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916B1 -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916B1
KR101887916B1 KR1020170140299A KR20170140299A KR101887916B1 KR 101887916 B1 KR101887916 B1 KR 101887916B1 KR 1020170140299 A KR1020170140299 A KR 1020170140299A KR 20170140299 A KR20170140299 A KR 20170140299A KR 101887916 B1 KR101887916 B1 KR 10188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control
unit
tag
ligh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환
최대섭
이범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젠
Priority to KR102017014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8Holders or dispensers for pressurized insecticide, e.g. pressurized vessels,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H05B37/027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과 함께 설치되어 인식태그의 태그정보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변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조명 제어장치로부터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에 따른 전방의 조명등을 제어하고, 주차위치 및 움직임 위치를 제공하며, 이들의 전력원을 태양광으로부터 조달하고, 태양광에서 얻어진 남은 전력을 아파트 가로등 조명용으로 활용하되, 해충 제거에도 활용되게 하여 거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AND SYSTEM FOR SERVIC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등과 함께 설치되어 인식태그의 태그정보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변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조명 제어장치로부터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에 따른 전방의 조명등을 제어하고, 주차위치 및 움직임 위치를 제공하는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력원을 태양광으로부터 조달하고, 태양광에서 얻어진 남은 전력을 아파트 가로등 조명용으로 활용하되, 해충 제거에도 활용되게 하여 거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합건물(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벤처타워 등)에는 지하주차장이나 집합건물의 출입문까지 이어지는 보도 주위에 백열등, 형광등 또는 LED 조명등과 같은 조명등들이 설치되며, 집합건물 내에도 복도와 같은 곳에 조명등들이 설치된다.
조명등들 중 지하주차장이나 보도 주위에 설치된 조명등과 같은 경우 항상 일정 조도상태를 유지한 채로 설치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장소에 설치된 조명등들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조명들에 대한 지능제어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제안되는 모델 중 하나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조명등마다 센서와 제어기를 구비하여 거주자가 해당 조명등이 설치된 장소를 지나가는 경우 센서가 거주자를 검출한 후 제어기가 조명등의 조도를 일시적으로 높이도록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센서와 제어기가 구비된 조명등은 자체 비용이 상당하여 지하주차장과 같은 넓은 장소에 다수 설치하는 것은 비용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센서에 의존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전력절감을 위한 조명 제어 모델의 다른 하나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통해 움직임을 검출하여 다수의 조명등 중 사람이나 차량의 위치에 해당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모델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움직임 검출을 위한 연산과, 연산을 통해 움직임이 확인된 이후 조명등을 제어하기 때문에 시간지연이 상당하여 사람이나 차량의 움직임에 즉시 대응하여 조명등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미 사람이나 차량이 지나간 이후 조명등이 조절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효율성이 떨어지며, 제대로 조명등이 반응하지 않아 사고의 위험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절기에는 모기가 극성을 부리는데 아파트의 쉼터 등에 설치된 가로등용 조명등의 경우에는 날파리를 비롯한 많은 수의 모기들이 불빛을 따라 몰려 드는데 단순히 조명용 가로등으로서의 기능 외에는 아무런 기능이 없어 모기를 포함한 해충들을 포집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더 갖춘다면 거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7072호(2015.05.28. 공개,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명등과 함께 설치되어 인식태그의 태그정보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변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조명 제어장치로부터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에 따른 전방의 조명등을 제어하고, 주차위치 및 움직임 위치를 제공하며, 이들의 전력원을 태양광으로부터 조달하고, 태양광에서 얻어진 남은 전력을 아파트 가로등 조명용으로 활용하되, 해충 제거에도 활용되게 하여 거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0)와, 조명등(70)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력구동부(40)와,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20)와, 상기 감지부(10)의 감지결과와 상기 고유코드를 전송하고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통신부(50)와, 상기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상기 감지결과와 상기 통신부(50)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력구동부(40)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10)의 상기 감지결과와 함께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자신의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전송하는 조명제어부(30)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구동부(40)는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의 벽체에 설치된 ESS(Energy Storage System)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ESS는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지붕(ROF)에 설치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SUN)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상기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 주변 및 아파트의 쉼터에 설치된 가로등(444)도 상기 ESS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가로등(444)은 유문등(400) 형태를 갖되,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조명제어부(3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통신부 및 카메라와 카운터를 갖춘 컨트롤러(410)가 탑재되며, 상기 컨트롤러(410)는 카메라와 카운터를 통해 포집된 모기 이미지와 포집된 모기 갯수를 조명제어부(30)로 송신하고, 상기 조명제어부(30)는 수신된 정보를 관리서버(140)로 전송하며, 관리서버(140)는 질병관리본부 서버와 통신하여 전국아파트 단위 모기 포집 현황을 통계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모기들이 출입할 수 있는 망공을 갖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가로등(444)이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가로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낙하하는 모기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422)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외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내구성, 방습성, 내약품성을 갖추도록 지르코니아 분말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4.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2.5중량%와, 톨루엔에 용해된 DMAP(dimethylaminopyridine) 2.5중량%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2.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와, 실리콘수지 5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2.5중량%와, 액화무수암모니아 1.5중량%와, SBR(Styrene-Butadiene Rubber)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객체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의 변화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 및 상기 객체가 휴대한 인식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태그 감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태그 감지부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태그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명 제어장치; 상기 조명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태그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객체의 상기 태그정보에 대한 고유정보와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설치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객체의 상기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 제어장치에서 감지한 상기 객체의 감지결과를 저장하는 감지결과 DB;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집된 상기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된 상기 객체의 상기 고유정보와 매칭시키고,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상기 감지결과를 상기 감지결과 DB에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의 요청에 대해 상기 객체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과 함께 설치되어 인식태그의 태그정보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변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조명 제어장치로부터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에 따른 전방의 조명등을 제어하고, 주차위치 및 움직임 위치를 제공하며, 이들의 전력원을 태양광으로부터 조달하고, 태양광에서 얻어진 남은 전력을 아파트 가로등 조명용으로 활용하되, 해충 제거에도 활용되게 하여 거주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주차장에 적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건물에 적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의 전력구동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을 예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의 가로등으로 활용되는 유문등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내부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100)는, 감지부(10), 전력구동부(40), 저장부(20), 통신부(50) 및 조명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작동램프(6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는 객체(5)를 감지하여 조명 제어부(30)에 제공한다.
여기서 감지부(10)는 적외선 감지부(12) 및 태그 감지부(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부(12)는 객체(5)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람이나 열을 포함하는 사물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태그 감지부(14)는 객체(5)가 휴대한 인식태그(110)로부터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전에 등록된 태그정보를 통해 객체(5)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정확한 대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를 통해 태그정보에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거주 주소를 등록할 수 있고,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체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5)의 움직임을 예측하거나 객체(5)의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조명등(70)을 제어할 수 있고, 객체(5)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 기록을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태그 감지부(14)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범위에 있는 인식태그(110)로부터 태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력구동부(40)는 조명등(7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객체(5)의 감지여부나 필요에 따라 조도를 높이거나 줄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0)는 조명 제어장치(100)의 고유코드를 저장한다.
통신부(50)는 감지부(10)의 감지결과와 저장부(20)에 저장된 조명 제어장치(100)의 고유코드를 전송하여 객체(5)의 감지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등(70)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조명 제어부(30)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객체(5)의 감지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조명 제어장치(100)의 고유코드와 조명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를 사전에 매칭시킴으로써 조명 제어장치(100)의 감지부(10)에서 감지된 결과를 기반으로 조명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명제어부(30)는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감지결과와 통신부(5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전력구동부(40)를 제어하여 조명등(70)의 조도를 조절하여 디밍제어를 수행하고, 감지부(10)의 감지결과와 함께 저장부(20)에 저장된 자신의 고유코드를 통신부(50)를 통해 전송하여 객체(5)의 감지결과를 기반으로 움직임에 따른 경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객체(5)의 위치정보를 요청할 경우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명제어부(30)는 초기 설정모드인 경우 통신부(50)를 통해 주변 조명 제어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고유코드와 신호 세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초기 설정모드는 통신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제어부(30)가 초기 설정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작동램프(60)는 조명 제어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제어장치(100)가 작동되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 경로에 위치한 작동램프(60)를 작동시킬 경우 목적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램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장치에 따르면, 조명등과 함께 설치되어 인식태그의 태그정보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변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객체의 감지결과를 전송함으로써 객체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고, 객체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에 따른 전방의 조명등을 제어할 수도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주차장에 적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건물에 적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은, 조명 제어장치(100), 게이트웨이(120), 사용자 DB(130), 감지결과 DB(150) 및 관리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제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 저장부(20), 전력구동부(40), 통신부(50), 작동램프(60) 및 조명제어부(30)를 포함하여 객체(5)로부터 인식태그(110)의 감지결과나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등(70)의 조도를 제어하고, 인식태그(110)의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자신의 고유코드와 함께 전송한다.
감지부(10)는 객체(5)를 감지하여 조명 제어부(30)에 제공한다.
여기서 감지부(10)는 적외선 감지부(12) 및 태그 감지부(1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부(12)는 객체(5)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람이나 열을 포함하는 사물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태그 감지부(14)는 객체(5)가 휴대한 인식태그(110)로부터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전에 등록된 태그정보를 통해 객체(5)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정확한 대상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를 통해 태그정보에 사용자의 신상정보 및 거주 주소를 등록할 수 있고,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종류 및 차량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체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5)의 움직임을 예측하거나 객체(5)의 출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조명등(70)을 제어할 수 있고, 객체(5)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 기록을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태그 감지부(14)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범위에 있는 인식태그(110)로부터 태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력구동부(40)는 조명등(7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객체(5)의 감지여부나 필요에 따라 조도를 높이거나 줄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0)는 조명 제어장치(100)의 고유코드를 저장한다.
통신부(50)는 감지부(10)의 감지결과와 저장부(20)에 저장된 조명 제어장치(100)의 고유코드를 전송하여 객체(5)의 감지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등(70)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조명 제어부(30)에 제공하여 조명 제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객체(5)의 감지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조명 제어장치(100)의 고유코드와 조명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를 사전에 매칭시킴으로써 조명 제어장치(100)의 감지부(10)에서 감지된 결과를 기반으로 조명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명제어부(30)는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감지결과와 통신부(5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전력구동부(40)를 제어하여 조명등(70)의 조도를 조절하여 디밍제어를 수행하고, 감지부(10)의 감지결과와 함께 저장부(20)에 저장된 자신의 고유코드를 통신부(50)를 통해 전송하여 객체(5)의 감지결과를 기반으로 움직임에 따른 경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객체(5)의 위치정보를 요청할 경우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명제어부(30)는 초기 설정모드인 경우 통신부(50)를 통해 주변 조명 제어장치(100)로부터 입력되는 고유코드와 신호 세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초기 설정모드는 통신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조명제어부(30)가 초기 설정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작동램프(60)는 조명 제어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제어장치(100)가 작동되고 있는지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 경로에 위치한 작동램프(60)를 작동시킬 경우 목적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램프로 사용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120)는 주차장 및 건물 내부에 다수개 설치된 제1 내지 제n 조명 제어장치(100_1~100_n)로부터 전송되는 객체(5)의 감지결과에 따른 태그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서버(140)에 제공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120)는 제1 내지 제n 조명 제어장치(100_1~100_n)로부터 무선을 통해 객체(50)의 감지결과를 비롯하여 태그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관리서버(140)에 유무선으로 수집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n 조명 제어장치(100_1~100_n)가 설치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게이트웨이(120)를 다수개 설치할 수도 있다.
사용자 DB(130)는 객체(5)의 인식태그에 등록된 태그정보에 대한 고유정보와 조명 제어장치(100)의 설치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태그(110)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 태그정보에 대한 고유정보로써 객체(5)인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이름 및 주소를 등록할 수 있고, 인식태그(110)를 차량에 부착한 경우 태그정보에 대한 고유정보로써 객체(5)인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주를 등록할 수 있다.
감지결과 DB(150)는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정보와 객체(5)의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조명 제어장치(100)에서 감지한 객체(5)의 감지결과를 저장한다.
여기서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장치(100)가 설치되는 주차장 등에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구조물(200)의 고유번호와 해당 구조물(200) 주변에 설치된 조명 제어장치(100)의 고유코드를 매칭시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관리버서버(140)는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어느 하나의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한 상태에서 조명 제어장치(100) 간 신호 세기와 설치 간격을 기반으로 위치를 보정하여 조명 제어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주변의 조명 제어장치(100)의 통신부(50)를 통해 수신되는 고유코드와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위치를 설정한 상태에서 조명 제어장치(100)를 설치할 때 일정한 간격으로 조명 제어장치(100)를 설치한 경우 설치 간격을 기반으로 위치를 보정하여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를 보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세기와 설치 간격을 기반으로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를 보정하여 설정할 경우 조명 제어장치(100)의 특성에 따라 신호 세기가 약하거나 강할 경우 발생되는 위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140)에서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해 조명 제어장치(100)에 초기 설정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140)는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집된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DB(130)에 저장된 객체의 고유정보와 매칭시켜 객체를 감지하고, 조명 제어장치(1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객체(5)의 감지결과를 감지결과 DB(150)에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기(170)로부터 객체(5)에 대한 위치정보의 요청에 대해 객체(5)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70)를 통해 통신망(160)에 접속한 후 관리서버(140)에 접속하여 객체(5)의 고유정보를 입력하여 객체(5)의 위치정보를 요청할 경우 관리서버(140)는 감지결과 DB(150)에 저장된 감지결과를 기반으로 객체(5)의 고유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를 통해 최종적으로 위치한 위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70)에는 관리서버(140)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A1 구조물(200)의 주차구역에 설치된 제2 조명 제어장치(100_2)에서 최종적으로 객체(5)의 움직임이 정지한 상태이고 객체(5)가 차량으로 등록된 경우, 객체(5)의 고유정보로써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주차위치를 요청하게 되면 제2 조명 제어장치(100_2)의 위치정보인 A1 구조물(200)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식태그(110)를 사용자 단말기(170)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17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분실위치나 사용자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서버(140)는 객체(5)의 감지결과를 기반으로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여 현재 위치의 전방에 위치한 조명 제어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조명등(70)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조명 제어장치(100)의 감지부(10)에서 객체(5)를 감지한 결과만으로 조명등(70)을 제어하게 되면 감지영역에서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만 조명등(70)을 제어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객체(5)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여 전방의 조명 제어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전방의 조명등(70)을 미리 점등시킬 경우 사용자의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40)는 감지결과 DB(150)에 저장된 객체(5)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객체(5)의 이동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이동경로에 따라 조명 제어장치(100)의 작동램프(60)를 점등시켜 객체(5)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안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통로를 따라 설치된 조명 제어장치(100)를 통해 객체(5)의 움직임을 감지된 경우, 객체(5)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객체(5)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설정한 후 조명 제어장치(100)의 작동램프(60)를 점등시킴으로써 객체(5)의 이동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140)는 감지결과 DB(150)에 저장된 객체(5)의 감지결과를 기반으로 위치정보의 변화를 통해 움직임을 판단하여 이상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경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제어장치(100)가 건물의 복도와 제 1 내지 제 3룸(R1~R3)에 설치된 경우, 출입이 제한된 지역이나 제한된 시간에 객체(5)가 감지될 경우 조명 제어장치(100)를 작동시키지 않거나 경보를 출력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보안상태를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00)는 학교에서 수업시간이 종료된 경우 복도에는 조명 제어장치(100)가 작동하여 조명등(70)이 점등되지만 제 1룸 내지 제 3룸(R1~R3)으로 들어가더라도 제 1룸 내지 제 3룸(R1~R3)의 조명 제어장치(100)는 작동하지 않도록 하거나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제 1룸 내지 제 3룸(R1~R3)의 조명 제어장치(100)를 통해 룸 내에 사용자가 감지될 경우 사용자인 객체(5)가 움직이지 않는 등 이상상황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출력하여 이상상황에 대한 확인을 통해 환자가 발생되거나 유실물이 발생된 경우 빠른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00)는 제 3룸(R3)이 제한된 사용자만 출입이 허가된 경우 제 3룸(R3)에 설치된 조명 제어장치(100)로부터 객체(5)가 소지한 인식태그(110)의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에만 조명 제어장치(100)를 통해 제 3룸(R3)의 조명등(70)을 점등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조명등과 함께 설치되어 인식태그의 태그정보 및 움직임을 감지하여 주변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조명 제어장치로부터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움직임에 따른 전방의 조명등을 제어하고, 주차위치 및 움직임 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움직임 위치에 따라 이동 경로에 대한 조명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움직임 상태에 따른 이상상황 및 시설물의 보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력구동부(40)로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을 도 6과 같은 형태로 더 포함한다.
예컨대,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는 상부가 개방될 경우 비, 눈에 의해 지하주차장 내부가 오염되기 때문에 보통 아치형의 지붕(ROF)을 씌우고 있다.
그리고,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의 주변 또는 아파트의 쉼터 등에는 가로등(LIT, 444)이 설치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붕(ROF)에 다수의 태양전지모듈(SUN)을 설치하고, 상기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의 벽면 상에 ESS(Energy Storage System)을 설치하여 태양광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모은 후 야간에 별도의 외부전력없이 ESS에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구동부(4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ESS의 전력은 상기 가로등(444)의 점등에도 활용될 수 있도록 스위칭 소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게 가로등(444)으로 배선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등(444)은 단순한 램프 형태가 아니라 도 7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유문등(400) 형태로 전환 사용된다.
이때, 상기 유문등(400)은 일종의 모기포집기 기능을 수행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조명제어부(3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통신부 및 카메라와 카운터를 갖춘 컨트롤러(41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컨트롤러(410)는 카메라와 카운터를 통해 포집된 모기 이미지와 포집된 모기 갯수를 조명제어부(30)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조명제어부(30)는 관리서버(140)와 통신하며, 관리서버(140)는 질병관리본부 서버 등과 통신하여 전국아파트 단위 모기 포집 현황을 통계처리하여 한 해 모기 발생량이나 모기의 종류 등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내주면에 컨트롤러(410)가 설치되고, 또한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유도망체(442)는 망공이 커 모기 등 벌레들이 출입하기 쉽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가로등(444)이 설치되어 특히, 모기가 쉽게 유인될 수 있도록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로등(444)은 유도망체(442)의 바닥면 중앙에 고정되며, 상기 ESS로부터 전원을 공급받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리드선의 배선 등은 도시상 생략하였으며, 점등제어기(미도시)를 더 탑재하여 가로등(444)의 점등과 소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가로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되는데,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센서(422)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센서(422)는 초음파센서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지만, 물체의 이동을 검출하기 쉬운 적외선센서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가 좋아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된다.
또한,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술한 컨트롤러(4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살충제분사기(424)는 시중에 시판중인 자동방향제분사기를 응용하여 회로 구성에서 분사시점을 컨트롤러(410)가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설계만 변형된 것이며,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야간에 가로등(444)이 점등되면 모기가 가로등(444) 쪽으로 유인되어 들어 오게 된다.
그런 다음, 모기는 자신이 좋아하는 유도물질(MKO)의 향 때문에 모기통과공(446)을 거쳐 유도케이스(460) 내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모기통과공(446)을 통과하는 모기를 센서(424)가 인식하여 신호를 송출한다.
그러면, 컨트롤러(410)는 살충제분사기(424)를 제어하여 살충제를 분사시킨다.
결국, 모기는 살충제를 맞고 차단판(462) 위로 낙하되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된다.
때문에, 상기 개폐모터(M)가 컨트롤러(410)의 제어하에 구동되어 드럼(D)이 와이어(W)를 감게 되면 차단판(462)이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열리게 된다.
이렇게 차단판(462)이 개방되면 그 위에 있던 모기 사체는 하방향으로 낙하되며, 바디하우징(430)의 바닥면에 모이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바닥면에는 마개(480)가 조립되어 분리가능하게 구성되므로 모인 모기 사체는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외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내구성, 방습성, 내약품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지르코니아 분말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4.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2.5중량%와, 톨루엔에 용해된 DMAP(dimethylaminopyridine) 2.5중량%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2.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와, 실리콘수지 5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2.5중량%와, 액화무수암모니아 1.5중량%와, SBR(Styrene-Butadiene Rubber)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지르코니아 분말은 성분간 바인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은 방수성 유기물이기 때문에 지르코니아 분말의 비표면적을 작게 해서 수분이 흡수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접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포타슘실리케이트(Potassium Silicate)는 무기질로서 이물 부착을 억제시키면서 방습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톨루엔에 용해된 DMAP(dimethylaminopyridine)는 경화반응을 촉진하면서 고열팽창을 억제하고 조성물들끼리의 바인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며,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내산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리콘수지는 규소와 산소 결합을 주체로 하는 고분자로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성성분간 바인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트리에탄올아민은 약알카리성으로서 산도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완충제이며, 페트롤라툼은 비결정성인 고체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모양의 물질로서 방수 기능이 있어 제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는 계면 부착력을 강화시켜 들뜸,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액화무수암모니아는 방수성과 밀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SBR(Styrene-Butadiene Rubber)은 스티렌과 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합성고무공중합체로서 좋은 접착력과 마모 저항성 및 노화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베이스수지이다.
5 : 객체 10 : 감지부
12 : 적외선 감지부 14 : 태그 감지부
20 : 저장부 30 : 조명 제어부
40 : 전력구동부 50 : 통신부
60 : 작동램프 70 : 조명등
100 : 조명 제어장치 110 : 인식태그
120 : 게이트웨이 130 : 사용자 DB
140 : 관리서버 150 : 감지결과 DB
160 : 통신망 17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3)

  1.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0)와, 조명등(70)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력구동부(40)와,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20)와, 상기 감지부(10)의 감지결과와 상기 고유코드를 전송하고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통신부(50)와, 상기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된 상기 감지결과와 상기 통신부(50)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전력구동부(40)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10)의 상기 감지결과와 함께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자신의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통신부(50)를 통해 전송하는 조명제어부(30)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구동부(40)는 아파트의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의 벽체에 설치된 ESS(Energy Storage System)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ESS는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지붕(ROF)에 설치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SUN)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상기 지하주차장 출입구(INOUT) 주변 및 아파트의 쉼터에 설치된 가로등(444)도 상기 ESS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가로등(444)은 유문등(400) 형태를 갖되,
    상기 유문등(400)은 바디하우징(430)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조명제어부(30)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통신부 및 카메라와 카운터를 갖춘 컨트롤러(410)가 탑재되며, 상기 컨트롤러(410)는 카메라와 카운터를 통해 포집된 모기 이미지와 포집된 모기 갯수를 조명제어부(30)로 송신하고, 상기 조명제어부(30)는 수신된 정보를 관리서버(140)로 전송하며, 관리서버(140)는 질병관리본부 서버와 통신하여 전국아파트 단위 모기 포집 현황을 통계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에는 망프레임(440)에 고정된 유도망체(44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도망체(442)는 모기들이 출입할 수 있는 망공을 갖고, 상기 유도망체(442)의 중앙에는 가로등(444)이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바닥면은 상기 가로등(444)이 설치되는 중앙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모기가 낙하할 수 있도록 모기통과공(446)이 형성되고, 상기 모기통과공(446)의 내주면에는 낙하하는 모기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422)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망체(442)의 상단에는 커버(450)가 구비되고, 상기 유도망체(442)는 원통형상의 유도케이스(460) 상단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는 상기 바디하우징(43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하단부 내경에는 반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차단판(462)이 차단판힌지(464)에 의해 유도케이스(460)에 조립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단판힌지(464)에는 차단판토션스프링(468)이 설치되어 상기 차단판(462)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상기 차단판(462)이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지지 못하도록 한 쌍의 차단판스토퍼(STP)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 중앙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유도물질(MKO)이 구비되고, 상기 유도물질(MKO)은 브라켓(BR)에 의해 지지되며, 브라켓(BR)은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조립되고, 상기 유도케이스(460)의 내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살충제분사기(424)가 설치되며, 상기 차단판(462)의 하측 바디하우징(430)의 내부에는 개폐모터(M)가 설치되고, 개폐모터(M)에는 드럼(D)이 연결되며, 드럼(D)에는 와이어(W)가 감겨 있고, 와이어(W)의 일단은 상기 차단판(462)의 하단면에 결속되며;
    상기 바디하우징(430)은 외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내구성, 방습성, 내약품성을 갖추도록 지르코니아 분말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4.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2.5중량%와, 톨루엔에 용해된 DMAP(dimethylaminopyridine) 2.5중량%와,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2.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4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와, 실리콘수지 5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크레실 글리시드 에테르 2.5중량%와, 액화무수암모니아 1.5중량%와, SBR(Styrene-Butadiene Rubber) 3.5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객체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의 변화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 및
    상기 객체가 휴대한 인식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태그 감지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태그 감지부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태그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장치.
  3. 제 2 항에 기재된 조명 제어장치;
    상기 조명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태그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객체의 상기 태그정보에 대한 고유정보와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설치에 따른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객체의 상기 태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조명 제어장치에서 감지한 상기 객체의 감지결과를 저장하는 감지결과 DB;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집된 상기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DB에 저장된 상기 객체의 상기 고유정보와 매칭시키고, 상기 조명 제어장치의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상기 감지결과를 상기 감지결과 DB에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의 요청에 대해 상기 객체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70140299A 2017-10-26 2017-10-26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Active KR10188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99A KR101887916B1 (ko) 2017-10-26 2017-10-26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299A KR101887916B1 (ko) 2017-10-26 2017-10-26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916B1 true KR101887916B1 (ko) 2018-08-13

Family

ID=6325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299A Active KR101887916B1 (ko) 2017-10-26 2017-10-26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748A (zh) * 2022-06-02 2022-09-13 福州立洲弹簧有限公司 一种弹簧耐久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077A (ko) * 2011-02-24 2012-09-03 김성재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KR101270343B1 (ko) * 2013-01-10 2013-05-31 진광헌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스위치장치를 이용한 조명과 보안 제어시스템
KR20140010493A (ko) * 2012-07-12 2014-01-27 그린테코 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해충 유인 장치
KR20150057072A (ko)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토페스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0328A (ko) * 2015-12-11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077A (ko) * 2011-02-24 2012-09-03 김성재 엘이디(led)조명과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장치
KR20140010493A (ko) * 2012-07-12 2014-01-27 그린테코 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해충 유인 장치
KR101270343B1 (ko) * 2013-01-10 2013-05-31 진광헌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스위치장치를 이용한 조명과 보안 제어시스템
KR20150057072A (ko) 2013-11-18 2015-05-28 주식회사 토페스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0328A (ko) * 2015-12-11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748A (zh) * 2022-06-02 2022-09-13 福州立洲弹簧有限公司 一种弹簧耐久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444B1 (ko) 멀티 모션센서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WO2020155860A1 (zh) 机器人与电梯交互系统及方法
US20120112666A1 (en) Electrical outlet activation and deactivation system
KR101015577B1 (ko) 자동 조명제어 기능을 구비한 영상녹화장치
CN102958257A (zh) 一种楼梯照明装置控制系统和方法
CN102802309A (zh) 一种智能诱导通风照明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495410B (zh) 一种住宅楼梯智能分区照明节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3749415B (zh) 太阳能频振式杀虫灯系统及控制方法
CN107561596A (zh) 一种室内节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861396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寝室系统
KR101887916B1 (ko) 조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05324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917096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안전보행 유도장치 및 그 방법
EP1625776A1 (en) Apparatus for remotely turning on and off lighting devices
JPH01187797A (ja) 照明器具の遠隔制御装置
JP2007018773A (ja) 照明制御装置、照明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70019575A (ko)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100895486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자동전원제어 비래해충 포충장치
KR20140122507A (ko) 인접 그룹별로 점등하는 독립형 조명 제어장치
KR20190140797A (ko) 능동형 스마트 가로등
CN101861003A (zh) 自动光控交通工具照明系统
CN211345103U (zh) 一种小区智能化路灯系统
CN210946900U (zh) 一种智能灯光感应井盖
KR20120019571A (ko) 조명 장치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바닥 센서
KR20100120114A (ko) 그룹화된 전등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