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097B1 - Module type build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Module type build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2097B1 KR101902097B1 KR1020170017514A KR20170017514A KR101902097B1 KR 101902097 B1 KR101902097 B1 KR 101902097B1 KR 1020170017514 A KR1020170017514 A KR 1020170017514A KR 20170017514 A KR20170017514 A KR 20170017514A KR 101902097 B1 KR101902097 B1 KR 101902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slab
- building
- column
- slab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62—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fillings between the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23—Separate connecting devices for prefabricated floor-slabs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한 사이즈로 규격화 및 모듈화하여 공장에서 현장상황에 맞게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하여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으면서, 구축된 건축물이 외압이나 자연재해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건축물의 구축기간을 대폭 단축하면서 구축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완성된 건축물의 품질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면서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 수준의 단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바닥과 천장 또는 지붕을 구성하게 되는 스라브모듈과, 상기 스라브모듈과 스라브모듈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구성하는 기둥모듈과, 상기 스라브모듈과 스라브모듈의 연결 또는 스라브모듈과 기둥모듈을 연결하여주는 연결모듈로 구성하여 견고한 조립 및 모듈화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tandardize and modularize in a compact size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nd suppl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a factory so that uniform quality can be maintained and a building can be built quickly in the field, By providing enough durability against natural disasters,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ilding,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nished building, and maintain the passive house insulation level. As;
A slab module constituting a floor of the building and a ceiling or a roof; a column module connected to the slab module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slab module to constitute an outer wall or an inner wall of the building; And a connection module for connecting the column module to the building,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rigid assembly and modular buil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지붕구조체, 스라브구조체 및 벽구조체를 모듈화하고 이들을 이음연결부재로 조립하여 견고한 구조물이 되게하며, 규격화 모듈화 및 공잔생산을 통하여 생산성향상, 공기단축 및 공사비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한 건축구조물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ardized modular bui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ular structure of a roof structure, a slab structure, and a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structure and assembles them into a rigid structure by modularizing them, Improvement of construction tim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time and improvement of construction cost.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은 재료와 구축방식에 따라 기초 위에 벽돌 등을 조적하여 구축하는 조적구조형태, 기초위에 철근과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둥과 스라브를 구축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형태, 목재를 이용하여 구축하는 목구조형태,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혼합형태 등 다양한 건축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주거, 상업 및 산업용 건축물들이 구축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the architectural structure is a structure of a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by combining bricks and the like on the foundation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a form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at constructs pillars and slabs by using reinforcing bars and concrete on the foundation, Structural structures, reinforced concrete and steel structure mixed type, and residential, commercial and industrial buildings are being constructed using these technologies.
근자에 들어서는 건축구조물 구축방법을 규격화하여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줄이면서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고 구축후 외부충격이나 자연재해(진동, 강풍이나 폭우 또는 지진과 해일 등)에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건축물 수명이 다하였을 때 또는 해체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강구되고 있으나, 건축구조물의 다양한 요구조건, 시공시 조립방법의 난이성, 특히 이음연결부위의 구조적인 취약성 등으로 구조체 전체가 구조적으로 일체화 되기 어려우며, 규격화, 모듈화 및 시공완성도 면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By standardiz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structure in the near-term,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excellent quality while reducing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and to secure safety by maintaining sufficient durability against external impact or natural disaster (vibration, strong wind or heavy rain, earthquake and tsunami)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waste unnecessarily generated when the building has reached the end of its life or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However, various requirements of the building structure, difficulty in assembling method during construction, and structural weakness It is difficult for the entire structure to be structurally integrated, and various problems arise in terms of standardization, modularization, and construction comple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구조물을 규격화 모듈화 및 공업화를 이루어 생산성의 향상, 품질의 균일화, 공기단축,원가절감 및 조립화를 통한 시공시 기후영향의 최소화, 폐기물 저감 등의 연구가 추가로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are additional researches such as improvement of productivity, uniformity of quality, shortening of air, cost reduction and minimization of climatic impact during construction through assembly and reduction of waste by building and standardizing the building structure by modular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s requir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구조물을 공장 또는 현장에서 규격화 및 모듈화하여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 대표적인 예가 조립식(Prefab)건축물이며 이러한 주지의 조립식 건축물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such a purpose, a typical example of a building structure that can be quickly standardized and modularized in a factory or a site is a prefab building. The construction of the well-known build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주지의 조립식 건축물은 건축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면에 수평을 유지하여 만들어진 기초 위에 건축물 외부규격에 맞게 "ㄷ"형 채널을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고정하여 아웃베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아웃베이스의 내부에는 "ㄷ"형 채널을 "ㅁ" 형태로 구성하여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서로 고정하여 실내를 구획할 수 있는 인베이스를 구성한다.A well-known prefabricated building is constructed by horizontally fixing a "C" type channel in accordance with the external standard of the building on a foundation made by keeping the floor horizontally on the ground to be constructed, by using an anchor bolt or the like, Inside, a " c "type channel is formed in the form of"? &Quot;, and is fixed horizontally with an anchor bolt or the like to constitute an insole capable of partitioning the room.
상기 아웃베이스와 인베이스 사이에 이음연결모듈을 설치하고 여기에 기둥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C"형 또는 "ㄷ"형 채널을 수직으로 고정하여 이들이 벽구조체를 구성하는 뼈대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뼈대의 상부에 다시 이음연결모듈을 배치하여 "ㄷ"형 채널을 "ㅁ" 형태로 구성한 바닥구조체와 앵커볼트로 고정하여 구성하게된다.A "C" type or "C" type channel is vertically fixed so as to serve as a pillar between the out base and the in-base so as to serve as a skeleton constituting the wall structure, And a connecting structure module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keleton so that the "C" type channel is fixed to the bottom structure and the anchor bolt in the "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공장 또는 현장에서 "ㄷ"형 채널과 패널을 규격화하여 현장으로 배송한 후 현장에서 기초에 "ㄷ"형 채널을 고정하고, "ㄷ"형 채널과 "ㄷ"형 채널의 연결 및 패널을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건축물의 다양한 요구조건에 100% 만족하는 규격화 모듈화가 불가능하게 되며, 특히 이음연결부의 강성이 미흡하여 구조체 전체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현장 환경 및 조립상황에 맞게 규격화 모듈화할 수 없는 단점을 노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above conventional art, a " C "type channel and a " D" type channel are fixed at the factory after the standardized " And the panels are fixed. However, it is impossible to standardize the modularization that satisfies the various requirements of the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현장환경 및 상황에 맞게 구조체를 규격화 모듈화하여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부수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현장자재적재공간과 작업환경 및 시공관리에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고 전문적인 숙련공이 아니라도 쉽게 조립시공할 수 있으면서 공사기간 및 공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지 않고도 완성도 높은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며 의도치 않은 설계변경 등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건축방법이 요구된다.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dditional studies to assemble the structure into a standardized modularized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on-site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and it is required that a considerable effort is required in the field loading space, work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quality building without requiring excessive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 and a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easily responding to unintended design changes is required.
또한 현장에서 건축물 구조체를 조립할 경우 작업자의 기술 및 숙련도에 따라 품질과 내구성 및 완성도면에서 현격한 차이가 발생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조립구성할 수 있게 건축물을 규격화 및 모듈화하여 균일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요구된다.Also, when the building structure is assembled in the field, the quality and the durability and the finished drawings are remarkab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kill and skill of the operator, so that the building can be standardized and modularized so that anyone can easily assemble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그리고, "ㄷ"형 채널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축함에 있어서서 아웃베이스와 인베이스, 뼈대, 중간층스라브구조체 및 지붕스라브구조체를 서로 맞대어 용접이음할 경우 건축물의 외부충격, 진동 및 휨응력, 전단응력, 압축응력에 취약하게 되는 것은 물론, 지진이나 강풍 등의 자연재해 및 구조물의 장기 하중에 용접부위가 파단되어 구조물 전체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uilding is constructed using the "C" type channel, the external impact, vibration and bending stress of the building, shear stress, shear stress, and shear stress when the welded joints of the out base, in base, skeleton, intermediate layer slab structure and roof slab structure, Not only is it vulnerable to compressive stress but also the welded part is broken in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 and strong wind and long-term load of the structure, and the entire structure becomes unstable structurally.
특히 조립식 건축물의 경우 내부벽체 또는 칸막이 벽체 구성시 바닥구조체와 이음연결부위 강성이 취약하여 벽체 흔들림 현상 및 지진 등의 수평하중에 문제점이 노출되며, 구조체의 강성이 부족하여 내외부마감재료를 부착한 후 틈이 발생하고 이 틈을 실리콘이나 패킹 등으로 마감하더라도 단열 및 방풍기능 유지가 곤란하여 냉,난방 효율이 저감되는 것은 물로느 결로현상 발생으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when the inner wall or the partition wall is constructed, the rigidity of the joint between the floor structure and the joint is weak, so that the horizontal load such as the wall shake phenomenon and the earthquake is exposed, and the rigidity of the structure is insufficien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due to the occurrence of water condensation due to the water, which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heat and windproof function even when the gap is closed by silicone or packing.
또한, 종전의 조립식 건축구조물의 경우 이음연결부위 강성이 취약한 "ㄷ"형 채널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H"빔과 같은 강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목적하는 구조적 내구성에서 부합할 수 있으나 내외부 마감재료 시공이 어려우며, 공사비용이 증가되어 현실성이 떨어지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ventional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s, it is possible to meet the desired structural durability when using a steel material such as an "H" beam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of the " And the cost of construction is increased, resulting in various problems such as decreased realism.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바닥과 천장 또는 지붕을 구성하게 되는 스라브모듈과, 상기 스라브모듈과 스라브모듈의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구성하는 기둥모듈과, 상기 스라브모듈과 스라브모듈의 연결 또는 스라브모듈과 기둥모듈을 연결하여주는 연결모듈로 구성하여 건축물을 구축하도록 함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ab module which constitutes a floor, a ceiling or a roof of a building and an outer wall or an inner wall of the building by connecting the slab module and the slab modu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nection module for connecting the slab module and the slab module or connecting the slab module and the column module, thereby constructing a building;
구조적으로 안전한 건축물 구조체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규격화 및 모듈화를 통하여 공장에서 현장상황에 맞게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공기단축과 더불어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nstruct structurally safe building structure, especially by standardization and modularization,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nd suppl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factory, so that uniform quality can be maintained,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Can achieve the purpose.
또한 구축된 건축물의 구조체가 구조적으로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외력(강풍이나 지진 등) 또는 장기하중에 안전한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으면서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 수준의 단열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건축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constructed building has structural durability so that it is possible to build a building that is safe for external force (strong wind or earthquake) or long-term load, It is possible to achieve another object that can provide an architectural structure capable of exhibiting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평면 및 형태 구조체 바닥에 작용하는 응력 및 결합되는 마감재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조체들을 컴팩트하게 규격화 및 모듈화할 수 있으므로 현장조건에 따른 양중, 운반 및 조립과정을 간편하게 하면서 공장에서의 생산성 형상과 품질규격화, 공기단축, 공사비절감 및 이음연결부위의 구조적결합내력을 강화시켜 내진, 내풍 및 하중에 안전하고 견고한 조립식 모듈화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actly standardize and modularize struc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stress acting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stress applied to the floor of the structure and the combined finishing materials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compacted and modularized, ,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odular building which is stable and reliable against wind and wind by strengthening the productive shape and quality standardization,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and strengthening the structural combined strength of the joint part.
건축구조물을 조립가능한 규격화 모듈화함으로서 공장에서 현장상황에 맞는 상태로 대량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고, 현장에서 불필요하게 구조물을 가공하여야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조립하여 구축하는 과정에서도 고도의 기술이 필요없이 일반적인 기술자가 쉽게 조립하여 구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인 공사기간과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the building structure in a state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the factory by modularizing the building structure to be assembled,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unnecessary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in the field, an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and constructing, So that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constructed by a general engineer without need, so that the entir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drastically reduced.
건축구조물을 규격화 및 모듈화로 함으로서 신속 정확하게 조립하여 구축할 수 있고, 각각의 모듈을 용접이 아니 볼팅결합에 의하여 유지하도록 하고 모듈간의 맞대기 결합이 아닌 한옥의 기둥과 대들보를 연결하는 것과 같은 결구이음상태를 유지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충분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construct the building quickly and accurately by standardizing and modularizing the building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each module by welding, not by bolting, and to connect the columns and girders of the hanok, So that sufficient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even in the case of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secured.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물에 패널이나 합판과 같은 마감부재를 결합하고, 이들 마감부재 사이의 중공공간에 단열수단을 강구하여 열전도 현상이 차단되므로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수준의 단열성능이 발휘되어 냉,난방비용 등과 같은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건축물 구축에 필요한 전기와 각종 설비라인의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건축구조물에 패널이나 합판과 같은 마감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단열층의 두께조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지역별 기후조건에 맞게 단열시공이 가능한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A heat-insulating performance at a passive house level is exhibited because a heat-conductive phenomenon is interrupted by joining a structure such as a panel or a plywood plate to a structure that maintains a firmly coupled state, It is possible to reduce maintenance costs such as heating and cooling costs and to easily install electricity and various facility lines necessary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of closure members such as panels and plywood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and it is an invention having various effects such as being able to construct insulation according to local climate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의 스라브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의 스라브모듈을 발췌한 파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의 기둥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의 기둥모듈을 도시한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의 기둥모듈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의 연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의 연결모듈 중 3방향연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의 연결모듈 중 2방향연결구를 사용상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을 이용한 건축물의 구축상태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ab module of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structur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ave module of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structur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umn module of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structur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umn module of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structur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lumn module of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structur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module of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structure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ree-way connector of a connection module of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o-way connector of a connection module of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to which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building using a standardized modularized building structur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100)은, 건축물의 바닥과 천장이나 중간층 또는 지붕을 구성하게 되는 스라브모듈(110)과, 상기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의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구성하는 기둥모듈(130)과, 상기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의 연결 또는 스라브모듈(110)과 기둥모듈(130)을 연결하여주는 연결모듈(150)로 구성한다.The standardized
물론, 상기 스라브모듈(110)과 기둥모듈(130)의 내,외면에 마감처리되는 데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합판(101) 또는 패널(102)과 같은 마감부재(105)와 더불어, 스라브모듈(110)과 기둥모듈(130)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 및 불연재와 같은 충진재(106)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상기 스라브모듈(110)은, ㄷ형 채널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서로 연결하여 장방형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가 연결되는 코너부(113)는 45°로 절단하여 그 절단면에 연결판(114)을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한 후 체결홀을 형성한 후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가 서로 맞댄 후 고력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115)으로 견고하게 고정한다.The
본 발명의 도면과 설명에서는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의 연결부위를 45°로 절단하여 서로 맞대어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45°로 절단하지 않고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의 끝단면에 연결판(114)을 고정한 후 서로 맞대어 결합하는 형태를 취하여도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In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상기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 사이에는 스라브모듈(110)이 비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평평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로부재(111)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조바(116)를 연결한다.A plurality of
상기 보조바(116)는 "C"형강이나 "ㄷ"형 채널을 단수로 연결하는 형태나 "C"형강이나 "ㄷ"형 채널을 복수개(한쌍을 맞닿게 연결한 상태)로 연결하는 형태 또는 기둥모듈(130)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보조바(116)의 연결은 세로부재(112)의 내측과 보조바(116) 사이에 "ㄱ"형 연결판(117)을 이용하여 고력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118)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연결하여 스라브모듈(110)을 구성할 때 직사각형상 뿐 아니라 정사각형상으로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필요 또는 현장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사각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코너부(113)에서 서로 맞대어진 가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2)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형태를 취하여도 무방할 것이며, 다른 예로서는 리벳팅을 통한 고정을 수행하여도 될 것이다.As a matter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상기 스라브모듈(110)의 규격은 가로와 세로가 1220㎜와 2440㎜의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합판(101) 또는 다른 마감부재로 스라브모듈(110)의 상면과 저면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합판의 규격 또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앞서 언급한 규격으로 특정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유롭게 규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The
상기 기둥모듈(130)은, L형강 또는 ㄷ형(C형 포함) 채널(131)을 쌍립(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연접시키는 형태)시켜 좌측수직부재(132)와 우측수직부재(133)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한 쌍을 배치하고, 상기 좌,우측수직부재(132,133)의 종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켜 한 쌍의 좌,우측수직부재(132,133)를 연결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판상형태의 연결판(135) 다수개로 고정한다.The
상기 좌우측수직부재(132,133)와 연결판(135)의 고정은 좌,우측수직부재(132,133)와 연결판(135)에 체결공(136)을 형성한 후 고력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137)로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The left and right
상기 기둥모듈(130)을 구성하는 좌,우측수직부재(132,133) 중 건축물 구축시 스라브모듈(110)이 위치할 수 있는 좌,우측수직부재(132,133)의 하측이나 상측 또는 중간 위치에는 스라브모듈(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위치하는 형강이나 채널의 일부를 절단하여 스라브모듈(110)이 삽입될 수 있는 스라브홈(138)을 더 형성하도록 한다.The left and right
상기 좌,우측수직부재(132,133)의 중간 위치에 형성하는 스라브홈(138)의 경우 형강이나 채널의 일부를 절단하지 않고, 내측에 위치하는 좌,우측수직부재를 스라브모듈(110)의 두께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상기 스라브홈(138)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설명과 도면에서는 하측과 중간 및 상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구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종류나 형상 등에 따라 또는 기둥모듈(130)의 길이 및 스라브모듈(110)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을 것이므로 공장에서 제조하는 과정에서 각 건축물에 맞게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In the case of the
상기 연결모듈(150)은,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이 서로 연접되는 위치와 기둥모듈(130)을 연결하는 3방향연결구(151)와,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을 서로 연접시킬 때 또는 스라브모듈(110)의 외면과 기둥모듈(130)을 연결하는 2방향연결구(152)로 구성한다.The
상기 3방향연결구(151)는, 금속재질의 판상부재를 개략 T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데, 기둥모듈(130)에 형성되는 스라브홈(138)에 밀착되는 기둥연결판(155)과 상기 기둥연결판(155)의 중앙에서 돌출되게 고정되어 연접되는 스라브모듈(110) 사이에 밀착되는 스라브연결판(156)으로 구성한다.The three-
상기 기둥연결판(155)과 스라브연결판(156)은 용접이나 볼팅 또는 리벳팅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며, 기둥연결판(155)과 스라브홈(138) 및 스라브연결판(156)과 스라브모듈(110)에는 각각 일치되는 체결공(157)을 형성한 후 고력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158)으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2방향연결구(152)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상의 금속판재로 중앙에는 스라브모듈(110)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59)을 형성하고, 상측과 하측에는 기둥모듈(130)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59)을 형성하여 구성한다.The two-
예를 들어 스라브모듈(110)이 기초에 고정된 상태에서 기둥모듈(130)과 체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2방향체결구(152)의 하측에는 스라브모듈(110)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59)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기둥모듈(130)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59)이 형성될 것이며, 스라브모듈(110)이 건축물의 중간층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2방향체결구(152)의 중앙에는 스라브모듈(110)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59)이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에는 기둥모듈(130)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159)을 형성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또한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의 높이를 일치시켜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2방향연결구(152)의 높이와 폭은 스라브모듈(1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스라브모듈(110)을 단차지게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차만큼 그 크기가 달라지게 될 것이므로 다양한 규격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When the height of the two-
그리고 3방향연결구(151)과 2방향연결구(152)가 경사를 가지는 상태로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T형상 또는 정사각 및 직사각형상이 아닌 경사도에 맞게 기울어진 T형상 또는 마름모꼴 등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 또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en the thre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100)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구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the standardized
먼저 건축물을 구축하고자 하는 지면에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기초(200)를 만들고, 상기 기초(200)에 매립되거나 고정한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스라브모듈(110)을 고정한다.First, a base 200 is made of concrete on the floor where a building is to be constructed, and the
상기 스라브모듈(110)을 고정할 때에는 건축물의 평면상황에 맞게 장방형상의 스라브모듈(110)을 여러개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연결모듈(150)을 이용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형상이 되도록 연결하여 고정한다.When fixing the
상기 스라브모듈(110)을 연결할 때,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00)의 연접면(210)과 외면(220)에는 2방향연결구(152)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의 코너부연접위치(230)에는 3방향연결구(151)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기초(200)에 스라브모듈(110)이 연결된 후에는 스라브모듈(110)의 외면부에는 기둥모듈(130)이 연결모듈(15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외벽을 구성하도록 하고, 스라브모듈(110)의 내측 위치에는 실내구획을 위하여 기둥모듈(130)을 연결모듈(150)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실내벽을 구성하도록 한다.After the
상기 기둥모듈(130)의 연결이 완료되면, 층간구획을 위하여 다시 스라브모듈(110)을 단층일 경우에는 기둥모듈(130)의 상방에 연결하여 지붕을 구성하도록 하고, 다층일 경우에는 연장되게 연결되는 기둥모듈(130)의 중간 중간에 스라브모듈(110)을 연결하여 복층구성의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onnection of the
상기와 같이 스라브모듈(110)과 기둥모듈(130) 및 연결모듈(150)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뼈대가 완성된 후에는 스라브모듈(110)에는 난방을 위한 마감을 수행하고, 기둥모듈(110)의 내,외부에는 패널(102)을 이용하여 내,외장 마감을 수행하면 된다.After completion of the skeleton of the building using the
물론, 기둥모듈(130)과 기둥모듈(130) 사이의 공간에는 전기 및 설비라인이 연결되도록 하고, 그 외의 공간에는 충진재(106)로 마감하여 단열을 강구하고 방음 및 방염과 같이 건축에 필요한 수단을 강구하면 될 것이며, 이러한 마감이 완료된 후 패널(102)로 내,외장을 마감함은 당연할 것이다.Of course, electrical and equipment lines are connected to the space between the
이러한 본 발명은 스라브모듈(110)과 기둥모듈(130)이 연결모듈(150)에 의하여 단순 맞대기 형태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 한옥과 같이 각각의 모듈이 서로 깍지를 낀 것과 같은 상태로 결합고정되기 때문에 자체의 중량은 물론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 등에 충분한 내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을 컴팩트한 사이즈로 규격화 및 모듈화하여 공장에서 현장상황에 맞게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하여 건축물을 구축할 수 있으면서, 구축된 건축물이 외압이나 자연재해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건축물의 구축기간을 대폭 단축하면서 구축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완성된 건축물의 품질을 우수하게 할 수 있으면서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 수준의 단열을 유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standardize and modularize a building structure in a compact size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nd suppl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a factory so that the uniform quality can be maintained and the building can be built quickly in the field, By making the constructed buildings have sufficient durability against external pressure and natural disaste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ilding drastically an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inished building, It is possible to maintain insulation and the like.
100; 건축구조물
110; 스라브모듈
111; 가로부재
112; 세로부재
130; 기둥모듈
132; 좌측수직부재
133; 우측수직부재
135; 연결판
138; 스라브홈
150; 연결모듈
151; 3방향연결구
152; 2방향연결구100; Building structure
110; Slave module
111; Transverse member
112; Longitudinal member
130; Column module
132; Left vertical member
133; Right vertical member
135; Connecting plate
138; Slavic Home
150; Connection module
151; 3-way connector
152; Two-way connector
Claims (5)
상기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의 수직방향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구성하는 기둥모듈(130)과;
상기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 및 스라브모듈(110)과 기둥모듈(130)을 연결하여주는 연결모듈(150)과;
상기 스라브모듈(110)과 기둥모듈(130)의 내,외면에 마감처리를 위한 마감부재(105)와;
상기 스라브모듈(110)과 기둥모듈(130) 내부에 단열과 불연을 위하여 채워지는 충진재(106)로 구성하고;
상기 기둥모듈(130)은, L형강 또는 ㄷ형 채널(131)을 쌍립시켜 배치하는 좌측수직부재(132) 및 우측수직부재(133)와;
상기 좌,우측수직부재(132,133)의 종방향으로는 좌,우측수직부재(132,133)를 연결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다수개의 연결판(135)과;
상기 기둥모듈(130)을 구성하는 좌,우측수직부재(132,133) 중 건축물 구축시 스라브모듈(110)이 위치할 수 있는 좌,우측수직부재(132,133)의 하측이나 상측 또는 중간 위치에는 스라브모듈(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위치하는 형강이나 채널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이격시켜 스라브모듈(110)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하는 스라브홈(1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A slab module 110 for constructing the bottom of the building and the middle floor roof;
A column module 130 connecting the slab module 110 and the slab module 110 in a vertical direction to form an outer wall or an inner wall of the building;
A connection module 150 connecting the slab module 110 with the slab module 110 and the slab module 110 with the column module 130;
A finishing member 105 for finishing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lab module 110 and the column module 130;
A filling material 106 filled in the slab module 110 and the column module 130 for heat insulation and fireproofing;
The column module 130 includes a left vertical member 132 and a right vertical member 133 which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shaped steel or C-shaped channel 131 is arranged in a pair;
A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135 for fixing the left and right vertical members 132 and 133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members 132 and 133 so as to b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The left and right vertical members 132 and 133 constituting the column module 130 are provided at the lower or upper or intermediate positions of the left and right vertical members 132 and 133 at which the slab module 110 can be positioned, And a slab groove (138) formed so as to insert a slab module (110) by cutting or separating a part of a section steel or channel located on the inside so that the slab module (110) .
상기 연결모듈(150)은, 기둥모듈(130)에 형성되는 스라브홈(138)에 밀착되는 기둥연결판(155)과 상기 기둥연결판(155)의 중앙에서 돌출되게 고정되어 연접되는 스라브모듈(110) 사이에 밀착되는 스라브연결판(156)으로 구성하여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이 서로 연접되는 위치와 기둥모듈(130)을 연결하는 3방향연결구(151)와;
상기 스라브모듈(110)과 스라브모듈(110)을 서로 연접시킬 때 또는 스라브모듈(110)의 외면과 기둥모듈(130)을 연결하는 2방향연결구(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 모듈화한 건축구조물.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connection module 150 includes a column connection plate 155 closely attached to the slab groove 138 formed in the column module 130 and a slab module 150 fixedly projected from the center of the column connection plate 155, A three-way connector 151 for connecting the slab module 110 and the slab module 110 to each other at a position where the slab module 110 and the slab modul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i-directional connector 152 connecting the slab module 110 and the slab module 110 to each other or conne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lab module 110 to the column module 130. Architectural structur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514A KR101902097B1 (en) | 2017-02-08 | 2017-02-08 | Module type build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7514A KR101902097B1 (en) | 2017-02-08 | 2017-02-08 | Module type building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128A KR20180092128A (en) | 2018-08-17 |
KR101902097B1 true KR101902097B1 (en) | 2018-09-27 |
Family
ID=6340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7514A KR101902097B1 (en) | 2017-02-08 | 2017-02-08 | Module type build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20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2995B1 (en) * | 2020-12-28 | 2021-07-28 | (주)지산개발 | Elvation module for colum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using i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559B1 (en) * | 2012-09-20 | 2013-02-14 | 현대엠코 주식회사 |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7337B1 (en) | 2012-02-07 | 2014-01-07 | 주식회사 이젠 | Fiber reinforcement plastic industrialization hous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
KR101601811B1 (en) | 2015-04-07 | 2016-03-09 | 김정우 | Industrialization hous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
-
2017
- 2017-02-08 KR KR1020170017514A patent/KR10190209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3559B1 (en) * | 2012-09-20 | 2013-02-14 | 현대엠코 주식회사 |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128A (en) | 2018-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3564B2 (en) | Paneled structural system for building | |
US4045937A (en) | Method of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room element and a building of a plurality of said elements | |
US20090165399A1 (en) | Prefabricated reinforced-concrete single-family dwelling and method for erecting said dwelling | |
US20070245640A1 (en) | Building Structure and Modular Construction | |
JP2003512546A (en) | Frameless building systems | |
US10724228B2 (en) | Building assembli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using pre-assembled floor-ceiling panels and walls | |
WO2016197919A1 (en) | Prefabricated light steel concrete plate colum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 |
US9200447B1 (en) | Prestressed modular foam structures | |
US20090007507A1 (en) | Energy efficient assembly building construction using light-gage metal studs and concrete slabs | |
WO2006095266A1 (en) | Method of constructing structures using prefabricated materials | |
CN106894504B (en) | Light assembled steel structure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902097B1 (en) | Module type building structure | |
EP3551812B1 (en) | A modular constructed building incorporating a ground beam | |
US20070186497A1 (en) | In-fill wall system | |
JPH1046664A (en) | Beam penetrative steel frame system | |
US3466828A (en) | Modular wall construction | |
CN111749343A (en) | Mounting method of detachable assembled steel structure house | |
US11098475B2 (en) | Building system with a diaphragm provided by pre-fabricated floor panels | |
AU2012238289B2 (en) | Sandwiched panel construc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
KR101086060B1 (en) | Prefebrication module | |
JP6422694B2 (en) | building | |
AU2014265071B2 (en) | A building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 building | |
JP6353304B2 (en) | building | |
CN213296663U (en) | Detachable assembly type steel structure house | |
CN210421381U (en) | Evaporate and press whole house of aerated concrete sla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