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109B1 - 입상체 조출 장치, 입상체 살포 장치 및 살포 작업차 - Google Patents

입상체 조출 장치, 입상체 살포 장치 및 살포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109B1
KR101876109B1 KR1020167025387A KR20167025387A KR101876109B1 KR 101876109 B1 KR101876109 B1 KR 101876109B1 KR 1020167025387 A KR1020167025387 A KR 1020167025387A KR 20167025387 A KR20167025387 A KR 20167025387A KR 101876109 B1 KR101876109 B1 KR 101876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roll
discharge
case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354A (ko
Inventor
유이치 타케다
켄스케 오마에
토모하루 우시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93170A external-priority patent/JP63736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931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20830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9317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7913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3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01C7/102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eed 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01C15/007Hoppers with agitators in the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01C7/107Calibration of the seed 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01C7/123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 A01C7/124Housings for feed rollers or wheels with top delivery of the se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조출 케이스(21)는 방출구(38)와, 배출로(40)와, 칸막이 부재(35)를 구비하고 있다. 방출구(38)로부터는 조출된 종자가 지면을 향해서 방출된다.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의 종자 유입 공간(34) 내에 잔류한 종자를 방출구(38)와는 다른 위치로부터 배출한다. 칸막이 부재(35)는 배출로(40)보다 상부의 위치에 있어서, 조출 케이스(21)의 종자 유입 공간(34) 내의 종자가 배출로(40)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Description

입상체 조출 장치, 입상체 살포 장치 및 살포 작업차{GRANULAR BODY FEEDING DEVICE, GRANULAR BODY SCATTERING DEVICE, AND SCATTERING WORK VEHICLE}
본 발명은 주로서 입상체 조출 장치에 있어서 조출 케이스 내에서 남은 입상체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자(입상의 고형물)를 소량씩 조출해서 포장에 살포하는 직파 장치(입상체 살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직파 장치는 입상체 조출 장치를 구비하고, 이 입상체 조출 장치는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된 조출 케이스를 구비한다. 조출 케이스 내에는 둘레면에 조출 구멍이 형성된 조출 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출 롤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호퍼 내의 종자를 소량씩 조출 구멍으로 도입하여 포장의 지면을 향해서 방출한다. 이러한 직파 장치(파종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직파 장치에 의한 살포 작업이 종료되었을 때에는 상기 직파 장치의 장치 내에 남아있는 종자를 외부로 배출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 그래서, 직파 장치는 장치 내에 남은 종자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살포 장치에 잔류한 살포물의 외부로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터넌스부를 설치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이 종류의 입상체 조출 장치에 있어서는 조출하는 종자의 양을 조정하는 조정 기구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는 조출 롤을 본체 롤과 감합 롤로 구성하고, 감합 롤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조출 구멍(반송 구멍)의 용적을 변경하는 슬라이드롤 타입의 조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실시예 2). 이것에 의해, 종자의 조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3-13223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7-37495호 공보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파종 장치(직파 장치)의 메인터넌스부는 조작 레버를 후방으로 요동 조작해서 브러시를 퇴피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파종 가이드를 통해서 잔류 볍씨를 인출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의 파종 장치가 구비하는 파종 가이드는 지면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면으로부터 비산한 흙탕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파종 장치의 메인터넌스부는 파종 가이드를 통해서 잔류 볍씨를 인출하는 구성이므로, 파종 가이드에 부착되어 있는 흙탕물이 상기 볍씨에 혼입될 가능성이 높다. 인출한 볍씨에 흙탕물이 부착되어버리면, 상기 볍씨를 재사용할 때에 진흙을 분리할 필요가 발생하여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파종 장치의 메인터넌스부는 파종 가이드를 통해서 잔류 볍씨를 인출하는 구성으므로, 상기 볍씨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용기를 파종 가이드 아래에 차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파종 가이드는 지면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회수 용기를 차입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파종 장치 전체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잔류 볍씨를 회수할 때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시비 장치에도 메인터넌스부를 설치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이 개시하는 시비 장치의 메인터넌스부는 비료 배출구를 폐쇄하고 있는 캡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비료 배출구로부터 잔류 비료를 인출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의 시비 장치의 메인터넌스부의 구성에서는 작업자는 캡을 분리할 때에 배출되는 비료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용기를 비료 배출구 아래에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작업자는 한 손으로 회수 용기를 준비하면서, 한 손으로 캡을 분리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되어 캡의 분리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시비 장치의 구성에서는 비료 배출구의 하단부를 캡으로 폐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비료 배출구에 있어서 캡보다 상부의 부분에는 비료가 고여 버린다. 비료 배출구의 내부에 고인 비료는 조출 롤의 회전에 의해 조출될 수 없다. 따라서, 이 부분에 고인 비료는 포장으로 살포할 수 없어 반드시 잔류하게 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낭비가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주요한 목적은 입상물을 조출하는 입상체 조출 장치에 있어서, 장치 내의 입상체를 배출할 때에 흙탕물 등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배출의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입상체를 조출하는 입상체 조출 장치가 이하 와 같이 제공된다. 즉, 이 입상체 조출 장치는 상기 입상체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입상체가 공급되는 조출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조출 케이스는 방출구와, 배출로와, 칸막이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방출구로부터는 조출된 입상체가 지면을 향해서 방출된다. 상기 배출로는 상기 조출 케이스 내에 잔류한 입상체를 상기 방출구와는 다른 위치로부터 배출한다.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배출로보다 상부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출 케이스 내의 입상체가 상기 배출로로 유입하는 것을 막는다.
이 구성에 의해 칸막이 부재에 의한 막기를 해제함으로써 조출 케이스 내의 입상체를 배출로를 통해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로의 출구를 방출구와는 별도로 배치했으므로, 상기 방출구에 부착되어 있는 흙탕물 등을 혼입시키지 않고 입상체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를 배출로보다 상부의 위치로 함으로써, 배출로 내에 입상체가 고이는 상태가 되는 일이 없다. 이것에 의해, 입상체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입상체 조출 장치는 조출 롤과 가이드 부재를 상기 조출 케이스 내에 구비한다. 상기 조출 롤은 상기 입상체를 도입하는 조출 구멍을 주위에 갖는 대략 원주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조출 롤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다. 상기 배출로의 저면은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의 하방을 향하는 면에는 스토퍼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조출 롤의 둘레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조출 롤의 조출 구멍으로부터 입상체가 튀어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가 조출 롤로부터 소정 이상 멀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출 구멍으로부터 입상체가 방출되는 타이밍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로에 스토퍼를 지지시킴으로써, 스토퍼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출 케이스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출로는 상기 조출 케이스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고, 외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외측의 단부가 상기 조출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출로를 비스듬히 배치함으로써 조출 케이스 내의 입상체를 배출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출로를 조출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배출로의 단부의 아래에 용기를 차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로를 통해서 배출되는 입상체를 흘리지 않고 용기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에는 상기 배출로의 상기 조출 케이스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상기 조출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버에 의해 배출로를 외측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상기 배출로에 흙탕물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로를 통해서 입상체를 배출할 때에, 상기 입상체에 진흙 등이 혼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입상체를 살포하는 입상체 살포 장치가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장치 내의 입상체를 배출할 때에 흙탕물 등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배출의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입상체 살포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하면,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와,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서 주행가능한 차체를 구비한 살포 작업차가 제공된다. 이 살포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상기 조출 케이스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된 입상체를 회수하는 작업을 차체의 후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를 취하기 쉬워서 상기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살포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직파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직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호퍼 및 조출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롤 삽입 통과부를 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호퍼 및 조출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은 호퍼 및 조출 케이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조출 롤 및 롤 삽입 통과부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조출 케이스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조출 롤에 의해 종자를 조출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배출로에 의해 종자를 배출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배출로를 분리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4는 피구동 기어와 조출 롤의 연결을 해제한 모양을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5는 조출 롤을 분리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변형예에 관한 커버 부재를 조출 케이스에 부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변형예에 관한 조출 케이스에 파종 가이드 및 커버를 부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변형예에 관한 커버 부재가 회전 중지되어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변형예에 관한 연결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살포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플로트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구절기의 구성을 투과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조출 롤 및 커버 부재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과 같은 각도에서 조출 롤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조출량이 비교적 많은 경우를 나타내는 조출 케이스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26은 조출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를 나타내는 조출 케이스의 배면 단면도이다.
도 27은 나사 이송 기구를 주로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28은 변형예에 관한 호퍼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9는 변형예에 관한 직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0은 변형예에 관한 나사 이송 기구를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31은 변형예에 관한 플로트의 평면도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농업용 살포 작업차(1)의 측면도이다.
살포 작업차(1)는 차체(2)와, 상기 차체(2)의 후방에 배치된 직파 장치(입상체 살포 장치)(3)로 구성되어 있다.
차체(2)는 좌우 한 쌍의 전륜(4) 및 후륜(5)(주행 수단)과, 상기 전륜(4) 및 후륜(5)의 구동원인 엔진(1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체(2)의 전후 방향에서 전륜(4)과 후륜(5) 사이의 위치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 좌석(6)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6)의 전방에는 오퍼레이터가 차체(2)를 조향 조작하기 위한 조향 핸들(7)이 배치되어 있다.
차체(2)의 후방에는 상기 직파 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직파 장치(3)는 연결 기구(12)를 통해서 차체(2)에 부착되어 있다. 연결 기구(12)는 직파 장치(3)를 승강가능한 평행 링크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직파 장치(3)의 상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차체(2)의 후부에는 엔진(10)의 구동력을 직파 장치(3)로 출력하기 위한 PTO축(1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차체(2)는 엔진(10)을 전륜(4) 및 후륜(5)의 차축의 사이에 배치한 소위 미드십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엔진(10)의 근방에는 도시 생략한 연료 탱크가 배치되어 있다. 다만, 엔진(10) 및 연료 탱크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엔진(10)은 차체 전부분의 보닛 내에 배치해도 좋고, 차체 후부분에 배치해도 좋다. 연료 탱크도 마찬가지로 차체 전부분의 보닛 내나 차체 후부분 등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직파 장치(3)는 입상체인 종자(볍씨)를 소량씩 지면에 살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살포 작업차(1)는 직파 장치(3)를 구동하면서 주행함으로써, 지면에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종자를 파종해 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차체(2)는 농업용의 다목적 작업차로서 구성되어 있고, 직파 장치(3) 대신에 다른 종류의 작업기를 부착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는 차체(2)의 연결 기구(12)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그리고, 연결 기구(12)에는 직파 장치(3) 이외의 농업용 작업기(예를 들면, 모내기 장치, 제초 장치 등)를 부착할 수 있다.
직파 장치(3)는 프레임(19)과 입상체 조출 장치(3a)를 구비한다.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호퍼(20)와 조출 케이스(21)를 구비한다.
프레임(19)은 상술한 연결 기구(12)에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19)은, 예를 들면 각파이프 형상의 부재이며, 도 2 및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2)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9)에는 조출 케이스(21)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조출 케이스(21)에 대한 프레임(19)의 부착에 관해서는 볼트 체결 등의 적당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조출 케이스(21)는 종자를 소량씩 조출해서 지면을 향해서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출 케이스(21)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는 6조분의 종자를 동시에 살포할 수 있도록 6개의 조출 케이스(21)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고 있다(도 2 및 도 3을 참조).
호퍼(20)는 포장에 파종하는 종자(입상체)를 넣어 두기 위한 용기이다. 호퍼(2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된 상부로부터 종자를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호퍼(20)는 개방되어 있는 상부를 덮기 위한 뚜껑부(22)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20)는 조출 케이스(21) 상에 고정되어 있다. 호퍼(20)에는 상기 호퍼(20)를 조출 케이스(21)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록 기구(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 기구(24)에 의한 고정은 해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호퍼(2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호퍼(20)를 분리하는 함으로써, 상기 호퍼(20) 내의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호퍼(20)의 하부는 그 하단부에 근접함에 따라서 가늘어지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통로부(23)로 되어 있다. 통로부(23)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호퍼(20) 내의 종자는 통로부(23)를 통해서 호퍼(20)의 하방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호퍼(20)는 2조분의 종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호퍼(20)의 하부는 두 갈래로 나누어져 있고, 1개의 호퍼(20)에 2개의 통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통로부(23)의 하부에 조출 케이스(2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는 6개의 조출 케이스(21)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3개의 호퍼(20)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고 있다(도 2 및 도 3을 참조).
호퍼(20)는 통로부(23)의 도중에 셔터(25)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25)는 통로부(23)를 폐쇄한 상태(도 12의 상태)와 통로부(23)를 폐쇄하지 않은 상태(도 11의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셔터(25)에 의해 통로부(23)를 폐쇄함으로써, 호퍼(20) 내의 종자가 통로부(23)를 통해서 하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호퍼(20) 내에 종자가 남아있는 상태이어도, 상기 호퍼(2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도 12을 참조). 또한, 셔터(25)의 일부는 조출 케이스(21)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부분에 손잡이(26)가 고정되어 있다. 이 손잡이(26)를 손가락으로 잡고 밀고 당김으로써, 셔터(25)의 개폐를 스위칭할 수 있다.
계속해서, 조출 케이스(21)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출 케이스(21)는 수지제이고, 대략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출 케이스(21)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개구부(27)로 되어 있다(도 12을 참조). 조출 케이스(21)에 호퍼(20)를 고정한 상태(도 8의 상태)에 있어서, 조출 케이스(21)의 개구부(27)는 호퍼(20)의 통로부(23)에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호퍼(20) 내의 종자가 개구부(27)를 통해서 조출 케이스(21) 내로 공급된다(도 11을 참조).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내부에 있어서 개구부(27)의 하방에는 조출 롤(조출부)(28)이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롤(28)은 조출축(29)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대략 원주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출축(29)은 차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조출 케이스(21)에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롤(28)은 축선(29a)을 차체(2)의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향해서 배치되어 있어, 또한 상기 축선(29a)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도 8~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롤(28)의 둘레면에는 조출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조출 구멍(11)은 조출 롤(28)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조출 구멍(11)은 오목부로서 구성되고 있고, 소정량(몇알 정도)의 종자를 도입할 수 있는 정도의 용량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조출 롤(28)은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롤 타입의 조출 롤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롤(28)은 본체 롤(57)과 감합 롤(58)을 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감합 롤(58)은 본체 롤(57)에 대하여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롤(57) 및 감합 롤(58)은 각각 대략 원주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롤(57)의 둘레면에는 상술한 조출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조출 구멍(11)은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감합 롤(58)에는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출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60)는 본체 롤(57)의 상기 조출 구멍(11)에 대응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합 롤(58)의 돌출부(60)가 본체 롤(57)의 조출 구멍(11)의 내부로 축선(29a) 방향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출 구멍(11) 중 돌출부(60)가 삽입된 부분은 상기 돌출부(60)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조출 구멍(11)에 대한 돌출부(60)의 삽입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체 롤(57)에 대하여 감합 롤(58)을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조출 롤(28)에는 도시 생략한 나사 이송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이송 기구에 의해, 본체 롤(57)에 대하여 감합 롤(58)을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에는 상기 나사 이송 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정 기어(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 기어(61)는 상기 축선(29a)과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에는 조정 기어(61)에 맞물림 가능한 조작 기어(62)가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조정 기어(6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정 기어(61)를 회전시켜서 상기 나사 이송 기구에 의해 감합 롤(58)을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하기 위한 기구(상기 나사 이송 기구, 조정 기어(61) 및 조작 기어(62))는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가 구비하는 6개의 조출 케이스(21)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조출 케이스(21)의 조작 기어(62)끼리는 연결축(6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축(63)의 단부에는 조작 핸들(6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핸들(64)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6개의 조출 케이스(21)의 조작 기어(62)를 일제히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조출 롤(28)의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6개의 조출 케이스(21)에 의해 일제히 변경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에는 조출축(29)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피구동 기어(조출 종동 기어, 피구동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피구동 기어(30)는 조출 롤(28)의 축선(29a)(조출축(29)의 축선)에 축선을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피구동 기어(30)는 조출 롤(28)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또한, 피구동 기어(30)와 조출 롤(28)의 연결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조출 케이스(21)에는 피구동 기어(30)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구동 기어(조출 구동 기어)(3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어(31)는 그 축선이 차체 좌우 방향으로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조출 케이스(21)에 축지지되어 있다. 구동 기어(31)는 회전축(79)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직파 장치(3)는 상기 PTO축(13)으로부터 출력되는 엔진의 회전 구동력을 간헐 회전 운동으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구동 출력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출력부가 출력하는 간헐 회전 운동은 회전축(79)에 입력되고, 각 조출 케이스(21)의 구동 기어(31)에 더욱 입력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각 조출 케이스(21) 내의 조출 롤(28)을 일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간헐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내부에 있어서, 조출 롤(28)의 상방의 공간은 종자 유입 공간(34)으로 되어 있다. 종자 유입 공간(34)에는 호퍼(20)의 통로부(23)로부터 유출된 종자가 유입한다(도 11). 종자 유입 공간(34)에 유입한 종자는 조출 구멍(11)의 내부로 소정량씩(몇알씩) 도입된다(도 11을 참조). 또한, 이하에서는 조출 구멍(11)에 도입되는 종자의 양을 「조출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조출 구멍(11) 내에 종자를 도입한 상태에서 조출 롤(28)이 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조출 구멍(11) 내에 도입한 종자를 하방을 향해서 반송할 수 있다.
도 8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종자 유입 공간(34)을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부재(3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칸막이 부재(35)는 브러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선단을 조출 롤(28)의 외주면에 근접 또는 접촉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 부재(35)에 의해, 종자 유입 공간(34) 내의 종자가 하방으로 넘치지 않도록 막아져 있다(도 11을 참조).
또한, 조출 롤(28)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출 롤(28)의 외주면과 칸막이 부재(35)의 선단이 상대 운동하므로, 조출 구멍(11)으로부터 오버플로잉되어 있는 종자는 브러시 형상의 칸막이 부재(35)의 선단에 의해 조출 구멍(11)의 외측으로 쓸어 내진다. 이 결과, 각 조출 구멍(11)에 도입되는 종자의 양이 균일화된다. 이것에 의해, 조출 구멍(11)에 의해 반송되는 종자의 양이 안정됨과 아울러, 상기 조출 구멍(11)으로부터 종자가 오버플로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내부에는 가이드 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6)는 탄성을 갖는 판상의 부재이며, 조출 롤(28)의 외주면의 일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6)는 조출 롤(28)의 둘레면의 조출 구멍(11)을 외측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상기 조출 구멍(11) 내의 종자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부재(36)는 조출 롤(28)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칸막이 부재(35)의 바로 하류측의 위치로부터 조출 구멍(11)이 하방을 향하는 위치보다 상류측의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조출 롤(28)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조출 구멍(11)에 종자가 도입된 후, 상기 조출 구멍(11)이 하방을 향하기까지의 사이는 상기 조출 구멍(11)이 가이드 부재(36)에 의해 덮혀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조출 구멍(11)이 하방을 향하기까지의 사이 상기 조출 구멍(11)으로부터 종자가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이드 부재(36)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출 구멍(11)에 도입된 종자는 조출 구멍(11)이 하방을 향했을 때에, 상기 조출 구멍(11)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방출된다. 이것에 의해, 종자가 조출 구멍(11)으로부터 방출되는 타이밍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이드 부재(36)는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36)는 조출 롤(28)의 둘레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조출 구멍(11)으로부터 종자가 오버플로잉하여 있었다고 하여도, 가이드 부재(36)는 조출 롤(28)의 둘레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퇴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출 구멍(11)으로부터 종자가 오버플로잉하고 있었을 경우에도, 조출 롤(28)의 회전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출 케이스(21)에 있어서, 조출 롤(28)의 하방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조출 구멍(11)으로부터 방출된 종자는 조출 케이스(21) 내를 낙하한다(도 11의 굵은선 화살표를 참조). 조출 케이스(21)의 하부는 파종 가이드(37)로 되어 있다. 파종 가이드(37)는 대략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내부를 종자가 상하로 통과할 수 있다. 파종 가이드(37)의 하단부는 하방을 향해서 개방된 방출구(38)로 되어 있다. 방출구(38)는 지면에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출 롤(28)에 의해 조출된 종자는 파종 가이드(37) 내를 낙하하고 방출구(38)를 통해서 지면으로 낙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출 케이스(21)에 의해 호퍼(20) 내의 종자를 소정량씩 조출하여 지면에 살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출 롤(28)에서는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면에 살포되는 종자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호퍼(20)는 셔터(25)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호퍼(20) 내에 종자가 남아있는 상태이어도 상기 호퍼(2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하여 호퍼(20)를 분리했을 경우, 조출 케이스(21)의 종자 유입 공간(34)의 내부에는 종자가 잔류한 상태가 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자 유입 공간(34)에 잔류한 종자를 조출 케이스(2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인 배출로(40)를 상기 조출 케이스(21)에 설치하고 있다.
도 5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에는 그 배면(차체후방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배출용 개방구(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배출용 개방구(43)를 걸치도록 배출로(40)가 설치되어 있다. 즉,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 12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출로(40)의 전측의 단부는 조출 롤(28)의 둘레면에 접근해서 배치되어 있다. 배출로(40)의 후측의 단부는 배출용 개방구(43)로부터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즉,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로(40)의 저면(41)은 후측이 낮아지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출로(40)는 칸막이 부재(35)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종자 유입 공간(34)과 배출로(40)는 칸막이 부재(35)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도 11의 상태). 이 상태이면, 종자 유입 공간(34) 내의 종자가 배출로(40)로 유출되는 일이 없다. 즉, 칸막이 부재(35)는 종자 유입 공간(34) 내의 종자가 배출로(40)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칸막이 부재(35)는 그 선단을 조출 롤(28)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 부재(35)는 회전축(45)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칸막이 부재(35)의 선단을 조출 롤(28)의 둘레면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도 12의 상태).
칸막이 부재(35)의 선단과 조출 롤(28)의 둘레면을 이간시킴으로써, 종자 유입 공간(34)과 배출로(4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칸막이 부재(35)에 의한 종자의 막음을 해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자 유입 공간(34) 내의 종자는 배출로(40)로 유출된다(도 12의 굵은선 화살표를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로(40)는 후측이 낮아지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로(40)로 유출된 종자는 상기 배출로(40)를 후방을 향해서 반송된다. 그리고,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종자는 배출로(40)를 통해서 조출 케이스(21)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종자 유입 공간(34)에 남아있는 종자를 배출로(40)를 통해서 조출 케이스(2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로(40)의 후측의 단부는 조출 케이스(21)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2와 같이 배출로(40)의 후측의 단부 아래에 용기(46)(2점 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냄)를 차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로(40)를 통해서 배출되는 종자를 용기(46)에 의해 흘리는 않고 받아내어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35)의 회전축(45)은 조출 케이스(21)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에 있어서, 회전축(45)에는 조작 레버(47)가 고정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를 참조). 작업자는 조작 레버(47)를 조작함으로써, 칸막이 부재(35)를 간단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칸막이 부재(35)에 의한 종자의 막음을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배출로(40)를 통한 종자의 배출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배출로(40)의 후측의 단부는 파종 가이드(37)의 하단부(방출구(38))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배출로(40)를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배출로(40)로부터 배출되는 종자를 받아내기 위한 용기(46)를 배출로(40) 아래에 차입하기 위한 스페이스에 여유가 있다. 따라서, 직파 장치(3)의 전체를 상승시키지 않아도 배출로(40) 아래에 용기(46)를 용이하게 차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는 복수의 조출 케이스(21)를 차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가령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좌우 방향을 향해서 종자를 배출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 종자를 받아내기 위한 용기(46)를 조출 케이스(21)끼리의 사이에 차입할 필요가 있어서, 상기 용기를 차입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된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종자를 배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종자를 받아내기 위한 용기(46)를 차입하는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배출로(40)는 파종 가이드(37)의 하단부(방출구(38))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즉, 배출로(40)는 방출구(38)를 통과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로(40)를 통해서 배출되는 종자는 파종 가이드(37)의 방출구(38)를 통과하지 않는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파종 가이드(37)의 방출구(38)와는 다른 위치로부터 종자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지면에 근접해서 배치된) 파종 가이드를 통해서 잔류 볍씨를 인출하는 구성으므로, 파종 가이드에 부착되어 있는 흙탕물이 상기 볍씨에 혼입될 가능성이 높다. 인출된 볍씨에 흙탕물이 부착되어버리면, 상기 볍씨를 재사용할 때에 진흙을 분리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배출로(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종 가이드(37)의 방출구(38)와는 다른 위치로부터 종자를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파종 가이드(37)에 부착되어 있는 흙탕물이 상기 종자에 혼입될 염려는 없다. 이것에 의해, 종자 유입 공간(34)에 남아있는 종자를 진흙을 혼입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로(40)는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종 가이드(37)에 비하여, 배출로(40)에는 지면의 흙탕물 등이 부착되기 어렵다. 따라서, 배출로(40)를 통해서 종자를 배출할 때에, 상기 배출로(40)에 부착되어 있는 흙탕물 등이 종자에 혼입한다고 하는 염려는 적다.
본 실시형태의 배출로(40)는 수지제의 조출 케이스(21)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준비된 판금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판금 부재를 대략 U자 형상(또는 コ자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도 5 등에 나타내는 배출로(40)가 구성되어 있다. 배출로(40)는 단면 대략 U자 형상(또는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면(41)과, 저면(41)의 양 사이드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세워지는 측벽(42, 42)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상세하게는 후술함).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출로(40)는 상술한 가이드 부재(36)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6)는 그 상단부를 배출로(40)의 저면(41)의 상면(상방을 향하는 면)을 따르도록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이 상기 저면(41)에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로(40)의 저면(41)과 가이드 부재(36)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겹쳐져 있는 부분에 있어서, 용접 또는 용착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가이드 부재(36)를 배출로(40)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는 조출 케이스(21)의 배면의 배출용 개방구(43)를 덮기 위한 배출로 커버(50)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로(40)를 통한 종자의 배출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50)에 의해 배출용 개방구(43)를 덮은 상태로서 둔다(도 7, 도 8 및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 도 11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50)는 조출 케이스(21)에 결합하기(걸기) 위한 결합부(51, 5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조출 케이스(21)는 상기 커버(50)를 록킹(고정)하기 위한 커버 록킹 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도 4를 참조). 커버(50)의 결합부(51, 52)를 조출 케이스(2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50)를 상기 커버 록킹 부재(53)에 의해 록킹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50)를 배출용 개방구(43)를 덮은 상태에서 조출 케이스(21)에 고정할 수 있다.
배출로 커버(50)는 조출 케이스(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로 커버(50)를 조출 케이스(21)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배출로(40) 중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50)에는 후방을 향해서 돌출함과 아울러, 전방측(조출 케이스(21)측)이 개방된 배출로 수용부(54)가 형성되어 있다.그리고, 커버(50)를 조출 케이스(21)에 고정했을 때에, 배출로 수용부(54) 내에 배출로(40)의 후방측의 단부가 수용된다(도 8). 이것에 의해, 배출로(40) 중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커버(50)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로(40)에 흙탕물 등이 부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록킹 부재(53)에 의한 록킹은 간단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 록킹 부재(53)에 의한 록킹을 해제함과 아울러, 커버(50)의 결합부(51, 52)와 조출 케이스(21)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커버(5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용 개방구(43) 및 배출로(40)를 노출시켜 상기 배출로(40)를 통한 종자의 배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8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출로(40)의 저면(41)의 하면(하방을 향하는 면)에는 스토퍼(55)가 지지되어 있다. 이 스토퍼(55)는 상기 저면(41)의 하면과 가이드 부재(3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55)는 가이드 부재(36)가 조출 롤(28)의 외주면에서 소정 이상 멀어지도록 변형했을 경우에, 상기 가이드 부재(36)에 대하여 조출 롤(28)의 반대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이드 부재(36)는 조출 롤(28)의 외주면으로부터 퇴피하도록 탄성 변형가능이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36)가 조출 롤(28)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나치게 멀어져 버리면, 조출 구멍(11)이 하방을 향하여 있지 않을 때에 종자가 튀어나오거나 하는 등, 종자의 방출 타이밍이 불안정하게 되어버린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6)가 조출 롤(28)의 외주면에서 일정 이상 멀어지지 않도록 스토퍼(55)를 설치함으로써, 조출 구멍(11)로부터의 종자의 방출 타이밍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토퍼(55)를 배출로(40)에 의해 지지하고 있으므로, 스토퍼(55)를 지지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은 불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내벽면에는 차체의 대략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로(40)는 상기 홈부(56)에 차입됨으로써, 조출 케이스(21)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배출로(40)는 홈부(56) 내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로(40)를 후방으로 인발함으로써, 상기 배출로(4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로(40)에는 가이드 부재(36) 및 스토퍼(55)가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배출로(40)를 인출함으로써, 가이드 부재(36) 및 스토퍼(55)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출 롤(28)의 가이드 부재(36)에 의해 덮혀져 있던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조출 롤(28)의 메인터넌스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직파 장치에 있어서는 조출 롤의 조출 구멍에 이물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조출 롤의 정기적인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가 필요로 된다. 조출 롤의 메인터넌스 시에는 상기 조출 롤을 조출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필요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 점, 특허문헌 1의 직파 장치(파종 장치)에 있어서, 종자 조출 롤은 종자 조출 케이스에 좌우 방향으로 구비한 육각축으로 이루어지는 종자 조출축에 종자 조출축과 일체 회전하는 상태로 외감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있어서, 종자 조출 롤을 종자 조출 케이스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종자 조출축을 종자 조출 롤로부터 발취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있어서, 종자 조출축은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종자 조출축을 종자 조출 케이스로부터 발취할 때에는 좌우 방향으로 인발하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직파 장치는 복수의 조출 케이스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종자 조출 케이스로부터 종자 조출축을 인발할 때에, 인접하는 종자 조출 케이스가 장애가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종자 조출 케이스로부터의 종자 조출축의 발취를 행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종자 조출 롤을 인출해서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라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있어서, 종자 조출축의 발취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종자 조출 케이스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종자 조출축을 발취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자 조출 케이스끼리의 간격을 좁힐 수 없어서, 좌우 방향에서의 종자의 살포 간격을 좁게 한 장치를 작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출 롤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피구동 기어(30)와 조출 롤(28)은 상대 회전 불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조출 롤(28)의 축선(29a) 방향 일측의 단부(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본체 롤(57)의 단부)에는 롤측 감합부(65)가 설치되어 있다. 롤측 감합부(65)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선(29a)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로 되어 있다. 한편, 피구동 기어(30)에는 롤측 감합부(65)에 감합할 수 있는 기어측 감합부(피구동 부재측 감합부)(6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합부(65, 66)끼리가 감합함으로써, 피구동 기어(30)와 조출 롤(28)이 상대 회전 불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감합부(65, 66)는 축선(29a) 방향으로 이간함으로써 감합을 해제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즉, 축선(29a)에 따라 기어측 감합부(6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롤측 감합부(65)를 이동시킴으로써, 감합부(65, 66)끼리의 감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출 롤(28)을 축선(29a)을 따라 피구동 기어(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발함으로써, 상기 조출 롤(28)과 피구동 기어(3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4의 굵은선 화살표를 참조).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측면(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우측의 측면)에는 롤 삽입 통과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롤 삽입 통과부(67)는 조출 케이스(21)의 내외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개구부이다. 롤 삽입 통과부(67)는 조출 롤(28)을 축선(29a) 방향으로 삽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측면에 롤 삽입 통과부(67)를 형성했으므로,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축선(29a)을 따라 인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감합부(65, 66)를 이간시켜 조출 롤(28)과 피구동 기어(30)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도 14).
그리고, 이렇게 조출 롤(28)과 피구동 기어(30)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조출 롤(28)을 축선(29a)을 따른 방향에서 롤 삽입 통과부(67)로부터 완전하게 인발함으로써, 상기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그런데, 조출 롤(28)을 축선(29a)을 따른 방향에서 롤 삽입 통과부(67)로부터 완전하게 인발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발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조출 케이스(21)의 측방에 필요하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에서는 복수의 조출 케이스(21)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축선(29a)을 따른 방향에서 조출 롤(28)을 인발하게 하면, 상기 이발 작업을 조출 케이스(21)끼리의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인발의 작업이 어려운 것으로 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출 롤(28)을 축선(29a)을 따른 방향에서 롤 삽입 통과부(67)로부터 완전히 인발되지 않아도, 상기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 삽입 통과부(67)는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축선(29a)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롤 삽입 통과부(67)는 후방을 향해서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롤 삽입 통과부(67)는 배출용 개방구(43)에 연통하여 있다.
따라서, 롤 삽입 통과부(67) 내의 조출 롤(28)을 후방으로 인발할 수 있다(도 15의 굵은선 화상표를 참조). 바꿔 말하면, 조출 롤(28)을 롤 삽입 통과부(67)로부터 축선(29a)을 따른 방향에서 완전히 인발되지 않아도 상기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조출 롤(28)을 축선(29a) 방향에서 완전히 인발되지 않아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출 롤(28)을 축선(29a) 방향에서 완전히 인발하기 위한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스페이스를 조출 케이스(21)의 측방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출 케이스(21) 주위의 부재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된다. 이것에 의해, 조출 케이스(21)끼리의 간격을 좁힐 수 있으므로, 좌우 방향에서의 종자의 살포 간격을 좁게 한 직파 장치(3)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으로 조출 롤(28)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도 15), 조출 케이스(21)끼리 간의 좁은 공간에서 조출 롤(28)의 인출 작업을 행할 경우에 비하여, 상기 인출 작업의 작업성이 각별히 향상된다. 이것에 의해, 조출 케이스(21)로부터의 조출 롤(28)의 인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가 구비하는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에는 롤 삽입 통과부(67)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는 도 6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 삽입 통과부(67)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갖고 있다. 이렇게,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의해 롤 삽입 통과부(67)를 덮음으로써, 조출 케이스(21) 내에 이물이나 우수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는 조출 케이스(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는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69)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69)를 조출 케이스(21)에 형성된 록킹 구멍(도시 생략)에 결합 시킴으로써,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가 조출 케이스(21)에 대하여 고정된다.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에서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돌기(69)를 상기 록킹 구멍으로부터 인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는 조출 롤(28)을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 부재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는 대략 원통상의 보스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70)의 축선은 조출 롤(28)의 축선(29a)에 일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보스부(70)의 내측에 조출 롤(28)의 일부(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감합 롤(58)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다. 보스부(70)의 내주면과 조출 롤(28) 사이에는 슬라이딩 베어링(71)(도 10) 등이 적당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조출 롤(28)이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했으므로,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와 조출 롤(28)을 일체적으로 통합한 상태에서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도 14 및 도 15를 참조). 이것에 의해, 조출 케이스(21)로부터의 조출 롤(28)의 인출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조정 기어(61)도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 및 조출 롤(28)과 일체적으로 통합하여 취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
또한,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는 상술한 배출로(40)를 지지하는 부재로서의 기능도 겸하고 있다. 여기에서, 배출로(40)의 부착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출로(40)는 좌우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72)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72)는 대략 수평한 판상 부분으로서 구성되고 있고, 그 좌우 방향의 끝면이 전후 방향으로 평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의 조출 케이스(21)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는 커버측 레일부(59)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측 레일부(59)는 롤 삽입 통과부(67)를 통해서 조출 케이스(21)의 내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측 레일부(59)는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측 레일부(59)에는 상기 돌출부(72)를 차입하는 것이 가능한 홈(상술한 홈부(5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내벽면 중, 상기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대면하는 면에는 케이스측 레일부(73)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측 레일부(73)도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측 레일부(73)에는 상기 돌출부(72)를 차입하는 것이 가능한 홈(상술의 홈부(5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배출로(40)의 돌출부(72)를 레일부(59, 73)(한 쌍의 홈부(56))에 차입함으로써, 상기 배출로(40)를 조출 케이스(21) 내에서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5의 상태). 또한, 레일부(59, 73)는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로(40)의 돌출부(72)는 레일부(59, 73)에 차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이다. 이것에 의해, 배출로(40)를 후방으로 발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13을 참조).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에 있어서,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하는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출 롤(28)은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롤(28)의 후방에는 가이드 부재(36), 배출로(40), 및 배출로 커버(50)가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인출하기 전에, 가이드 부재(36), 배출로(40), 및 배출로 커버(50)를 분리하여 둘 필요가 있다.
작업자는 우선 배출로 커버(5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로 커버(50)는 조출 케이스(21)의 배면(후방을 향하는 면)의 배출용 개방구(43)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로 커버(50)를 조출 케이스(21)의 후방을 향해서 분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로 커버(50)의 분리 작업을 조출 케이스(21)의 후방에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로 커버(5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조출 케이스(21)의 배면의 배출용 개방구(43)를 개방시켜, 배출로(40)를 노출시킬 수 있다(도 5의 상태).
계속해서, 작업자는 배출로(4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로(40)는 후방을 향해서 발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배출용 개방구(43)를 통해서 배출로(4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으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도 13의 굵은선 화살표를 참조). 이렇게, 배출로(40)의 분리 작업도 조출 케이스(21)의 후방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로(40)에는 가이드 부재(36)가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출로(40)를 분리함으로써 가이드 부재(36)도 함께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도 13).
다음에, 작업자는 조출 롤(28)을 축선(29a) 방향으로 피구동 기어(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14의 굵은선 화살표를 참조). 이것에 의해, 피구동 기어(30)와 조출 롤(28)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도 14의 상태). 또한, 피구동 기어(30)와 조출 롤(28)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감합부(65, 66)의 감합 마진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조출 롤(28)을 축선(29a)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좋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합부(65, 66)의 감합 마진은 조출 롤(28)의 축선(29a) 방향에서의 폭보다 짧다. 따라서, 조출 롤(28)을 롤 삽입 통과부(67)로부터 축선(29a) 방향에서 완전히 발취하지 않아도 감합부(65, 66)의 감합을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출 롤(28)은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출 롤(28)을 축선(29a)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도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69)의 축선(29a) 방향의 길이는 감합부(65, 66)의 감합 마진과 같은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피구동 기어(30)와 조출 롤(28)의 연결을 해제했을 때에,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의 돌기(69)가 조출 케이스(21)의 록킹 구멍(도시 생략)으로부터 인발된다. 즉, 피구동 기어(30)와 조출 롤(28)의 연결을 해제함과 동시에,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가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된다(도 14의 상태).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축선(29a) 방향에서 완전히 인발되지 않고(조출 롤(28)을 롤 삽입 통과부(67)에 삽입 통과시킨 채의 상태에서), 상기 조출 롤(28)을 후방을 향해서 이동시킨다 (도 15의 굵은선 화살표를 참조). 이것에 의해, 조출 롤(28)(및 이것을 축지지하고 있는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도 15).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조출 케이스(21)로부터의 조출 롤(28)의 인출의 작업을 조출 케이스(21)의 후방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을 위한 준비 작업(배출로 커버(50)의 분리 작업, 배출로(40) 및 가이드 부재(36)의 분리 작업 등)도 모두 조출 케이스(21)의 후방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출 롤(28)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출 롤(28)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종자를 수용하는 호퍼(20)와, 호퍼(20)의 하방에 배치되고, 종자가 공급되는 조출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있다. 조출 케이스(21)는 방출구(38)와, 배출로(40)와, 칸막이 부재(35)를 구비하고 있다. 방출구(38)로부터는 조출된 종자가 지면을 향해서 방출된다.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의 종자 유입 공간(34) 내에 잔류한 종자를 방출구(38)와는 다른 위치로부터 배출한다. 칸막이 부재(35)는 배출로(40)보다 상부의 위치에 있어서, 조출 케이스(21)의 종자 유입 공간(34) 내의 종자가 배출로(40)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이 구성에 의해, 칸막이 부재(35)에 의한 막음을 해제함으로써 조출 케이스(21)의 종자 유입 공간(34) 내의 종자를 배출로(40)를 통해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로(40)의 출구를 방출구(38)와는 별도로 배치했으므로, 상기 방출구(38)에 부착되어 있는 흙탕물 등을 혼입시키지 않고 종자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35)를 배출로(40)보다 상부의 위치로 함으로써, 배출로(40) 내에 종자가 고인 상태로 되는 경우가 없다. 이것에 의해, 종자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조출 롤(28)과 가이드 부재(36)를 조출 케이스(21) 내에 구비하고 있다. 조출 롤(28)은 종자를 도입하는 조출 구멍(11)을 주위에 갖는 대략 원주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6)는 조출 롤(28)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다.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외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배출로(40)의 저면(41)은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41)의 하방을 향하는 면에는 스토퍼(55)가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55)는 가이드 부재(36)가 조출 롤(28)의 둘레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 부재(36)를 설치함으로써, 조출 롤(28)의 조출 구멍(11)으로부터 종자가 튀어나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5)를 설치함으로써, 가이드 부재(36)가 조출 롤(28)로로부터 소정 이상 멀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출 구멍(11)으로부터 종자가 방출되는 타이밍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로(40)에 스토퍼(55)를 지지시킴으로써, 스토퍼(55)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어, 조출 케이스(21)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에 있어서,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고, 외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있고, 또한 외측의 단부가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출로(40)를 비스듬히 배치함으로써 조출 케이스(21)의 종자 유입 공간(34) 내의 종자를 배출로(4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출로(40)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배출로(40)의 단부 아래에 용기(46)를 차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로(40)를 통해서 배출되는 종자를 흘리지 않고 용기(46)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배출로(40)의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50)를 조출 케이스(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커버(50)에 의해 배출로(40)를 외측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상기 배출로(40)에 흙탕물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로(40)를 통해서 종자를 배출할 때에, 상기 종자에 진흙 등이 혼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는 입상체 조출 장치(3a)를 구비하고, 방출구(38)로부터 방출된 종자를 살포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 내의 종자를 배출할 때에 흙탕물 등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배출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직파 장치(3)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살포 작업차(1)는 상기 직파 장치(3)와, 직파 장치(3)의 전방에 배치되고 주행가능한 차체(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살포 작업차(1)에 있어서, 배출로(40)는 조출 케이스(21)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배출된 종자를 회수하는 작업을 차체의 후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작업을 위한 스페이스를 취하기 쉬워서 상기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조출 롤(28)과, 조출 케이스(21)와, 피구동 기어(30)를 구비하고 있다. 조출 롤(28)은 종자를 받아들이는 조출 구멍(11)이 둘레면에 복수 형성된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축선(29a) 주위로 회전한다. 조출 케이스(21)는 조출 롤(28)을 수용한다. 피구동 기어(30)에는 구동력이 입력된다. 피구동 기어(30)에는 기어측 감합부(66)가 형성된다. 조출 롤(28)에는 기어측 감합부(66)에 감합가능한 롤측 감합부(65)가 형성된다. 조출 롤(28)을 축선(29a)을 따라 피구동 기어(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감합을 해제할 수 있다. 조출 케이스(21)에는 조출 롤(28)이 축선(29a) 방향에서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조출 케이스(21)의 내외를 연통하는 롤 삽입 통과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출 롤(28)을 축선(29a)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조출 롤(28)과 피구동 기어(30) 간의 연결을 해제시킴과 아울러, 상기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인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에 있어서, 축선(29a)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롤 삽입 통과부(67)가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출 롤(28)을 롤 삽입 통과부(67)로부터 축선(29a) 방향에서 완전히 인발되지 않아도, 상기 롤 삽입 통과부(67)가 개방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서 조출 롤(28)을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출 롤(28)을 축선(29a) 방향으로 인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조출 케이스(21)의 측방에 크게 확보할 필요가 없어져서 조출 케이스(21) 주위의 부재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조출 케이스(21)에 형성된 롤 삽입 통과부(67)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조출 케이스(2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조출 롤(28)은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설치해서 롤 삽입 통과부(67)를 덮음으로써, 이물이나 우수 등이 조출 케이스(21)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조출 롤(28)을 축지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했으므로,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와 조출 롤(28)을 일체적으로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조출 롤(28)과, 상기 조출 롤(28)을 축지지하고 있는 부재(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를 일체적으로 분리하므로, 조출 케이스(21)로부터 조출 롤(28)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살포 작업차(1)는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3a)와, 입상체 조출 장치(3a)의 전방에 배치되고, 주행가능한 차체(2)를 구비하고 있다.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조출 케이스(21)를 차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 구비한다. 각 조출 케이스(21)에 있어서, 조출 롤(28)의 상기 축선(29a)은 차체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선(29a)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롤 삽입 통과부(67)가 차체 후방을 향해서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체 후방을 향해서 조출 롤(28)을 인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인출의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조출 롤(28)을 인발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조출 케이스(21)끼리의 사이에 확보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조출 케이스(21)끼리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서 좌우 방향에서의 종자의 살포 간격이 작은 장치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출 롤(28)은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가능한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용량을 변경할 수 없는 타입의 조출 롤(28)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출 롤(28)을 후방을 향해서 인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출 케이스(21)의 측방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있을 경우에는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의 측방으로부터 (축선(29a)을 따라) 완전히 인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롤 삽입 통과부(67)는 축선(29a)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개방 형상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롤 삽입 통과부(67)를 전방을 향해서 개방한 형상으로 하면, 조출 롤(28)을 전방을 향해서 인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16~도 18을 참조하여, 조출 롤(28)을 조출 케이스(21)의 측방으로 완전히 인발하는 구성으로 한 변형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커버 부재(68x)는 조출 롤(28)을 차입하기 위해서 조출 케이스(21)의 측면에 형성된 원형상의 차입 구멍(67z)에 대하여, 회전에 의해 고정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롤 삽입 통과부로서의 차입 구멍(67z)은 전방측이나 후방측을 개방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다. 차입 구멍(67z)의 가장자리에는 4개의 록킹편(67x)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록킹편(67x)은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68x)에 있어서, 보스부(70)가 형성되는 측의 면에는 볼록 형상의 회전용 리브(68y)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68x)에 있어서, 보스부(70)가 형성되는 측과 반대측에는 조출 롤(28)이 부착되어 있다. 커버 부재(68x)에 있어서, 조출 롤(28)이 부착되는 측의 면에는 록킹편(67x)에 대응하도록 4개의 록킹 클로(68z)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록킹 클로(68z)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커버 부재(68x)에 있어서, 조출 롤(28)이 부착되는 측의 면에는 링 형상의 밀봉 부재(81)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롤(28)을 차입 구멍(67z)에 삽입하고, 또한 상기 록킹 클로(68z)가 차입 구멍(67z)에 들어가도록 하여 커버 부재(68x)를 조출 케이스(21)에 부착한다. 그 후, 커버 부재(68x)를 45°정도 회전시킨다. 또한, 커버 부재(68x)에 설치된 회전용 리브(68y)를 손가락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으므로, 커버 부재(68x)를 회전시키는 작업은 용이하다. 이것에 의해, 록킹 클로(68z)와 록킹편(67x)이 결합된다.
각각의 록킹 클로(68z)에는 도시하지 않은 테이퍼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68x)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커버 부재(68x)는 조출 케이스(21)에 근접한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81)가 차입 구멍(67z)의 가장자리부와 커버 부재(68x) 사이에서 압궤되어 차입 구멍(67z)과 커버 부재(68x) 사이를 밀봉한다.
커버 부재(68x)가 45°회전한 상태가 도 17에 나타내진다. 이 상태에서, 조출 케이스(21)의 하부에 파종 가이드(37)가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출 케이스(21)의 하부에는 설치 리브(82)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파종 가이드(37)의 상부에는 설치 홈(83)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 리브(82)와 설치 홈(83)을 결합시키도록 후방으로부터 수평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조출 케이스(21)에 파종 가이드(37)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조출 케이스(21)의 후방에 배출로 커버(50)가 부착된다. 이 배출로 커버(50)는 조출 케이스(21)의 후방의 배출용 개방구(43)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지만, 조출 케이스(21)의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부착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조출 케이스(21)의 후부분에는 설치 홈(84)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배출로 커버(50)에는 설치 돌기(8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 돌기(85)가 설치 홈(84)에 결합하도록 상방으로부터 수직하게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조출 케이스(21)에 배출로 커버(50)를 고정할 수 있다.
배출로 커버(50)에는 회전 중지부(86)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로 커버(50)를 조출 케이스(21)에 고정했을 때에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회전 중지부(86)가 커버 부재(68x)의 가장자리부에 근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 중지부(86)에 의한 규제에 의해, 커버 부재(68x)가 의도에 반해서 회전하여 조출 케이스(21)로부터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배출로 커버(50)는 조출 케이스(21)의 후부분을 폐쇄하는 기능 외에, 커버 부재(68x)가 회전하지 않도록 록킹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배출로 커버(50)를 부착했을 때,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로 커버(50)의 하단부는 파종 가이드(37)의 단부에 근접하여 파종 가이드(37)의 이동을 규제한다. 즉, 배출로 커버(50)는 커버 부재(68x) 외에, 그 이외의 부재(파종 가이드(37))가 의도에 반해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 기능도 갖고 있다.
다음에, 도 19를 참조하여, 6개의 조작 기어(62)를 일제히 회전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6개의 상기 조작 기어(62)는 6개의 조출 케이스(21)에 걸쳐서 설치되는 장척상의 연결축(63)에 고정된다. 이 연결축(63)은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핸들(64)을 연결축(63)의 축 방향으로 밀고 당김 조작함으로써 6개의 조작 기어(62)가 6개의 조정 기어(61)에 일제히 맞물리는 상태와 맞물림이 일제히 해제되는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6개의 조정 기어(61)를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각각의 조출 케이스(21)에 대해서 조출량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63)에 있어서 조작 핸들(64)의 근방의 위치에는 록킹 핀(87)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록킹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기어(62)와 조정 기어(61)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록킹 핀(87)을 록킹 구멍에 장착함으로써 연결축(63)이 불의로 슬라이딩해서 조작 기어(62)와 조정 기어(61)가 맞물려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농업용의 살포 작업차(1)의 측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살포 작업차(1)는 차체(2)의 후방에 배치된 직파 장치(3)를 구비한다. 직파 장치(3)는 입상체 조출 장치(3a)를 구비한다.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6개의 조출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6조분의 종자를 동시에 살포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직파 장치(3)의 하부에는 플로트(부표)(8)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트(8)는 종자가 파종되는 포장의 지면(9)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로트(8)는 지면(9)을 정지(整地)하기 위한 것이다. 즉, 플로트(8)를 지면(9)에 접촉시키면서 차체(2)를 전진시킴으로써, 지면(9)의 요철이 플로트(8)에 의해 균일해짐과 아울러, 전륜(4) 및 후륜(5)이 지면을 통과한 자국을 지울 수 있다.
플로트(8)와 방출구(38)의 위치 관계를 도 21에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8)는 방출구(38)로부터 종자가 방출되는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트(8)에 의해 정지된 후의 지면(9)에 대하여 종자가 파종되어 가는 것으로 된다.
직파 장치(3)는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로트(8)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직파 장치(3)는 2조마다 1개의 플로트(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는 6조분의 종자를 파종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3개의 플로트(8)를 구비하고 있다(도 21). 각 플로트(8)는 서로 독립하여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서로 독립한 플로트(8)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플로트(8)끼리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에서의 간극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직파 장치에 있어서는 플로트(8)끼리의 사이의 부분에 지면(9)을 정지할 수 없는 개소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직파 장치로는 플로트(8)끼리의 사이의 부분에 정지 남김이 발생하여 있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가 구비하는 3개의 플로트(8) 중 중앙의 플로트(8)에는 좌우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8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우의 플로트(8)에는 각각 상기 돌출부(8a)에 대응한 형상의 노치부(8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8a)의 일부가 노치부(8b)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부(8a) 및 노치부(8b)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플로트(8)끼리가 좌우 방향에서 서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로트(8)끼리의 사이의 부분에 정지 남김(플로트(8)에 의해 지면이 균일하게 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직파 장치(3)는 구절기(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0에 있어서는 구절기(14)가 지면(9)으로부터 부유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절기(14)는 필요에 따라서 지면(9)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절기(14)를 지면(9)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차체(2)를 주행시킴으로써, 지면(9)에 홈을 형성해 갈 수 있다. 이렇게 홈을 형성함으로써, 종자를 파종한 지면(9)의 배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절기(14)에 의해 지면(9)에 형성되는 홈의 깊이를 구절 깊이라고 한다. 구절 깊이는 포장의 상태(흙의 경도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종래의 직파 장치에 있어서, 구절 깊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는 살포 작업차(1)의 기체 후방으로 이동하고, 구절기(14)의 위치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 부재(예를 들면, 고정 핀 등)를 분리하여, 상기 구절기(14)의 상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이렇게, 종래의 직파 장치로는 구절 깊이의 변경을 오퍼레이터가 운전 좌석(6)에 앉은 상태에서 행할 수 없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절 깊이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구(구체적으로는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를 운전 좌석(6)의 근방에 설치한 것이다. 도 22에 구절 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구성을 굵은선에 의해 투과적으로 나타낸다.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절기(14)는 회전축(14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절기(14)를 회전축(14a)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구절기(14)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경하고, 구절 깊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가 구비하는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는 회전축(15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와 구절기(14)는 도 22에 나타내는 링크 기구(16)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를 도 22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절기(14)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링크 기구(16)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구절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는 직파 장치(3)로부터 비스듬하게 상전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20을 참조). 그리고,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의 선단은 운전 좌석(6)에 앉은 상태의 오퍼레이터의 손이 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운전 좌석(6)에 앉은 채로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를 조작 함으로써 구절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직파 장치(3)는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의 회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유지 기구(예를 들면, 노치 등)를 갖고 있다. 이렇게 하여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의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구절 깊이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절 깊이 조정 레버(15)에 의해 링크 기구(16)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와이어에 의해 링크 기구(16)를 조작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링크 기구(16)를 생략하고, 대신에 회전축(14a)을 회전시키는 전동 모터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전동 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구(조작 다이얼 등)를 운전 좌석(6)의 근방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에 있어서, 조출 롤(28)에 의한 종자의 조출량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출 롤(28)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드롤 타입의 조출 롤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3~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롤(28)은 본체 롤(제 1 부재)(57)과, 감합 롤(제 2 부재)(58)을 조합시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조출 롤(28)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출 구멍(11)에 대한 돌출부(60)의 삽입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본체 롤(57)에 대하여 감합 롤(58)을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에는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비교적 크게 한 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26에는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비교적 작게 한 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조출 구멍(11)에 의해 조출되는 종자의 양(조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롤 타입의 조출 롤은 상기 특허문헌 2의 실시예 2에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2의 실시예 2의 구성에서는 조출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다이얼이 조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있어서 조출량을 조정할 때에는 조출 케이스를 열고, 그 내부의 조정 다이얼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조정 작업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조출 케이스를 열지 않고도 조출량을 조정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조정 다이얼을 조출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하면 좋다. 이 경우, 조출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정 다이얼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출량을 조정할 때에 조출 케이스를 열 필요가 없다. 그러나, 가령 조출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출량을 조정하도록 했을 경우, 조출 케이스 내의 조출 롤을 보면서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조출량의 조정(조출 구멍의 사이즈의 조정)이 곤란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구성은 조출 케이스를 투명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조출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조출 롤을 시인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조출 롤의 조출량(조출 구멍의 사이즈)을 외부로부터 시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가령, 상기 구성에 있어서, 조출 롤의 조출량(조출 구멍의 사이즈)을 외부로부터 정확하게 시인할 수 있도록 조출 케이스를 투명하게 구성하고자 하면, 고도의 투명성과 저변형성이 조출 케이스에 요구되는 것으로 되어,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케이스를 투명하게 하는 대신에, 조출 케이스에 개구부를 형성해도 좋은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가령 조출 롤의 조출량(조출 구멍의 사이즈)을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개구부를 조출 케이스에 설치했다고 하면, 조출 케이스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없어서, 상기 조출 케이스 내로 우수가 침입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출 롤의 조출량을 조출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출 케이스의 방수성을 확보하고 있다.
조출 케이스(21)에는 감합 롤(58)의 위치를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에서 조정하기 위한 나사 이송 기구(조정 기구)(40)가 설치되어 있다.
나사 이송 기구(91)는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롤(28)의 축선(29a)에 일치해서 배치된 나사축(조정축)(92)을 갖는다. 따라서, 나사축(92)은 차체 좌우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나사축(92)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감합 롤(58)에는 상기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나사축(92)을 회전시킴으로써, 감합 롤(58)을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에는 상기 나사 이송 기구(91)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정 기어(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 기어(61)는 평기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92)에 축선을 일치시켜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나사축(9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에는 조정 기어(61)와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조작 기어(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 기어(61)는 평기어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축선은 상기 나사축(92)과 평행한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조작 기어(62)를 조정 기어(61)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조작 기어(62)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정 기어(61)를 통해서 나사축(92)을 회전시켜 상기 나사 이송 기구(91)에 의해 감합 롤(58)을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하여, 상기 조출 구멍(11)이 종자를 조출하는 양(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축(92)의 단부에는 플랜지부(9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93)와 본체 롤(57) 사이에는 디텐트 기구(9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디텐트 기구(94)는 조출 롤(28)과 나사축(92)이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감합 롤(58)과 나사축(92)이 멋대로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감합 롤(58)의 위치가 축선(29a) 방향으로 멋대로 움직여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디텐트 기구(94)는 소정 이상의 토크가 가해졌을 경우에는 본체 롤(57)과 나사축(92)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정 기어(61)에 소정의 토크를 입력함으로써, 나사축(92)과 감합 롤(58)을 상대 회전시켜서 나사 이송 기구(91)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조출 구멍(11)의 용량을 변경하기 위한 기구(상기 나사 이송 기구(91), 조정 기어(61), 조작 기어(62), 디텐트 기구(94) 등)는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가 구비하는 6개의 조출 케이스(21)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6개의 조작 기어(62)를 갖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6개의 조작 기어(62)는 차체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된 연결축(6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연결축(63)의 단부에는 6조분의 조출량을 일제히 변경하기 위한 조작 핸들(64)이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조출 롤(28)의 조출량의 조정을 쉽게 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출 롤(28)은 나사 이송 기구(91)에 의해 감합 롤(58)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조출량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조출 롤(28)은 조출 케이스(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는 감합 롤(58)의 위치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조출량의 조정을 행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출 케이스(21)(의 일부)를 투명한 소재로 구성하여, 감합 롤(58)의 위치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도 25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출 케이스(21)의 측면(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의 측면)은 상기 조출 케이스(21)의 본체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된 롤 삽입 통과부 커버(커버 부재)(68)로 구성되어 있다(또한, 커버 부재(68)의 사시도를 도 9 및 도 23에 나타내고 있다).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는 중공의 원통상으로 형성된 보스부(중공 돌출부)(99)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99)의 축선은 조출 롤(28)의 축선(29a)에 일치해서 설치되어 있다. 도 27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스부(99)는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는 투명한 소재(예를 들면 투명한 플라스틱)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보스부(99)도 투명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24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합 롤(58)에는 원통상의 원통부 (돌출부)(97)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원통부(97)는 그 축선을 조출 롤(28)의 축선(29a)에 일치시키고 있고, 또한 본체 롤(57)과는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4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통부(97)의 외주에는 적당한 마크(17)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97)의 외경은 보스부(99)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합 롤(58)의 원통부(97)의 적어도 일부가 보스부(99)의 내부에 축선을 일치시켜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스부(99)는 투명하게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으로부터 보스부(99)를 통해서 마크(17)의 위치를 시인할 수 있다. 마크(17)는 감합 롤(58)의 원통부(97)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합 롤(58)이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마크(17)도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25 및 도 26을 참조). 따라서, 마크(17)의 축선(29a) 방향의 위치는 감합 롤(58)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합 롤(58)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마크(17)를 투명한 보스부(99)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마크(17)의 위치를 시인하면서 조작 핸들(64)을 조작함으로써, 조출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스부(99)에 눈금(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눈금(18)은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눈금(18)을 통해서 마크(17)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출량의 조정를 보다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출 케이스(21) 중 롤 삽입 통과부 커버(68)만을 투명하게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출 케이스(21)의 전체를 투명하게 해도 좋다. 다만, 마크(17)를 조출 케이스(21)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축선(29a) 방향에서 상기 마크(17)가 이동하는 범위의 영역(도 25 및 도 26의 A1로 나타내는 영역)만 보스부(99)가 투명하면 좋다. 따라서, 상기 A1 이외의 영역이 불투명해도 본원발명의 효과는 실질적으로 방해되지 않는다.
그런데, 원통부(97)는 감합 롤(58)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출 롤(28)이 회전 구동되고 있는 사이, 원통부(97)도 보스부(99)의 내부에 있어서 축선(29a)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가령 원통부(97)의 외주면과 보스부(99)의 내주면이 접촉하고 있을 경우, 양자 간에서 마찰이 생긴다. 이 경우, 보스부(99)의 내주면에 스크레치가 생기게 되어, 상기 보스부(99)의 투명성이 저하하여 마크(17)의 시인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생각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통부(97)의 외주면과 보스부(99)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즉, 원통부(97)의 외주면과 보스부(99)의 내주면이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보스부(99)의 내주면에 스크레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스부(99)의 투명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크(17)의 시인성을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크(17)의 시인성의 저하를 방지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보면, 적어도 축선(29a) 방향으로 마크(17)가 이동하는 범위(도 25 및 도 26의 A1로 나타내는 영역)에 있어서, 원통부(97)와 보스부(99)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면 좋다. 바꿔 말하면, A1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는 원통부(97)와 보스부(99)가 접촉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마크(17)의 위치를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상기와 같이 보스부(99)를 투명하게 하는 구성 대신에, 보스부(99)에 노치나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또는 개구부)를 통해서 마크(17)를 시인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그러나, 보스부(99)에 노치(또는 개구부)를 형성했을 경우, 상기 노치(또는 개구부)를 통해서 우수나 이물이 조출 케이스(21) 내로 침입해버린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스부(99)를 투명으로 하고 있으므로, 노치나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마크(17)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스부(99)에 노치나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통상의 보스부(99)는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7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축(92)과 보스부(99)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밀봉부(오일 밀봉(7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보스부(99)의 내주면과 원통부(97)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제 2 밀봉부(고무 부쉬(75))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스부(99)를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보스부(99)의 내측에 밀봉부(74, 75)를 배치했으므로, 보스부(99)를 통해서 조출 케이스(21) 내에 우수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마크(17)를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구성을 조출 케이스(21)의 방수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종자를 조출량씩 조출하는 조출 롤(28)을 내부에 구비한 조출 케이스(21)를 구비하고 있다. 조출 롤(28)은 본체 롤(57)과 감합 롤(58)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롤(57)에 대하여 감합 롤(58)이 축선(29a)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조출량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감합 롤(58)은 축선(29a)을 따른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부(97)를 구비하고 있다. 조출 케이스(21)는 상기 조출 케이스(21)의 외측을 향해서 축선(29a)을 따른 방향으로 돌출하는 중공 형상의 보스부(99)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97)의 적어도 일부가 보스부(99)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99)는 투명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투명한 보스부(99)를 통해서 감합 롤(58)의 일부(원통부(97))를 조출 케이스(21)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감합 롤(58)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출량의 조정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원통부(97)를 시인하기 위해서 조출 케이스(21)에 노치나 개구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상기 조출 케이스(21)의 방수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에 있어서, 원통부(97)에는 마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통부(97)에 마크(17)를 설치함으로써, 감합 롤(58)의 슬라이딩 방향에서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에 있어서는 원통부(97)의 외주면과 보스부(99)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보스부(99)의 내주면과 원통부(97)의 외주면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스부(99)의 내주면의 스크레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스부(99)의 투명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출 케이스(21)의 외부로부터 원통부(97)를 시인하기 쉬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입상체 조출 장치(3a)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감합 롤(58)의 슬라이딩은 나사 이송에 의해 행해짐과 아울러, 상기 나사 이송을 위한 나사가 형성된 나사축(92)이 상기 축선(29a)에 일치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99)의 내주면과 나사축(92)의 사이에 밀봉부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부(99)와 나사축(92)의 사이에 밀봉부를 설치함으로써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의 우수 등이 보스부(99)를 통해서 조출 케이스(21)의 내부로 침입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살포 작업차(1)는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3a)와,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3a)의 전방에 배치되어서 주행가능한 차체(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살포 작업차(1)의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조출량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소망의 조출량으로 입상체를 살포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최근, 종자에 철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코팅을 실시한 종자를 직파 장치로 살포할 경우, 코팅의 분말(철분)이 호퍼(20) 내에서 대량으로 발생한다. 이 철분이 그대로 조출 케이스(21)로 공급되어버리면, 조출 롤(28) 및 조출 케이스(21)가 마모되는 원인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여분의 코팅의 분말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변형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는 호퍼(20)의 통로부(23)에 공기 유입구(32)와 배출구(33)를 형성한 것이다.
공기 유입구(32)와 배출구(33)는 각각 호퍼(20)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32)와 배출구(33)는 각각 종자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촘촘한 망(88)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 유입구(32) 및 배출구(33)를 통해서 호퍼(20) 내의 종자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공기 유입구(32)에는 공기 공급관(89)이 접속되어 있다. 이 공기 공급관(89)에는 도시 생략한 블로어(공기 공급원)가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공기 공급관(89) 내에는 블로어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공급되어 있다. 공기 공급관(89) 내의 압축 공기는 공기 유입구(32)를 통해서 호퍼(20) 내로 유입된다.
배출구(33)에는 배출관(90)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배출관(90)은 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각 호퍼(20)에 형성된 배출구(33)에 접속되어 있다. 배출관(90)의 좌우 양단부 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출관(90)이 개방되어 있는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배출관(90)이 L자 형상으로 구부려져 있다.
도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32)와 배출구(33)는 호퍼(20)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20) 내에는 공기 유입구(32)로부터 배출구(33)를 향해서 흐르는 공기류가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유입구(32)와 배출구(33)를 호퍼의 통로부(23)에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로부(23)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호퍼(20)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전후 방향의 폭이 좁다. 즉, 상기 공기류는 호퍼(20)의 내부 공간 중 비교적 폭이 좁은 개소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공기류가 호퍼(20)를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이 비교적 작아지고 있어, 상기 공기류는 스무드하게 흐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호퍼(20) 내에 공기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호퍼(20) 내의 철분을 상기 공기류에 의해 블로잉하여 비산시킬 수 있다. 공기 유입구(32) 및 배출구(33)는 망(88)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만, 코팅의 분말(철분)은 망(88)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류에 의해 블로잉하여 비산된 철분은 배출구(33)를 통해서 호퍼(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종자의 코팅 분말(철분)이 호퍼(20) 내에서 대량으로 발생했다고 해도 상기 철분을 블로잉하여 비산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대량의 철분이 조출 케이스(21)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출 롤(28)이나 조출 케이스(21)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호퍼(20)의 본체와 뚜껑부(22)의 사이에 밀봉 부재인 패킹(3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호퍼(20)는 뚜껑부(22)이 호퍼(20)의 본체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도시 생략한 고정 수단(스냅록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호퍼(20)의 본체와 뚜껑부(22)의 사이를 밀폐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호퍼(20)의 본체와 뚜껑부(22)의 간극으로부터 공기가 누설되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 압축공기가 쓸데없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33)에는 배출관(90)이 접속되어 있다. 이 배출관(90)을 설치하지 않고 배출구(33)로부터 철분을 직접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주위의 구성(호퍼(20)나 조출 케이스(21) 등)에 철분이 미쳐서 오염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배출구(33)에 배출관(90)을 접속함으로써 배출구(33)로부터 분출되는 철분이 주위의 부재에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33)로부터 배출관(90) 내로 도입된 철분은 상기 배출관(90)의 개방단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출관(90)의 개방단은 직파 장치(3)의 각 구성(호퍼(20)나 조출 케이스(21) 등)보다 좌우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관(90)의 개방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철분이 호퍼(20)나 조출 케이스(21)에 미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출관(90)의 개방단을 하방을 향하고 있다(도 29). 이것에 의해, 배출관(90) 내에 우수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0에 나타낸 별도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나사 이송 기구(91)의 구성을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변경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감합 롤(58)과 나사축(92)이 직접적으로 나사결합하는 구성이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30의 변형예에서는 감합 롤(58)의 원통부(97)와 나사축(92)의 사이에 슬리브(95)가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95)는 통 형상의 부재이며, 그 축선을 조출 롤(28)의 축선(29a)에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95)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가 나사축(92)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하고 있다. 슬리브(95)에는 상기 슬리브(95)가 조출 케이스(2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도시 생략한 회전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3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리브(95)는 감합 롤(58)의 원통부(97)의 내측에 축선을 일치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슬리브(95)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략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감합 롤(58)에 있어서, 원통부(97)의 내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략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95)의 외주면과 감합 롤(58)의 원통부(97)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합 롤(58)은 슬리브(95)에 대하여 축선 주위에서 상대 회전가능하다.
또한, 슬리브(95)에는 상기 슬리브(95)와 감합 롤(58)이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에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하기 위해서 스토퍼(96)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나사축(92)을 회전시킴으로써 슬리브(95)를 나사 이송의 원리에 의해 축선(29a)을 따른 방향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슬리브(95)와 감합 롤(58)이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에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스토퍼(9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리브(95)가 축선(29a)을 따라 이동하면, 이것과 함께 감합 롤(58)도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나사축(92)을 회전시킴으로써 슬리브(95)와 함께 감합 롤(58)을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조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95)와 감합 롤(58)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95)의 외주면 및 감합 롤(58)의 원통부(97)의 내주면은 대략 평활하게 되어 있고, 나사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슬리브(95)와 감합 롤(58)이 상대 회전했다고 해도 상기 감합 롤(58)이 나사 이송에 의해 축선(29a)과 평행한 방향으로 멋대로 이동해버리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도 27)에서는 감합 롤(58)과 나사축(92)이 멋대로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디텐트 기구(94)가 필요했다. 이 점, 도 30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슬리브(95)와 감합 롤(58)이 상대 회전했다고 해도, 감합 롤(58)이 축선(29a) 방향으로 멋대로 이동해버리는 경우가 없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감합 롤(58)과 나사축(92)은 직접적으로는 나사결합하고 있지 않으므로, 감합 롤(58)과 나사축(92)이 상대 회전했다고 해도, 감합 롤(58)이 나사 이송에 의해 축선(29a) 방향으로 멋대로 이동해버리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이 변형예에서는 감합 롤(58)과 나사축(92)이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디텐트 기구(94)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이 변형예에서는 디텐트 기구(94)를 생략하고, 조출 롤(28)에 대하여 나사축(92)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렇게 디텐트 기구(94)를 생략함으로써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디텐트 기구(94)의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장기 수명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도 27)에서는 조출 롤(28)과 나사축(92) 사이에 디텐트 기구(94)가 설치되어 있었으므로, 조출 롤(28)이 회전 구동되었을 때에는 나사축(92)도 함께 회전하고 있었다. 따라서, 조출 롤(28)이 회전 구동되고 있는 사이에는 나사축(9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조정 기어(61)도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조정 기어(61) 및 이것에 맞물리는 조작 기어(62)의 마모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출 롤(28)과 나사축(92)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조출 롤(28)이 회전 구동된 경우에도 나사축(92)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출 롤(28)이 회전 구동되고 있는 사이, 조정 기어(61)는 회전 구동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상기 조정 기어(61) 및 이것에 맞물리는 조작 기어(6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의미에서도 장치의 장기 수명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스부(99)는 투명하게 했지만, 반투명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6조분의 종자를 파종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5조 이하의 종자를 파종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7조 이상의 종자를 파종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8조분의 종자를 파종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도 3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로트(8)를 좌우로 4개 배열하는 배치로 한다.
이상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직파 장치(3)(입상체 조출 장치(3a))가 차체(2)의 후방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입상체 살포 장치 및 입상체 조출 장치의 배치는 반드시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차체 중앙부나 차체 전방에 입상체 살포 장치를 배치해도 좋다.
본원발명의 구성은 직파 장치에 한하지 않고, 입상체(예를 들면 입상의 비료 등)를 살포하기 위한 장치에 널리 채용될 수 있다.
1 : 살포 작업차 2 : 차체
3 : 직파 장치(입상체 살포 장치) 3a : 입상체 조출 장치
20 : 호퍼 21 : 조출 케이스
28 : 조출 롤 35 : 칸막이 부재
38 : 방출구 40 : 배출로

Claims (6)

  1. 입상체를 조출하는 입상체 조출 장치로서,
    상기 입상체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입상체가 공급되는 조출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조출 케이스는,
    조출된 입상체를 지면을 향해서 방출하는 방출구와,
    상기 조출 케이스 내에 잔류한 입상체를 상기 방출구와는 다른 위치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보다 상부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출 케이스 내의 입상체가 상기 배출로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입상체를 도입하는 조출 구멍을 주위에 갖는 대략 원주상의 조출 롤과,
    상기 조출 롤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가이드 부재를 상기 조출 케이스 내에 구비하고,
    상기 배출로의 저면은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저면의 하방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를 사이에 두고, 조출 롤의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부재에 당접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조출 롤의 둘레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체 조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상기 조출 케이스의 내외에 걸쳐서 배치되고, 외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외측의 단부가 상기 조출 케이스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체 조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의 상기 조출 케이스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상기 조출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체 조출 장치.
  5. 제 1 항에 기재된 입상체 조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입상체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체 살포 장치.
  6. 제 3 항에 기재된 입상체 조출 장치와,
    상기 입상체 조출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고 주행가능한 차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로는 상기 조출 케이스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출구로부터 방출된 상기 입상체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 작업차.
KR1020167025387A 2014-04-28 2015-04-28 입상체 조출 장치, 입상체 살포 장치 및 살포 작업차 KR101876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3171 2014-04-28
JP2014093170A JP6373631B2 (ja) 2014-04-28 2014-04-28 粒状体散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散布作業車
JP2014093171A JP2015208300A (ja) 2014-04-28 2014-04-28 粒状体散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散布作業車
JP2014093172A JP6297913B2 (ja) 2014-04-28 2014-04-28 粒状体散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散布作業車
JPJP-P-2014-093172 2014-04-28
JPJP-P-2014-093170 2014-04-28
PCT/JP2015/002291 WO2015166664A1 (ja) 2014-04-28 2015-04-28 粒状体繰出装置、粒状体散布装置及び散布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354A KR20160123354A (ko) 2016-10-25
KR101876109B1 true KR101876109B1 (ko) 2018-07-06

Family

ID=5435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387A KR101876109B1 (ko) 2014-04-28 2015-04-28 입상체 조출 장치, 입상체 살포 장치 및 살포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76109B1 (ko)
CN (1) CN106255405A (ko)
WO (1) WO2015166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9391A (zh) * 2016-11-01 2017-03-15 钟山县公安镇力发水果种植专业合作社 一种农业用实用型撒肥料装置
CN106973594A (zh) * 2017-04-18 2017-07-25 青岛市农业科学研究院 用于玉米田间试验的u型托底玉米播种器以及播种方法
CN112715106A (zh) * 2021-01-04 2021-04-30 塔里木大学 一种用于果园绿肥种植的播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0855A (ja) * 2010-04-09 2011-11-04 Kubota Corp 粉粒体供給装置
JP2013022002A (ja) * 2011-07-26 2013-02-04 Iseki & Co Ltd 施肥装置付作業機
JP2013132235A (ja) * 2011-12-26 2013-07-08 Kubota Corp 水田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7795Y (zh) * 1994-05-05 1995-05-24 孙玉功 多功能悬挂转动式分层精密播种机
CN2338955Y (zh) * 1998-06-02 1999-09-22 骆玉丰 可调外槽轮排种器
CN2558199Y (zh) * 2002-08-27 2003-07-02 王宝文 播种机用多功能播种器
CN2660861Y (zh) * 2003-11-12 2004-12-08 江滨龙 易充种式排种轮
JP2010193861A (ja) * 2009-02-27 2010-09-09 Iseki & Co Ltd 粉粒剤施用装置
JP5353723B2 (ja) * 2010-01-19 2013-11-27 井関農機株式会社 播種機の繰出装置
JP5379768B2 (ja) * 2010-09-17 2013-12-25 株式会社クボタ 粉粒体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0855A (ja) * 2010-04-09 2011-11-04 Kubota Corp 粉粒体供給装置
JP2013022002A (ja) * 2011-07-26 2013-02-04 Iseki & Co Ltd 施肥装置付作業機
JP2013132235A (ja) * 2011-12-26 2013-07-08 Kubota Corp 水田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6664A1 (ja) 2015-11-05
CN106255405A (zh) 2016-12-21
KR20160123354A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109B1 (ko) 입상체 조출 장치, 입상체 살포 장치 및 살포 작업차
CA2905309C (en) Seed gate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ystem
CA2243141C (en) Pneumatic seed delivery system
JP5632642B2 (ja) 粉粒体供給装置
WO2013130003A1 (en) Method for calibrating a device for feeding a granular or powder material and such device
EP2289298B1 (de) Pneumatische Einzelkornsämaschine
JP5513141B2 (ja) 粉粒体供給装置
JP4910540B2 (ja) 粉粒体施用機
KR101869622B1 (ko) 입상체 조출 장치 및 입상체 산포 장치
JP5724425B2 (ja) 播種機
JP2015208300A (ja) 粒状体散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散布作業車
JP6297913B2 (ja) 粒状体散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散布作業車
JP3516870B2 (ja) 粉粒体繰出し装置
JP6373631B2 (ja) 粒状体散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散布作業車
JP2006217920A (ja) 田植機
JP2003210014A (ja) 粉粒体繰出し装置
JP2016002007A (ja) 農作業機
JP4082156B2 (ja) 粉粒体吐出機
JP2005237245A (ja) 苗植機の粉粒体繰出装置
JP2014143975A (ja) 苗移植機
JP7169756B2 (ja) 圃場作業機
JP5421726B2 (ja) 水田作業機
JP3986037B2 (ja) 施肥装置付き田植機
JP2004290116A (ja) 水田作業機の施肥装置
JP2007089499A (ja) 水田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