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876B1 -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 Google Patents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876B1
KR101900876B1 KR1020180008350A KR20180008350A KR101900876B1 KR 101900876 B1 KR101900876 B1 KR 101900876B1 KR 1020180008350 A KR1020180008350 A KR 1020180008350A KR 20180008350 A KR20180008350 A KR 20180008350A KR 101900876 B1 KR101900876 B1 KR 10190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rement
diaper
user
wearing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원남
한유진
Original Assignee
노원남
한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원남, 한유진 filed Critical 노원남
Priority to KR1020180008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8Means for securing receptacles or bags to the body otherwise than by adhesives, e.g. belts, strap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7Closure means other tha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둔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배변 시 배출된 대변이 방수형의 주머니 내에 역류가 최대한 방지되는 상태로 수용됨에 따라, 배변 후 즉시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둔부 및 기저귀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환자복 등 의복 및 이불 등의 침구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지 않게 되는 동시에 대변의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는,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되는 착용 본체 및 상기 착용 본체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면서 항문 쪽으로 연장되는 배변용 착용대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용 착용대에는 상기 사용자의 배변 시 배출되는 대변을 받아 아래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홈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둔부 착용부와, 상기 경사홈과 대응되는 배변홀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둔부 착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변홀로 통과된 후 상기 경사홈을 따라 유도되는 대변을 받아 수용하고, 방수성을 갖는 대변 주머니와, 상기 대변 주머니 내에서의 대변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요철면을 형성한 형태로 상기 대변 주머니의 내측에 설치되는 논슬립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Diaper type evacu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둔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배변 시 배출된 대변이 방수형의 주머니 내에 역류가 최대한 방지되는 상태로 수용됨에 따라, 배변 후 즉시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둔부 및 기저귀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환자복 등 의복 및 이불 등의 침구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지 않게 되는 동시에 대변의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엔(UN : United Nations)이 정한 기준에 따르면 ‘노인’이란 65세 이상의 사람을 말한다. 또한, 유엔의 기준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7% 이상일 경우 ‘고령화사회’,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14% 이상일 경우 ‘고령사회’,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인구 비율이 20% 이상일 경우 ‘후기고령사회’ 내지 ‘초고령사회’에 해당된다.
이를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고령화 수준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부산광역시의 경우 2015년 2월 말을 기준으로 노인 인구의 비율이 14%에 도달하여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이는 대한민국의 7대 특별/광역시 중 최초이다. 또한, 2050년 대한민국의 노인 비율이 38.2%에 이르러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로 대한민국의 고령화 속도 및 수준은 심각한 상태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 그에 비례하여 노인문제도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그 예로써 치매로 인해 대소변을 잘 가리지 못하는 노인환자, 노환으로 인해 거동이 어려운 노인환자 내지 연로하여 대소변을 잘 가리지 못하는 노인환자 등의 대소변을 처리하는 일이 개인적인 문제인 동시에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즉, 대소변을 가리기 어렵거나 화장실에 가기 어려운 노인환자의 경우 기저귀를 착용하여 대소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소변이나 대변 특히 대변을 본 후 즉시 기저귀를 갈아 주어야 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고,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못할 경우 해당 노인환자의 주변 피부에 습진 등의 피부질환이 발생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노인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대변의 일부가 기저귀 바깥으로 새어 나와 의복 및 침구류가 오염될 수 있었다.
부연 설명하면, 기존의 일반적인 기저귀는 그 착용 환자가 대소변을 배출 시 배출되는 대소변이 해당 기저귀의 패드 부분에 받아지면서 패드 부분을 따라 퍼지는 형태이고, 따라서 소변이나 대변 특히 대변의 배출 후 즉시 갈아주지 않으면 해당 환자의 엉덩이에 대변이 묻은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되어 피부습진, 욕창 내지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생되고, 이에 더하여 2차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용 기저귀가 개발되기도 하였지만, 기존의 환자용 기저귀는 착용 시 항문이 위치하는 기저귀 부분에 관통된 배출구를 형성하고, 수용부를 갖는 수용부재를 결속하여 환자가 배설물을 배출하면, 배출구를 통하여 내부 수용공간인 수용부재에 저장되는데 상기 배설물을 저장한 배설구의 위치가 베드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간병인이나 요양보호사가 여러 환자를 관리하기 때문에 기저귀를 교체하는 시간 지체 내지 방치된 상태에서 환자가 허리 또는 다리를 움직이면 수용부재의 내부 공간에 쌓여진 배설물이 경사진 배출구에서 역류하여 패드 부분에 퍼지게 되어 기저귀는 물론 이불과 같은 침구 등에 오염이 번지고 환자의 피부에도 배설물이 묻혀져 자극을 받아 염증이 발생하고 악취가 발생되는 사례가 많았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538508호(2015.07.22.공고.) “환자용 기저귀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상술한 “환자용 기저귀장치”를 더 개량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38508호(2015.07.22.공고.), “환자용 기저귀장치”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0666호(2001.10.12.공고.), “환자용 기저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둔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배변 시 배출된 대변이 방수형의 주머니 내에 역류가 최대한 방지되는 상태로 수용됨에 따라, 배변 후 즉시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둔부 및 기저귀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환자복 등 의복 및 이불 등의 침구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지 않게 되는 동시에 대변의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는,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되는 착용 본체 및 상기 착용 본체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면서 항문 쪽으로 연장되는 배변용 착용대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용 착용대에는 상기 사용자의 배변 시 배출되는 대변을 받아 아래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홈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둔부 착용부와, 상기 경사홈과 대응되는 배변홀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둔부 착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변홀로 통과된 후 상기 경사홈을 따라 유도되는 대변을 받아 수용하고, 방수성을 갖는 대변 주머니와, 상기 대변 주머니 내에서의 대변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요철면을 형성한 형태로 상기 대변 주머니의 내측에 설치되는 논슬립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대응되도록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배변용 착용대로부터 반대쪽의 일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변용 착용대는 상기 논슬립 플레이트 또는 상기 대변 주머니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경사홈 방향으로 이동되는 대변의 상기 경사홈 및 배변홀을 통한 역류 방지를 위해 상기 경사홈으로부터 반대쪽의 일면에 대변 유도용 슬릿이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복수의 슬릿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변 주머니는 상기 둔부 착용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둔부 착용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밀봉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배변용 장치를 둔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배변 시 배출된 대변이 방수형의 주머니 내에 역류가 최대한 방지되는 상태로 수용됨에 따라, 배변 후 배변용 장치를 즉시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둔부 및 기저귀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 피부가 대변과의 접촉에 따른 피부습진, 욕창 내지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는 동시에 사용자의 환자복 등 의복 및 이불 등의 침구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지 않게 되고, 또한 대변의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현상이 최대한 지연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100: 이하 “배변용 장치”라 약칭함)는 둔부 착용부(110), 대변 주머니(120) 및 논슬립 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둔부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되는 착용 본체(111) 및 이러한 착용 본체(111)로부터 사용자의 항문 쪽으로 연장되되 착용 본체(111)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배변용 착용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용 본체(111)는 사용자의 둔부와 대응되도록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배변용 착용대(112)로부터 반대쪽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부(112a)가 형성된다. 경사면부(111a)는 사용자가 착용 본체(111)를 둔부에 착용 시 착용 본체(111) 일단의 모서리 및 그 주변 영역이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용도로 형성된다.
배변용 착용대(112)에는 사용자의 배변 시 배출되는 대변을 받아 아래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홈(1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둔부 착용부(110)는 탄성을 갖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둔부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몸을 움직이는데 불편함을 느끼거나 둔부 착용부(110)가 살에 배기어 아픔을 느끼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둔부 착용부(110)가 스폰지, 라텍스 등의 쿠션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이 발휘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둔부 착용부(110)는 사용자가 몸을 움직이는데 불편함을 느끼지 않거나 덜 느끼는 동시에 살에 배기어 아픔을 느끼는 현상이 방지되거나 완화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탄성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대변 주머니(20)는 둔부 착용부(110)의 배변용 착용대(112)에 형성되는 경사홈(112a)과 대응되는 배변홀(121)을 형성한 상태로 둔부 착용부(1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대변 주머니(120)는 배변홀(121)로 통과된 후 배변용 착용대(112)의 경사홈(112a)을 따라 유도되는 대변을 받아 수용하며, 따라서 대변 주머니(120)는 방수성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대변 주머니(120)가 비닐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변 주머니(120)는 방수 기능이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소재 내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대변 주머니(120)가 둔부 착용부(110)를 감싸는 상태로 둔부 착용부(110)와 결합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밀봉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대변 주머니(120)는 배변홀(121)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대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다시 말해 둔부 착용부(110)를 내측에 완전하게 수용하지 않더라도 둔부 착용부(110)와의 결합 부위가 대변을 수용한 내부와 수밀이 유지되는 조건 내에서 둔부 착용부(110)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둔부 착용부(110)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논슬립 플레이트(130)는 대변 주머니(120) 내에서의 대변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요철면(131)을 형성한 형태로 대변 주머니(120)의 내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논슬립 플레이트(130)가 대변 주머니(12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논슬립 플레이트(130)는 대변 주머니(120)의 내부에 고정되지 않는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둔부 착용부(110)의 배변용 착용대(112)에는 논슬립 플레이트(130) 또는 대변 주머니(120)의 내면으로부터 경사홈(112a) 방향으로 이동되는 대변의 경사홈(112a) 및 배변홀(121)을 통한 역류 방지를 위해 경사홈(112a)으로부터 반대쪽의 일면에 대변 유도용 슬릿(112b)이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슬릿(12b)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복수의 슬릿(112b)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배변용 장치(100)는 탄성을 통해 쿠션감을 제공하는 둔부 착용부(110)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둔부에 해당 사용자가 비교적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상태로 착용되고, 사용자는 이와 같이 배변용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배변을 하게 되면, 배출되는 배변이 대변 주머니(120)의 배변홀(121) 및 배변용 착용대(112)의 경사홈(112a)을 통해 대변 주머니(120) 내로 수용된다.
이때, 방수성을 갖는 대변 주머니(120) 내에 대변이 수용되면서 사용자의 기저귀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는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엉덩이 피부에 대변이 묻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사용자의 배변 후 배변용 장치(100) 및 기저귀를 즉시 교체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엉덩이 피부가 대변과의 접촉에 따른 피부습진, 욕창 내지 아토피성 피부염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고, 사용자의 환자복 등 의복 및 이불 등의 침구에 대변이 묻거나 번지는 현상이 방지되며, 대변의 악취가 주변으로 퍼지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또한, 배변용 장치(100)는 대변 주머니(120) 내로 수용된 대변이 대변 주머니(120) 내의 논슬립 플레이트(130)에 의해서 유동이 억제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배변홀(121) 방향으로의 대변 이동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배변홀(121) 방향으로 이동되는 대변이 둔부 착용부(110)의 배변용 착용대(112) 하면에 형성되는 슬릿(112b)을 통해 배변용 착용대(112)의 하부로 유입되면서 배변홀(121) 방향으로의 역류 현상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변홀(121)을 통해 대변 주머니(120) 내로 유입된 대변이 배별홀(121)을 통해 역류되어 기저귀 및 사용자의 엉덩이 피부에 묻게 되는 현상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배변용 장치(100)는 기존의 기저귀를 매개로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될 수 있겠으며, 필요에 따라 기저귀 형태 등 전용의 착용부를 구비하여 이러한 전용의 착용부를 통해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배변용 장치(100)가 기존의 기저귀를 매개로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될 수 있는 예들을 도시한 것으로써, 도 4는 팬티형 기저귀(210)를 매개로 한 것을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일자형 기저귀(220)를 매개로 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변용 장치(100) 및 기존의 기저귀(200,300) 간 결합은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음을 밝혀 둔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배변용 장치 110 : 둔부 착용부
111 : 착용 본체 111a : 경사면부
112 : 배변용 착용대 112a : 경사홈
112b : 슬릿 120 : 대변 주머니
121 : 배변홀 130 : 논슬립 플레이트
131 : 요철면 200 : 팬티형 기저귀
300 : 일자형 기저귀

Claims (5)

  1. 사용자의 둔부에 착용되는 착용 본체 및 상기 착용 본체에 비해 축소된 폭을 가지면서 항문 쪽으로 연장되는 배변용 착용대를 포함하고, 상기 배변용 착용대에는 상기 사용자의 배변 시 배출되는 대변을 받아 아래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홈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둔부 착용부;
    상기 경사홈과 대응되는 배변홀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둔부 착용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변홀로 통과된 후 상기 경사홈을 따라 유도되는 대변을 받아 수용하고, 방수성을 갖는 대변 주머니;
    상기 대변 주머니 내에서의 대변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요철면을 형성한 형태로 상기 대변 주머니의 내측에 설치되는 논슬립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대응되도록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배변용 착용대로부터 반대쪽의 일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등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용 착용대는 상기 논슬립 플레이트 또는 상기 대변 주머니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경사홈 방향으로 이동되는 대변의 상기 경사홈 및 배변홀을 통한 역류 방지를 위해 상기 경사홈으로부터 반대쪽의 일면에 대변 유도용 슬릿이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복수의 슬릿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 주머니는 상기 둔부 착용부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둔부 착용부와 결합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밀봉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KR1020180008350A 2018-01-23 2018-01-23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KR10190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50A KR101900876B1 (ko) 2018-01-23 2018-01-23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350A KR101900876B1 (ko) 2018-01-23 2018-01-23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876B1 true KR101900876B1 (ko) 2018-09-20

Family

ID=6371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350A KR101900876B1 (ko) 2018-01-23 2018-01-23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29B1 (ko) * 2021-03-09 2021-07-14 강영자 배변유도 좌대가 구비된 기저귀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060B2 (ja) 2001-03-21 2006-04-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排泄物処理用着用物品
JP4697554B2 (ja) 2008-11-04 2011-06-08 清 吉村 おむ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060B2 (ja) 2001-03-21 2006-04-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排泄物処理用着用物品
JP4697554B2 (ja) 2008-11-04 2011-06-08 清 吉村 おむ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29B1 (ko) * 2021-03-09 2021-07-14 강영자 배변유도 좌대가 구비된 기저귀세트
JP2022138155A (ja) * 2021-03-09 2022-09-22 カン、ヨンジャ 排便誘導座台付きおむつセット
JP7325136B2 (ja) 2021-03-09 2023-08-14 カン、ヨンジャ 排便誘導座台付きおむつセ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508A (en) Ladies external catheter assembly
CN215459160U (zh) 生理固定装置及其与集袋组合
US20130030401A1 (en) Hygienic article
WO2021090621A1 (ja) 収集用具
KR101751290B1 (ko)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KR101900876B1 (ko) 기저귀 타입의 배변용 장치
JP3146049U (ja) 男性用尿パッド及び男性用尿パッドの取付構造
JP3143456U (ja) 使い捨ておむつ
JP5016259B2 (ja) 吸収体製品
JP3208270U (ja) 男性用尿パッド及び男性用尿パッドの取付構造
KR101580875B1 (ko) 남성용 위생팬티
JP6493905B2 (ja) 排尿用具
KR200240666Y1 (ko) 환자용 기저귀
KR200465001Y1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JP4769902B1 (ja) 尿取りパッド
JP3205471U (ja) 下着構造
JP7099694B2 (ja) 排尿用具
US20060095011A1 (en) Waste containment system
KR20220105511A (ko) 와상 환자용 팬티
KR101727098B1 (ko) 분리결합형 용변 패드 및 이를 구비한 기저귀
JP3225186U (ja) 男性用尿漏れ処理具
KR101250623B1 (ko)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JP3221470U (ja) 紙パンツ
JP3208916U (ja) 排尿、排便が可能な介護パンツ
JP3133278U (ja) 男性用紙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