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707B1 -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707B1
KR101888707B1 KR1020137007311A KR20137007311A KR101888707B1 KR 101888707 B1 KR101888707 B1 KR 101888707B1 KR 1020137007311 A KR1020137007311 A KR 1020137007311A KR 20137007311 A KR20137007311 A KR 20137007311A KR 101888707 B1 KR101888707 B1 KR 10188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leeve
outer sleeve
socket
ball so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3019A (ko
Inventor
마르틴 레흐틴
폴커 그루베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143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7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4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of the joint being open on two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3/04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3/04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 F16C23/043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with spherical surfaces, e.g. spherical plain bearings
    • F16C23/045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with spherical surfaces, e.g. spherical plain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e.g. radial spherical plain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3/00Assembling bearings
    • F16C43/02Assembling sliding-contact 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상 베어링 영역(16) 및 축방향(4)으로 관통되는 장착 개구(5)를 구비한 볼 슬리브(3)를 포함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1)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볼 슬리브가 베어링 영역(16)에 의해 활주 이동 가능하게 볼 소켓(2) 내에 지지되어 볼 소켓과 함께 외측 슬리브(7) 안에 배치됨으로써, 볼 슬리브(3)는 양 측면이 외측 슬리브(7)로부터 축방향(4)으로 연장하고, 볼 소켓(2)과 외측 슬리브(7) 사이의 환형 중간 공간(17) 안에 응고 가능한 재료가 사출되며, 상기 응고 가능한 재료의 경화에 의해 볼 슬리브(3)와 볼 소켓(2)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외측 슬리브(7)와 결합된다.

Description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A SPHERICAL SLEEVE JOINT}
본 발명은 구상 베어링 영역 및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 개구를 구비한 볼 슬리브를 포함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볼 슬리브가 베어링 영역에 의해 활주 이동 가능하게 볼 소켓 내에 지지되어 볼 소켓과 함께 외측 슬리브 안에 배치됨으로써, 볼 슬리브는 양 측면이 외측 슬리브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볼 슬리브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슬리브 조인트의 구성 및 조립은 개별 공정들과 제조 단계들에서 개별 부재들(볼 저널, 볼 소켓, 하우징, 밀봉 벨로우즈 등)의 제조 및 조립에 기반한다. 슬리브 조인트의 전체 기능 및 특성은 개별 부재들의 각각의 공차 및 후속하는 공정들(템퍼링, 연삭 등)에 의해 최적화되어 고객의 요구 조건이 이행될 수 있다.
DE 10 2004 040 412 A1호에는 2개의 하우징 반부로 형성된 조인트 하우징과, 둥근 베어링 면을 가진 볼 슬리브로 구성되는, 차량의 섀시 모듈들과 스티어링 모듈들을 위한 볼 슬리브 조인트가 공개되어 있으며, 여기서 베어링 면은 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조인트 하우징의 리세스 안에 고정되는 베어링 쉘 안에 수용되어 있다. 양 하우징 반부들은 볼 슬리브 조인트의 설치 동안 볼 슬리브 조인트의 중앙 종축의 방향으로 소정의 압착력으로 함께 압착되고, 압착력에 의해 미리 정해진 설치 위치에 하우징 반부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재료 결합식 연결에 의해 보유된다.
도입부에 언급한 볼 슬리브 조인트를 수용부 안에 삽입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외측 슬리브의 직경이 감소하므로, 볼 소켓에 의해 베어링 영역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진다. 이는 볼 슬리브의 볼 소켓과 베어링 영역 사이에서 원하지 않는 마찰 증가를 야기한다.
이런 점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마찰 증가를 피하거나 적어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제1항에 따른 방법 및 제6항에 따른 볼 슬리브 조인트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술된다.
구상 베어링 영역 및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 개구를 가진 볼 슬리브를 포함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볼 슬리브가 베어링 영역에 의해 활주 이동 가능하게 볼 소켓 내에 지지되어 볼 소켓과 함께 외측 슬리브 안에 배치됨으로써, 볼 슬리브는 양 측면이 외측 슬리브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볼 소켓과 외측 슬리브 사이의 환형 중간 공간 안에 응고 가능한 재료가 사출되고, 응고 가능한 재료의 경화에 의해 볼 슬리브와 볼 소켓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외측 슬리브와 결합된다.
사출된 재료는 재료의 경화 후에 중실 바디를 형성하고, 이 중실 바디에 의해 볼 슬리브와 볼 소켓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외측 슬리브 안에 고정된다. 그러나 사출된 재료에 의해 형성된 중실 바디는 재료의 경화 동안 수축하므로, 중실 바디와 외측 슬리브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갭이 형성된다. 이 갭은 비교적 작은데, 예를 들어 수백 분의 일 밀리미터의 크기이다. 그럼에도 갭은 외측 슬리브의 직경 감소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지만, 그로 인해 볼 소켓과 베어링 영역 사이의 압력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외측 슬리브의 직경이 갭에 의해 제공된 빈 공간보다 더 심하게 감소하는 경우, 볼 소켓과 베어링 영역 사이의 마찰은 증가하지만, 처음부터 갭이 없었던 경우보다는 덜 증가한다.
재료의 사출 전에 볼 슬리브와 볼 소켓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바람직하게는 외측 슬리브 안에 배치되도록, 볼 소켓과 외측 슬리브 사이의 환형 중간 공간이 빈 공간으로서 형성된다. 이어서 빈 공간은 사출성형 공정을 통해 재료로 채워진다. 중간 공간은 특히 볼 슬리브 조인트의 중앙 종축과 관련하여 환형이고, 중앙 종축은 바람직하게는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측 슬리브 및/또는 볼 슬리브의 종축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라, 볼 슬리브 조인트가 그의 외측 슬리브로써 상기 외측 슬리브의 직경의 축소 하에 수용부 안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볼 슬리브 조인트가 그의 외측 슬리브로써 상기 외측 슬리브의 직경의 축소 하에 수용부의 리세스 안에 삽입되며, 바람직하게는 압입된다. 특히 외측 슬리브의 축소된 직경에 의해 갭이 폐쇄된다. 볼 슬리브 조인트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에서 사용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수용부는 예를 들어 차량의 휠 서스펜션에 설치되는 섀시 부품(예를 들어 콘트롤 아암 또는 휠 캐리어)에 의해 형성된다. 수용부의 리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다.
볼 슬리브와 볼 소켓으로 형성된 어셈블리를 외측 슬리브 안에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외측 슬리브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축방향 단부 또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단부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진다. 특히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진 단부는 재료로 오버몰딩된다.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진 단부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볼 소켓까지 또는 거의 볼 소켓 근처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따라 외측 슬리브의 양 축방향 단부들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지고 바람직하게는 재료로 오버몰딩된다. 특히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진 단부들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볼 소켓까지 또는 거의 볼 소켓 근처까지 연장된다.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기에 순서대로 기술된 단계들을 포함한다.
- 외측 슬리브의 일측 축방향 단부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지는 단계.
- 바람직하게는 볼 슬리브가 양 측면에서 외측 슬리브 바깥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볼 슬리브와 볼 소켓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외측 슬리브 안에 배치되는 단계.
- 외측 슬리브의 타측 축방향 단부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지는 단계.
- 외측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들이, 환형 중간 공간 내로 재료가 사출되는 동안 상기 재료로 오버몰딩되는 단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측 슬리브의 양 측면과 축방향 외부에 밀봉 벨로우즈들의 고정을 위한 환형 홈을 가진 고정 견부들이 재료의 사출을 통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홈들에 각각 볼 슬리브까지 연장되는 밀봉 벨로우즈들이 고정된다.
볼 소켓은 베어링 영역에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볼 소켓이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조되어 특히 베어링 영역에 스냅 방식으로 결합된다.
외측 슬리브 및/또는 볼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금속, 특히 강으로 이루어진다. 볼 소켓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특히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 이루어진다. 응고 가능한 재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응고 가능한 재료는 특히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섬유강화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PA66 GF30으로 이루어진다.
외측 슬리브는 바람직하게 중공 원통형이거나,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베어링 영역은 바람직하게 구상의 베어링 면을 가지며, 베어링 면은 볼 소켓의 바람직하게는 중공 구상인 베어링 면에 접한다. 볼 슬리브는 특히 2개의 단부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베어링 영역은 축방향으로 단부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단부 영역들은 중공 원통형이거나이거나,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상 베어링 영역 및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 개구를 가진 볼 슬리브가 베어링 영역에 의해 활주 이동 가능하게 볼 소켓 내에 지지되어 볼 소켓과 함께 외측 슬리브 안에 배치됨으로써, 볼 슬리브가 양 측면에서 외측 슬리브의 바깥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슬리브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볼 소켓과 외측 슬리브 사이의 환형 중간 공간 안에 응고 가능한 재료가 사출됨으로써 중실 바디가 형성되고, 상기 중실 바디에 의해 볼 슬리브와 볼 소켓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외측 슬리브 안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슬리브 조인트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이와 관련하여 언급된 모든 실시예들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사출된 재료로 형성된 중실 바디가 재료의 경화 동안 수축됨에 따라, 중실 바디와 볼 소켓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갭이 형성된다. 이 갭은 비교적 작은데, 예를 들어 수백 분의 일 밀리미터 크기이다.
외측 슬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직경의 축소하에 수용부 안에 삽입될 수 있거나 삽입되어 있다. 특히 외측 슬리브는 직경의 축소하에 그리고 갭의 폐쇄하에, 바람직하게는 압입을 통해, 수용부의 리세스 안에 삽입될 수 있거나 삽입되어 있다. 수용부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차량의 휠 서스펜션 안에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될 수 있는 콘트롤 아암 또는 휠 캐리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외측 슬리브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 또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단부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지고, 바람직하게는 재료로 오버몰딩되므로, 볼 슬리브와 볼 소켓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특히 그들 사이에 중실 바디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측 슬리브 안에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슬리브의 축방향 양측 단부들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지고, 바람직하게는 재료로 오버몰딩되므로, 볼 슬리브와 볼 소켓으로 형성된 어셈블리는 외측 슬리브 안에 양 측이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거나 구부러진 단부(들)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적어도 국부적으로 볼 소켓까지 또는 거의 볼 소켓 근처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중실 바디는, 외측 슬리브의 양 측면 및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재료의 사출 시 형성되며 환형 홈을 가진 고정 견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홈에 밀봉 벨로우즈들이 고정될 수 있거나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볼 소켓은 별도의 부품으로서 제조되고, 특히 베어링 영역에 스냅 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 슬리브 조인트는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볼 슬리브 조인트는 감소된 수의 조립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아연, 알루미늄 등의) 사출 공정을 통해, 예비 조립된 볼 슬리브가 볼 소켓 및 하우징과 결합됨으로써, 슬리브 조인트는 바람직하게 조인트 카트리지로서 완성된다. "하우징"이란 특히 외측 슬리브를 의미한다. 추후 슬리브 조인트는 밀봉 벨로우즈들을 포함하는 밀봉 시스템의 조립을 통해 완성된다. 하우징은 특히, 수용부(예: 콘트롤 아암) 안에 압입하기 위해 외경을 더 이상 추가 가공할 필요가 없고, 축방향으로 볼 소켓이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밀봉 시스템의 수용부의 형성은 하우징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리고/또는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사출된 재료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고정 견부의 형태로 실시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장점들이 생긴다.
- 사출성형 공정을 통해, 사출되는 재료(응고될 수 있는 재료)가 실제 치수에 부합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템퍼링 공정은 불필요하다.
- 예를 들어 콘트롤 아암에 슬리브 조인트의 장착 시 마찰 토크 변동을 줄이기 위해(마찰 토크 변동은 일반적으로 표준 볼 조인트를 위한 볼 소켓의 사출 성형 시 불리함), 수축 공정이 이용된다.
- 부품 수의 감소.
- 조립 공정 수의 감소.
- 공지된 시스템(POM 볼 소켓, 그리스) 및 최적화된 예압에 의한 우수한 풀림 토크(loosening torque) 대 마찰 토크의 비.
- "튜브 디자인"에서의 슬리브 조인트에 비해 축방향으로 더 큰 하중 지지력.
하기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토대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 슬리브 조인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볼 슬리브 조인트가 수용부 안에 압입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슬리브 조인트(1)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볼 슬리브 조인트는 볼 소켓(2) 안에 활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볼 슬리브(3)를 포함하며, 볼 슬리브는 축방향(4)으로 관통되는 장착 개구(5)를 갖는다. 볼 슬리브(3)는 회전 및 선회가능하게 볼 소켓(2) 안에 안착되며, 볼 소켓은 중실 바디(6)에 의해 외측 슬리브(7) 안에 고정된다. 또한, 외측 슬리브(7)의 축방향 단부들(8과 9)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구부러져 국부적으로는 볼 소켓(2)까지 또는 거의 볼 소켓 근처까지 도달한다. 또한, 축방향 단부들(8과 9)은 중실 바디(6)과 결합한다. 그럼으로써 축방향 단부들(8과 9)은 상기 중실 바디(6)를 위한, 그리고 볼 슬리브(3)와 볼 소켓(2)로 형성된 어셈블리를 위한 축방향 고정부를 외측 슬리브(7)에 형성한다. 중실 바디(6)는 외측 슬리브(7)의 축방향 외측에 환형 홈들(10과 11)을 가진 고정 견부들(12와 13)을 포함하며, 이 고정 견부들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벨로우즈들(14와 15)의 고정에 사용된다.
볼 슬리브(3)는 2개의 단부 영역(21과 22)과 구상 베어링 영역(16)을 포함하며, 구상 베어링 영역에 볼 소켓(2)이 스냅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상 베어링 영역은 단부 영역들(21과 22) 사이에 배치된다. 설치된 상태에서 밀봉 벨로우즈들(14와 15)은 실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실 바디(6)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영역들(21과 22)에 인접한다.
볼 조인트(1)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볼 소켓(2)은 볼 슬리브(3)의 구상 베어링 영역(16)에 스냅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외측 슬리브(7)의 축방향 단부(8)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이제 볼 소켓(2)과 외측 슬리브(7) 사이에 있는 환형의 빈 중간 공간(17)이 밀봉되도록, 볼 슬리브(3)와 볼 소켓(2)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외측 슬리브(7) 안에 배치된다. 이어서 외측 슬리브(7)의 축방향 단부(9)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단부들(8, 9)은 볼 소켓(2)까지, 또는 거의 볼 소켓 근처까지 이른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볼 소켓과 단부들(8과 9) 사이에 작은 갭이 남겨진다. 하나 이상의 영역(여기에서는 2개의 영역)에서 볼 소켓(2)과 단부들(8, 9) 사이에 개구(18)가 제공되어, 이 개구를 통해 외부에서 중간 공간(17)으로 접근될 수 있다. 개구(들)(18)를 통해 중간 공간(17) 안에 플라스틱이 사출되고, 플라스틱은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강화 폴리아미드, 특히 PA66 GF30이다. 또한 사출성형 공정 동안에 단부들(8과 9)은 고정 견부(12와 13)의 형성하에 플라스틱으로 오버몰딩된다. 플라스틱의 경화 후 플라스틱은 중실 바디(6)를 형성하고, 중실 바디는 반경방향으로 외측 슬리브(7)에 대하여 갭(19)을 갖는다. 이와 같은 갭(19)은 경화 동안 사출된 플라스틱의 수축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갭(19)은 환형이다.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볼 슬리브 조인트(1)가 이제 외측 슬리브(7)로써 섀시 스트럿의 수용부(20) 안에 압입됨에 따라, 외측 슬리브(7)의 직경이 축소하여 갭(19)이 폐쇄된다. 또한 이미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밀봉 벨로우즈들(14와 15)이 설치되고, 이 밀봉 벨로우즈들은 중실 바디(6)에 대해 볼 슬리브(3)를 밀봉한다.
1 볼 슬리브 조인트
2 볼 소켓
3 볼 슬리브
4 축방향
5 볼 슬리브를 관통하는 관통되는 개구
6 중실 바디
7 외측 슬리브
8 외측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
9 외측 슬리브의 축방향 단부
10 환형 홈
11 환형 홈
12 고정 견부
13 고정 견부
14 밀봉 벨로우즈
15 밀봉 벨로우즈
16 볼 슬리브의 베어링 영역
17 중간 공간
18 개구
19 갭
20 수용부
21 볼 슬리브의 단부 영역
22 볼 슬리브의 단부 영역

Claims (10)

  1. 구상 베어링 영역(16) 및 축방향(4)으로 관통되는 장착 개구(5)를 가진 볼 슬리브(3)를 포함하고, 볼 슬리브가 베어링 영역(16)에 의해 활주 이동 가능하게 볼 소켓(2) 내에 지지되어 볼 소켓과 함께 외측 슬리브(7) 안에 배치됨으로써, 볼 슬리브(3)가 외측 슬리브(7) 양측으로부터 축방향(4)으로 연장되는, 볼 슬리브 조인트(1)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응고 가능한 재료가 볼 소켓(2)과 외측 슬리브(7) 사이의 환형 중간 공간(17) 안에 사출되고, 볼 슬리브(3)와 볼 소켓(2)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응고 가능한 재료의 경화에 의해 외측 슬리브(7)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볼 슬리브 조인트(1)는 그의 외측 슬리브(7)로써 상기 외측 슬리브(7)의 직경의 축소 하에 수용부(20) 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측 슬리브(7) 안에서 볼 슬리브(3)와 볼 소켓(2)로 형성된 어셈블리의 축방향 고정을 위해 외측 슬리브(7)의 하나 이상의 축방향 단부(8)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고 재료로 오버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측 슬리브(7) 양 측면 및 축방향 외측에, 밀봉 벨로우즈들(14, 15)의 고정을 위한 환형 홈들(10, 11)을 가진 고정 견부들(12, 13)이 재료의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볼 소켓(2)은 베어링 영역(16)에 스냅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6. 구상 베어링 영역(16) 및 축방향(4)으로 관통되는 장착 개구(5)를 가진 볼 슬리브(3)를 포함하고, 볼 슬리브가 베어링 영역(16)에 의해 활주 이동 가능하게 볼 소켓(2) 내에 지지되어 볼 소켓과 함께 외측 슬리브(7) 안에 배치됨으로써, 볼 슬리브(3)가 외측 슬리브(7) 양측으로부터 축방향(4)으로 연장되는, 볼 슬리브 조인트에 있어서,
    볼 소켓(2)과 외측 슬리브(7) 사이의 환형 중간 공간(17) 안에 응고 가능한 재료가 사출됨으로써 중실 바디(6)가 형성되고, 볼 슬리브(3)와 볼 소켓(2)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상기 중실 바디에 의해 외측 슬리브(7) 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외측 슬리브(7)는 그 직경이 축소되면서 소켓(20) 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외측 슬리브(7)의 하나 이상의 축방향 단부(8)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을 향해 형성되고 재료로 오버몰딩됨에 따라, 볼 슬리브(3)와 볼 소켓(2)으로 형성된 어셈블리가 외측 슬리브(7) 안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중실 바디(6)는, 외측 슬리브(7)의 양 측면 및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재료의 사출성형 시 형성되며 환형 홈들(10, 11)을 가진 고정 견부들(12, 13)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홈들에 밀봉 벨로우즈들(14, 15)이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볼 소켓(2)은 베어링 영역(16)에 스냅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슬리브 조인트.
KR1020137007311A 2010-09-24 2011-08-25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888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1306.2 2010-09-24
DE102010041306A DE102010041306A1 (de) 2010-09-24 2010-09-24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ugelhülsengelenks
PCT/EP2011/064589 WO2012038180A1 (de) 2010-09-24 2011-08-25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ugelhülsengelen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019A KR20130143019A (ko) 2013-12-30
KR101888707B1 true KR101888707B1 (ko) 2018-08-14

Family

ID=4450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311A Active KR101888707B1 (ko) 2010-09-24 2011-08-25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81975B2 (ko)
EP (1) EP2619466B1 (ko)
KR (1) KR101888707B1 (ko)
CN (1) CN102959256B (ko)
DE (1) DE102010041306A1 (ko)
ES (1) ES2600910T3 (ko)
WO (1) WO2012038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1651B2 (ja) * 2009-08-04 2013-02-13 株式会社明電舎 車両固定構造
KR101225742B1 (ko) * 2009-08-10 2013-02-12 주식회사 일진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DE102012207527B4 (de) * 2012-05-07 2022-12-29 Zf Friedrichshafen Ag Hülsengelenk für ein Fahrzeug
DE202014000625U1 (de) 2014-01-27 2015-04-28 Hans Berg Gmbh & Co. Kg Formteil
CN106050912A (zh) * 2016-08-17 2016-10-26 福建龙溪轴承(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滑套的关节轴承节点
DE102016220438A1 (de) * 2016-10-19 2018-04-19 Zf Friedrichshafen Ag Hülsengelenk,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DE102016225127A1 (de) * 2016-12-15 2018-06-21 Zf Friedrichshafen Ag Gelenk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Gelenkes
DE102017206706B4 (de) * 2017-04-20 2019-03-14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gelgelenks
DE102017118030A1 (de) * 2017-08-08 2019-02-14 THK RHYTHM AUTOMOTIVE GmbH Kugelgelenk
DE102018213606A1 (de) * 2018-08-13 2020-02-13 Zf Friedrichshafen Ag Gelen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Gelenks
DE102018217642A1 (de) * 2018-10-15 2020-04-16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KR20200062825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이를 포함하는 현가 장치, 및 볼 조인트의 제조 방법
WO2022056323A1 (en) * 2020-09-10 2022-03-17 Triton Systems, Inc. Double bea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1586A1 (de) * 1987-09-19 1989-04-06 Durbal Gmbh & Co Gelenklag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20090304315A1 (en) * 2006-01-11 2009-12-10 Fatigue Technology, Inc. Bushing kits, bearing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4056A (en) * 1960-06-02 1963-08-14 Metalastik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manufacturing ball joints and universal couplings employing such ball joints
US3163475A (en) * 1961-04-11 1964-12-29 Fafnir Bearing Co Bearing
US3629921A (en) 1970-01-09 1971-12-28 Tuthill Pump Co Method of fabricating a bearing device
US4055369A (en) * 1975-05-12 1977-10-25 The Boeing Company Seal for a spherical bearing
DE3127710C2 (de) * 1981-07-14 1984-05-30 TRW Ehrenreich GmbH & Co KG,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ugelgelenkes
JPH0617818A (ja) 1992-06-30 1994-01-25 Tokai Rubber Ind Ltd 摺動型継手装置およびその製作方法
DE10233798B4 (de) * 2002-07-25 2004-07-22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ochleistungs-Kugelgelenks mit geringen Momenten und Hochleistungs-Kugelgelenk mit geringen Momenten
GB2400148B (en) 2003-03-31 2005-02-23 Minebea Co Ltd A method of manufacture of a spherical bearing arrangement
DE102004040412B4 (de) 2004-08-19 2006-12-14 Zf Friedrichshafen Ag Kugelhülsengelen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4056575B4 (de) * 2004-11-23 2010-09-23 Zf Friedrichshafen Ag Gelenk- und/oder Lageranordnung
CN101493114A (zh) * 2008-01-21 2009-07-29 孙天日 一种汽车推力杆接头总成
DE102008006657A1 (de) * 2008-01-30 2009-08-06 Audi Ag Kugelgelenk
CN101450596A (zh) 2008-12-09 2009-06-10 中国重汽集团济南技术中心有限公司 适用于重型载货车辆平衡后悬架推力杆上的滑动球销总成
CN201494270U (zh) 2009-08-26 2010-06-02 十堰市德沃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重型汽车平衡悬架推力杆接头总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1586A1 (de) * 1987-09-19 1989-04-06 Durbal Gmbh & Co Gelenklag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20090304315A1 (en) * 2006-01-11 2009-12-10 Fatigue Technology, Inc. Bushing kits, bearing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9256B (zh) 2016-01-20
EP2619466A1 (de) 2013-07-31
US9181975B2 (en) 2015-11-10
KR20130143019A (ko) 2013-12-30
DE102010041306A1 (de) 2012-03-29
EP2619466B1 (de) 2016-08-17
WO2012038180A1 (de) 2012-03-29
US20130177347A1 (en) 2013-07-11
ES2600910T3 (es) 2017-02-13
CN102959256A (zh)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707B1 (ko) 볼 슬리브 조인트의 제조 방법
EP2284408B1 (en)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533490B2 (en) Isolation ball joint for steering and suspension
CA2886248C (en) Ball joint with improved upper bear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1886474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9945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7173B1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CA3055180A1 (en) Socket assembly
US20130183080A1 (en) Ball joint
CN113227590B (zh) 窝式组件及窝式组件的制造方法
CN111868396A (zh) 改进的承窝组件及其制造方法
US20040258462A1 (en) High-performance ball socket
CN110325757A (zh) 弹性支承
KR20210010494A (ko) 조인트 및 상기 조인트의 제조 방법
CN111819367B (zh) 改进的承窝组件及其制造方法
JP2006242289A (ja) 防振ブッシュ
CN112119227A (zh) 特别是用于机动车的底盘部件的球形接头
KR20090107099A (ko) 크로스 액시스 볼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JP6180226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239311A1 (ja) アー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566326B2 (ja) アーム部材
JPH073257B2 (ja) 摺動型ゴム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65613U (ja) 球面軸受
JP2019074132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