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496B1 -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496B1
KR101899496B1 KR1020120017612A KR20120017612A KR101899496B1 KR 101899496 B1 KR101899496 B1 KR 101899496B1 KR 1020120017612 A KR1020120017612 A KR 1020120017612A KR 20120017612 A KR20120017612 A KR 20120017612A KR 101899496 B1 KR101899496 B1 KR 10189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able terminal
coupling portion
termin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6077A (en
Inventor
이원청
곽기환
김기원
문태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496B1/en
Priority to CN201310055554.7A priority patent/CN103258675B/en
Publication of KR2013009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4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결합부가 진행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는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관통홀에 강제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key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n engaging part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erminal from an outer side of the terminal; And at least one support piece provided on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iece is positioned in a region where the coupling portion advances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fter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side key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part inside the terminal and supported by an inner side wall of the terminal. Since 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cibly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it is easy to assemble and can contribute to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 RTI ID = 0.0 >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제공되는 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provided on a side of a portable terminal.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전송과 같은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기능이나, 인터넷, 모바일 뱅킹,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과 같은 데이터 통신 기능, 게임이나 음악, 동영상 재생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 게임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전자 수첩 기능 등 각각의 기능으로 특화된 기기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전기/전자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such as a voice call or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while carrying the portable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internet, mobile banking, multimedia file transmission, And to perform the same entertainment functions and the like. Such a portable terminal has been generally used for various functions such as a communication function, a game function, a multimedia function, and an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electric / electronic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 can enjoy it.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입력 장치로서 키패드와 마이크로 폰을 구비하며, 출력 장치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 폰을 구비한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가상의 키패드와 터치스크린 기능을 결합하여 물리적인 키패드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확대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주 화면으로의 복귀 기능을 제공하는 키, 음량 조절 키, 기능 잠금 키(hold key)와 같이 자주 사용되거나 물리적인 작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전원 키 등은 물리적인 키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키패드가 구현되므로, 이러한 물리적인 키는 대체로 단말기의 측면에 제공되고 있다. Such portable terminals include a keypad and a microphone as input devices, and a display device and a speaker phone as output devices. In recent years, a touch screen function is mounted on a display device, and a multimedi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is strengthened. Accordingly, the virtual keypad realiz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is combined with the touch screen function to replace the physical keypad, thereby enlarging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and achieving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owever, a power key, such as a key for providing a return to the main screen, a volume control key, a function key, or the like, which is frequently required or required to be physically operated, is maintained in the form of a physical key . In addition, since the keypad is implemented through the touch screen display device, such a physical key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의 측면 키(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측면 키(100)의 구조를 좀더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1)는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key 100 of a portable terminal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It is noted that the terminal 11 is only partially shown in order to more clearly show the structure of the side key 100. [

상기 측면 키(100)는 키캡(key cap)(101)과, 상기 키캡(10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작동 돌기(115)를 구비한다. 상기 키캡(101)은 몸체(111)의 하단, 외주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지지 리브(113)를 구비하는데, 상기 키캡(101)의 내측면 중 일부는 상기 지지 리브(113)의 내측면이 된다. 즉, 상기 키캡(101)의 내측면 중 가장자리는 상기 지지 리브(113)의 내측면인 것이다. 상기 몸체(111)와 지지 리브(113)는 일체형으로 금속 재질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ide key 100 includes a key cap 101 and an operation protrusion 115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key cap 101. [ The keycap 101 has a support rib 113 formed around the lower end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1.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keycap 101 is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rib 113 . That is, the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keycap 101 is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rib 113. The body 111 and the support rib 113 are gener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측면 키(100)는 상기 단말기(11)의 내부(13)로부터 상기 단말기(11)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 키(100)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지지 리브(113)가 상기 단말기(11)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 키(100)가 상기 단말기(11)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단말기(11)의 내부(13)에는 상기 측면 키(100)에 인접하게 스위치 부재, 예를 들면, 돔 스위치(dome switch)나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배치된다. 상기 단말기(11)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측면 키(100)의 상단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상기 작동 돌기(115)는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키게 된다. The side key 100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terminal 11 from the inside 13 of the terminal 11 to expose an upper end of the side key 100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support ribs 113 ar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terminal 11 to prevent the side key 100 from being deviat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11. Although not shown, a switch member such as a dome switch or a tact swit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key 100 on the inside 13 of the terminal 11. When the upper end of the side key 1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11 is operated by the user, the operation protrusion 115 operates the switch member.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면 키는 단말기의 내부로부터 관통홀에 조립하는 구조로서,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가 측면 키를 다룰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만 한다. 따라서 측면 키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있다. 휴대성을 고려할 때, 소형, 경량화, 슬림화가 반드시 요구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에서, 측면 키 조립만을 위한 공간을 단말기의 내부에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소형, 경량화, 슬림화된 단말기에서 내부 공간의 활용 효율을 저하시키고, 나아가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 슬림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The above conventional side key has a structure to assemble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inside of the terminal,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the operator to handle the side keys in the assembling process. Therefore, there is a restriction in utiliz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terminal at the position where the side keys are disposed.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 space for only side key assembly must be secured inside a terminal in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necessarily required to be small, lightweight, and slim. This reduces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internal space in a small-sized, light-weighted, and slimened terminal, and further obstructs miniaturization, weight saving, and slim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측면 키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de key that can contribute to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ide key of a portable terminal that is easy to assemble.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 키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ide key that can contribute to the miniaturization, weight reduction, and slimming of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oupling part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erminal from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And

상기 결합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을 포함하고,And at least one support piece provided to the coupling portion,

상기 지지편은, The support piece

-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결합부가 진행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고, -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를 개시한다.And a side key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being dispos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after th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상기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일단에 형성되는 후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타단에 제공될 수 있다.The side key may further include a hook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upport piece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이때, 상기 지지편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결합부가 진행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변형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piece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de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region where the coupling portion progresse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아울러, 상기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작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 돌기들은 각각 상기 후크와 지지편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side key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operating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operating protrusion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hook and the supporting piece.

또한, 상기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 및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타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 돌기는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결속 홈은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걸림턱을 수용할 수 있다.The side key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one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engaging jaw formed can be accommodated.

다른 한편으로, 상기 지지편은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양단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ieces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respectively.

이때, 상기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은 각각 그의 일단이 상기 회동 돌기 중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de key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ivot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one end of each of the pivoting pivot may be pivotally coupled to one of the pivoting protrusions.

또한, 상기 지지편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대면하게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회동 돌기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piece is positioned to face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fter th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is dispos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and is supported on an inner wall of the terminal.

더욱이, 상기 회동 돌기는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편을 관통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ivoting protrus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penetrate the support piece.

아울러, 상기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작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 돌기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 양단에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작동 돌기들은 각각 상기 회동 돌기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side key further comprises a pair of operating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the rotating protrusions being form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Are preferably dispos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pivoting projections.

또한, 상기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 및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타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 돌기는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결속 홈은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걸림턱을 수용할 수 있다.The side key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at one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engaging jaw formed can be accommodated.

또한, 상기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키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키캡의 일부분이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side key may further include a key cap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keycap may be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while the coupling portion is received in the through hole.

이때, 상기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키캡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맞물리는 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de key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groove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keycap and engaged with the protrusion.

상기와 같은 측면 키의 구조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은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판과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ide key structure,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upport plate formed inside the terminal.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는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관통홀에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함과 아울러, 조립 과정에서 측면 키를 다루기 위해 단말기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측면 키와 인접하는 단말기의 내부 공간에서도 자이로 센서와 같은 부품을 탑재하거나, 단말기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구조물 등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키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내부에 확보된 공간에 별도의 부품이나 구조물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공간만큼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it is easy to assemble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eparate space inside the terminal in order to handle the side key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unt a component such as a gyro sensor in the inner space of the terminal adjacent to the side key, or to construct a structure that can reinforc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terminal. This can contribute to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side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wnsize the portable terminal by such a space unless a separate part or structure is formed in a space secured inside th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키가 휴대용 단말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면 키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측면 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측면 키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측면 키가 단말기에 조립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면 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측면 키의 주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측면 키를 나타내는 저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ke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ke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portable terminal;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cision of a part of the side key shown in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key shown in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de key shown in FIG. 4 in a different direc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the side key shown i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key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the side key shown in Fig. 7,
Figure 9 is a bottom view of the side key shown in Figure 7;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1)의 측면 키(200)는 결합부(213)와 상기 결합부(213)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215b)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213)는 상기 단말기(2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말기(21)에 형성된 관통홀(29)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홀(29)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편(215b)은 상기 결합부(213)가 진행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관통홀(29)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단말기(21)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213)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 키(200)는 상기 지지편(215b)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관통홀(29)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2 to 5, the side key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2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13 and at least one support Piece 215b. 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21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9 formed in the terminal 21 from the outer side of the terminal 21, and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9, the support portion 215b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9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3 of the terminal 21 after the insertion of the coupling part 213 into the through hole 29, Direction and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erminal 2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side key 200 can be held in the through hole 29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piece 215b.

상기 결합부(213)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일 방향(이하에서는, '길이 방향'이라 함)으로 연장되면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지게 된다. 상기 결합부(213)가 연장된 길이에 따라 상기 측면 키(200)는 하나의 스위치 부재만을 조작하거나, 2개의 스위치 부재를 조작할 수 있는 2방향 키로 활용된다. 대체로, 전원 키나 촬영용 셔터 키 등은 하나의 스위치 부재만을 조작하며, 음량 조절이나 메뉴 이동 등에 이용되는 키는 독립된 2개의 스위치 부재를 조작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 부재로는 돔 스위치나 택트 스위치가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213)는 상기 측면 키(200)로 하여금 2개의 스위치 부재를 조작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13)에는 한 쌍의 작동 돌기(21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작동 돌기(217)는 그에 상응하는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키게 된다. The coupling part 21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 or urethane and has a certain width and height while being extended in one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key 200 is used as a two-way key for operating only one switch member or for operating two switch members according to the extended length of the coupling portion 213. Generally, a power key or a photographing shutter key or the like operates only one switch member, and a key used for volume control, menu movement, or the like operates two independent switch members. As such a switch member, a dome switch or a tact switch can be utilized.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213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allows the side key 200 to operate two switch members, and the coupling portion 213 is provided with a pair of operating projections 217 And each actuating projection 217 actuates a corresponding switch member.

상기 지지편(215b)은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부(213)의 길이 방향에서 일단에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편(215b)은 상기 결합부(213)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결합부(213) 일단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213)의 외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지지편(215b)이 탄성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가 임의로 상기 지지편(215b)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상기 지지편(215b)은 초기의 형상, 즉, 상기 결합부(213)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213)의 외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으로 복원된다. 상기 지지편(215b)은 상기 단말기(21)의 내부에서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 키(200)가 상기 단말기(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215b)이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지지되므로, 상기 지지편(215b)이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단에 위치됨은 자명하다. The support piece 215b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urethane, and is provi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213. [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iece 215b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engagement portion 213 to the outer side of the engagement portion 2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213. [ The supporting piece 215b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operator can arbitrarily deform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iece 215b. If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supporting piece 215b is in an initial shape, that is, And is exten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piece 215b is support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terminal 21 inside the terminal 21 to prevent the side key 20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terminal 21. [ It is obvious that the support piece 215b is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coupling part 213 because the support piece 215b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erminal 21. [

한편, 상기 측면 키(200)는 추가의 후크(215a), 결속 돌기(215c), 결속 홈(215d) 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21)에 결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de key 200 may be held in the terminal 21 by having an additional hook 215a, a coupling protrusion 215c, a coupling groove 215d, and the like.

상기 후크(215a)는 상기 결합부(213)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결합부(213)의 타단에 형성된다. 상기 후크(215a)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부(213)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단말기(2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후크(215a)는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편(215b)과 함께 상기 측면 키(200)가 상기 단말기(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결속 돌기(215c)는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단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213)의 길이 방향에서 일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단말기(2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 돌기(215c) 또한 상기 후크(215a)와 유사하게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상기 결속 홈(215d)은 상기 결합부(213)의 길이 방향에서 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결속 돌기(215c)와 대향하게 위치된다.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단말기(2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결속 홈(215d)은 상기 단말기(21)에 형성되는 걸림턱(33; 도 3에 도시됨)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33)은 실질적으로 상기 결속 홈(215d)의 내벽과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213), 궁극적으로는 상기 측면 키(200)가 상기 단말기(2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hook 215a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2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3. [ The hook 215a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urethane and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 The hook 215a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erminal 21 so that the side key 200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piece 215b can be moved So that it is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terminal 21. The coupling protrusion 215c is located at an inn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213 and is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3. [ The coupling protrusion 215c is also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erminal 21 similarly to the hook 215a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213 is coupled to the terminal 21. [ The coupling groove 215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3 and is located opposite to the coupling protrusion 215c. The binding groove 215d receives the latching jaw 33 (shown in FIG. 3) formed in the terminal 21,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213 is coupled to the terminal 21. The locking jaw 33 is positioned substantially opposite to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groove 215d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213 and ultimately the side key 200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terminal 21 do.

상기 결합부(213)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편(215b), 후크(215a), 결속 돌기(215c)는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사출 성형 등의 공정을 통해 상기 결합부(213)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213)를 상기 관통홀(29)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215a)와 결속 돌기(215c)는 상기 관통홀(29)에 형성된 단차면(31; 도 3에 도시됨)에 간섭되어 일시적으로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면(31)을 지나 상기 단말기(21)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한 후에는 초기의 형상, 즉, 도 4 등에 도시된 형상으로 복원된다. Like the coupling portion 213, the supporting piece 215b, the hook 215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5c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ortion 213 through a process such as injection molding. do. The hook 215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5c are engaged with the stepped surface 31 (shown in FIG. 3) formed in the through hole 29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upling portion 213 into the through hole 29, And after it has completely entered the terminal 21 through the stepped surface 31, it is restored to the initial shape, that is, the shape shown in FIG. 4 and the like.

상기 작동 돌기(217)들은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에서 양단에 각각 인접하게, 다시 말해서, 상기 후크(215a)와 지지편(215b)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단말기(21)의 내부에는 지지판(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단말기(21)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은 상기 지지판(25)과 대면하게 위치된다. 상기 지지판(25)에는 스위치 부재, 구체적으로, 돔 스위치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돌기(217)들은 각각 상기 지지판(25)에 배치되는 스위치 부재들과 대면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측면 키(200)를 조작하였을 때 상기 지지판(25)에 배치되는 스위치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지지판(25)은 스위치 부재를 설치하는 지지 구조로서 활용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21)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를 보완하기도 한다. The operating protrusions 217 ar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13, that is, adjacent to one of the hook 215a and the supporting piece 215b.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25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213 is coupled to the terminal 21, Lt; / RTI > Switching members, specifically dome switches,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25, and the operation protrusions 217 are positioned facing the switch members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25,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side key 200, at least one of the switch members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25 is operated. The support plate 25 is utilized as a support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switch member, and at the same time, complements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housing of the terminal 2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 키(200)를 조립 과정에서, 상기 지지편(215b)은 상기 측면 키(200),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13)가 진행하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변형된다. 상기 결합부(213), 특히, 상기 지지편(215b)이 상기 단말기(21)의 내부로 진입한 후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편(215b)이 초기의 형상과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후크(215a)와 결속 돌기(215c)는 상기 단차면(31)에 간섭되어 일시적으로 압축되지만, 상기 단말기(21)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한 후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ide key 200, the support piece 215b is de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area where the side key 200, 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213 advances. After the engaging portion 213, particularly the supporting piece 215b, enters the terminal 21,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ing piece 215b is restored to its initial shape and position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erminal (21). Although the hook 215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5c are interrupted by the stepped surface 31 and temporarily compressed, the hook 215a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5c completely return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21, As shown in Fig.

상기 측면 키(2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면 키(200)를 다루기 위해 상기 단말기(21)의 내부에 할당된 공간은 실질적으로 상기 측면 키(200)가 설치되는 공간, 즉, 상기 관통홀(29)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판(25)이 형성된 부분까지이다. 상기 지지편(215b)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키(200)를 상기 단말기(2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편(215b)이 상기 단말기(21)의 내부 구조물, 예를 들면, 상기 지지판(25)과 간섭되더라도 상기 측면 키(20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5)의 내측 공간을 활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측면 키(200)를 상기 단말기(21)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다른 여타의 부품, 예를 들면, 상기 지지판(25)의 내측 공간은 자이로 센서 등을 배치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The space allocated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21 for handling the side key 200 is substantially the space in which the side key 200 is installed, From the inside of the hole (29) to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 plate (25)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pport piece 215b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can be deformed relatively smoothly. Therefore, even if the support piece 215b interferes with the inner structure of the terminal 21,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25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side key 200 to the terminal 21, (200) can be easily assembled.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side key 200 to the terminal 21 without utilizing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 plate 25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other support part 25, As shown in FIG.

상기 측면 키(200)는 상기 결합부(213)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키캡(2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키캡(211)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21)의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결합부(213)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상기 단말기(21)의 하우징과 색상 등, 외관의 조화를 이루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키캡(211)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측면 키(200)의 외관과 상기 단말기(21)의 외관의 조화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키(200)가 상기 단말기(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키캡(211)의 일부분이 상기 단말기(21)의 외관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측면 키(200)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The side key 200 may further include a key cap 21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The keycap 211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housing of the terminal 21. When the coupling portion 21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has a limitation in achieving a harmonization of appearance with the housing of the terminal 21 generally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Therefore, by providing the keycap 211,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ide key 200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terminal 21 can be harmonized. A part of the keycap 211 is exposed to the exterior of the terminal 21 in a state where the side key 200 is coupled to the terminal 21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side key 200. [

상기 키캡(211)은 사출 성형이나 다이캐스팅과 같은 공정으로 제작되며, 접착 방식으로 상기 결합부(213)와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부(213) 또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면, 완성된 상기 키캡(211)을 상기 결합부(213) 성형을 위한 금형이 배치한 후 상기 결합부(213)를 성형하는 이중 사출 방법으로 상기 결합부(213) 성형과 동시에 상기 키캡(211)을 결합부(213)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키캡(211)의 내측면에 홈부(recessed portion)(221; 도 3에 도시됨)를 형성한다면, 상기 결합부(213) 성형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213) 외측면에는 돌출부(219; 도 3에 도시됨)가 형성되어 상기 홈부(221)와 맞물리게 된다. 이로써, 상기 결합부(213)는 더욱 견고하게 상기 키캡(211)과 결합할 수 있다.
The keycap 211 is manufactured by a process such as injection molding or die casting, and can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213 by an adhesive method. However, if the coupling portion 213 is also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mold for molding the coupling portion 213 is disposed on the completed keycap 211, and then the coupling portion 213 is formed. The keycap 211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13 at the same time as the coupling portion 213 is formed. When a recessed portion 221 (shown in FIG. 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keycap 211, a protrus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219 (see FIG. 3) are formed and engaged with the groove 221. Thus, the engaging portion 213 can be more firmly engaged with the keycap 211. [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1)의 측면 키(300)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는 지지편을 결합부의 양단에 각각 제공하면서 별도의 결속 구조를 통해 결합부에 조립하는 점에서 선행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선행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됨에 유의한다. 7 to 9 show a side key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21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supporting piece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re assembled to the coupling portion through separate coupling structures. Therefore, it is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preceding embodiment are given to the components that are the same as or easily understood from the preceding embodiment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실시 예에 따른 측면 키(300)의 지지편(315)은 결합부(213)의 길이 방향에서 양단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지지편(315)들을 각각 상기 결합부(213)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213)에는 한 쌍의 회동 돌기(317)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 돌기(317)들은 상기 결합부(213)의 양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지지편(315)들 중 하나의 일단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작동 돌기(217)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측면 키(200) 또한 2방향 키로 활용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 돌기(217)들은 각각 상기 회동 돌기(317)들 중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The support pieces 315 of the side key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213, respectively. In order to engage the support pieces 315 with the engagement portions 213, a pair of rotation protrusions 317 is formed on the engagement portion 213. The pivoting protrusions 317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at a position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213 and penetrate one end of one of the supporting pieces 315. A pair of operating protrusions 217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13. That is, the side key 200 is also used as a two-way key. The operation protrusions 217 are disposed adjacent to one of the rotation protrusions 317, respectively.

상기 회동 돌기(317) 또는 상기 지지편(3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회동 돌기(317)들의 단부에는 각각 결속 헤드(319)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돌기(317)와 결속 헤드(319)는 각각 탄성체 재질로, 상기 지지편(315)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At least one of the rotation protrusions 317 and 315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binding heads 319 are formed on ends of the rotation protrusions 317. Preferably, the pivoting protrusion 317 and the binding head 319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supporting piece 315 is made of synthetic resin.

상기 결속 헤드(319)는 상기 지지편(315)의 일단에서 상기 지지편(315)의 일면으로부터 타면으로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 헤드(319)가 상기 지지편(315)의 타면에서 상기 회동 돌기(317)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지지편(315)이 상기 회동 돌기(317)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회동 돌기(317)와 결속 헤드(319)를 탄성체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즉, 탄성체 재질로 제작된 상기 결속 헤드(319)가 상기 지지편(315)을 관통하는 동안에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관통한 후에는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지지편(315)을 상기 회동 돌기(317)에 구속한다. The binding head 319 penetrates from one end of the supporting piece 315 to the other side from one end of the supporting piece 315. At this time, since the binding head 319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pivoting protrusion 317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iece 315, the supporting piece 315 is prevented from separating from the pivoting projection 317 . This is possible by making the rotating protrusion 317 and the binding head 319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the binding head 319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intains a compressed state while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piece 315,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binding piece 315 is restored to an initial shape, Thereby restricting it to the projection 317.

상기 결합부(2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편(315)은 상기 결합부(213)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3)를 상기 단말기(21)의 관통홀(29)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편(315)은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과 대면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13)를 상기 단말기(2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편(315)은 상기 단말기(21)의 어떠한 부분에도 간섭되지 않는다. The support piece 315 can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R exten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213. In this state, The supporting piece 315 is position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213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upling part 213 into the through hole 29 of the terminal 21. [ Therefore, the supporting piece 315 does not interfere with any part of the terminal 21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upling part 213 into the terminal 21.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관통홀(29)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지지편(315)이 상기 회동 돌기(317)를 중심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단말기(21)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213)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이는 상기 지지편(315)이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과 대면한 위치에서, 상기 회동 돌기(317)가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로 꼬여 있게 하고, 상기 지지편(315)이 상기 단말기(21)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한 후에 상기 회동 돌기(317)의 탄성력으로 상기 지지편(315)을 회동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다만, 작업자가 상기 지지편(315)을 상기 단말기(21) 내측벽의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After the engaging portion 21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9, the supporting piece 315 rotates about the rotation protrusion 317, more specifically about the rotation axis R, And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erminal 21 by being dispos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213 inside the terminal 21. This is because the pivoting protrusion 317 is twisted in a state where the pivoting protrusion 317 accumulates the elastic force at a position where the pivoting piece 315 face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213, 21 by rotating the support piece 315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rotation protrusion 317. [ However, the operator may further perform a process of fixing the support piece 315 to a specific position of a sidewall of the terminal 21.

상기와 같이 회동 돌기(317)를 이용하여 지지편(315)을 결합하는 구조는 선행 실시 예의 지지편(215b)을 결합하는 구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 예에 형성된 지지편(315) 또한 선행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결합부(21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지지편들(215b, 315)을 결합부(213)와 결합하는 구조에 따라 상기 지지편들(215b, 315)의 재질이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ructure of coupling the support pieces 315 using the rotation protrusions 317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utilized in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support pieces 215b of the previous embodiment. Similarly, the support piece 315 formed in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ortion 213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support pieces 215b and 315 should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oupling the support pieces 215b and 315 with the coupling part 213. [

한편, 상기한 측면 키(200, 300)들은 상기 결합부(213)가 일정한 위치에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키캡(211)과 상기 관통홀(29)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키캡(211)은 상기 결합부(213)보다 더 큰 폭 또는 길이로 제작하고, 상기 관통홀(29)의 내측단에서는 단차면(3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213)만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면, 상기 키캡(211)이 상기 관통홀(29)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높이가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키캡(211)은 상기 관통홀(29)에 형성되는 단차면(31)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결합부(213)의 일부분은 상기 관통홀(29)에 형성되는 단차면(31)을 지나 단말기(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de keys 200 and 300 may utilize the key cap 211 and the through-hole 29 as a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engagement portion 213 from being inse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the keycap 211 is formed to have a width or l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coupling portion 213, and a stepped surface 31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through hole 29 to pass through only the coupling portion 213 The height at which the keycap 211 can be received into the through-hole 29 is limited. The keycap 211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stepped surface 31 formed in the through hole 29 and a part of the engaging portion 213 is formed on the stepped surface 31 formed in the through hole 29,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21.

상기 단차면(31)과 키캡(211)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부(213)의 위치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측면 키(200, 300)들이 조작되기 전에는 상기 키캡(211)의 내측면이 상기 단차면(31)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야 함에 유의한다. 이러한 간격은 사용자가 상기 측면 키(200, 300)를 조작했을 때, 상기 측면 키(200, 300)가 상기 단말기(21)의 내측으로 진행하면서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상기 측면 키(200, 300)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위치 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키캡(211)이 상기 단차면(3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여 유지된다. Whe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13 is set using the stepped surface 31 and the keycap 211 before the side keys 200 and 300 are opera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must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surface 31 at regular intervals. Such an interval allows the side keys 200 and 300 to operate the switch member while moving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21 when the user operates the side keys 200 and 300.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side keys 200 and 300, the keycap 211 is moved and hel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tepped surface 31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switch member.

한편, 상기 키캡(211)이 상기 관통홀(29)에 형성된 단차면(31)과 접촉하여 소음 등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면, 상기 결합부(213)로 하여금 상기 키캡(211)의 내측면을 완전히 감싸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탄성체 재질의 상기 결합부(213)가 키캡(211)과 상기 관통홀(29) 내의 단차면(31)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order to prevent the keycap 211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tepped surface 31 formed in the through hole 29 to generate noise or the like, Can be formed. That is, the engaging portion 213 of the elastic material can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keycap 211 and the stepped surface 31 in the through hole 29.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200: 측면 키 211: 키캡
213: 결합부 215a: 후크
215b; 지지편 217: 작동 돌기
200: side key 211: keycap
213: engaging portion 215a: hook
215b; Support piece 217: Operation projection

Claims (14)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 돌기; 및
일단이 상기 회동 돌기 중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편은,
-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결합부가 진행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고,
-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A side key of a portable terminal,
A coupling uni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out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least one turning projec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nd at least one supporting piece,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one of the pivoting projections and provided to the coupling portion,
The support piece
-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dispos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일단에 형성되는 후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타단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ok form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support piece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작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 돌기들은 각각 상기 후크와 지지편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operating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actuating protrusions are disposed adjacent to one of the hook and the support, respectively.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 및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타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 돌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결속 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걸림턱을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coupling groove receives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양단에 각각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The side ke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ieces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대면하게 위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회동 돌기를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부의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positioned to 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fter th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engaging portion is pivotally moved about the pivoting protrusion so as to be disposed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terminal Side ke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돌기는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편을 관통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The side ke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protrus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protrudes from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penetrate the support pie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작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 돌기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 양단에 인접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 돌기들은 각각 상기 회동 돌기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operating protrus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Wherein the pivoting protrusions are form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actuating protrusions are dispos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pivoting protrusion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 돌기; 및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타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 돌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결속 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걸림턱을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coupling groove receives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키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키캡의 일부분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외측면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key cap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a portion of the key cap is expo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is received in the through hol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키캡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맞물리는 홈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13.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And a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keycap and engaged with the protrus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판과 대면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The side ke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to face a support plate forme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KR1020120017612A 2012-02-21 2012-02-21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KR1018994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612A KR101899496B1 (en) 2012-02-21 2012-02-21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CN201310055554.7A CN103258675B (en) 2012-02-21 2013-02-21 For the side switch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612A KR101899496B1 (en) 2012-02-21 2012-02-21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077A KR20130096077A (en) 2013-08-29
KR101899496B1 true KR101899496B1 (en) 2018-09-21

Family

ID=48962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612A KR101899496B1 (en) 2012-02-21 2012-02-21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9496B1 (en)
CN (1) CN103258675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287B1 (en) * 2019-05-23 2019-10-10 (주)에이치케이티 Side button for port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3229B2 (en) * 2015-08-25 2017-05-16 Wistro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N106252129B (en) * 2016-08-18 2018-08-3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Smart machine and its press-key structure
CN106710922B (en) * 2016-12-20 2019-10-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A kind of press-key structur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343311A (en) * 2020-03-12 2020-06-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Shell assembly of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936944B (en) * 2021-09-28 2022-08-26 荣耀终端有限公司 Electronic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834A (en) * 2006-07-12 2008-01-31 Denso Corp Vehicular operation switch and its control method
US20100039299A1 (en) * 2008-08-15 2010-02-18 Fih (Hong Kong) Limited Ke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107015B1 (en) * 2010-09-02 2012-01-25 (주)블루버드 소프트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59327U (en) * 2003-03-21 2003-10-21 Hon Hai Prec Ind Co Ltd Side key assembly
JP4518878B2 (en) * 2004-08-27 2010-08-04 京セラ株式会社 Key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key structure
KR20060104632A (en) * 2005-03-31 2006-10-09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oubleness injection object and manufacturing method doubleness injection object
CN201084599Y (en) * 2007-10-07 2008-07-09 赵现隆 A keypad device of composite pushbutton
CN101309313B (en) * 2008-07-16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obile phone side key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CN101740245A (en) * 2008-11-25 2010-06-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Side key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CN101859659B (en) * 2009-04-13 2012-12-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Side key and electronic device applying same
KR20110035672A (en) * 2009-09-30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N201750468U (en) * 2010-08-06 2011-02-16 深圳市和信通讯技术有限公司 Mobile phone with side key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834A (en) * 2006-07-12 2008-01-31 Denso Corp Vehicular operation switch and its control method
US20100039299A1 (en) * 2008-08-15 2010-02-18 Fih (Hong Kong) Limited Ke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107015B1 (en) * 2010-09-02 2012-01-25 (주)블루버드 소프트 Mobi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287B1 (en) * 2019-05-23 2019-10-10 (주)에이치케이티 Side button for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077A (en) 2013-08-29
CN103258675A (en) 2013-08-21
CN103258675B (en)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496B1 (en)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US20130213781A1 (en)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US8331107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834633B1 (en) Keypad coupl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
US8772652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CN103427224B (en) Mobile terminal
TWI540875B (en) Mobile terminal
CN110517918B (en) Electronic device
US8008592B2 (en) Side ke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096349A (en)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CN111031728B (en) Electronic device, assembling method and disassembling method
US20140008191A1 (en) Portable terminal with side key
KR100724919B1 (en) Portable terminal
KR20050056672A (en) A side butt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30114233A1 (en)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201910B1 (en) Mobile terminal
JP2008085171A (en)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05217298A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6041140A (en) Remote controller
TWI476566B (en)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47860B1 (en) directional key Assembly having encoder switch and contact switch
JP2009193667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698448B1 (en) Structure for action to button of an hand phone
JP492091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221900B1 (en) Key assembl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