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271B1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2271B1 KR101912271B1 KR1020130160334A KR20130160334A KR101912271B1 KR 101912271 B1 KR101912271 B1 KR 101912271B1 KR 1020130160334 A KR1020130160334 A KR 1020130160334A KR 20130160334 A KR20130160334 A KR 20130160334A KR 101912271 B1 KR101912271 B1 KR 1019122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unit
- switch
- resistor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and dc network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verter
- H02J7/02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verter using non-contact coupling, e.g. inductive, capacitiv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with safety or indicating devic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단색의 표시 장치로 완충된 기기의 재충전시 완충 표시가 용이한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외부의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완충 상태면 표시 동작을 중단하는 표시부;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재충전시 완충 상태면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부의 표시 동작 중단을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which are easy to display a buffer upon recharging of a device buffered by a single color display device, A charg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n external device to be charged; A charg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harge control unit and stopping the buffer state display operation; And a delay unit for interrupt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in a buffered state when the charging object device is recharged and delaying the display operation stopping of the display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전 표시가 용이한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are easy to display a charge.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동작에 필요한 구동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 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Generally, in order to drive an electronic device, a power supply device that supplies driving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is indispensably required.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대개 상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인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자 장치에 공급해줄 수 있다.
Such a power supply apparatus can usually convert commercial AC power into driving power, which is DC power, and supply the power to the electronic apparatus.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을 충전하여 전자 장치에 해당하는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지가 채용되는 경우, 충전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 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apparatus is supplied by charging the power supply, a recharging apparatus may be employed to supply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이러한 충전 장치는 커넥터 등으로 전자 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전자 장치에 내장된 충전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자기 유도 효과 또는 자기 공진 효과에 의해 비접촉 방식으로 전자 장치에 내장된 충전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Such a charging device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by a connector or the like to supply power to a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electronic device, or to supply a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electronic device in a noncontact manner by a magnetic induction effect or a self-resonating effect.
이러한 충전 장치는 충전 상태를 표시하게 위해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Such a charg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to indicate the state of charge.
단색의 발광 다이오드의 경우 완전히 충전된 전자 장치가 일정 시간 제어된 후 다시 연결될 경우 완충된 전자 장치의 완충 표시를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표시하기 위해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구성하기 위한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a single-color light-emitting diode, when the fully charged electronic device is controll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conn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ffered display of the buffered electronic device can not be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increased.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단색의 표시 장치로 완충된 기기의 재충전시 완충 표시가 용이한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장치를 제안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which can easily display a buffered state upon recharging of a device buffered by a monochromatic display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a charging power;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외부의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충전부;A charg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n external device to be charged;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A charg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unit;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완충 상태면 표시 동작을 중단하는 표시부; 및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harge control unit and stopping the buffer state display operation; And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재충전시 완충 상태면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부의 표시 동작 중단을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를 제안한다.
And a delay unit for interrupt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and delaying an interruption of a display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a buffered state when the charging object device is recharged.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단색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be a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전부에 전달되는 충전 전원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rechargeable power supplied to the charger.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사전에 설정된 색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완충시에는 광 방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may emit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when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device, and stop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when the charging object device is fully charged.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연부는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단색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접지간에 직렬 연결된 스위치;A switch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cathode of the monochromatic LED and a ground, to which driving power is supplied;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a first control signal of the charge control unit and a drain of the switch;
상기 스위치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다이오드; A diode coupled between the drain of the switch and the first resistor to deliver the control signal;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2 제어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A second resistor coupled between a second control signal of the charge control section and a gate of the switch;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제2 저항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 및A capacitor coupled between the gate of the switch and the second resistor; And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을 포함하고,And a third resistor coupled between the gate of the switch and ground,
상기 제2 저항, 제3 저항 및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소스 문턱 전압과 함께 상기 지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The second resistor, the third resistor, and the capacitor may determine the delay time together with the gate-source threshold voltage of the switch.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무선 방식으로 외부의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충전부;A charg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n external device to be charged in a predetermined wireless manner;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A charg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unit;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완충 상태면 표시 동작을 중단하는 표시부; 및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harge control unit and stopping the buffer state display operation; And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재충전시 완충 상태면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부의 표시 동작 중단을 지연시키는 지연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안한다.
And a delay unit for interrupt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and delaying an interruption of a display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a buffered state when the charging object device is recharged.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부는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기 유도 효과에 따라 상기 충전 전원을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코일부; 및A coil par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charging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magnetic induction effect; And
상기 코일부의 전원 전달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d a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coil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단색의 표시 장치로 완충된 기기의 재충전시 일정 시간 표시 장치가 점등된 후 소등되어 기기의 완충 표시가 단색의 표시 장치로도 용이하며, 단색의 표시 장치를 채용하여 제조 비용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device of the single color is lighted for a certain time upon recharging of the device cushioned by the single color display device, the cushioning display of the device is also easy as a single color display device, There is an effect to be reduced.
더하여, 완충 상태에서 충전 상태로 전환시 지연 시간 및 소비 전류를 저감시켜 전력 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delay time and current consumption when switching from the buffered state to the charged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4 내지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일 부분에 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and Fig. 3 are circuit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4 to 6 are graphs show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part of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 and 3;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do.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o include other elements, not to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being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The two components can also be named as the first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art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10), 충전부(120), 충전 제어부(130), 검출부(140). 표시부(150) 및 지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전원 공급부(110)는 사전에 설정된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입력 전원을 상기 충전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 전원은 상용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일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 전류의 위상차를 조정하여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충전부(120)는 전원 공급부(110)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외부의 충전 대상 기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충전 장치가 일반적인 유선 충전 장치인 경우 충전부(120)는 커넥터와 같은 연결 단자에 연결된 충전 대상 기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무선 충전 장치인 경우 충전부(120)는 사전에 설정된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 등으로 충전 대상 기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When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wired charging apparatus, the
이를 위해, 충전부(120)는 코일부(121) 및 스위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코일부(121)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사전에 설정된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에 따라 충전 전원을 충전 대상 기기에 공급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충전 대상 기기에도 코일부(121)로부터의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에 따른 충전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수신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evice to be charged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circuit for receiv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공급하고자 하는 충전 전원의 전력 레벨에 따라 코일부(121)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스위치부(122)는 코일부(121)의 증폭 작용을 스위칭할 수 있으며, 코일부(121)의 코일 개수에 대응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스위치부(122)의 스위칭 동작은 충전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충전 제어부(130)는 충전부(120)의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더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 상태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충전 제어부(130)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코드가 입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상술한 충전 제어부(130)는 다음의 5가지 모드의 충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harging
상술한 5가지 모드의 충전 동작으로는 첫번째로 전원만 연결되어 있고 충전이 진행되지 않은 대기 모드, 두번째로 충전이 진행되고 있는 전원 공급 모드, 세번째로 충전이 완료되었을 때의 완충 모드, 네번째로 충전시 온도 상승 등의 이상 동작을 나타내는 폴트(fault) 모드, 마지막 다섯번째로 충전 동작시 충전 장치와 충전 대상 기기 간에 도전체와 같은 이물질의 간섭을 파악하여 동작 이상을 나타내는 에프.오.디(Foreign Object Detection;FOD) 모드일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five modes of charging operation, there are a standby mode in which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only first and the charging is not in progress, a power supply mode in which charging is proceeding secondly, a buffering mode in the third charging mode, A fault mode indicating abnormality such as a rise in temperature at the time of charging, and a fifth mode in which a foreign object such as a conductor is detected between a charging device and a charging target device during charging operation, Object Detection (FOD) mode.
검출부(140)는 전원 공급부(110)에서 충전부(120)에 전달되는 충전 전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부(110)에서 충전부(120)에 전달된 충전 전원이 사전에 설정된 정상 상태에 해당하는지 또는 션트(shunt) 상태에 해당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The detecting
표시부(150)는 충전 제어부(130)의 충전 표시 제어에 따라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부(150)는 단색 발광 다이오드 일 수 있으며, 충전 제어부(130)의 충전 표시 제어에 따라 충전 대상 기기가 충전 중인 경우 사전에 설정된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충전 대상 기기가 완전히 충전된 완충 상태인 경우 광 방출을 중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상술한 표시부(150)는 충전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충전 대상 기기가 완전히 충전된 완충 상태인 경우 광 방출을 중단할 수 있으나, 다른 충전 기기에 의해 충전이 완료된 상태의 충전 대상 기기에 충전을 실행하는 경우 광 방출 동작이 중단되어 충전 대상 기기와 충전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충전 대상 기기가 완충 상태인지 정확하게 표시되기 곤란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이에 따라, 지연부(160)는 표시부(150)의 광 방출 중단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일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2 and 3 are circuit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충전 제어부(130), 표시부(150) 및 지연부(16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표시부(150) 및 지연부(160)의 시뮬레이션 동작 파형을 제공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FIG. 2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hargin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연부(160)는 제1 저항, 제2 저항 및 제3 저항(R1,R2,R3), 다이오드(D), 캐패시터(C) 및 스위치(Q)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표시부(150)의 단색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구동 전원(Vcc)가 입력될 수 있고, 표시부(150)의 단색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스위치(Q)의 드레인과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스위치(Q)의 소스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Q)는 N형 MOS FET일 수 있다.The driving power source Vcc may be input to the anode of the single color light emitting diode of the
제1 저항(R1)의 일단은 제어부(130)의 신호 중 제1 제어 신호(V1)를 전달하는 신호단에 연결될 수 있고, 다이오드(D)의 애노드는 제1 저항(R1)의 타단에 연결되고, 다이오드(D)의 캐소드는 스위치(Q)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제2 제어 신호(V2)가 스위치(Q)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resistor R1 may be connected to a signal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V1 of the signal of the
제2 저항(R2)의 일단은 제어부(130)의 신호 중 제1 제어 신호(V1)를 전달하는 신호단에 연결될 수 있고, 캐패시터(C)는 제2 저항(R2)의 타단과 스위치(Q)의 게이트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저항(R3)는 스위치(Q)의 게이트-소스 간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One terminal of the second resistor R2 may be connected to a signal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V1 of the signal of the
도 4 내지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충전 장치의 일 부분에 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FIGS. 4 to 6 are graphs show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part of the charg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and FIG. 3;
먼저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충전 제어부(130)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제어 신호(V1,V2)에 의해 상술한 충전 동작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ogether with FIG. 3, the charging operation mode described above may be display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V1 and V2 from the
즉, 제1 및 제2 제어 신호(V1,V2)의 신호 레벨이 각각 로우 레벨이면 첫번째의 대기 모드, 제1 제어 신호(V1)가 하이 레벨이고, 제2 제어 신호(V2)가 로우 레벨이면 두번째인 전원 공급 모드, 제1 제어 신호(V1)가 로우 레벨이고, 제2 제어 신호(V2)가 하이 레벨이면 세번째인 완충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That is, if the signal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ignals V1 and V2 are respectively the low level, the first standby mode, the first control signal V1 is the high leve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V2 is the low level The second power supply mode, the first control signal V1 is at the low leve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V2 is at the high level.
캐패시터(C)는 제2 저항(R2)과 스위치(Q)의 게이트단에 직렬 연결되어 커플링 캐패시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완충 모드가 되면 스위치(Q)의 게이트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에 전달된 제2 제어 신호(V2)의 전압 레벨은 스위치(Q)의 게이트단에 입력되는 제1 제어 신호(V1)의 전압 레벨을 기준 전압으로 레벨이 상승하게 되며, 이후 상승된 게이트단 전압이 방전하여 예를 들어, 2.3V가 될 때까지 표시부(150)의 단색 발광 다이오드는 점등하고, 이후 소등된다.The capacitor C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econd resistor R2 and the switch Q to perform a function as a coupling capacitor. In the buffering mode, the capacitor C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Q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V2 transmitted to the gate of the switch Q is raised to the reference voltage level of the first control signal V1 input to the gate terminal of the switch Q, The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of the
제3 저항(R3)는 게이트단 전압의 방전 패스(path)를 형성할 수 있고, 더하여 하이패스 필터 기능을 수행하여 수 MHz의 저주파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The third resistor R3 can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gate-terminal voltage, and can perform a high-pass filter function to remove low-frequency noise components of several MHz.
제2 및 제3 저항(R2,R3)과 함께, 캐패시터(C)는 시정수가 조정되어 상술한 지연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Together with the second and third resistors R2 and R3, the capacitor C can adjust the time constant to adjust the delay time described above.
이를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어 신호(V1)(a), 제2 제어 신호(V2)(b)에 의해 일정 시간 표시부(150)의 단색 발광 다이오드가 턴 온 된 후 턴 오프되며(c) 이는 스위치(Q)의 게이트-소스 간의 문턱 전압과 제2 및 제3 저항(R2,R3) 및 캐패시터(C)의 시정수에 의해 결정된 지연 시간에 따라 신호 전달이 지연되어(b,c), 완충 상태인 충전 대상 기기의 재충전시에도 일정 시간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 후 자동 소등되어 완충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4, the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of the
도 5를 참조하면, 완충 모드에서 충전 대상 기기의 전력이 소모되어 다시 전원 공급 모드로 진행될 때 지연 시간 없이 표시부(150)의 단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of the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완충 모드에서 스위치(Q)의 드레인단의 전류를 측정하면, 표시부(150)의 단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면 1.34mA가 소비되는 반면에, 표시부(150)의 단색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되면 소비되는 전류가 0mA인 것을 볼 수 있으며, 전력 사용 효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6, when the current at the drain terminal of the switch Q is measured in the buffering mode, 1.34 mA is consumed when the monochromatic LED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색의 표시 장치로 완충된 기기의 재충전시 일정 시간 표시 장치가 점등된 후 소등되어 기기의 완충 표시가 단색의 표시 장치로도 용이하며, 단색의 표시 장치를 채용하여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vice buffered by a single-color display device is turned off after the display device is turned 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buffering indication of the device is easy to use as a monochrome display devic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더하여, 표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주로 채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를 제외하여 소프트웨어 코드 변경 없이 간단한 수동 회로만으로 표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한정된 메모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 microprocessor is mainly us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ed by a simple manual circuit without changing the software code, Can be used.
또한, 완충 상태에서 충전 상태로 전환시 지연 시간없이 전원 공급 모드로 전환되어 충전 장치의 동작 상태를 지연없이 표시할 수 있고, 완충 모드에서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되면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소비 전류를 저감시켜 전력 사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switching from the buffered state to the charged state, the power supply mode is switched to the power supply mode without a delay time,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charging apparatus can be displayed without delay. In the buffering mode, when the light emitting diode is turned off, The power us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충전 장치, 무선 충전 장치
110: 전원 공급부
120: 충전부
121: 코일부
122: 스위치부
130: 충전 제어부
140: 검출부
150: 표시부
160: 지연부100: Charging device, wireless charging device
110: Power supply
120:
121: coil part
122:
130:
140:
150:
160:
Claims (11)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외부의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완충 상태면 표시 동작을 중단하는 표시부;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재충전시 완충 상태이면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사전에 설정된 지연 시간 동안 동작시킨 후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표시부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지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부는 복수의 저항, 캐패시터 및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복수의 저항,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소스 문턱 전압에 의하여 결정되는 충전 장치.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A charg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n external device to be charged;
A charg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harge control unit and stopping the buffer state display operation; And
And a delay unit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by interrupt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after operating the display unit for a predetermined delay time when the charge object device is in a buffered state during recharging,
Wherein the de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a capacitor, and a switch,
Wherein the delay time is determined by the gate-source threshold voltage of the plurality of resistors, the capacitor, and the switch.
상기 표시부는 단색 발광 다이오드인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is a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전부에 전달되는 충전 전원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tate of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harging unit.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사전에 설정된 색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완충시에는 광 방출 동작을 중단하는 충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unit emits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when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device and stops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when the charging object device is fully charged.
상기 지연부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단색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접지간에 직렬 연결된 상기 스위치;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스위치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다이오드;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2 제어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제2 저항 사이에 연결된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 제3 저항 및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소스 문턱 전압과 함께 상기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충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elay unit
The switch being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cathode of the monochromatic LED and a ground which is supplied with driving power;
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a first control signal of the charge control unit and a drain of the switch;
A diode coupled between a drain of the switch and the first resistor to deliver the first control signal;
A second resistor coupled between a second control signal of the charge control section and a gate of the switch;
The capacitor being connected between the gate of the switch and the second resistor; And
And a third resistor coupled between the gate of the switch and ground,
Wherein the second resistor, the third resistor and the capacitor determine the delay time together with the gate-source threshold voltage of the switch.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의 충전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무선 방식으로 외부의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충전 대상 기기가 완충 상태면 표시 동작을 중단하는 표시부;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재충전시 완충 상태이면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사전에 설정된 지연 시간 동안 동작시킨 후 상기 표시부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시켜 표시부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지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부는 복수의 저항, 캐패시터 및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복수의 저항,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소스 문턱 전압에 의하여 결정되는 무선 충전 장치.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A charg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an external device to be charged in a predetermined wireless manner;
A charg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harging state of the charging unit;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harged stat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harge control unit and stopping the buffer state display operation; And
And a delay unit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by interrupt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display unit after operating the display unit for a predetermined delay time when the charge object device is in a buffered state during recharging,
Wherein the de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a capacitor, and a switch,
Wherein the delay time is determined by the gate-source threshold voltage of the plurality of resistors, the capacitor, and the switch.
상기 충전부는
자기 유도 효과에 따라 상기 충전 전원을 충전 대상 기기에 전달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전원 전달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harging unit
A coil part for transmitting the charging power to the charging target device according to a magnetic induction effect; And
A switch unit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peration of the coil unit;
An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상기 표시부는 단색 발광 다이오드인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play unit is a monochromatic light emitting diode.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전부에 전달되는 충전 전원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harging unit.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사전에 설정된 색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완충시에는 광 방출 동작을 중단하는 무선 충전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play unit emits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at the time of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device and stops the light emitting operation at the time of charging the charging object device.
상기 지연부는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단색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접지간에 직렬 연결된 상기 스위치;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스위치의 드레인과 상기 제1 저항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다이오드;
상기 충전 제어부의 제2 제어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상기 제2 저항 사이에 연결된 상기 캐패시터; 및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저항, 제3 저항 및 상기 캐패시터는 상기 스위치의 게이트-소스 문턱 전압과 함께 상기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무선 충전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lay unit
The switch being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cathode of the monochromatic LED and a ground which is supplied with driving power;
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a first control signal of the charge control unit and a drain of the switch;
A diode coupled between a drain of the switch and the first resistor to deliver the first control signal;
A second resistor coupled between a second control signal of the charge control section and a gate of the switch;
The capacitor being connected between the gate of the switch and the second resistor; And
And a third resistor coupled between the gate of the switch and ground,
Wherein the second resistor, the third resistor, and the capacitor determine the delay time together with the gate-source threshold voltage of the switch.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334A KR101912271B1 (en) | 2013-12-20 | 2013-12-20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US14/293,760 US9455585B2 (en) | 2013-12-20 | 2014-06-02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EP14275132.0A EP2887493B1 (en) | 2013-12-20 | 2014-06-02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CN201410280146.6A CN104734272B (en) | 2013-12-20 | 2014-06-20 | Charging equipment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0334A KR101912271B1 (en) | 2013-12-20 | 2013-12-20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2792A KR20150072792A (en) | 2015-06-30 |
KR101912271B1 true KR101912271B1 (en) | 2018-10-29 |
Family
ID=5084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0334A KR101912271B1 (en) | 2013-12-20 | 2013-12-20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455585B2 (en) |
EP (1) | EP2887493B1 (en) |
KR (1) | KR101912271B1 (en) |
CN (1) | CN104734272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99639B (en) * | 2016-10-13 | 2020-07-21 |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
KR102125722B1 (en) * | 2016-11-29 | 2020-06-23 | 한국자동차연구원 | Coil structure for inductive and resonant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and integral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CN110198061B (en) * | 2019-06-21 | 2022-02-0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222381B1 (en) * | 1985-11-15 | 1992-07-15 | Sanyo Electric Co., Ltd. | Charging device |
US5726555A (en) * | 1995-02-28 | 1998-03-10 | Nec Corporation | Battery charger capable of displaying necessary charging time |
JP4240722B2 (en) | 2000-01-27 | 2009-03-18 | 三洋電機株式会社 | Battery full charge indication method |
US7039534B1 (en) * | 2003-11-03 | 2006-05-02 | Ryno Ronald A | Charging monitoring systems |
US7772802B2 (en) | 2007-03-01 | 2010-08-10 | Eastman Kodak Company | Charging display system |
JP2009017703A (en) * | 2007-07-05 | 2009-01-22 | Mitsumi Electric Co Ltd | Charge control circuit of secondary battery and charge control device using the circuit |
KR20090113732A (en) | 2008-04-28 | 2009-11-02 |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 Cellular phone charger |
CN101431249B (en) * | 2008-08-14 | 2010-12-22 | 马飞成 | Energy-saving apparatus for charger of boosted vehicle |
CN101694951A (en) * | 2009-11-02 | 2010-04-14 | 南通群峰电器科技有限公司 | Novel four-in-one intelligent fast charger for storage battery |
KR101290890B1 (en) | 2011-12-27 | 2013-07-29 | 임영삼 | Wireless multi purpose battery charging instrument |
KR101462730B1 (en) * | 2012-11-15 | 2014-11-17 | 삼성전기주식회사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
2013
- 2013-12-20 KR KR1020130160334A patent/KR10191227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6-02 US US14/293,760 patent/US9455585B2/en active Active
- 2014-06-02 EP EP14275132.0A patent/EP2887493B1/en active Active
- 2014-06-20 CN CN201410280146.6A patent/CN104734272B/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887493B1 (en) | 2017-02-01 |
CN104734272B (en) | 2017-09-29 |
US9455585B2 (en) | 2016-09-27 |
CN104734272A (en) | 2015-06-24 |
EP2887493A1 (en) | 2015-06-24 |
US20150180253A1 (en) | 2015-06-25 |
KR20150072792A (en) | 2015-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3008730C (en) | Emergency lighting system | |
KR101462730B1 (en)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
JP5512628B2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transmission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 |
US10334699B2 (en) | Multi-mode control device | |
US10230264B2 (en) | Emergency lighting battery charger | |
EP2805409B1 (en) | Power supply device | |
US20160227628A1 (en) | Multi-mode control device | |
KR101912271B1 (en) |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 |
US9137876B2 (en) | Lighting system with reduced standby power | |
CN104041182B (en) | PFC and the operation device of ripple restriction is carried out by operation change | |
CN101331660B (en) | Tronic circuit for a small electric appliance | |
US9190780B2 (en) | Power outlet capable of providing power in a controlled manner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same | |
TWM502197U (en) |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device | |
KR2012007095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tandby power of remote controller | |
JP3841017B2 (en) | Electronic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60035266A (en) |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off standby pow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