(875b)의 일단은 볼부재(875a)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탄성부재(875b)의 타단은 안착홈부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볼부재(875a)를 보충케이스(874a) 측 단부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other end of the
보충케이스(874a) 측 단부의 단면적은 볼부재(875a)와 비교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므로 탄성부재(875b)의 가압력에 의해 볼부재(875a)가 보충케이스(874a) 측 단부에 밀착되면 보충홀부(875c)를 차단하여 체크밸브(874c)의 폐쇄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sectional area of the end portion of the replenishing
이후에, 투입실린더(87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가압부재(876a)가 염소 원액을 볼보재(875a) 측으로 가압하면 탄성부재(875b)가 압축되면서 볼부재(875a)가 염수탱크(816) 측으로 이동되어 보충홀부(875c)가 개방되면서 염소 원액이 염수탱크(816) 내부로 공급된다.Thereafter, when the rod protrudes from the
보충홀부(875c) 내측에는 가압부재(876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공간이 형성되고, 구획공간의 일측에는 염소 원액이 유입되는 홀부(875d)가 형성되어 보충케이스(874a)에 담수되는 염소 원액은 경사면(874b)을 따라 흐르면서 홀부(875d)를 통해 보충홀부(875c) 내측으로 유입된다.In the inside of the
이때, 투입실린더(87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가압부재(876a)가 염소 원액을 체크밸브(874c) 측으로 가압하면 구획공간에 유입된 양 만큼의 염소 원액이 염수탱크(816) 내부로 공급된다.At this time, when the rod protrudes from the
또한, 본 실시예의 교반부(880)는, 염수탱크(816)의 상면으로부터 내측 까지 삽입되어 연장되는 구동축(882)과, 구동축(882) 내측 단부에 설치되고, 염수탱크(816)에 담수된 염수를 교반시키는 교반팬(884)과, 구동축(882)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886)를 포함한다.The agitating
따라서 염소제어부(900)로부터 수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염수의 공급이 결정되면 모터(886)가 구동되면서 교반팬(884)을 회전시켜 염수탱크(816)에 담수된 염수를 교반시키면서 염소 원액이 염수탱크(816)에 저장되는 지하수에 효과적으로 용해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supply of the brin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received from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염수가 집수관(810)에 공급될 때에 염소 원액이 충분히 용해된 일정한 농도의 염수가 공급되므로 염수의 공급량을 측정하고 제어하면서 집수관(810)을 통과하는 지하수가 0.3~0.4ppm의 염도를 유지할 수 있게 정확한 제어를 행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ine is supplied to the collecting
또한, 본 실시예의 연동부(890)는, 기어박스(854)에 설치되고, 염수탱크(816) 상부까지 연장되는 연동축(891)과, 모터(886)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892)와, 제1기어(892)와 기어연결되도록 연동부(890)를 감싸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2기어(893)와, 제2기어(893)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동일 회전축 상에 배치되는 제3기어(894)와, 제3기어(894)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염수탱크(816) 상면 안착홈부에 설치되는 착탈실린더(896)와, 착탈실린더(89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제2기어(893)와 제3기어(894)를 밀착시키면서 연동시키도록 제2기어(893)와 제3기어(894) 사이에 설치되는 마찰연결부(897)와, 제3기어(894)에 기어연결되고, 연동축(891)에 설치되는 제4기어(895)를 포함한다.The interlocking
따라서 염소제어부(900)로부터 염수 공급신호가 송신되면, 모터(886)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축(882) 및 교반팬(884)를 회전시키면서 염수탱크(816)에 담수된 지하수를 교반시키면서 지하수에 포함되는 염소가 지하수에 충분히 용해되도록 한다.When the salt water supply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이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착탈실린더(89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제3기어(894)를 상승시켜 제2기어(893)에 밀착시키므로 모터(886)의 동력이 제1기어(892), 제2기어(893) 및 제3기어(894)를 따라 제4기어(895) 및 연동축(891)에 전달되어 블레이드(856)가 회전되면서 염수를 공급관(814)을 따라 집수관(810) 측으로 압송시키게 된다.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rod is projected from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염수가 공급되기 전에는 일정 시간 동안 염수를 교반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염수에 포함되는 염소 원액을 충분히 지하수에 용해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efore the brine is supplied, the operation of stirring the brine is perfor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 chlorine stock solution contained in the brine can be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ground water.
본 실시예의 마찰연결부(897)는, 제2기어(893)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마찰판(898)과, 제1마찰판(898)에 대향되도록 제3기어(894)의 상면에 설치되며, 착탈실린더(896)에 의해 제3기어(894)가 상승되면 제1마찰판(898)에 밀착되어 제3기어(894)를 제2기어(893)에 일체로 연결하는 제2마찰판(899)을 포함한다.The
따라서 착탈실린더(89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제3기어(894)가 상승되면서 제1마찰판(898)과 제2마찰판(899)이 밀착되므로 모터(886)의 동력이 제2기어(893) 및 제3기어(894)를 통과하여 제4기어(895)를 통해 펌핑부(852)에 전달된다.When the rod is projected from the
이로써,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감시, 계측하여 얻은 상태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는 상수도 시설관리부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며, 분석결과 기준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 신호를 자동으로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상기 상수도 시설물을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 상수도 시설물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 계측, 제어할 뿐 만 아니라 상수도 시설장 안으로 외부의 무단 침입을 감시, 사전 차단 등을 통해 상수도 시설물의 유지 보수를 보다 효과적이고,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state information data is received and analyzed from the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unit that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monitoring and measuring the state of the waterworks facilities in real tim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nalysis resul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waterworks facilities is provided to remotely monitor, measure and control the state of the waterworks facilities, and also to prevent unauthorized intrusion into the waterworks faci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that can more effectively and integrally perform maintenance of waterworks facilities through monitor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상수도시설 관리부
110 : 전원부
120 : 무선통신부
130 : 센서부
131 : 수질검사 센서
132 : 수위레벨 센서
133 : 개폐감지 센서
134 : 침입감지 센서
200 :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
300 : 사용자 단말
710 : 본체
711 : 제1 하우징
713 : 제2 하우징
720 : 근적외선 발광소자
730 : 근적외선 수광소자
740 : 백색램프
750 : 칼라센서
760 : 반사부재
800 : 염소 투입장치100: Waterworks facility management department
110:
120:
130:
131: Water quality sensor
132: Level sensor
133: Opening / closing sensor
134: intrusion detection sensor
200: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300: user terminal
710:
711: first housing
713: second housing
720: near-infrared light emitting element
730: near-infrared light receiving element
740: white lamp
750: Color sensor
760: reflective member
800: chlorine injector
Claims (4)
상기 상수도 시설관리부(100)로부터 상기 상태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며, 분석결과 기준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한 경우 경보 신호를 자동으로 외부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 원격으로 상기 상수도 시설물을 감시 및 제어하는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을 포함하고,
상기 상수도 시설관리부(100)는,
내부의 전기기기에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110);
상기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2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120);
물탱크 내의 수질이 오염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수질검사센서(131)와,
외부인의 상수도 시설장으로의 무단 침입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복수의 감시 카메라(5)들 및 사전에 인증된 사용자만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상수도 시설장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상수도 시설장(10)의 입구에 설치된 리더박스(400)를 포함하는 침입감지센서(134)를 포함하는 센서부(130); 및
상기 전원부(110), 상기 무선통신부(120) 및 상기 센서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리더박스(400)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 또는 인증서버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부(420);
마그네틱(magnetic) 재료를 사용하여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형성함으로, 자기장에 대한 특성 응답을 이용하여 유일한 식별자를 제공하는 마그네틱 소자부(430);
특정인의 비밀키 및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440);
상기 사용자 단말(300)을 소지한 특정인의 보안정보를 확인하여 보안설정 유지 또는 해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 판단부(450);
상기 보안 판단부(450)의 보안정보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인의 보안설정 유지 또는 보안설정 해지 여부를 실행하는 보안설정 및 해지부(460); 및
상기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보안정보와 다른 루트를 통해 보안설정이 해지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470);
상기 근거리 통신부(420), 상기 마그네틱 소자부(430), 상기 저장부(440), 상기 보안 판단부(450), 상기 보안설정 및 해지부(460) 및 상기 경보부(470)를 제어하는 리더제어부(490)를 포함하고,
지하수를 취수하여 상수도 시설에 공급할 때에 지하수에 포함되는 세균을 박멸하여 공급하는 염소 투입장치(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염소 투입장치(800)는,
취수원에 삽입되고, 지상으로 연장되며, 저장탱크(812)에 연결되는 집수관(810);
상기 집수관(810)을 따라 공급되는 지하수에 염소를 공급하도록 상기 집수관(810)으로부터 분기되는 공급관(814);
상기 공급관(814)에 설치되고, 염수가 담수되는 염수탱크(816);
상기 집수관(810)을 따라 취수되는 지하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염도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공급관(814)으로부터 제공되는 염소에 의해 변화되는 염도 변화를 측정하며, 상기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의 염도를 측정하여 송신하는 염도감지부(830);
상기 염도감지부(830)에서 송신되는 염도신호가 설정치 미만이면 상기 염수탱크(816)에 담수된 염수를 상기 공급관(814)을 따라 압송하여 상기 집수관(810)을 따라 흐르는 지하수에 염소를 공급하는 펌핑부(852);
상기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의 담수량이 설정치 미만으로 적어지면 상기 염수탱크(816)에 지하수를 공급하는 급수부(872);
상기 염도감지부(83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염수탱크(816)에 담수된 염수의 염도가 설정치 미만으로 측정되면 상기 염수탱크(816)에 염소를 공급하는 보충부(874);
상기 염수탱크(816)에 담수되는 염수를 상기 집수관(810)에 공급할 때에 상기 염수탱크(816) 바닥면에 누적되는 염소를 지하수에 용해시키도록 지하수를 교반시키는 교반부(880); 및
별도의 구동부 없이 상기 펌핑부(852)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교반부(88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펌핑부(852)에 전달하는 연동부(8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시설 관리를 위한 통합형 원격 감시제어 시스템.A water supply facility management unit 100 for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data obtained by monitoring and measuring the state of the water supply facilities in real time; And
Receives and analyzes the state information data from the water facility management unit 100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external user terminal 300 automatically when it determines that the state information data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nd an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200)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facility management unit (100)
A power supply unit 110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electric power to the internal electric devic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200;
A water quality sensor 131 for checking whether the water quality in the water tank is contaminated,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5 for monitoring whether or not an unauthorized person intrudes into a water supply facility facility and a water supply facility facility 10 for allowing only a previously authenticated user to access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facility facility using the user terminal 300, A sensor unit 130 including an intrusion detection sensor 134 including a leader box 400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sensor unit 130; And
And a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power unit (1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nd the sensor unit (130)
The reader box (400)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420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0 or the authentication server;
A magnetic element unit 430 that form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hape using a magnetic material and provides a unique identifier using a characteristic response to a magnetic field;
A storage unit 440 for storing the secret key of the specific person and the processed data;
A security determination unit 450 for checking the security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who possesses the user terminal 30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security setting is maintained or terminated;
A security setting and canceling unit 460 for executing a security setting of a specific person according to a security information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urity determination unit 450 or a security setting of the specific person; And
An alarm unit 470 for generating an alarm when the security setting is canceled through a route different from the security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440;
The reader control unit 440 controls the local communication unit 420, the magnetic element unit 430, the storage unit 440, the security determination unit 450, the security setting and cancellation unit 460, (490)
Further comprising a chlorine input device (800) for removing and supplying germs contained in ground water when the groundwater is taken and supplied to a water supply facility,
The chlorine-introducing device (800)
A collecting pipe 810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extending to the ground and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812;
A supply pipe 814 branched from the collector pipe 810 to supply chlorine to the groundwater supplied along the collector pipe 810;
A salt water tank 816 installed in the supply pipe 814 to saline water;
The salinity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salinity of the groundwater taken along the collector pipe 810, measuring the salinity change by the chlorine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814, A salt-sensing unit 830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the salinity of the saline solution;
If the salinit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lt sensing unit 830 is lower than the set value, salt water desiccated in the saltwater tank 816 is fed along the supply pipe 814 to supply chlorine to the ground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collector pipe 810 A pumping section 852 for performing a pumping operation;
A water supply unit 872 for supplying groundwater to the salt water tank 816 when the amount of fresh water in the salt water tank 816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 replenishing unit 874 for supplying chlorine to the salt water tank 816 when the salt water level of the saline water that is sent from the salt water sensing unit 830 is measured to be less than the set value;
An agitator 880 for agitating the groundwater to dissolve chlorine accumulated in the bottom of the brine tank 816 in the groundwater when the brine water is supplied to the brine tank 816; And
And an interlocking part (890)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agitating part (880) to the pumping part (852) so as to drive the pumping part (852) without a separate driving part.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125A KR101912898B1 (en) | 2018-04-06 | 2018-04-06 |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facilit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0125A KR101912898B1 (en) | 2018-04-06 | 2018-04-06 |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faciliti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2898B1 true KR101912898B1 (en) | 2018-10-29 |
Family
ID=6410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0125A Active KR101912898B1 (en) | 2018-04-06 | 2018-04-06 |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facilit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2898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9217B1 (en) * | 2019-03-29 | 2019-11-08 | 주식회사 해종 |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ith scalable mobile environment |
CN112772521A (en) * | 2020-12-31 | 2021-05-11 | 苏州波仕顿水产养殖设备有限公司 | Artificial intelligent interconnected seafood pool operation system for aquaculture equipment |
KR102434028B1 (en) * | 2022-01-26 | 2022-08-23 |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 Water pip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
KR102440285B1 (en) | 2021-12-02 | 2022-09-02 | 한국토지주택공사 | Water supply network management system |
KR102471662B1 (en) * | 2022-04-04 | 2022-11-28 | 김상준 | Sewage treatment plant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2491635B1 (en) * | 2022-08-22 | 2023-01-27 | (주)이콘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of water supply facilit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KR102649108B1 (en) * | 2022-12-08 | 2024-03-20 |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 Small scale tap wat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with intelligent chlorine feeder |
-
2018
- 2018-04-06 KR KR1020180040125A patent/KR101912898B1/en active Active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9217B1 (en) * | 2019-03-29 | 2019-11-08 | 주식회사 해종 |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ith scalable mobile environment |
CN112772521A (en) * | 2020-12-31 | 2021-05-11 | 苏州波仕顿水产养殖设备有限公司 | Artificial intelligent interconnected seafood pool operation system for aquaculture equipment |
KR102440285B1 (en) | 2021-12-02 | 2022-09-02 | 한국토지주택공사 | Water supply network management system |
KR102434028B1 (en) * | 2022-01-26 | 2022-08-23 |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 Water pip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
KR102471662B1 (en) * | 2022-04-04 | 2022-11-28 | 김상준 | Sewage treatment plant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2491635B1 (en) * | 2022-08-22 | 2023-01-27 | (주)이콘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of water supply faciliti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KR102649108B1 (en) * | 2022-12-08 | 2024-03-20 |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 Small scale tap wat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with intelligent chlorine fee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2898B1 (en) |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facilities | |
AU2018312581B2 (en) | Supervising property access with portable camera | |
US20190353156A1 (en) | Home flood prevention appliance system | |
Bangali et al.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Systems for Smart Home based on GSM technology | |
Azimi et al. | Fit-for-purpose: Measuring occupancy to support commercial building operations: A review | |
KR101177029B1 (en) | Intergrated management system for water supply | |
KR100766542B1 (en) | Glass greenhouse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 | |
US20090022362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video alarm verification | |
EP3507752A1 (en) | Meter reading device and system | |
US10706699B1 (en) | Projector assisted monitoring system | |
KR20170076389A (en) | remote control system of provisional water supply system | |
KR101418707B1 (en) | multifunction water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irrigation and drainage. | |
RU2631256C1 (en) | Wireless peripheral device of production process with formation of images | |
KR102554611B1 (en) | Image-based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KR101727564B1 (en) | Water level meagurement apparatus possible of ultrasonic water level shooting in enclosed space | |
JP2013003032A (en) | Water meter-based detecting device | |
US11300855B2 (en) | Wastewate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 |
KR20150095960A (en) | System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Water Tank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
CN114545850A (en) | Internet of things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for hospital water system | |
KR101608959B1 (en) | Integrated management of small water-supply system | |
KR102029217B1 (en) | Integrated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ith scalable mobile environment | |
CN208716016U (en) | A kind of dustbin controller and Intelligent classification dustbin | |
US11072935B1 (en) | Pool filter guard method and apparatus | |
KR102125517B1 (en) | Small scale water facilit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
WO2021183081A1 (en) | Ke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mart water trea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