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415B1 -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7415B1 KR101897415B1 KR1020170116601A KR20170116601A KR101897415B1 KR 101897415 B1 KR101897415 B1 KR 101897415B1 KR 1020170116601 A KR1020170116601 A KR 1020170116601A KR 20170116601 A KR20170116601 A KR 20170116601A KR 101897415 B1 KR101897415 B1 KR 1018974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ped steel
- steel
- casing
- guide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철골 가이드의 상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H형강을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IP벽체 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철골 가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라운드프레임의 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라운드프레임의 상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상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1 H형강을 삽입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IP벽체 형성장치를 이용하는 케이싱 가이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b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CIP벽체 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CIP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H형강의 상부면, 측면, 보강부재 및 상기 제1 H형강을 이용한 CIP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H형강의 상부면, 측면, 보강부재 및 상기 제1 H형강을 이용한 CIP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H형강의 상부면, 측면, 보강부재 및 상기 제1 H형강을 이용한 CIP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IP벽체 형성장치로 제조된 CIP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 CIP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4는 연속하는 CIP벽체를 철근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보 및 슬래브와 함께 지하벽체를 형성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H형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의 제1 H형강과 제2 H형강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H형강을 구비한 CIP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에 따른 CIP벽체를 연결하여 지하벽체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IP공법을 이용한 지하외벽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는 도 29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한 지하외벽의 상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10, 210 : 케이싱
120, 220 : 철골 가이드
130, 230 : 제1 H형강
330 : 제2 H형강
Claims (18)
- CIP공법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을 구축하기 위한 CIP벽체 형성장치로,
내부에 횡단면이 원형인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부면과 체결되는 철골 가이드; 및
상기 철골 가이드의 내측에 삽입되는 기둥형태의 제1 H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철골 가이드는 내부에 상기 제1 H형강이 삽입되도록 횡단면이 사각형인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면에서 상기 내부프레임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라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라운드프레임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측과 체결되도록 체결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철골 가이드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철골 가이드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원통형의 케이싱의 내면에 대응하도록 라운드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철골 가이드의 내부에는 육면체의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 H형강은 상기 철골 가이드의 상기 육면체의 공간 내에 삽입되어 위치가 정렬되며,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라운드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공의 내주연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너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상부 외면과 상기 체결플랜지 사이에는 상기 케이싱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철골 가이드는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되되 상기 케이싱의 상단은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상부 외면과 체결플랜지 사이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철골 가이드는 상기 내부프레임, 라운드프레임 및 체결플랜지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라운드프레임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플랜지는 서로 대면하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한쌍의 체결플랜지에서 각각의 플랜지부는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외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H형강은,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제1 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브리지; 및
상기 제1 연결브리지에서 이격되어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의 양말단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 연결브리지를 중심에 두고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를 연결하되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정렬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판상형의 보강철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연결브리지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면과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라운드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철골 가이드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프레임 및 라운드프레임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 각각은 상기 내부프레임 및 라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는 제1 개구부 사이에 상기 제2 개구부가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 및 라운드프레임의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정렬되어 구비되며,
상기 CIP벽체 형성장치는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에 용접되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 H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H형강은,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의 내면 중심부에서 수직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브리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철골 가이드를 삽입하고,
상기 철골 가이드의 체결플랜지를 이용하여 별도의 체결부재와 체결시켜 상기 철골 가이드를 케이싱 내에 고정시킨 후,
상기 철골 가이드 내에 상기 제1 H형강을 삽입하여 정렬시킨 후 상기 철골 가이드를 인발하고 상기 케이싱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가이드를 제거하고,
상기 제2 H형강은 상기 CIP벽체를 형성한 후 상기 CIP벽체의 측면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의 일부인 제1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 후, 노츨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H형강은 하나의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해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도록 정렬되는 제1 H형강에 구비되는 각각의 제2 H형강은 서로 대면하도록 정렬되며, 상기 제2 H형강에 구비되는 스터드볼트는 상기 스터드볼트를 이용하여 철근을 배근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면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이웃하는 제2 H형강에 구비되는 스터드볼트가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H형강은 상기 제1 H형강의 제1 플레이트에 용접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H형강의 상기 스터드볼트는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 외면에서 각각 용접되어 구비되며, 상기 스터드볼트는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으로 서로 연결되어 시공되어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제1 H형강을 서로 연결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지하벽체 구축용 CIP벽체 형성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형강의 제1 플레이트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제2 H형강과 연결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볼트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상기 볼트홀이 구비되는 부분의 내면에 보조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볼트홀이 구비되는 부분의 제1 플레이트의 외면에 구비되는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상기 제1 H형강을 노출시킨 후, 노출된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과 상기 제2 H형강을 연결시키되 사이에 보강플레이트를 개재하여 볼트로 연결시키는 CIP벽체 형성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 가이드는,
상기 내부가 관통형성된 사각형의 육면체로 형성된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면에서 상기 내부프레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내부가 관통형성된 원통형의 라운드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면과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내면을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라운드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부에는 체결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플랜지는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와 전체적으로 접촉하는 도넛형태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부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이격되어 대면하게 구비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체결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으로 이루어지는 CIP벽체 형성장치. - CIP공법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을 구축하는 제1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CIP벽체 형성장치를 이용한 지하외벽 시공방법으로,
내측면이 라운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쌍의 가이드본체를 구비시키는 단계;
상기 한쌍의 가이드본체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케이싱 내에 철골 가이드를 삽입하고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철골 가이드 내에 제1 H형강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1 H형강을 삽입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철골 가이드를 인발한 후 상기 케이싱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를 제거하여 CIP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CIP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에 스터드볼트를 구비한 제2 H형강을 용접시켜 상기 제1 H형강과 연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H형강을 구비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H형강에 철근을 형성하고 배열하여, 상기 CIP벽체와 함께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상기 제2 H형강의 스터드볼트와 벽체가 연결되어 지하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H형강을 구비시키는 단계는,
상기 CIP벽체의 측면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노출된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에 제2 H형강을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하여 연결시키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본체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케이싱은 이웃하는 케이싱이 서로 이격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철골 가이드 내에 제1 H형강을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H형강은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제1 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의 중심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브리지 및 상기 제1 연결브리지에서 이격되어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의 양말단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제1 연결브리지를 중심에 두고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를 연결하되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정렬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판상형의 보강철판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정렬되어 배치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한쌍의 제1 플레이트를 연결하되 상기 제1 연결브리지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용접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철골 가이드는 상기 내부프레임, 라운드프레임 및 체결플랜지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라운드프레임은 서로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플랜지는 서로 대면하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한쌍의 체결플랜지에서 각각의 플랜지부는 판상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외측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면과 상기 라운드프레임의 내면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라운드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철골 가이드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프레임 및 라운드프레임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 각각은 상기 내부프레임 및 라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는 제1 개구부 사이에 상기 제2 개구부가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 및 라운드프레임의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정렬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 H형강은 한쌍의 제1 플레이트가 제1 길이로 구비되는 제1 H형강과, 한쌍의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구비되는 서브 H형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H형강은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고, 상기 서브 H형강은 서로 이웃하는 제1 H형강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H형강은,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제2 플레이트,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의 내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브리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H형강의 상기 제2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보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거나 혹은 상기 보강부재보다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H형강은 상기 CIP벽체를 형성한 후 상기 CIP벽체의 측면 콘크리트를 파쇄하여 상기 제1 H형강의 측면의 일부인 제1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 후, 노츨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H형강은 하나의 제1 플레이트의 일면에 대해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비되고,
서로 이웃하도록 정렬되는 제1 H형강에 구비되는 각각의 제2 H형강은 서로 대면하도록 정렬되며, 상기 제2 H형강에 구비되는 스터드볼트는 상기 스터드볼트를 이용하여 철근을 배근하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면에 각각 구비되되 서로 이웃하는 제2 H형강에 구비되는 스터드볼트가 각각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H형강은 상기 제1 H형강의 제1 플레이트에 용접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2 H형강의 상기 스터드볼트는 상기 한쌍의 제2 플레이트 외면에서 각각 용접되어 구비되며, 상기 스터드볼트는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으로 서로 연결되어 시공되어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제1 H형강을 서로 연결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지하벽체을 구비하기 위한 CIP공법을 이용한 지하외벽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H형강은 상기 제2 H형강이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볼트홀과, 상기 볼트홀이 구비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이 제거된 후 상기 제1 H형강에서 보조부재를 제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H형 강 사이에 보조플레이트를 개재하면서 상기 볼트홀에 볼트로 관통시켜 상기 제2 H형강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CIP공법을 이용한 지하외벽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601A KR101897415B1 (ko) | 2017-09-12 | 2017-09-12 |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US15/815,704 US10000903B1 (en) | 2017-09-12 | 2017-11-17 | Casing assembly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s using the casing assembly |
CN201810006234.5A CN109487794A (zh) | 2017-09-12 | 2018-01-04 | 形成cip护墙的套管组件和利用套管组件形成cip护墙的方法 |
PCT/KR2018/010512 WO2019054703A1 (ko) | 2017-09-12 | 2018-09-07 |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601A KR101897415B1 (ko) | 2017-09-12 | 2017-09-12 |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7415B1 true KR101897415B1 (ko) | 2018-10-19 |
Family
ID=6255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66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97415B1 (ko) | 2017-09-12 | 2017-09-12 |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000903B1 (ko) |
KR (1) | KR101897415B1 (ko) |
CN (1) | CN109487794A (ko) |
WO (1) | WO2019054703A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939B1 (ko) * | 2019-03-06 | 2020-02-11 | 강문기 | Cip 흙막이 벽체용 h형강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영구벽체 |
KR102083822B1 (ko) * | 2019-06-27 | 2020-03-03 | 강문기 | 일체형 연결체를 이용한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2158522B1 (ko) * | 2020-06-08 | 2020-09-22 | (주)주성이앤씨 | Phc파일 제작용 거푸집을 활용한 고강도 원심성형 각형보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원심성형 각형보 |
KR20200136127A (ko) | 2019-05-27 | 2020-12-07 | 삼광선재 주식회사 |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
KR20210015135A (ko) * | 2019-07-31 | 2021-02-10 | 구본민 | 말뚝 보강재 가이드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210033356A (ko) * | 2019-09-18 | 2021-03-26 | 삼보토건 주식회사 |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
KR20210094381A (ko) | 2020-01-21 | 2021-07-29 | 삼광선재 주식회사 | 거푸집 전용 가설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
CN114855824A (zh) * | 2022-06-08 | 2022-08-05 | 浙江国进建设有限公司 | 一种基坑拉森钢板桩施工方法 |
KR102497458B1 (ko) * | 2021-11-10 | 2023-02-08 | 유정식 | 엄지말뚝 균등 간격 수단 겸 띠장 받침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cip 흙막이 시공 공법 |
KR20230108567A (ko) * | 2022-01-11 | 2023-07-18 | 송성민 | 파일의 종방향 및 횡방향 일체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
KR102633929B1 (ko) * | 2023-06-05 | 2024-02-08 | 주식회사 바른지반연구소 | 흙막이 벽체 시공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7693B1 (ko) * | 2018-07-20 | 2019-08-19 | 강문기 | 시공이 용이한 cip 벽체 |
CN113756319B (zh) * | 2020-06-03 | 2023-05-30 | 杭州市城市建设基础工程有限公司 | 一种基坑围护结构及其施工方法 |
CN112854186B (zh) * | 2021-03-24 | 2022-02-11 | 广东新江永安建设工程有限公司 | 一种软土地基市政道路的处理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9535B1 (ko) * | 2009-03-24 | 2010-02-03 | 이규철 |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가이드 |
KR101005780B1 (ko) * | 2008-09-24 | 2011-01-06 | 이동희 | 지하 슬래브 콘크리트 및 거더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를 위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51485A (en) * | 1972-04-14 | 1974-12-03 | J Steding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concrete piles |
US5106233A (en) * | 1989-08-25 | 1992-04-21 | Breaux Louis B | Hazardous waste containment system |
US5354149A (en) * | 1989-08-25 | 1994-10-11 | Barrier Member Containment Corp. | In-ground barrier system with pass-through |
KR100532024B1 (ko) | 2003-10-27 | 2005-11-29 | 한동덕 |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
KR100765375B1 (ko) * | 2006-10-02 | 2007-10-10 | 한두희 |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 빔 인출장치 |
KR100858713B1 (ko) * | 2007-03-19 | 2008-09-17 | (주)써포텍 | 흙막이 벽체 시공용 장치 |
KR100866162B1 (ko) * | 2008-08-14 | 2008-10-30 | 이재호 |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
KR101150597B1 (ko) | 2010-02-25 | 2012-06-01 | 이규철 | 고도 제한에 대응 가능한 파일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
CN102296630A (zh) * | 2011-06-17 | 2011-12-28 | 北京中岩大地工程技术有限公司 | 长螺旋高压搅喷水泥土连续墙施工方法 |
KR101633840B1 (ko) * | 2014-08-27 | 2016-06-27 | (주)백경지앤씨 | H-cip공법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
KR101701265B1 (ko) | 2015-08-17 | 2017-02-08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T형 보강장치를 이용한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방법 및 방지구조 |
-
2017
- 2017-09-12 KR KR1020170116601A patent/KR10189741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11-17 US US15/815,704 patent/US100009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8
- 2018-01-04 CN CN201810006234.5A patent/CN109487794A/zh not_active Withdrawn
- 2018-09-07 WO PCT/KR2018/010512 patent/WO201905470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5780B1 (ko) * | 2008-09-24 | 2011-01-06 | 이동희 | 지하 슬래브 콘크리트 및 거더 콘크리트의 균열 방지를 위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
KR100939535B1 (ko) * | 2009-03-24 | 2010-02-03 | 이규철 | 지하연속벽체 시공용 가이드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939B1 (ko) * | 2019-03-06 | 2020-02-11 | 강문기 | Cip 흙막이 벽체용 h형강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영구벽체 |
KR20200136127A (ko) | 2019-05-27 | 2020-12-07 | 삼광선재 주식회사 |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
KR102083822B1 (ko) * | 2019-06-27 | 2020-03-03 | 강문기 | 일체형 연결체를 이용한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KR102259961B1 (ko) * | 2019-07-31 | 2021-06-02 | 구본민 | 말뚝 보강재 가이드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210015135A (ko) * | 2019-07-31 | 2021-02-10 | 구본민 | 말뚝 보강재 가이드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KR20210033356A (ko) * | 2019-09-18 | 2021-03-26 | 삼보토건 주식회사 |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
KR102353939B1 (ko) * | 2019-09-18 | 2022-01-21 | 삼보토건(주) |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
KR20210094381A (ko) | 2020-01-21 | 2021-07-29 | 삼광선재 주식회사 | 거푸집 전용 가설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
KR102158522B1 (ko) * | 2020-06-08 | 2020-09-22 | (주)주성이앤씨 | Phc파일 제작용 거푸집을 활용한 고강도 원심성형 각형보의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원심성형 각형보 |
KR102497458B1 (ko) * | 2021-11-10 | 2023-02-08 | 유정식 | 엄지말뚝 균등 간격 수단 겸 띠장 받침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cip 흙막이 시공 공법 |
KR20230108567A (ko) * | 2022-01-11 | 2023-07-18 | 송성민 | 파일의 종방향 및 횡방향 일체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
KR102649959B1 (ko) | 2022-01-11 | 2024-03-22 | 송성민 | 파일의 종방향 및 횡방향 일체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
CN114855824A (zh) * | 2022-06-08 | 2022-08-05 | 浙江国进建设有限公司 | 一种基坑拉森钢板桩施工方法 |
KR102633929B1 (ko) * | 2023-06-05 | 2024-02-08 | 주식회사 바른지반연구소 | 흙막이 벽체 시공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487794A (zh) | 2019-03-19 |
WO2019054703A1 (ko) | 2019-03-21 |
US10000903B1 (en) | 2018-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7415B1 (ko) |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866162B1 (ko) |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 |
KR102208793B1 (ko) |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87495B1 (ko) |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 |
KR101011252B1 (ko) |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 |
KR100946879B1 (ko) |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강관 말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 |
KR20090041707A (ko) | 말뚝 두부 연결용 조립체, 이를 이용한 말뚝과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 |
KR101458435B1 (ko) |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383268B1 (ko) |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 |
KR102286225B1 (ko) |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 |
KR100657655B1 (ko) | 지반안정공법용 조립식 파일 | |
KR101198286B1 (ko) |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역타지지공법용 논웨일 스트러트 시스템 및 이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 |
KR102298436B1 (ko) | 콘크리트 수직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381303Y1 (ko) | 흙막이벽과 슬래브간의 연결부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JP2018168561A (ja) | 地下構造物および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1557554B1 (ko) | 전단 연결재 일체형 광폭 psc 거더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2098141B1 (ko) |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 |
KR101485563B1 (ko) | 건축용 수평구조프레임 구조 | |
KR101473218B1 (ko) |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2244029B1 (ko) | 무교대 라멘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2330481B1 (ko) | 분절된 pc 격자보를 이용한 반도체 공장 구조물 | |
KR101052641B1 (ko) | 본 벽체 형성에 활용되는 흙막이 벽체용 철골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본 벽체 형성방법 | |
KR101641837B1 (ko) | 교량 하부구조물의 단면 증설시 자중 경감을 위한 단면 형성 방법 | |
KR200385376Y1 (ko) |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 |
KR101215764B1 (ko) | 지하 구조물 외벽의 매입슬래브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9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