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572B1 - 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 Google Patents

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572B1
KR101884572B1 KR1020170114268A KR20170114268A KR101884572B1 KR 101884572 B1 KR101884572 B1 KR 101884572B1 KR 1020170114268 A KR1020170114268 A KR 1020170114268A KR 20170114268 A KR20170114268 A KR 20170114268A KR 101884572 B1 KR101884572 B1 KR 10188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undation
frame
pane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둘례
Original Assignee
김둘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둘례 filed Critical 김둘례
Priority to KR102017011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5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3Shutter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Provided is a foundation for a base outer wall of a prefabricated building, which can form correct length and a right angle at the same time with assembly without requirement to adjust lengths of unit foundations and adjust right angles of facing parts between the unit foundations since standardized components of a unit foundation are assembled in a factory and constructed on the spot, and secure economic feasibility through reduction of construction period of time and construction costs by simplifying construction of molds since panels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unit foundations. For this, the foundation for an outer wall of a prefabricated building includes: a lower frame; an upper frame located above the lower frame; at least one support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frames in a state that the upper frame is spaced upwardly from the lower frame; and at least one panel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to seal a space between the supports. Facing parts are cut and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토대의 각 구성품을 규격화한 상태에서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에 시공토록 함으로서 단위토대들의 길이는 물론 단위토대 간의 맞댐부위 직각을 따로 작업할 필요없이 조립과 동시에 길이 및 직각(혹은 정해진 경사)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이 단위토대의 외면에 패널이 부착되도록 하여 거푸집 시공을 간소화하여 시공 기간 및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ndation for a foundation outer wall of a build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ndation for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Or predetermined inclination) can be precisely realized at the same time as assembling, and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pan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base, thereby simplifying the formwork construction and securing economical efficiency through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reduction To a base for an outer wall of a prefabricated building.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에 기초시공을 한 후, 기초에 설치된 토대 상에 용접 및 볼트체결로 벽체를 설치하고, 벽체 상에 지붕을 설치하고, 건축물의 외부에 테라스나 데크를 설치할 경우 건축물 기초 시공과는 무관하게 평탄화된 지면에 기둥을 세우고 그 상부에 데크 혹은 테라스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등을 설치하여 완성하였다.Generally, in order to construct a building, a foundation is firstly applied to the floor, then a wall is provided by welding and bolting on the foundation, a roof is installed on the wall, and a terrace or deck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the case of building construction, a column was placed on the flattened ground irrespective of the foundation construction, and a plate for forming a deck or a terrace was formed thereon.

상기에서 기초 시공은, 바닥 평탄화 작업 후, 바닥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패널을,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대 및 패널들을 연결하는 연결바와 체결시켜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한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을 형성하고, 지반 타설 과정에 앵커를 설치한 후, 앵커를 통해서 토대와 지반을 서로 연결하여 시공하였다.In the above-mentioned basic construction, after the floor planarization work, a panel vertically positioned on the floor surface is fastened to a support bar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and a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panels to form a mold, and concrete is placed in the mold After forming the ground and installing the anchor in the ground casting process, the foundation and the ground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ncho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초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기초를 타설하는 과정에 앵커를 설치하고 이후 앵커와 토대를 체결하였으므로 체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앵커의 위치가 타설과정에서 몰탈의 수축 등으로 인하여 위치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아서 토대 설치 시 토대에 별도의 앵커 체결공을 천공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공기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since an anchor is installed in the foundation pouring process and then the anchor and foundation are fastened, not only a long time is required for fastening, but also the position of the anchor is reduced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mortar Is not precisely controlled, it is inconvenient to drill a separate anchor fastening hole on the foundation when the foundation is installed.

한편, 토대위에 벽체 같은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 구조물과 같은 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해당하는 기둥 구조물이 설치되기 위한 위치를 설계도에 맞추어 측정한 후, 측정된 곳으로 기둥 구조물을 들고간 다음, 상기 기둥 구조물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기둥 구조물을 토대에 고정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struct a wall-like structure on the foundation, a member such as a column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wall should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position for installing the column structur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design chart, After the structure is lifted, the column structure is fixed to the foundation by welding or the like while the column structure is standing upright.

그러나 이러한 시공 방식은 정확한 설계도면에 맞추어 기둥 구조물을 설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실무적으로 상당히 어려워 숙련된 작업자가 아닌 담에는 치수에 적힌 대로 정확한 위치를 설정하기가 어려우며, 더욱이 용접을 행할 수 있는 작업자를 따로 고용하여야 함으로서 시공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lumn structure according to the accurate design drawing.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t the precise position as described in the dimensions of the wall rather than an experienced worker, and furthermore,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in construction because it has to be hired separately.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번호 공개번호 제 10-2011-0135496 호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135496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토대의 각 구성품을 규격화한 상태에서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에 시공토록 함으로서 단위토대들의 길이는 물론 단위토대 간의 맞댐부위 직각을 따로 작업할 필요없이 조립과 동시에 길이 및 직각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이 단위토대의 외면에 패널이 부착되도록 하여 거푸집 시공을 간소화하여 시공 기간 및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 It is possible to precisely adjust the length and the right angle at the same time as the assembly, and moreover, by attaching the pane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bas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formwork construction and secure the economical efficiency b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It is in providing the foundation.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에 있어서,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 하부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기 하부프레임 위에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 상기 서포트의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서포트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에는 맞댐부가 절개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undation for a base outer wall of a composite building, comprising: a lower frame; an upper frame positioned above the lower frame; At least one support for supporting the frame in a state where the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least one panel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And the abutted portion is formed to be incised.

상기 하부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 상기 구멍에 체결되는 블라인더너트, 상기 블라인더너트의 체결구멍에 나사식으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앵커볼트로 구성한 레벨수단이 더 포함되어 설치함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hole penetrating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a blind nut fastened to the hole, and an anchor bolt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blind nut so as to be upwardly and downwardly screw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t.

상기 서포트의 외면 상, 하단에는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서포트 사이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으로 상기 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서포트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 bracket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and a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between the bracket and the support, the panel is detachably fitted to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is sealed. desirable.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맞댐부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상부 개방형 맞댐부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된 맞댐부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하부 개방형 맞댐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butt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frame is formed as an upper openable butt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d the butt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frame is configured as a lower openable butt portion having a lower end opened.

본 발명은 단위토대의 각 구성품을 규격화한 상태에서 공장에서 조립하여 현장에 시공토록 함으로서 단위토대들의 길이는 물론 단위토대 간의 맞댐부위 직각을 따로 작업할 필요없이 조립과 동시에 길이 및 직각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이 단위토대의 외면에 거푸집 패널이 부착되도록 하여 거푸집 시공을 간소화하여 시공 기간 및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component of a unit base is standardized, it is assembled at a factory and is installed in the field, so that the length and the right angle can be precisely realized at the same time as assembling, without needing to work on the unit foundation, Furthermore, since the form panel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foundation,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form construction and to secure the economical efficiency through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reduction.

또한, 단위토대의 각 구성품들의 규격화를 통해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mass production can be achieved through standardiz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unit ba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의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주요구성을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널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cerpt of the structure of a foundation for a base outer wall of the assembled building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illustrat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Fig. 2; Fig.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2;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anel is attach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nly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which may be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descriptions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토대 및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상기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 기초 외벽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토대(100)와, 상기 단위토대(100) 위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외벽(200) 및 천정과 같은 구조물을 지탱하는 수단인 기둥등으로 건축물의 골조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or more unit bases 100 constituting a base outer wall of a building, an outer wall 20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nit foundation 100, And the pillars, which are the means of supporting the structure, constitute the framework of the building.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단위토대(100)의 구조를 통해 조립과 동시에 건축물의 길이는 물론 단위토대(100) 간의 맞댐 부위 직각이 정확히 이루어지며 거푸집 시공을 간소화하여 시공 기간 및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단위토대를 구현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oundation unit foundation (100)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not only the length of the building but also the right angle of the butt portion between the foundation (100) can be precisely mad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formwork can be simplified, And to realize a unit basis for securing it.

단위토대(100)는 건축물의 외벽을 지탱하는 부재로서, 상, 하부프레임(10, 20), 서포트(30), 브라켓(40) 및 패널(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unit base 100 is a member for support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includes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a support 30, a bracket 40 and a panel 50.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은 건축물의 외벽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누운상태로 서포트(30)를 사이에 두고 상, 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는 프레임이다.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are horizontally lai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support 3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상부프레임(10)에는 외벽이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0)은 건축물이 지어지는 기초 바닥면에 위치하게 된다.The upper frame 10 is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an outer wall is raised, and the lower frame 20 is positioned on a foundation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2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28)으로는 기초바닥면에 설치되어 지는 단위토대(100)의 높, 낮이를 조정하는 레벨수단(60)이 설치된다.At least one hole 28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20 and the hole 28 is formed in a level means 60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nit base 100 installed on the base floor, ) Is installed.

즉, 단위토대는 건축물에서 바닥을 구성하게 되는 바, 각 단위토대(100)의 수평 레벨이 틀려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건축물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단위토대로 사용되는 하부프레임(20)의 수평 레벨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수단 역시 필요하게 된다.That is, the unit foundation constitutes the floor in the building. When the horizontal level of each unit foundation 100 is different, the floor of the building is not flat. As a result, the lower frame 20, There is also a need for a means for easily adjusting the horizontal level of the image.

상기 레벨수단(60)은 하부프레임(20)의 구멍(28)에 고정 설치되는 블라인더너트(62), 상기 블라인더너트(62)의 체결구멍(64)에 나사식으로 관통 체결되는 앵커볼트(66)를 포함한다. 상기한 레벨수단(60)은 공구를 이용하여 앵커볼트(66)를 회전시키면 상기 앵커볼트(66)는 블라인드너트(62)의 체결구멍(6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을 타고 상, 하 이동하며 하부프레임(20)의 높낮이를 조정해 결과적으로 단위토대(100)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The level means 60 includes a blind nut 62 fixed to the hole 28 of the lower frame 20 and an anchor bolt 66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64 of the blind nut 62 ). When the anchor bolt 66 is rotated using a tool, the leveling means 60 moves the anchor bolt 66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thread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64 of the blind nut 62 The height of the lower frame 20 can be adjusted, and as a result, the level of the unit base 100 can be adjusted.

상기 상부프레임(10)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위쪽에 서포트(3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프레임(10)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외벽이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어 진다.The upper frame 10 is installed above the lower frame 20 with a support 3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s supported in a state where the outer wall is raised as mentioned above in the upper frame 10.

상기 상부프레임(1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개방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개방형 홈에는 건축물의 내벽을 지탱하는 내벽토대의 상부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하부개방형 홈이 서로 맞물려지며 내벽토대의 상부프레임을 외벽 단위 토대의 상부프레임에 연결 고정하게 된다.At least one upper open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frame 10 and a lower open groove formed at the end of the upper frame of the inner wall base supporting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is engaged with the upper open groove, And the upper frame is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of the outer wall unit base.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양단에는 맞댐부(16)가 절개 형성되는 데, 상기 맞댐부(16)는 다른 단위토대(100)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는 맞댐부가 맞대여지는 과정에서 각 상부프레임(10)의 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하여 직각되게 맞대여 지는 두개의 단위토대(100)를 정확하게 직각 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butt portion 16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10 so that the butt portion 16 is formed in the process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butt portion formed on the upper frame 10 of the other unit foundation 100 So that the ends of the upper frames 10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so that the two unit bases 100, which are perpendicularly engaged with each other, can be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이를 위해 상부프레임(10)의 양단에 맞댐부(16)를 형성하되, 상부프레임(10)의 일단에 형성된 맞댐부(16)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상부 개방형 맞댐부(일명"받을장")(16a)로 형성하고 그 타단에 형성된 맞댐부(16)는 이와 반대인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하부 개방형 맞댐부(일명 "덮을 장")(16b)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두 개의 단위토대(100)를 서로 직각되게 연결하고자 할 때, 하나의 단위토대(10)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상부 개방형 맞댐부(16a)에 다른 단위토대(100)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 맞댐부(16b)를 포개어주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체결수단 및 각도 계산을 위한 작업 없이도 두 개의 단위토대(100)를 정확히 90°로 직각되게 맞댐 연결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an abutting portion 16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10, and an abutting portion 16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frame 10 has an upper openable butt portion (also called a & ) 16a and the butt portion 16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is formed so as to form a lower openable butt portion (also referred to as a "covered portion") 16b, (Not shown) formed in the upper frame 10 of another unitary base 100 in the upper open-shaped butted portion 16a formed in the upper frame 10 of one unitary base 10, The two openings 16b are superimposed so that the two unit bases 100 can be vertically aligned at a right angle of 90 without any additional fastening means and no operation for angle calculation.

또한, 단위토대(100)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20)의 양단에도 서로 반대 방향의 상, 하부개방형 맞댐부(26a, 26b)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과 같이 두 개의 단위포대(100)를 서로 직각되게 맞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Upper and lower openable butt portions 26a and 26b opposite to each other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20 constituting the unitary base 100 so that two unit cellar (100) to be perpendicularly aligned with each other.

상기 서포트(30)는 상, 하로 위치하는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 하부프레임(10, 20)을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외측 하면에는 상기 서포트(30)의 상단이 끼워진 상태로 용접 접합되기 위한 체결홈(12)이 형성되고, 또한 하부프레임(20)의 외측 상면에도 상기 서포트(30)의 하단이 끼워진 상태로 용접 접합되기 위한 체결홈(2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The support 30 is a member for fix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to each other while being vertically er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located up and down. For this purpose, a fastening groove 12 is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upper frame 10 to wel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0 to the upper frame 10, and on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0, Is formed to be weld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groove 22 is fitted.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을 연결하는 서포트(30)의 사이 사이 공간을 패널(50)로 폐쇄시킬 수 있도록 거푸집패널(50)이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42)를 형성시키는 수단이다.The bracket 40 includes a locking part 42 for fixing the form panel 5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3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can be closed by the panel 50 ).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서포트(30)의 전면 상, 하단에 체결수단인 피스로 결합하되, 상기 브라켓(40)의 폭(W2)은 상기 서포트(30)의 폭(W1) 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서포트(30)에 접합시 상기 브라켓(40)의 양단이 상기 서포트(3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서포트(30)의 외측으로 노출된 브라켓(40)의 양단에 패널(50)의 양측이 걸려질 수 있는 걸림부(42)가 자연스럽게 형성됨으로서패널(50)은 서포트(30) 사이 공간을 폐쇄시킨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The bracket 40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30 by a fastening member such that the width W2 of the bracket 40 is greater than the width W1 of the support 30 And both ends of the bracket 40 protrude outward from the support 30 when the support 30 is joined. The panel 50 is natu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bracket 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30 so that both sides of the panel 50 can be hooked, As shown in FIG.

상기 브라켓(40)의 내면 중앙에는 상기 서포트(30)가 끼워질 수 있는 가이드홈(44)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nd a guide groove 4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40 so that the support 30 can be fitted.

상기 패널(50)은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상기 서포트(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시키는 부재로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패널(50)은 도 4에서와 같이 거푸집용 패널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40)에 걸려진 상태에서 거푸집 시공이 완료되고 나면 브라켓(40)을 분리한 후 패널을 빼내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패널(50)은 통상의 외장 마감용 패널로 구성하여, 상기 브라켓(40)의 사용 없이 서포트(30)의 외면에 직접 부착시켜 거푸집 및 마감재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panel 50 is a flat plate type member that hermetically seals a space formed between the supports 30. The panel 50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mold panel as shown in FIG. The panel 50 may be removed from the bracket 40, and the panel 50 may be removed and reused.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5, the panel 50 may be used for ordinary exterior finishing Panel so as to be direct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30 without using the bracket 40 so as to realize functions as a formwork and a finishing material at the same time.

상기 패널(50)은 상기 서포트(30)의 전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그 양측은 상기 서포트(30)의 전면 상,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40)의 양단에 걸려지며 고정상태를 유지한다.The panel 50 is covered by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30 and both sides of the panel 50 are caught by both ends of the bracket 40 attached to the front and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 30 and remain fix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토대(100)를 건축물의 외벽이 세워질 곳의 기초 바닥면을 따라 설치한 후, 단위토대(100)로 구획된 건축물의 내부 공간으로 각종 배관 및 전기 배선 기본 공사를 행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여 건축물의 바닥을 구성하도록 한다.After the unit foundation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long the foundation bottom surface where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to be erected, various piping and electrical wiring work are done in the inner space of the building divided by the unit foundation 100, After pouring the concrete, cure it to form the floor of the building.

특히, 상기 단위토대(100)를 현장에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단위토대(10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 예를 들어 상, 하부프레임(10, 20), 서포트(30), 브라켓(40) 및 패널(50)을 대량으로 생산한 후, 각 구성품을 설계도면에 맞추어 정확한 치수로 제작한 상태에서 시공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곧바로 시공토록 함으로서 작업의 번거로움없이 신속한 작업이 진행되어 작업기간을 줄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unit base 100 is not manufactured in the field but various components such as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a support 30, a bracket 40 ) And the panel 50 are manufactured in a large quantity, and each component is manufactured in a precise dimension according to the design drawing, and then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Then, the construction is immediately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secure economical efficiency.

10: 상부프레임 20: 하부프레임
30: 서포트 40: 브라켓
50: 패널 100: 단위토대
10: upper frame 20: lower frame
30: Support 40: Bracket
50: Panel 100: Unit Basis

Claims (4)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 외벽용 토대에 있어서,
하부프레임(20);
상기 하부프레임(20)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10);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위치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0)을 상기 하부프레임(20) 위에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포트(30);
상기 서포트(30)의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서포트(30)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5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양단에는 맞댐부(16, 26)가 각각 절개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일단에 형성된 맞댐부(16, 26)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상부 개방형 맞댐부(16a, 26a)로 구성하고, 상기 상, 하부프레임(10, 20)의 타단에 형성된 맞댐부(16, 26)는 하단이 개방된 형태의 하부 개방형 맞댐부(16b, 26b)로 구성하여;
하나의 단위토대(10)의 상, 하부프레임(10, 20)에 형성된 상부 개방형 맞댐부(16a, 26a)에 다른 단위토대(100)의 상, 하부프레임(10, 20)에 형성된 하부 개방형 맞댐부(16b, 26b)를 포개어주도록 하여 두 개의 단위토대(10, 100)를 90°로 직각되게 맞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서포트(30)의 외면 상, 하단에는 브라켓(40)을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40)의 폭(W2)은 상기 서포트(30)의 폭(W1) 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40)의 양단이 상기 서포트(3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서포트(3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브라켓(40)의 양단에 패널(50)의 양측이 걸려질 수 있는 걸림부(42)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걸림부(42)로 상기 패널(50)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서포트(30)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40)의 내면 중앙에는 가이드홈(44)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4)에 상기 서포트(30)가 끼워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2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28)에는 블라인드너트(62)가 체결되며, 상기 블라인드너트(62)의 체결구멍(64)에는 앵커볼트(66)가 나사식으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하부프레임(20)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단위토대(100)의 레벨을 조정하는 레벨수단이 더 포함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기초 외벽용 토대.

In the foundation for the foundation outer wall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 lower frame 20;
An upper frame 10 positioned above the lower frame 20;
At least one support (30)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20) and supporting the upper frame (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lower frame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t least one panel (50)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30) and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30);
The opposite ends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20) are provided with cutouts (16, 26), respectively.
The butt portions 16 and 26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are composed of upper openable butt portions 16a and 26a having open ends and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 The butt portions 16 and 26 formed at the other end are formed by the lower openable butt portions 16b and 26b with the lower end opened;
The lower openable butted portion 16a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of the other unitary base 100 and the upper openable butted portion 16b formed in the upper openable butted portions 16a and 26a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frames 10 and 20 of one unitary base 10, So that the two unit bases 10 and 100 can be perpendicularly aligned at an angle of 90 [deg.];
A bracket (40) is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and a lower end of the support (30);
The width W2 of the bracket 4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W1 of the support 30 so that both ends of the bracket 40 protrude outside the support 30, The panel 50 is detached by the engaging portion 42 so that both sides of the panel 50 can be engaged with both ends of the bracket 4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anel 30, So as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s 30;
A guide groove (4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40), and the support (30) is fitted in the guide groove (44);
At least one hole 28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20 so that the blind nut 62 is fastened to the hole 28 and the fastening hole 64 of the blind nut 62 is fastened. Further comprises level means for adjusting the level of the unitary base 100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wer frame 20 so that the anchor bolt 66 is screwed upward and downward so as to be movable. Prefabricated foundation for foundation outer wa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14268A 2017-09-07 2017-09-07 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KR1018845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68A KR101884572B1 (en) 2017-09-07 2017-09-07 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68A KR101884572B1 (en) 2017-09-07 2017-09-07 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572B1 true KR101884572B1 (en) 2018-08-29

Family

ID=6343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268A KR101884572B1 (en) 2017-09-07 2017-09-07 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5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182A (en) *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그린큐브 Building basic structure construc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05B1 (en) * 2009-01-15 2010-01-06 엄기형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joining plates
KR20110135496A (en) 2010-06-11 2011-12-19 이병화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and form
KR20130036684A (en) * 2011-10-04 2013-04-12 박현숙 Transparent soundproofing wall
KR20150002703U (en) * 2013-12-27 2015-07-08 전병철 Adjustable height of the lower fr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05B1 (en) * 2009-01-15 2010-01-06 엄기형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joining plates
KR20110135496A (en) 2010-06-11 2011-12-19 이병화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and form
KR20130036684A (en) * 2011-10-04 2013-04-12 박현숙 Transparent soundproofing wall
KR20150002703U (en) * 2013-12-27 2015-07-08 전병철 Adjustable height of the lower fr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182A (en) *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그린큐브 Building basic structure construction system
KR102440094B1 (en) 2020-11-04 2022-09-05 주식회사 그린큐브 Building basic structure construc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679B1 (en) Splicing Method of Embedded type Baseplate with Steel Column
KR101766806B1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temporary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the modular system using the same
KR101574253B1 (en) A method for construction using a twin wall structure using a PC panel
KR101844344B1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JP6046984B2 (en) Seismic isol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precast concrete footing
KR101884572B1 (en) Assembly External wall structure of a building
JP5574328B2 (en) Tokai seismic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3762689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wall frame panel and floor slab foundation
JP4235079B2 (en) Structure of joint between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eel beam
JP5923287B2 (en) Column base protection structure and protection cover
KR101836896B1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construction method of rigi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20527202A (en) Balcony device
KR101294909B1 (en) Joint structure of building module
KR101884571B1 (en) Structure for Outer Wall of Building
KR101920965B1 (en) Construction materials frame
KR102256173B1 (en) Seismic and Thermal Reinforc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3261405B2 (en) Handrail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
JP6453116B2 (en) Building floor structure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JP3145989U (en) Lightweight construction
JP5658455B2 (en) Unit building
JP6857039B2 (en) Local manufacturing method for simple structures
JP5839702B2 (en) Building units and unit buildings
KR101864198B1 (en) the SRC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the plat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upper column and precast concrete lower column
WO2019130380A1 (en) Prefabricated house
JP2022118966A (en) Joining structure of concrete foundation and pca column, and joining method of concrete foundation and pca column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